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502B1 -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80502B1 KR101380502B1 KR1020120114019A KR20120114019A KR101380502B1 KR 101380502 B1 KR101380502 B1 KR 101380502B1 KR 1020120114019 A KR1020120114019 A KR 1020120114019A KR 20120114019 A KR20120114019 A KR 20120114019A KR 101380502 B1 KR101380502 B1 KR 1013805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input button
- button
- dragging
- dra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및 드래그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며, 중심인 제2줄 제2열에 제 1‘ㆍ’입력버튼을 포함하도록 3열 3줄로 배치되는 ‘ㅅ’입력버튼을 제외한 복수 개의 기본자음 입력버튼; 터치스크린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3열 3줄로 배치되며, 제 2‘ㆍ’입력버튼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기본모음 입력버튼; 및 상기 복수 개의 기본자음 입력버튼과 기본모음 입력버튼 중간에 배치되는 ‘ㅅ’입력버튼;을 포함하며, 상기‘ㅅ’입력버튼은 상기 기본자음 입력버튼과 기본모음 입력버튼의 제2줄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터치 스크린을 가지는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이 활발해 지면서, 기존 휴대전화의 키패드에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되던 천지인, EZ-한글 이외에도 Qwerty 방식등의 입력 수단이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1999년 삼성전자가 '천지인'방식을,LG전자는 '나랏글(EZ한글)'을 채용하여 본격적인 생산을 하였고 그 후, 현대 큐리텔과 모토롤라 등이 자체한글 입력방식을 선보였다. 하지만 이런 일련의 과정들 속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이 여러 사람들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통일 되지 못하고 연구 진행되었으며, 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방송통신위원회는 2011년 3월 스마트폰에 한하여 '천지인', '나랏글', 'SKY' 3 가지 방식을 복수표준으로 제정하였다. 이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방식 중에서 휴대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표준을 선정하는 1단계표준화 정책방안을 확정한 것이며, 차기 2단계에서 민간포럼 운영을 통해 한글자판 표준안을 도출할 예정이다.
그러나 제정된 표준의 문제점은 터치&드래그(Touch & drag)" 같은 편리한 기술이 대중화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아직 기존 피쳐폰(Feature Phone)의 입력버튼 클릭을 이용한 입력방식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PDA 등 요즘 출시되는 휴대 단말기들의 경우 대부분 터치 및 드래그 입력방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전자기기에 적용이 가능한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에 대한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적은 타수만으로도 정확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및 드래그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는 터치 및 드래그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며, 제 1'ㆍ'입력버튼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기본자음 입력버튼; 및 터치스크린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며, 제 2'ㆍ'입력버튼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기본모음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기본자음 입력버튼과 기본모음 입력버튼 중간에 'ㅅ'입력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본자음 입력버튼들은 상기 제 1'ㆍ'입력버튼을 중심으로 동일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본자음 입력버튼은 제 1 줄에 좌측으로부터 'ㅈ', 'ㄴ', 'ㄱ'입력버튼이 배치되고, 제 2 줄에 좌측으로부터 'ㅇ', 제 1'ㆍ'입력버튼, 'ㄹ'입력버튼이 배치되고, 제 3 줄에 좌측으로부터 'ㄷ', 'ㅁ', 'ㅂ'입력버튼이 배치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줄의 입력버튼들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본모음 입력버튼은 제 1 줄에 좌측으로부터 'ㅗ', 제 2'ㆍ'입력버튼, 'ㅜ'입력버튼이 배치되고, 제 2 줄에 좌측으로부터 'ㅏ', 'ㅣ', 'ㅓ'입력버튼이 배치되고, 제 3 줄에 상기 'ㅣ' 입력버튼의 하측에 'ㅡ'입력버튼이 배치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줄의 입력버튼들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거센소리의 입력은 기본자음과 제 1'ㆍ'입력버튼의 드래그 입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ㅊ'자음은 'ㅈ'입력버튼과 제 1'ㆍ'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ㅋ'자음은 'ㄱ'입력버튼과 '제 1'ㆍ'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ㅌ'자음은 'ㄷ'입력버튼과 제 1'ㆍ'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ㅍ'자음은 'ㅂ'입력버튼과 제 1'ㆍ'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ㅎ'자음은 'ㅇ'입력버튼과 제 1'ㆍ'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될 수 있다.
된소리의 입력은 기본자음과 제 1'ㆍ'입력버튼의 왕복 드래그 입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ㅉ'자음은 'ㅈ'입력버튼과 제 1 'ㆍ'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왕복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ㄲ'자음은 'ㄱ'입력버튼과 제 1 'ㆍ'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왕복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ㅆ'자음은 'ㅅ'입력버튼과 제 1 'ㆍ'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왕복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ㅃ'자음은 'ㅂ'입력버튼과 제 1 'ㆍ'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왕복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ㄸ'자음은 'ㄷ'입력버튼과 제 1 'ㆍ'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왕복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될 수 있다.
'ㅕ, ㅠ, ㅑ, ㅕ'모음의 입력은 기본모음과 제 2'ㆍ'입력버튼의 드래그 입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ㅛ'모음은 'ㅗ'입력버튼과 제 2 'ㆍ'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ㅠ'모음은 'ㅜ'입력버튼과 제 2 'ㆍ'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ㅑ'모음은 'ㅏ'입력버튼과 제 2 'ㆍ'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ㅕ'모음은 'ㅓ'입력버튼과 제 2 'ㆍ'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될 수 있다.
