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488B1 - 음절의 분리와 합성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음절의 분리와 합성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488B1
KR101744488B1 KR1020160070248A KR20160070248A KR101744488B1 KR 101744488 B1 KR101744488 B1 KR 101744488B1 KR 1020160070248 A KR1020160070248 A KR 1020160070248A KR 20160070248 A KR20160070248 A KR 20160070248A KR 101744488 B1 KR101744488 B1 KR 101744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ot
character
input
key
japane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재열
Original Assignee
류재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재열 filed Critical 류재열
Priority to KR1020160070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4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은 일본어 문자를 음운 2개 이상으로 분리한 후 각각의 음운들을 다른 키에 넣으므로써 키의 수를 줄인다.
   

Description

음절의 분리와 합성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by Disassembling and Composing Syllables}
본 발명은 휴대전화 자판을 이용한 일본어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어의 문자는 "가나"이며, "가나"의 대부분은 자음 1개, 모음 1개의 두 음소가 결합한 음절문자이다. 가나는 약 50개에 달하는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일본어는 이렇듯 문자의 수가 많으므로, 후술하듯 문자 하나하나마다 키를 배정하는 방식은 키 하나의 면적을 줄여 좁은 휴대전화 입력부에는 걸맞지 않다.
키 하나의 크기는 (키패드 전체의 크기)/(키의 수) 내외이다. 따라서 큰 컴퓨터 입력부 등에서는 키를 여러 개 만들어도 불편이 없지만, 작은 휴대전화 입력부에 키를 여러 개 만들면 키 하나의 크기가 작아짐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한다.(위 식에서 분모가 늘어나기 때문) 키 하나의 면적이 작아지면 오타가 많아지고 원하는 키를 누르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이 들며 시각적으로도 피로감을 준다.
현재 휴대전화 일본어 입력기는 약 50개에 달하는 가나를 모두 표시하거나, 로마자를 통해 입력하는 방식만이 존재한다. 두 방식 모두 휴대전화에 적용하기에는 키의 수가 많다.
본 발명은 휴대전화에 적합하지 않은 자판을 개선하기 위해, 음절문자인 "가나"를 음소 단위로 분리하여 적은 수의 키로 최소한의 작업을 거쳐 문자를 입력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키패드를 제안함으로써, 종래 기술보다 더 빠르고 편리한 일본어의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본어 입력 방법은 후술하는 두 실시예와 그와 유사한 형태를 띄는 모든 자판에 의해 실시된다.
두 실시예에서 공통적으로, 키패드에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형태가 키패드에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다면 통상의 방법과 같이, (분리와 합성 없이) 소정의 키를 연속하여 누르고 전자 연산 장치는 터치한 횟수를 입력받아 터치한 횟수에 대응하는 순서에 배열된 문자를 현출하는 단계만을 포함한다.
후술하는, 합성을 포함한 문자입력 방식은 자판에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자판에 직접적으로 나타나있지 않을 때 사용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는,
(1,1)에는 「え」, 「わ」가,
(1,2)에는 「た」, 「だ」가,
(1,3)에는 「い」, 「を」가,
(1,4)에는 「の」, 「·」, 「。」가,
(2,1)에는 「は」, 「ま」, 「ば」, 「ぱ」가,
(2,2)에는 「う」, 「ゆ」, 「ゅう」가,
(2,3)에는 「か」,「が」가,
(2,4)에는 「あ」, 「や」, 「ゃ」가,
(3,1)에는 「ん」, 「っ」가,
(3,2)에는 「し」, 「じ」가,
(3,3)에는 「お」, 「よ」, 「ょう」가,
(3,4)에는 「る」, 「、」가,
(4,1)에는 「!」, 「?」, 「"」가,
(4,2)에는 한자 및 언어모드 변환 기호가,
(4,3)에는 삭제 기호가,
(4,4)에는 스페이스 기호가,
배열되는 일본어 입력 자판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연산장치가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입력하려는 일본어 문자와 초성이 동일한 문자가 표시된 키를 상기 초성이 동일한 문자가 대응하는 횟수만큼 터치하는 단계와; 전자 연산 장치가 소정의 키를 연속하여 터치하는 횟수를 입력받아 상기 터치 횟수에 대응하는 순서에 배열된 문자를 현출하는 단계와; 입력하려는 일본어 문자의 모음 키와 합성하는 단계와, 상기 초성과 상기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본어 문자를 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합성 단계는 스마트폰에서는 드래그 동작에 의해서, 그 외의 휴대전화에서는 합성 키 또는 자동 합성 알고리즘 등으로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일본어 입력 방법은
