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040B1 -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8040B1 KR101218040B1 KR1020110028381A KR20110028381A KR101218040B1 KR 101218040 B1 KR101218040 B1 KR 101218040B1 KR 1020110028381 A KR1020110028381 A KR 1020110028381A KR 20110028381 A KR20110028381 A KR 20110028381A KR 101218040 B1 KR101218040 B1 KR 1012180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character
- sensing
- touch
- sensing sens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5—Guidance during keyboard input operation, e.g. promp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밭전자(田) 형태로 된 문자 입력 버튼을 표시하는 화면 터치부, 상기 밭전자 형태 중 입구자(口)의 각 외측 테두리선마다 제1 감지 센서가 배치되고, 열십자(十)의 각 내측 테두리선마다 제2 감지 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입구자의 외측 테두리선과 열십자의 내측 테두리선의 각 사이에 복수개의 제3 감지 센서가 배치될 때, 상기 제1 감지 센서, 제2 감지 센서 및 제3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 면과 방향 형태에 따라 감응 신호를 달리 생성하여 입력 문자를 결정하는 감지 센서부, 및 상기 화면 터치부 및 감지 센서부를 제어하여, 상기 감응 신호에 따라 결정된 입력 문자를 표시 화면의 표시창에 표시하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움 버튼, 창닫기 버튼, 줄바꾸기 버튼, 엔터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동작에 반응하여 상기 표시창에 표시된 입력 문자들을 다시 표시하거나 지우는 문자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본 발명은 밭전자 형태의 문자 입력 패턴에 의하여, 터치 -> 드래그 -> 업 동작(터치 화면에서 손을 떼는 동작)만으로도 문자를 간편하고, 빠르게 입력이 가능한 효과가 달성된다.
이에, 본 발명은 밭전자 형태의 문자 입력 패턴에 의하여, 터치 -> 드래그 -> 업 동작(터치 화면에서 손을 떼는 동작)만으로도 문자를 간편하고, 빠르게 입력이 가능한 효과가 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IT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전자 기기들이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 휴대폰, 테블릿 PC, 스마트 TV, IPTV 및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전자 기기들이 새롭게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들의 공통점은 문자 입력이 가능한 형태를 취하여 상대방과 문자를 주고받거나 양방향 통신을 통하여 자신의 생각을 상대방에게 문자로서 전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 기기들은 문자 입력 수단으로서 여러 문자들이 배열된 문자 입력 자판(리모콘) 또는 터치용 입력 자판을 채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한글 문자를 터치용 입력 자판을 이용하여 입력하게 되면, 한글의 자음과 모음에 상응하는 입력 자판들을 여러번 눌러야만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자판 입력을 위하여 양손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문자 입력 시간이 길뿐만 아니라 양손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과 각 기종마다 입력 방식이 달라 그 입력 방식에 적응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외에도, 특허 제 1008581호에는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 방향 지시 위치 중 어느 하나가 눌려지는 제1 방향입력,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2 방향 지시 위치 중 어느 하나로 가압되어 이동되는 제2 방향입력, 손가락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3 방향 지시 위치들 중 어느 하나가 눌려지는 제3 방향입력, 및 손가락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4 방향 지시 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해 기울어지는 제4 방향입력이 수행되는 입력 영역과, 상기 입력 영역내에서의 손가락의 접촉 및 무브먼트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부를 포함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테이터 입력 장치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한손을 사용하여 문자 입력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은 있을 수 있으나, 방향 입력에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자 배열 형식을 취하지 않고, 밭전자 형태에 맞는 다수의 감지 센서를 배치하고, 감시 센서의 접촉 면과 방향 형태에 따른 다양한 문자 입력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밭전자(田) 형태로 된 문자 입력 버튼을 표시 하는 화면 터치부; 상기 밭전자 형태 중 입구자(口)의 각 외측 테두리선마다 제1 감지 센서가 배치되고, 열십자(十)의 각 내측 테두리선마다 제2 감지 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입구자의 외측 테두리선과 