'ㅐ'모음은 'ㅏ'입력버튼과 'ㅣ' 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되고, 'ㅔ'모음은 'ㅓ'입력버튼과 'ㅣ' 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되고, 'ㅢ'모음은 'ㅡ'입력버튼과 'ㅣ' 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거나 역순으로 입력될 수 있다.
'ㅒ'모음은 'ㅏ'입력버튼과 제 2 'ㆍ' 입력버튼 및'ㅣ'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ㅖ'모음은 'ㅓ'입력버튼과 제 2 'ㆍ' 입력버튼 및 'ㅣ'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될 수 있다.
'ㅘ'모음은 'ㅗ'입력버튼과 'ㅏ' 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되고, 'ㅚ'모음은 'ㅗ'입력버튼과 'ㅣ' 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되고, 'ㅟ'모음은 'ㅜ'입력버튼과 'ㅣ' 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되고, 'ㅝ'모음은 'ㅜ'입력버튼과 'ㅓ' 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될 수 있다.
'ㅙ'모음은 'ㅗ'입력버튼과 'ㅏ'입력버튼 및 'ㅣ'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ㅞ'모음은 'ㅜ'입력버튼과 'ㅓ' 입력버튼 및 'ㅣ'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될 수 있다.
서로 다른 2개의 자음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복자음은 복자음을 구성하는 자음들을 순차적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며, 'ㄳ'자음은 'ㄱ'입력버튼과 'ㅅ'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되고, 'ㄵ'자음은 'ㄴ'입력버튼과 'ㅈ'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되고, 'ㄶ'자음은 'ㄴ'입력버튼과 제 1 'ㆍ' 입력버튼 및 'ㅇ'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ㄺ'자음은 'ㄹ'입력버튼과 'ㄱ'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되고, 'ㄻ'자음은 'ㄹ'입력버튼과 'ㅁ'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되고, 'ㄼ'자음은 'ㄹ'입력버튼과 'ㅂ'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되고, 'ㄽ'자음은 'ㄹ'입력버튼과 'ㅅ'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되고, 'ㄾ'자음은 'ㄹ'입력버튼과 제 1 'ㆍ' 입력버튼 및 'ㅌ'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ㄿ'자음은 'ㄹ'입력버튼과 제 1 'ㆍ' 입력버튼 및 'ㅂ'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ㅀ'자음은 'ㄹ'입력버튼과 제 1 'ㆍ' 입력버튼 및 'ㅇ'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거나, 제 1 'ㆍ' 입력버튼 및 'ㅇ'입력버튼을 드래그 한 후에, 'ㄹ'입력버튼을 드래그 하여 입력되고, 'ㅄ'자음은 'ㅂ'입력버튼과 'ㅅ'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될 수 있다.
드래그 입력을 이용하여 자모음을 글자 쓰듯이 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모든 자모음이 한 번에 디스플레이 되므로, 숨어있는 자모가 없어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qwerty 자판에 비해 자모음의 수가 작아 오타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장치의 자판 배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거센소리 자음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된소리 자음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ㅛ, ㅠ, ㅑ, ㅕ 모음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ㅐ, ㅔ, ㅢ 모음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ㅒ, ㅖ 모음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ㅘ, ㅚ, ㅟ, ㅝ 모음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ㅙ, ㅞ 모음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복자음 입력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절입력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수비한글의 자판배열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비한글을 스마트폰에 적용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다.
도 2는 거센소리 자음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된소리 자음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ㅛ, ㅠ, ㅑ, ㅕ 모음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ㅐ, ㅔ, ㅢ 모음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ㅒ, ㅖ 모음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ㅘ, ㅚ, ㅟ, ㅝ 모음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ㅙ, ㅞ 모음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복자음 입력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절입력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수비한글의 자판배열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비한글을 스마트폰에 적용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한글입력장치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글자는 크게 뜻을 나타내는 뜻글자(표의문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소리글자(표음문자)로 나뉘는데, 중국의 한자나 옛 이집트의 상형문자는 뜻글자이고 한글이나 영어, 일본의 가나는 소리글자이다. 소리글자는 다시 음절문자와 단음문자로 나뉘는데, 가나는 음절문자이고 한글은 단음문자이다. 음절문자는 글자 한 자가 음절하나를 표시하는 것 이고, 단음문자는 한 음절을 여러 음으로 쪼개어 각각의 글자가 한 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글자의 발전 단계로 볼 때 한글은 훨씬 발전된 글자라고 할 수 있다. "사람마다 해여 수비 니겨 날로 쑤메 편한키 하고져 할 따라미니라." 라는 세종어제 훈민정음은 실제 사람들이 읽고 쓰기에 편리하도록 자음과 모음의 배열이 매우 규칙적으로 되어있으며 자음 또는 모음이 내는 소리는 각각 단 하나이기 때문에 아주 정확하다.
현대국어의 한글은 상기한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4개의 기본자음과 10개의 기본모음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24개의 자소가 서로 조합하여 새로운 한 글자를 만들어 낸다. 여기에 복자음, 복모음, 쌍자음이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자소로 추가된다. 기 언급한 바와 같이 한글은 조합이라는 방법으로 한 글자를 구현하고 있는데 각 자소는 초성, 중성, 종성으로 나누어 분류할 수 있다.
