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9688A - 입력 키 및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입력 키 및 입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29688A KR20050029688A KR1020040074384A KR20040074384A KR20050029688A KR 20050029688 A KR20050029688 A KR 20050029688A KR 1020040074384 A KR1020040074384 A KR 1020040074384A KR 20040074384 A KR20040074384 A KR 20040074384A KR 20050029688 A KR20050029688 A KR 200500296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key
- contact
- information
- key top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 H03K17/97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using a capacitive movable el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4—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witches oper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8—Sliders, in which the moving part moves in a plan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H01H2025/004—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the operating member being depressable perpendicular to the other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입력 키(10a)의 키톱(50)을 가압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가압방향에 덧붙여 상하좌우(전후좌우)로 복합적으로 이동시키면, 그 5방향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제 1 접점으로서의 상부전극(20)이 제 2 접점으로서의 하부전극(30)이 다른 위치에 배치된 도전편의 2개 이상에서 접촉한다. 그리고, 접촉한 2개 이상의 도전편의 도통신호에 근거하여 텍스트 선택수단이 입력 키(10a)에 할당된 5개의 문자의 1개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1개의 문자가 입력된다. 즉, 키톱을 5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뿐인 간단한 입력 조작에 의해, 5개의 문자가 선택적으로 입력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입력되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키 및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입력되는 정보가 복수 할당되는 입력 키 및 이 입력 키를 구비한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소형의 휴대전자기기(휴대단말)에 있어서는 문자, 기호, 숫자 등의 텍스트 정보를 소수의 입력 키에 의해 입력할 수 있도록, 동일한 입력 키에 복수의 텍스트 정보가 할당되어 있다. 여기서, 일본어의 문자형식의 하나인 히라가나가 입력 키에 할당된 예를 설명한다.
일본어의 히라가나는 복수의 서브그룹으로 나눌 수 있고, 각 서브그룹은 5개의 문자로 구성된다. 이들의 서브그룹에 관해서는 기본의 5개의 모음에 각각 대응하는 5개의 문자(あ, い, う, え, お)로 이루어지는 「あ행」 그룹, 특정한 자음 「K」와 결합한 상기 5개의 모음 각각에 대응하는 5개의 문자(か, き, く, け, こ)로 이루어지는 「か행」 그룹, 특정한 자음 「S」와 결합한 상기 5개의 모음 각각에 대응하는 5개의 문자(さ, し, す, せ, そ)로 이루어지는 「さ행」 그룹, 특정한 자음 「T」와 결합한 상기 5개의 모음 각각에 대응하는 5개의 문자(た, ち, つ, て, と)로 이루어지는 「た행」 그룹, … 등이 있다.
예를 들면, 「あ행」의 「あ」 내지 「お」의 5문자가 소정의 입력 키에 할당되고, 마찬가지로 「か행」, 「さ행」, 「た행」, 「な행」 ····등의 복수의 문자가 다른 입력 키에 각각 할당되어 있다. 그리고, 「あ행」의 입력 키의 가압 조작의 회수에 따라 「あ」, 「い」, 「う」, 「え」, 「お」의 순서로 입력문자가 선택되고, 마찬가지로, 「か행」의 입력 키의 가압 조작의 회수에 따라서 「か」, 「き」, 「く」, 「け」, 「こ」의 순서로 입력문자가 선택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입력 키의 가압 조작의 회수에 따라서 입력문자를 선택하는 방식에서는 예를 들면 「お단」의 「お」, 「こ」, 「そ」, 「と」, 「の」····등의 문자를 입력할 때에 입력 키를 연속하여 5회 가압 조작해야만 하고, 그 입력 조작에 수고나 시간이 걸려, 입력 조작이 대단히 번잡하다.
그래서, 종래, 복수의 텍스트 정보가 할당되는 입력 키의 조작을 간소화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입력 키의 키톱을 4코너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키톱의 4코너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에 따라서 온하는 스위치의 신호에 의해 4개의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선택적으로 입력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11-237945호 공보 참조). 이 기술에 의하면, 예를 들면 4개의 문자가 할당된 입력 키의 키톱의 4코너의 1개소를 가압 조작하는 것만으로 1개의 문자가 선택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교하여 입력 키의 조작이 간소화된다.
그렇지만, 일본의 일본 특개평 11-237945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은 퍼스널 컴퓨터용 키보드의 입력 키에 적용되는 기술로, 이 입력 키보다 각별하게 작은 휴대전자기기의 입력 키에 그대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구조적인 무리가 있다. 또한, 1개의 입력 키에 할당할 수 있는 문자수를 5문자 이상으로 하는 것은 실질상 곤란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あ행」의 「あ」 내지 「お」의 5문자를 1개의 입력 키에 할당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5개 이상의 정보를 간단한 입력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입력 가능한 입력 키 및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입력 키는 입력되는 정보가 복수 할당되는 입력 키로, 가압되는 키톱과 상기 키톱이 가압된 것을 검출하는 동시에, 상기 키톱의 가압을 검출한 경우, 소정의 기준위치로부터의 상기 키톱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입력되는 정보」에는 문자, 숫자 및 기호 등의 정보나, 개행 코드, 컨트롤 코드의 정보 등, 일반적으로 소위 풀키보드의 각 입력 키에 할당되어 있는 정보가 포함된다.
이 입력 키에 있어서는 검출수단에 의해, 키톱이 가압된 것을 검출할 수 있는 동시에, 가압이 검출된 경우, 소정의 기준위치로부터의 상기 키톱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는 것으로, 상기 위치 어긋남에 대응한 상기 입력되는 정보가 얻어진다. 즉, 키톱을 가압한다고 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키톱의 가압의 검출, 및 소정의 기준위치로부터의 키톱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의 검출이 실현되어, 5개 이상의 정보라도 간단한 입력 조작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검출수단은 키톱과 함께 가압되는 제 1 접점과 가압된 제 1 접점이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도전편을 복수 갖는 제 2 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키톱은 그 가압방향에 덧붙여 가압방향과 교차하는 방사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키톱의 가압 조작에 따른 복수의 이동방향에 따라, 제 1 접점이 제 2 접점의 다른 위치에 배치된 도전편의 2개 이상에서 접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입력 키에서는 키톱을 가압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가압방향에 덧붙여 방사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이동시키면, 그 복수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제 1 접점이 제 2 접점의 다른 위치에 배치된 도전편의 2개 이상에서 접촉하기 때문에, 접촉한 2개 이상의 도전편의 도통신호에 근거하여 복수의 텍스트 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키톱의 이동방향은 5방향 이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5개 이상의 텍스트 정보도 선택적으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검출수단은 키톱과 함께 가압되는 제 1 접점과 가압된 제 1 접점의 접근에 의해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는 센서 코일을 복수 갖는 제 2 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키톱은 그 가압방향에 덧붙여 가압방향과 교차하는 방사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키톱의 가압 조작에 따른 복수의 이동방향에 따라, 제 1 접점이 제 2 접점의 다른 위치에 배치된 센서 코일에 접근함으로써, 센서 코일이 다른 크기의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입력 키에서는 키톱을 가압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가압방향에 덧붙여 방사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이동시키면, 그 복수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제 1 접점이 제 2 접점의 다른 위치에 배치된 센서 코일에 접근하여, 센서 코일이 다른 크기의 유도전압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 센서 코일이 발생시키는 유도전압의 크기에 근거하여 복수의 텍스트 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키톱의 이동방향은 5방향 이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5개 이상의 텍스트 정보도 선택적으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입력 키에서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키톱이 그 이동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유연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이 키톱에 상기 제 1 접점이 지지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입력 키에서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 접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지지부재의 일부위가 키톱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입력장치는 입력되는 정보를 입력 키의 가압 조작에 의해 입력하는 장치로, 동일한 입력 키에 복수의 상기 입력되는 정보가 할당되는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키가 가압되는 키톱과 키톱이 가압된 것을 검출하는 동시에, 상기 키톱의 가압을 검출한 경우, 소정의 기준위치로부터의 상기 키톱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입력장치에서는 입력 키의 검출수단에 의해, 키톱이 가압된 것을 검출할 수 있는 동시에, 가압이 검출된 경우, 소정의 기준위치로부터의 상기 키톱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는 것으로, 상기 위치 어긋남에 대응한 상기 입력되는 정보가 얻어진다. 즉, 키톱을 가압한다고 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키톱의 가압의 검출, 및 소정의 기준위치로부터의 키톱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의 검출을 실현할 수 있고, 5개 이상의 정보라도 간단한 입력 조작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검출수단은 상기 입력 키의 키톱과 함께 가압되는 제 1 접점과 가압된 제 1 접점이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도전편을 복수 갖는 제 2 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입력장치는 제 1 접점이 접촉하는 제 2 접점의 2개 이상의 도전편의 도통신호에 근거하여, 입력 키에 할당된 복수의 상기 입력되는 정보의 1개를 선택하는 정보 선택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키톱은 그 가압방향에 덧붙여 가압방향과 교차하는 방사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키톱의 가압 조작에 따른 복수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접점이 상기 제 2 접점의 다른 위치에 배치된 도전편의 2개 이상에서 접촉함으로써, 상기 정보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1개의 정보가 입력되도록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입력장치에서는, 입력 키의 키톱을 가압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가압방향에 덧붙여 방사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이동시키면, 그 복수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제 1 접점이 제 2 접점의 다른 위치에 배치된 도전편의 2개 이상에서 접촉한다. 그리고, 접촉한 2개 이상의 도전편의 도통신호에 근거하여 정보 선택수단이 입력 키에 할당된 복수의 텍스트 정보의 1개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1개의 텍스트 정보가 입력된다. 여기서, 키톱의 이동방향은 5방향 이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5개 이상의 텍스트 정보도 선택적으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검출수단은 입력 키의 키톱과 함께 가압되는 제 1 접점과 가압된 제 1 접점의 접근에 의해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는 센서 코일을 복수 갖는 제 2 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 1 접점의 접근에 의해 제 2 접점의 센서 코일이 발생시키는 유도전압의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 키에 할당된 복수의 입력되는 정보의 1개를 선택하는 정보 선택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키톱은 그 가압방향에 덧붙여 가압방향과 교차하는 방사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키톱의 가압 조작에 따른 복수의 이동방향에 따라 제 1 접점이 제 2 접점의 다른 위치에 배치된 센서 코일에 접근함으로써, 정보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1개의 정보가 입력되도록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입력장치에서는 입력 키의 키톱을 가압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가압방향에 덧붙여 방사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이동시키면, 그 복수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제 1 접점이 제 2 접점의 다른 위치에 배치된 센서 코일에 접근하여, 센서 코일이 다른 크기의 유도전압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센서 코일이 발생시키는 유도전압의 크기에 근거하여 정보 선택수단이 입력 키에 할당된 복수의 텍스트 정보의 1개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1개의 텍스트 정보가 입력된다. 여기서, 키톱의 이동방향은 5방향 이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5개 이상의 텍스트 정보도 선택적으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입력장치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보 선택수단에 의해 참조되어, 입력 키에 할당된 복수의 상기 입력되는 정보가 상기 키톱의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격납된 변환 테이블과 이 변환 테이블의 내용을 임의로 개서 가능한 변환 테이블 개서수단을 더욱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입력장치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보 선택수단에 의해 참조되어, 상기 입력 키에 할당된 복수의 상기 입력되는 정보가 상기 키톱의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격납된 변환 테이블과, 상기 입력 키에 의해 입력되는 각 정보의 입력 회수를 각각 집계하는 입력 회수 집계수단과, 이 입력 회수 집계수단의 집계결과에 따라서 상기 변환 테이블의 내용을 개서하는 변환 테이블 개서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변환 테이블 개서수단은 조작하기 쉬운 특정한 입력 키의 특정한 이동방향에 할당되어 있는 정보보다 입력 회수가 많은 정보를, 상기 특정한 입력 키의 특정한 이동방향에 할당하여 개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입력장치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보 선택수단에 의해 참조되어, 상기 입력 키에 할당된 복수의 상기 입력되는 정보가 상기 키톱의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격납된 변환 테이블과, 상기 입력 키에 의해 입력되는 각 정보의 입력 회수를 각각 집계하는 입력 회수 집계수단과, 이 입력 회수 집계수단의 집계결과에 따라서 상기 변환 테이블에 상기 정보를 등록하는 변환 테이블 등록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변환 테이블 등록수단은 상기 변환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기등록의 정보보다 입력 회수가 많은 미등록의 정보를, 상기 기등록의 정보로 바꾸어 재등록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입력장치는 입력 키에 대한 가압 조작 중에, 상기 시점에서의 상기 입력 키에 대한 복수의 입력되는 정보의 할당 정보를 외부의 표시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입력되는 정보 중 상기 시점에서의 가압 조작에 대응한 입력후보가 되는 정보를 표시장치에 강조 표시시키는 제어수단을 더욱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이하의 3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1) 사용빈도 등에 따라서 입력 키에 대한 복수의 입력되는 정보의 할당이 변경된 경우에, 사용자는 입력 키의 가압 조작 중에, 최신의 할당 정보를 외부의 표시장치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2) 예를 들면, 일본어의 히라가나의 입력 모드로부터 알파벳의 입력 모드로 바뀐 경우 등에, 키톱상의 표시만으로는 나타내는 것이 곤란한, 전환 후의 입력 모드에 관한 입력되는 정보의 할당 정보를 사용자에게 피드백할 수 있다. 또한, (3) 상기 시점에서의 가압 조작에 대응한 입력후보가 되는 정보(상기 시점에서 선택되어 있는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최신의 할당정보의 피드백 기능에 의해, 사용자 조작의 용이성 및 확실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입력 키 및 입력장치에 의하면, 입력 키의 키톱을 가압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가압방향에 덧붙여 방사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이동시킨다고 하는 간단한 입력 조작에 의해, 5개 이상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입력 키 및 입력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조하는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입력 키 및 입력장치가 내장된 휴대전화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키보드 입력장치의 확대 정면도이다.
[제 1 실시예]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입력 키 및 입력장치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휴대전화기(300)에 키보드 입력장치(200)로서 내장되어 있다. 이 키보드 입력장치(200)는 휴대전화기(300)의 표시화면인 액정디스플레이(280)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 키보드 입력장치(200)에는 다이얼버튼으로서 「1 내지 9, *, 0, #」을 입력하기 위한 예를 들면 12개의 입력 키(10a 내지 10l)가 가로 4행 세로 3열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입력 키(10a 내지 10l)에는 선택적으로 입력하는 텍스트 정보로서, 예를 들면 「あ」 내지 「ん」까지의 히라가나 문자가 할당되어 있다. 즉, 1행째 좌열의 입력 키(10a)에는 「あ행」의 「あ, い, う, え, お」의 5문자가 할당되고, 1행째 중열의 입력 키(10b)에는 「か행」의 「か, き, く, け, こ」의 5문자가 할당되고, 1행째 우열의 입력 키(10c)에는 「さ행」의 「さ,し, す, せ, そ」의 5문자가 할당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2행째 좌열의 입력 키(10d)에는 「た행」의 5문자, 2행째 중열의 입력 키(10e)에는 「な행」의 5문자, 2행째 우열의 입력 키(10f)에는 「は행」의 5문자, 3행째 좌열의 입력 키(10g)에는 「ま행」의 5문자, 3행째 우열의 입력 키(10i)에는 「ら행」의 5문자가 각각 할당되어 있다. 또, 3행째 중열의 입력 키(10h)에는 「や행」의 3문자가 할당되고, 4행째 좌열의 입력 키(10j)에는 「わ」의 1문자, 4행째 중열의 입력 키(10k)에는 「を」의 1문자, 4행째 우열의 입력 키(10l)에는 「ん」의 1문자가 각각 할당되어 있다.
여기서, 각 입력 키(10a 내지 10l)의 키톱은 평면에서 보아 개략 정방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표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할당된 문자가 각각 십자형으로 배치되어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입력 키(10a)의 키톱의 표면에는 중앙부에 「お」의 문자가 표시되고, 그 위쪽에 「あ」, 그 오른쪽에 「い」, 그 아래쪽에 「う」, 그 왼쪽에 「え」의 문자가 각각 표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입력 키(10b 내지 10g, 10i)의 키톱의 표면에도 각각 할당된 문자가 십자형으로 배치되어 표시되어 있다.
