KR100991627B1 -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627B1
KR100991627B1 KR1020080037207A KR20080037207A KR100991627B1 KR 100991627 B1 KR100991627 B1 KR 100991627B1 KR 1020080037207 A KR1020080037207 A KR 1020080037207A KR 20080037207 A KR20080037207 A KR 20080037207A KR 100991627 B1 KR100991627 B1 KR 100991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button
button
sensor
contact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1541A (ko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김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수 filed Critical 김연수
Priority to KR1020080037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627B1/ko
Priority to US12/665,910 priority patent/US8698019B2/en
Priority to PCT/KR2008/003432 priority patent/WO2009002039A2/en
Priority to JP2010513107A priority patent/JP2010531040A/ja
Priority to CN200880021443.1A priority patent/CN101743605B/zh
Priority to EP08766393A priority patent/EP2160746A4/en
Publication of KR20090111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627B1/ko
Priority to JP2012218131A priority patent/JP5603395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01H2025/045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having a rotating dial around the operating member for additional switching f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025/048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separate central push, slide or tumbler button which is not integral with the operating part that surrounds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74Actuation by finger tou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에 관한 것으로, 중심축(608)과; 상기 중심축(608)을 축으로 회전 없이 이동되는 밀기버튼(200)과; 상기 밀기버튼(200)의 둘레를 둘러싸고, 밀기버튼(200)의 측면에서 신호를 전달받는 대향측벽(130); 및 상기 밀기버튼에 마련되는 누름버튼 또는 터치센서 또는 휠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많은 버튼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복합, 전자제품, 버튼, 밀기, 누름

Description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Complex Button For Electricproduct}
본 발명은 밀기버튼에 누름버튼 또는 터치센서 또는 휠키부 등을 포함하는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자제품 중 리모컨의 버튼 구조를 나타내는 간략도이다.
도 1과 같은 종래의 전자제품 버튼 구조는 리모컨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모컨(10)은 케이스(12)에 여러가지 기능의 버튼(20)이 복수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20)은 하방으로 눌려서 작동되며, 하나의 버튼(20)에는 하나의 신호만 발생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누름 방식 버튼(20) 구조를 갖는 리모컨(10)은 여러가지 신호를 보낼 때 여러 버튼(20)을 번갈아 가며 눌러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20)의 크기가 손가락 크기에 적정하게 맞아야 하는데, 버튼(20)의 크기가 손가락 면적보다 지나치게 작은 경우나 인접한 다른 버튼(20)과의 간격이 좁은 경우 잘못 누르지 않기 위해서 주의를 해야 하는 등의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리모컨에 같은 형태의 복수개 버튼(20)이 병렬식으로 배열됨으로써, 원하는 버튼을 한눈에 인식할 수 없어 매번 버튼(20)의 위치를 확인하고 조작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에 사용되는 휴대폰, 엠피3 및 네비게이션 등의 전자제품은 컴팩트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많은 버튼이 부착되어 불필요하게 공간을 차지하게 되면 작동상의 불편함과 더불어 구매의욕을 감소시켜 쉽게 판매량의 감소로 이어지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밀기 방식 버튼 뿐만 아니라, 누름 방식 버튼 및 터치 방식 버튼 등 다양한 버튼 사용방식을 일체화하여 한 버튼을 가지고 다양한 신호를 낼 수 있는 복합방식 버튼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심축(608)과;
상기 중심축(608)을 축으로 회전 없이 이동되는 밀기버튼과;
상기 밀기버튼의 둘레를 둘러싸고, 밀기버튼의 측면에서 신호를 전달받는 대향측벽(130); 및
상기 밀기버튼에 마련되는 누름버튼, 터치센서 또는 휠키부 중 어느 하나 이상: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밀기버튼의 측면 또는 대향측벽에는 복수의 접점 또는 센서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접점 또는 센서는 압력센서, 광센서 또는 초음파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압력센서가 마련된 상기 밀기버튼과 대향측벽은 서로 접하게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광센서 또는 초음파센서가 마련된 상기 밀기버튼과 대향측벽은 이격된 상태에서 밀기버튼이 대향측벽으로 접근하면 신호가 발생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기버튼이 대향측벽을 미는 압력에 따라서 신호가 변하여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밀기버튼이 대향측벽에 접근하는 속도와 접근한 거리에 따라서 신호가 변하여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밀기버튼과 이격되어 통합 디스플레이부(564)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밀기버튼의 접점 주위에는 디스플레이창(554)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밀기버튼에는 복원수단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밀기버튼의 상단에는 스틱(700)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캡형태의 밀기버튼(541)과;
상기 밀기버튼(541) 안에 마련된 내측바(542); 및
상기 밀기버튼에 마련되는 누름버튼, 터치센서 또는 휠키부 중 어느 하나 이상: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도 제공한다.