(1,1)에는 「も」, 「、」 가,
(1,2)에는 「か」,「が」,「!」가,
(1,3)에는 「る」,「を」,「わ」가,
(2,1)에는 「し」,「じ」, 「·」가,
(2,2)에는 「の」,「っ」,「?」가,
(2,3)에는 「て」,「で」,「”」가,
(3,1)에는 「ゅう」,「ゆ」가,
(3,2)에는 「い」,「ん」가,
(3,3)에는 「は」,「ば」,「ぱ」가,
(4,1)에는 한자 및 언어모드 변환 기호가,
(4,2)에는 삭제 기호가,
(4,3)에는 스페이스 키,「。」가 표시되는 일본어 입력 자판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연산장치가 수행하는 일본어 입력 방법으로서, 입력하려는 일본어 문자와 초성이 동일한 문자가 표시된 키를 상기 초성이 동일한 문자가 표시될 수 있는 횟수만큼 터치하는 단계와; 소정의 키를 연속하여 터치하는 횟수를 입력받아 상기 터치 횟수에 대응하는 순서에 배열된 문자를 현출하는 단계와; 입력하려는 일본어 문자의 모음과 동일한 모음을 가진 문자가 표시된 키와 합성하는 단계와; 상기 초성과 상기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본어 문자를 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합성 단계는 스마트폰에서는 드래그 동작, 그 외의 휴대전화에서는 '합성 키' 또는 자동 합성 알고리즘 등으로 합성할 수 있다.
음소 분리의 상세한 방법론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명시한 제 1 실시예에서는 한 키가 직접적으로 표시된 문자와 그 초성만을 대표하며, 제 2 실시예에서는 한 키가 직접적으로 표시된 문자, 그 초성과 모음 세가지 모두 대표할 수 있다. 제1, 제2 실시예 모두에서, 어떠한 키가 직접적으로 표시된 문자를 대표하는지 아닌지는 합성 여부가 결정하며, 제 2 실시예에서 어떠한 키가 초성을 대표하는지 모음을 대표하는지는 누른 순서가 결정한다. 먼저 누른 키가 초성, 나중에 누른 키가 모음을 대표하는 것이다.
   
본 자판은 직관적인 문자 구성 방법을 이용하여 50가지의 글자를 10개 내외의 음소로 분리하였다. 키의 수를 줄임으로써 키패드를 작게 하여 편리를 증진하였으며, 따라서 입력하고자 하는 글자를 찾는 시간을 단축하여 입력이 빠르다. 키의 면적을 증가시켜 오타 가능성도 낮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 입력 방법이 수행되는 디스플레이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일본어 입력 터치 키패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일본어 입력 터치 키패드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범용적인 하드웨어와 그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 결합을 의미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 입력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문자 입력 방법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는 키패드가 제공되며 전자적 연산이 가능한 전자 장치라면 어느 것이든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처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이나 노트북 등이 해당한다. 화면이 작을수록 키 면적 증대가 편리함을 더하므로 폰과 패드류에 가장 적합하다.
디스플레이부(10)는 표시부(20)와 키패드(30)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20)는 키패드(30)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가 현출되는 부분이며 키패드(30)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들이 배열되어 있는 부분이다. 키패드(3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는 전자 장치의 처리에 의해서 문자의 형태로 표시부(20)에 표시되며, 그러한 처리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평균적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자세하게 설명하는 것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여러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는 두 실시예와 그 세부형태만 기재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일본어 입력 방법이 수행되는 터치 키패드(30-1)의 키 배열이 도시되어 있다.
두 실시예에서 공통적으로, 키패드에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형태가 키패드에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다면 통상의 방법과 같이, (음절의 분리와 합성 없이) 소정의 키를 (연속하여) 누르고 전자 연산 장치는 누른 횟수를 입력받아 터치한 횟수에 대응하는 순서에 배열된 문자를 현출하는 단계만을 포함한다.
