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643B1 - 일본어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일본어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643B1
KR101426643B1 KR1020130018922A KR20130018922A KR101426643B1 KR 101426643 B1 KR101426643 B1 KR 101426643B1 KR 1020130018922 A KR1020130018922 A KR 1020130018922A KR 20130018922 A KR20130018922 A KR 20130018922A KR 101426643 B1 KR101426643 B1 KR 101426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japanese
cente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관현
Original Assignee
조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관현 filed Critical 조관현
Priority to KR1020130018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643B1/ko
Priority to JP2014031188A priority patent/JP2014165920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화면을 가지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에서 제한된 알파벳 입력키를 가지고 일본어를 입력하는 일본어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키패드를 중앙에 1개의 중앙 입력키와 상기 중앙 입력키의 주위로 다수개의 주변 입력키를 가지는 입력키 그룹을 알파벳으로 된 자음키 그룹 및 모음키 그룹으로 2개로 구분하여 인근에 배치하게 하여 상기 중앙 입력키, 상기 주변 입력키, 상기 중앙 입력키와 주변 입력키의 경계선 중에서 하나 또는 동시에 둘을 눌러 모든 일본어 음절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키 패드의 키 배치가 단순하면서도 키입력이 간편하고 양 손가락으로 동시에 입력이 가능하여 입력 속도가 보다 빠른 일본어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본어 입력장치{DEVICE FOR INPUTTING JAPANESE CHARACTER}
본 발명은 터치 화면을 가지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의 정보기기에서 제한된 알파벳 입력키를 가지고 일본어를 입력하는 일본어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키패드를 중앙에 1개의 중앙 입력키와 상기 중앙 입력키의 주위로 다수개의 주변 입력키를 가지는 입력키 그룹을 알파벳으로 된 자음키 그룹 및 모음키 그룹으로 2개로 구분하여 인근에 배치하게 하여 상기 중앙 입력키, 상기 주변 입력키, 상기 중앙 입력키와 주변 입력키의 경계선 중에서 하나 또는 동시에 둘을 눌러 모든 일본어 음절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키 패드의 키 배치가 단순하면서도 키입력이 간편하고 양 손가락으로 동시에 입력이 가능하여 입력 속도가 보다 빠른 일본어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프트웨어와 반도체기술 및 정보처리기술의 발달로 정보기기가 점점 소형화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의 소형화된 정보기기에서의 문자 입력에 대한 중요도가 날로 높아지는 추세에 있다.
상기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의 정보기기는 소형화로 인하여 제한된 입력키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은 터치 화면에서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키패드를 사용하고 있다.
정보기기에서 자판 또는 키패드 등을 통하여 일본어를 입력하는 방법은 가나 입력방법과 알파벳에 의한 입력방법(일본에서는 '로마자 입력방법'이라 함)이 있는데, 일상적으로 한자와 가나를 섞어서 쓰는 문자생활의 복잡성 때문에 알파벳에 의한 입력방법이 일본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본어는 그 자모가 한글에 비해 단순한 편이기 때문에 헵번식(ヘボン式, Hepburn System)으로 불리는 알파벳(로마자) 표기가 1867년부터 쓰이기 시작했고 지금도 가장 보편적인 방식이다.
