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6467A - 다방향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다방향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6467A
KR20090016467A KR1020087029769A KR20087029769A KR20090016467A KR 20090016467 A KR20090016467 A KR 20090016467A KR 1020087029769 A KR1020087029769 A KR 1020087029769A KR 20087029769 A KR20087029769 A KR 20087029769A KR 20090016467 A KR20090016467 A KR 20090016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device
click feeling
direction key
ti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9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아키 우오타니
Original Assignee
선아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아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선아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6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4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 H03K17/97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using a capacitive movable el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54Double function: touch detection combined with detection of a movable elem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62Touch switches with tactile or haptic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릭감 발생 전에 있어서 압하한 임의 방향을 검지하고, 클릭감을 기준으로 소정의 약한 힘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하여 클릭감이 발생하기 위해서 필요한 힘보다 약한 힘) 으로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의 압하를 할 수 있는 다방향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하게 되면 압압자에 의해 클릭감 발생부가 변형되어 클릭감이 발생하는 구조로 형성하고, 적어도 클릭감의 발생 전에 있어서의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의 압하에 따라 서로의 거리가 변화되고, 또한 이 거리의 변화로부터 압하한 임의 방향을 적어도 클릭감의 발생 전에 검지하기 위한 가동 소자 및 고정 소자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방향 입력 장치 {MULTI-DIRECTION INPUT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소위 PHS 를 포함한다), 휴대 정보 단말 (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 휴대 오디오, 가전 제품용 리모트 컨트롤러, 게임 유희 장치, 키보드 등의 전자 기기에 사용할 수 있는 다방향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은 기판 상에 4 장의 전극을 형성하고, 이 기판 상에 고무로 된 막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변형체를 배치하는 용량 소자를 사용한 힘 검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요약 참조). 그리고, 특허 문헌 1 의 용량 소자를 사용한 힘 검출 장치에서는, 탄성 변형체의 하면에 도전성 도료를 도포하여, 변위 도전층을 형성한다 (요약 참조). 또, 전극과 이것에 대향하는 변위 도전층에 의해, 4 조의 용량 소자를 구성한다 (요약 참조). 또한 그 정전 용량치를 C/V 변환 회로에서 전압치로 변환하고,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한 연산으로, 탄성 변형체에 가해진 외력을 검출한다 (요약 참조). 또한, 탄성 변형체 상에는 조작반이 형성되어 있다 (명세서 단락 번호 [0030] 참조).
또, 특허 문헌 2 는 조작 손잡이 상면의 압압부가 하면의 원형 링형의 돌출부의 직경보다 내측에 있음과 함께, 누름 단추가 상기 조작 손잡이 중앙의 관통공 에 동심형으로 걸려 있고, 상기 조작 손잡이 상면의 압압부를 눌러 원하는 각도 방향으로 경도시키는 데에 따라 누름 단추도 하방으로 움직이고, 먼저, 상기 조작 손잡이가 가요성 절연 기판을 눌러 경도시킨 각도 방향을 인식한 후에, 상기누름 단추가 원형 돔형의 가동 접점을 누름으로써 스위치 접점부가 절도감을 수반하여 접촉하여 신호를 발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청구항 6, 도 19 내지 도 2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31786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17751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특허 문헌 1 에 기재된 힘 검출 장치에서는, 탄성 변형체의 소정 방향에 대한 외력이 가해진 경우, 탄성 변형체가 변형되어 가기 때문에 돔형 구조체를 변형시키지 못하여 클릭감이 얻어지지 않는다 (도 14 내지 도 16 참조). 즉,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하고 있어도 클릭감이 얻어지지 않는다.
특허 문헌 2 에 기재된 다방향 입력 장치에서는, 조작 손잡이가 가요성 절연 기판을 눌러 경도시킨 각도 방향을 인식한 후에, 상기 누름 단추가 원형 돔형의 가동 접점을 누름으로써 스위치 접점부가 절도감을 수반하여 접촉하여 신호를 발하기 때문에, 방향 키 (조작 손잡이) 의 임의 방향 (각도 방향) 을 눌러 압하해 가는 중에 클릭감 발생 전 (절도감 발생 전) 에 있어서 상기의 경동 (傾動) (경도) 한 임의 방향(각도 방향) 을 판정할 수 없다.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하여 발생하는 클릭감은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한 조작자가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 클릭감은 다방향 입력 장치가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이 압하되었다고 검지한 것을 조작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때문에, 종래의 다방향 입력 장치를 사용한 휴대 전화기 등에서는, 클릭감이 발생하고 나서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의 압하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시하고 있었다. 특허 문헌 2 에 기재된 다방향 입력 장치도 동일하여, 이것은 스위치나 접점부가 절도감을 수반하여 접촉하여 신호를 발하면 있는 점에서도 분명하다. 따라서, 특허 문헌 2 에 기재된 다방향 입력 장치를 사용한 휴대 전화기 등에서는, 클릭감 발생 전에 있어서의 압하된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클릭감 발생 전에 검지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
