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2024A -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 Google Patents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2024A
KR20100032024A KR1020080090966A KR20080090966A KR20100032024A KR 20100032024 A KR20100032024 A KR 20100032024A KR 1020080090966 A KR1020080090966 A KR 1020080090966A KR 20080090966 A KR20080090966 A KR 20080090966A KR 20100032024 A KR20100032024 A KR 20100032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character
money
drag
charact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6142B1 (ko
Inventor
오맹원
Original Assignee
오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맹원 filed Critical 오맹원
Priority to KR1020080090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142B1/ko
Publication of KR20100032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 및 드래그방식의 자판과 자판사이의 동선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돈(·)계열 자판과 쓰(-)계열 자판으로 구성된 모오스부호를 이용한 문자가 3*3구조의 원형모양으로 배정된 문자입력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와,
모오스부호의 돈(·)계열 자판과 쓰(-)계열 자판으로 구성된 기본자판, 방향성을 가지는 확장자, 백스페이스, 스페이스, 필기인식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터치스크린에 적용가능한 개선된 투 클릭 모오스부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본자판은 터치(Touch)로 문자를 입력하고 방향성을 가지는 확장자는 드래그(Drag)로 문자를 입력하되, 드래그(Drag)의 궤적에 따라 문자를 결정하고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 터치, 드래그, 문자입력, 모오스, 돈, 쓰, 접촉인식

Description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Letter entry device and method which use Touch and Drag}
본 발명은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의 터치와 드래그 방식을 이용하여 개선된 투 클릭 모오스부호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는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으로 인해 휴대정보단말기의 문자입력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으나 편리성, 신속성, 정확성, 이동성을 충족하는 입력방식에 대한 필요성이 많이 증가하고 있고,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수단은 현재 숫자 또는 문자로 구성된 키패드를 눌러 한 글자씩 완성하는 방식, LCD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방식, 접이식 키보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 등이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단문을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휴대 용 단말기를 단문 입력 모드로 전환한 후 원하는 메시지를 입력하게 되는데, 상기 메시지 입력시, 전화통화 모드에서 다이얼 버튼으로 사용되는 키패드가 문자입력을 위한 키보드로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와 같은 한글 자판부를 통해 문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유용한 문자 입력체계가 필요하며 다양한 방법 등이 제안되었으며,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한글문자 입력방법은 '천지인'이라는 자음과 모음을 개별로 입력하여 글자를 완성하는 방법과 '으뜸한글'과 같이 자음과 완성된 모음을 개별적으로 입력하여 글자를 완성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천지인' 입력방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에서 자음과 모음의 버튼을 구분하여 '1,2,3'키패드에는 모음에 해당하는 'ㅣ, ·, ㅡ'를 할당하고, '4~9, 0'키패드에는 자음을 할당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 글자를 완성시키고, 특히 단 3개의 버튼으로 모든 모음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 상에서 글자 입력이 쉬운 편이다.
상기 '으뜸한글'의 원리는 자판의 첫 입력은 항상 자음으로부터 시작되며, 첫 글자의 첫 자음과 받침으로 끝난 다음 글자의 첫 자음은 반드시 모음과 조합되도록 한 것으로, 자음과 완성된 모음의 조합으로 글자를 완성시키고 통일 자판을 바탕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 상에서 글자 입력이 쉬운 편이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한글문자 입력방법은 하나의 키패드에 자음과 모음이 함께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문자 입력시 동선이 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모오스부호는 돈(dot :·)과 돈의 3배의 길이인 쓰(dash : - )로 구성되며, 문자와 기호 사이는 3단점 길이의 간격을 취한다. 영어인 경우 단어와 단어 사이는 7단점의 간격을 두고, 국문인 경우는 글자와 글자 사이는 5단점의 길이를 둔다.
하지만, 종래의 모오스부호는 한 손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쥔 채로 손가락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한글문자 또는 영어문자에 대응하는 돈(dot :·)과 쓰(dash : - )를 외워서 사용하기가 힘들고,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ㅈ', 'ㅊ', 'ㅋ' 등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돈(dot :·)과 쓰(dash : - )를 번갈아 가면서 여러 번 반복 입력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대한민국출원번호(출원번호 : 10-2007-0038719, 발명의 명칭 : 투 클릭 모오스부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입력방법)를 제안하였다.