또, 입력 키(10h)의 키톱의 표면에는 중앙부의 위쪽에 「や」, 중앙부의 오른쪽에 「ゆ」, 중앙부의 아래쪽에 「よ」의 문자가 각각 표시되어 있다. 또한, 입력 키(10j 내지 10l)의 키톱의 표면에는 중앙부에 「わ」, 「を」, 「ん」의 1문자가 각각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키보드 입력장치(200)를 구성하는 각 입력 키(10a 내지 10l)는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1개의 입력 키(10a)를 예로 하여 그 구조를 설명하고, 그 밖의 입력 키(10b 내지 10l)에 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의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키(10a)는 해트(hat)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키톱(50)과, 이 키톱(50)의 차양부분(50a)이 접합되는 스페이서(60)와, 키톱(50)의 정상부의 이면 중앙부에 고정된 제 1 접점으로서의 상부전극(20)과, 이 상부전극(20)에 대향하도록 스페이서(60)에 고정된 제 2 접점으로서의 하부전극(3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를 갖는 입력 키(10a)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사회로(100) 및 변환회로(70)가 서로 접속된 텍스트 선택수단(40;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정보 선택수단에 상당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입력 키(10a)는 다른 입력 키(10b 내지 10l)와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 주사회로(100)는 다른 입력 키(10b 내지 10l)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한 입력 키(10a)의 키톱(50)은 탄성 변형 가능한 유연성이 있는 재료, 예를 들면 합성 고무로 된 시트재에 의해 해트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키톱(50)은 키보드 입력장치(200; 도 2 참조)의 평면에 직교하는 통상의 가압방향(P)으로 손끝으로 가압되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가압방향(P)으로 탄성 변형된다. 또한, 이 상태로부터 2스트로크(2액션)에 의해 예를 들면 「상」방향으로 손끝으로 눌려 동작되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방향(P) 및 「상」방향으로 복합적으로 탄성 변형된다.
또, 키톱(50)은 2스트로크(2액션)에 의해 손끝으로 「상」방향으로 눌려 동작된 후, 가압방향(P)으로 가압되어도 도 6에 도시하는 상태로 탄성 변형되고, 이 가압 동작 조작이 연속적으로 1스트로크(1액션)로 행하여지더라도 도 6에 도시하는 상태로 탄성 변형된다.
이와 같이, 키톱(50)은 키보드 입력장치(200)의 평면에 직교하는 통상의 가압방향(P)과, 이 가압방향(P)에 교차하는 방사방향(적어도 십자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의 가압방향(P)과 이 가압방향(P)에 교차하는 「상」방향, 「하」방향, 「좌」방향 및 「우」방향의 5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입력 키(10a)의 스페이서(60)는 키톱(50) 및 하부전극(30)의 지지부재이고, 그 상면에 키톱(50)의 차양부분(50a)이 접합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60)는 폴리에스테르필름 등의 절연성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그 절연성에 의해서 상부전극(20)과 하부전극(30)이 절연되고, 또한, 하부전극(30)끼리가 절연되어 있다.
입력 키(10a)의 상부전극(20; 도 3 참조)은 도전성금속 등의 도전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상부전극(20)은 하부전극(30)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하부전극(30)의 중앙부에 대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키톱(50)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끝으로 가압방향(P)으로 눌려 동작되면, 상부전극(20)은 하부전극(30)의 중앙부에 접촉한다. 또한, 키톱(50)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끝으로 가압방향(P) 및 「전(前)」방향으로 복합적으로 눌려 동작되면, 상부전극(20)은 하부전극(30)의 전측부분에 접촉한다.
입력 키(10a)의 하부전극(30; 도 3 참조)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으로 된 1군의 도전편(34)이 기반(38; 基盤)의 상면에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즉, 도 8에 도시한 기반(38)의 좌하 각(左下角)을 원점으로 하는 기반(38)상의 XY평면에 있어서, 서로 등간격으로 x1, x2, x3, x4, x5, x6 및 y1, y2, y3, y4, y5, y6을 취했을 때, 이들을 조합한 XY좌표상에 각 도전편(34)이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X좌표가 x1, x2, x3, x4, x5, x6이고 x축에 수직인 6개의 직선과 Y좌표가 y1, y2, y3, y4, y5, y6이고 y축에 수직인 6개의 직선의 교점상에 각 도전편(34)이 배치되어 있다.
또, 도 8에 있어서는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서, 각 도전편(34)이 6×6의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된 예를 도시하였지만, 각 도전편(34)의 배열예는 도 8에 도시한 6×6의 매트릭스형에 한하지 않고, 10×10, 12×12 등의 매트릭스형으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하부전극(30)의 기반(38)은 페놀수지, 실리콘, 유리 등의 절연성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각 도전편(34)은 이 기반(38)내에 형성된 배선(36)을 통해서 텍스트 선택수단(40)의 주사회로(100)에 접속된다(도 9 참조). 그리고, 이 1군의 도전편(34)은 상부전극(20; 도 3 참조)과의 접촉에 의해 2개 이상의 도전편(34)이 서로 도통해서 온상태가 되고, 상부전극(20)의 접촉이 해제되면 오프상태가 된다.
배선(36)은 상술한 x축에 수직인 6개의 직선과 y축에 수직인 6개의 직선에 따라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배선(36)을 구별하기 위해서, 이후, 직선 x=x1에 따라 형성된 배선을 x1배선(36), 직선 x=x2에 따라 형성된 배선을 x2배선(36), 직선 x=x3에 따라 형성된 배선을 x3배선(36), 직선 x=x4에 따라 형성된 배선을 x4배선(36), 직선 x=x5에 따라 형성된 배선을 x5배선(36), 직선 x=x6에 따라 형성된 배선을 x6배선(36)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직선 y=y1에 따라 형성된 배선을 y1배선(36), 직선 y=y2에 따라 형성된 배선을 y2배선(36), 직선 y=y3에 따라 형성된 배선을 y3배선(36), 직선 y=y4에 따라 형성된 배선을 y4배선(36), 직선 y=y5에 따라 형성된 배선을 y5배선(36), 직선 y=y6에 따라 형성된 배선을 y6배선(36)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여기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1배선(36) 내지 x6배선(36)에는 이들에 따라 배열되어 있는 도전편(34)이 1개 걸러 접속되어 있다. 즉, 하부전극(30)의 XY평면에 있어서, 위치(x1, yj(j=1, 3, 5))에 배치된 도전편(34)이 x1배선(36)에 접속되고(도 10 참조), 위치(x3, yj(j=1, 3, 5))에 배치된 도전편(34)이 x3배선(36)에 접속되고, 위치(x5, yj(j=1, 3, 5))에 배치된 도전편(34)이 x5배선(36)에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위치(x2, yj(j=2, 4, 6))에 배치된 도전편(34)이 x2배선(36)에 접속되고, 위치(x4, yj(j=2, 4, 6))에 배치된 도전편(34)이 x4배선(36)에 접속되고, 위치(x6, yj(j=2, 4, 6))에 배치된 도전편(34)이 x6배선(3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y1배선(36) 내지 y6배선(36)에는 이들에 따라 배열되어 있는 도전편(34)이 1개 걸러 접속되어 있다. 즉, 하부전극(30)의 XY평면에 있어서, 위치(xi, y1(i=2, 4, 6))에 배치된 도전편(34)이 y1배선(36)에 접속되고(도 11 참조), 위치(xi, y3(i=2, 4, 6))에 배치된 도전편(34)이 y3배선(36)에 접속되고, 위치(xi, y5(i=2, 4, 6))에 배치된 도전편(34)이 y5배선(36)에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xi, y2(i=1, 3, 5))에 배치된 도전편(34)이 y2배선(36)에 접속되고, 위치(xi, y4(i=1, 3, 5))에 배치된 도전편(34)이 y4배선(36)에 접속되고, 위치(xi, y6(i=1, 3, 5))에 배치된 도전편(34)이 y6배선(36)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한 텍스트 선택수단(40)은 입력 키(10a)의 온상태 또는 오프상태에 근거하여, 입력 키(10a)에 할당되어 있는 예를 들면 「あ」 내지 「お」의 어느 하나의 문자를 선택한다. 이 때문에, 텍스트 선택수단(40)은 입력 키(10a)의 온·오프상태를 감시하는 주사회로(100)와 이 주사회로(100)가 감시하고 있는 정보에 근거하여, 후술하는 변환 테이블을 참조하여 입력해야 할 문자(텍스트 정보)를 선택하는 변환회로(70)를 구비하고 있다. 또, 다른 입력 키(10b 내지 10l)에 대응한 주사회로(100)의 구조는 입력 키(10a)에 대응한 주사회로(100)와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텍스트 선택수단(40)의 주사회로(100)에는 디멀티플랙서(80)와 방향 검출센서(90)가 설치되어 있다. 디멀티플랙서(80)에는 6개의 전류 출력구(82(82a 내지 82f))가 설치되어 있고, 각 전류 출력구(82(82a 내지 82f))에는 상술한 하부전극(30)의 6개의 배선(36; x1배선(36) 내지 x6배선(36))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방향 검출센서(90)에는 6개의 전류 검출구(92(92a 내지 92f))가 형성되어 있고, 각 전류 검출구(92(92a 내지 92f))에는 상술한 하부전극(30)의 6개의 배선(36; y1배선(36) 내지 y6배선(36))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도 12는 디멀티플랙서(80) 및 방향 검출센서(90)와 하부전극(30)의 각 도전편(34)의 접속상황을 도시하고 있고, 디멀티플랙서(80)의 전류 출력구(82a)는 흑색 원으로 도시하는 1개 간격의 3개의 도전편(34)에 x1배선(36)을 통해서 접속되고, 방향 검출센서(90)의 전류 검출구(92f)는 백색 원으로 도시하는 1개 간격의 3개의 도전편(34)에 y6배선(36)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부전극(30)의 각 도전편(34)은 서로 체크 무늬로 배열된 흑색 원의 도전편(34)이 디멀티플랙서(80)에 접속되고, 백색 원의 도전편(34)이 방향 검출센서(90)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도 9에 도시한 디멀티플랙서(80)는 변환회로(70)의 지시에 근거하여, 6개의 전류 출력구(82(82a 내지 82f))에 접속된 6개의 배선(36; x1배선(36) 내지 x6배선(36))에 대하여 순서에 전류를 출력하는 것으로, 하부전극(30)의 반의 도전편(34; 흑색 원)에 전류를 출력한다.
한편, 방향 검출센서(90)는 입력 키(10a)의 가압 조작에 의해 상부전극(20)이 하부전극(30)에 접촉하고, 인접하는 흑색 원과 백색 원의 2개 이상의 도전편(34; 도 12 참조)이 상부전극(20)을 통해서 도통하면, 그 도통에 의해 어떤 y1배선(36) 내지 y6배선(36)에 전류가 흘렀는지를 검출한다. 그리고, 이 방향 검출센서(90)는 도통한 도전편(34)의 위치를 변환회로(70)를 특정할 수 있도록, 검출한 전류를 y1위치신호로 변환하여 변환회로(70)로 출력한다. 즉, 방향 검출센서(90)는 전류를 검출한 y1배선(36) 내지 y6배선(36)에 따라서 y1위치신호 내지 y6위치신호를 변환회로(70)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술한 입력 키(10a)의 상부전극(20; 도 3 참조)은 도 12에 있어서 서로 체크 무늬로 배열된 흑색 원과 백색 원의 4개의 도전편(34)에 동시에 접촉하도록, 도 12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크기의 개략 정방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전극(20)의 크기가 이것보다 작으면, 흑색 원과 백색 원의 도전편(34)이 상부전극(20)을 통해서 도통하지 않는 경우가 있고, 반대로 상부전극(20)의 크기가 이것보다 크면, 도통하는 흑색 원과 백색 원의 도전편(34)의 수가 많아져, 어떤 y1배선(36) 내지 y6배선(36)에 전류가 흘렀는지의 특정이 번잡해지기 때문이다.
도 9에 도시한 변환회로(70)는 통상, 키보드 입력장치(200)의 기판상에 구성되어 있지만, 다른 기판상에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변환회로(70)는 어느 하나의 입력 키(10a 내지 10l)가 가압된 경우, 가압된 입력 키(10a 내지 10l)에 대응하고 있는 디멀티플랙서(80)로의 전류출력의 지시상황과 방향 검출센서(90)로부터 입력한 y1위치신호 내지 y6위치신호에 근거하여, 가압된 입력 키(10a 내지 10l)에서의 도통한 도전편(34)의 위치를 특정한다. 예를 들면, 변환회로(70)는 입력 키(10a)에 대응한 디멀티플랙서(80)에 대하여 x1배선(36)에 전류를 출력하도록 지시하고 있을 때, 방향 검출센서(90)로부터 y1위치신호를 입력하면, 입력 키(10a)에서의 도통한 도전편(34)의 위치를 (x1, y1)로 특정한다.
이 변환회로(70)는 도통상태가 특정된 도전편(34)의 위치정보(xi, yj)에 근거하여, 도 13에 도시하는 방향 판정 테이블(T1)을 참조하여 키톱(50; 상부전극(20))의 이동방향을 판단한다. 이 방향 판정 테이블(T1)은 예를 들면 변환회로(70)내에 설치된 ROM(Read Only Memory)에 기록된 것이며, 이 방향 판정 테이블(T1)에는 상부전극(20; 도 3 참조)과의 접촉에 의해 도통한 도전편(34)의 위치(xi, yj(i=1 내지 6, j=1 내지 6))에 대응하여, 키톱(50; 상부전극(20))의 「이동방향」이 기록되어 있다.
즉, 방향 판정 테이블(T1)에는 하부전극(30)의 중앙부분에서 도통한 도전편(34)의 위치(x3, y3), (x3, y4), (x4, y3), (x4, y4)에 대응한 이동방향으로서 「중앙」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하부전극(30)의 우측부분에서 도통한 도전편(34)의 위치(x5, y3), (x5, y4), (x6, y2), (x6, y3), (x6, y4), (x6, y5)에 대응한 이동방향으로서 「우방향」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하부전극(30)의 하측부분에서 도통한 도전편(34)의 위치(x2, y1), (x3, y1), (x3, y2), (x4, y1), (x4, y2), (x5, y1)에 대응한 이동방향으로서 「하방향」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하부전극(30)의 좌측부분에서 도통한 도전편(34)의 위치(x1, y2), (x1, y3), (x1, y4), (x1, y5), (x2, y3), (x2, y4)에 대응한 이동방향으로서 「좌방향」이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전극(30)의 상측부분에서 도통한 도전편(34)의 위치(x2, y6), (x3, y5), (x3, y6), (x4, y5), (x4, y6), (x5, y6)에 대응한 이동방향으로서 「상방향」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이동방향의 경계부분에는 이동방향을 특정하지 않는 「NULL」이 기록되어 있다. 이 「NULL」은 도통한 도전편(34)의 위치(x1, y1), (x1, y6), (x2, y2), (x2, y5), (x5, y2), (x5, y5), (x6, y1), (x6, y6)에 대응하여 기록되어 있다.
방향 판정 테이블(T1)을 참조하여 키톱(50; 상부전극(20))의 이동방향을 판정한 변환회로(70)는 도 14에 도시하는 집계 테이블(T2)에 그 판정결과를 갱신하여 기록한다. 이 집계 테이블(T2)은 예를 들면 변환회로(70)내에 설치되는 RAM(Random Access Memory)에 구축되는 것이며, 이 집계 테이블(T2)에는 키톱(50; 상부전극(20))의 이동방향이 판정된 입력 키(10a)의 명칭이 기록되는 동시에, 판정된 이동방향 「중앙」, 「상」, 「우」, 「하」, 「좌」마다 그 판정방향에 따른 검출 회수가 갱신하여 기록된다.
또한, 변환회로(70)는 판정한 키톱(50; 상부전극(20))의 이동방향에 근거하여, 도 15에 도시하는 변환 테이블로서의 문자 변환 테이블(T3)을 참조하여 입력해야 할 문자를 선택한다. 이 문자 변환 테이블(T3)은 예를 들면 키보드 입력장치(200)의 적절한 부분에 설치된 RAM(Random Access Memory)에 각 입력 키(10a 내지 10l)에 대응하여 기록된 것이며, 예를 들면 입력 키(10a)에 대응한 문자 변환 테이블(T3)에는 변환회로(70)에서 판정된 키톱(50; 상부전극(20))의 이동방향 「상」, 「우」, 「하」, 「좌」, 「중앙」에 대응하여 「あ」, 「い」, 「う」, 「え」, 「お」의 5문자가 각각 등록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텍스트 선택수단(40)은 입력 키(10a 내지 10l)에 할당되어 있는 「あ」 내지 「ん」 중 어느 문자를 도 16에 도시하는 플로 차트의 처리순서에 따라 선택적으로 입력한다. 우선, 스텝 S1에서는 어느 하나의 입력 키(10a 내지 10l)가 가압되었는지의 여부가 변환회로(70)에 의해 판정된다. 이 판정은 방향 검출센서(90)로부터 변환회로(70)에 y1위치신호 내지 y6위치신호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경우에 YES라고 판정하는 것이며, 판정결과가 YES가 될 때까지 되풀이된다.