이들 초성, 중성, 종성이 조합되어 한 음절을 이루게 되고 이러한 조합의 방법에는 원칙이 존재한다. 초성에 올 수 있는 자소는 자음과 쌍자음만이다. 초성에 쓰이는 자소는 자음 14개와 쌍자음 5개를 합한 19개이다. 그리고 중성은 기본 모음 10개와 복모음 11개가 쓰이고 종성은 자음 14개, 복자음 11개 그리고 쌍자음이 2개 쓰인다. 이러한 제자원리에 입각하여 표현할 수 있는 글자 수는 받침이 없는 글자 399개와 받침이 있는 글자 10,773개를 합하여 모두 11,172자에 이른다. 이렇게 한글은 기본 24자를 가지고 다른 언어에서는 표현하기 힘든 많은 종류의 글자 조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존 한글 입력방식의 단점을 개선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새로운 한글 입력방식을 제안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한글 입력방식은 "수비한글"로 칭한다.
종래의 표준으로 제정된 입력기 들은 3*4키를 사용하기 때문에 입력 시 여러 번 클릭해야 하는 불편함과 자음 충돌 문제가 있고, 쿼티 자판의 경우에는 28자의 많은 글자를 키보드 안에 담아야 하므로 자소 간격이 좁아 오타가 날 확률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비한글은 터치패널을 입력수단으로 가지는 전자기기에서의 "터치&드래그" 기능을 이용하여 최소한의 손가락 움직임으로 음절이 구성 되도록 하여 자모음 조합을 위한 동선 즉, 운지거리를 최소화 하였다. 이 동작은 실제 글자를 쓰는 것과 같은 느낌이 들게 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음을 왼쪽에 모음을 오른쪽에 두어 좌우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자모음을 조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숨은 자소 없이 한 자판에 모든 자모음을 배치하여 가독성을 높였으며, 천지인이나 SKY 한글입력기의 문제점인 자음충돌을 피하기 위해 공백 키를 누르거나 기다릴 필요가 없다.
상기한 표 2 및 표 3은 표 상단에 기재되어 있는 한글 글자 입력에 대한 터치 횟수를 정리한 표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비한글의 경우, 한번의 드래그도 한번의 터치로 계산하였다.
상기한 표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비한글은 기존의 쿼티, 천지인, EZ한글, SKY한글에 비해 터치 합이 적기 때문에, 사용자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한글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교 입력기 |
깊이 | 자·모 구분배치 |
중, 초성 분리 | 자·모수 |
수비한글 | 0 | O | O | 17 |
쿼티한글 | 1 | O | O | 27 |
천지인 | 2 | X | X | 22 |
EZ한글 | 1 | O | O | 14 |
SKY한글 | 2 | O | X | 27 |
상기 표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비한글의 깊이를 다른 종래의 한글입력장치들과 비교한 표이다.
깊이는 자음과 모음이 입력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지 못하고, 동일 입력버튼을 몇 번까지 눌러야 원하는 자음 또는 모음이 나올 수 있는지를 그 입력버튼 클릭 수를 통해 표시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깊이가 깊을수록 가독성 및 학습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수비한글은 모든 자음과 모음이 한 화면에 보여지므로, 상기 표 4와 같이 그 깊이가 '0'이어서 가독성 및 학습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수비한글의 입력방법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입력 방법은 두벌식 자판 입력과 세벌식 자판입력 방식으로 나뉜다. 두벌식 자판은 한글 입력 시 자음과 모음을 구분해서 입력하게 된다. 한글이 원래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모음으로는 중성을, 자음으로는 초, 종성을 사용하기 때문에 두벌식이라 부른다. 세벌식 자판은 초성, 중성, 종성 모두 구분되어 입력되므로 기본적으로 중성 모음 입력 후 다음 자음이 초성이 될지 종성이 될지 구분 가능하다. 그러나 그만큼 많은 키 입력버튼을 나열해야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방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벌식 자판입력방식을 수용하였다. 즉, 왼쪽에는 자음을 배치하고, 오른쪽에는 모음을 배치하여 엄지손가락을 번갈아 가며 사용하도록 하였다. 손가락 운동 관한 연구들에 의하면 연속 타건(打件)의 경우에 양손 교타(交打)가 가장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양손 교타의 경우에 어떤 손가락 조합으로 치든, 그리고 어느 단의 건을 치든 영향이 없다. 따라서 자모의 연관출현 빈도를 고려하여 연관출현빈도가 높은 두 자모를 동일 손가락 상 하단에 배치하지 말아야 하며 가급적이면 오른손 쪽과 왼손 쪽으로 갈라 배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자음을 이용하여 종성 밭침을 만들거나, 모음을 이용하여 이중 모음을 구성할 때, 운지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해 조합하는 자음과 모음 등을 근접한 위치에 배치하여, 드래그 입력을 수행할 때 실제 글자를 쓰는 듯한 느낌이 들 수 있도록 배치하였다.
