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4296A - 휴대용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4296A
KR20040014296A KR1020030054308A KR20030054308A KR20040014296A KR 20040014296 A KR20040014296 A KR 20040014296A KR 1020030054308 A KR1020030054308 A KR 1020030054308A KR 20030054308 A KR20030054308 A KR 20030054308A KR 20040014296 A KR20040014296 A KR 20040014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ortable electronic
rotation
ring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4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모츠 야마모토
시게루 요코지
마사키 사와다
히로야스 오카다
히로토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4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29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7Scrolling o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수단 내의 표시 내용을, 간단한 조작으로 희망하는 문자의 크기 상태 등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로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되는 상기 정보에 대해 제 1 화면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제 1 조작수단; 원주 방향으로의 조작으로, 상기 정보에 대해 제 2 화면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제 2 조작수단; 및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조작수단, 상기 제 2 조작수단 및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고, 화면을 임의의 방향으로 스크롤하여 표시 위치를 선택하는 제 1 화면 처리, 및 선택된 상기 표시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확대 표시 처리, 축소 표시 처리 및 화면 전환 처리 등의 제 2 화면 처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휴대 전화나 PDA 등으로 대표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전자기기는 소형 경량화가 진행되어, 휴대 전화나 PDA로 대표되는 휴대용 전자기기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해,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종래의 휴대용 전자기기로서의 휴대 전화의 외관 사시도이고, 동 도면에 있어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1)의 조작면으로 되는 상면에는 위쪽 위치에서부터 수화부(2), LCD 등으로 이루어진 표시수단(3), 십자형의 푸시버튼(4)을 갖는 가압 조작형의 다방향 스위치(5), 텐키부(6), 송화부(7)가 차례대로 배치된다.
그리고, 프레임(1)의 상부에는 안테나(8)가 배설된다.
또한, 프레임(1)내에는 마이크로 컴퓨터(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된 배선판(도시하지 않음) 등이 수용된다.
이 마이크로 컴퓨터는 제어부로서 기능하여, 상기 수화부(2)에서부터 안테나(8) 등을 포함하는 전화 장치의 각 부분 및 전체를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휴대전화는, 통상 표시수단(3)에 표시된 표시 내용(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등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사용자는 푸시버튼(4)을 가압하여 다방향 스위치(5)를 상하좌우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조작한다.
이 조작으로 얻어지는 다방향 스위치(5)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가 소정의 제어를 행하고, 예를 들어 표시수단(3)내의 커서 위치가 상기 조작에 따른 상하좌우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커서가 소망하는 항목 위치(예를 들어, 희망하는 전화번호)에 일치하는 곳에서, 확정용으로 할당된 스위치 등을 조작하여, 선택한 항목을 확정시켜 사용하는 것이었다.
상기 종래의 휴대전화에 있어서, 표시수단(3)의 크기는 최근 서서히 크게 되었지만, 휴대용 전자기기이기 때문에, 그 크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그 정해진 크기의 표시수단(3)중에서, 표시수단(3)내에 표시되는 문자나 숫자 등의 텍스트 정보에 대해서는 필요한 정보를 될 수 있는 한 많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한정된 크기의 표시수단(3)중에 표시 정보의 양을 많게 하면, 표시되는 문자 등이 작게 되어, 표시수단(3)의 표시 내용을 보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표시수단(3)내에 작은 문자로 정보량을 많이 표시하면, 다방향스위치부(5)를 조작하여 소망하는 항목을 선택할 때 등에, 사용자는 각 항목을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워, 조작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표시수단 내의 표시 내용을 간단한 조작으로 희망하는 문자의 크기 상태 등으로 이행시킬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휴대전화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제 1 및 제 2 조작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제 1 및 제 2 조작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휴대전화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제 1 조작수단을 작동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초기 상태의 전화번호부가 표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표시된 전화번호부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다른 배치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상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제 1 및 제 2 조작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휴대전화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제 1 조작수단으로 되는 기능부재를 작동시킨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제 2 조작수단을 작동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은 종래의 휴대전화의 외관 사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는 표시수단에 표시되는 정보에 대해 제 1 화면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제 1 조작수단; 원주 방향으로의 조작으로 상기 정보에 대해 제 2 화면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제 2 조작수단; 및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조작수단, 상기 제 2 조작수단 및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고, 표시된 상기 화면을 임의의 방향으로 스크롤하여 표시 위치를 선택하는 제 1 화면 처리와, 선택된 상기 표시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확대 표시 처리, 축소 표시 처리 및 화면 전환 처리 등의 제 2 화면 처리를 실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 1 내지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해,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휴대전화를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외형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고 중공의 프레임(11)은 상측의 제 1 케이스(12)와 하측의 제 2 케이스(13)가 조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이 프레임(11)은 상면(11A)을 조작면으로 한다. 상면(11A)의 상부에 수화부(14), 및 액정표시소자나 EL소자 등으로 이루어진 표시수단(15)을 갖고, 상면(11A)의 하부에 텐키부(16), 송화부(17)를 갖는다. 또한, 표시수단(15)과 텐키부(16) 사이의 위치에, 회전 조작이 가능한 링형상 조작부(18)를 갖는다.
또한, 링형상 조작부(18)의 내측에는 프레임(11)의 상하좌우 방향을 향하여 경도(傾倒) 조작이 가능한 하나의 푸시버튼(19)이 회전 규제된 상태로 배치된다.
더욱이, 프레임(11)의 상단부에 안테나(20)가 배설된다.