그런데, 휴대 전화기 등은 클릭감 발생 전에 있어서 압하한 임의 방향을 검지함으로써, 소정의 약한 힘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하여 클릭감이 발생하기 위해서 필요한 힘보다 약한 힘) 에서의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의 압하에 대응하는 처리 (예를 들어 포인터의 통상 속도 (기본적으로는 일정 속도) 에서의 이동) 가 가능해진다. 한편으로, 조작자는 이 처리를 휴대 전화기 등에 실시하기 위해서, 클릭감을 기준으로 상기의 약한 힘에 의해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의 압하를 할 수 있다. 즉, 조작자는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하는 힘을 조절하여 예를 들어 포인터를 통상 속도 (기본적으로는 일정 속도) 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클릭감 발생 전에 있어서 압하한 임의 방향을 검지하고, 클릭감을 기준으로 소정의 약한 힘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하여 클릭감이 발생하기 위해서 필요한 힘보다 약한 힘) 으로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의 압하를 할 수 있는 다방향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는 확정 키와 이 확정 키를 둘러싸는 방향 키를 갖는 키 시트와, 상기 키 시트의 이면의 상기 확정 키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한 압압자와, 상기 압압자에게 대향하도록 형성하고 또한 상기 압압자에 의해 변형되어 클릭감을 발생하는 클릭감 발생부를 구비한 다방향 입력 장치로서, 상기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의 압하에 수반하여 상기 방향 키가 상기 확정 키와 함께 경동하는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면, 상기 압압자에 의해 상기 클릭감 발생부가 변형되어 클릭감이 발생하는 구조로 형성하고, 적어도 상기 클릭감의 발생 전에 있어서의 상기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의 압하에 수반하여 서로의 거리가 변화되고, 또한 이 거리의 변화로부터 압하한 상기 임의 방향을 적어도 상기 클릭감의 발생 전에 검지하기 위한 가동 소자 및 고정 소자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다방향 입력 장치를 소정의 전자 기기에 사용한 경우, 이 가동 소자 및 고정 소자에 의해, 클릭감 발생 전에 있어서 압하한 임의 방향이 검지 가능해진다. 상기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의 압하에 수반하여 상기 방향 키가 상기 확정 키와 함께 경동하는 구조에 의해, 압압자가 소정의 경우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면, 상기 압압자에 의해 상기 클릭감 발생부가 변형되어 클릭감이 발생되는 구조에 의해,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면 클릭감이 얻어진다. 이 때문에, 조작자는 클릭감을 기준으로 소정의 약한 힘 (즉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하여 클릭감이 발생되기 위해서 필요한 힘보다 약한 힘) 으로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의 압하를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는 상기 가동 소자 및 상기 고정 소자는 상기 클릭감의 발생 전에 있어서의 상기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의 압하에 수반하여 서로의 거리가 변화되고, 또한 이 거리의 변화로부터 압하한 상기 임의 방향을 상기 클릭감의 발생 전후에 검지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다방향 입력 장치를 소정의 전자 기기에 사용한 경우, 이 가동 소자 및 고정 소자에 의해, 클릭감 발생 전에 있어서 압하한 임의 방향이 검지 가능해진다. 또한 방향 키의 동일 방향을 압하하여 가면 클릭감 발생 후에 더 이상 이 동일 방향을 압하할 수 없는 경우가 있지만, 이 경우에도 이 조작을 해제하지 않으면, 클릭감의 발생 전에 있어서의 가동 소자와 고정 소자의 거리의 변화로부터 클릭감 발생 후에 있어서도 클릭감 발생 전에 압하한 상기 동일 방향의 검지가 가능해진다. 이로써, 클릭감 발생 전후에 클릭감 발생 전에 검지한 방향 (동일 방향) 으로 대응하는 처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상의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경우, 방향 키의 동일 방향 (예를 들어 우측 방향) 을 압하해 가 클릭감이 발생한 후에 더 이상 방향 키의 동일 방향을 압하할 수 없다고 해도, 이 조작을 해제하지 않으면, 포인터는 클릭감 발생 전에는 통상 속도 (기본적으로는 일정 속도) 로 이동하고, 클릭감 발생 후에는 가속하여 이동하는 처리를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는 상기 가동 소자 및 상기 고정 소자는 상기 클릭감의 발생 전후에 있어서의 상기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의 압하에 수반하여 서로의 거리가 변화하고, 또한 이 거리의 변화로부터 압하한 상기 임의 방향을 상기 클릭감의 발생 전후에 검지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이 다방향 입력 장치를 소정의 전자 기기에 사용한 경우, 이 가동 소자 및 고정 소자에 의해, 클릭감 발생 전후에 있어서 압하한 임의 방향이 검지 가능해진다. 이로써,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는 중에 클릭감이 발생하고, 클릭감 발생 전후에 압하된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의 검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클릭감의 발생 전후로 압하할 수 있었던 임의 방향의 검지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상의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경우, 포인터는 클릭감 발생 전에는 통상적인 속도 (기본적으로는 일정 속도) 로 이동하고, 클릭감 발생 후에는 가속하여 이동하는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임의 방향의 「압하」 란 구체적으로는 방향 키의 임의의 일 방향을 압하해 가는 것 (방향 키의 일 방향 조작) 이지만, 이것에 추가하거나 또는 바꾸어 방향 키의 표면 또한 둘레 방향을 소정의 거리 되풀이하도록 대략 동일한 힘으로 압하해 가는 것 (방향 키의 회전 조작) 을 의미하는 경우가 있다. 이 방향 키의 회전 조작은 예를 들어 포인터의 이동 방향의 변화, 항목의 선택, 세로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한 항목을 순서대로 선택 등에 사용된다. 또한, 클릭감의 발생 전에서, 방향 키의 일 방향 조작 (또는 방향 키의 회전 조작) 만을 받아들이고, 클릭감의 발생 전에서, 방향 키의 회전 조작 (또는 방향 키의 일 방향 조작) 만을 받아들이는 처리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는 상기 가동 소자 및 상기 고정 소자는 상기 거리의 변화로부터 상기 임의 방향의 압하에 사용한 힘의 강도 및 또는 힘의 속도도 추가로 측정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다방향 입력 장치를 소정의 전자 기기에 사용한 경우, 가동 소자 및 고정 소자가 거리의 변화로부터 상기 임의 방향의 압하에 사용한 힘의 강도 (즉, 어느 위치까지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했는지) 및 또는 힘의 속도 (즉, 어느 정도의 속도로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했는지) 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힘의 강도 및 또는 힘의 속도에 따른 처리를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는 상기 키 시트는 상기 확정 키 및 상기 방향 키를 배치한 시트형 부재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는 상기 가동 소자는 상기 확정 키 및 방향 키의 경동에 수반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키 시트의 이면측에 형성하고, 상기 고정 소자는 상기 