또한, 현대의 자모음에서 사용하지 않는 'ㆍ' 모양을 추가하였는데, 자음 파트에서 'ㆍ'의 역할은 기본자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과 조합하여 된소리(ㄲ,ㄸ,ㅃ,ㅆ,ㅉ)와 거센소리(ㅊ,ㅋ,ㅌ,ㅍ,ㅎ)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모음파트에서 'ㆍ'의 역할은 단모음(ㅏ,ㅓ,ㅗ,ㅜ,ㅡ,l,ㅐ,ㅔㅚ,ㅟ) 중 'ㅏ,ㅓ, ㅗ, ㅜ'와 조합하여 이중모음 'ㅑ, ㅕ, ㅛ,ㅠ'이 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음의 배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행에는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ㅈ', 'ㄴ', 'ㄱ'이 배치되고, 제 2 행에는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ㅇ', 제 1'ㆍ', 'ㄹ' 및 'ㅅ'이 배치되며, 제 3 행에는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ㄷ', 'ㅁ', 'ㅂ'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ㅅ'은 키 배열의 중앙에 배치되어 'ㅅ'키의 좌측에는 자음이 배치되고, 우측에는 모음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배치 순서는 바뀔 경우 사용자 편이성이 매우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도 1에 도시한 순서대로 배치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모음의 배열은, 제 1 행에는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ㅗ', 제 2'ㆍ', 'ㅜ'가 배치되고, 제 2 행에는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ㅏ', 'ㅣ', 'ㅓ'가 배치되며, 제 3 행에는 상기 'ㅣ'입력버튼의 하측에 'ㅡ'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거센소리 자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제 1'ㆍ'을 이용하여, 거센소리(ㅊ,ㅋ,ㅌ,ㅍ,ㅎ)를 입력할 수 있는데, 이는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ㅊ'은 'ㅈ' + 제 1'ㆍ' 또는 제 1'ㆍ' + 'ㅈ'으로 입력할 수 있고, 'ㅋ'은 'ㄱ' + 제 1'ㆍ' 또는 제 1'ㆍ' + 'ㄱ'으로, 'ㅌ'은 'ㄷ' + 제 1'ㆍ' 또는 제 1'ㆍ' + 'ㄷ'으로, 'ㅍ'은 'ㅂ' + 제 1'ㆍ'또는 제 1'ㆍ'+ 'ㅂ'으로, 'ㅎ'은 'ㅇ' + 제 1'ㆍ'또는 제 1'ㆍ'+ 'ㅇ'으로 입력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된소리 입력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ㆍ'을 이용하여, 된소리인 'ㄲ,ㄸ,ㅃ,ㅆ,ㅉ'을 입력할 수 있는 각각의 입력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ㄲ'은 'ㄱ'+ 제 1'ㆍ'+'ㄱ' 또는 제 1'ㆍ'+'ㄱ'+'ㆍ', 'ㄸ'은'ㄷ'+ 제 1'ㆍ'+'ㄷ' 또는 제 1'ㆍ'+'ㄷ'+ 제 1'ㆍ', 'ㅃ'은'ㅂ'+ 제 1'ㆍ'+'ㅂ' 또는 제 1'ㆍ'+'ㅂ'+ 제 1'ㆍ', 'ㅆ'은 'ㅅ'+ 제 1'ㆍ'+'ㅅ' 또는 제 1'ㆍ'+'ㅅ'+ 제 1'ㆍ', 'ㅉ'은'ㅈ'+ 제 1'ㆍ'+'ㅈ' 또는 제 1'ㆍ'+'ㅈ'+ 제 1'ㆍ' 의 드래그 조합으로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각의 자음과 제 1'ㆍ'을 번갈아 드래그 하는 동작만으로 입력이 가능하므로, 기존과 같이 동일 자음을 번갈아 누르거나, qwerty와 같이 쉬프트 키를 누르는 것과 같은 번거로움 없이 된소리를 입력할 수 있다.
도 4는 'ㅑ, ㅕ, ㅛ, ㅠ'를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자음인 ㅏ, ㅓ, ㅗ, ㅜ, ㅡ, l 는 해당 입력버튼 클릭으로 입력이 가능하다. 반면, 상기 기본 자음에 획이 추가되어 있는 'ㅑ, ㅕ, ㅛ, ㅠ'의 경우에는 각각의 모음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ㆍ'입력버튼을 드래그 하는 동작을 통해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ㅐ, ㅔ, ㅢ'를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ㅐ'는 기본자음인 'ㅏ'를 입력한 후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ㅣ'입력버튼을 화살표와 같이 드래그 하여 입력하고, 'ㅔ'는 기본자음인 'ㅓ'를 입력한 후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ㅣ'입력버튼을 화살표와 같이 드래그하여 입력하며, 'ㅢ'는 기본자음인 'ㅡ'를 입력한 후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ㅣ'입력버튼을 화살표와 같이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드래그 순서는 역순으로 진행되어도 동일하게 입력 가능하다.