본 발명도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에서 제한된 알파벳 입력키를 가지고 일본어를 입력하는 알파벳에 의한 입력방법을 사용하는 일본어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과 같은 소형화된 정보기기에서 터치화면상에 소프트웨어로 된 키패드 또는 하드웨어로 된 키패드에서 알파벳에 의한 일본어 입력방법이 많이 개발되었으나, 키패드와 같은 입력장치는 그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어 키패드상에서 입력키를 배치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입력키를 여러 번 눌러야 하는 관계로 입력속도가 느리고 잘못 입력되는 경우가 많아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터치 화면을 가지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의 정보기기에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고 제한된 알파벳 입력 키를 가지고 일본어를 입력하는 키패드에 대하여 중앙에 1개의 중앙 입력키와 상기 중앙 입력키의 주위로 다수개의 주변 입력키를 가지는 입력키 그룹을 알파벳 자음키 그룹 및 모음키 그룹으로 2개로 구분하여 인근에 배치하게 하여 상기 중앙 입력키, 상기 주변 입력키, 상기 중앙 입력키와 주변 입력키의 경계선 중에서 하나 또는 동시에 둘을 눌러 모든 일본어 음절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키 패드의 키 배치가 단순하면서도 키입력이 간편하게 양 손가락으로 동시에 입력이 가능하여 입력 속도가 보다 빠른 일본어 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입력장치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입력장치는, 알파벳 자음키 그룹과 모음키 그룹으로 구분되어 배치되도록 터치 화면에서 작동되는 소프트웨어로 된 키패드와, 일본어 폰트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키패드의 키입력을 판단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대응되는 일본어 폰트를 추출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알파벳을 사용하여 일본어를 입력하는 일본어 입력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1개의 중앙 입력키와 상기 중앙 입력키의 주위로 다수개의 주변 입력키를 가지는 입력키 그룹을 자음키 그룹 및 모음키 그룹으로 2개로 구분하여 인근에 배치하고, 상기 자음키 그룹 및 모음키 그룹에서 상기 중앙 입력키, 상기 주변 입력키, 상기 중앙 입력키와 주변 입력키가 만나는 경계선 입력키 중에서 하나 또는 동시에 둘을 눌러 모든 일본어 음절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자음키 그룹은 중앙 입력키에 "W"를, 주변 입력키에 「K」,「H」,「N」,「T」,「S」를 배치하고, 상기 중앙 입력키인 "W"가 1회 눌러지면 주변 입력키가 「M」, 「R」,「P」를 포함하여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앙 입력키인 "W"와 상기 주변 입력키인 「K」,「H」,「N」,「T」,「S」가 만나는 경계선 입력키를 누르면 「G」,「B」,「NN」,「D」,「Z」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알파벳 자음키 그룹과 모음키 그룹으로 구분되어 배치되도록 터치 화면에서 작동되는 소프트웨어로 된 키패드와, 일본어 폰트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키패드의 키입력을 판단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대응되는 일본어 폰트를 추출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알파벳을 사용하여 일본어를 입력하는 일본어 입력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1개의 중앙 입력키와 상기 중앙 입력키의 주위로 다수개의 주변 입력키를 가지는 입력키 그룹을 자음키 그룹 및 모음키 그룹으로 2개로 구분하여 인근에 배치하고, 상기 모음키 그룹은 중앙 입력키에 "Y"를, 주변 입력키에 「A」,「I」,「U」,「E」,「O」를 배치하거나 「a」,「i」,「u」,「e」,「o」를 배치하며, 상기 주변 입력키에 「A」,「I」,「U」,「E」,「O」가 배치된 경우 상기 중앙 입력키와 주변 입력키가 만나는 경계선 입력키를 누르면 각각 「YA」,「YI」,「YU」,「YE」,「YO」가 입력되고, 상기 주변 입력키에 「a」,「i」,「u」,「e」,「o」가 배치된 경우 「ya」,「yi」,「yu」,「ye」,「yo」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알파벳 자음키 그룹과 모음키 그룹으로 구분되어 배치되도록 터치 화면에서 작동되는 소프트웨어로 된 키패드와, 일본어 폰트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키패드의 키입력을 판단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대응되는 일본어 폰트를 추출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알파벳을 사용하여 일본어를 입력하는 일본어 입력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1개의 중앙 입력키와 상기 중앙 입력키의 주위로 다수개의 주변 입력키를 가지는 입력키 그룹을 자음키 그룹 및 모음키 그룹으로 2개로 구분하여 인근에 배치하고, 일본어 음절에서 「あ」,「い」,「う」,「え」,「お」와 「や」,「ゆ」,「よ」는 상기 모음키 그룹의 입력키만의 키입력으로 가능하며, 나머지 일본어 음절은 상기 자음키 그룹의 입력키와 모음키 그룹의 입력키를 동시에 누르는 키입력으로 입력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기 자음키 그룹의 입력키와 모음키 그룹의 입력키를 동시에 누르지 아니하고 시차를 두고 2개의 키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2개의 키입력의 시차가 일정시간 범위 내이면 상기 2개의 키입력의 조합을 분석하여 대응되는 일본어 추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키패드와 상기 제어기 및 상기 메모리의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하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시킨 것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자신의 단말기에 