어느 하나의 입력 키(10a 내지 10l)가 가압되어 스텝 S1의 판정결과가 YES가 되면, 계속되는 스텝 S2에서는 집계 테이블(T2)의 전체 내용이 리셋된 후, 가압된 입력 키(10a 내지 10l)의 명칭이 집계 테이블(T2)에 기록된다. 예를 들면 입력 키(10a)가 가압되면, 스텝 S2에서는 입력 키(10a)의 명칭이 집계 테이블(T2)에 기록된다.
여기서, 입력 키(10a)의 키톱(50)이 「あ」 내지 「お」의 5문자 중 「い」를 선택하도록, 통상의 가압방향(P)으로 가압된 후, 「우」방향으로 가압 동작되면, 키톱(50)과 함께 상부전극(20)이 하부전극(30)의 중앙부에 접촉한 후, 하부전극(30)의 우측부분에 접촉한다. 예를 들면 상부전극(20)은 위치(x4, y4)의 도전편(34)과 위치(x4, y3)의 도전편(34)에 접촉하여 양자를 도통시킨 후, 위치(x6, y4)의 도전편(34)과 위치(x6, y3)의 도전편(34)에 접촉하여 양자를 도통시킨다.
그렇게 하면, 디멀티플랙서(80)를 통해서 x1배선(36) 내지 x6배선(36)에 순차 전류를 출력시키고 있는 변환회로(70)는 x4배선(36)에 전류를 출력시키고 있을 때에 방향 검출센서(90)로부터 y3위치신호 및 y4위치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우선, 위치(x4, y4)의 도전편(34)과 위치(x4, y3)의 도전편(34)이 접촉한 것을 검출한다(S3).
계속되는 스텝 S4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방향 판정 테이블(T1)을 참조함으로써, 변환회로(70)가 키톱(50; 상부전극(20))의 이동방향을 「중앙부」라고 판정한다. 그리고, 다음의 스텝 S5에서는 방향 검출센서(90)로부터 y3위치신호 및 y4위치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동안, 변환회로(70)가 그 판정결과로서 집계 테이블(T2)의 이동방향 「중앙부」에 대응한 「검출 회수」에 순차 1을 가산한다(도 17 참조). 구체적으로는 변환회로(70) 중의 프로세서 등이 리셋된 검출 회수 「0」에 순차 「1」을 가산한다. 또, 변환회로(70)는 이동방향으로서 「NULL」을 검출하였을 때에는 「검출 회수」의 가산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스텝 S5에 이어지는 스텝 S6에서는 가압 조작된 입력 키(10a)의 조작이 해제되었는지의 여부가 변환회로(70)에 의해 판정된다. 예를 들면, 입력 키(10a)로부터 손가락이 떨어져 입력 키(10a)에 대응한 방향 검출센서(90)로부터 변환회로(70)에 y1위치신호 내지 y6위치신호 중 어느 것도 입력되지 않게 되면, 변환회로(70)는 입력 키(10a)의 가압 조작이 해제된 것으로 하여 YES의 판정을 하고, y1위치신호 내지 y6위치신호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어 있으면, 변환회로(70)는 입력 키(10a)의 가압 조작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하여 NO의 판정을 한다.
여기서, 스텝 S6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い」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입력 키(10a)의 키톱(50)이 통상의 가압방향(P)으로 가압된 후, 「우」방향으로 가압 동작되고 있는 경우에는 변환회로(70)에 y3위치신호 및 y4위치신호가 입력됨으로써, 변환회로(70)는 입력 키(10a)의 가압 조작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하여 NO의 판정을 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스텝 S3 내지 S6까지의 처리가 되풀이된다.
스텝 S6으로부터 되돌아간 스텝 S3에서는 예를 들면 위치(x6, y4)의 도전편(34)과 위치(x6, y3)의 도전편(34)에 상부전극(20)이 접촉하여 양자를 도통시키고 있기 때문에, 디멀티플랙서(80)를 통해서 x1배선(36) 내지 x6배선(36)에 순차 전류를 출력시키고 있는 변환회로(70)는 x6배선에 전류를 출력하고 있을 때에 방향 검출센서(90)로부터 y3위치신호 및 y4위치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위치(x6, y4)의 도전편(34)과 위치(x6, y3)의 도전편(34)이 접촉한 것을 검출한다.
계속되는 스텝 S4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방향 판정 테이블(T1)을 참조함으로써, 변환회로(70)가 키톱(50; 상부전극(20))의 이동방향을 「우방향」으로 판정한다(S4). 그리고, 다음의 스텝 S5에서는 방향 검출센서(90)로부터 y3위치신호 및 y4위치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동안, 변환회로(70)가 그 판정결과로서 집계 테이블(T2)의 이동방향 「우」에 대응한 「검출 회수」에 순차 1을 가산한다(도 17 참조).
스텝 S5에 이어지는 스텝 S6에서는 가압 조작된 입력 키(10a)의 조작이 해제되었는지의 여부가 변환회로(70)에 의해 판정된다. 여기서, 입력 키(10a)에서 손가락이 떨어져 입력 키(10a)에 대응한 방향 검출센서(90)로부터 변환회로(70)에 y1위치신호 내지 y6위치신호 중 어느 것도 입력되지 않게 되면, 변환회로(70)는 입력 키(10a)의 가압 조작이 해제된 것으로 하여 YES의 판정을 하고, 그 후, 스텝 S7로 진행한다.
스텝 S7에서는 집계 테이블(T2; 도 17 참조)의 「검출 회수」에 가산된 값을 변환회로(70)가 비교하여, 「검출 회수」가 최대치를 나타내는 「이동방향」을 키톱(50; 상부전극(20))의 이동방향으로서 결정한다.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하는 집계 테이블(T2)에 있어서, 이동방향 「중앙」의 검출 회수가 「70」, 이동방향 「우」의 검출 회수가 「80」이라고 하면, 변환회로(70)는 키톱(50; 상부전극(20))의 이동방향으로서 「우」를 결정한다.
계속되는 스텝 S8에서는 스텝 S7에서 결정된 이동방향에 따라,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한 문자 변환 테이블(T3)을 참조하여 변환회로(70)가 입력 키(10a)에 할당된 입력문자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스텝 S7에서 결정된 「우」의 이동방향에 대응한 「い」의 문자를 변환회로(70)가 선택한다. 그리고, 변환회로(70)는 선택한 「い」의 문자를 도 1에 도시한 휴대전화기(300)의 액정디스플레이(280)에 표시한다(S9).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입력 키 및 입력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면 입력 키(10a)의 키톱(50)을 통상의 가압방향(P)에 덧붙여 우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이동시키면, 「あ행」의 「あ」 내지 「お」 중 「い」의 문자가 선택적으로 입력된다. 마찬가지로, 키톱(50)을 통상의 가압방향(P)에 덧붙여 상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이동시키면 「あ」의 문자가 선택적으로 입력 가능해지고, 가압방향(P)에 덧붙여 하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이동시키면 「う」의 문자가 선택적으로 입력 가능해지며, 가압방향(P)에 덧붙여 좌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이동시키면 「え」의 문자가 선택적으로 입력 가능해진다. 그리고, 키톱(50)을 통상의 가압방향(P)으로 이동시키면 「お」의 문자가 선택적으로 입력 가능해진다.
즉, 제 1 실시예의 입력 키 및 입력장치에 의하면, 각 입력 키(10a 내지 10l)의 키톱(50)을 통상의 가압방향(P)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이 가압방향(P)에 덧붙여 상하좌우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이동시킨다고 하는 간단한 입력 조작에 의해, 각 입력 키(10a 내지 10l)에 각각 할당된 「あ행」, 「か행」, 「さ행」 등의 복수의 문자가 선택적으로 입력 가능해진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일본어의 히라가나의 입력예를 도시하였지만, 실제로 일본어 입력에서는 히라가나뿐만 아니라, 가타카나, 숫자, 알파벳과 같은 복수 종류의 문자를 입력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입력하는 문자의 종류를 지정하기 위한 특별한 키(이하 「문자종 지정 키」라고 함)를 설치하여, 복수 종류의 문자를 입력하는 예를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4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의 입력부(160)가 특수 키 배열부(160A)와 문자입력 키 배열부(160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문자입력 키 배열부(160B)에 12개(가로 3개×세로 4개)의 키(161)가 배치되고, 특수 키 배열부(160A)에는 문자종 지정 키(162; 이하 「F키」이라고 약칭함)가 설치되어 있다.
도 5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F키(162)에는 이동방향마다 아래와 같이 문자종 지정이 할당되어 있다. 예를 들면, 중앙(움직임 없음)-히라가나, 상방향-숫자반각, 좌방향-영소문자반각, 하방향-가타카나반각, 우방향-영대문자반각과 같은 식으로, 빈번하게 입력되는 경향이 있는 문자종에 관해서는 1회의 조작(손가락의 이동)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문자종에 관해서는 2회의 조작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50의 F키(162)의 범위 밖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가락을 상방향으로 2회 계속하여 이동시키는 것으로 숫자전각의 문자종을 지정할 수 있고, 손가락을 좌방향으로 2회 계속하여 이동시키는 것으로 영소문자전각의 문자종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을 하방향으로 2회 계속하여 이동시키는 것으로 가타카나전각의 문자종을 지정할 수 있고, 손가락을 우방향으로 2회 계속하여 이동시키는 것으로 영대문자전각의 문자종을 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가락을 특정방향으로 2회 계속하여 이동시키는 것으로, 손가락을 상기 특정방향으로 1회만 이동시키는 경우와는 다른 문자종을 지정 가능하게 되고, 문자종 지정에 관한 확장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문자입력 키 배열부(160B)의 12개의 키(161)에 대한 문자 할당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히라가나에서는 도 51과 같이 할당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히라가나는 「あ행의 5문자」, 「か행의 5문자」…와 같이 5문자씩의 문자군으로 분류할 수 있기 때문에, 1개의 키(161)에 대하여 1개의 문자군(5문자)을 할당할 수 있다. 도 51에 표형식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키(K1)에는 「あ행의 5문자(あ, い, う, え, お)」를 할당하고, 키(K2)에는 「か행의 5문자(か, き, く, け, こ)」를 할당한다. 이렇게 하여, 1개의 키(161)에 대하여 1개의 문자군(5문자)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도 51의 표에 있어서의 키(K10, K11)에 대한 할당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히라가나의 문자 이외에도, 히라가나 입력시에 입력되는 경우가 많은 기호(장음, 마침표, 쉼표 등)를 할당할 수도 있다.
또한, 히라가나의 문자 중, 특정한 문자에 관해서는 통상보다도 작은 사이즈로 표시하는 예(예를 들면 「ゃ」, 「っ」 등), 탁음으로 표시하는 예(예를 들면 「が」, 「ざ」 등), 반탁음으로 표시하는 예(예를 들면 「ぱ」, 「ぴ」 등)가 있다. 또한, 히라가나의 문자를 가타카나 소문자 또는 가타카나 대문자로 변환하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도 51의 표에 있어서의 키(K12)에 대한 할당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히라가나의 「소문자화」, 「탁음화」, 「반탁음화」, 「가타카나 소문자화」, 「가타카나 대문자화」의 각 기능을 할당할 수도 있다.
상기는 일본어의 히라가나의 입력에 관한 키 할당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1개의 키에 대하여 도 51과 같이 복수의 문자·기호·기능을 할당하고, 키의 입력 조작회수를 삭감하여, 입력 조작을 더욱 쉽게 하는 본 발명은 다른 언어의 문자입력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영어, 독일어, 불어, 중국어, 한국어의 문자입력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한다.
우선, 영어의 문자입력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한다. 영어의 문자(알파벳)는 합계 26문자이고, 일본어의 히라가나와 같이 5개씩의 문자군으로 그룹이 나누어져 있는 것도 아니다. 그래서, 도 5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알파벳(A, B, C, …)을 선두부터 차례로 5문자씩 1개의 키에 할당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그 경우, 키(K6)까지 26문자 전체의 할당이 완료되고, 많은 키가 남기 때문에, 많은 기호(예를 들면, 리턴(CR), 탭(TAB), …)를 남은 키에 할당할 수 있다. 도 52의 할당표는 각 키(K1 내지 K12)에 대한 알파벳 및 기호의 할당을 도시하고 있고, 이 할당표에 근거하여, 문자입력 키 배열부(160B; 도 49 참조)의 각 키(K1 내지 K12)에 실제로 할당한 예를 도 53에 도시한다.
이것에 의해, 풀키보드와 동등한 문자종의 입력을 1회의 조작(손가락의 이동)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적은 입력 키로, 풀키보드와 동등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적은 입력 조작수에서의 문자입력을 가능하게 하여, 입력 조작의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영소문자반각, 영소문자전각, 영대문자반각, 영대문자전각의 4개의 문자종간의 변환에 관해서는 도 49의 F키(162)를 조작하는 것으로 변환 가능하게 한다. 도 50에는 일본어의 F키(162)를 도시하지만, 영어에서는 히라가나, 가타카나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4개의 문자종 모두를 도 49의 F키(162)의 4개의 방향에 할당하는 것으로, 1회의 F키(162)의 조작으로 원하는 영어의 문자종을 지정할 수 있다.
또, 도 52에 도시하는 각 키(K1 내지 K12)에 대한 알파벳 및 기호의 할당은 일본어의 영자입력에 있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독일어의 문자입력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한다. 독일어의 문자입력에서는 영어와 같은 알파벳의 입력 이외에, 움라우트라는 기호가 붙은 문자(예를 들면, 등)나 s(에스체트) 등의 특유의 문자를 입력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은 특유의 문자는 도 52의 할당표에 있어서의 기호의 할당부분과 바꾸는 것으로, 영어 입력의 경우와 같이, 풀키보드와 동등한 문자종의 입력을 1회의 조작(손가락의 이동)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적은 입력 키로, 풀키보드와 동등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적은 입력 조작수에서의 문자입력을 가능하게 하여, 입력 조작의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불어의 문자입력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한다. 불어의 문자입력에서는 영어와 같은 알파벳의 입력 이외에, 이하 같은 특유의 문자를 입력할 필요가 있다. 즉, (악상 떼귀), (악상 그라브, (악상 시르콩플렉스), (트레마), (세디유), (오으꽁포제) 등이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은 특유의 문자는 도 52의 할당표에 있어서의 기호의 할당부분과 바꾸는 것으로, 영어 입력의 경우와 같이, 풀키보드와 동등한 문자종의 입력을 1회의 조작(손가락의 이동)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적은 입력 키로, 풀키보드와 동등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적은 입력 조작수에서의 문자입력을 가능하게 하여, 입력 조작의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중국어의 문자입력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한다. 중국어의 문자입력방식에서는 입력대상의 문자의 읽기(발음)에 상당하는 알파벳열(병음(pinyin))을 입력하는 병음 입력방식이 일반적이다. 이 병음 입력방식에는 전병(全竝) 입력과 쌍병(雙竝) 입력의 2개의 입력방식이 있다.