도 6은 'ㅒ'와 'ㅖ'를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ㅒ'는 'ㅏ'를 입력한 후 상측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제 2'ㆍ'입력버튼을 드래그 한 후에,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ㅣ'입력버튼을 다시 연속적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제 2 'ㆍ'입력버튼에서 'ㅏ'입력버튼을 드래그 한 후에 'ㅣ'입력버튼으 드래그 가거나, 'ㅣ'+ 'ㅏ'+ 제 2 ''입력버튼의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ㅖ'는 'ㅓ'를 입력한 후 상측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제 2'ㆍ'입력버튼을 드래그 한 후에,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ㅣ'입력버튼을 다시 연속적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고, 역순으로 드래그 하거나, 제 2 'ㆍ'입력버튼에서 'ㅓ'입력버튼을 드래그 한 후에 'ㅣ'입력버튼을 드래그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ㅘ, ㅚ, ㅝ, ㅟ'를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ㅘ'는 기본자음인 'ㅗ'에서 시작하며, 'ㅗ' 입력버튼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기본자음인 'ㅏ'를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ㅚ'는 기본자음인 'ㅗ'에서 시작하며, 'ㅗ' 입력버튼의 하측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어 있는 기본자음인 'ㅣ'를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ㅝ'는 기본자음인 'ㅜ'에서 시작하며, 'ㅜ' 입력버튼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기본자음인 'ㅓ'를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ㅟ'는 기본자음인 'ㅜ'에서 시작하며, 'ㅜ' 입력버튼의 하측 대각선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기본자음인 'ㅣ'를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도 8은 'ㅙ'와 'ㅞ'를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ㅙ'는 기본모음인 'ㅗ'에서 시작하며, 'ㅗ' 입력버튼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기본모음인 'ㅏ'와 그 우측에 배치되는 기본모음인 'ㅣ'를 연속적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ㅞ'는 기본모음인 'ㅜ'에서 시작하며, 'ㅜ' 입력버튼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기본모음인 'ㅓ'와 그 좌측에 배치되는 기본모음인 'ㅣ'를 연속적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도 9는 복자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형태의 복자음들이 사용될 수 있는데, 현재 사용되는 복자음은 총 11가지로,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이다.
이러한 복자음을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자음들 사이를 드래그하여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ㆍ'입력버튼을 중심으로 제 1 줄에는 좌측으로부터 'ㅈ', 'ㄴ', 'ㄱ'이, 제 2 줄에는 좌측으로부터 'ㅇ', 제 1'ㆍ', 'ㄹ', ㅅ', 제 3 줄에는 좌측으로부터 'ㄷ', 'ㅁ', 'ㅂ'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자음들의 위치는 복자음으로 자주 사용되는 자음들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자음들을 드래그 하는 동작 만으로 복자음의 입력이 가능하다.
따라서 'ㄳ'는 'ㄱ'입력버튼과 'ㅅ'입력버튼의 드래그를 통해 입력 가능하고, 'ㄵ'은 'ㄴ'입력버튼과 'ㅈ'입력버튼의 드래그를 통해 입력이 가능하다. 다른 복자음들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입력 가능하다.
도 10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수비한글을 이용하여 단어를 입력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휑하다'의 '휑'를 입력할 경우에는 ① 'ㅇ' + 제 1'ㆍ'입력버튼 또는 제 1'ㆍ'입력버튼 + 'ㅇ'→ ② 'ㅜ' + 'ㅓ' + 'ㅣ' → ③ 'ㅇ'의 순서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 '떫다'의 '떫'을 입력할 경우에는 ① 'ㄷ' + 제 1'ㆍ'입력버튼 + 'ㄷ' 또는 제 1'ㆍ'입력버튼 + 'ㄷ' + 제 1'ㆍ'입력 → ② 'ㅓ'→ ③ 'ㄹ' + 'ㅂ'의 순서로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합이 많은 단어라도 최대 3번의 터치와 드래그로 글자의 완성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간편하게 한글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최적화된 자모의 배치에 있다. 즉, 양손 교타로 입력할 경우, 어떤 손가락의 조합으로 입력버튼을 클릭 및 드래그하더라도 입력 속도에 영향이 없고, 자모의 연관출현빈도가 높은 두 자모를 동일 손가락 상하단에 배치하지 말아야 하며, 가급적이면 오른손 쪽과 왼손 쪽으로 갈라 배치하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비한글의 경우 왼쪽에는 기존의 쿼티 키보드와 같이 자음을, 오른쪽에는 모음을 배치하였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소리 및 거센소리를 만들기 위해 손가락이 'ㄱ, ㄷ, ㅂ, ㅈ' 자음과 'ㆍ' 사이를 빈번하게 움직이더라도 다른 글자가 출력되는 오타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기본자음(ㄱ, ㄷ, ㅂ, ㅈ) 사이에 된소리 및 거센소리를 이룰 수 없는 자음들(ㄴ, ㄹ, ㅁ, ㅇ)을 개재하여, 손가락이 다른 자음에 침범하더라도 잘못된 글자가 출현하지 않기 때문이다. 'ㅅ'또한 'ㅆ'을 만들기 위하여 'ㄹ'위를 통과하더라도, 'ㄹ'이 된소리나 거센소리를 만들 수 없는 자음이기 때문에 잘못된 입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모음에서는 'ㅑ'와 'ㅕ'를 만들기 위해 손가락이 'ㅏ'와 제 2'ㆍ'입력버튼,'ㅓ' 와 제 2'ㆍ'입력버튼 사이를 움직이다가 다른 모음인 ('ㅗ','ㅣ', 'ㅜ')를 침범 하더라도 'ㅑ','ㅕ'외에 다른 글자로는 조합이 되지 않기 때문에 오타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ㅚ'와 'ㅟ'를 만들기 위해 'ㅗ'와 'ㅣ','ㅜ' 와 'ㅣ'사이의 대각선 방향으로 움직일 때 손가락을 아래쪽('ㅏ' 또는 'ㅓ')으로 많이 치우치지 않는 이상 오타가 발생 확률이 적다. 