상기 밀기버튼(541)의 내측면과 상기 내측바(542)의 측면 중, 어느 한면에는 복수의 접점이 마련되고, 상기 접점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많은 버튼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밀기 방식 버튼 뿐만 아니라, 누름 방식 버튼 및 터치 방식 버튼 등 다양한 버튼 방식을 일체화하여 한 버튼을 가지고 다양한 신호를 낼 수 있는 복합방식 버튼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터치밀기버튼은 접점 및 터치센서를 통하여 신호를 보내게 되어, 간단히 해당 버튼을 터치만 하면 누름버튼 효과를 내면서 동시에 터치 전후에 밀기를 하여 많은 양의 신호를 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밀기버튼은 복수의 밀기버튼이 필요 없이 한 개 또는 두 개의 밀기버튼을 가지고 보다 다양한 신호 발생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누름 밀기 버튼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구조를 나타내는 간략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3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내는 간략도이다.
본 발명인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구조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중앙에 누름버튼(510)이 마련된 누름밀기버튼(200)과, 상기 누름밀기버튼(200)의 둘레를 둘러싸고, 누름밀기버튼(200)의 측면에서 신호를 전달받는 대향측벽(130)이 형성된 하우징(250) 및 상기 하우징(250)이 2개 형성된 케이스(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모컨(100)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50)의 둘레에는 0부터 10까지와 100의 아라비아 숫자가 그려져 있고, 상기 복수의 접점(400)은 각각 고유의 신호를 가지는데, 상기 신호는 각각 0부터 10까지와 100에 해당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아라비아 숫자는 알파벳이나 한글 등으로 바뀔 수 있고, 상기 누름밀기버튼(200)의 측면 또는 대향측벽(130)에는 복수의 접점(400) 또는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도 3의 (b)와 같이 상기 접점(400)과 대향되는 위치에 접점(400)을 향해 돌출된 돌출센서(300)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는데, 상기 돌출센서(300)는 접점(400)의 접촉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접점(400)은 돌출센서(300)에 접촉되어 돌출센서(300)와 연결된 회로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방식으로 신호를 발생시키는 일반적인 접점(400)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수신용 돌출센서(300)에 접촉 또는 접근을 통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하나의 송신용 센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접점(400) 또는 돌출센서(300)는 압력센서, 광센서 또는 초음 파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누름밀기버튼(200)에는 상부에 오목하게 만곡진 손접촉부(500)가 마련되는데, 상기 손접촉부(500)는 손접촉부(500)에 손가락을 올려놓고 누름밀기버튼(200)을 조작하면 더욱 안정감있고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밀기버튼(200)이 설치된 형태는 도 3과 같이 원형으로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나, 필요에 따라서는 도 4와 같이 상기 누름밀기버튼(200)이 설치된 형태가 다양할 수 있는데, 누름밀기버튼(200)과 하우징(250)의 수평 단면의 형태가 도 4의 (a)와 같이 4각형이거나, 도 4의 (b)와 같이 5각형 등의 다각형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누름밀기버튼(200)의 내부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3의 버튼 내부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간략도이다.
상기 누름밀기버튼(200)에는 복원수단(600)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누름밀기버튼(200)을 이동시킨 후에 놓으면 다시 원위치로 돌아가는 구조로 된다.