열십자의 내측 테두리선의 각 사이에 복수개의 제3 감지 센서가 배치될 때, 상기 제1 감지 센서, 제2 감지 센서 및 제3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 면과 방향 형태에 따라 감응 신호를 달리 생성하여 입력 문자를 결정하는 감지 센서부; 및 상기 화면 터치부 및 감지 센서부를 제어하여, 상기 감응 신호에 따라 결정된 입력 문자를 표시 화면의 표시창에 표시하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움 버튼, 창닫기 버튼, 줄바꾸기 버튼, 엔터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동작에 반응하여 상기 표시창에 표시된 입력 문자들을 다시 표시하거나 지우는 문자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따르면, (a) 제1 감지 센서, 제2 감지 센서 및 제3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 면과 방향 형태에 따라 감응 신호를 달리하여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감응 신호에 따라 결정된 입력 문자를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표시창에 표시된 입력 문자를 지움버튼, 창닫기 버튼, 줄바꾸기 버튼 및 엔터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동작에 따라 조합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표시된 입력 문자를 전환하여 지우는 단계; 및 (d) 상기 입력 문자가 조합된 이후에 상기 표시창에 표시된 입력 문자가 오류로 판단될 경우, 상기 감응 신호에 따라 발생된 새로운 입력 문자를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밭전자 형태의 문자 입력 패턴에 의하여, 터치 -> 드래그 -> 업 동작(터치 화면에서 손을 떼는 동작)만으로도 문자를 간편하고, 빠르게 입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이 작은 전자 기기일 경우 문자 입력 버튼을 작게 가져갈 수 있어 기존에 비하여 남은 여유 공간을 다른 환경의 구축에 활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문자 입력 패턴보다 복잡하지 않은 문자 입력 구조로 인하여 이동 상황에서도 문자 입력이 쉽고, 이로 인하여 문자 입력 오류율이 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1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100)에서 구현된 밭전자중 입구자의 문자 입력 패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100)에서 구현된 밭전자중 열십자의 문자 입력 패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100)에서 구현된 입구자와 열십자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문자 입력 패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ㄱ'과 'ㄴ'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ㄷ', 'ㅂ', 'ㅈ' 및 'ㅍ'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ㄹ' 및 'ㅋ'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ㅊ', 'ㅌ', 'ㅏ', 'ㅑ', 'ㅜ' 및 'ㅠ'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ㅅ', 'ㅇ', 'ㅎ', 'ㅓ', 'ㅕ', 'ㅗ', 'ㅛ', 'ㅡ' 및 'ㅣ'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100)에서 구현된 밭전자중 입구자의 문자 입력 패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100)에서 구현된 밭전자중 열십자의 문자 입력 패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100)에서 구현된 입구자와 열십자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문자 입력 패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ㄱ'과 'ㄴ'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ㄷ', 'ㅂ', 'ㅈ' 및 'ㅍ'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ㄹ' 및 'ㅋ'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ㅊ', 'ㅌ', 'ㅏ', 'ㅑ', 'ㅜ' 및 'ㅠ'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ㅅ', 'ㅇ', 'ㅎ', 'ㅓ', 'ㅕ', 'ㅗ', 'ㅛ', 'ㅡ' 및 'ㅣ'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문자 입력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1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100)에서 구현된 밭전자중 입구자의 문자 입력 패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100)에서 구현된 밭전자중 열십자의 문자 입력 패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100)에서 구현된 입구자와 열십자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문자 입력 패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문자 입력 패턴 구조는 입구자(口)에 대응한 제1 감지 센서(110)의 배치를 의미하며, 도 3의 문자 입력 패턴 구조는 열십자(十)에 대응한 제2 감지 센서(120)의 배치를 의미하며, 도 4의 문자 입력 패턴 구조는 제1 감지 센서(110 -> 111~118)와 제2 감지 센서(120 -> 121~124)의 사이에서 제3 감지 센서(130 -> 131~135)의 배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각각 정의된다.