반대로 위쪽은 제 2'ㆍ'입력버튼 이므로 'ㅚ','ㅟ' 조합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ㅚ'와 'ㅟ'는 직선, 'ㅙ'와 'ㅞ'는 곡선 패턴이므로 패턴형태를 인식 함으로써도 구분 가능하다. 종성(받침)을 보면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자음 입력을 위해 해당 자음을 바로 이웃하는 위치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글자 작성하듯이 드래그하면서 쓸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비한글을 스마트폰의 키보드 입력장치로 구성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 디스플레이(10)에서 한글을 입력할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수비한글 자판(100)이 팝업 되어, 상기 디스플레이(10)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비한글 자판(100)의 상측으로는 입력된 한글이 기재되는 입력창(11)과, 입력된 한글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 입력버튼(12)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비한글 자판(100)의 하측으로는 다른 기능의 키보드 동작을 위한 기능키들이 배치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장 좌측으로부터 키보드 감춤 입력버튼(13), 언어 전환 입력버튼(14), 스페이스 입력버튼(15), 마침표 및 쉼표 입력버튼(16) 및 엔터 입력버튼(17)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수비한글 자판(100)의 빈 공간부에는 사용자가 빈번하게 사용하는 특수문자 등을 포함하는 기능키(20)를 배치하여, 보다 손쉬운 한글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ㅅ'입력버튼의 상측에는 '@'입력버튼(21)을 배치하고, 'ㅅ'입력버튼의 하측에는 '>'입력버튼(23)을 배치하며, 'ㅏ'입력버튼의 하측에는 ';'입력버튼을, 'ㅓ'입력버튼의 하측에는 백스페이스 입력버튼(22)을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한글을 쓰는 필순에 기반하여 드래그 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순의 역순으로 드래그할 경우에도 동일하게 한글을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ㅖ'를 입력할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필순에 따라 'ㅓ'입력버튼과 제 2 'ㆍ'입력버튼을 먼저 드래그 하여 'ㅕ'를 형성한 후, 'ㅣ'입력버튼을 드래그 하여 입력하지만, 'ㅕ'를 형성함에 있어, 제 2 'ㆍ'입력버튼에서 'ㅓ'입력버튼으로 드래그한 후에 'ㅣ'를 드래그하여 'ㅖ'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ㅣ', 제 2 'ㆍ'입력버튼 및 'ㅓ'입력버튼의 순서로 드래그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든 종류의 복자음 및 모음에도 이와 같은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드래그 기반으로서 기본자음 및 모음을 제 1 및 제 2'ㆍ'입력버튼과의 조합을 통해 드래그 동작으로 입력하는 것에 특징이 있으므로, 기본자음 및 모음의 위치 및 조합은 다양하게 가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전자기기 디스플레이 11; 입력창
12; 전송 입력버튼 13; 키보드 감춤 입력버튼
14; 언어 전환 입력버튼 15; 스페이스 입력버튼
16; 마침표 및 쉼표 입력버튼 17; 엔터 입력버튼
20; 기능키 모듈 21; '@' 입력버튼
22; 백 스페이스 입력버튼 23; '>'입력버튼
24; ';'입력버튼 100; 수비한글 자판
12; 전송 입력버튼 13; 키보드 감춤 입력버튼
14; 언어 전환 입력버튼 15; 스페이스 입력버튼
16; 마침표 및 쉼표 입력버튼 17; 엔터 입력버튼
20; 기능키 모듈 21; '@' 입력버튼
22; 백 스페이스 입력버튼 23; '>'입력버튼
24; ';'입력버튼 100; 수비한글 자판
Claims (14)
- 터치 및 드래그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며, 중심인 제2줄 제2열에 제 1 'ㆍ' 입력버튼을 포함하도록 3열 3줄로 배치되는 'ㅅ'입력버튼을 제외한 복수 개의 기본자음 입력버튼;
터치스크린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3열 3줄로 배치되며, 제 2 'ㆍ'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기본모음 입력버튼; 및
상기 복수 개의 기본자음 입력버튼과 기본모음 입력버튼 중간에 배치되는 'ㅅ' 입력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ㅅ' 입력버튼은,
상기 기본자음 입력버튼과 기본모음 입력버튼의 제2줄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자음 입력버튼들은,
상기 제 1'ㆍ'입력버튼을 중심으로 상하좌우 측에 배치되는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자음 입력버튼은,
제 1 줄에 좌측으로부터 'ㅈ', 'ㄴ', 'ㄱ'입력버튼이 배치되고,
제 2 줄에 좌측으로부터 'ㅇ', 제 1'ㆍ'입력버튼, 'ㄹ'입력버튼이 배치되고,
제 3 줄에 좌측으로부터 'ㄷ', 'ㅁ', 'ㅂ'입력버튼이 배치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줄의 입력버튼들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모음 입력버튼은,
제 1 줄의 중앙에 제 2 ‘ㆍ’입력버튼이 배치되고,
‘ㅗ’, ‘ㅜ’, ‘ㅏ’, ‘ㅣ’, ‘ㅓ’입력버튼은 제 1 줄과 제 2 줄의 상기 제 2‘ㆍ’입력버튼의 좌우 및 하측에 배치되고,
제 3 줄 제 2 열에 ‘ㅡ’입력버튼이 배치되는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모음 입력버튼은,
제 1 줄에 좌측으로부터 'ㅗ', 제 2'ㆍ'입력버튼, 'ㅜ'입력버튼이 배치되고,
제 2 줄에 좌측으로부터 'ㅏ', 'ㅣ', 'ㅓ'입력버튼이 배치되고,
제 3 줄에 상기 'ㅣ' 입력버튼의 하측에 'ㅡ'입력버튼이 배치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줄의 입력버튼들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 -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를 이용하는 한글입력방법에 있어서,
거센소리의 입력은 기본자음과 제 1'ㆍ'입력버튼의 드래그 입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ㅊ'자음은 'ㅈ'입력버튼과 제 1'ㆍ'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ㅋ'자음은 'ㄱ'입력버튼과 '제 1'ㆍ'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ㅌ'자음은 'ㄷ'입력버튼과 제 1'ㆍ'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ㅍ'자음은 'ㅂ'입력버튼과 제 1'ㆍ'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ㅎ'자음은 'ㅇ'입력버튼과 제 1'ㆍ'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는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를 이용하는 한글입력방법. -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를 이용하는 한글입력방법에 있어서,