그리고 상기 복원수단(600)은 여러 가지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5에서 제 1 형태의 복원수단(600)을 설명하고, 도 6에서 제 2 형태의 복원수단(600)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5와 같은 제 1 형태의 복원수단(600)은 누름밀기버튼(200) 중심에 마련된 중심축(608)과 상기 중심축(608)을 중심으로 하여 90도 간격으로 중심축(608)에 연 결된 스프링(61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심축(608)과 스프링(610) 사이에는 가압부재(620)가 마련되고, 상기 누름밀기버튼(200)의 내측벽에는 스프링안착부(62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610)은 동일한 탄성력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누름밀기버튼(200)을 작동하는 경우 외에는 상기 누름밀기버튼(200)이 항상 하우징(250)의 중앙에 위치되어 접점(400)이 대향측벽(130)에 접촉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누름버튼(510)은 상기 중심축(608)의 상방에 형성되는데, 상기 중심축(608)의 내부에는 상기 누름버튼(510)이 작동될 수 있도록 복원탄성장치 및 신호감지 센서 등의 일반적인 누름버튼에 사용되는 장치들이 장착된다.
따라서, 누름밀기버튼(200)은 누름버튼과 밀기버튼이 혼합되어 보다 다양한 신호를 보낼 수 있는 복합버튼이 된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누름버튼(510)이 복수개로 마련될 수도 있고, 상기 누름버튼(510)이 중심축(608)의 주위에도 마련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누름밀기버튼(200)은 상기 중심축(608)을 축으로 회전은 되지 않고, 사방으로 밀기만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한편, 도 6과 같은 제 2 형태의 복원수단(600)은 하우징(250)과 누름밀기버튼(200) 사이에 연결된 탄성부재(405) 형태이고, 상기 탄성부재(405)는 판스프링 또는 복원력을 가지는 합성수지나 합성고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밀기버튼(200)과 대향측벽(130) 사이에는 간격덮개(710)가 마련되어 누름밀기버튼(200)과 대향측벽(130) 사이의 공간에 먼지나 이물질이 인입되어 접점(400)과 돌출센서(300) 사이의 접촉 불량이 발생되는 것 등을 방지하는데, 상기 간격덮개(710)는 누름밀기버튼(200)이 이동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얇은 탄성재질의 막 형상이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05)의 상방에 누름버튼(510)이 마련되고, 상기 누름버튼(510)은 일반적인 누름버튼과 같은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인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리모컨(100)을 조작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숫자를 누르려고 하면 하우징(250) 둘레에 마련된 숫자 중에서 원하는 숫자를 향하여 상기 누름밀기버튼(200)을 이동시키고 상기 누름밀기버튼(200)이 이동되면 상기 접점(400)이 하우징(250)의 대향측벽(130)에 접촉되면서 상기 원하는 숫자에 관한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다른 숫자를 누르려고 할 때 종래와 달리 상기 누름밀기버튼(200)을 필요한 숫자가 있는 방향으로 밀기만 하면 된다.
또한, 누름버튼(510)을 눌러서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어 더 많은 버튼 기능이 수행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여러 개의 누름 버튼을 찾아가며 누르던 번거로움이 없고, 본 발명인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구조 2개만 있으면, 종래 수십 개의 버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접점(400)이 부착된 하나의 버튼을 이용하여 복수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누름밀기버튼(200)을 작동시킨 후에 놓으면 상기 복원수단(600)의 복원력에 의하여 누름밀기버튼(200)은 원위치로 복원된다.
한편, 본 발명은 버튼 하부에 여러 개의 접점을 위치시켜서 버튼을 하부로 누르는 방식의 버튼 구조와 비교해 볼 때도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누름밀기버튼(200)의 측면 둘레에 접점(400)이 있어 접점(400)이 위치되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므로 많은 접점(400)을 설치할 수 있으나, 이에 비하여 버튼 하부에 여러 개의 접점을 위치시키는 방식은 접점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많은 접점을 둘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접점(400)과 접촉되는 대향측벽(130)이 접점(400)이 위치된 누름밀기버튼(200)의 둘레보다 크기 때문에 접점(400)과 상기 대향측벽(130) 상호간에 정확한 지점에서 쉽게 접촉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도 3의 (b)와 같이 대향측벽(130)에 돌출센서(300)를 마련한 경우에도 인접한 상기 돌출센서(300)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이격되어 있어 접점(400)이 정확하게 접촉된다.