가동 소자에 대향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가동 전극의 이동 거리를 방향 검지에 필요한 분만큼 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는 상기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면 이 임의 방향과 역방향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확정 키 및 상기 방향 키의 경동 방향을 변화시키는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를 추가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확정 키 및 상기 방향 키의 경동 방향의 변화 후에 상기 임의 방향을 더욱 압하해 가면, 상기 압압자에 의해 상기 클릭감 발생부가 변형되어 클릭감을 발생하는 구조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는 상기 확정 키 및 상기 방향 키가 경동하는 데에 필요한 상기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는 힘은 상기 경동 방향의 변화 전보다도 상기 경동 방향의 변화 후가 커지도록 상기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정 키 및 상기 방향 키가 경동하는 데에 필요한 상기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는 힘은 상기 경동 방향의 변화 전보다도 상기 경동 방향의 변화 후가 커짐으로써,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는 중에서, 클릭감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하는 힘은 통상보다 커진다. 이 때문에, 서서히 힘을 넣어 가는 중에 클릭감의 발생 포인트를 늦출 수 있다. 이로써,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는 중에 소정의 약한 힘 (즉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하여 클릭감이 발생하기 위해서 필요한 힘보다 약한 힘) 의 범위를 넓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자는 클릭감이 발생하기 전의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하기 쉬워진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는 상기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와 상기 압압자 중에서 적어도 일방은 변형 가능하고, 상기 클릭감이 발생한 후에 더욱 상기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면, 상기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및 또는 상기 압압자가 변형되어 상기 확정 키 및 상기 방향 키가 추가로 경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클릭감 발생 후에 확정 키 및 방향 키를 경동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는 상기 가동 소자는 상기 고정 소자 에 대해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가동 소자와 고정 소자를 평행으로 형성한 경우보다 가동 소자와 고정 소자의 사이의 거리를 근접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는 상기 가동 소자는 가동 전극이고, 상기 고정 소자는 고정 전극이며, 상기 서로의 거리는 정전 용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한 압하된 임의 방향의 검지에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이러한 다방향 입력 장치는 상기 가동 전극 상에 형성한 공간과, 상기 가동 전극과 상기 고정 전극 중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형성한 절연층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면, 상기 확정 키 및 상기 방향 키의 경동에 수반하여 상기 가동 전극이 이동되고 상기 고정 전극과 상기 절연층을 개재하여 접촉하고, 상기 가동 전극이 상기 고정 전극에 접촉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공간이 서서히 일그러져 가는 구조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정 키 및 상기 방향 키의 경동에 수반하여 상기 가동 전극이 이동되고 상기 고정 전극과 상기 절연층을 개재하여 접촉하기 때문에, 가동 전극과 고정 전극의 거리를 근접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 전극 상에 형성한 공간이 서서히 일그러져 가기 때문에 가동 전극이 고정 전극과 절연층을 개재하여 순조롭게 접촉해 간다.
또, 본 발명에 이러한 다방향 입력 장치는 상기 가동 전극 상에 형성한 공간과, 상기 고정 전극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한 2 개의 단락용 접점과, 상기 가동 전극의 상기 2 개의 단락용 접점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표면과 상기 고정 전극의 표면 중 적어도 일방에 형성한 절연층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면, 상기 확정 키 및 상기 방향 키의 경동에 수반하여 상기 가동 전극이 이동하고 먼저 단락용 접점이 단락되고 상기 고정 전극과 상기 절연층을 개재하여 접촉하고 상기 가동 전극이 상기 고정 전극에 접촉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공간이 서서히 일그러져 가는 구조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 전극이 상기 고정 전극과 상기 절연층을 개재하여 접촉하기 때문에, 가동 전극과 고정 전극의 거리를 근접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 전극 상에 형성한 공간이 서서히 일그러져 가기 때문에 가동 전극이 고정 전극과 절연층을 개재하여 순조롭게 접촉해 간다. 또, 단락용 접점이 단락됨으로써 이곳부터 방향 검지를 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이러한 다방향 입력 장치는 상기 확정 키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전개 가능한 굴곡부를 상기 시트형 부재 또한 상기 확정 키의 외주부에 추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굴곡부에 의해, 확정 키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순조롭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이러한 다방향 입력 장치는 상기 방향 키의 경동에 수반하여 전개 가능한 굴곡부를 상기 시트형 부재 또한 상기 방향 키의 외주부에 추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굴곡부에 의해, 방향 키의 경동을 순조롭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확정 키」 와 「방향 키」 는 기본적으로는 독립된 것이지만, 일체 목표 또는 접착제나 점착재 등에 의해 고착함으로써 1 개의 키로서 형성해도 된다. 일체적으로 1 개의 키로서 형성한 경우, 중심부를 「확정 키」, 이 중심부를 둘러싸는 주위의 부분을 「방향 키」 라고 한다. 단, 「확정 키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전개 가능한 굴곡부」 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확정 키」 와 「방향 키」 는 별체로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키 시트」 는 적어도 확정 키 및 방향 키를 갖고 있으면 된다. 