상기 본 제안기술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모오스부호를 도 2에 도시된 투 클릭 모오스부호로 개선하여 응용한 투 클릭 모오스 자판을 제공함으로써 일반인뿐만 아니라 장애인(시각, 손)들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거나, 자판수를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시각에 크게 의존하지 않고도 차량 등의 이동 중에도 한 손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 신체부착형 자판으로 활용하면 역시 한 손만으로도 아주 쉽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상기 본 제안기술 역시 최근 급속한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터치스크린에 적용할 경우, 투 클릭 모오스 자판의 장점과 터치스크린의 장점을 충분하게 살리지 못하고 오히려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오스부호를 개선하여 응용한 투 클릭 모오스부호가 할당된 자판을 터치스크린에 제공하고, 터치스크린의 터치와 드래그 방식을 이용하여 누구나가 손쉽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 및 드래그방식의 자판과 자판사이의 동선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돈(·)계열 자판과 쓰(-)계열 자판으로 구성된 모오스부호를 이용한 문자가 3*3구조의 원형모양으로 배정된 문자입력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하고,
모오스부호의 돈(·)계열 자판과 쓰(-)계열 자판으로 구성된 기본자판, 방향성을 가지는 확장자, 백스페이스, 스페이스, 필기인식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터치스크린에 적용가능한 개선된 투 클릭 모오스부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본자판은 터치(Touch)로 문자를 입력하고 방향성을 가지는 확장자는 드래그(Drag)로 문자를 입력하되, 드래그(Drag)의 궤적에 따라 문 자를 결정하고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은, 개선된 투 클릭 모오스부호와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누구나가 손쉽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다른 효과로는, 드래그 방식을 통한 문자입력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터치방식의 문자입력속도보다 더욱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전의 모오스부호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오스 통신 원리를 현대인이 익숙한 자판을 통한 문자입력방으로 구현하려면 최소 돈과 쓰를 입력하기 위한 키와 모오스부호 입력시 부호와 부호를 분리해줄 수 있는 한 개의 키를 추가하여 한다. 이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오스 코드와 대응되는 문자판을 보고 조합하여 눌러줌으로써 해당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안기술인 개선된 투 클릭 모오스부호는 모오스 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돈계열(돈, 돈돈, 돈돈돈)과 쓰계열(쓰, 쓰쓰, 쓰쓰쓰)을 가지는 총 6개의 키로 확대하고 한 문자를 표현하기 위한 바이트 수를 6바이트까지 확대하고 돈과 쓰의 조합이 아닌 돈계열과 쓰계열의 조합으로 바꾸면 키 누름 횟수를 줄이면서 손쉽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즉, 돈계열과 쓰계열 자판 중 하나만으로 표현되는 문자(ㅏ, ㅓ, ㅗ, ㅜ, ㅡ, ㅣ)를 무신호를 의미하는 space키와 묶어주고, 단위 누름회수 2회당 눌러주는 신호를 조합하면 문자가 생성되는 원리가 만들어지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투 클릭 모오스부호를 이용한 자판을 만들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투 클릭 모오스부호를 터치스크린에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기본자판을 2*3구조로 나타낸 참조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터치스크린에 적용된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투 클릭 모오스부호를 이용한 자 판은 터치스크린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 터치스크린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면서 문자입력에 많은 불편한 점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특징인 문자입력장치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하게 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문자입력장치는 문자입력시 중요한 띄어쓰기 및 수정, 그리고 자판과 자판사이의 동선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3*3구조의 원형모양을 가지되, 좌우측에 배열된 6개의 기본자판(10), 중앙열에 백스페이스키(20), 스페이스키(30), 숫자나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필기인식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본자판(10)에는 기본문자(60)와 확장자(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한글자판을 사용할 경우 모음 중 발생빈도가 높은 ㅏ, ㅓ, ㅗ, ㅜ, ㅡ, ㅣ를 기본문자로 좌우측에 3문자씩 각각 배치하고 그외의 문자는 방향성을 가지는 확장자로 배치한다.
또한, 영문자판을 사용할 경우 발생빈도가 높은 E, T, A, O, I, N을 기본문자로 좌우측에 3문자씩 각각 배치하고 그외의 문자는 방향성을 가지는 확장자로 배치한다.
즉, 발생빈도가 높은 문자를 기본문자로 배치함으로써, 터치스크린의 장점인 터치(Touch) 및 드래그(Drag)를 충분히 살려서 기본문자와 확장자를 포함하는 기본자판을 터치하거나 드래그할 때 자판의 중앙->사방, 사방->중앙으로 동선이 만들어지는 밸런스를 주면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문자입력방법을 설명하면,
종래의 문자입력방법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위 특정문자를 터치하는 것(점선으로 표시한 원)으로 문자입력이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자판 내 임의의 지점을 터치(점으로 표시한 사각형 모양(80))한 후, 이와 연결되는 또 하나의 기본자판(80)으로 드래그하여 문자를 입력하게 되는데, 이때 연결되는 또 하나의 기본자판이 어느 것이냐에 따라 입력될 문자가 결정되는 것이 특징이며, 이로 인하여 섬세하고 정확한 터치에서 좀 더 자유로울 수 있어 오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다문자가 할당된 기본자판의 문자인식 기준을 문자 자체에 두지 않고 기본자판이 차지하고 있는 자판면에 두고 이를 터치 및 드래그 방식을 통해 연속 인지된 신호를 문자로 조합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Drag)를 함께 이용(도 6에 도시된 굵은 실선)하면 단순한 터치만을 이용해서 문자를 입력할 때와 비교하면 키 누름 횟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기본자판에 할당된 기본문자는 터치로 하고 확장자는 드래그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기본문자 입력 시 항상 터치해주어야 할 스페이스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그리는 궤적이 지나온 모든 면을 문자인식의 기초로 삼지않고, 드래 그된 궤적의 시작점(start)과 종료점(stop)을 인지하여 문자로 변환하는데 있어 문자인식의 결정점을 출발점이 아닌 종료점에서 찾는다는 것이다.