한편,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누름밀기버튼(200)에 스틱을 부착하여 게임기의 조작키로 더욱 편리하게 사용되거나, 다른 형태의 버튼과 같이 사용될 수도 있 다.
도 7은 본 발명의 버튼에 스틱이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간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버튼이 다른 버튼과 같이 사용되는 간략도이다.
도 7과 같이 본 발명인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구조는 상기 누름밀기버튼(200)의 상단에 스틱(700)을 마련하여 게임시 더욱 민첩하고 빠른 버튼 조작이 필요한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스틱(700)은 누름버튼의 기능도 수행된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상기 하우징(250)의 내부에 누름밀기버튼(200)과 종래의 누름식 버튼(800)을 함께 배열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인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의 제 2 실시예는 터치밀기버튼이다.
터치밀기버튼은 도 2 내지 도 8의 상기 누름밀기버튼(200)에서 누름버튼(510)을 터치센서가 부착된 터치방식으로 바꾼 것이다.
상기 터치밀기버튼은 상기 측면 접점(400) 신호를 발생시키면서 밀기버튼 상면에 별도로 터치센서를 부착하여, 사용자가 누름버튼(510)을 누르는 대신에 상기 터치센서를 접촉하여 누름버튼(510)과 같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터치밀기버튼은 상기 접점(400) 및 상기 터치센서를 통하여 신호를 보내게 되어, 간단히 해당 버튼을 터치만 하면 누름버튼 효과를 내면서 동시에 터치 전후에 밀기를 하여 많은 양의 신호를 낼 수 있다.
상기 누름버튼(510)은 버튼을 누름으로써 하부로 압력을 주어야만 신호가 발생하지만, 터치센서를 이용한 터치버튼은 버튼 상면에 손가락만 갖다 대도 누름 방식과 동일한 신호가 발생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버튼을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 누름버튼(510)은 통상 돌출 구조인데 비해, 터치버튼은 손접촉부(500)와 같은 높이로 마련될 수 있어 전반적으로 제품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터치밀기버튼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티브이 리모컨의 볼륨 조절부에 상기 터치밀기버튼을 장착할 경우에 상기 터치버튼을 터치하면, 티브이 디스플레이에 볼륨 표시가 그래픽으로 나타난다.
이때, 터치된 버튼을 한 방향으로 밀면 볼륨이 커지며, 반대 방향으로 밀면 볼륨이 줄어들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터치밀기버튼은 휴대폰 등의 키패드방식에 응용하여 개별 터치밀기버튼이 배열된 터치식 키패드로 만들 수 있다. 본 터치식 키패드는 개별 버튼이 터치를 통한 일차적 신호발생 외에 각 키별로 상하좌우 밀기 방식을 조합하여 다양한 추가 신호 입력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터치밀기버튼은 터치센서에 손가락을 댄 채 옆으로 밀 경우 손가락이 밀려 옆의 버튼을 건드리는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을 막기 위해서 버튼을 밀어도 손가락이 해당 버튼 상면을 벗어나지 않도록 손접촉부(500)의 둘레에 턱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장치의 제 3 실시예는 휠키밀기버튼이다.
도 9는 휠키밀기버튼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휠키밀기버튼(210)은 도 2 내지 도 8의 상기 누름밀기버튼(200)에서 누름버튼(510)을 제거하고 도 9와 같이 버튼 상면 중 일정반경을 기준으로 중앙부(529)와 휠키부(530)로 나누어 휠키부(530)가 중앙부(529)를 중심으로 화살표(532)와 같이 좌우로 회전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휠키밀기버튼(210)은 그 둘레에서 상기 접점(400) 신호를 발생시키면서 휠키밀기버튼(210) 상면의 휠키부(530)가 중앙부(529)를 중심으로 화살표(532)와 같이 좌우로 회전되는 구조이다.
상기 휠키밀기버튼(210)의 작동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티브이 리모컨에 상기 휠키밀기버튼(210)을 장착한 후 사용자가 상기 휠키부(530)를 회전하면 티브이 브라운관의 디스플레이상에는 채널-볼륨-화면비율 등 특정 고유의 신호 표시가 연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리하여 목적하는 신호가 나타나면 휠키부(530) 회전을 멈추고 해당 신호 내에서 다음 단계 신호를 상기 휠키밀기버튼(210)을 밀어서 상기 접점(400) 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인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장치의 제 4 실시예는 바형밀기버튼이다.