한편, 프레임(11)내에는 프린트 배선 기판(21)이 수용된다. 프린트 배선 기판(21) 위의, 푸시버튼(19)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자기 복귀형이고 가압 조작 버튼인 4개의 스위치 소자(도 3을 참조; 22, 23, 24 및 25)가 배치된다. 또한, 푸시버튼(19)의 하면에 설치된 가압凸부(도 3을 참조; 19A, 19B, 19C 및 19D) 각각은 스위치 소자(22, 23, 24 및 25)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다방향 조작 스위치가 푸시버튼(19)과 스위치 소자(22, 23, 24 및 25)로 구성되고, 이것이 제 1 조작수단(26)으로서 기능한다(도 2 참조).
또한, 스위치 소자(22, 23, 24 및 25)는 프린트 배선 기판(21) 위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고정 접점과, 원형 돔 형상으로 형성된 자기 복귀형의 가동 접점으로 구성된다(도시하지 않음). 위쪽에서부터 가압되면, 가동 접점이 반전되어 상기 2개의 고정 접점 사이를 도통시킨다. 가압력을 제거하면, 가동 접점이 자신의 복원력으로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가, 상기 고정 접점 사이가 이간됨으로써 도통이 해제되는 작용을 갖는다.
한편, 링형상 조작부(18)는 프린트 배선 기판(21)에 장착된 설치대(27)에 회전 가능하게 계합되고, 외주에 돌출 형성된 림(18A)은 설치대(27)와 상부의 제 1 케이스(12) 사이에 소정의 극간(隙間)을 갖도록 삽통(揷通)되어, 빠짐 방지가 이루어진다.
더욱이, 링형상 조작부(18)의 하면에는 N극과 S극이 소정 각도 간격으로 서로 착자(着磁)된 링 자석(28)이 링형상 조작부(18)의 회전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고착된다.
또한, 도 2에만 나타내었지만, 링형상 조작부(18) 하면과 링 자석(28) 사이에는 자성판(磁性板; 29)이 배치되어, 링 자석(28) 위쪽으로의 자계 누설을 방지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 자석(28)의 회전에 따른 자계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자기 센서(30)는 링 자석(28)과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프린트 배선 기판(21) 위에 각도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2개 장착된다.
그리고, 2개의 자기 센서(30)로부터의 펄스 출력을 비교 연산함으로써, 링 자석(28)의 회전 방향이나 회전량을 판별할 수 있도록 된다.
즉, 링 자석(28)과 자기 센서(30)로 이루어진 자기식 증분형 엔코더(즉, 회전 검출수단)가 구성되어, 링형상 조작부(18)의 회전 조작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 증분형 엔코더를 포함하는 링형상 조작부(18)가 제 2 조작수단(31)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도 2 참조).
상기 제 1 조작수단(26)과 제 2 조작 수단(31), 및 수화부(14), 표시수단(15), 텐키부(16), 송화부(17), 안테나(20) 등의 그 외의 기능 부분은 프린트 배선 기판(21)에 배치된 제어부(32)에 각각 접속된다. 도 4의 블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2)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지고, 접속된 모든 기능 부분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32)는 제 1 조작수단(26) 또는 제 2 조작수단(31)으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면, 그 입력 신호에 따라 표시수단(15)의 표시 내용을 전환하는 등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표시수단(15)으로서는 상기에 설명한 휴대기기 내에 배치된 것 이외이어도 무방하고, 예를 들어 외부 디스플레이나 텔레비전 등이어도 무방하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 1의 휴대전화의 동작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제 1 조작수단(26)으로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가압 조작한다. 예를 들면, 프레임(11)에서의 상하좌우 방향 중, 하방향에 대응하는 푸시버튼(19)의 단부에 대해, 도 5의 단면도 중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푸시 조작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푸시버튼(19)만이, 그 가압된 부분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도록 경도된다. 그것에 따라 상기 위치 하면의 가압凸부(19D)가 아래쪽으로 내려가 스위치소자(25)를 가압하여 동작시켜, 이 스위치 소자(25)의 상태가 전환되었다고 하는 신호가 제어부(32)로 입력된다.
그리고, 제어부(32)는 상기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예를 들어 표시수단(15)의 표시 내용이나 커서 위치를 아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스크롤시킨다.
그리고, 푸시버튼(19)으로의 가압력을 제거하면, 스위치 소자(25)는 자신의 복원력으로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여 푸시버튼(19)을 밀어올려, 도 2에 나타낸 통상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한, 푸시버튼(19)의 다른 단부 위치를 가압 조작하여 다른 스위치 소자(22, 23 또는 24)를 동작시킨 경우도, 표시수단(15) 등은 제어부(32)에서 제어되어, 소정 상태로 이행하는 것, 또한 그 가압력을 제거하면 푸시버튼(19)은 도 2에 나타낸 통상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은 상기의 경우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 1에 의한 휴대전화는 상기 제 1 조작수단(26)의 가압 조작과는 독립하여 조작할 수 있는 제 2 조작 수단(31)을 갖는 점, 특히 제 2 조작수단(31)의 조작 부분으로서, 원주 방향으로의 조작이 용이한 링형상 조작부(18)를 이용하는 것을 큰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링형상 조작부(1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조작수단(26)과는 독립하여 회전 조작할 수 있는 구성이며, 그 회전 조작에 따라 증분형 엔코더의 출력이 얻어지는 구성으로 된다. 이하에, 그 조작 내용이나 이에 따른 동작 등에 대해 전화번호 검색의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구체적인 조작예 1)
우선, 사용자는 제 1 조작수단(26)이나 텐키부(16) 등을 조작하여,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수단(15)에 전화번호부를 표시시킨다.