도 7a에 도시된 드래그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한 선들을 연결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도 7a, 도 7b를 비교하면 드래그를 연속해서 문자를 입력할 경우 꺾임점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앞으로 보면 종료점(stop)이 되지만 뒤로 보면 시작점(start)가 된다. 다시 말하면 꺾임이 발생하는 그 지점의 기본자판 면을 통째로 인식하여 문자로 전환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를 보면, 한글의 쌍자음(ㄲ, ㄸ, ㅃ, ㅆ, ㅉ)을 입력하려면 해당 기본자판 면에서 원, 타원, 사각형 또는 다른 형태를 그리면 되고, 영문대문자 입력방법도 역시 드래그한 후 원, 타원, 사각형 또는 다른 형태를 그리면 입력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하면, 대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소문자 입력모드에서 여러번 키를 눌러 입력모드를 바꾸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도 9는 띄어쓰기를 해야할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스페이스키를 터치해도 되겠으나, 드래그를 이용하면 띄어쓰기와 문자입력을 한 번에 연속해서 수행할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스키 위 임의의 지점에서 드래그를 시작하여 주면 한 칸을 자동을 띄어준 후 해당 문자가 입력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을 이용하여 숫자 또는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방 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숫자나 특수문자 입력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숫자나 특수문자를 입력할 경우는 숫자나 특수문자가 상대적으로 활용빈도가 많이 낮기 때문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굳이 입력선택 모드 전환없이 필기인식판을 이용하여 직접 입력하여 문자입력속도를 한층 높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인 문자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직접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을 이용하여 문자를 직접 입력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독도는 우리 땅."을 입력해보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은 start1, start2, start3까지 순서대로 터치 또는 드래그하면 되고, "도"는 start4, start5까지 순서대로 터치 또는 드래그하면 되고, "는"은 start6, start7까지 순서대로 터치 또는 드래그하면 되고, 빈 칸과 "우"는 start8, start9까지 순서대로 터치 또는 드래그하면 되고, "리"는 start10처럼 터치 또는 드래그하면 되고, 빈칸과 "땅"은 start11, start12, start13, start14까지 순서대로 터치 또는 드래그하면 되고, "."은 start15처럼 필기인식판에 점(dot)를 그려주면 된다.
다음으로, "I love you!"를 입력하려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I"는 start1처럼 원을 그려주면 되고, 빈칸과 "l"은 start2처럼 드래그하면 되고, "ov"는 start3처럼 드래그하면 되고, "e"는 start4처럼 터치 또는 드래그하면 되고, 빈칸과 "y"는 start5처럼 드래그하면 되고, "o"는 start6처럼 터치 또는 드래그하면 되고, "u"는 start7처럼 드래그하면 되고, "!"는 start8처럼 필기인식판에 느낌표를 그려주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오스부호의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본 출원인이 출원한 투 클릭 모오스 부호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기본자판을 2*3구조로 나타낸 참조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을 이용하여 숫자 또는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을 이용하여 문자를 직접 입력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기본자판 20 : 백스페이스키
30 : 스페이스키 40 : 필기인식판
60 : 기본문자 70 : 확장자
80 : 기본자판의 면

Claims (9)

  1.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 및 드래그방식의 자판과 자판사이의 동선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돈(·)계열 자판과 쓰(-)계열 자판으로 구성된 모오스부호를 이용한 문자가 3*3구조의 원형모양으로 배정된 문자입력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3*3구조의 원형모양은
    중앙상단에 백스페이스키, 정중앙에 스페이스키 및 중앙하단에 필기인식판이 배치되고, 양쪽에 돈(·)계열 자판과 쓰(-)계열 자판으로 구성된 모오스부호를 이용한 문자를 3*3구조로 배치하되, 문자인식은 각 키 또는 자판에 배치된 문자단위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각 키 또는 자판의 면단위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3*3구조는
    한글자판인 경우 ㅏ, ㅓ, ㅗ, ㅜ, ㅡ, ㅣ를 좌우에 배치하여 기본자판으로 설정하고, 영문자판인 경우 E, T, A, O, I, N을 좌우에 배치하여 기본자판으로 설정하고, 그외의 문자는 방향성을 가지는 확장자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장치는
    각 키 또는 자판에 배치된 문자단위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각 키 또는 자판의 면단위로 문자를 인식하고, 터치(Touch) 또는 드래그(Drag)된 궤적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인지한 후 최종 종료점을 이용하여 문자를 결정하고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5.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돈(·)계열 자판과 쓰(-)계열 자판으로 구성된 모오스부호는