이를 바탕으로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100)는 화면 터치부(101), 감지 센서부(102) 및 문자 조작 제어부(1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화면 터치부(101)는 터치 패트 형태로 이루어진 문자 입력 버튼과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을 구비하여, 문자 입력 버튼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문자를 입력받아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화면 터치부(101)에 의해 구현된 문자 입력 버튼은 밭전자(田) 형태의 터치 패드를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밭전자(田)의 터치 패드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모두 인식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감지 센서(110, 120, 130)가 밭전자(田)의 터치 패드 후면에 형성된다. 상기 감지 센서(110, 120, 130)는 다음에서 설명할 감지 센서부(102)에 의해 실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 센서부(102)는 밭전자 형태 중 입구자(口)의 각 외측 테두리선마다 복수개의 제1 감지 센서(110)를 배치하고, 열십자(十)의 각 내측 테두리선마다 복수개의 제2 감지 센서(120)를 배치하며, 상기 입구자의 외측 테두리선과 열십자의 내측 테두리선의 각 사이에 복수개의 제3 감지 센서(130)를 배치할 경우, 해당하는 감지 센서를 지나는 터치 -> 드래그 -> 업 동작을 인식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입력 문자를 결정하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터치 -> 드래그 -> 업 동작은 제1 감지 센서(110), 제2 감지 센서(120) 및 제3 감지 센서(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접촉되어진 접촉 면과 방향 형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센서의 접촉 면이라 함은 밭전자의 각 마디마다 배치된 감지 센서 중 사용자의 드래그에 의하여 해당하는 감지 센서를 지나는 위치 부위를 의미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감지 센서부(102)는 밭전자 형태 중 입구자(口)의 각 외측 테두리선마다 제1 감지 센서(110)가 배치되고, 열십자(十)의 각 내측 테두리선마다 제2 감지 센서(120)가 배치되고, 상기 입구자의 외측 테두리선과 열십자의 내측 테두리선의 각 사이에 제3 감지 센서(130)가 배치될 때, 상기 제1 감지 센서(110), 제2 감지 센서(120) 및 제3 감지 센서(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 면과 방향 형태에 따라 감응 신호를 달리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입력 문자가 어떤 것인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접촉 면과 방향 형태에 대한 예는 추후 도 5 내지 도 12에서 충분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제1 감지 센서(110) 및 제2 감지 센서(120)는 모두 내,외측 테두리선의 마디마다 배치되므로 복수개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제3 감지 센서는 입구자와 열십자 사이의 빈 공간마다 배치되므로 이 또한 복수개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각 감지 센서가 복수개를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각각 도 2 내지 도 4에서 표시하였다. 이상에서 설명된 감지 센서(110, 120, 130)들은 열 감지를 통하여 순간 터치되었는지, 드래그 동작에 의해 터치되었는지를 인식함은 물론이고, 방향까지도 감지되는 센서인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조작 제어부(103)는 화면 터치부(101) 및 감지 센서부를 제어하여, 상기 감응 신호에 따라 결정된 입력 문자를 표시 화면의 표시창에 표시하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움 버튼, 창닫기 버튼, 줄바꾸기 버튼, 엔터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동작에 반응하여 표시창에 표시된 입력 문자 들을 다시 표시하거나 지우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감응 신호에 따라 결정된 입력 문자가 연속적으로 'ㄱ', 'ㅏ', 'ㄴ'를 인식하여 표시창에 '간'이라 표시하고, 이어서 줄바꾸기 버튼이 선택되면 이에 반응하여 커서의 위치를 다음 단으로 다시 표시하거나, 지움 버튼이 선택되면 이에 반응하여 '간'이라는 문자가 삭제되는 형태가 그 좋은 일례라 할 수 있다.
이상의 본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밭전자(田) 형태의 각 마디와 그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감지 센서의 접촉 면과 방향 형태에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정확히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감지 센서(110, 120, 130)의 접촉 면과 방향 형태에 따라 어떻게 입력 문자가 결정되는지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1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ㄱ'과 'ㄴ'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ㄱ'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40)은 도면 부호 112의 제1 감지 센서와 도면 부호 122의 제2 감지 센서가 배치된 터치 패드 화면을 대략 45도의 각도로 진행하게 되면, 본 발명의 감지 센서부(102)는 상기 드래그 동작(140)에 의해 ㄱ' 입력 문자로 인식하여 결정하게 된다.