이 중 전병 입력은 영어용 키보드를 그대로 사용하여, 키보드상의 알파벳 표기에 따라서 병음을 1문자단위로 입력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오늘은 맑습니다」에 대응하는 중국어 「今天晴」을 입력하는 경우는 「今」의 읽기(발음)에 상당하는 알파벳열 「JIN」, 「天」의 읽기(발음)에 상당하는 알파벳열 「TIAN」, 「晴」의 읽기(발음)에 상당하는 알파벳열 「QING」을 차례로, 영어용 키보드상의 알파벳 표기에 따라서 입력한다. 따라서, 전병 입력에 관해서는 상술한 영어의 문자입력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와 같이, 도 52, 도 53과 같은 키 할당을 하는 것으로, 풀키보드와 동등한 문자종의 입력을 1회의 조작(손가락의 이동)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문자입력 조작의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쌍병 입력에서는 중국어의 성모와 운모를 분리 사용하여 입력한다. 여기서, 「성모」는 음절의 선두에 오는 자음을 의미하고, 「운모」는 음절 중의 성모를 제외한 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운모」에는 반드시 모음이 포함된다. 쌍병 입력에서는 성모→운모→성모→운모의 순으로 바꿔 입력한다. 즉, 성모와 운모를 분리 사용하면서, 키보드의 키 가압 회수를 적게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쌍병 입력의 키보드 배열을 기억하면, 상술한 전병 입력보다도 적은 입력 회수로 문자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문자 입력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쌍병 입력에서는 성모 입력시를 위한 성모의 키 할당과, 운모 입력시를 위한 운모의 키 할당의 2개가 필요하게 된다. 이들의 성모의 키 할당 및 운모의 키 할당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4a에 성모의 키 할당 예를 도시한다. 키(K1)에는 5개의 성모(b, c, ch, f, g)를 할당하고, 키(K1)상에서의 손가락의 이동 방향에 의해서, 어떤 성모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키(K2 내지 K5)에도, 마찬가지로, 성모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도 54b에는 운모의 키 할당 예를 도시한다. 키(K1)에는 5개의 운모(a, ai, an, ang, ao)를 할당하고, 키(K1)상에서의 손가락의 이동 방향에 의해서, 어떤 운모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키(K2 내지 K7)에도, 마찬가지로, 운모를 할당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쌍병 입력에서는 성모→운모→성모→운모의 순서로 바꿔 입력하지만, 키 할당은 성모의 입력시에는 도 54a의 성모의 키 할당이 되고, 운모의 입력시에는 도 54b의 운모의 키 할당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쌍병 입력에 대해서도, 도 54a, 도 54b와 같은 성모 및 운모의 키 할당을 하는 것으로, 풀키보드와 동등한 문자종의 입력을 1회의 조작(손가락의 이동)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적은 입력 키로, 풀키보드와 동등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적은 입력 조작수로의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여, 입력 조작의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중국어의 입력에 있어서도, 문자 이외에 기호(예를 들면 !나 ? 등)를 입력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도 52의 영문자의 할당 예와 같이, 도 54a, 도 54b의 키 할당의 나머지의 부분에, 각종 기호를 할당하여, 기호의 입력에 대해서도 효율적인 입력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한국어의 문자 입력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한다. 한국어의 문자(한글문자)는 1문자씩 자음과 모음의 편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문자 입력시에는 1문자씩, 자음을 나타내는 부분과 모음을 나타내는 부분을 입력할 필요가 있다. 자음은 19음, 모음은 21음 있고, 이들 합계 40개의 음 각각을 나타내는 40개의 부분을 키에 할당하게 된다. 이 할당의 일례를 도 55에 도시한다. 도 55에 있어서, 굵은 선(163)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자음을 나타내는 합계 19개의 부분이고, 그 밖의 21개의 부분이 모음을 나타내는 부분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자음 19음 및 모음 21음의 합계 40개의 음 각각을 나타내는 40개의 부분을 키에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풀키보드와 동등한 문자종의 입력을 1회의 조작(손가락의 이동)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적은 입력 키로, 풀키보드와 동등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적은 입력 조작수로의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여, 입력 조작의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한국어의 입력에 있어서도, 문자 이외에 기호(예를 들면 !이나 ? 등)를 입력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도 52의 영문자의 할당 예와 같이, 도 55의 키 할당의 나머지의 부분(키(K9 내지 K12))고, 각종 기호를 할당하여, 기호의 입력에 대해서도 효율적인 입력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여러가지의 언어의 문자 입력에 대하여 적용 가능하고, 적은 입력 키로, 풀키보드와 동등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적은 입력 조작수로의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여, 입력 조작의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입력 키 및 입력장치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향 판정 테이블(T1; 도 13 참조)의 내용을 도 18에 도시하는 방향 판정 테이블(T4)과 같이 변경하고, 이것에 따라 집계 테이블(T2; 도 14 참조)의 내용을 도 19에 도시하는 집계 테이블(T5)과 같이 변경한 점에 특징이 있고, 그 밖의 부분은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그래서, 제 2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부분에 관해서는 제 1 실시예와 같은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방향 판정 테이블(T4)에는 상부전극(20; 도시 생략)과의 접촉에 의해 도통한 도전편(34)의 위치(xi, yj(i=1 내지 6, j=1 내지 6))에 대응하여, 키톱(50; 상부전극(20))의 「이동방향」 및 그 「방향 강도」가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방향 강도」는 도 14에 도시한 집계 테이블(T2)의 「검출 회수」와 거의 같은 의미를 갖는 것이며, 「이동방향」을 더욱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한 소위 가중계수이다.
여기서, 도 18에 도시하는 방향 판정 테이블(T4)에는 하부전극(30)의 중앙부분에서 도통한 도전편(34)의 위치(x3, y3), (x3, y4), (x4, y3), (x4, y4)에 대응한 「이동방향 : 방향 강도」로서 「중앙부 : 2」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하부전극(30)의 중앙부분의 주위 부근에서 도통한 도전편(34) 중, 좌측의 위치(x2, y3), (x2, y4)에 대응한 「이동방향 : 방향 강도」로서 「좌방향 : 1」이 기록되고, 우측의 위치(x5, y3), (x5, y4)에 대응한 「이동방향 : 방향 강도」로서 「우방향 : 1」이 기록되고, 상측의 위치(x3, y5), (x4, y5)에 대응한 「이동방향 : 방향 강도」로서 「상방향 : 1」이 기록되고, 하측의 위치(x3, y2), (x4, y2)에 대응한 「이동방향 : 방향 강도」로서 「하방향 : 1」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하부전극(30)의 중앙부분의 주위 부근에서 도통한 도전편(34) 중, 좌상측의 위치(x2, y5)에 대응한 「이동방향 : 방향 강도」로서 「좌방향 : 1」 및 「상방향 : 1」이 기록되고, 좌하측의 위치(x2, y2)에 대응한 「이동방향 : 방향 강도」로서 「좌방향 : 1」 및 「하방향 : 1」이 기록되고, 우상측의 위치(x5, y5)에 대응한 「이동방향 : 방향 강도」로서 「우방향 : 1」 및 「상방향 : 1」이 기록되고, 우하측의 위치(x5, y2)에 대응한 「이동방향 : 방향 강도」로서 「우방향 : 1」 및 「하방향 : 1」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하부전극(30)의 주변부분에서 도통한 도전편(34) 중, 좌측의 위치(x1, y3), (x1, y4)에 대응한 「이동방향 : 방향 강도」로서 「좌방향 : 2」가 기록되고, 우측의 위치(x6, y3), (x6, y4)에 대응한 「이동방향 : 방향 강도」로서 「우방향 : 2」가 기록되며, 상측의 위치(x3, y6), (x4, y6)에 대응한 「이동방향 : 방향 강도」로서 「상방향 : 2」가 기록되고, 하측의 위치(x3, y1), (x4, y1)에 대응한 「이동방향 : 방향 강도」로서 「하방향 : 2」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하부전극(30)의 주변부분에서 도통한 도전편(34) 중, 좌상측의 위치(x1, y6)에 대응한 「이동방향 : 방향 강도」로서 「좌방향 : 2」 및 「상방향 : 2」가 기록되고, 좌상측의 위치(x1, y5)에 대응한 「이동방향 : 방향 강도」로서 「좌방향 : 2」 및 「상방향 : 1」이 기록되며, 좌상측의 위치(x2, y6)에 대응한 「이동방향 : 방향 강도」로서 「좌방향 : 1」 및 「상방향 : 2」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하부전극(30)의 주변부분에서 도통한 도전편(34) 중, 좌하측의 위치(x1, y1)에 대응한 「이동방향 : 방향 강도」로서 「좌방향 : 2」 및 「하방향 : 2」가 기록되고, 좌상측의 위치(x1, y2)에 대응한 「이동방향 : 방향 강도」로서 「좌방향 : 2」 및 「하방향 : 1」이 기록되며, 좌상측의 위치(x2, y1)에 대응한 「이동방향 : 방향 강도」로서 「좌방향 : 1」 및 「하방향 : 2」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하부전극(30)의 주변부분에서 도통한 도전편(34) 중, 우상측의 위치(x6, y6)에 대응한 「이동방향 : 방향 강도」로서 「우방향 : 2」 및 「상방향 : 2」가 기록되고, 우상측의 위치(x6, y5)에 대응한 「이동방향 : 방향 강도」로서 「우방향 : 2」 및 「상방향 : 1」이 기록되고, 좌상측의 위치(x5, y6)에 대응한 「이동방향 : 방향 강도」로서 「우방향 : 1」 및 「상방향 : 2」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하부전극(30)의 주변부분에서 도통한 도전편(34) 중, 우하측의 위치(x6, y1)에 대응한 「이동방향 : 방향 강도」로서 「우방향 : 2」 및 「하방향 : 2」가 기록되고, 좌상측의 위치(x6, y2)에 대응한 「이동방향 : 방향 강도」로서 「우방향 : 2」 및 「하방향 : 1」이 기록되며, 좌상측의 위치(x5, y1)에 대응한 「이동방향 : 방향 강도」로서 「우방향 : 1」 및 「하방향 : 2」가 기록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1 실시예와 대략 동일하며, 텍스트 선택수단(40)은 입력 키(10a 내지 10l)에 할당되어 있는 「あ」 내지 「ん」 중 어느 문자를 도 16에 도시하는 플로 차트의 처리순서에 따라 선택적으로 입력한다. 또,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도 16에 도시하는 플로 차트의 스텝 S4 내지 S5, S7의 처리이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키(10a)에 할당되어 있는 「い」자를 선택하도록, 키톱(50)이 통상의 가압방향(P)으로 가압된 후, 「우」방향으로 가압 동작되는 경우, 스텝 S4에서는 도 18에 도시한 방향 판정 테이블(T4)을 참조함으로써, 우선, 변환회로(70)가 키톱(50; 상부전극(20))의 「이동방향 : 방향 강도」를 「중앙부 : 2」라고 판정한다. 그리고, 다음의 스텝 S5에서는 방향 검출센서(90)로부터 y3위치신호 및 y4위치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동안, 변환회로(70)가 그 판정결과로서 집계 테이블(T5)의 이동방향 「중앙부」에 대응한 「방향 강도」에 순차 「2」를 가산한다.
또한, 스텝 S6으로부터 되돌아간 스텝 S4에서는, 도 18에 도시한 방향 판정 테이블(T4)을 참조함으로써, 변환회로(70)가 키톱(50; 상부전극(20))의 「이동방향 : 방향 강도」를 「우방향 : 2」라고 판정한다. 그리고, 다음의 스텝 S5에서는 방향 검출센서(90)로부터 y3위치신호 및 y4위치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동안, 변환회로(70)가 그 판정결과로서 집계 테이블(T5)의 이동방향 「우방향」에 대응한 「방향 강도」에 순차 「2」를 가산한다.
그리고, 스텝 S7에서는 집계 테이블(T5; 도 20 참조)의 「방향 강도」에 가산된 값을 변환회로(70)가 비교하여, 「방향 강도」가 최대치를 나타내는 「이동방향」을 키톱(50; 상부전극(20))의 이동방향으로서 결정한다.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하는 집계 테이블(T5)에 있어서, 이동방향 「중앙」의 방향 강도가 「60」, 이동방향 「우」의 방향 강도가 「90」이라고 하면, 변환회로(70)는 키톱(50; 상부전극(20))의 이동방향으로서 「우」를 결정한다.
여기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텝 S7의 처리에서 변환회로(70)가 집계 테이블(T2; 도 17 참조)을 참조하여 비교하는 「검출 회수」의 차가 (80-70=10)인 데 대하여,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텝 S7의 처리에서 변환회로(70)가 집계 테이블(T5; 도 20 참조)을 참조하여 비교하는 「방향 강도」의 차가 (90-60=30)으로 제 1 실시예의 경우보다도 커진다. 이 때문에,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키톱(50; 상부전극(20))의 이동방향을 「우」로서 더욱 명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제 3 실시예에 관계되는 입력 키 및 입력장치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문자 변환 테이블(T3; 도 15 참조)에 등록되어 있는 문자를 이용자가 임의로 개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그 밖의 부분은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그래서, 제 3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부분에 관해서는 제 1 실시예와 같은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는 문자 변환 테이블(T3; 도 15 참조)에 등록된 문자를 이용자가 임의로 개서할 수 있는 설정모드로 이행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한 입력 키(10j)에 설정버튼의 기능이 부여되어 있고, 입력 키(10j)의 키톱의 표면에는 중앙부의 「わ」의 문자의 위에 「설정」의 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 키(10j)의 키톱(50)이 통상의 가압방향(P)에 덧붙여 「상」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わ」의 문자의 선택 대신에 예를 들면 「설정모드로 이행」의 문자열이 선택되어 도 1에 도시하는 액정디스플레이(280)에 표시되도록, 도 21에 도시하는 입력 키(10j)에 대응한 문자변환 테입블(T6)에는 키톱(50; 상부전극(20))의 이동방향 「상」에 대응하여 「설정모드로 이행」의 문자열이 기록되어 있다. 또, 이 문자 변환 테이블(T6)의 이동방향 「상」을 제외하는 「중앙」, 「우」, 「좌」, 「하」에는 각각 「わ」의 문자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키(10j)가 접속되는 텍스트 선택수단(40)의 변환회로(250)는 문자 변환 테이블(T3; 도 15 참조)에 등록되어 있는 문자를 이용자가 임의로 개서할 수 있는 설정모드의 처리를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액정디스플레이(280)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변환회로(250)는 입력 키(10j)의 키톱(50; 상부전극(20))의 이동방향을 「상방향」으로 판정한 후, 문자 변환 테이블(T6; 도 21 참조)을 참조하여 「설정모드로 이행」의 문자열을 선택하면, 도 23에 도시하는 플로 차트의 처리순서에 따라 설정모드의 처리를 진행시킨다.
우선, 스텝 S31에서는 문자 변환 테이블(T3)을 개서하는 대상이 되는 입력 키를 입력 키(10a 내지 10l) 중으로부터 이용자에게 선택시키기 위해서,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입력 키를 눌러 주십시오」라는 메시지를 액정디스플레이(280)에 표시한다. 이 표시를 키 선택화면이라고 부른다.
키 선택화면의 메시지에 따라서 이용자가 입력 키(10a 내지 10l) 중으로부터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입력 키로서, 예를 들면 입력 키(10k)를 누르면, 계속되는 스텝 S32에서는 입력 키(10k)가 눌린 것을 변환회로(250)가 검지한다.
다음의 스텝 S33에서는 문자 변환 테이블(T3)에 있어서 개서의 대상이 되는 문자에 대응한 이동방향, 즉, 개서의 대상이 되는 문자가 할당되어 있는 키톱(50)의 이동방향을 입력시키기 위해서,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방향을 입력하여 주십시오」라는 메시지를 액정디스플레이(280)에 표시한다. 이 표시를 방향 선택화면이라고 부른다.
여기서, 상하좌우의 4방향을 지시할 수 있는 십자 키가 휴대전화기(300)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십자 키를 이용자에게 누르게 하는 것으로,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방향을 입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이러한 십자 키가 휴대전화기(300)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 키(10e)를 중심으로 십자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입력 키(10d, 10f, 10b, 10h)를 가상적인 십자 키로 보아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입력 키를 이용자에게 누르게 한다.
그 때문에, 스텝 S33에서는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방향을 입력하여 주십시오」라는 메시지와 함께, 입력 키(10e)를 중심으로 십자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입력 키(10d, 10f, 10b, 10h)의 키톱(50)의 표시와 상하좌우의 문자 및 화살 표시를 액정디스플레이(280)에 표시한다.
방향 선택화면의 표시에 따라서 이용자가 입력 키(10d, 10f, 10b, 10h) 중으로부터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방향에 대응한 어느 하나의 입력 키로서, 예를 들면 상방향을 나타내는 입력 키(10b)를 누르면, 계속되는 스텝 S34에서는 상방향을 나타내는 입력 키(10b)가 눌린 것을 변환회로(250)가 검지한다.
다음의 스텝 S35에서는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문자가 할당되어 있는 입력 키(10k)의 상방향의 이동위치에 설정하고자 하는 새로운 문자가 어떤 것인지를 이용자에게 입력시키기 위해서, 「새롭게 설정하고자 하는 문자를 입력하여 주십시오」라는 메시지를 변환회로(250)가 액정디스플레이(280)에 표시한다. 이 표시를 문자입력화면이라고 부른다.
문자입력화면의 표시에 따라, 이용자가 입력 키(10a 내지 10l) 중 어느 하나의 입력 키에 할당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문자를 그 입력 키의 키톱(50)의 이동조작에 의해 「새롭게 설정하고자 하는 문자」로서 입력하면, 계속되는 스텝 S36에서는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새롭게 설정하고자 하는 문자」를 변환회로(250)가 액정디스플레이(280)에 표시한다.