    돈(·), 돈돈(··), 돈돈돈(···)의 모오스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3개의 돈(·)계열키와, 쓰(-), 쓰쓰(--), 쓰쓰쓰(---)의 모오스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3개의 쓰(-)계열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6. 모오스부호의 돈(·)계열 자판과 쓰(-)계열 자판으로 구성된 기본자판, 방향성을 가지는 확장자, 백스페이스, 스페이스, 필기인식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터치스크린에 적용가능한 개선된 투 클릭 모오스부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본자판은 터치(Touch)로 문자를 입력하고 방향성을 가지는 확장자는 드래그(Drag)로 문자를 입력하되, 드래그(Drag)의 궤적에 따라 문자를 결정하고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7. 청구항 6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를 결정하는 방법은
    터치(Touch) 또는 드래그(Drag)된 궤적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인지하고, 최종 종료점을 이용하여 문자를 결정하고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8. 청구항 6항 또는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를 결정하는 방법은
    터치(Touch) 또는 드래그(Drag)된 궤적의 종료점을 인지하고 최종 종료점에서 원, 타원, 사각형 또는 다른 형태의 궤적을 그리면, 대문자, 소문자 또는 한글 의 쌍자음으로 문자를 결정하고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9. 청구항 6항 또는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를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필기인식판을 이용하여 숫자 또는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1020080090966A 2008-09-17 2008-09-17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KR100966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966A KR100966142B1 (ko) 2008-09-17 2008-09-17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966A KR100966142B1 (ko) 2008-09-17 2008-09-17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024A true KR20100032024A (ko) 2010-03-25
KR100966142B1 KR100966142B1 (ko) 2010-06-25

Family

ID=42181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966A KR100966142B1 (ko) 2008-09-17 2008-09-17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1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610B1 (ko) * 2011-02-24 2013-02-08 오맹원 두글방식과 쿼티방식의 키판을 혼합 배치하여 문자를 생성하는 문자입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040B1 (ko) * 2011-03-29 2013-01-21 팅크웨어(주)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4998A (ja) 1999-01-25 2000-08-04 Ntt Data Corp 文字入力システム及び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KR100443798B1 (ko) * 2001-07-23 2004-08-09 김승환 개인용 컴퓨터와 호환성을 갖는 휴대형 문자입력 장치
KR100477852B1 (ko) * 2002-08-16 2005-03-22 강훈기 터치스크린용 문자입력장치
KR100796335B1 (ko) * 2006-04-26 2008-01-21 오맹원 입력수단의 모르스부호 입력 구조 및 입력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610B1 (ko) * 2011-02-24 2013-02-08 오맹원 두글방식과 쿼티방식의 키판을 혼합 배치하여 문자를 생성하는 문자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6142B1 (ko) 201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549B1 (ko) 투 클릭 모르스부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US20160005150A1 (en) Systems to enhance dat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JP4316687B2 (ja) 画面タッチ式入力装置
CN102177485A (zh) 数据输入系统
US75619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s to displa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1001807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030030573A1 (en) Morphology-based text entry system
US200902438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alphanumeric data via keypads or display screens
KR100966142B1 (ko)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CN105260124B (zh) 六按键汉字及英文触摸屏滑行输入方法
KR101126734B1 (ko) 알파벳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426643B1 (ko) 일본어 입력장치
KR101176280B1 (ko) 투 클릭 모오스코드가 할당된 기본자판 영역내의 터치 또는 다수의 기본자판 영역 간의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KR101046660B1 (ko) 문자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261128B1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20050005158A (ko)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인접 키 입력 방식의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101637163B1 (ko) 문자입력장치
CN104156170A (zh) 基于触摸屏固定路径韵母的汉语拼音输入方法及其系统
KR20050043541A (ko) 다섯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손가락용 터치스크린 및문자입력방법
KR101255801B1 (ko) 한글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CN102622103A (zh) 符合汉字书写习惯的触屏笔画输入法及键盘
KR20100027195A (ko) 한글자음 필기인식과 터치인식 조합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1231610B1 (ko) 두글방식과 쿼티방식의 키판을 혼합 배치하여 문자를 생성하는 문자입력장치
CN106708286B (zh) 一种智能手表输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