이 전화번호부는,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A, B, C … 마다 1페이지가 구성되며, 이들이 A를 선두로 하고, 그 후방에 B, C …의 순서로 중첩되어 배열된 것으로 된다.
그리고, 각 페이지는 한 사람의 이름과 대칭하는 전화번호가 열 방향으로 나열되어 연기(連記)되고, 이것이 Aa, Ab, Ac의 순으로 복수열로 배설된 구성으로 된다. 표시수단(15)에는 그 선두 부분만이 표시되어, 커서(33)로 선택하는 항목을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32)는 제 1 조작수단(26)을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가압 조작함으로써, 전화번호부의 소정 페이지내의 상하 방향으로의 일항목씩 스크롤을 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알파벳에 속하는 각 페이지마다의 계층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휴대전화를 제어한다. 제 1 조작수단을 이용하여 실행하는 페이지내 이동이나 알파벳간의 계층 이동 등을 제 1 화면 제어 처리라고 부른다.
한 사람의 이름과 대응하는 전화번호의 문자 크기는 종래의 휴대전화보다도 작은 문자 크기로 표시되어, 종래의 것보다도 많은 열이 표시수단(15)내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제 1 조작수단(26)으로의 소정 조작으로, 표시수단(15)의 표시 내용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스크롤하여, 희망하는 항목이 표시수단(15)내에 표시된 상태로 한다. 다음으로, 소망하는 사람의 전화번호를 확실히 선택하기 위해, 제 2 조작수단(31)의 조작 부분인 링형상 조작부(18)를 우회전시킨다. 즉, 링형상 조작부(18)의 한 점을, 한 손가락으로 가볍게 누르면서 시계 방향 회전의 원주 방향을 향하여 이동 조작한다. 이 조작에 따라 링형상 조작부(18) 자체가 우회전(즉, 시계 방향 회전)한다. 상기 회전에 따라 링 자석(28)이 함께 회전함으로써, 자계의 변화가 발생한다. 그 결과, 자계의 변화를 검출한 자기 센서(30)에서는 소정의 펄스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신호는 제어부(32)로 입력된다.
그리고, 제어부(32)는 상기 회전 조작에 의해 입력된 증분형 엔코더로부터의 입력 신호로부터, 링형상 조작부(18)의 회전 조작 방향과 회전 조작량을 검출한다. 검출 결과를 근거로 하여, 표시수단(15)의 표시 정보의 문자 등의 크기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서(33)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커서(33)를 포함하여 확대 표시시킨다.
실시예 1에서는 커서(33)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확대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현재 선택한 항목을 포함하여 확대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하기 쉽다. 단, 커서(33)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것 이외에, 표시수단(15)의 중심 위치 등, 다른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커서(33) 이외에도, 화살표 형상 등으로 표시수단(15)에 표시되는 포인터를 이용하여, 그 포인터를 기준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링형상 조작부(18)를 좌회전(즉, 반시계 방향 회전)시키면, 제어부(32)는 표시수단(15)에 표시된 문자 등의 표시 정보를 축소 표시시킨다.
또한, 상기의 확대 또는 축소 표시시에, 제 1 조작수단(26)이 조작되면, 그표시를 유지한 채로, 제어부(32)의 제어에 의해 가압 조작된 방향에 맞춰, 표시 화면의 스크롤 또는 페이지 이동 등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1에서 설명한 휴대전화는 제 1 조작수단(26)의 조작에 의해 표시수단(15)내의 선택 위치를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제 2 조작수단(31)의 조작에 의해 표시 내용을 확대 또는 축소 표시시킬 수 있는 것이다. 표시 내용의 확대는 표시 영역의 확대 또는 표시된 텍스트 등의 확대를 포함한다. 이것에 의해, 표시수단(15)의 표시 상태를 사용자의 취향에 맞춰, 링형상 조작부(18)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설정하거나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제 1 조작수단(26) 및 제 2 조작수단(31)은 각각 가압 조작 및 회전 조작과는 상이한 조작 방향으로의 조작으로 각 기능을 작동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조작 형태를 혼동하기 어려워, 오조작도 적은 것으로 된다.
또한, 제 2 조작수단(31)의 조작 부분을 링형상 조작부(18)로 하고, 또한 그 링의 내측에 제 1 조작수단(26)의 조작 부분으로 되는 푸시버튼(19)을 설치한 구조이기 때문에, 적은 손가락 이동으로 가압 조작으로부터 회전 조작, 또는 회전 조작으로부터 가압 조작으로의 이행을 용이하게 연속하여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2 조작수단(31)은 링형상 조작부(18)에 대한 회전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시수단(15)의 표시 내용을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상태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연속적인 회전 조작을 행하여, 자신이 희망하는 표시 내용의 크기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링형상 조작부(18)에 대해, 우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으로확대 표시를 행하고, 좌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으로 축소 표시를 행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회전 방향과 확대 또는 축소 관계를 역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전환 스위치 등으로, 그 회전 방향과 확대/축소의 관련 설정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더욱이, 링형상 조작부(18)에 대한 회전 조작 속도에 맞춰, 확대 또는 축소 속도를 동기시키면, 표시 내용의 크기가 조작 감각에 정합하여 변경되기 때문에, 조작 응답성이 보다 양호하게 되어, 사용하기 쉽게 된다.