설치하면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입력장치는 터치 화면을 가지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의 정보기기에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고 제한된 입력 키를 가지고 일본어를 입력하는 키패드를 중앙에 1개의 중앙 입력키와 상기 중앙 입력키의 주위로 다수개의 주변 입력키를 가지는 입력키 그룹을 자음키 그룹 및 모음키 그룹으로 2개로 구분하여 인근에 배치하게 하여 상기 중앙 입력키, 상기 주변 입력키, 상기 중앙 입력키와 주변 입력키의 경계선 중에서 하나 또는 동시에 둘을 눌러 모든 일본어 음절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키 패드의 키 배치가 단순하면서도 키입력이 간편하고 양 손가락으로 동시에 입력이 가능하여 입력 속도가 보다 빠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키패드를 중앙에 1개의 중앙 입력키와 상기 중앙 입력키의 주위로 다수개의 주변 입력키를 가지는 입력키 그룹으로 형성하고 상기 중앙 입력키를 1번 누르면 주변 입력키가 변환하게 함으로써 화면상에 최소한의 입력키만을 배치하고도 모든 일본어를 구현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키패드를 화면상에서 최대한의 확대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키입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본어 음절에서 「あ」,「い」,「う」,「え」,「お」와 「や」,「ゆ」,「よ」는 상기 모음키 그룹의 입력키만의 키입력으로 가능하고, 나머지 일본어는 상기 자음키 그룹의 입력키와 모음키 그룹의 입력키를 동시에 누르는 키입력으로 입력되게 함으로써, 모든 일본어를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키입력이 간편하고 양 손가락으로 동시에 입력이 가능하여 입력 속도가 보다 빠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음키 그룹의 입력키와 모음키 그룹의 입력 키를 동시에 누르는 키입력을 할 때 사용자가 상기 자음키 그룹의 입력키와 모음키 그룹의 입력키를 동시에 누르지 아니하고 비교적 짧은 시차를 두고 2개의 키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상기 2개의 키입력이 일정시간 범위내의 시차 입력이면 상기 2개의 키입력의 조합을 분석하여 대응되는 일본어 추출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입력장치의 전체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입력장치의 터치 화면 키패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터치 화면 키패드에서 자음키 그룹에 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터치 화면 키패드에서 모음키 그룹에 대한 도면
도 5는 일본어 로마자 표기 일예(あ,か,さ행)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일본어 로마자 표기 일예(た,な,は행)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일본어 로마자 표기 일예(ま,や,ら,わ행)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입력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입력장치는 터치 화면을 가지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의 정보기기에서 터치 화면상에 제한된 알파벳 입력키를 가지고 일본어를 입력하는 일본어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화면상에 표시되어 알파벳으로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10)과, 상기 키패드(10)로부터 입력된 키입력 신호를 일본어로 변환시키는 일본어 변환장치(20)와 상기 일본어 변환장치(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터치 화면상에 일본어를 표시하게 하는 화면 장치(3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일본어 변환장치(20)는 일본어 폰트가 저장된 메모리(22)와, 상기 키패드(10)의 키입력을 판단하여 상기 메모리(22)로부터 대응되는 일본어 폰트를 추출하는 제어기(21)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키패드(10)의 기입력에 의하여 일본어로 변환시키는 기술은 기존의 정보기기에서 널리 공지된 것이고 본 발명의 특징부라고 할 수 없는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키패드(10)은 일본어를 알파벳으로 표시하기 위한 알파벳 자음키인 「K」,「H」,「N」,「T」,「S」,「W」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자음키 그룹(11)과, 알파벳 모음키인 「A」,「I」,「U」,「E」,「O」,「Y」를 포함하여 구성된 모음키 그룹(12)으로 2개로 구분되어 인근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자음키 그룹(11)과 상기 모음키 그룹(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중앙에 1개의 중앙 입력키(11a, 12a)와 상기 중앙 입력키(11a, 12a)의 주위로 다수개의 주변 입력키(11b, 12b)를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음키 그룹(11)과 상기 모음키 그룹(12)의 외곽이 도 2에서는 원형으로 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타원형, 사각형 또는 오각형 등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중앙 입력키(11a, 12a)도 도 2에서는 원형으로 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타원형, 사각형 또는 오각형 등의 다각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자음키 그룹(11)과 상기 모음키 그룹(12)은 서로 인근하여 좌우측에 배치함으로써, 좌우 엄지 손가락 또는 좌우 손가락을 모두 사용하여 입력하기에 편리한 배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자음키 그룹(11)과 상기 모음키 그룹(12)는 상기 중앙 입력키(11a, 12a), 상기 주변 입력키(11b, 12b)의 키입력뿐만 아니라 상기 중앙 입력키(11a, 12a)와 각 주변 입력키(11b, 12b)와 만나는 경계선 입력키(11c, 12c)를 눌러 키입력을 할 수 있다.