후술하는, 합성을 포함한 문자입력 방식은 자판에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직접적으로 나타나있지 않을 때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는 제 2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통상 터치 키패드는 행과 열로 구성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각각의 칸을 가리킬 때에 (행, 열)의 형식으로 기재한다. 예를 들어, 두번째 행의 세번째 열의 위치는 (2,3)으로 기재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1,1)에는 「え」, 「わ」가,
(1,2)에는 「た」, 「だ」가,
(1,3)에는 「い」, 「を」가,
(1,4)에는 「の」, 「·」, 「。」가,
(2,1)에는 「は」, 「ま」, 「ば」, 「ぱ」가,
(2,2)에는 「う」, 「ゆ」, 「ゅう」가,
(2,3)에는 「か」,「が」가,
(2,4)에는 「あ」, 「や」, 「ゃ」가,
(3,1)에는 「ん」, 「っ」가,
(3,2)에는 「し」, 「じ」가,
(3,3)에는 「お」, 「よ」, 「ょう」가,
(3,4)에는 「る」, 「、」가,
(4,1)에는 「!」, 「」, 「"」가,
(4,2)에는 한자 및 언어모드 변환 기호가,
(4,3)에는 삭제 기호가,
(4,4)에는 스페이스 기호가 표시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의 합성 과정을 포함한 입력은 다음 과정을 따른다.
1.  사용자가 입력하려는 일본어 문자와 초성이 동일한 문자가 표시된 키를 상기 초성이 동일한 문자가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는 횟수만큼 키패드를 터치하는 단계
2. 전자 연산 장치가 소정의 키를 연속하여 터치하는 횟수를 입력받아 상기 터치 횟수에 대응하는 순서에 배열된 문자를 표시부에 현출하는 단계
3. 사용자가 입력하려는 일본어 문자의 모음이 있는 키와 합성하는 단계(스마트폰에서는 드래그 동작, 그 외의 휴대전화에서는 '합성 키' 또는 자동 합성 알고리즘 등으로 합성할 수 있다)
4. 상기 초성과 상기 모음으로 구성되는 일본어 문자를 현출하는 단계
   
다음은 제 1 실시예의 터치 스크린에서의 입력 과정 예시이다.
(
Figure 112016054423436-pat00001
)
가-1. 사용자가 (1,3)을 터치한다.
가-2. 전자 연산 장치가 표시부(20)에「い」를 출력한다.
(가)단계 이후 표시부의 모습:「い」
나-1. 사용자가 (1,2)를 터치한다.
나-2. 전자 연산 장치가 표시부(20)에「た」를 출력한다. 「い」를 다른 글자와 합성하지 않았으므로, 전자 연산 장치는 「い」를 독립된 글자로 인식해「い」에서 입력이 완료되지 않았다는 표시인「」를 지워서 い의 입력을 완료시킨다.
(나)단계 이후 표시부의 모습: い「た」
다-1. 사용자가 (1,2)를 다시 터치한다.
다-2. 전자 연산 장치가 표시부에「た」를 지우고 「だ」를 출력한다.
(다)단계 이후 표시부의 모습: い「だ」
라-1. 사용자가 (다)에서 터치한 손가락을 떼지 않고 (3,3)으로 드래그한다.
라-2. 전자 연산 장치가「だ」의 초성과 「お」를 합성하여 ど를 생성하고, 「だ」의 합성이 완료되었으므로 표시부(20)에서 「だ」를 지운 후에 ど를 출력한다. ど는 입력이 완료된 글자이므로「」는 필요 없다.
(라)단계 이후 표시부의 모습: いど
마-1. 사용자가 (2,1)을 터치한다.
마-2. 전자 연산 장치가 표시부(20)에「は」를 출력한다.
바-1. 사용자가 (2,1)을 다시 터치한다.
바-2. 표시부(20)에 「は」가 지워지고 「ま」가 출력된다.
사-1. 사용자가 (2,1)을 다시 터치한다.
사-2. 표시부(20)에 「ま」가 지워지고 「ば」가 출력된다.
(사)단계 이후 표시부의 모습: いど「ば」
아-1. 사용자가 (1,2)를 터치한다.
아-2. 전자 연산 장치가 표시부(20)에「た」를 출력한다. (나-2)와 같은 이유로「ば」에서 입력이 완료되지 않았다는 표시인「」를 지운다.
(아)단계 이후 표시부의 모습: いどば「た」
자-1. 사용자가 한자/언어모드 변환(4,2) 키를 터치한다.