또한, 이 제 2 조작수단(31)의 신호에 의한 표시수단(15)의 제어 내용은 상기에 설명한 표시 내용의 확대/축소 이외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서 설명한 전화번호부의 배열 상태의 것이면, 제 2 조작수단(31)의 원주 방향으로의 조작에 맞춰 페이지 이동을 행하여도 무방하다. 즉, 그 회전량에 대응하는 만큼의 페이지 이동이나 페이지 복귀를 행하는 등의 조작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조작수단(31)의 조작으로, 상기의 페이지 이동과 마찬가지로 하여 계층 이동을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계층 이동은 실시예 1의 예에서는 A로부터 B로의 이동을 말한다. 또한, 상기 계층으로서는 알파벳의 A, B, C 이외에 일본어의 'あ행', 'か행', 'さ행' 등이어도 무방하고, 또는 각 사용자가 독자적으로 계층을 설정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페이지 이동이나 계층 이동을 총칭하여 화면 전환이라고 부른다.
제 2 조작수단을 이용하여 실행하는 확대 표시, 축소 표시 또는 화면 전환 등의 처리를 총칭하여 제 2 화면 처리라고 부른다.
더욱이, 이상으로 설명한 제 2 조작수단(31)의 조작에 따라 이루어지는 확대/축소, 페이지 이동이나 계층 이동의 기능은 소정의 스위치 등의 조작으로 필요한 기능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에는 제 1 조작수단(26)을 가압 조작형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사례로서 설명하였지만, 스틱형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 터치 패널 스위치, 트랙볼 장치 등으로 하여도 무방하고, 표시수단(15)의 내용을 상하좌우 방향 등으로 스크롤하기 위한 조작을 할 수 있으면 된다.
제 1 조작수단(26)으로서 트랙볼 장치를 이용하면, 제 1 조작수단(26)의 조작시에 상하좌우의 4방향으로 고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커서(33) 또는 포인트를, 예를 들어 8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면, 다른 8방향에서의 화면 스크롤이 가능하게 된다. 동시에, 제 2 조작수단(31)으로 확대/축소 등의 조작을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하면, 보다 편리성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또한, 제 1 조작수단(26)은 될 수 있는 한 제 2 조작수단(31)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쪽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연속 조작할 때에 양호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링형상의 제 2 조작수단(31)의 내측에 제 1 조작수단(26)을 배치하면, 사용 면적 범위를 적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도 8의 상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조작수단(31)의 조작 부분인 링형상 조작부(18)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복수의 가압형 스위치(34)를 제 1 조작수단(35)으로서 배치할 수도 있다. 도 8은 가압형 스위치(34)를 4개 배설한 사례를 나타낸다. 이 구조에 의해, 각각의 가압형 스위치(34)의 조작 부분으로서, 큰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기 때문에, 제 1 조작수단(35)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 1 조작수단과 제 2 조작수단은 서로 근접하지 않는 위치에 분리하여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는 제 2 조작수단(31)의 조작부분을 원주 방향으로 회전 조작함으로써, 사용자가 표시수단(15)의 표시 상태를 자신의 취향에 맞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실시예 2)
실시예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 2에서 설명하는 휴대 전화는 실시예 1의 휴대전화와 제 1 조작수단 및 제 2 조작수단의 구성이 다르다. 그 외의 부분의 구성이나, 제어부(32)가 제 2 조작수단을 통해 표시수단(15)내의 표시 내용의 확대/축소 등이 제어를 행할 수 있는 것 등은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43)은 상측의 제 1 케이스(41)와 하측의 제 2 케이스(42)가 조합되어 구성된다. 제 2 조작수단에 상당하는 고무제 조작부(44)는 제 1 케이스(41)에 형성된 원형 구멍(41A)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설된다. 또한, 고무제 조작부(44)는 돔 형상의 상면을 갖고, 상면의 중앙에는 홈(44A)을 갖는다.
또한, 도 9 및 도 10의 분해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고무제조작부(44)는 외주에 박육(薄肉)의 스커트부(45), 및 스커트부(45)에 연결되는 주변부(46)를 갖는다. 상기 주변부(46)는 상측의 제 1 케이스(41)와, 프레임(43)내에 수용된 프린트 배선 기판(47)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고무제 조작부(44)의 소재로서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등이 적용되지만, 이들 이외에도 적당한 정도의 탄성을 갖는 재료이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성형성을 갖는 소재를 이용하면, 고무제 조작부(44), 그 외주의 박육의 스커트부(45)를 일체 성형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고무제 조작부(44)의 상면 중앙에 설치된 홈(44A)은 후술하는 접동 조작시의 기준(目安)으로서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이 고무제 조작부(44)의 하면에는 도전성 고무로 이루어진 링형상의 도전성 가압부(48)가 배치된다. 링형상 가압부(48)의 외주측의 동심적 위치에서, 또한 상기 프레임(43)의 상하좌우 방향의 위치에는 도전성 고무로 이루어진 가압凸부(49)가 서로 직교 관계가 되는 4개소에 배설된다.
또한, 가압凸부(49)가 설치된 위치를 명시함으로써 제 1 조작수단(52)의 조작의 확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고무제 조작부(44)의 상면 또는 프레임(43)의 제 1 케이스(41)의 상면에서, 또한 가압凸부(49)의 위쪽에 상당하는 위치 등에, 소정의 마크 표시나 凹凸 등으로 구성되는 명시수단(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한다.
이들 링형상 가압부(48) 및 가압凸부(49)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프린트 배선 기판(47)에 대해 소정 간격을 유지한 대향 상태로 되지만, 링형상 가압부(48) 쪽이가압凸부(49)보다도 프린트 배선 기판(47)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프린트 배선 기판(47) 위의, 링형상 가압부(48)와 소정 간격을 갖고 대향하는 위치에는 서로 독립된 제 2 독립 접점(50)이 복수개, 등각도 피치로 대략 링형상으로 배치된다.