상기 자음키 그룹(11)에서 알파벳 자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자음키 그룹을 기준으로 그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자음키 그룹(11)은 중앙 입력키(11a)에 "W"를배치하고, 주변 입력키(11b)에 「K」,「H」,「N」,「T」,「S」를 배치하고, 상기 중앙 입력키(11a)를 1회 누르면(본 발명은 터치 화면에서 적용되는 것이므로'터치한다'는 표현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누른다'라는 표현으로 함) "w"로변환하면서 주변 입력키(11b)가 「M」, 「R」,「V」,「P」,「t」, 「F」,「Q」등으로 변환되게 된다. 도 3에서는 「M」, 「R」,「V」,「P」,「t」를 변환된 주변 입력키(11b)에 배치하고 「F」,「Q」는 변환된 중앙 입력키(11a)인 「w」키와 변환된 주변 입력키(11b)와 만나는 경계선에 배치한다.
상기 중앙 입력키(11a)를 한번 더 누르면 최초의 배치로 환원되게 된다. 여기에서 주변 입력키(11b)에 「K」,「H」,「N」, 「T」,「S」와 상기 중앙 입력키(11a)를 1회 누른 다음 변환되는 주변 입력키(11b)인 「M」,「R」,「V」,「P」,「t」,「F」,「Q」등의 배치는 사용 빈도 등 설계자의 의도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주변 입력키(11b)인 「K」,「H」,「N」,「T」,「S」를 누르면 「K」,「H」,「N」, 「T」,「S」가 입력되고, 상기 중앙 입력키(11a)를 1회 누른 다음 변환된 주변 입력키(11b)인 「M」,「R」,「V」,「P」,「t」와 「F」,「Q」키를 누르면 각각 「M」,「R」,「V」, 「P」,「t」,「F」,「Q」가 입력된다.
또, 중앙 입력키(11a)인 "W"와주변 입력키(11b)인 「K」와 만나는 경계선 입력키(11c)를 누르면 「G」가 입력되고, 중앙 입력키(11a)인 "W"와 주변 입력키(11b)인 「H」와 만나는 경계선 입력키(11c)를 누르면 「B」가 입력되며, 중앙 입력키(11a)인 "W"와 주변 입력키(11b)인 「N」와 만나는 경계선 입력키(11c)를 누르면 「NN」가 입력되고, 중앙 입력키(11a)인 "W"와 주변 입력키(11b)인 「T」와 만나는 경계선 입력키(11c)를 누르면 「D」가 입력되며, 중앙 입력키(11a)인 "W"와 주변 입력키(11b)인 「S」와 만나는 경계선 입력키(11c)를 누르면 「Z」가 입력된다.