자-2.「た」가 합성되지 않았으므로 전자 연산 장치는 た를 독립적인 글자로 인식한다. 전자 연산 장치는 いどば「た」를 
Figure 112016054423436-pat00002
로 바로 변환한다. 「た」에서「」를 지우는 과정은 생략한다.
(자)단계 이후 표시부의 모습:
Figure 112016054423436-pat00003
문자 입력이 모두 완료되었다.
참고 1. (자)에서, (4,2)를 두 번 누를 시에는
Figure 112016054423436-pat00004
가 지워지고 가타카나인 イドバタ가 출력되며, 세 번 누를 시에는 イドバタ가 지워지고 いどばた가 출력된 후에 히라가나 입력창이 숫자/특수문자 입력창으로 바뀐다. 네 번째 누를 때에는 숫자/특수문자 입력창이 영어 입력창으로 바뀌고, 다섯 번째 누를 때에는 영어 입력창이 히라가나 입력창으로 바뀐다. 만약 별도로 선정한 외국어(예: (순서대로) 중국어, 한국어, 러시아어)가 있다면 다섯 번째에서 히라가나 입력창으로 바뀌지 않고 다섯 번째에 중국어, 여섯 번째에 한국어, 일곱 번째에 러시아어 입력창으로 바뀌고 나서 여덟 번째에 히라가나 입력창으로 바뀐다.
참고 2. 한자 다음에 숫자, 영문 등을 입력하고자 할 때에는 (예시:
Figure 112016054423436-pat00005
1a), (4,2)를 한 번 눌러 いどばた 를
Figure 112016054423436-pat00006
로 변환한 후에 스페이스 키(4,3)를 누르고 (4,2)를 한 번 더 누르면 한자가 가타카나로 바뀌지 않고 숫자/특수문자 입력창이 열린다. 1을 입력한 후 (4,2)를 또 누르면 숫자는 가타카나/한자로 변환이 불가하므로 영어입력창이 열린다. a를 입력하고 나서 (4,2)를 누르면, 표시부에
Figure 112016054423436-pat00007
1a가 출력되어 있는 채로 영어 입력창이 히라가나 입력창으로 바뀐다.(별도의 외국어를 설정한 경우에는 참고 1에서 서술한 대로 영어 입력창이 설정한 외국어의 입력창으로 바뀐다) 이는 가타카나 입력 후의 숫자/영문 입력 등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참고 3. 스페이스 키는 한 글자와 바로 다음에 입력하고자 하는 글자를 분리해야 할 때도 쓰인다. 예를 들어 しさ를 입력하고자 할 때, (3,2), (3,2) (드래그) (2,4)를 입력했을 시엔 ざ가 현출되지만, (3,2), (스페이스), (3,2) (드래그) (2,4)로 し 두 자를 분리할 때에는 しさ가 현출된다.
참고 4. 제 1 실시예에서는 오십음도의 あ행에 속하는 모음만 한 글자의 모음을 대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に를 「の」와 「い」의 합성이 아닌 「の」와 「し」의 합성으로 만드는 것은 「し」가 모음이 아니므로 불가하다. 또한, 모음 키는 모음을 입력하는 게 아니라면 자음 뒤에 와서 합성하는 것만이 가능하다. 그말인즉슨, 모음을 터치한 후 그 외의 곳으로 드래그하여 가나를 만드는 것 등은 불가하다. 예를 들어 「の」=>「い」의 순서대로 합성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い」=>「の」의 순서대로 합성하는 것은 불가하다. 이는 제 2 실시예에서만 가능하며, 전자는 に, 후자는 お가 된다.
참고 5. ょ와 ゅ가 う와 같이 쓰여 ょう, ゅう, 와 같은 형태로 나타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아 (2,2)에는 ょ가 아닌 ょう가, (3,3)에서는 ゅ가 아닌 ゅう가 쓰였다. 다만 ゃ는 あ와 자주 쓰이지 않아 (2,4)에 ゃあ가 아닌 ゃ를 배치하였다. 다만, 사용자의 혼란을 막기 위해 제 2 실시예에서는 ゅう를 お단, あ단의 가나와 합성시 각각 ょう와 ゃあ가 현출된다. 만약 ょ만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ょう를 입력한 후 う를 지워야 한다.