그리고, 다음의 스텝 S37에서는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문자」로서, 예를 들면 입력 키(10k)에 대응한 문자 변환 테이블(T3)의 이동방향 「상」에 대응하여 등록되어 있는 「を」의 문자가 「새롭게 설정하고자 하는 문자」로 개서된다. 예를 들면 이용자가 「새롭게 설정하고자 하는 문자」로서 「@」를 입력하였다고 하면, 입력 키(10k)에 대응한 문자 변환 테이블(T3)의 이동방향 「상」에 대응하여 등록되어 있는 「を」의 문자가 「@」로 개서된다.
그 결과 이후, 입력 키(10k)의 키톱(50)을 통상의 가압방향(P)에 덧붙여 「상」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이동시키면, 「@」이 선택적으로 입력된다. 또, 「새롭게 설정하고자 하는 문자」는 「(^^);」 등의 복수의 기호를 조합한 것이어도 좋다.
여기서,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이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문자」가 「새롭게 설정하고자 하는 문자」로 간단하게 개서되기 때문에, 문자 등의 텍스트 정보를 입력할 때의 이용자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제 4 실시예]
제 4 실시예에 관계되는 입력 키 및 입력장치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문자 변환 테이블(T3; 도 15 참조)에 등록되어 있는 문자를 입력빈도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개서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그 밖의 부분은 제 1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그래서, 제 4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4 실시예에 있어서는 입력빈도가 높은 문자를 더욱 입력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글자 변환 테이블(T3; 도 15 참조)에 등록되어 있는 문자가 자동적으로 개서된다. 첫번째로, 동일한 입력 키에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문자 중, 입력빈도가 높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톱(50)의 이동방향을 더욱 가압하기 쉬운 이동방향에 할당하기 위해서, 그 입력 키에 대응한 문자 변환 테이블(T3; 도 15 참조)에 등록되어 있는 문자를 개서한다. 또한, 두번째로, 다른 입력 키에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문자 중, 입력빈도가 높은 문자를 더욱 가압하기 쉬운 입력 키에 할당하기 위해서, 관계되는 입력 키에 대응한 문자 변환 테이블(T3; 도 15 참조)에 등록되어 있는 문자를 개서한다.
제 4 실시예에서는 입력빈도가 높은 문자를 더욱 입력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문자 변환 테이블(T3; 도 15 참조)에 등록되어 있는 문자를 자동적으로 개서하는 처리가 도 26에 도시하는 플로 차트의 처리순서에 따라 실행된다. 우선, 스텝 S41에서는 휴대전화기(300)의 이용자가 입력 키(10a 내지 10l)의 키톱(50)을 적절한 이동방향으로 가압하면, 그 이동방향에 따라서 변환회로(250)가 적절한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계속되는 스텝 S42에서는 일정기간 내에서의 각 입력 키(10a 내지 10l)의 키톱(50)의 이동방향을 도 27에 도시하는 집계 테이블(T7)에 집계함으로써, 변환회로(250)가 일정기간에 입력된 문자의 입력빈도를 집계한다. 또, 변환회로(250)는 예를 들면 1시간 내지 수일간을 일정기간으로서 입력문자의 입력빈도를 집계 테이블(T7)에 집계한다.
도 27에 도시한 집계 테이블(T7)은 변환회로(250)내에 설치된 RAM(Random Access Memory)에 구축되는 것이며, 각 입력 키(10a 내지 10l)의 키톱(50)의 이동방향에 대응한 입력문자마다 그 입력 회수가 집계된다. 또, 입력 키(10l)에 있어서는 키톱(50)의 모든 이동방향에 「ん」의 문자가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집계 테이블(T7)에서는 키 톱(50)의 중앙부를 통상의 가압방향(P)으로 이동시켜 「ん」을 입력하는 조작회수가 예를 들면 250회로 지극히 많아져 있다.
스텝 S42에 이어지는 스텝 S43에서는 집계 테이블(T7)에 집계된 입력 회수를 변환회로(250)가 조사한다. 그리고, 이 조사결과에 근거하여, 다음의 스텝 S44에서는 이하에 도시하는 제 1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제 1 조건은 입력 키(10a 내지 10l) 중 동일한 입력 키에 있어서, 입력 회수가 가장 많은 문자가 할당되어 있는 키톱(50)의 이동방향과 입력 회수가 가장 적은 문자가 할당되어 있는 키톱(50)의 이동방향을 구하고, 이 2개의 이동방향에서의 입력 회수의 차가 2배 이상이고, 또한, 입력 회수가 가장 많은 문자가 할당되어 있는 키톱(50)의 이동방향이 입력 회수가 가장 적은 문자가 할당되어 있는 키톱(50)의 이동방향에 비교하여 「가압 조작하기 쉬운 방향」이 아닌 것, 다시 말하면 「가압 조작하기 어려운 방향」인 것을 내용으로 한다.
여기서, 키톱(50)의 가압 조작을 하기 쉬운 이동방향인지 이동하기 어려운 이동방향인지에 관해서는 세로가 긴 휴대전화기(300)의 경우, 이하의 기준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이동방향 「중앙」이 가장 조작하기 쉽고, 이동방향 「상」이 다음으로 조작하기 쉬우며, 이동방향 「우」 및 「좌」가 그 다음으로 조작하기 쉽고, 이동방향 「하」가 가장 조작하기 어렵다는 기준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 이 기준은 어디까지나 세로가 긴 휴대전화기(300)의 경우이고, 형태가 다른 전자기기에 관해서는 그 전자기기에 대응한 별도의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스텝 S44의 판정결과가 「불성립」이면, 후술하는 제 2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스텝 S45에서 판정되지만, 스텝 S44의 판정결과가 「성립」이면, 스텝 S46으로 진행하여 문자 할당의 교환이 실행된다.
여기서, 스텝 S44의 판정결과가 「성립」으로 스텝 S46으로 진행하면, 예를 들면 도 27에 도시하는 집계 테이블(T7)에 있어서, 입력 회수가 150회로 가장 많은 문자 「う」가 할당되어 있는 이동방향 「하」와, 입력 회수가 70회로 가장 적은 문자 「あ」가 할당되어 있는 이동방향 「상」을 교환하도록 문자 변환 테이블(T3)이 개서된다(도 28 참조). 또한, 집계 테이블(T7) 자체도 동일하게 개서된다(도 29 참조).
이러한 문자 변환 테이블(T3)의 개서에 의해, 입력 회수가 가장 많은 문자 「う」가 조작하기 쉬운 이동방향 「상」으로 변경되어 할당되기 때문에, 문자입력의 효율화가 달성된다.
한편, 스텝 S44의 판정결과가 「불성립」으로 스텝 S45로 진행하면, 이하에 개시하는 제 2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그리고, 스텝 S45의 판정결과가 「불성립」이면, 일련의 처리가 종료되지만, 스텝 S45의 판정결과가 「성립」이면, 스텝 S47로 진행하여 다른 입력 키 사이에서의 문자 할당의 교환이 실행된다.
여기서, 제 2 조건은 도 27에 도시한 집계 테이블(T7)의 전체 중에서, 입력 회수가 가장 많은 문자가 할당되어 있는 입력 키(10a 내지 10l) 및 그 키톱(50)의 이동방향과 입력 회수가 가장 적은 문자가 할당되어 있는 입력 키(10a 내지 10l) 및 그 키톱(50)의 이동방향을 구하고, 이 2개의 「입력 키 및 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입력 회수의 차가 3배 이상이고, 또한, 입력 회수가 가장 많은 문자가 할당되어 있는 입력 키가 입력 회수가 가장 적은 문자가 할당되어 있는 입력 키에 비교하여 「가압 조작하기 쉬운 입력 키」가 아닌 것, 다시 말하면 「가압 조작하기 어려운 입력 키」인 것을 내용으로 한다.
또한, 가압 조작을 하기 쉬운 입력 키인지 가압 조작을 하기 어려운 입력 키인지에 대해서는 세로가 긴 휴대전화기(300)의 경우, 이하의 기준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도 2에 가로 4행 세로 3열로 배열된 12개의 입력 키(10a 내지 10l) 중, 1행째의 입력 키(10a 내지 10c)가 가장 조작하기 쉽고, 2행째의 입력 키(10d 내지 10f)가 다음으로 조작하기 쉬우며, 3행째의 입력 키(10g 내지 10i)가 그 다음으로 조작하기 쉽고, 4행째의 입력 키(10j 내지 10l)가 가장 조작하기 어렵다는 기준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 이 기준은 어디까지나 세로가 긴 휴대전화기(300)의 경우이고, 형태가 다른 전자기기에 관해서는 그 전자기기에 대응한 별도의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텝 S45의 판정결과가 「성립」으로 스텝 S47로 진행하면, 예를 들면 도 29에 도시한 집계 테이블(T7)에 있어서, 입력 회수가 250회로 가장 많은 문자 「ん」이 할당되어 있는 입력 키(10l)의 이동방향 「중앙」과, 입력 회수가 70회로 가장 적은 문자 「あ」가 할당되어 있는 입력 키(10a)의 이동방향 「하」를 교환하도록 문자 변환 테이블(T3)이 개서된다(도 30 참조). 또한, 집계 테이블(T7) 자체도 동일하게 개서된다(도 31 참조).
이러한 문자 변환 테이블(T3)의 개서는 변환회로(250)의 프로세서 등이 실행하는 것이며, 이 문자 변환 테이블(T3)의 개서에 의해, 입력 회수가 가장 많은 문자 「ん」이 가장 조작하기 쉬운 입력 키(10a)의 이동방향 「하」로 변경하여 자동적으로 할당되기 때문에, 문자입력의 효율화가 자동적으로 달성되고, 문자입력이 더욱 용이한 휴대전화기(300)가 자동적으로 얻어진다.
스텝 S47에 이어지는 스텝 S48에서는 스텝 S46 및 스텝 S47에서 실행된 문자 할당의 교환의 통지가 실행된다. 이것은 문자 할당의 교환을 이용자에게 알리는 처리로, 구체적으로는 문자 할당의 교환이 행하여진 입력 키(10a 내지 10l) 및 그 키톱(50)의 이동방향을 변환회로(250)가 액정디스플레이(280)에 표시함으로써 실행된다.
이러한 스텝 S48의 처리에 의해, 이용자는 입력 키(10a 내지 10l) 및 그 키톱(50)의 이동방향에 어떠한 문자가 새롭게 할당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용자는 새로운 문자가 할당된 입력 키의 키톱(50)에 표면에 그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교환된 새로운 문자를 나타내는 실 등을 점착함으로써, 문자 할당의 교환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키톱(50)이 투명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새롭게 할당된 문자를 나타내는 종잇조각 등을 키톱(50)의 아래에 끼울 수도 있다. 또, 키톱(50)의 표면에 액정표시수단 등을 설치하고, 이 액정표시수단에 교환된 새로운 문자를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 5 실시예]
제 5 실시예에 관계되는 입력 키 및 입력장치는 입력빈도가 높은 「히라가나」나 특정한 기호는 제 1 실시예와 같은 입력 조작으로 입력 가능하게 하고, 입력빈도가 낮은 특정한 기호는 종래와 같이 입력 키를 복수회 가압 동작 조작하여 입력하는 동시에, 입력빈도가 높은 특정한 기호의 할당을 자동적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 밖의 부분은 제 1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와 대략 같기 때문에, 제 5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5 실시예에 있어서는 입력빈도가 비교적 높은 특정한 기호와 입력빈도가 낮은 특정한 기호가 도 2에 도시한 입력 키(10k), 입력 키(10l) 중, 예를 들면 입력 키(10k)에 할당된다. 이 때문에, 입력 키(10k)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키톱(50)을 소정의 이동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으로 입력빈도가 비교적 높은 특정한 기호를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종래와 같이 키톱(50)의 가압 조작의 회수에 따라서 입력빈도가 낮은 특정한 기호를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키(10k)에 대응한 문자 변환 테이블(T8)에는 키톱(50)의 이동방향 「중앙」에 대응하여 「を」의 문자가 등록되어 있다. 또한, 키톱(50)의 이동방향 「상」에 대응하여 「#」의 기호가 등록되고, 키톱(50)의 이동방향 「우」에 대응하여 「&」의 기호가 등록되고, 키톱(50)의 이동방향 「하」에 대응하여 「@」의 기호가 등록되어 있다.
여기서, 제 5 실시예에서는 입력 키(10k)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 중, 입력빈도가 높은 기호를 더욱 입력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문자 변환 테이블(T8; 도 32 참조)에 등록되어 있는 기호를 자동적으로 개서하는 처리가 도 33에 도시하는 플로 차트의 처리순서에 따라 실행된다. 우선, 스텝 S51에서는 휴대전화기(300)의 이용자가 입력 키(10k)의 키톱(50)을 적절한 이동방향으로 가압하면, 그 이동방향에 따라서 변환회로(250)가 적절한 기호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계속되는 스텝 S52에서는 일정기간 내에서의 각 입력 키(10k)의 키톱(50)의 이동방향 및 가압 회수를 도 34에 도시하는 기호 집계 테이블(T9)에 집계함으로써, 변환회로(250)가 일정기간에 입력된 기호의 입력빈도를 집계한다. 또, 변환회로(250)는 예를 들면 1시간 내지 수일간을 일정기간으로서 입력기호의 입력빈도를 집계 테이블(T9)에 집계한다.
도 34에 도시한 기호 집계 테이블(T9)은 변환회로(250)내에 설치된 RAM(Random Access Memory)에 구축되는 것이며, 입력 키(10k)의 키톱(50)의 이동방향 및 가압 회수에 대응한 입력기호마다 그 입력 회수가 집계된다. 이 기호 집계 테이블(T9)에는 키톱(50)의 이동방향을 「상」으로 하는 입력방법에 대응하여 「#」의 기호가 설정되고, 키톱(50)의 이동방향을 「우」로 하는 입력방법에 대응하여 「&」의 기호가 설정되며, 키톱(50)의 이동방향을 「하」로 하는 입력방법에 대응하여 「@」의 기호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키톱(50)의 가압 회수를 「5회」로 하는 입력방법에 대응하여 「£」의 기호가 설정되고, 키톱(50)의 가압 회수를 「6회」로 하는 입력방법에 대응하여 「Å」의 기호가 설정되어 있다.
스텝 S52에 이어지는 스텝 S53에서는 기호 집계 테이블(T9)에 집계된 각 기호의 입력 회수를 변환회로(250)가 조사한다. 이 조사결과에 근거하여, 다음의 스텝 S54에서는 이하에 개시하는 제 3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스텝 S54의 판정결과가 「불성립」이면 일련의 처리가 종료되지만, 스텝 S54의 판정결과가 「성립」이면, 스텝 S55로 진행하여 입력 키(10k)에서의 문자 할당의 교환이 실행된다.
제 3 조건은 입력 키(10k)의 키톱(50)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입력되는 기호 중에서 가장 입력 회수가 적은 기호(X기호라고 함)와 입력 키(10k)의 키톱(50)의 가압 회수에 따라서 입력되는 기호 중에서 가장 입력 회수가 많은 기호(Y기호라고 함)를 구하여, Y기호의 입력 회수가 X기호의 입력 회수의 2배 이상인 것을 내용으로 한다.
여기서, 도 34에 도시한 기호 집계 테이블(T9)에 의하면, X기호로서의 「&」의 입력 회수가 12회이고, Y기호로서의 「£」의 입력 회수가 130회이며, Y기호로서의 「£」의 입력 회수가 X기호로서의 「&」의 입력 회수의 2배 이상이다. 이 때문에, 기호 「&」와 「£」의 사이에는 제 3 조건이 성립하고, 스텝 S54의 판정결과가 「성립」이 된다.
그래서, 스텝 S55로 진행하면, X기호로서의 「&」의 입력방법과 Y기호로서의 「£」의 입력방법을 교환하도록 기호 집계 테이블(T9)이 개서된다(도 35 참조). 또한, 키톱(50)의 이동방향 「우」에 대응하여 등록되어 있던 기호 「&」를 기호 「£」로 변경하도록 문자 변환 테이블(T8)이 개서된다(도 36 참조).
그 결과 기호 「&」의 입력방법은 키톱(50)의 가압 회수를 「5회」로 하는 입력방법으로 변경되고, 기호 「£」의 입력방법은 키톱(50)의 이동방향을 「우」로 하는 입력방법으로 변경된다. 그리고, 입력 키(10k)의 키톱(50)을 「우」로 이동시키면, 기호 「&」 대신에 기호 「£」가 선택적으로 입력되게 된다. 또한, 입력 키(10k)의 키톱(50)을 「5회」 가압하면, 기호 「£」 대신에 기호 「&」가 선택적으로 입력되게 된다.