된소리의 입력은 기본자음과 제 1'ㆍ'입력버튼의 왕복 드래그 입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ㅉ'자음은 'ㅈ'입력버튼과 제 1 'ㆍ'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왕복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ㄲ'자음은 'ㄱ'입력버튼과 제 1 'ㆍ'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왕복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ㅆ'자음은 'ㅅ'입력버튼과 제 1 'ㆍ'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왕복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ㅃ'자음은 'ㅂ'입력버튼과 제 1 'ㆍ'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왕복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ㄸ'자음은 'ㄷ'입력버튼과 제 1 'ㆍ'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왕복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는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를 이용하는 한글입력방법. -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를 이용하는 한글입력방법에 있어서,
'ㅕ, ㅠ, ㅑ, ㅕ'모음의 입력은 기본모음과 제 2'ㆍ'입력버튼의 드래그 입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ㅛ'모음은 'ㅗ'입력버튼과 제 2 'ㆍ'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ㅠ'모음은 'ㅜ'입력버튼과 제 2 'ㆍ'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ㅑ'모음은 'ㅏ'입력버튼과 제 2 'ㆍ'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ㅕ'모음은 'ㅓ'입력버튼과 제 2 'ㆍ'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는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를 이용하는 한글입력방법. -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를 이용하는 한글입력방법에 있어서,
'ㅐ'모음은 'ㅏ'입력버튼과 'ㅣ' 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되고,
'ㅔ'모음은 'ㅓ'입력버튼과 'ㅣ' 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되고,
'ㅢ'모음은 'ㅡ'입력버튼과 'ㅣ' 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되는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를 이용하는 한글입력방법. -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를 이용하는 한글입력방법에 있어서,
'ㅒ'모음은 'ㅏ'입력버튼과 제 2 'ㆍ' 입력버튼 및'ㅣ'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ㅖ'모음은 'ㅓ'입력버튼과 제 2 'ㆍ' 입력버튼 및 'ㅣ'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는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를 이용하는 한글입력방법. -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를 이용하는 한글입력방법에 있어서,
'ㅘ'모음은 'ㅗ'입력버튼과 'ㅏ' 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되고,
'ㅚ'모음은 'ㅗ'입력버튼과 'ㅣ' 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되고,
'ㅟ'모음은 'ㅜ'입력버튼과 'ㅣ' 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되고,
'ㅝ'모음은 'ㅜ'입력버튼과 'ㅓ' 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되는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를 이용하는 한글입력방법. -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를 이용하는 한글입력방법에 있어서,
'ㅙ'모음은 'ㅗ'입력버튼과 'ㅏ'입력버튼 및 'ㅣ' 입력버튼을 순차적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으로 입력되고,
'ㅞ'모음은 'ㅜ'입력버튼과 'ㅓ' 입력버튼 및 'ㅣ'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순차적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으로 입력되는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를 이용하는 한글입력방법. -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를 이용하는 한글입력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2개의 자음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복자음은 복자음을 구성하는 자음들을 순차적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며,
'ㄳ'자음은 'ㄱ'입력버튼과 'ㅅ'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되고,
'ㄵ'자음은 'ㄴ'입력버튼과 'ㅈ'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되고,
'ㄶ'자음은 'ㄴ'입력버튼과 제 1 'ㆍ' 입력버튼 및 'ㅇ'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ㄺ'자음은 'ㄹ'입력버튼과 'ㄱ'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되고,
'ㄻ'자음은 'ㄹ'입력버튼과 'ㅁ'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되고,
'ㄼ'자음은 'ㄹ'입력버튼과 'ㅂ'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되고,
'ㄽ'자음은 'ㄹ'입력버튼과 'ㅅ'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되고,
'ㄾ'자음은 'ㄹ'입력버튼과 제 1 'ㆍ' 입력버튼 및 'ㅌ'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ㄿ'자음은 'ㄹ'입력버튼과 제 1 'ㆍ' 입력버튼 및 'ㅂ'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버튼을 시작 점으로 드래그 입력으로 입력되고,