참고 6. 합성을 원하지 않는 글자를 입력할 때, 상기 글자 키를 누른 직후에 문자 키가 아닌 키(특수문자만 있는 (4,1) 키, 한자/언어모드 변환 (4,2)키 등)를 누를 시에는 스페이스 키를 누르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자-2 과정)
버튼입력식 키패드에서는 드래그로 음소를 합성할 수 없으므로 자동 합성 알고리즘 혹은 (4,3)을 '합성 키'로 이용하여 합성한다. 다음은 제 1 실시예의 버튼입력식 키패드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이다.
1. 합성하지 않는 것이 디폴트이고, 합성을 원할 시엔 '합성 키'(4,3)를 활용하는 방법. (4,3)은 A(4,3)B일 때만 합성 키로 작동하고, A(4,3)A일 때는 분리하는 키로 작동한다.
예시
1.「し」, (4,3), 「し」, (4,3), 「あ」를 차례로 누르면 첫번째와 두번째 「し」가 분리되고 두번째 「し」와 「あ」가 합성되어 しさ가 현출된다.
2.「し」, 「し」, (4,3), 「あ」를 차례로 누르면 ざ가 현출된다.
3.「し」, (4,3), 「し」, 「あ」를 차례로 누르면 ししあ가 현출된다.
4.「し」, 「し」, 「あ」를 차례로 누르면 じあ가 현출된다.
2. 연타한 두 개의 다른 키를 자동 합성 알고리즘으로 합성하고, 합성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페이스 키'를 이용해 합성을 하지 않는 방법. (4,3)은 A(4,3)B일 때는 합성 방지 키로 작동하고, A(4,3)A일 때는 분리하는 키로 작동한다.
1.「し」,(4,3),「し」,(4,3),「あ」를 차례로 누르면 ししあ가 현출된다.
2.「し」, 「し」, (4,3), 「あ」를 차례로 누르면 じあ가 현출된다.
3.「し」, (4,3), 「し」, 「あ」를 차례로 누르면 しさ가 현출된다.
4.「し」, 「し」, 「あ」를 차례로 누르면 ざ가 현출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일본어 입력 방법이 수행되는 터치 키패드(30-2)의 키 배열이 도시되어 있다.
다음은 제 2 실시예의 키패드 배열이다.
(1,1)에는 「も」, 「、」 가,
(1,2)에는 「か」,「が」,「!」가,
(1,3)에는 「る」,「を」,「わ」가,
(2,1)에는 「し」,「じ」, 「·」가,
(2,2)에는 「の」,「っ」,「」가,
(2,3)에는 「て」,「で」,「”」가,
(3,1)에는 「ゅう」,「ゆ」가,
(3,2)에는 「い」,「ん」가,
(3,3)에는 「は」,「ば」,「ぱ」가,
(4,1)에는 한자 및 언어모드 변환 기호가,
(4,2)에는 삭제 기호가,
(4,3)에는 스페이스 키,「。」가 표시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에 의한 터치 키패드 입력 방법 역시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제 1 실시예는 "초성이 같은 글자"와 "모음"을 합성하는 방식이라면 제 2 실시예에서는 "초성이 같은 글자"와 "모음이 같은 글자" 를 합성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서는 い를 제외한 모든 모음키가 생략되어 키 수가 제 1 실시예보다 적고, 각 키의 활용도가 비교적 높다. 또한, 키보드의 키 수가 줄어 "입력하고자 하는 가나의 모음을 대표하는 키"가 "입력하고자 하는 가나의 초성을 대표하는 키"에 가까이 있을 확률이 높다. 이로 인해 제 2 실시예에 의한 키패드 배열은 제 1 실시예에 비해 손가락이 움직이는 거리가 줄어든다. 다만,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보다 익숙해지는데 시간이 좀 더 소요되는 것이 단점이다.
제 2 실시예의 합성 과정을 포함한 입력은 다음 과정을 따른다.
1. 사용자가 입력하려는 일본어 문자와 초성이 동일한 문자가 표시된 키를 상기 초성이 동일한 문자가 표시될 수 있는 횟수만큼 터치하는 단계
2. 전자 연산 장치가 소정의 키를 연속하여 터치하는 횟수를 입력받아 상기 터치 횟수에 대응하는 순서에 배열된 문자를 현출하는 단계
3. 입력하려는 일본어 문자의 모음과 동일한 모음을 가진 문자가 표시된 키와 합성하는 단계(스마트폰에서는 드래그 동작, 그 외의 휴대전화에서는 '합성 키' 또는 자동 합성 알고리즘 등으로 합성할 수 있다)
4. 전자 연산 장치가 상기 초성과 상기 모음으로 구성되는 일본어 문자를 현출하는 단계
다만, 키에 직접 배열되어 있는 가나는 2단계까지만 진행한다.