또한, 프린트 배선 기판(47) 위의, 상기 가압凸부(49)와 소정 간격을 갖고 대향하는 위치에는 서로 독립된 4개의 제 1 독립 접점(51)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독립 접점(50) 및 제 1 독립 접점(51)은 각각이 빗살(櫛齒) 형상 접점으로 구성된다. 링 형상의 도전성 가압부(48) 및 가압凸부(49)가 빗살 형상 접점으로 가압되면, 도전성 고무가 대향하는 빗살 형상 전극을 단락시킴으로써, 각 접점이 도통 상태가 된다.
또한, 제 2 및 제 1 독립 접점(50 및 51)의 각각의 추출 부분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가압凸부(49)와 제 1 독립 접점(51)이 제 1 조작수단(52)으로서 기능하고, 링형상의 도전성 가압부(48)와 제 2 독립 접점(50)이 제 2 조작수단(53)으로서 기능하는 구성으로 된다.
즉, 본 실시예 2에 의한 것은 제 2 조작수단(53)의 조작 부분으로 되는 고무제 조작부(44)의 하면에 제 1 조작수단(52)으로서 기능하는 기능 부재가 배치된 구성이 되는 것이다.
또한, 제 1 독립 접점(51)과 가압凸부(49), 및 제 2 독립접점(50)과 링 형상 가압부(48)는 각각이 서로 대향하는 접점으로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대향접점을 갖는 멤브레인형 스위치 구성으로 함으로써,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 2에 의한 휴대전화의 동작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구체적인 조작예 2)
본 실시예 2에 의한 제 2 조작수단(53)으로서의 고무제 조작부(44)는 실시예 1의 제 2 조작수단과는 달리, 독립적으로 회전 이동 조작을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제 2 조작수단(53)의 조작시에는 고무제 조작부(44)로부터의 접동 조작에 의해 조작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고무제 조작부(44)의 하측에 제 1 조작수단(52)으로서 배설된 기능 부재(가압凸부(49)와 제 1 독립 접점(51))을 동작시킬 때에는 고무제 조작부(44) 위에서부터 가압하는 조작에 의한 것이다.
표시수단(15)에 표시된 표시 내용을 상하좌우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도 11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희망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설된 제 1 조작수단(52)을 동작시키기 위해, 그 위치에 따른 고무제 조작부(44)의 단말 위치를 강한 가압력으로 가압 조작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마크로 이루어진 명시수단을 설치해 두면, 가압 개소의 확인이 용이하게 되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가압된 고무제 조작부(44)는 스커트부(45)가 휘어져 상기 방향으로 경도되어, 대응하는 하면 위치의 링형상 가압부(48)의 일부, 및 대응하는 가압凸부(49)의하나가 프린트 배선 기판(47) 위에 연속적으로 당접한다.
이 때, 링형상의 도전성 가압부(48)의 일부가 미리 프린트 배선 기판(47)위의 제 2 독립 접점(50)과 당접하고, 그 후에 가압凸부(49)의 하나가 프린트 배선 기판(47)위의 대응하는 제 1 독립 접점(51)의 하나에 당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전 고무로 이루어진 링형상 가압부(48)는 탄성을 갖고 있어, 프린트 배선 기판(47)위에 당접한 후에도 탄성 변형해 가는 것이다. 따라서, 링형상 가압부(48)가 미리 프린트 배선 기판(47)에 당접한 후에도, 그 후의 가압 조작에 대해 주어지는 영향은 적다. 즉, 링형상 가압부(48)가 가압력에 저항하는 것에 기인하여, 제 2 조작 수단의 조작하기 어렵게 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당접 상태로 된 제 2 독립 접점(50) 및 제 1 독립 접점(51)은 각각의 빗살 사이가 도전 부재로 단락되기 때문에, 도통 상태가 된다. 이들의 도통 신호는 실시예 1에 의한 것과 마찬가지로, 제어부(32)로 입력된다(도 4 참조).
이 때, 제어부(32)는 제 2 독립 접점(50)의 도통 신호가 입력된 후,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내에서, 상기 제 1 독립 접점(51)의 하나로부터의 도통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이 제 1 독립 접점(51)의 하나로부터의 도통 신호가 소정 시간 연속하여 계속 입력된 경우에는, 이 제 1 독립 접점(51)의 도통 신호만을 선택하여 경도 조작 방향에 정합한 방향으로, 표시 수단(15)내의 표시 내용을 스크롤하는 제어를 한다.
즉, 제어부(32)에 의해 제어된 표시수단(15)은 제 1 조작수단(52)이 기능한 상태로 이행된다.
그리고, 가압력을 제거하면, 고무제 조작부(44)는 스커트부(45)가 원래 형상으로 복원하는 힘으로, 도 9에 나타낸 통상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고무제 조작부(44)를 상기의 가압 조작시의 조작력보다도 약한 힘으로 가압하면서, 상면 중앙의 홈(44A)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상면을 접동 조작하면, 고무제 조작부(44)는 스커트부(45)가 조금 휘어진 상태로 되어 조금 경도되고, 링형상 가압부(48)의 일부만이 프린트 배선 기판(47)상의 제 2 독립 접점(50)에 당접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를 도 12의 단면도에 나타낸다.