이러한 문자 변환 테이블(T8) 및 기호 집계 테이블(T9)의 개서 처리는 변환회로(250)의 프로세서 등이 실행하는 것이고, 이 기호 집계 테이블(T9)의 개서에 의해, 입력빈도가 높은 특정한 기호인 예를 들면 기호 「£」의 입력방법이 입력 키(10k)의 키톱(50)의 이동방향을 예를 들면 「우」로 하는 입력방법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기호 입력의 효율화가 자동적으로 달성되고, 기호 입력이 더욱 용이한 휴대전화기(300)가 자동적으로 얻어진다.
스텝 S55에 이어지는 스텝 S56에서는 스텝 S55에서 실행된 문자 할당의 교환 통지가 실행된다. 이것은 문자 할당의 교환을 이용자에게 알리는 처리로, 구체적으로는 문자 할당의 교환이 행하여진 입력 키(10k)의 키톱(50)의 「이동방향」 및 「가압 회수」를 변환회로(250)가 액정디스플레이(280)에 표시함으로써 실행된다.
이러한 스텝 S56의 처리에 의해, 이용자는 입력 키(10k)의 키톱(50)의 「이동방향」 및 「가압 회수」에 어떠한 기호가 새롭게 할당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용자는 새로운 기호가 할당된 입력 키의 키톱(50)에 표면에 그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교환된 새로운 기호를 나타내는 실 등을 점착함으로써, 문자 할당의 교환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키톱(50)이 투명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새롭게 할당된 기호를 나타내는 종잇조각 등을 키톱(50)의 아래에 끼울 수도 있다. 또, 키톱(50)의 표면에 액정표시수단 등을 설치하고, 이 액정표시수단에 교환된 새로운 기호를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제 5 실시예에서 설명한 「#」, 「&」, 「@」, 「£」, 「Å」 등의 특정한 기호의 할당은 일례이며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입력빈도가 비교적 높은 특정한 기호 「#」, 「&」, 「@」를 입력 키(10k)에 할당하고, 입력빈도가 낮은 특정한 기호 「£」, 「Å」를 입력 키(10l)에 할당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입력 키(10l)만, 종래와 같이, 키톱(50)의 가압 조작의 회수에 따라서 입력문자를 선택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6 실시예]
제 6 실시예에 관계되는 입력 키 및 입력장치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16에 도시하는 플로 차트의 스텝 S5의 처리를 변경하는 동시에, 키톱(50)의 이동방향의 데이터로서 최신의 100개의 「이동방향 데이터」를 격납하는 버퍼를 변환회로(70)에 설치한 점에 특징이 있고, 그 밖의 부분은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그래서, 제 6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부분에 관해서는 제 1 실시예와 같은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6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9에 도시한 변환회로(70)에 도 54에 도시하는 구성의 버퍼(B)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버퍼(B)는 이용자가 입력 조작한 입력 키(10a 내지 10l)의 각 키톱(50)의 이동방향의 데이터를 격납하는 것이며, 최신의 100개의 「이동방향 데이터」를 격납하도록 100개의 격납란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100개의 격납란에는 1 내지 100까지의 번호가 부가되어 있다.
버퍼(B)는 소위 링버퍼를 구성하고 있다. 이 버퍼(B)에는 1 내지 100의 번호가 부가된 100개의 격납란에 「이동방향 데이터」를 순차 격납하는 수단으로서 포인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 포인터에는 초기치로서 「100」이 격납되고, 최대치로서 「100」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포인터에는 전회 「이동방향 데이터」를 격납한 버퍼(B)의 격납란의 번호가 격납되어 있다.
이러한 포인터를 참조함으로써, 변환회로(70) 중의 프로세서는 전회 「이동방향 데이터」를 격납한 버퍼(B)의 격납란의 다음의 난에 계속해서 「이동방향 데이터」를 격납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1 실시예와 대략 동일하며, 텍스트 선택수단(40)은 입력 키(10a 내지 10l)에 할당되어 있는 「あ」 내지 「ん」 중 어느 한 문자를 도 16에 도시하는 플로 차트의 처리순서에 따라 선택적으로 입력한다. 또,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도 16에 도시한 플로 차트의 스텝 S5 및 스텝 S7의 처리이다.
제 6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6에 도시한 플로 차트의 스텝 S5의 처리 대신에, 도 38에 도시하는 플로 차트에 따른 처리가 실행된다. 우선, 도 16에 도시한 플로 차트의 스텝 S4에 이어지는 스텝 S5A로서, 변환회로(70)가 포인터의 값에 +1을 가산한다. 예를 들면 스텝 S4에 있어서, 변환회로(70)가 키톱(50)의 이동방향으로서 「중앙」을 최초에 검출한 경우, 변환회로(70)는 포인터의 초기치 「100」에 +1을 가산하여 포인터의 값을 「101」로 한다. 이러한 스텝 S5A의 처리에 의해, 변환회로(70) 중의 프로세서는 전회 「이동방향 데이터」를 격납한 버퍼(B)의 격납란의 다음의 난에 계속해서 「이동방향 데이터」를 격납할 수 있다.
스텝 S5A에 이어지는 스텝 S5B에서는 포인터의 값이 「101」 이상인 지의 여부가 변환회로(70)에 의해 판정된다. 이 판정결과가 YES로 포인터의 값이 「101」 이상이면, 스텝 S5D의 처리로 진행하여 포인터의 값이 「1」로 변환되고, 그 후, 스텝 S5C로 진행한다. 한편, 판정결과가 NO로 포인터의 값이 「101」미만이면, 그대로 스텝 S5C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S5C에서는 스텝 S5A에서 가산처리한 포인터의 값에 대응하는 버퍼(B)의 격납란에 스텝 S4에서 특정된 키톱(50)의 이동방향을 기록한다. 예를 들면, 특정된 키톱(50)의 이동방향이 「중앙」이고, +1 가산처리 후의 포인터의 값이 「2」라면, 버퍼(B)의 2번째의 격납란에 이동방향으로서 「중앙」을 기록한다.
이러한 일련의 처리는 도 16에 도시한 스텝 S6의 판정결과가 YES가 될 때까지 되풀이된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처리에 의해, 키톱(50)의 이동방향의 데이터로서 최신의 100개의 「이동방향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그래서, 도 16에 도시한 스텝 S7에서는 버퍼(B)에 격납되어 있는 키톱(50)의 「이동방향」의 개수가 변환회로(70)에 의해 집계되고, 그 집계결과가 도 14에 도시한 집계 테이블(T2)의 검출 회수에 격납된다.
이러한 제 6 실시예에 의하면, 최신의 100회의 검출결과로부터 얻어진 「이동방향 데이터」에만 근거하여 키톱(50)의 이동방향이 결정되기 때문에, 변환회로(70)는 이용자가 입력한 문자나 기호를 더욱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제 7 실시예]
제 7 실시예에 관계되는 입력 키 및 입력장치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입력 키(10a 내지 10l)의 구조(도 3 참조)를 도 39에 도시하는 구조로 변경한 것이고, 그 밖의 부분은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제 7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한 입력 키(10a)에 대응하는 입력 키가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단면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입력 키(310a)는 예를 들면 경질플라스틱 등의 강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해트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키톱(350)과 이 키톱(350)의 차양부(350b)를 둘러싸는 커버부(360a)가 상면에 돌출 설치된 기판 시트(360)와 이 기판 시트(360)상에 키톱(35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코일스 스프링(340)을 구비하고 있다.
키톱(350)의 천정부(350a)의 이면 중앙부에는 기판 시트(360)를 향해서 돌출하는 전극 지지부(350c)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는 제 1 접점으로서의 상부전극(320)이 고정되어 있다. 한편, 기판 시트(360)의 상면에는 제 2 접점으로서의 하부전극(330)이 상부전극(320)에 대향하여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코일 스프링(340)은 전극 지지부(350c), 상부전극(320) 및 하부전극(33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 일단부가 키톱(350)의 천정부(350a)의 이면에 접촉하고, 기타 단부가 기판 시트(360)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기판 시트(360)의 커버부(360a)는 도 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키톱(350)의 차양부(350b)를 비스듬하게 넣어 장착할 수 있는 폭이 넓은 개구부(360b)를 구비하고 있고, 키톱(350)의 차양부(350b) 및 차양부(350b)를 제외하는 본체 부분과의 사이에 키톱(350)을 전후좌우의 십자방향을 포함하는 방사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하는 클리어런스(clearance)를 형성하고 있다(도 39 참조).
이러한 상태로 기판 시트(360)상에 코일스 스프링(340)을 통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된 키톱(350)은 기판 시트(360)의 커버부(360a)에 차양부(350b)가 결합되는 것으로 위쪽으로 빠지지 못하게 되어 있고, 코일스 스프링(340)의 탄성에 저항하여 가압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커버부(360a)와의 사이에 소정의 클리어런스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키톱(350)은 전후좌우의 십자방향을 포함하는 방사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7 실시예의 입력 키(310a)에서는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키톱(350)의 천정부(350a)가 기판 시트(360)측으로 가압되면, 코일스 스프링(340)이 굴곡되어 상부전극(320)이 하부전극(330)에 접촉한다. 그 때, 키톱(350)의 천정부(350a)가 예를 들면 도 41의 좌방향으로 눌리면, 코일스 스프링(340)이 좌방향으로 기울어져 동작하여 상부전극(320)이 하부전극(330)에 대하여 좌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제 7 실시예의 입력 키(310a)는 제 1 실시예의 입력 키(10a)와 같이, 키보드 입력장치(200)의 평면에 직교하는 통상의 가압방향(P)과 이 가압방향(P)에 교차하는 방사방향(적어도 십자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7 실시예의 입력 키(310a)는 키톱(350)이 경질플라스틱 등의 강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되고, 또한, 항상적인 변형이 생기기 어려운 코일스 스프링(340)에 의해서 키톱(350)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높고, 장기간의 사용에 견딜 수 있다.
[제 8 실시예]
제 8 실시예에 관계되는 입력 키 및 입력장치는 제 7 실시예에서 설명한 입력 키(310a)의 전극 지지부(350c)의 구조(도 39 참조)를 도 42에 도시하는 구조로 변경한 것이며, 그 밖의 부분은 도 4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7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그래서, 제 8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제 7 실시예와 같은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8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키톱(350)의 천정부(350a)의 이면 중앙부에 기판 시트(360)를 향해서 돌출하는 짧은 전극 지지부(450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전극 지지부(450c)는 세직경의 연결부(450e)의 선단부에 대직경의 피스톤부(450d)가 형성된 것으로, 이 피스톤부(450d)는 하단부가 반구형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피스톤부(450d)는 실린더형의 시트 지지부재(440)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결합하여 연결되어 있고, 이 시트 지지부재(440)의 하단부에는 제 1 접점으로서의 상부전극(420)이 고정되어 있다.
시트 지지부재(440)는 도 4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스톤부(450d)를 슬라이딩 자유롭게 덮는 커버부(440a)를 갖고, 이 커버부(440a)의 단부에는 전극 지지부(450c)의 연결부(450e)가 삽입 통과되는 개구부(440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커버부(440a)의 내측에는 전극 지지부(450c)의 피스톤부(450d)에 대향하여 원판형의 엠보스 시트(442)가 장착되어 있다.
엠보스 시트(442)는 정상상태에서는 중앙부가 피스톤부(450d)를 향해서 원호형으로 융기한 단면형상을 갖는다. 이 엠보스 시트(442)는 탄성이 있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원호형으로 융기한 중앙부가 피스톤부(450d)에 의해서 가압되면, 그 중앙부가 가압방향으로 반전하여 원호형으로 융기하고, 그 때, 반발력으로서 피스톤부(450d)에 클릭감을 준다. 그리고, 이 엠보스 시트(442)는 피스톤부(450d)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되면, 중앙부가 피스톤부(450d)를 향해서 원호형으로 융기한 정상상태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8 실시예의 입력 키(410a)에서는 도 44에 도시하는 키톱(350)이 기판 시트(360)측으로 가압되면, 코일스 스프링(340)이 굴곡되어 전극 지지부(450c)와 같이 시트 지지부재(440)가 기판 시트(360)측으로 이동하고, 우선, 시트 지지부재(440)의 하단부에 고정된 상부전극(420)이 하부전극(330)에 접촉한다.
그렇게 하면, 전극 지지부(450c)의 피스톤부(450d)의 반구형으로 돌출한 하단부가 시트 지지부재(440)내의 엠보스 시트(442)의 중앙부에 접촉하고(도 45 참조), 이 엠보스 시트(442)의 중앙부를 가압한다(도 46 참조). 그 결과 엠보스 시트(442)의 원호형으로 융기한 중앙부가 가압방향으로 반전하여 원호형으로 융기하고(도 47 참조), 그 때, 반발력으로서 피스톤부(450d)에 클릭감을 준다.
이와 같이, 제 8 실시예의 입력 키(410a)에 의하면, 키톱(350)의 가압 조작에 따라 상부전극(420)이 하부전극(330)에 접촉한 이후, 엠보스 시트(442)가 반전하여 피스톤부(450d)에 클릭감을 주기 때문에, 키톱(350)이 충분히 깊게 가압되어 상부전극(420)이 하부전극(330)에 확실하게 접촉한 것을 클릭감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어, 안심하고 문자입력을 할 수 있다.
[제 9 실시예]
제 9 실시예에 관계되는 입력 키 및 입력장치는 제 7 실시예의 입력 키(310a)의 기판 시트(360)상에 도 48에 도시하는 엠보스 시트(500a) 및 접점 시트(500b)를 부가 설치한 것이며, 그 밖의 부분은 도 39에 도시한 제 7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그래서, 제 9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제 7 실시예와 같은 구성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9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4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 시트(360)상에 있어서의 키톱(350)의 차양부(350b)가 대면하는 부분에 접점 시트(500b)를 통해서 엠보스 시트(500a)가 부설되어 있다.
엠보스 시트(500a)는 탄성이 있는 합성 수지에 의해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정상상태에서는 중앙부가 원호형으로 융기한 단면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이 엠보스 시트(500a)는 원호형으로 융기한 중앙부가 키톱(350)의 차양부(350b)에 의해 가압되면, 그 중앙부가 가압방향으로 반전하여 원호형으로 융기하고, 그 때, 반발력으로서 키톱(350)의 차양부(350b)에 클릭감을 준다. 그리고, 이 엠보스 시트(500a)는 차양부(350b)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되면, 중앙부가 위쪽으로 원호형으로 융기한 정상상태로 복귀한다.
접점 시트(500b)는 엠보스 시트(500a)를 기판 시트(360)상에 지지하는 부재이며, 엠보스 시트(500a)의 중앙부가 가압방향으로 반전하여 원호형으로 융기할 수 있도록, 두께가 있는 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점 시트(500b)상에 지지된 엠보스 시트(500a)는 키톱(350)의 차양부(350b)에 따라 적어도 2개소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소 이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9 실시예의 입력 키(510a)에서는 도 48에 도시하는 키톱(350)이 기판 시트(360)측으로 가압되면, 코일스 스프링(340)이 굴곡되어 전극 지지부(350c)와 같이 상부전극(320)이 기판 시트(360)측으로 이동하여, 상부전극(320)이 하부전극(330)에 접촉한다.
그렇게 하면, 키톱(350)의 차양부(350b)가 엠보스 시트(500a)의 중앙부에 접촉하고, 이 엠보스 시트(500a)의 중앙부를 가압한다. 그 결과 엠보스 시트(500a)의 원호형으로 융기한 중앙부가 링형의 접점 시트(500b)의 내측에서 가압방향으로 반전하여 원호형으로 융기하고, 그 때, 반발력으로서 키톱(350)의 차양부(350b)에 클릭감을 준다.