또한, 'ㄴ'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41)은 도면 부호 113의 제1 감지 센서와 도면 부호 123의 제2 감지 센서가 배치된 터치 패드 화면을 대략 45도의 각도로 진행하게 되면, 본 발명의 감지 센서부(102)는 상기 드래그 동작(141)에 의해 'ㄴ' 입력 문자로 인식하여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복수개의 제1 감지 센서 및 제2 감지 센서 중 각각 하나씩 접촉되는 경우에 있어서 'ㄱ'과 'ㄴ'의 입력 문자를 결정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제2 실시예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ㄷ', 'ㅂ', 'ㅈ' 및 'ㅍ'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ㄷ'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42)은 도면 부호 112의 제1 감지 센서, 도면 부호 133의 제3 감지 센서 및 도면 부호 123의 제2 감지 센서가 배치된 터치 패드 화면을 대략 수직의 각도로 연속적으로 진행하게 되면, 본 발명의 감지 센서부(102)는 상기 드래그 동작(142)에 의해서 'ㄷ' 입력 문자로 결정하며, 'ㅂ'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43)은 도면 부호 123의 제2 감지 센서, 도면 부호 134의 제3 감지 센서 및 도면 부호 115의 제1 감지 센서가 배치된 터치 패드 화면을 대략 수직 각도로 연속적으로 진행하게 되면, 본 발명의 감지 센서부(102)는 상기와 같은 드래그 동작(143)에 의해서 'ㅂ' 입력 문자로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ㅈ'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44)은 도면 부호 124의 제2 감지 센서, 도면 부호 135의 제3 감지 센서 및 도면 부호 117의 제1 감지 센서가 배치된 터치 패드 화면을 대략 수평 각도로 연속적으로 진행하게 되면, 본 발명의 감지 센서부(102)는 상기와 같은 드래그 동작(144)에 의해서 'ㅈ' 입력 문자로 결정하게 되며, 'ㅍ'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45)은 도면 부호 114의 제1 감지 센서, 도면 부호 134의 제3 감지 센서 및 도면 부호 124의 제2 감지 센서가 배치된 터치 패드 화면을 대략 수평 각도로 연속적으로 진행하게 되면, 본 발명의 감지 센서부(102)는 상기와 같은 드래그 동작(145)에 의해서 'ㅍ' 입력 문자로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 형태는 제1 감지 센서, 제2 감지 센서 및 제3 감지 센서가 각각 하나씩 접촉될 경우, 'ㄷ', 'ㅂ', 'ㅈ' 및 'ㅍ'의 입력 문자를 결정하는데 유용하다.
제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ㄹ' 및 'ㅋ'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ㄹ'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46)은 도면 부호 112의 제1 감지 센서, 도면 부호 133의 제3 감지 센서, 도면 부호 123의 제2 감지 센서, 도면 부호 133의 제3 감지 센서 및 도면 부호 115의 제1 감지 센서가 배치된 터치 패드 화면을 대략 수직 각도로 연속적인 진행이 이루어지면, 본 발명의 감지 센서부(102)는 상기와 같은 드래그 동작(146)에 의해서 'ㄹ'입력 문자로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제1 감지 센서 및 제2 감지 센서가 각각 두개씩 접촉되는 경우에 유용하다.
반면, 본 발명의 'ㅋ'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47)은 도면 부호 123의 제2 감지 센서 및 도면 부호 124의 제2 감지 센서가 배치된 터치 패드 화면을 대략 45도 각도로 연속적인 진행이 이루어지면, 본 발명의 감지 센서부(102)는 상기와 같은 드래그 동작(147)에 의해서 'ㅋ' 입력 문자로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 형태는 제2 감지 센서가 하나 이상 접촉되는 경우에 유용하다.
제4 실시예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ㅊ', 'ㅌ', 'ㅏ', 'ㅑ', 'ㅜ' 및 'ㅠ'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ㅊ'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48)은 도면 부호 121의 제2 감지 센서, 도면 부호 136의 제3 감지 센서 및 도면 부호 148의 제3 감지 센서가 배치된 터치 패드 화면을 대략 수직 각도로 연속적인 진행이 이루어지면, 본 발명의 감지 센서부(102)는 상기와 같은 드래그 동작(148)에 의해서 'ㅊ' 입력 문자로 결정하게 되며, 'ㅌ'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49)은 도면 부호 114의 제1 감지 센서 및 도면 부호 134의 제2 감지 센서가 배치된 터치 패드 화면을 대략 수평 각도로 연속적인 진행이 이루어지면, 본 발명의 감지 센서부(102)는 상기와 같은 드래그 동작(149)에 의해서 'ㅌ' 입력 문자로 결정하게 된다.