도 10은 바형밀기버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바형밀기버튼(540)은 캡형태의 밀기버튼(541)과, 상기 밀기버튼(541) 안에 마련된 내측바(54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측바(542)의 둘레 접 점(546)이 밀기버튼(541) 내측면의 센서(547)와 접촉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밀기버튼(541)과 내측바(542) 사이에는 복원부재(544)가 마련된다.
상기 바형밀기버튼(540)의 작용은 형태만 다를 뿐이고, 본 발명의 밀기버튼과 같이 작동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밀기버튼(541)을 회전 없이 밀면 상기 내측바(542)의 접점(546)이 밀기버튼(541)의 내측면 센서(547)와 접촉되어 신호를 보내는 구조이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내측바(542)에 상기 접점(546) 대신 센서(547)를 부착하고, 밀기버튼(541) 내측면에는 상기 센서(547) 대신 접점(546)을 부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바형밀기버튼(540)은 밀기 버튼 기능을 유지하면서, 상면 또는 외부 측벽 둘레에 상기 누름버튼(510), 터치센서 또는 휠키부(5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부착하여, 다양한 신호를 추가로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인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장치의 제 5 실시예는 버튼부 둘레에 각 접점별 부호표시 디스플레이창이 마련된 디스플레이밀기버튼이다.
도 11은 본 발명인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장치 중 디스플레이밀기버튼을 나타내는 간략도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밀기버튼(550)은 밀기버튼(552)의 접점(400) 주위에 디스플레이창(554)이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밀기버튼(550)의 예를 들면 도 11에서 티브이 리모컨 밀기버 튼(552) 둘레에 접점(400)이 있는데, 상기 접점(400)에 인접하여 '볼륨', '채널', '화면크기', '음성다중'이 나타난다.
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밀기버튼(550)으로 '화면크기'를 접촉하면 메뉴가 바뀌어 해당 디스플레이밀기버튼(550)의 접점(400)은 화면크기에 따라 4:3 화면. 16:9 화면, 와이드화면, 2배줌 화면 등으로 전환되어 디스플레이창(554)에 표시되고, 목적하는 신호가 16:9라면 16:9가 표시된 접점(400)으로 밀기버튼(552)을 실행한다.
상기 접점(400)을 접촉시 해당 디스플레이창(554)의 색상이 변하는 등의 방법으로 신호발생이 생성됐음을 확인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또 동시에 티브이 디스플레이상에도 해당 메뉴 표시가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밀기버튼(550)은 메뉴를 잘 구성할 경우 복수의 밀기버튼이 필요 없이 한 개 또는 두 개의 밀기버튼을 가지고 보다 다양한 신호 발생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밀기버튼과 별도로 통합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된 경우의 정면도이다.
도 2와 같이 접점(400)이 많은 원형 누름밀기버튼(200)의 경우, 손가락을 버튼에 대면 버튼 상단 원형 둘레에는 각 접점(400)별로 표시된 부호를 알아볼 수 있지만, 버튼 하단 둘레에 표시된 부호는 손가락에 가려 알아볼 수 없는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밀기버튼(550)의 변형으로 도 12와 같이 밀기버튼(566)과 이격되도록 통합 디스플레이부(564)를 두는 형태의 리모컨(562)을 마련 하여 하단에 있는 복수의 밀기버튼(566) 중 특정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면 상기 통합 디스플레이부(564)에 동일하게 그래픽적으로 나타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리모컨(562) 하단에 있는 상기 밀기버튼(566)은 접점(400) 둘레에 일일이 개별 신호 표시를 할 필요가 없이 단순히 특정 방향으로 밀기 작업만 하면 되므로 각 밀기버튼(566) 사이즈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특정 접점이 접촉될 때 디스플레이창의 색상이 변하는 등의 방법으로 신호발생이 생성됐음을 확인 가능하게 할 수 있고, 티브이 디스플레이상에도 해당 메뉴 표시가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장치의 제 6 실시예는 압력센서에 의한 속도 조절이 가능한 압력밀기버튼이다.