본 발명에서는, 확정 키 및 방향 키만으로부터 형성한 것이어도 「키 시트」 라고 표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클릭감의 발생 전에 있어서의 상기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의 압하에 수반하여 서로의 거리가 변화되고, 또한 이 거리의 변화로부터 압하한 상기 임의 방향을 적어도 상기 클릭감의 발생 전에 검지한다」 등의 표현은 가동 소자의 이동 직후 (예를 들어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의 압하 직후) 에 임의 방향의 검지를 반드시 개시해야 한다는 표현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클릭감 발생 전에 임의 방향의 검지를 개시할 수 있으면 된다. 상기 임의 방향의 검지의 개시 포인트는 상기 임의 방향을 압하한 직후 (예를 들어 가볍게 접한 정도) 는 물론, 예를 들어, 가동 소자가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하고 또한 확정 키 및 방향 키의 경동 방향이 변화하기 전, 또는 확정 키 및 방향 키의 경동 방향이 변화한 후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키 시트의 「이면측」 에 형성하는 가동 소자는 기본적으로 키 시트의 이면에 직접 형성하는 것이지만, 가동 소자 및 고정 소자의 거리 변화에 의해 방향 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적절히 키 시트의 내부에 매립하는 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확정 키 및 상기 방향 키를 배치한 시트형 부재」는 「확정 키」 및 또는 「방향 키」 와 「시트형 부재」 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도 포함한 개념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시트형 부재」 는 기본적으로는 1 장의 시트형의 부재이지만, 복수의 부재를 1 장의 시트형으로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 복수의 부재의 중 적어도 일부의 부재가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어도, 적어도 일부의 부재에 확정 키 및 방향 키가 배치되어 있으면 전체로서 「시트형 부재」 라고 표현한다. 또한 「시트형 부재」 는 요철이 있어도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클릭감 발생 전에 있어서 압하한 임의 방향을 검지하고, 클릭감을 기준으로 소정의 약한 힘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하여 클릭감이 발생하기 위해서 필요한 힘보다 약한 힘) 으로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의 압하를 할 수 있는 다방향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를 사용 한 휴대 전화기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를 휴대 전화기에 사용한 평면도이다.
도 3(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b)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에 사용하는 키 시트의 이면의 개략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에 사용하는 기판의 개략도이다.
도 6(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b) 내지 도 6(e) 는 방향 키의 임의 방향 (여기서는 오른쪽 횡 방향) 을 압하해 가는 경우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 상태를 순서대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f) 는 확정 키를 압하한 경우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제 2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제 3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a) 는 제 4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b) 는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 조작한 경우의 제 4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 은 제 5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에 사용하는 확정키로 방향 키와 이들을 배치한 시트형 부재를 갖는 키 시트의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다방향 입력 장치
2 : 키 시트
3 : 일반 키
6 : 기판
7 : 시트형 부재
7a : 제 1 굴곡부
7b : 제 2 굴곡부
7c : 대좌
8, 80 : 압압자
8a : 소돌기
9 : 클릭감 발생부
10 : 확정 키
11 : 방향 키
20 : 가동 전극
21 : 고정 전극
22 : 선형 링 전극
30 :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8, 81, 84 : 공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것이나 대응하는 것, 총칭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또,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것이나 대응하는 것, 총칭할 수 있는 것이 다수 있는 경우, 그 일부에 대해서만 부호를 부여하는 경우가 있다.
(제 1 실시형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를 휴대 전화기에 사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 (1) 를 사용한 휴대 전화기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 (1) 를 휴대 전화기에 사용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2 에 있어서, 고정 전극 (21a, 21b, 21c, 22d) 에 그려진 해칭은 고정 전극 (21a, 21b, 21c, 22d) 를 명료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면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다방향 입력 장치 (1) 는 가동 전극 (20), 고정 전극 (21), 방향 키 (11) (도 1 에 있어서는 도시 생략) 를 구비한다.
고정 전극 (21) 은 4 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에 대해서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로 분할되어 있다. 고정 전극 (21a, 21b, 21c, 22d) 은 이 분할된 전극이다. 가동 전극 (20) 은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의 압하 조작에 수반하여 이동한다.
가동 전극 (20) 과, 고정 전극 (21a, 21b, 21c, 21d) 각각은 상하 좌우 방향으로 4 개의 용량 소자를 구성한다.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의 압하 조작에 수반하여 가동 전극 (20) 은 이동하기 때문에 가동 전극 (20) 과 고정 전극 (21) 사이의 거리, 즉 가동 전극 (20) 과 고정 전극 (21) 서로의 거리 (위치 관계) 가 변화한다. 이 거리 (위치 관계) 의 변화에 따라, 이 4 개의 용량 소자의 정전 용량의 변화한다. 즉, 가동 전극 (20) 의 이동에 수반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압하된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정전 용량은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C/V 변환 IC (201), A/D (202), CPU (203) 등은 제어부를 구성한다. 