반면, 'ㅏ'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50)은 도면 부호 132의 제3 감지 센서 및 도면 부호 118의 제1 감지 센서가 배치된 터치 패드 화면을 대략 수평 각도로 연속적인 터치가 되면, 본 발명의 감지 센서부(102)는 상기와 같은 드래그 동작(150)에 의해서 'ㅏ' 입력 문자로 결정하게 되고, 'ㅑ'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51)은 도면 부호 118의 제1 감지 센서 및 도면 부호 132의 제2 감지 센서 및 도면 부호 118의 제1 감지 센서가 배치된 터치 패드 화면을 대략 수평 각도로 연속적인 터치가 이루어지면, 본 발명의 감지 센서부(102)는 상기와 같은 드래그 동작(151)에 의해서 'ㅑ' 입력 문자로 결정하게 된다.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면, 'ㅜ'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52)은 도면 부호 132의 제3 감지 센서 및 도면 부호 121의 제2 감지 센서 및 도면 부호 136의 제2 감지 센서가 배치된 터치 패드 화면을 대략 수평 각도로 연속적인 터치가 이루어지면, 본 발명의 감지 센서부(102)는 상기와 같은 드래그 동작(152)에 의해서 'ㅜ' 입력 문자로 결정하게 되며, 'ㅠ'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53)은 'ㅑ'자의 드래그 동작 형태와 같으나 방향이 수직인 차이를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는 상기 제1 감지 센서와 제3 감지 센서 간의 접촉 또는 상기 제2 감지 센서와 제3 감지 센서 간에 각각 하나 이상이 접촉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제1 감지 센서와 제2 감지 센서가 두번 반복하여 접촉되는 경우에 있어서 매우 유용하다.
제5 실시예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ㅅ', 'ㅇ', 'ㅎ', 'ㅓ', 'ㅕ', 'ㅗ', 'ㅛ', 'ㅡ' 및 'ㅣ'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ㅅ'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54)은 도면 부호 135의 제3 감지 센서만이 접촉할 경우에 발생되는 동작이고, 'ㅇ'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55)은 도면 부호 131의 제3 감지 센서만이 접촉할 경우에 발생되는 동작이다.
반면, 'ㅎ'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56)은 도면 부호 131의 제3 감지 센서와 도면 부호 132의 제3 감지 센서를 차례로 접촉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동작이고, 'ㅓ'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57)은 'ㅎ'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56)과 동일한 형태로 감지 센서를 접촉하나, 방향이 다른 경우에 발생되는 동작이다.
이어서, 도 12를 참조하면, 'ㅕ'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58)은 도면 부호 131의 제3 감지 센서, 도면 부호 132의 제3 감지 센서 및 도면 부호 131의 제3 감지 센서를 차례로 접촉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동작이고, 'ㅗ'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59)은 'ㅎ'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56)과 동일한 형태로 감지 센서를 접촉하나, 방향이 다른 경우에 발생되는 동작이며, 'ㅛ'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60)은 'ㅕ'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58)과 동일한 형태로 감지 센서를 접촉하나 방향이 다른 경우에 발생되는 동작이다.