상기 압력밀기버튼(570)은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에 사용되는 접점 또는 센서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압력센서로 마련한 경우이다.
도 13은 비접촉 밀기버튼과 기접촉 압력밀기버튼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필요한 경우에는 도 13의 하부에 마련된 기접촉 압력밀기버튼과 같이 상기 압력밀기버튼(570)의 접점(301)과 대향측벽의 접점(401) 사이가 서로 처음부터 접하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압력밀기버튼(570)을 밀면 상기 압력밀기버튼(570)의 접점(301)이 대향측벽의 접점(401)에 압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도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는 사용자가 압력밀기버튼(570)을 이용하여 대향측벽을 미는 압력에 따라서 신호가 변하여 전달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티브이 채널이나 볼륨 의 경우에 빠른 속도로 이동시킬 때에 압력센서를 누르는 밀기압력을 조절하여 채널 전환이나 볼륨 전환을 빠르게 또는 느리게 전환한다.
도 14는 압력밀기버튼과 대향측벽 사이의 경계지점에 간격이 없는 상태도이다.
한편, 도 14와 같이 상기 압력밀기버튼(570)과 대향측벽(571) 사이의 경계지점(573)에 간격을 없애고 압력밀기버튼(570)과 대향측벽(571)이 처음부터 접해 있는 상태에서 압력밀기버튼(570)이 대향측벽(571)을 밀면 대향측벽(571)의 밀린부분에 압력이 감지되는 방식을 이용한 압력밀기버튼(570)도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장치의 제 7 실시예는 상기 제 6 실시예에서 압력센서가 비접촉 센서인 광센서 또는 초음파센서로 대체되어 별도의 접점이 불필요한 광밀기버튼 또는 초음파밀기버튼이다.
즉,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에 사용되는 접점 및 센서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센서나 초음파센서로 마련한 경우로, 접점 또는 센서 중 어느 하나가 송신용 센서 또는 수신용 센서가 되고, 다른 하나가 반대 센서가 된다.
이 경우 상기 광센서 또는 초음파센서가 마련된 상기 밀기버튼과 대향측벽은 이격되고, 밀기버튼이 대향측벽으로 접근하는 속도와 접근한 거리에 따라서 변화된 신호가 전달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필요한 경우에는 하나의 리모컨에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7 실시예 까지의 여러 방식 버튼을 복합화하여 한 버튼으로 다양한 복합 신호 발생이 가능한 복합 버튼 장치를 만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인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많은 버튼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자제품 중 리모컨의 버튼 구조를 나타내는 간략도.
도 2는 본 발명인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구조를 나타내는 간략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4는 도 3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내는 간략도.
도 5는 도 3의 버튼 내부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간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버튼에 스틱이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간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버튼이 다른 버튼과 같이 사용되는 간략도.
도 9는 휠키밀기버튼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바형밀기버튼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인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장치 중 디스플레이밀기버튼을 나타내는 간략도.
도 12는 밀기버튼과 별도로 통합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된 경우의 정면도.