제어부를 구성하는 A/D (202) 또는 CPU (203) 등은 신호 처리 회로 등의 논리 회로에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제어부는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의 압하에 수반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로 부터 압하한 상기 임의 방향을 검지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또, 제어부는 클릭감의 발생 전에 있어서의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의 압하에 수반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압하한 상기 임의 방향을 상기 클릭감의 발생 전후에 검지하는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또, 제어부는 상기의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의 압하에 사용한 힘의 강도 및 또는 힘의 속도도 추가로 측정하는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4 개의 용량 소자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른 정전 용량의 변화량은 C/V 변환 IC (201) 가 전압치의 변화량 (AV) 으로 변환된다. 전압치의 변화량은 A/D (202) 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CPU (203) 은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상기 4 개의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인식한다. 이 인식한 4 개의 정전 용량의 변화량으로부터 압하된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검지한다. 이와 같이 정전 용량의 변화량 (여기서는, 특히 각 용량 소자의 정전 용량의 변화의 밸런스) 을 방향 검지에 사용함으로써, 이론적으로는 360 도 모든 임의 방향의 검지가 가능하다. 그리고 CPU (203) 은 이 임의 방향으로 대응하도록 후술하는 화면 상의 포인터 (4a) 를 이동시키는 등, 방향 검지된 임의 방향에 따라 처리한다. 또한 정전 용량의 변화량으로,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압하에 사용한 힘의 강도 및 또는 힘의 속도도 추가로 측정할 수 있다. 힘의 강도는 정전 용량의 변화량으로부터 알 수 있다. 또, 힘의 속도는 상기 변화량을 압하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나누면 된다. 제어부는 이 힘의 강도 및 또는 힘의 속도에 따른 처리를 할 수 있다. 양자를 측정하여 이것에 따른 처리를 실시하면, 예를 들어, 화면 상의 포인터 (4a) 를 방향 키 (11) 에 의해 이동시키는 경우,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어느 정도 압하했는지 (힘의 강도) 에 대응하여 포인터 (4a) 의 이동량을 결정하여 이동시키고,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어느 정도의 속도로 압하했는지 (힘의 속도) 에 따라, 포인터 (4a) 의 이동 속도를 결정하여 이동시킨다. 이로써, 이동 방향, 이동량, 이동 속도라는 3 가지의 요소에 의해 예를 들어 포인터 (4a) 의 이동 등에 관한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로써,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의 압하하여 반영한 처리 (압하하여 반영한 포인터 (4a) 의 이동) 를 할 수 있어 조작감이 좋아진다. 또, 상기 클릭감의 발생 후 (또는 발생 전) 에만 이 힘의 강도 및 또는 힘의 속도에 따른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클릭감의 발생 전 (또는 발생 후) 에 있어서는, 포인터 (4a) 는 통상 속도 (기본적으로는 일정 속도) 로 이동하고, 발생 후 (또는 발생 전) 에 포인터 (4a) 의 이동량 및 또는 이동 속도를 힘의 강도 및 또는 힘의 속도에 따라 변화시켜도 된다. 이로써, 조작자는 클릭감을 기준으로 하여 포인터 (4a) 의 이동에 관한 처리가 변화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 힘의 강도에 따른 처리에 대해, 예를 들어, 화면 상의 포인터 (4a) 를 방향 키 (11) 에 의해 이동시키는 경우,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어느 정도 압하했는지 (힘의 강도) 에 대응하여 (비례하여) 포인터 (4a) 의 이동 속도를 변화시켜도 된다. 이로써 조작감이 좋아진다. 또, 예를 들어 클릭감의 발생 후 (또는 발생 전) 에만 포인터 (4a) 의 이동 속도를 힘의 강도에 따라 변화 (가속 또는 감속) 시켜도 된다. 또, 상기 힘의 강 도 등을 처리하고, 이동 방향, 이동량, 이동 속도의 요소에 추가하여 다른 요소 (예를 들어 포인터 (4a) 의 이동시의 가속 등) 를 적절히 부가해도 된다.
또한,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정전 용량의 값으로 바꾸어 임의 방향을 검지 해도 된다.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해 예를 들어 고정 전극 (21a) 에 대응하는 방향 키의 일정 범위의 방향 (또는 고정 전극 (21a) 과 고정 전극 (21d) 사이를 중심으로 한 일정 범위의 방향) 이 압하할 수 있었던 경우에는, 고정 전극 (21a) 에 대응하는 우측 방향 (또는 고정 전극 (21a) 과 고정 전극 (21d) 사이를 중심으로 대응하는 우상 방향) 이 압하되었다고 검지해도 된다.
또,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정전 용량의 값으로 바꾸어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압하에 사용한 힘의 강도 및 또는 힘의 속도를 측정해도 된다.
압하된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의 검지 또는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의 압하에 사용한 힘의 강도 및 또는 힘의 속도의 측정에 대해서는, 정전 용량의 변화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나 정전 용량의 값) 에 의해 적절한 방법으로 실시한다. 또, 검지된 임의 방향, 측정한 힘의 강도, 힘의 속도를 어떻게 처리하여 화면 상에 표시할지 (예를 들어 어떻게 포인터 (4a) 를 이동시킬지 등) 는 적절히 결정한다. 또, 상기 다른 요소에 대해서도 적절히 결정한다.
휴대 전화기 (5) 는 표시 장치 (4) 와 일반 키 (3) (텐 키, 기능 키 등의 키를 말한다. 이하 동일.) 와 확정 키 (10) 와 확정 키 (10) 를 둘러싸는 방향 키 (11) 를 갖는다. 표시 장치 (4) 에는 소정의 화면이 표시된다. 표시 장치 (4) 는 일반 키 (3), 확정 키 (10) 또는 방향 키 (11) 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화 면 표시가 바뀐다.
방향 키 (11) 는 표시 장치 (4) 상의 화면 (본 발명에 있어서 단순히 화면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에 표시된 아이콘의 선택 (예를 들어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 메뉴 중의 항목 선택 (예를 들어 화면에 표시된 메뉴 중 하나의 항목을 선택), 캐릭터의 이동, 포인터 (4a) 의 이동 등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방향 키 (11) 의 조작에 의해 화면의 포인터 (4a) 를 이동시키는 경우,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 (도 2 에 있어서는 우상) 을 압하하면, 이 임의 방향으로 대응하는 방향 (도 2 에 있어서는 우상) 으로 포인터 (4a) 가 파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 (도 2 의 화살표 참조) 로 순조롭게 이동한다.
확정 키 (10) 는 압하함으로써, 선택된 아이콘이나 선택된 항목 등을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또, 확정 키 (10) 는 압하됨으로써, 이동하는 포인터 (4a) 에 대해 클릭 상당의 동작을 실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이와 같은 사용법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방향 키 (11) 가 둘러싸는 키를 본 발명에서는 확정 키 (10) 로서 표현한다.