   
다음은 제 2 실시예의 터치스크린에서의 입력 과정 예시이다.
가-1. 사용자가 (3,2)를 터치한다.
가-2. 전자 연산 장치가 표시부(20)에「い」를 출력한다.
(가)단계 이후 표시부의 모습:「い」
나-1. 사용자가 (2,3)을 터치한다.
나-2. 전자 연산 장치가 표시부(20)에「て」를 출력한다. 「い」를 다른 글자와 합성하지 않았으므로, 전자 연산 장치는 「い」를 독립된 글자로 인식해「い」에서 입력이 완료되지 않았다는 표시인「」를 지워서 い의 입력을 완료시킨다.
(나)단계 이후 표시부의 모습: い「て」
다-1. 사용자가 (2,3)를 다시 터치한다.
다-2. 전자 연산 장치가 표시부에「て」를 지우고 「で」를 출력한다.
(다)단계 이후 표시부의 모습: い「で」
(다)단계 다음엔 라1-1 와 라2-1 중 하나만 진행한다.
라1-1. 사용자가 (다)에서 (2,3)에 터치한 손가락을 떼지 않고 (2,2)로 드래그한다.
라2-1. 사용자가 (다)에서 (2,3)에 터치한 손가락을 떼지 않고 (1,1)로 드래그한다.
라-2. 전자 연산 장치가「で」의 초성과 お(の와 も의 모음)를 합성하여 ど를 생성하고, 표시부(20)에서 「で」를 지운 후에 ど를 출력한다.
(라)단계 이후 표시부의 모습: いど
마-1. 사용자가 (3,3)을 터치한다.
마-2. 전자 연산 장치가 표시부(20)에「は」를 출력한다.
바-1. 사용자가 (3,3)을 다시 터치한다.
바-2. 표시부(20)에 「は」가 지워지고 「ば」가 출력된다.
(사)단계 이후 표시부의 모습: いど「ば」
사-1. 사용자가 (2,3)을 터치한다.
사-2. 전자 연산 장치가 표시부(20)에「て」를 출력한다. (나-2)와 같은 이유로「ば」에서 입력이 완료되지 않았다는 표시인「」를 지운다.
(사)단계 이후 표시부의 모습: いどば「て」
(사)단계 다음엔 아1-1 와 아2-1 중 하나만 진행한다.
아1-1. 사용자가 (사)에서 (2,3)에 터치한 손가락을 놓지 않고 (1,2)로 드래그한다.
아2-1. 사용자가 (사)에서 (2,3)에 터치한 손가락을 놓지 않고 (3,3)으로 드래그한다.
아-2. 전자 연산 장치가「て」의 초성과 あ(は와 か의 모음)를 합성해서 た를 생성해 표시부에 출력한다.
(아)단계 이후 표시부의 모습: いどばた
자-1. 사용자가 한자/언어모드 변환(4,2) 키를 터치한다.
자-2. 전자 연산 장치가 いどばた를 
Figure 112016054423436-pat00008
로 변환한다.
(자)단계 이후 표시부의 모습:
Figure 112016054423436-pat00009
문자 입력이 모두 완료되었다.
제 2 실시예도 버튼입력식 키패드에 적용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키패드와의 차이점은 제 1 실시예와 같으므로 입력 과정 예시는 생략한다.
   
가나는 전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원리에 따라 실시예의 키에 배열하였다. 원리들의 충돌로 예외도 존재한다.
1. 오십음도의 한 행당 한 가나를 선정하여 그 행의 초성을 대표하게 하였다.
2. 일본어 텍스트에서 자주 쓰이는 글자는 자주 쓰이지 않는 글자보다 편리하게 입력하게 했다.
2-1. 행마다 자주 쓰이는 글자를 골라 키에 직접 배치하여 합성을 생략했다. 나머지 빈도수가 적은 문자들은 합성해야만 입력하도록 하였다.