이 때, 고무제 조작부(44)에 대한 조작 상태는 원주 방향을 향하여 접동 조작을 행하기 때문에, 도통 상태로 되는 제 2 독립 접점(50)은 접동 조작 방향에 맞춰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들 신호는 제어부(32)로 입력되어 판별되고, 이 제 2 독립 접점(50)의 도통 상태의 이동 방향이나 이동 속도의 판별 결과에 따라, 제어부(32)는 실시예 1에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수단(15)내의 표시 내용의 확대/축소 등의 제어를 행한다.
즉, 이 때에 제 2 조작수단(53)이 기능한 상태로 제어된다.
또한, 상기 접동 조작의 경우에, 접동 조작력의 강도 정도에 따라서는 제 1 독립 접점(51)이 도통 상태로 될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에서도 제어부(32)가 제 1 독립 접점(51)의 도통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된 때에 한하여, 제 1 독립 접점(51)으로부터의 신호를 선택하는 판정을 행하도록 하면, 상기 소정 시간의 길이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접동 조작시에 제 2 독립 접점(50)으로부터의 도통상태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 2 독립 접점(50)의 도통 상태가 소정 시간내에서 소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전환된 것이 판별된 경우에는 제 1 독립 접점(51)으로부터의 신호를 무시하도록 제어부(32)에서 판정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접동 조작을 그만두면, 고무제 조작부(44)는 가압 조작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9에 나타낸 통상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2에 나타낸 휴대전화도 제 1 조작 수단(52) 및 제 2 조작수단(53)을 작동시키는 조작을 각각 행함으로써, 사용자는 표시수단(15)의 표시 내용 등을 취향에 맞춰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 2에 나타낸 휴대전화는 제 2 조작수단(53)의 조작 부분으로 되는 하나의 고무제 조작부(44)의 하면에, 제 1 조작수단(52)으로서 기능하는 기능 부재를 포함하여 배치한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간결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고무제 조작부(44)에 대해, 접동 조작과 가압 조작을 행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고무제 조작부(44)로부터 손가락을 떼지 않고, 상기 양자의 조작을 연속해서 행하는 것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표시수단(15)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을 양호한 조작성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상태로 이행시킬 수 있다.
또한, 고무제 조작부(44)의 상부의 형상으로서, 홈(44A)의 주위에 복수개의 원호 형상부를 대략 링 형상으로 나열하여 배설하고, 각각의 원호 형상부의 하면에 제 1 조작수단으로 되는 기능 부재를 배치하여도 상기과 동일한 가압 및 접동 조작이 가능한 것으로 된다.
또한, 고무제 조작부(44)는 원주 방향으로 설정된 접동 조작 방향을 판별하기 쉽게 하기 위해, 대략 링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외의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더욱이, 상기 구성 이외의 것, 예를 들어 제 2 조작수단의 조작 부분의 아래쪽에 터치패드 등을 배설한 것이어도 동일한 조작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이상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설명으로부터도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 2 조작수단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의 조작이라는 간단한 조작으로 표시수단의 표시 내용을 눈으로 확인하기 쉽게 하는 등의 제어를 행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취항에 맞는 상태로 용이하고 자유롭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구성은 상기의 취지를 만족하는 것이면, 실시예 1 및 2에 설명한 이외의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조작수단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조작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표시수단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을 사용자가 희망하는 상태로 이행시킬 수 있고 사용하기에 편리한 휴대용 전자기기를 실현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표시 내용의 확대 또는 축소 이외에도, 상기 원주 방향으로의 조작에 따라, 표시 수단에 표시된 항목의 계층이나 페이지가 이동되는 것으로서도,조작성이 향상한 것으로 된다. 적은 손가락의 이동으로 연속하여 제 1 및 제 2 조작 수단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되기 때문에, 이들 연속 조작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얻어지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출력 신호로서 위상차를 갖는 2개의 펄스 신호가 얻어지는 증분형 엔코더를 링형상 조작부에 기구적으로 조합시켜 구성한 것으로 하면, 한 손가락을 링형상 조작부의 소정 개소에 위치시켜, 링형상 조작부를 양호한 조작성으로 회전 조작할 수 있으며, 또한 이것에 따른 출력 신호에 의해, 링형상 조작부가 조작된 회전 방향과 회전량을 검출할 수 있게 되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접동 조작시에서의 가벼운 가압력으로, 소정의 대향 접점 사이를 도통시키는, 대향 접점을 구비한 멤브레인형 스위치 등으로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작용을 갖는다.