다음으로 상기 모음키 그룹(12)에서 알파벳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모음키 그룹을 기준으로 그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모음키 그룹(12)은 중앙 입력키(12a)에 "Y"를 배치하고, 주변 입력키(12b)에 「A」,「I」,「U」,「E」,「O」를 배치하고, 상기 중앙 입력키(11a)를 1회 누르면 "y"로 변환하면서 주변 입력키(12b)가 「a」,「i」,「u」,「e」,「o」 로 변환되게 된다. 여기에서 대문자 「A」,「I」,「U」,「E」,「O」는 일반적인 크기의 모음인 「あ」,「い」,「う」,「え」,「お」 를표현하는데 사용되고, 소문자 「a」,「i」,「u」,「e」,「o」는 작은 크기의 모음인 「」,「」,「」,「」,「」를 표현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모음키 그룹(12)에서의 키배치는 사용 빈도, 카타카나의 장음 표시(-) 등 추가되는 키입력 등과 설계자의 의도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입력키(12a)와 주변 입력키(12b)인 「A」,「I」,「U」,「E」,「O」가 만나는 경계선 입력키(12c)를 누르면 각각 「YA」,「YI」,「YU」,「YE」,「YO」 또는 「ya」,「yi」,「yu」, 「ye」,「yo」가 입력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일본어 음절을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일본어 음절이라 함은 청음 45[모음6(あ い う え お を), 반모음4(や ゆ よ わ), 자음35(か き く け こ 등)], 탁음20(が ぎ ぐ げ ご 등)], 반탁음5(ぱ ぴ ぷ ぺ ぽ), 요음36(や ゆ よ), 발음 ん, 촉음 っ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모든 일본어 음절의 표기는 기본적으로 공지되고 널리 알려진 일본어 로마자 표기법에 따르고, 일예를 도시한 것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모음 그룹키의 키입력만으로 입력 가능한 것은 「あ」,「い」,「う」,「え」,「お」와 「や」,「ゆ」,「よ」이고, 이들 중 「あ」,「い」,「う」,「え」,「お」는 각각 모음 그룹키(12)의 주변 입력키(12b)인 「A」,「I」,「U」,「E」,「O」를 누르면 A」,「I」,「U」,「E」,「O」가 입력되어 구현되고, 「や」,「ゆ」,「よ」는 상기 중앙 입력키(12a)와 주변 입력키(12b)인 「A」,「U」,「O」가 만나는 경계선 입력키(12c)를 누르면 각각 「YA」,「YU」,「YO」가 입력되어 구현되게 된다.
상기 「あ」,「い」,「う」,「え」,「お」와 「や」,「ゆ」,「よ」를 제외한 나머지 일본어 음절은 상기 자음키 그룹의 입력키와 모음키 그룹의 입력키를 동시에 누르는 키입력으로 입력되게 된다. 이때 상기 자음키 그룹의 입력키와 모음키 그룹의 입력키의 입력은 좌우 양손의 손가락을 각각 사용하여 입력하면 입력속도가 매우 빠르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입력장치에서 일본어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실제 몇 가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か」,「き」,「く」,「け」,「こ」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왼쪽 손가락으로 자음키 그룹(11)의 주변 입력키(11b) 중 "K"를 누르면서 오른쪽 손가락으로 각각 「A」,「I」,「U」,「E」,「O」를 동시에 누르면 「KA」,「KI」,「KU」,「KE」,「KO」가 키입력되어 「か」,「き」,「く」,「け」,「こ」가 표현된다.
또, 「わ」,「うぃ」,「うぇ」,「を」 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왼쪽 손가락으로 자음키 그룹(11)의 중앙 입력키인 "W"를 누르면서 오른쪽 손가락으로 각각 모음키 그룹(12)의 「A」,「I」,「E」,「O」를 동시에 누르면 「WA」,「WI」,「WE」,「WO」가 키입력되어 「」,「うぃ」,「うぇ」,「」가 표현된다.
또,
Figure 112014025892285-pat00001
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왼쪽 손가락으로 자음키 그룹(11)의 중앙 입력키인 "S"를 누르면서 오른쪽 손가락으로 각각 모음키 그룹(12)의 중앙 입력키(12a)와 주변 입력키(12b)인 「A」,「I」,「U」,「E」,「O」과 만나는 경계선 입력키(12c)를 동시에 누르면 「SYA」,「SYI」,「SYU」,「SYE」,「SYO」가 키입력되어
Figure 112014025892285-pat00002
가 표현된다.