반면, 'ㅡ'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61)은 도면 부호 132의 제3 감지 센서 및 도면 부호 131의 제3 감지 센서가 각각 두번씩 접촉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동작이고, 'ㅣ'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62)은 'ㅡ' 입력 문자의 드래그 동작(161)과 동일한 형태로 감지 센서를 접촉하나, 방향이 다른 경우에 발생되는 동작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3 감지 센서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접촉되는 경우에 있어서 해당하는 문자를 생성하는데 유용하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드래그되어 접촉되는 감지 센서의 접촉 면의 형태와 방향에 따라 결정된 문자 입력 형태를 간편하면서도 정확히 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문자 입력 방법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S100)은 감응 신호 생성 단계(S110), 입력 문자 결정 단계(S120), 특수 버튼 반응 단계(S130) 및 오류에 따른 입력 문자 표시 단계(S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S110 단계에서는 제1 감지 센서, 제2 감지 센서 및 제3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 면과 방향 형태에 따라 감응 신호를 달리하여 생성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의 S120 단계에서는 상기 감응 신호에 따라 결정된 입력 문자를 표시창에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S130 단계에서는 상기 표시창에 표시된 입력 문자를 지움버튼, 창닫기 버튼, 줄바꾸기 버튼 및 엔터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동작에 따라 조합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표시된 입력 문자를 전환하여 지우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S110 단계 내지 도 S130 단계에 대한 예는 도 1 내지 도 12에서 충분히 논의되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S140 단계에서는 상기 입력 문자가 조합된 이후에 상기 표시창에 표시된 입력 문자가 오류로 판단될 경우, 상기 감응 신호에 따라 발생된 새로운 입력 문자를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감지 센서의 접촉 면과 방향 형태에 따라 결정된 입력 문자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표시함과 동시에 다른 특수 버튼과 조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표시, 삭제하고 문장을 손쉽게 완성할 수 있으며, 오류와 같은 상황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 문자를 정확히 표시하는 장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문자 입력 장치 101 : 화면 터치부
102 : 감지 센서부 103 : 문자 조작 제어부
110 : 제1 감지 센서 120 : 제2 감지 센서
130 : 제3 감지 센서 140~162 : 드래그 동작
102 : 감지 센서부 103 : 문자 조작 제어부
110 : 제1 감지 센서 120 : 제2 감지 센서
130 : 제3 감지 센서 140~162 : 드래그 동작
Claims (8)
- 밭전자(田) 형태로 된 문자 입력 버튼을 표시하는 화면 터치부;
상기 밭전자 형태 중 입구자(口)의 각 외측 테두리선마다 제1 감지 센서가 배치되고, 열십자(十)의 각 내측 테두리선마다 제2 감지 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입구자의 외측 테두리선과 열십자의 내측 테두리선의 각 사이에 복수개의 제3 감지 센서가 배치될 때, 사용자의 드래그에 의하여 상기 제1 감지 센서, 제2 감지 센서 및 제3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접촉되는 접촉 위치에 따라 감응 신호를 달리 생성하여 입력 문자를 결정하는 감지 센서부; 및
상기 화면 터치부 및 감지 센서부를 제어하여, 상기 감응 신호에 따라 결정된 입력 문자를 표시 화면의 표시창에 표시하되,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움 버튼, 창닫기 버튼, 줄바꾸기 버튼, 엔터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동작에 반응하여 상기 표시창에 표시된 입력 문자들을 다시 표시하거나 지우는 문자 조작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부는,
상기 제1 감지 센서 및 제2 감지 센서가 각각 하나씩 접촉될 경우, 'ㄱ', 'ㄴ'의 입력 문자에 해당하는 감응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부는,
상기 제1 감지 센서, 제2 감지 센서 및 제3 감지 센서가 각각 하나씩 접촉될 경우, 'ㄷ', 'ㅂ', 'ㅈ' 및 'ㅍ'의 입력 문자에 해당하는 감응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부는,
상기 제1 감지 센서 및 제2 감지 센서가 각각 두개씩 접촉되고, 상기 제3 감지 센서의 하나가 접촉될 경우, 'ㄹ'의 입력 문자에 해당하는 감응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부는,
상기 제1 감지 센서와 제3 감지 센서가 각각 하나 이상이 접촉될 경우, 또는 상기 제1 감지 센서와 제3 감지 센서가 각각 하나씩 접촉되고 상기 제1 감지 센서와 제3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두 번 이상이 접촉될 경우, 또는 상기 제2 감지 센서와 제3 감지 센서가 각각 하나 이상이 접촉될 경우, 또는 상기 제2 감지 센서와 제3 감지 센서가 각각 하나씩 접촉되고 상기 제2 감지 센서와 제3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두 번 이상이 접촉될 경우, 'ㅊ', 'ㅌ', 'ㅏ', 'ㅑ', 'ㅜ' 및 'ㅠ'의 입력 문자에 해당하는 감응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부는,