2-2. 자주 결합하는 모음과 자음을 바로 옆에 배치하여 드래그하는 거리를 최소화하였다. 예를 들어 "な"행의 문자는 の-に-な-ね-ぬ의 순서로 빈도수가 크기 때문에 "の"는 키패드에 표시하고 모음 "い"와 "あ"(제 2 실시예의 경우 か)에 가깝게 배치하여 に와 な의 입력을 편하게 하였다.
3. 제 1 실시예에서, "や", "ゆ", "よ" 등은 위치를 기억하기 쉽도록 각각 "あ", "う", "お" 뒤에 배치하였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전술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및 수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10: 디스플레이부
20: 터치 키패드
30: 표시부
   
   

Claims (2)

  1. 삭제
  2. (1,1)에는 「ま」, 「、」 가,
    (1,2)에는 「か」,「が」,「!」가,
    (1,3)에는 「る」,「を」,「わ」가,
    (2,1)에는 「し」,「じ」, 「·」가,
    (2,2)에는 「の」,「っ」,「?」가,
    (2,3)에는 「て」,「で」,「”」가,
    (3,1)에는 「ゅう」,「ゆ」가,
    (3,2)에는 「い」,「ん」가,
    (3,3)에는 「は」,「ば」,「ぱ」가,
    (4,1)에는 한자 및 언어모드 변환 기호가,
    (4,2)에는 삭제 기호가,
    (4,3)에는 스페이스 키,「。」가 표시되는 일본어 입력 자판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연산장치가 수행하는 일본어 입력 방법으로서,
    입력하려는 일본어 문자와 초성이 동일한 문자가 표시된 키를 상기 초성이 동일한 문자가 표시될 수 있는 횟수만큼 조작하는 제1 단계와,
    소정의 키를 연속하여 조작하는 횟수를 입력받아 상기 조작 횟수에 대응하는 순서에 배열된 일본어 문자를 표시부에 현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일본어 문자가 현출된 상태에서, 입력하려는 일본어 문자의 모음과 동일한 모음을 가지는 일본어 문자가 표시된 키를 입력하는 제3 단계와,
    제2 단계에서 현출된 일본어 문자의 초성과 제3 단계에서 입력된 일본어 문자의 모음의 합성에 해당하는 일본어 문자를 현출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일본어 입력 방법.
       
KR1020160070248A 2016-06-07 2016-06-07 음절의 분리와 합성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744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248A KR101744488B1 (ko) 2016-06-07 2016-06-07 음절의 분리와 합성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248A KR101744488B1 (ko) 2016-06-07 2016-06-07 음절의 분리와 합성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488B1 true KR101744488B1 (ko) 2017-06-08

Family

ID=59221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248A KR101744488B1 (ko) 2016-06-07 2016-06-07 음절의 분리와 합성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48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6971A (ja) 2005-09-21 2007-04-05 Brother Ind Ltd 文字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6971A (ja) 2005-09-21 2007-04-05 Brother Ind Ltd 文字入力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326988A1 (en) Multilingual key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120056815A1 (en) Linguistic Script Text Input Mechanism
JP6087949B2 (ja) タッチ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を使用して、複数の文字で構成される複合子音または複合母音を入力して別の言語に翻字するための技法
CN104808807A (zh) 用于汉字拼音输入的方法和装置
US20130174091A1 (en) Nine-key chinese input method
US20200089402A1 (en) Providing one or more new virtual keys in a virtual keyboard that each correspond to a predicted set of characters
US20110022956A1 (en) Chines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TWI475405B (zh) 電子裝置及其文字輸入介面顯示方法
KR101334154B1 (ko) 중국어 단어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20134580A (ko) 성조 선택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방법
US11899904B2 (en) Text input system with correction facility
Nakamura et al. A Japanese Bimanual Flick Keyboard for Tablets That Improves Display Space Efficiency.
KR10121688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중국어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426643B1 (ko) 일본어 입력장치
KR101744488B1 (ko) 음절의 분리와 합성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JP5882497B2 (ja) 小型日本語キーボード及び方法
KR101216840B1 (ko)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
JP3664383B2 (ja) 日本語入力システム、日本語入力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5650345B2 (ja) 子音英字キーからの母音英字及び仮名によるフリック操作方法。
US20150347004A1 (en) Indic language keyboard interface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JPH09128134A (ja) 画面タッチ式入力装置
JP2012003705A (ja) 記録媒体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10105227A (ko) 한글 입력장치와 입력방법
JP6769631B2 (ja) オールインワン方式による情報通信機器の文字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