삭제
또, 촉음 っ는 자음키 그룹(11)에서 상기 중앙 입력키(11a)를 1회 누른 다음 변환되는 주변 입력키(11b)인 「M」, 「R」,「V」,「P」, 「t」 중 「t」와, 모음키 그룹(12)의 「U」를 동시에 누르면 「tU」가 키입력되어 촉음 っ가 표현된다. 상기 촉음 っ 를 입력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자음키 그룹(11)에서 주변 입력키(11b) 중 「T」와 모음키 그룹(12)의 상기 중앙 입력키(12a)인 「Y」를 1회 누른 다음 변환되는 주변 입력키(12b) 중에서 「u」 를 동시에 누르면 「Tu」가 키입력되어 촉음 っ가 표현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자음키 그룹(11)과 모음키 그룹(12)에서 상기 중앙 입력키(11a, 12a)와 주변 입력키(11b, 12b)인 가 만나는 경계선 입력키(11c, 12c)를 눌러 키입력을 하는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지만, 주변 입력키(11b, 12b)와 주변 입력키(11b, 12b) 사이의 경계선를 눌러 키입력을 하게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음키 그룹(11)에서 주변 입력키(11b)인 「K」와 「H」사이의 경계선, 「H」와 「N」 사이의 경계선, 「N」와 「T」 사이의 경계선 등을 누르면 새로운 키입력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음절입력에 대한 몇가지 예를 들었지만 자음키 그룹(11)과 모음키 그룹(12)으로 구분된 제한된 입력키를 가지고 거의 모든 일본어 음절을 양손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동시에 입력(「あ」,「い」,「う」,「え」,「お」와 「や」,「ゆ」,「よ」는 한 손가락으로 입력)할 수 있어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하고 입력속도가 빠르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히라가나(ひらがな)를 입력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기능키를 신설하여 히라가나 입력 모드에서 카타카나(カタカナ)입력모드로 변경하면 간단하게 카타카나(カタカナ)의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자음키 그룹의 입력키와 모음키 그룹의 입력키를 동시에 누르지 아니하고 비교적 짧은 시차(예를 들면, 0.5초이내)를 두고 2개의 키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어기에서는 상기 2개의 키입력이 일정시간 범위내의 시차 입력(예를 들면, 0.5초이내)이면 상기 2개의 키입력의 조합을 분석하여 대응되는 일본어 음절이 있으면 그 일본어 음절을 출력하게 한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입력을 인식하는 다른 실시예는 2개 이상의 키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입력의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키입력을 인식하는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다.
1) 모음키 그룹(12) 중 어느 하나의 키입력(이하 '모음키 입력'이라 함)이 연속해서 있는 경우, 첫번째 모음키 입력을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키입력으로 인식한다.
2) 첫번째 모음키 입력과 두번째 자음키 그룹(11) 중 어느 하나의 키입력(이하 '자음키 입력'이라 함)의 순으로 키입력이 있는 경우, 바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키입력을 인식하지 않고 다음 키(세번째 키) 입력을 기다려서 다음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키입력을 인식한다.
① 다음 키(세번째 키) 입력이 모음키 입력인 경우 첫번째 키입력과 두번째 키입력과의 시간 간격(t1)과 두번째 키입력과 세번째 키입력과의 시간 간격(t2)에서 시간 간격이 짧은 키입력들의 키조합을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키입력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ありがとう"를 입력하기 위하여 「A」, 「R」,「I」,「G」,「A」,「T」「O」,「U」의 순으로 키입력을 하면되는데, 「A」,「R」,「I」에서 키입력 속도에 따라 「R」,「A」,「I」로 인식되어 "らい"로 표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A」와 「R」의 키입력 시간 간격(t1)과 「R」와 「I」의 키입력 시간 간격(t2)을 비교하여 t1>t2에 해당되어 「A」, 「R」,「I」즉, "あり"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② 다음 키(세번째 키) 입력이 자음키인 경우 입력인 경우 첫번째 키입력을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키입력을 인식하고, 세번째 키입력은 에러 또는 재입력하도록 하여 다음키 입력을 기다린다.
3) 첫번째 자음키 입력과 두번째 모음키 입력 순으로 키입력이 있는 경우, 바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키입력을 인식하지 않고 다음 키(세번째 키) 입력을 기다려서 다음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키입력을 인식한다.
① 다음 키(세번째 키) 입력이 모음키 입력인 경우 첫번째 키입력과 두번째 키입력의 키조합을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키입력을 인식한다.