이와 같이, 제 9 실시예의 입력 키(510a)에 의하면, 키톱(350)의 가압 조작에 따라 상부전극(320)이 하부전극(330)에 접촉하면, 키톱(350)의 차양부(350b)가 엠보스 시트(500a)의 중앙부에 접촉하여, 엠보스 시트(500a)가 반전하여 키톱(350)의 차양부(350b)에 클릭감을 주기 때문에, 키톱(350)이 충분히 깊게 가압되어 상부전극(320)이 하부전극(330)에 확실하게 접촉한 것을 클릭감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어, 안심하고 문자입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제 1 실시예 내지 제 9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입력 키의 키톱의 가압방향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종래부터 컴퓨터 입력장치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디지타이저(예를 들면, 일본의 일본 특개평 9-319498호 공보 참조)를 이용하여 키톱(50)의 가압방향을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디지타이저는 일반적으로, 위치 지시기로서의 기능을 갖고, 또한, 그 내측에 지시 코일을 구비하는 전자펜과 위치 지시기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또한, 그 내측에 복수의 센서 코일이 검출방향에 병설된 판형상 태블릿(tablet)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종류의 디지타이저는 판형상 태블릿의 센서 코일에 순차 교류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전자유도에 의해 전자 펜의 지시 코일에 제 1 유도전압을 발생시킨다. 이 상태로 교류신호를 끊으면, 지시 코일의 제 1 유도전압에 의해서 다시 전자유도에 의해 판형상 태블릿의 각 센서 코일에 제 2 유도전압이 생긴다. 이 때 생기는 각 센서 코일의 제 2 유도전압의 크기는 전자 펜의 지시 코일과 판형상 태블릿의 센서 코일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이 때문에, 각 센서 코일의 제 2 유도전압을 측정함으로써, 판형상 태블릿상에 있어서의 전자 펜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5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펜(171)이 고주파 전류원(172) 및 송신용 코일(173)을 내장하고, 다수의 센서 코일(174)이 태블릿면에 설치된 구성의 디지타이저를 채용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펜(171)에 내장된 코일(173)에 고주파 전류원(172)으로부터 고주파 전류를 흘리는 것으로, 자계를 발생시킨다. 이 자계를 센서 코일(174)이 검출하는 것으로, 상기 센서 코일(174)에 전류가 발생한다. 이 전류치에 착안하면, 펜(171)에 가까운 장소(즉, 자계가 강한 장소)에 설치된 센서 코일(174)에는 큰 전류가 흐르고, 펜(171)으로부터 먼 장소(즉, 자계가 약한 장소)에 설치된 센서 코일(174)에는 작은 전류가 흐른다. 이것에 의해, 전류치의 대소관계로부터 펜끝의 좌표가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좌표 검출은 X좌표, Y좌표의 각각에 관해서 행하고, 이 X, Y좌표치를 펜끝의 좌표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종류의 디지타이저의 원리를 이용하여 키톱이 가압된 방향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입력 키의 제 1 접점인 상부전극에 전자 펜으로서의 구조 및 기능을 갖게 하고, 입력 키의 제 2 접점인 하부전극에 판형상 태블릿으로서의 구조 및 기능을 갖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하부전극상의 상부전극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져, 키톱의 이동방향을 특정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관계되는 검출수단(즉, 키톱이 가압된 것을 검출하는 동시에, 가압시에 있어서의 소정의 기준위치로부터의 상기 키톱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는 수단)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2개의 접점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는 것 이외에, 이하에 설명하는 초음파나 광을 사용한 검출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일본의 일본 특개평 11-15592호 공보, 특개 2000-105671호 공보 참조).
우선, 초음파를 사용한 검출수단의 일례를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5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가 초음파 대역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갖는 펜(181)을, 키톱(50)의 이면의 소정 위치에, 바로 아래를 향하여 설치하고, 이 펜(181)과 대향시켜, 대략 정방형의 유리판으로 이루어지는 면(182)을 설치한다. 면(182)에는 소정의 원점(좌표(0,0)), X축 및 Y축이 설정되고, 면(182)상의 임의의 점의 위치는 이차원 좌표에 의해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키톱(50)을 바로 아래에 가압한 경우, 펜(181)은 면(182)상의 기준점(A)에 접촉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고, 이 기준점(A)의 이차원 좌표는 기지이다. 예를 들면, Y축상에는 초음파 진동을 검출하는 수진자((受振子)184, 185)가 설치되어 있다.
펜(181)을 가압하는 것으로, 펜(181)의 선단부가 면(182)상의 점(P)에 접촉 가압된 경우, 펜(181)의 선단부가 초음파 대역의 진동을 하고, 이 초음파 진동이 면(182)에 전달된다. 면(182)에 전해진 초음파 진동은 점(P)을 중심으로 하여 주위로 전파된다. 그리고, 경로(a, b)를 전파된 초음파 진동은 각각 수진자(184, 185)에 도달한다. 수진자(184, 185)를 예를 들면 압전 세라믹 등의 압전소자로 만들어 두면, 도래한 초음파 진동을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펜(181)은 면(182)에 접촉하여 초음파 진동을 전달하였을 때에 케이블(186)을 통하여 동기 신호를 연산부(183)로 출력한다.
연산부(183)는 수진자(184, 185)로부터의 전압신호 및 펜(181)으로부터의 동기 신호로부터, 이하의 식(1), (2)에 의한 연산을 하는 것으로, 점(P)의 위치(이차원 좌표(x, y))를 구할 수 있다. 또, 이하의 식(1), (2)에서, t0은 펜(181)으로부터 출력된 동기 신호출력의 시각, t1은 수진자(184)에서 초음파 진동을 수신한 시각, t2는 수진자(185)에서 초음파 진동을 수신한 시간이다. 면(182)을 전파하는 초음파의 속도를 V, 점(P)의 좌표를 (x, y), 수진자(184)의 설치된 좌표를(0, 0), 수진자(185)의 설치된 좌표를 (0, Y)로 한다.
x2+y2=(V(t1-tO))2 ··· (1)
x2+(y-Y2)=(V(t2-t0))2 ··· (2)
그리고, 연산부(183)는 구해진 점(P)의 위치(이차원 좌표(x, y))와 기준점(A)의 좌표치로부터, 접촉 가압된 점(P)에 관한 기준점(A)로부터의 위치 어긋남을 구할 수 있다.
다음에, 광을 사용한 검출수단의 일례를 설명한다. 광을 투과하지 않는 펜(181)을 도 57과 같이 키톱(50)의 이면의 소정 위치에 설치한다. 이 펜(181)과 대향하는 면(182)의 소정 위치에는 도 59와 같이 수발광장치(191L, 191R)를 설치하고, 면(182)의 3개의 변을 따라 재귀성(再歸性) 반사부재(193)를 설치한다. 수발광장치(191L, 191R)는 부채형으로 넓어지면서 입력영역(192)을 진행하는 광을 출사하고, 출사된 광은 재귀성 반사부재(193)에 의해 반사된다. 이 반사광은 수발광장치(191L, 191R)에 의해 수광되고, 수광된 광의 강도분포가 검출된다. 또한, 키톱(50)을 바로 아래에 가압한 경우, 펜(181)은 면(182)상의 기준점(A)에 접촉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고, 이 기준점(A)의 이차원 좌표는 기지이다.
도 57의 키톱(50)이 가압되어, 펜(181)의 선단부가 면(182)에 접근하면, 상기 선단부는 수발광장치(191L, 191R)로부터 출사된 광을 차단하게 된다. 이 차광에 의해서, 펜(181)의 선단부의 위치(면(182)상에 투영한 경우, 도 59의 점(P)에 대응하는 위치)에 따라서, 수발광장치(191L 및 191R)에서 검출되는 광의 강도분포에 골짜기(강도가 급격히 떨어진 부분)가 생긴다. 즉, 수발광장치(191L)는 광의 강도분포에 골짜기를 검출하는 것으로, 도 59의 각도(θL)를 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발광장치(191R)는 광의 강도분포에 골짜기를 검출하는 것으로, 도 59의 각도(θR)를 구할 수 있다. 이들 각도(θL, θR)로부터 도 59의 점(P)의 위치를 구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구해진 점(P)의 위치와 기준점(A)의 위치로부터, 점(P)에 관한 기준점(A)에서의 위치 어긋남을 구할 수 있다.
또, 초음파나 광을 사용한 검출수단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검출수단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스크래치 패드를 사용한 위치검출을 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도 57에 있어서의 펜(181)과 대향하는 면(182)에, 스크래치 패드를 적용한 구성예를 고려할 수 있다.
도 60은 스크래치 패드를 적용한 면(182)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도 61a는 도 60의 X-X선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0에 도시하는 면(182)의 구조에서는 도 6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182G)상에, X-X선에 따른 방향 및 이것에 수직의 방향에 따라 기둥부(182E; 도 60에서는 파선으로 도시함)가 설치되고, 기둥부(182E)의 위에 평판상의 압전 고무(182D)가 면(182)의 전체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압전 고무(182D)의 표면은 탄력성이 있는 보호재(182C)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 즉, 압전 고무(182D)와 기판(182G) 사이에는 공간(182H)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182G) 상에는 상기 기판(182G) 상에 돌출한 복수의 전극(182F)이 기판(182G) 상의 소정 위치에 2차원적으로 배치되고, 각 전극(182F)의 상단부와 압전 고무(182D)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형성되어 있다.
도 61b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극(182F1)은 전기배선 계통(A)에, 이 전극(182F1)과 인접하는 전극(182F2)은 전기배선 계통(B)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 전기배선 계통(A, B)에는 도시하지 않는 직류전원 등에 의해 일정한 전위차가 설정되어 있고, 전기배선 계통(A와 B)이 단락된 경우,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전극(182F1, 182F2)이 전기적으로 접속한 경우의 직류저항치는 상기 전극(182F1, 182F2)의 배치위치에 따라서 서로 다르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때문에, 전기배선 계통(A와 B)이 단락된 경우의 전류치는 전극(182F1, 182F2)의 배치위치에 따라서 다른 값이 된다. 전기배선 계통(A와 B)은 도 60에 도시하는 검출부(35)에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182)에 있어서의 전극(182F1, 182F2)의 바로 위부분이 가압된 경우, 도 6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호재(182C) 및 압전 고무(182D)에서의 상기 가압위치의 근방이 아래로 오목하게 들어가고, 압전 고무(182D)가 전극(182F1) 및 전극(182F2)과 접촉하는 것에 이른다. 이것에 의해, 전극(182F1)과 전극(182F2)은 압전 고무(182D)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기배선 계통(A와 B)이 단락되는 것에 이르러, 전류가 흐른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가압에 의해서 전기배선 계통(A, B)이 단락하여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검출부(35)는 키톱이 가압된 것을 검출한다. 또한, 검출부(35)는 가압에 의해서 전기배선 계통(A, B)이 단락함으로써 흐른 전류치를 검출하는 것으로, 가압된 위치를 검출하여, 소정의 기준위치로부터의 상기 검출된 위치의 위치 어긋남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크래치 패드를 사용하여 위치 어긋남을 검출함으로써, 키톱측의 돌기부(예를 들면 도 57의 펜(181))에 특별한 기구를 준비할 필요는 없고, 대향면측의 스크래치 패드를 가압하기 위한 돌기부만 준비하면, 상기 돌기부가 스크래치 패드를 가압한 것 및 상기 가압위치를, 스크래치 패드를 사용한 간단한 구조로 실현할 수 있어, 실현이 대단하게 용이하다.
또, 상기에서는 기판(182G)상의 소정 위치에 2차원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전극(182F)을 사용하여 가압위치(즉, 2차원 좌표)를 구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도 61a의 기구를 기판(182G) 상의 2개의 축 각각에 대해 설치하여, 가압위치에 관한 각 축에 따른 위치를 구하는 것으로, 상기 각 축에 따른 위치로부터 가압위치(즉, 2차원 좌표)를 구하여도 좋다.
그런데, 상기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나, 사용자에 의한 입력 키의 가압 조작 중에, 상기 입력 키에 관한 변환 테이블의 최신정보를 사용자에게 피드백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러한 사용자에 대한 변환 테이블 최신정보의 피드백 기능을 갖게 한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62에는 도 22의 구성에 상기 피드백 기능을 추가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6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장치(200)에는 제어부(41)가 더욱 설치되고, 이 제어부(41)는 입력 키에 대한 가압 조작 중에, 상기 시점에서의 상기 입력 키에 관한 변환 테이블의 정보(각 방향에 할당된 정보)를 표시화면(280)으로 출력하고, 상기 시점에서의 가압 조작에 대응한 입력후보정보를 표시화면(280)에 강조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표시화면(280)의 오른쪽 위에 도시하는 화상(42)과 같이, 각 방향에 대한 문자(A 내지 E)의 할당 및, 원으로 둘러싸 강조 표시된 문자 「A」가 현재 선택되어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피드백할 수 있다.
피드백은 예를 들면, 사용빈도 등에 따라서 입력 키에 대한 복수의 입력되는 정보의 할당이 변경되었을 때나, 할당은 변경되어 있지 않더라도 도 49의 F키(162)를 조작한 직후(문자입력의 모드 전환을 한 직후) 등의 타이밍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이하의 3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1) 사용빈도 등에 따라서 입력 키에 대한 문자정보 등의 할당이 변경된 경우에, 사용자는 입력 키의 가압 조작 중에, 최신의 할당 정보를 표시화면(280)의 오른쪽 위의 화상(42)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2) 예를 들면, 일본어의 히라가나의 입력 모드로부터 알파벳의 입력 모드로 바뀐 경우 등에, 사용자는 키톱상의 표시만으로는 나타내는 것이 곤란한, 다른 입력 모드의 최신의 할당 정보를 화상(42)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3) 사용자는 상기 시점에서의 가압 조작에 대응한 입력후보가 되는 정보(상기 시점에서 선택되어 있는 정보)를 화상(42)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최신의 할당정보의 피드백 기능에 의해, 사용자 조작의 용이성 및 확실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5개 이상의 정보를 간단한 입력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입력 가능한 입력 키 및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입력 키 및 입력장치에 의하면, 입력 키의 키톱을 가압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가압방향에 덧붙여 방사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이동시킨다고 하는 간단한 입력 조작에 의해, 5개 이상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입력 키 및 입력장치가 내장된 휴대전화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의 키보드 입력장치의 확대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의 입력 키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의 키보드 입력장치의 기능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의 입력 키의 키톱이 통상의 가압방향으로 탄성 변형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의 입력 키의 키톱이 통상의 가압방향 및 「상」방향으로 복합적으로 탄성 변형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의 키톱의 이동 가능한 방향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3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의 하부전극을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도 4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의 텍스트 선택수단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제 1 실시예의 하부전극의 x1배선의 접속상황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의 하부전극의 y1배선의 접속상황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2는 도 9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의 하부전극의 도전편의 배열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은 도 9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의 변환회로가 참조하는 방향 판정 테이블의 개념도.
도 14는 도 9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의 변환회로가 집계하는 집계 테이블의 개념도.
도 15는 도 9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의 변환회로가 참조하는 문자 개념도.
도 16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처리순서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17은 도 14에 대응하는 제 1 실시예의 집계 테이블의 개념도.
도 18은 도 9에 도시한 제 2 실시예의 변환회로가 참조하는 방향 개념도.
도 19는 도 9에 도시한 제 2 실시예의 변환회로가 집계하는 집계 테이블의 개념도.
도 20은 도 19에 대응하는 제 2 실시예의 집계 테이블의 개념도.
도 21은 도 9에 도시한 제 3 실시예의 변환회로가 참조하는 문자 변환 테이블의 개념도.
도 22는 도 4에 대응하는 제 3 실시예의 키보드 입력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23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처리순서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24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액정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키 선택화면의 모식도.
도 25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액정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방향 선택화면의 모식도.
도 26은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처리순서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27은 도 9에 도시한 제 4 실시예의 변환회로가 집계하는 집계 테이블의 개념도.
도 28은 도 9에 도시한 제 4 실시예의 변환회로가 개서하는 문자 변환 테이블의 개념도.
도 29는 도 9에 도시한 제 4 실시예의 변환회로가 개서하는 집계 테이블의 개념도.
도 30은 도 9에 도시한 제 4 실시예의 변환회로가 개서하는 문자 변환 테이블의 개념도.
도 31은 도 9에 도시한 제 4 실시예의 변환회로가 개서하는 집계 테이블의 개념도.
도 32는 도 9에 도시한 제 5 실시예의 변환회로가 참조하는 문자 변환 테이블의 개념도.
도 33은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처리순서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34는 도 9에 도시한 제 5 실시예의 변환회로가 집계하는 기호 개념도.
도 35는 도 9에 도시한 제 5 실시예의 변환회로가 개서하는 기호 집계 테이블의 개념도.
도 36은 도 9에 도시한 제 5 실시예의 변환회로가 개서하는 문자 변환 테이블의 개념도.
도 37은 도 9에 도시하는 제 6 실시예의 변환회로에 구성되는 버퍼의 개념도.
도 38은 제 6 실시예에 있어서의 처리순서의 일부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39는 제 7 실시예의 입력 키의 단면도.
도 40은 도 39에 도시한 제 7 실시예의 입력 키에 있어서의 커버부의 단면도.
도 41은 제 7 실시예의 입력 키의 작용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2는 제 8 실시예의 입력 키의 요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3은 도 42에 도시한 제 8 실시예의 입력 키의 요부 구조에 있어서의 시트 지지부재 및 엠보스 시트의 단면도.
도 44는 제 8 실시예의 입력 키의 단면도.