상기 제2 감지 센서가 하나 이상 접촉될 경우, 'ㅋ'의 입력 문자에 해당하는 감응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부는,
상기 제3 감지 센서가 하나 이상 접촉될 경우, 'ㅅ', 'ㅇ', 'ㅎ', 'ㅓ', 'ㅕ', 'ㅗ', 'ㅛ', 'ㅡ' 및 'ㅣ'의 입력 문자에 해당하는 감응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 - 터치 기반 문자 입력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장치에는 밭전자(田) 형태로 된 문자 입력 버튼이 표시되되, 상기 밭전자 형태 중 입구자(口)의 각 외측 테두리선마다 제1 감지 센서가 배치되고, 열십자(十)의 각 내측 테두리선마다 제2 감지 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입구자의 외측 테두리선과 열십자의 내측 테두리선의 각 사이에 복수개의 제3 감지 센서가 배치되며,
상기 문자 입력 방법은,
(a) 사용자의 드래그에 의해 상기 제1 감지 센서, 제2 감지 센서 및 제3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접촉되는 접촉 위치에 따라 감응 신호를 달리하여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감응 신호에 따라 결정된 입력 문자를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표시창에 표시된 입력 문자를 지움버튼, 창닫기 버튼, 줄바꾸기 버튼 및 엔터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동작에 따라 조합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표시된 입력 문자를 전환하여 지우는 단계; 및
(d) 상기 입력 문자가 조합된 이후에 상기 표시창에 표시된 입력 문자가 오류로 판단될 경우, 상기 감응 신호에 따라 발생된 새로운 입력 문자를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8381A KR101218040B1 (ko) | 2011-03-29 | 2011-03-29 |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8381A KR101218040B1 (ko) | 2011-03-29 | 2011-03-29 |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0489A KR20120110489A (ko) | 2012-10-10 |
KR101218040B1 true KR101218040B1 (ko) | 2013-01-21 |
Family
ID=47281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8381A KR101218040B1 (ko) | 2011-03-29 | 2011-03-29 |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18040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6142B1 (ko) * | 2008-09-17 | 2010-06-25 | 오맹원 |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
-
2011
- 2011-03-29 KR KR1020110028381A patent/KR10121804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6142B1 (ko) * | 2008-09-17 | 2010-06-25 | 오맹원 |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0489A (ko) | 2012-10-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57691B2 (en) | Natural quick function gestures | |
KR100774927B1 (ko) | 이동통신 단말기, 메뉴 및 아이템 선택방법 | |
JP7155385B2 (ja) | スタイラス用タッチベース入力 | |
US8542206B2 (en) | Swipe gestures for touch screen keyboards | |
US9588680B2 (en) | Touch-sensitiv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 |
KR102091235B1 (ko) | 휴대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편집하는 장치 및 방법 | |
CN103543945B (zh) | 用于通过各种类型的手势显示键盘的系统和方法 | |
KR102582541B1 (ko) | 에지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 방법 및 전자 장치 | |
KR102168648B1 (ko)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CN108121456A (zh) | 提供字符输入界面的方法和设备 | |
US9374547B2 (en) |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 |
CN103218044B (zh) | 一种基于物理回馈的触摸装置及其触摸处理方法 | |
CN103150093B (zh) | 一种操作提示标识符移动的方法、装置及终端 | |
KR102138913B1 (ko) |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US20160026309A1 (en) | Controller | |
CN103959221A (zh) | 用于执行缩放动作的方法和设备 | |
TWI480792B (zh) | 電子裝置的操作方法 | |
TWI475421B (zh) | 觸控指令整合方法及觸控系統 | |
KR101218040B1 (ko) | 터치 기반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 |
US20150309601A1 (en) | Touch input system and input control method | |
KR102438823B1 (ko) | 리스트 상의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기능 실행 방법 및 그 장치 | |
JP6232694B2 (ja) |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5712232B2 (ja) | 入力装置 | |
Lee et al. | Touch play pool: touch gesture interaction for mobile multifunction devices | |
KR102157621B1 (ko) | 휴대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