② 다음 키(세번째 키) 입력이 자음키 입력인 경우 첫번째 키입력과 두번째 키입력과의 시간 간격(t1)과 두번째 키입력과 세번째 키입력과의 시간 간격(t2)에서 시간 간격이 짧은 키입력들의 키조합을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키입력을 인식한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하나의 일본어 음절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자음키 입력과 모음키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지면 좋으나, 사용자의 입력 오류 또는 입력 여건으로 인하여 자음키 입력과 모음키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키입력의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키입력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일본어 입력장치는 상기 키패드와 상기 제어기 및 상기 메모리의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변환시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이 가능하고, 이럴 경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자신의 단말기에 다운로드 받아 설치만 하면 간단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은 다른 언어(예: 영어, 한글)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기 등을 함께 포함시켜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키패드 11: 자음키 그룹
11a, 12a: 중앙 입력키 11b, 12b: 주변 입력키
11c, 12c: 경계선 입력키 12: 모음키 그룹
20: 일본어 변환장치 21: 제어기
22: 메모리 30: 화면 장치

Claims (7)

  1. 알파벳 자음키 그룹과 모음키 그룹으로 구분되어 배치되도록 터치 화면에서 작동되는 소프트웨어로 된 키패드와, 일본어 폰트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키패드의 키입력을 판단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대응되는 일본어 폰트를 추출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알파벳을 사용하여 일본어를 입력하는 일본어 입력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1개의 중앙 입력키와 상기 중앙 입력키의 주위로 다수개의 주변 입력키를 가지는 입력키 그룹을 자음키 그룹 및 모음키 그룹으로 2개로 구분하여 인근에 배치하고,
    상기 자음키 그룹 및 모음키 그룹에서 상기 중앙 입력키, 상기 주변 입력키, 상기 중앙 입력키와 주변 입력키가 만나는 경계선 입력키 중에서 하나 또는 동시에 둘을 눌러 모든 일본어 음절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자음키 그룹은 중앙 입력키에 "W"를, 주변 입력키에 「K」,「H」,「N」,「T」,「S」를 배치하고, 상기 중앙 입력키인 "W"가 1회 눌러지면 주변 입력키가 「M」, 「R」,「P」를 포함하여 변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입력키인 "W"와 상기 주변 입력키인 「K」,「H」,「N」,「T」,「S」가 만나는 경계선 입력키를 누르면 「G」,「B」,「NN」, 「D」,「Z」가 입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장치.
  4. 알파벳 자음키 그룹과 모음키 그룹으로 구분되어 배치되도록 터치 화면에서 작동되는 소프트웨어로 된 키패드와, 일본어 폰트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키패드의 키입력을 판단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대응되는 일본어 폰트를 추출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알파벳을 사용하여 일본어를 입력하는 일본어 입력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1개의 중앙 입력키와 상기 중앙 입력키의 주위로 다수개의 주변 입력키를 가지는 입력키 그룹을 자음키 그룹 및 모음키 그룹으로 2개로 구분하여 인근에 배치하고,
    상기 모음키 그룹은 중앙 입력키에 "Y"를, 주변 입력키에 「A」,「I」,「U」,「E」,「O」를 배치하거나 「a」,「i」,「u」,「e」,「o」를 배치하며,
    상기 주변 입력키에 「A」,「I」,「U」,「E」,「O」가 배치된 경우 상기 중앙 입력키와 주변 입력키가 만나는 경계선 입력키를 누르면 각각 「YA」,「YI」,「YU」,「YE」,「YO」가 입력되고, 상기 주변 입력키에 「a」,「i」,「u」,「e」,「o」가 배치된 경우 「ya」,「yi」,「yu」,「ye」,「yo」가 입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장치.
  5. 알파벳 자음키 그룹과 모음키 그룹으로 구분되어 배치되도록 터치 화면에서 작동되는 소프트웨어로 된 키패드와, 일본어 폰트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키패드의 키입력을 판단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대응되는 일본어 폰트를 추출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알파벳을 사용하여 일본어를 입력하는 일본어 입력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1개의 중앙 입력키와 상기 중앙 입력키의 주위로 다수개의 주변 입력키를 가지는 입력키 그룹을 자음키 그룹 및 모음키 그룹으로 2개로 구분하여 인근에 배치하고,
    일본어 음절에서 「あ」,「い」,「う」,「え」,「お」와 「や」,「ゆ」,「よ」는 상기 모음키 그룹의 입력키만의 키입력으로 가능하며, 나머지 일본어 음절은 상기 자음키 그룹의 입력키와 모음키 그룹의 입력키를 동시에 누르는 키입력으로 입력되게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장치.