도 45는 도 42에 도시한 제 8 실시예의 입력 키의 요부 구조의 제 1 단계의 작용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46은 도 42에 도시한 제 8 실시예의 입력 키의 요부 구조의 제 2 단계의 작용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47은 도 42에 도시한 제 8 실시예의 입력 키의 요부 구조의 제 3 단계의 작용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48은 제 9 실시예의 입력 키의 단면도.
도 49는 복수 종류의 문자를 입력하는 예에 있어서의 휴대전화의 입력부의 구성도.
도 50은 F키에 할당된 문자종 지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1은 각 키에 대한 일본어의 히라가나 및 기호의 할당의 일례를 도시하는 표.
도 52는 각 키에 대한 영어의 알파벳 및 기호의 할당의 일례를 도시하는 표.
도 53은 도 52의 할당표에 근거하여 각 키에 알파벳 및 기호를 할당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4a 및 도 54b는 각 키에 대한 중국어의 성모의 할당 및 운모의 할당의 일례를 도시하는 표.
도 55는 각 키에 대한 한국어의 문자의 할당의 일례를 도시하는 표.
도 56은 키톱의 가압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디지타이저(digitizer)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7은 초음파 또는 광을 사용하여 키톱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는 예에 있어서의 펜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58은 초음파를 사용하여 키톱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9는 광을 사용하여 키톱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0은 스크래치(scratch) 패드를 적용한 면(182)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1a 및 도 61b는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도 60의 X-X선 단면 및 가압된 상태에 있어서의 도 60의 X-X선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62는 사용자에 대한 변환 테이블 최신정보의 피드백 기능을 갖게 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내지 10l: 입력키 20: 상부전극
30: 하부전극 38: 기반
60: 스페이서 70: 변환회로
100: 주사회로 200: 키보드 입력장치
280: 액정디스플레이 300: 휴대 전화기
Claims (12)
- 입력되는 정보가 복수 할당되는 입력 키로,가압되는 키톱과,상기 키톱이 가압된 것을 검출하는 동시에, 상기 키톱의 가압을 검출한 경우, 소정의 기준위치로부터의 상기 키톱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한 입력 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키톱과 함께 가압되는 제 1 접점과, 가압된 제 1 접점이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도전편을 복수 갖는 제 2 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키톱은 그 가압방향에 덧붙여 가압방향과 교차하는 방사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상기 키톱의 가압 조작에 따른 복수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접점이 상기 제 2 접점의 다른 위치에 배치된 도전편의 2개 이상에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키톱과 함께 가압되는 제 1 접점과, 가압된 제 1 접점의 접근에 의해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는 센서 코일을 복수 갖는 제 2 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키톱은 그 가압방향에 덧붙여 가압방향과 교차하는 방사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상기 키톱의 가압 조작에 따른 복수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접점이 상기 제 2 접점의 다른 위치에 배치된 센서 코일에 접근함으로써, 상기 센서 코일이 다른 크기의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키.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키톱이 그 이동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유연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이 키톱에 상기 제 1 접점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키.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일부 정도가 키톱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키.
- 입력되는 정보를 입력 키의 가압 조작에 의해 입력하는 장치로, 동일한 입력 키에 복수의 상기 입력되는 정보가 할당되는 입력장치에 있어서,상기 입력 키가,가압되는 키톱과상기 키톱이 가압된 것을 검출하는 동시에, 상기 키톱의 가압을 검출한 경우, 소정의 기준위치로부터의 상기 키톱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입력 키의 키톱과 함께 가압되는 제 1 접점과, 가압된 제 1 접점이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도전편을 복수 갖는 제 2 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제 1 접점이 접촉하는 제 2 접점의 2개 이상의 도전편의 도통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 키에 할당된 복수의 상기 입력되는 정보의 1개를 선택하는 정보 선택수단을 더욱 구비하고,상기 키톱은 그 가압방향에 덧붙여 가압방향과 교차하는 방사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상기 키톱의 가압 조작에 따른 복수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접점이 상기 제 2 접점의 다른 위치에 배치된 도전편의 2개 이상에서 접촉함으로써, 상기 정보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1개의 정보가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입력 키의 키톱과 함께 가압되는 제 1 접점과, 가압된 제 1 접점의 접근에 의해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는 센서 코일을 복수 갖는 제 2 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제 1 접점의 접근에 의해 제 2 접점의 센서 코일이 발생시키는 유도전압의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 키에 할당된 복수의 상기 입력되는 정보의 1개를 선택하는 정보 선택수단을 더욱 구비하며,상기 키톱은 그 가압방향에 덧붙여 가압방향과 교차하는 방사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상기 키톱의 가압 조작에 따른 복수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접점이 상기 제 2 접점의 다른 위치에 배치된 센서 코일에 접근함으로써, 상기 정보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1개의 정보가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선택수단에 의해 참조되어, 상기 입력 키에 할당된 복수의 상기 입력되는 정보가 상기 키톱의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격납된 변환 테이블과,이 변환 테이블의 내용을 임의로 개서 가능한 변환 테이블 개서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선택수단에 의해 참조되어, 상기 입력 키에 할당된 복수의 상기 입력되는 정보가 상기 키톱의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격납된 변환 테이블과,상기 입력 키에 의해 입력되는 각 정보의 입력 회수를 각각 집계하는 입력 회수 집계수단과,이 입력 회수 집계수단의 집계결과에 따라서 상기 변환 테이블의 내용을 개서하는 변환 테이블 개서수단을 더욱 구비하고,상기 변환 테이블 개서수단은 조작하기 쉬운 특정한 입력 키의 특정한 이동방향에 할당되어 있는 정보보다 입력 회수가 많은 정보를, 상기 특정한 입력 키의 특정한 이동방향에 할당하여 개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선택수단에 의해 참조되어, 상기 입력 키에 할당된 복수의 상기 입력되는 정보가 상기 키톱의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격납된 변환 테이블과,상기 입력 키에 의해 입력되는 각 정보의 입력 회수를 각각 집계하는 입력 회수 집계수단과,이 입력 회수 집계수단의 집계결과에 따라서 상기 변환 테이블에 상기 정보를 등록하는 변환 테이블 등록수단을 더욱 구비하고,상기 변환 테이블 등록수단은 상기 변환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기등록의 정보보다 입력 회수가 많은 미등록의 정보를, 상기 기등록의 정보로 바꾸어 재등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키에 대한 가압 조작 중에, 상기 시점에서의 상기 입력 키에 대한 복수의 입력되는 정보의 할당 정보를 외부의 표시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입력되는 정보 중 상기 시점에서의 가압 조작에 대응한 입력후보가 되는 정보를 상기 표시장치에 강조 표시시키는 제어수단을 더욱 구비한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3330514 | 2003-09-22 | ||
JPJP-P-2003-00330514 | 2003-09-22 | ||
JP2004179534A JP2005122686A (ja) | 2003-09-22 | 2004-06-17 | 入力キー及び入力装置 |
JPJP-P-2004-00179534 | 2004-06-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29688A true KR20050029688A (ko) | 2005-03-28 |
KR100666846B1 KR100666846B1 (ko) | 2007-01-11 |
Family
ID=34197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74384A KR100666846B1 (ko) | 2003-09-22 | 2004-09-17 | 입력 키 및 입력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7339124B2 (ko) |
EP (1) | EP1517226A3 (ko) |
JP (1) | JP2005122686A (ko) |
KR (1) | KR100666846B1 (ko) |
CN (1) | CN1331176C (ko) |
TW (1) | TWI258683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1262B1 (ko) * | 2005-12-28 | 2007-09-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
WO2011025944A2 (en) * | 2009-08-28 | 2011-03-03 | Toshiyasu Abe | Keyboar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072427B2 (en) * | 2006-05-31 | 2011-12-06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Pivoting, multi-configuration mobile device |
US7953448B2 (en) * | 2006-05-31 | 2011-05-31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Keyboard for mobile device |
JP2007206845A (ja) * | 2006-01-31 | 2007-08-16 | Wacom Co Ltd | 情報処理装置 |
US8462118B2 (en) | 2006-06-19 | 2013-06-11 | Nuance Communications, Inc. | Data entry system and method of entering data |
JP4767200B2 (ja) * | 2007-03-08 | 2011-09-07 | 任天堂株式会社 | 情報選択装置および情報選択プログラム |
CN101878464A (zh) * | 2007-12-05 | 2010-11-03 | 奥克斯摩斯有限公司 | 数据输入设备 |
JP4612703B2 (ja) * | 2008-04-02 | 2011-01-12 | シャープ株式会社 | 操作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TWI375162B (en) | 2008-05-02 | 2012-10-21 | Hon Hai Prec Ind Co Ltd | Character input method and electronic system utilizing the same |
US20100164756A1 (en) * | 2008-12-30 | 2010-07-01 | Nokia Corporation | Electronic device user input |
CN101483678B (zh) * | 2009-02-13 | 2012-10-03 | 华为终端有限公司 | 一种终端的按键设置方法及终端 |
KR100935340B1 (ko) * | 2009-07-13 | 2010-01-06 | 이성호 | 터치입력수단이 내장된 표시장치 |
KR101194528B1 (ko) * | 2010-08-27 | 2012-10-25 | 삼성전기주식회사 | 터치스크린용 키보드 패드 |
CN102486682A (zh) * | 2010-12-04 | 2012-06-06 |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 防止误操作键盘 |
US20120327001A1 (en) * | 2011-06-21 | 2012-12-27 | Yuvee, Inc. | Multi-gesture trampoline keys |
CN106850919A (zh) * | 2016-12-30 | 2017-06-13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一种控制方法和移动终端 |
CN108415597B (zh) * | 2018-02-08 | 2021-03-23 | 深圳市志凌伟业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触控感应电极结构 |
Family Cites Families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14600A (en) * | 1983-11-14 | 1985-04-30 |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 Video game hand controller |
US5528235A (en) * | 1991-09-03 | 1996-06-18 | Edward D. Lin | Multi-status multi-function data processing key and key array |
US5468924A (en) * | 1993-07-01 | 1995-11-21 | Sumitomo Wiring Systems, Ltd. | Joy stick support structure for multi-directional switch |
US5691517A (en) * | 1993-11-19 | 1997-11-25 | Sumitomo Wiring Systems, Ltd. | Multidirectional lever switch device |
US5744765A (en) * | 1995-06-19 | 1998-04-28 | Sumitomo Wiring Systems, Ltd. | Lever switch with support walls for supporting movable contact points and method of detecting an operating direction of a lever switch |
JPH09161617A (ja) * | 1995-11-30 | 1997-06-20 | Sega Enterp Ltd | スイッチ装置 |
JPH09222948A (ja) * | 1996-02-19 | 1997-08-26 |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Kk |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とその製造方法 |
DE69720854T2 (de) * | 1996-05-29 | 2003-11-20 |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Tokio/Tokyo | Führungsvorrichtung zum Verschieben und Positionieren eines Zeigers auf einem Computerbildschirm |
JPH09319498A (ja) | 1996-05-31 | 1997-12-12 | Toshiba Corp | ペン入力情報処理装置 |
JP3137000B2 (ja) * | 1996-07-05 | 2001-02-19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起電式スイッチ装置と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
JPH10241501A (ja) * | 1997-02-25 | 1998-09-1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プッシュスイッチ付複合操作型電子部品 |
JPH1115592A (ja) | 1997-06-23 | 1999-01-2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位置入力装置 |
JP3470022B2 (ja) * | 1997-09-30 | 2003-11-25 | ホシデン株式会社 | 多接点入力装置 |
US5912612A (en) * | 1997-10-14 | 1999-06-15 | Devolpi; Dean R. | Multi-speed multi-direction analog pointing device |
US6201468B1 (en) * | 1997-10-14 | 2001-03-13 | Devolpi Dean R. | Deflection sensor |
WO1999037025A1 (en) * | 1998-01-15 | 1999-07-22 | Granite Communications, Inc. | Data entry device having multifunction keys |
JPH11237945A (ja) | 1998-02-20 | 1999-08-31 | Nec Shizuoka Ltd | キーボード用のキー |
JP2000105671A (ja) | 1998-05-11 | 2000-04-11 | Ricoh Co Ltd | 座標入力/検出装置および電子黒板システム |
DE20017666U1 (de) * | 2000-10-15 | 2000-12-28 | Marsch Manuel | Für Textnachrichten optimierte Zehnertastatur für mobile Endgeräte |
US6520699B2 (en) * | 2001-02-16 | 2003-02-18 | Toshiyasu Abe | Keyboard |
JP2003031075A (ja) * | 2001-07-12 | 2003-01-31 | Alps Electric Co Ltd | 多方向入力装置 |
JP2003031077A (ja) * | 2001-07-16 | 2003-01-31 | Sunarrow Ltd | 多段多方向キー及びこれを用いた多段多方向キースイッチ |
US6643371B2 (en) * | 2001-08-31 | 2003-11-04 | Wildseed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alphanumeric data entry |
JP4591649B2 (ja) * | 2001-09-26 | 2010-12-01 | ミツミ電機株式会社 | 十字キースイッチ |
JP3923789B2 (ja) * | 2001-11-26 | 2007-06-06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多方向入力装置 |
DE10204379B4 (de) * | 2002-02-02 | 2008-06-26 | Völckers, Oliver | Einrichtung zur Texteingabe durch eine Betätigung von Tasten eines nummerischen Tastenblocks für elektronische Geräte und Verfahren zur Verarbeitung von Eingabeimpulsen bei einer Texteingabe |
JP4108401B2 (ja) * | 2002-07-26 | 2008-06-25 | 日本電気株式会社 | 入力装置及び移動端末 |
-
2004
- 2004-06-17 JP JP2004179534A patent/JP2005122686A/ja active Pending
- 2004-09-07 US US10/934,370 patent/US733912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9-09 TW TW093127415A patent/TWI258683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9-09 EP EP04021491A patent/EP1517226A3/en not_active Withdrawn
- 2004-09-17 KR KR1020040074384A patent/KR10066684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9-22 CN CNB2004100118315A patent/CN1331176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1262B1 (ko) * | 2005-12-28 | 2007-09-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
WO2011025944A2 (en) * | 2009-08-28 | 2011-03-03 | Toshiyasu Abe | Keyboard |
WO2011025944A3 (en) * | 2009-08-28 | 2011-08-04 | Toshiyasu Abe | Keyboar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7339124B2 (en) | 2008-03-04 |
CN1601679A (zh) | 2005-03-30 |
TW200519714A (en) | 2005-06-16 |
JP2005122686A (ja) | 2005-05-12 |
TWI258683B (en) | 2006-07-21 |
EP1517226A2 (en) | 2005-03-23 |
KR100666846B1 (ko) | 2007-01-11 |
US20050061638A1 (en) | 2005-03-24 |
EP1517226A3 (en) | 2009-04-22 |
CN1331176C (zh) | 2007-08-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66846B1 (ko) | 입력 키 및 입력장치 | |
JP4459725B2 (ja) | 入力キー及び入力装置 | |
JP3314276B2 (ja) | 回路板へのデータ又は信号入力用のマルチ状態マルチ機能キー及びキーボード | |
US20060255971A1 (en) | Keypad for enhancing input resolution and method for enhancing input resolution using the same | |
US20040125078A1 (en) | Input device | |
JP2005242983A (ja) | 入力キー及び入力装置 | |
EP1290705A2 (en) | Input devices and their use | |
US20090267900A1 (en) | Operation method of user interfa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portable device | |
JP5371712B2 (ja) | キー入力装置および携帯端末 | |
CN109656455B (zh) | 一种智能手表及其输入方法 | |
US20030169240A1 (en) |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 |
JP2002342011A (ja) |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デバイス、文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かな漢字変換プログラム | |
RU2267183C2 (ru) | Устройства ввода и их использование | |
KR20110138743A (ko) | 측면 및 후면 터치센서가 구비된 모바일 장치 | |
US20020180698A1 (en) | Keypads | |
KR101808774B1 (ko) | 가상 키보드 구조, 가상 키패드 기반 문자 입력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
JP2004334738A (ja) | 入力装置 | |
KR101046660B1 (ko) | 문자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 |
KR102332178B1 (ko) | 장애인을 위한 단축 키보드 시스템 및 이의 사용 방법 | |
EP1699065A2 (en) | Input devices and their use | |
KR100538248B1 (ko) | 한글 모음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 |
EP1528584A2 (en) | Input devices and their use | |
JP6525082B2 (ja) | 電子機器、該電子機器に用いられる情報入力方法及び情報入力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携帯端末装置 | |
KR20100032024A (ko) |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 |
JP2014086936A (ja) | 電子機器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