도 3(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 (1) 의 단면도이다. 도 3(b)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 (1) 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3(a) 에 있어서 가동 전극 (20) 과 고정 전극 (21a, 21c) 과 2 개의 선형 링 전극 (22) 의 단면은 해칭을 생략하고, 전체를 검게 칠하였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 (1) 에 사용하는 키 시트 (2) 의 이면의 개략도이다. 또한, 도 4 에서는 제 1 굴곡부 (7a), 제 2 굴곡부 (7b) 등은 생략하고, 가동 전극은 전체가 검게 칠해져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 (1) 에 사용하는 기판 (6) 의 개략도이다. 도 5 에 있어서, 선형 링 전극 (22) 은 전체를 검게 칠하고, 소정의 배선 패턴 등 (도 1 참조) 은 생략하고, 고정 전극 (21a, 21b, 21c, 21d) 에는 해칭을 실시하였다 (여기서의 해칭은 단면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다방향 입력 장치 (1) 는 키 시트 (2) 와 압압자 (8) 와 클릭감 발생부 (9) 와 가동 전극 (20) 과 고정 전극 (21) 과 2 개의 선형 링 전극 (22) 을 구비한다. 키 시트 (2) 는 확정키 (10) 와 방향 키 (11) 와 시트형 부재 (7) 를 갖는다. 다방향 입력 장치 (1) 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의 압하에 수반하여 방향 키 (11) 가 확정 키 (10) 와 함께 경동하는 구조로 형성하고,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면 압압자 (8) 에 의해 클릭감 발생부 (9) 가 변형되어 클릭감이 발생하는 구조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다방향 입력 장치 (1) 는 기판 (6) 과 이 기판 (6) 상에 형성하는 커버 부재 (35) 와 키 시트 (2) 를 기판 (6) 상에 지지하는 지지 부재 (36) 를 구비한다. 기판 (6) 상에는 필요한 배선 패턴 (도시 생략) 이 예를 들어 구리 등에 의해 형성된다. 또, 기판 (6) 상에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필요한 소자등 (도시 생략) 도 배치된다. 커버 부재 (35) 는 상면에 관통공 (35a) 을 갖는 다.
키 시트 (2) 는 확정 키 (10) 의 상면 (압하를 실시하는 부분) 및 방향 키 (11) 의 상면 (압하를 실시하는 부분) 이 상기 관통공 (35a) 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지지 부재 (36) 로 지지 받고 있다. 이로써, 키 시트 (2) 는 그 이면이 기판 (6) 에 대향하도록 지지 받고 있다.
방향 키 (11) 는 확정 키 (10) 를 둘러싸는 형상으로서, 여기서는 원고리형의 형상을 갖는다. 확정 키 (10) 는 여기서는 원고리형을 갖지만 형상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방향 키 (11) 의 형상은 예를 들어 확정 키 (10) 를 배치 가능한 관통공을 갖는 다각형 등이어도 된다. 방향 키 (11) 의 형상은 확정 키 (10) 를 둘러쌀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확정 키 (10) 는 이 확정 키 (10) 본체의 하부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 (10a) 를 구비한다. 플랜지 (10a) 는 확정 키 (10) 와 일체적으로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지만, 확정 키 (10) 본체와 별체로 형성하여 접착제나 점착재를 사용하여 고착시키거나 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방향 키 (11) 는 이 방향 키 (11) 본체의 하부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 (11a) 를 구비한다. 플랜지 (11a) 는 방향 키 (11) 와 일체적으로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지만, 방향 키 (11) 본체와 별체로 형성하여 접착제나 점착재를 사용하여 고착시키거나 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확정키 (10) 나 방향 키 (11) 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의 경질 수지를 함유하는 각종 합성 수지, 각종 유리, 금속 등에 의해 적절히 형성한다.
방향 키 (11) 의 이면에는 단차면 (11ba), 단면 (11bb) 및 단면 (11bc) 을 형성한다. 확정 키 (10) 의 플랜지 (10a) 는 후술하는 제 1 간극 (25) 을 형성하는 바와 같이 하여, 단차면 (11ba) 밑으로 들어가, 이 단차면 (11ba) 과 맞닿아 있다. 즉, 확정 키 (10) 와 방향 키 (11) 는 함께 경동하도록 걸어 맞춰져 있다. 이로써, 확정 키 (10) 의 부상, 즉 확정 키 (10) 가 이 다방향 입력 장치 (1) 로부터 튀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향 키 (11) 의 플랜지 (11a) 는 커버 부재 (35) 의 상부 (35b) 아래에 들어가 있다. 이로써, 방향 키 (11) 의 부상 (浮上), 즉 방향 키 (11) 가 이 다방향 입력 장치 (1) 로부터 튀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 (35) 의 상부 (35b) 의 하면 (35ba) 과 플랜지 (11a) 는 맞닿을 수 있고 (처음부터 맞닿아 있어도 된다),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하면, 그 압하된 방향과 반대측의 플랜지 (11a) 의 단부가 하면 (35ba) 에 맞닿고, 이 맞닿은 부분이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의 경동 지점이 된다.
확정 키 (10) 와 방향 키 (11) 는 시트형 부재 (7) 표면의 소정 위치에 배치한다. 예를 들어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를 접착제나 점착재 등에 의해, 시트형 부재 (7) 표면의 소정 위치에 원하는 지점 (예를 들어, 확정 키의 경우에는 이면 전체면, 방향 키 (11) 의 경우에는 플랜지 (11a) 및 단면 (11bb)) 에서 고착함으로써 배치한다.