  6. 제1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자음키 그룹의 입력키와 모음키 그룹의 입력키를 동시에 누르지 아니하고 시차를 두고 2개의 키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2개의 키입력의 시차가 일정시간 범위 내이면 상기 2개의 키입력의 조합을 분석하여 대응되는 일본어 추출하게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장치.
  7.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와 상기 제어기 및 상기 메모리의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변환시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시킨 것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자신의 단말기에 설치하면 사용이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장치.
KR1020130018922A 2013-02-22 2013-02-22 일본어 입력장치 KR101426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922A KR101426643B1 (ko) 2013-02-22 2013-02-22 일본어 입력장치
JP2014031188A JP2014165920A (ja) 2013-02-22 2014-02-21 日本語入力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922A KR101426643B1 (ko) 2013-02-22 2013-02-22 일본어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643B1 true KR101426643B1 (ko) 2014-08-06

Family

ID=51616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922A KR101426643B1 (ko) 2013-02-22 2013-02-22 일본어 입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4165920A (ko)
KR (1) KR1014266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876B1 (ko) 2018-10-26 2020-04-21 이경종 올인원방식에 의한 정보통신기기의 문자 입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6760B2 (ja) 2014-04-22 2016-10-12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ペダル、クリート、および自転車用ペダルシステム
JP6266824B1 (ja) * 2017-03-30 2018-01-24 株式会社ドワンゴ 情報入力装置、情報入力方法、および情報入力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5752A (ko) * 2007-10-08 2009-04-13 주식회사 자코드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JP2010211447A (ja) 2009-03-10 2010-09-24 Suri-Ai:Kk 文字入力方法及びそれを用いるキーボード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6628B2 (ja) * 1992-03-09 1997-06-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キー入力装置
JPH1115584A (ja) * 1997-06-25 1999-01-22 Chubu Nippon Denki Software Kk キーボードによる文字入力方式および電子機器
JP4111755B2 (ja) * 2002-06-12 2008-07-02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文字情報入力装置及び方法、文字情報入力プログラム、文字情報入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5702540B2 (ja) * 2010-02-18 2015-04-15 ロー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5752A (ko) * 2007-10-08 2009-04-13 주식회사 자코드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JP2010211447A (ja) 2009-03-10 2010-09-24 Suri-Ai:Kk 文字入力方法及びそれを用いるキーボー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876B1 (ko) 2018-10-26 2020-04-21 이경종 올인원방식에 의한 정보통신기기의 문자 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65920A (ja) 2014-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549B1 (ko) 투 클릭 모르스부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Arif et al. A survey of text entry techniques for smartwatches
US20200089402A1 (en) Providing one or more new virtual keys in a virtual keyboard that each correspond to a predicted set of characters
JP2017509080A (ja) 漢字入力装置と漢字入力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漢字検索方法
KR101426643B1 (ko) 일본어 입력장치
CN101788879A (zh) 软键盘布局及扫描输入方法
KR20120063407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빠른 문자입력방법 및 문자입력장치
Niu et al. Stroke++: A new Chinese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 mobile phones
KR200421161Y1 (ko)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키패드어레이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380502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KR20110137679A (ko) 휴대단말기의 일본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KR101637163B1 (ko) 문자입력장치
KR100966142B1 (ko)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KR100918082B1 (ko) 사전식 순서 및 사용 빈도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CN104991657A (zh) 一种中文和日文假名综合输入法及输入法系统
KR20120080474A (ko) 선긋기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CN103076987A (zh) 手写输入法
JP2019140527A (ja) 入力受付装置
KR20130004648A (ko) 터치스크린패널기기에서의 문서편집기능이 있는 다국어 문자입력장치
KR20100027195A (ko) 한글자음 필기인식과 터치인식 조합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1744488B1 (ko) 음절의 분리와 합성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194119B1 (ko) 문자표시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JP2010033254A (ja) アジア言語の高速入力システム
JP6482622B2 (ja) アジア言語の高速入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