Claims (15)

  1. 휴대용 전자기기로서,
    표시수단에 표시되는 정보에 대해 제 1 화면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제 1 조작수단;
    상기 정보에 대해 제 2 화면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제 2 조작수단; 및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조작수단, 상기 제 2 조작수단 및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조작수단에 의한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를 표시한 상기 화면을 임의의 방향으로 스크롤하여 표시 위치를 선택하는 상기 제 1 화면 처리를 실행하며, 상기 제 2 조작수단에 의한 원주 방향으로의 입력에 근거하여, 선택된 상기 표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화면의 확대 표시, 축소 표시 및 화면 전환중 적어도 하나의 제 2 화면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작수단은 링형상의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조작수단을 상기 링형상의 조작부의 내주 또는 외주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작수단은 회전 가능한 링형상의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작수단의 회전 방향과 회전량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검출수단은
    상기 링형상의 조작부의 이면에 배치되고,
    상기 이면에 고정되며, 또한 N극과 S극이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서로 착자되는 링 자석과, 상기 링 자석과 소정의 간극을 갖고 대향하는, 한 쌍의 자기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 센서 위의 상기 링 자석의 이동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검출수단은 상기 제 2 조작수단의 회전 방향과 회전량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표시된 화면의 확대 표시, 축소 표시 및 화면 전환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원형의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형의 조작부는 이면측에 상기 제 1 조작수단과 상기 제 2 조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작수단은 상기 조작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접동 조작을 검출하여, 상기 접동 조작에 의한 상기 조작부의 회전 방향과 회전량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작수단은 푸시버튼과, 상기 푸시버튼에 대향하는 자기 복귀형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푸시버튼은 상기 자기 복귀형 접점을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표시수단의 상기 화면을 적어도 상하좌우 방향으로 스크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작수단은
    링형상의 도전성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와 소정의 간극을 통해 동심원 형상으로 대향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접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접점부에 대한 상기 가압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접동 조작의 회전 방향과 회전량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검출된 상기 접동 조작의 회전 방향과 회전량에 근거하여, 표시된 화면의 확대 표시, 축소 표시 및 화면 전환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작수단의 외주측에 상기 제 1 조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조작수단은 도전성 가압凸부와, 상기 가압凸부에 대향하는 제 1 접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작수단은 상기 조작부에 대한 원주방향의 조작을 검출하고, 상기 제 1 조작수단은 상기 제 2 조작수단과는 동일면 내의 다른 방향의 조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 상기 제 1 조작수단의 위치를 명시하는 명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조작수단은 가압 조작형 또는 경도 조작형의 다방향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조작수단은 트랙볼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을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0030054308A 2002-08-06 2003-08-06 휴대용 전자기기 KR200400142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28870A JP2004070654A (ja) 2002-08-06 2002-08-06 携帯用電子機器
JPJP-P-2002-00228870 2002-08-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296A true KR20040014296A (ko) 2004-02-14

Family

ID=31986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308A KR20040014296A (ko) 2002-08-06 2003-08-06 휴대용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072596A1 (ko)
EP (1) EP1406158A3 (ko)
JP (1) JP2004070654A (ko)
KR (1) KR20040014296A (ko)
CN (1) CN100393154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218B1 (ko) * 2005-05-04 2007-10-09 김지호 문자/숫자/기호의 입력과 출력을 요하는 전자기기의입력장치
KR20160118565A (ko) * 2015-04-02 2016-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보조 입력 장치 및 그의 기능 실행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9664A (en) * 2003-12-29 2005-07-06 Nokia Corp A key arrangement
JP2006092025A (ja) * 2004-09-21 2006-04-06 Fujitsu Ltd 電子機器並びに表示画面の制御処理方法および表示画面の制御処理プログラム
CN100397314C (zh) * 2004-11-03 2008-06-25 玴荣科技股份有限公司 计算机窗口页面卷动控制装置及其方法
ATE532320T1 (de) * 2004-12-22 2011-11-15 Nokia Corp Benutzerschnittstelle im auto für mobiltelefone
KR100670009B1 (ko) 2005-08-26 2007-01-16 주식회사 맥퀸트전자 문자 입력 장치
KR100792295B1 (ko) 2005-12-29 2008-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네비게이션 방법 및 그 컨텐츠 네비게이션 장치
TWI315840B (en) * 2006-04-07 2009-10-11 High Tech Comp Corp Intuitive image navigator and electrical equipment with the same
CN101059730A (zh) * 2006-04-21 2007-10-24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直觉式图像浏览控制器以及具有该装置的电子设备
CN101078967A (zh) * 2006-05-22 2007-11-28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全方位图像浏览控制器
JP4767793B2 (ja) * 2006-08-25 2011-09-0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1020464B1 (ko) 2006-08-25 2011-03-08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기기
JP4767792B2 (ja) * 2006-08-25 2011-09-0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JP4898813B2 (ja) * 2006-08-25 2012-03-2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EP1965292B1 (en) 2007-02-27 2017-11-08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2 dimentional input device
WO2009034135A1 (en) * 2007-09-14 2009-03-19 Bang & Olufsen A/S A portable telephone and a method of operating it
JP4691536B2 (ja) * 2007-09-27 2011-06-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表示装置の表示方法
US20090164937A1 (en) * 2007-12-20 2009-06-25 Alden Alviar Scrol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ipulating Data on an Electronic Device Display
JP5169289B2 (ja) * 2008-02-19 2013-03-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モコン送信機
US9195317B2 (en) * 2009-02-05 2015-11-24 Opentv,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user interface for text and item selection
US8823749B2 (en) * 2009-06-10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terface methods providing continuous zoom functionality
JP5434542B2 (ja) * 2009-12-07 2014-03-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入力装置
GB2503652A (en) * 2012-06-25 2014-01-08 Monovie Ibiso Astia Input device for portable device having transducers at different radial positions
US11513675B2 (en) 2012-12-29 2022-11-2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1068128B2 (en) 2013-09-03 2021-07-2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US10545657B2 (en) 2013-09-03 2020-01-2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EP3039513B1 (en) 2013-09-03 2020-08-19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U2014315324B2 (en) * 2013-09-03 2017-10-12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JP6349519B2 (ja) * 2013-11-11 2018-07-04 多摩川精機株式会社 多情報入力デバイスおよび入力デバイス付き装置