시트형 부재 (7) 는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재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각 종 합성 수지 등을 사용하여 시트형으로 형성한다. 또, 시트 부재 (7) 가 텐 키, 기능 키 등의 일반 키 (3) 를 배치하는 부분도 갖는 경우, 즉, 시트 부재 (7) 가 다방향 입력 장치 (1) 의 일부와 일반 키 (3) 를 갖는 소위 키 시트의 키 베이스로서 형성되는 경우에는, 특히 이 일반 키 (3) 를 배치하는 부분에 강성을 부가하여 시트형 부재 (7) 전체에 형상 안정성을 부가하기 위해서, 시트형 부재 (7) 는 금속이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의 경질 수지 등의 각종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소위 보강판 (프레임체) 과 히트 시일이나 접착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형 부재 (7) 를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재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재료로 1 장의 시트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시트형 부재 (7) 는 기본적으로는 1 장의 시트형의 부재이지만, 복수의 부재를 1 장의 시트형에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복수의 부재가 떨어져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면 (11bb) 의 단면 중앙의 부분에서, 시트형 부재 (7) 가 떨어져 있어도 된다.
시트형 부재 (7) 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 등을 가짐으로써 변형 가능하면 된다 (또한, 탄성을 갖는 경우와 같이 복원력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가 함께 경동 가능해지도록, 예를 들어 후술하는 제 2 굴곡부 (7b) 나, 이 제 2 굴곡부 (7b) 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 제 2 굴곡부에 대응하는 위치가 변형 가능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즉, 시트형 부재 (7) 는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압하한 경우에 확정 키 (10) 및 방 향 키 (11) 가 함께 경동 가능해지도록 적어도 일부가 변형시킬 수 있을 필요가 있다.
또, 확정 키 (10) 와 방향 키 (11) 가 별체인 경우에는, 확정 키 (10) 의 압하에 의해, 확정 키 (10) 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예를 들어 후술하는 제 1 굴곡부 (7a) 나, 이 제 1 굴곡부 (7a) 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 제 1 굴곡부 (7a) 에 대응하는 위치를 변형 가능하게 할 필요가 된다. 즉, 시트형 부재 (7) 는 상기에 더하여 확정 키 (10) 의 압하에 의해, 확정 키 (10) 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일부가 변형시킬 수 있을 필요가 있다.
시트형 부재 (7) 는 제 1 굴곡부 (7a) 와, 제 2 굴곡부 (7b) 와, 대좌 (7c) 와, 단부 (7d) 를 구비한다. 대좌 (7c) 에는, 후술하는 가동 전극 (20) 이 형성된다. 지지 부재 (36) 상에 단부 (7d) 가 고정 또는 맞닿고, 시트형 부재 (7) 즉 키 시트 (2) 는 기판 (6) 상에 지지 받고 있다.
제 1 굴곡부 (7a) 는 시트형 부재 (7) 의 소정 부분을 단면이 대략 역 U 자 형이 되도록 굴곡시켜 구부려 형성한 것이다. 이 제 1 굴곡부 (7a) 는 제 1 간극 (25) 에 수납된다. 제 1 간극 (25) 는 플랜지 (10a) 의 단부의 외측 또한 단차면 (11ba) 아래에 형성한다.
제 1 굴곡부 (7a) 의 형상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굴곡부 (7a) 는 도 3(a) 등에 나타내는 제 1 굴곡부 (7a) 와는 역방향, 즉 하방을 향하여 단면이 대략 U 자 형이 되도록 시트형 부재 (7) 를 굴곡시켜 구부려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제 1 간극 (25) 은 특별히 필요하지 않다. 또, 도 9 와 같 이 제 1 굴곡부 (7a) 의 형상은 단면이 대략 역 ㄷ 자 형이 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제 1 굴곡부 (7a) 는 확정 키 (10) 를 압하한 경우의 확정 키 (10) 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굴곡된 부분이 전개된다. 이로써, 시트형 부재 (7) 의 변형 및 확정 키 (10) 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제 2 굴곡부 (7b) 는 이 시트형 부재 (7) 의 소정 부분을 단면이 대략 U 자 형이 되도록 굴곡시켜 구부려 대략 주름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 때, 제 2 굴곡부 (7b) 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 2 굴곡부 (7b) 의 형상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굴곡부 (7b) 는 도 2(a) 등에 나타내는 제 2 굴곡부 (7b) 와는 역방향, 즉 상방을 향하여 단면이 대략 역 U 자 형이 되도록 굴곡시켜 구부려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플랜지 (11a) 의 단부의 외측에 제 2 의 간극 (26) 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 도 9와 같이 제 2 굴곡부 (7b) 의 형상은 단면이 대략 역 ㄷ 자 형이 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제 2 굴곡부 (7b) 는 방향 키 (11) 및 확정 키 (10) 의 경동에 수반하여 전개된다. 이 제 2 굴곡부 (7b) 에 의해,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압하하면 방향 키의 경동에 수반하여 굴곡된 부분이 적절히 전개되고, 시트형 부재 (7) 의 변형이 순조롭게 이루어져 방향 키 (11) 및 확정 키 (10) 의 경동을 순조롭게 할 수 있다.
제 1 굴곡부 (7a) 및 제 1 간극 (25) 은 확정 키 (10) 의 외주부를 따라 링형으로 형성한다. 제 2 굴곡부 (7b) 는 방향 키 (11) 의 외주부를 따라 링형으 로 형성한다. 제 2 간극 (26) 은 방향 키 (11) 의 외주부을 따라 링형으로 형성한다. 제 1 굴곡부 (7a), 제 1 간극 (25), 제 2 굴곡부 (7b) 및 제 2 간극 (26) 은 각각 동심원형으로 형성한다.