도 13은 기접촉된 압력밀기버튼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4는 압력밀기버튼과 대향측벽 사이의 경계지점에 간격이 없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리모컨 200: 누름밀기버튼
300: 돌출센서 400: 접점
500: 손접촉부 600: 복원수단
608: 중심축 610: 스프링
620: 가압부재 625: 스프링안착부

Claims (13)

  1. 삭제
  2. 중심축(608)과;
    상기 중심축(608)을 축으로 회전 없이 이동되며, 누름버튼 또는 터치센서 중 하나 이상이 마련되는 밀기버튼; 및
    상기 밀기버튼의 둘레를 둘러싸고, 밀기버튼의 측면에서 신호를 전달받는 대향측벽(1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밀기버튼의 측면과 상기 대향측벽 중, 어느 한면에는 복수의 접점이 마련되고, 상기 접점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센서가 마련되며,
    상기 밀기버튼이 상기 중심축(608)을 축으로 회전 없이 이동되면 밀기버튼의 측면에 마련된 접점 또는 센서가 상기 대향측벽에 마련된 센서 또는 접점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신호를 송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점 또는 센서는 압력센서, 광센서 또는 초음파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가 마련된 상기 밀기버튼과 대향측벽은 서로 접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 또는 초음파센서가 마련된 상기 밀기버튼과 대향측벽은 이격된 상태에서 밀기버튼이 대향측벽으로 접근하면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밀기버튼이 대향측벽을 미는 압력에 따라서 신호가 변하여 전달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밀기버튼이 대향측벽에 접근하는 속도와 접근한 거리에 따라서 신호가 변하여 전달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밀기버튼과 이격되어 통합 디스플레이부(564)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9.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밀기버튼의 접점 주위에는 디스플레이창(554)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10.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밀기버튼에는 복원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11.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밀기버튼의 상단에는 스틱(70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12. 삭제
  13. 캡형태이며, 누름버튼 또는 터치센서 중 하나 이상이 마련되는 밀기버튼(541)과;
    상기 밀기버튼(541) 안에 마련된 내측바(542);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밀기버튼(541)의 내측면과 상기 내측바(542)의 측면 중, 어느 한면에는 복수의 접점이 마련되고, 상기 접점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센서가 마련되며,
    상기 밀기버튼(541)이 회전 없이 이동되면 밀기버튼(541)의 내측면에 마련된 접점 또는 센서가 상기 내측바(542)의 측면에 마련된 센서 또는 접점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신호를 송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KR1020080037207A 2007-06-22 2008-04-22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KR100991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207A KR100991627B1 (ko) 2008-04-22 2008-04-22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US12/665,910 US8698019B2 (en) 2007-06-22 2008-06-18 Button for electric product
PCT/KR2008/003432 WO2009002039A2 (en) 2007-06-22 2008-06-18 Button for electric product
JP2010513107A JP2010531040A (ja) 2007-06-22 2008-06-18 電子製品用ボタン
CN200880021443.1A CN101743605B (zh) 2007-06-22 2008-06-18 用于电子产品的按钮
EP08766393A EP2160746A4 (en) 2007-06-22 2008-06-18 BUTTON FOR ELECTRONIC ARTICLE
JP2012218131A JP5603395B2 (ja) 2007-06-22 2012-09-28 電子製品用ボタン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207A KR100991627B1 (ko) 2008-04-22 2008-04-22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541A KR20090111541A (ko) 2009-10-27
KR100991627B1 true KR100991627B1 (ko) 2010-11-04

Family

ID=4153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207A KR100991627B1 (ko) 2007-06-22 2008-04-22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6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985B1 (ko) * 2015-02-16 2016-07-08 (주)아이티버스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327B1 (ko) * 2015-07-31 2021-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985B1 (ko) * 2015-02-16 2016-07-08 (주)아이티버스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WO2016133315A1 (ko) * 2015-02-16 2016-08-25 (주)아이티버스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EP3260009A4 (en) * 2015-02-16 2018-09-19 Itvers Co., Ltd. Portable terminal 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541A (ko) 2009-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23233B1 (en) Input device
JP4799655B2 (ja) 小型機器
US20080129685A1 (en) Touch Selection Device
KR20040014296A (ko) 휴대용 전자기기
JP5603395B2 (ja) 電子製品用ボタン
EP1779224A2 (en) A touchpad device
KR100666846B1 (ko) 입력 키 및 입력장치
KR20160034355A (ko) 키패드
KR100991627B1 (ko)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JP200211181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携帯型通信装置
EP2073509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057937B2 (ja) 携帯電子機器
CN203405776U (zh) 触摸式的键盘改良结构
KR101432529B1 (ko) 키보드 기능을 갖는 마우스
KR100632114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방향입력장치
KR100821092B1 (ko) 키 패드 전용 커버와 결합된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단말기에서 커버의 적용 방법
KR100829660B1 (ko) 전자제품용 버튼 구조
KR20020053004A (ko) 제어 버튼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전자 장치
JP3616538B2 (ja) 入力装置
US7529572B2 (en) Mobile electric device
KR20100102913A (ko) 전자제품용 신호입력장치
JP4837143B1 (ja) 放送受信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CN103995596A (zh) 触摸式的键盘改良结构
CN203480409U (zh) 触摸式的键盘改良结构
JP2014075022A (ja) 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