EP3584671B1 (en) 2014-06-27 2022-04-27 Apple Inc. Manipulation of calendar application in device with touch screen
CN112130720A (zh) 2014-09-02 2020-12-25 苹果公司 多维对象重排
WO2016036509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Electronic mail user interface
WO2016036510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Music user interface
TW201610758A (zh) 2014-09-02 2016-03-16 蘋果公司 按鈕功能性
US20160062571A1 (en) 2014-09-02 2016-03-03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US10365807B2 (en) 2015-03-02 2019-07-30 Apple Inc. Control of system zoom magnification using a rotatable input mechanism
DK201670595A1 (en) 2016-06-11 2018-01-22 Apple Inc Configuring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0712824B2 (en) 2018-09-11 2020-07-14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1435830B2 (en) 2018-09-11 2022-09-06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1463259B2 (en) * 2020-06-02 2022-10-04 Harpreet Sachdev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rust and wearable device for use therewith
US11893212B2 (en) 2021-06-06 2024-02-0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pplication widget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4546A (en) * 1980-10-09 1983-07-19 Alps Electric Co., Ltd. Composite switch assembly
US4991022A (en) * 1989-04-20 1991-02-05 Rca Licensing Corporatio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centering a video zoom and pan display
US5742779A (en) * 1991-11-14 1998-04-21 Tolfa Corpor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using sized icons, text, and audio
JP3454482B2 (ja) * 1993-10-26 2003-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携帯用情報装置
US5565888A (en) * 1995-02-17 1996-10-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visibility and selectability of icons
US6486895B1 (en) * 1995-09-08 2002-11-26 Xerox Corporation Display system for displaying lists of linked documents
JP3951193B2 (ja) * 1996-02-26 2007-08-01 ソニー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
JPH11161402A (ja) * 1997-11-26 1999-06-18 Sony Corp 携帯情報端末およびその情報スクロール方法
US6288718B1 (en) * 1998-11-13 2001-09-11 Openwave Systems Inc. Scrol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zoom display
DE69921956T2 (de) * 1999-02-11 2006-02-09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Edgerät für die drahtlose Telekommunikation und Verfahren zur Anzeige von Symbolen auf einer Anzeigevorrichtung eines solchen Endgeräts
US6684087B1 (en) * 1999-05-07 2004-01-27 Openwav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on mobile devices
US6964009B2 (en) * 1999-10-21 2005-11-08 Automated Media Processing Solutions, Inc. Automated media delivery system
GB2357335B (en) * 1999-12-17 2004-04-07 Nokia Mobile Phones Ltd Fingerprint recognition and pointing device
FI20000735A (fi) * 2000-03-30 2001-10-01 Nokia Corp Monimodaalinen menetelmä liikutettavassa laitteessa esitettävän graafisen informaation selaamiseksi
EP1150242A3 (de) * 2000-04-27 2003-08-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Drehgeber für Bedieneingaben
US7210099B2 (en) * 2000-06-12 2007-04-24 Softview Llc Resolution independent vector display of internet content
WO2002046969A2 (en) * 2000-12-05 2002-06-13 Clickfox, Llc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evaluation tool for customizing web sites
WO2002046903A1 (de) * 2000-12-07 2002-06-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uswählen und aktivieren einer funktion aus einem bedienungsmenü und bedienungsorgan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DE10063347A1 (de) * 2000-12-19 2002-06-20 Siemens Ag Vorrichtung zur komfortablen Steuerung und Manipulation von virtuellen Objekten für ein Endgerät zur Ein-/Ausgabe, Übertragung und/oder Speicherung von Text-, Ton- und/oder Bildinformation
FI116326B (fi) * 2000-12-27 2005-10-31 Nokia Corp Kompakti matalaprofiilinen magneettinen syöttölaite
JP2005501310A (ja) * 2001-05-02 2005-01-13 ビットストリーム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スケーリング方法及び/又は特定方向で情報媒体を表示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8028249B2 (en) * 2001-05-23 2011-09-27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browsing large digital multimedia object collections
US7312785B2 (en) * 2001-10-22 2007-12-25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ed scrolling
US7284069B2 (en) * 2002-01-11 2007-10-16 Xerox Corporation Method for document viewing
JP3890241B2 (ja) * 2002-03-13 2007-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218B1 (ko) * 2005-05-04 2007-10-09 김지호 문자/숫자/기호의 입력과 출력을 요하는 전자기기의입력장치
KR20160118565A (ko) * 2015-04-02 2016-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보조 입력 장치 및 그의 기능 실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93154C (zh) 2008-06-04
JP2004070654A (ja) 2004-03-04
US20040072596A1 (en) 2004-04-15
EP1406158A2 (en) 2004-04-07
EP1406158A3 (en) 2009-06-24
CN1481191A (zh) 200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14296A (ko) 휴대용 전자기기
US6518958B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plural entry switches
US6813509B2 (en) Switch
US5982355A (en) Multiple purpose controls for electrical systems
EP1183590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7737374B2 (en) Inpu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ame
KR20000047612A (ko)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JPH11126126A (ja) 携帯電話機用スクロールスイッチ装置
JPH11195353A (ja) 通信端末装置
KR20090091772A (ko) 전자 디바이스의 스크린을 네비게이션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20101402A1 (en) Two-axis ball-based cursor control apparatus with tactile feedback
KR20090016467A (ko) 다방향 입력 장치
CN101174185B (zh) 一种移动终端的方向键的使用方法以及相应的滚轮式按键
KR20050029688A (ko) 입력 키 및 입력장치
US7623652B2 (en) Electronic device, input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4984667B2 (ja) 電子機器の操作スイッチ及び操作制御方法
JP4049703B2 (ja) 入力装置
US8698019B2 (en) Button for electric product
KR10039780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4729991B2 (ja) 電子機器
JP2001166871A (ja) 入力装置
KR1010335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2003036132A (ja) 座標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236188Y1 (ko) 이동 단말기의 볼타입 입력조작장치
EP1965292A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2 dimentional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