'ㅀ'자음은 'ㄹ'입력버튼과 제 1 'ㆍ' 입력버튼 및 'ㅇ'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거나, 제 1 'ㆍ' 입력버튼 및 'ㅇ'입력버튼을 드래그 한 후에, 'ㄹ'입력버튼을 드래그 하여 입력되고,
'ㅄ'자음은 'ㅂ'입력버튼과 'ㅅ'입력버튼을 순서대로 드래그 하여 입력하거나 역순으로 드래그 하여 입력되는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를 이용하는 한글입력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4019A KR101380502B1 (ko) | 2012-10-15 | 2012-10-15 |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4019A KR101380502B1 (ko) | 2012-10-15 | 2012-10-15 |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80502B1 true KR101380502B1 (ko) | 2014-04-04 |
Family
ID=50656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4019A KR101380502B1 (ko) | 2012-10-15 | 2012-10-15 |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8050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93508A (ko) * | 2015-01-29 | 2016-08-08 | 이효원 | 터치스크린을 가진 기기에서 스와이프를 이용한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
KR20200000445U (ko) * | 2018-08-16 | 2020-02-26 | 도종명 | 먼저 아래아“· ”를 입력하고 다음에 일반소리를 입력하면 한글 거센소리가 입력되게 방식의 자판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80682A (ko) * | 2010-01-06 | 2011-07-13 | 은익수 | 터치스크린 화면용 한글 문자 입력 방법 |
KR20110084610A (ko) * | 2010-01-18 | 2011-07-26 | 정운진 | 터치스크린 기반 휴대폰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식 |
KR20120004175A (ko) * | 2010-07-06 | 2012-01-12 | 신계호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제공방법 |
-
2012
- 2012-10-15 KR KR1020120114019A patent/KR10138050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80682A (ko) * | 2010-01-06 | 2011-07-13 | 은익수 | 터치스크린 화면용 한글 문자 입력 방법 |
KR20110084610A (ko) * | 2010-01-18 | 2011-07-26 | 정운진 | 터치스크린 기반 휴대폰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식 |
KR20120004175A (ko) * | 2010-07-06 | 2012-01-12 | 신계호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제공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93508A (ko) * | 2015-01-29 | 2016-08-08 | 이효원 | 터치스크린을 가진 기기에서 스와이프를 이용한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
KR101653906B1 (ko) * | 2015-01-29 | 2016-09-02 | 이효원 | 터치스크린을 가진 기기에서 스와이프를 이용한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
KR20200000445U (ko) * | 2018-08-16 | 2020-02-26 | 도종명 | 먼저 아래아“· ”를 입력하고 다음에 일반소리를 입력하면 한글 거센소리가 입력되게 방식의 자판 |
KR200491971Y1 (ko) * | 2018-08-16 | 2020-07-09 | 도종명 | 먼저 아래아“· ”를 입력하고 다음에 일반소리를 입력하면 한글 거센소리가 입력되게 방식의 자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81518B2 (ja) | 文字入力装置 | |
US20130169540A1 (en) | Moving virtual keyboard | |
KR101380502B1 (ko) |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 |
JP5599909B2 (ja) | 日本語入力システム | |
KR101126734B1 (ko) | 알파벳 입력 방법 및 장치 | |
CN106201003A (zh) | 一种基于触摸屏设备的虚拟键盘及其输入方法 | |
JP5650345B2 (ja) | 子音英字キーからの母音英字及び仮名によるフリック操作方法。 | |
KR101282760B1 (ko) | Acegi 키보드 레이아웃을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
KR101249329B1 (ko) |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
WO2017023185A1 (ru) |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ввода и отображения данных на сенсорном дисплее | |
KR101921586B1 (ko) | 한글의 모음과 자음 사용빈도에 따른 전자통신기기의 문자입력장치 | |
JP2010033254A (ja) | アジア言語の高速入力システム | |
KR101653102B1 (ko) | 단순화된 쿼티 소프트웨어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영어/숫자/기호 문자 입력 방법 | |
CN104156170A (zh) | 基于触摸屏固定路径韵母的汉语拼音输入方法及其系统 | |
KR101255801B1 (ko) | 한글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 |
KR20140009932A (ko) | 가상키보드용 세벌식 한글 자판 배치 방법 | |
KR20100133350A (ko) | 문자 입력을 위한 12 키 만능 병음 자판 | |
KR20130004648A (ko) | 터치스크린패널기기에서의 문서편집기능이 있는 다국어 문자입력장치 | |
JP5016087B2 (ja) | キーボード | |
KR20080072606A (ko) |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 |
KR20170075904A (ko) | 부가 서비스 기능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용 소프트웨어 키보드 | |
KR101216867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 |
RU2608148C1 (ru) |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ввода и отображения данных на сенсорном дисплее | |
KR20230128238A (ko) | 3d 터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및 문자 수정 방법 | |
CN106406558B (zh) | 数字键实现双拼、五笔字根输入和配套键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