제 1 굴곡부 (7a), 제 1 간극 (25), 제 2 굴곡부 (7b) 및 제 2 간극 (26) 은 링형이 아니어도 되고, 그 형상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며, 확정 키 (10) 나 방향 키 (11) 의 형상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정 키가 대략 사각형인 경우에는, 제 1 굴곡부 (7a), 제 1 간극 (25) 은 이 대략 사각형에 맞추어 형성한다.
압압자 (8) 는 키 시트 (2) 의 이면의 확정 키 (10) 에 대응하는 위치 (예를 들어 확정 키 (10) 의 중심 또한 이면 하방) 에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 3(a) 와 같이 압압자 (8) 는 시트형 부재 (7) 와 일체적으로 동일한 재료로 형성한다. 또, 예를 들어 압압자 (8) 는 미리 시트형 부재 (7) 와는 별도로 각종 합성 수지, 금속 등으로 형성하고, 시트형 부재 (7) 에 접착제, 점착재에 의해 고착시키거나 하여 형성해도 되고, 예를 들어 시트형 부재 (7) 의 압압자 (8) 를 형성하고자 하는 원하는 위치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확정 키 (10) 의 이면에 확정 키 (10) 와 일체적으로 직접 형성하거나 또는 미리 확정 키 (10) 와는 별도로 각종 합성 수지, 금속 등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확정 키 (10) 에 접착제, 점착재에 의해 고착 등 해서 형성해도 된다.
압압자 (8) 에는 소돌기 (8a) 를 일체적으로 형성한다. 소돌기 (8a) 의 선단은 후술하는 클릭감 발생부 (9) 에 맞닿는다. 소돌기 (8a) 는 변형 가능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게 한다. 소돌기 (8a) 는 압압자 (8) 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클릭감 발생부 (9) 에서 일그러진다. 이로써, 방향 키 (11) 가 경동 가능하게 되는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다. 소돌기 (8a) 는 없어도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방향 키 (11) 가 경동 가능하게 되는 스트로크를 확보하기 위해 압압자 (8) 와 클릭감 발생부 (9) 사이에는 간격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클릭감 발생부 (9) 는 압압자 (8) 에 대향하도록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기판 (6) 상에 형성한다. 클릭감 발생부 (9) 는 압압자 (8) 에 의해 압압되고 변형되어 클릭감을 발생하는 것이다. 클릭감 발생부 (9) 는 예를 들어 메탈 돔, 폴리 돔 등을 도시하지 않은 필름 (소위 돔 시트) 에 의해 기판 (6) 에 고정시킴으로써 실현된다.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에 의해 형성된다. 클릭감 발생부 (9) 는 기판 (6) 의 도시하지 않은 고정 접점을 도통시킴으로써, ON/OFF 의 스팅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는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면 이 임의 방향과 역방향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의 경동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는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의 경동에 수반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고, 기판 (6) 에 맞닿아, 상기와 같이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의 경동 방향을 변화시킨다 (여기서는 대략 반대로 변화시킨다).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은 시트형 부재 (7) 와 일체적으로 형성한다. 또,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는 각종 합성 수지, 금속 등에 의해 미리 형성하고, 시트형 부재 (30) 에 접착제, 점착재 등에 의해 고착시키는 등의 적절히 방법으로 형성해도 된다.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는 기판 (6) 측에 기판 (6) 과 일체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각종 합성 수지, 금속 등에 의해 미리 형성하고, 시트형 부재 (7) 에 접착제, 점착재 등에 의해 고착시키는 등의 적절한 방법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는 하방으로 이동하는 시트형 부재 (7) 와 맞닿아, 상기와 같이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의 경동 방향을 변화시킨다 (여기서는 대략 반대로 변화시킨다).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는 가동 전극 (20) 이나 고정 전극 (21) 의 외측 또한 방향 키 (11) 의 외측 단부에 이들과 동심원형 또한 링형으로 형성한다.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는 도 3 과 같이 원주 방향 전체면에 연속적으로 형성해도 되고, 띄엄 띄엄 즉 불연속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가동 전극 (20) 및 고정 전극 (21) 은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의 압하에 수반하여 서로의 거리가 변화하는 것이다.
가동 전극 (20) 은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의 경동에 수반하여 이동하도록 키 시트 (2) 의 이면측에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시트형 부재 (7) 의 이면의 대좌 (7c) 에 형성한다. 가동 전극 (20) 은 링형으로 형성한다.
가동 전극 (20) 은 예를 들어 도전성 고무재, 도전 잉크 등을 시트형 부재 (7) 의 대좌 (7c) 에 인쇄, 토출하여 형성한다. 또, 가동 전극 (20) 은 예를 들어 증착, 스퍼터링 등의 적절한 금속 박막의 성막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해도 된다. 또, 가동 전극 (20) 은 예를 들어 미리 형성한 금속 박막 등을 접착제나 점착재 등을 사용하여 부착 형성해도 된다. 또한, 가동 전극 (20) 은 고정 전극 (21) 이나 선형 링 전극 (22) 과 접촉할 때에 변형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 전극 (20) 은 링형 이외에, 다른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 가동 전극 (20) 은 방향 키 (11) 의 압하에 수반하여 이동할 수 있다면 적절하게 장소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정 키 (10) 의 이면의 위치 또한 압압자 (8) 의 주위에 가동 전극 (20) 을 형성해도 된다.
가동 전극 (20) 은 고정 전극 (21) 에 대해 경사를 갖는다. 대좌 (7c) 가 경사를 갖도록 시트형 부재 (7) 를 형성하고, 이 대좌 (7c) 에 가동 전극 (20) 을 형성한다.
가동 전극 (20) 과 고정 전극 (21) (구체적으로는 분할된 고정 전극 각각) 은 용량 소자를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용량 소자의 정전 용량치는 전극 사이의 거리가 넓은 경우에는 작고, 전극 사이의 간격이 작은 경우에는 커진다. 가동 전극 (20) 은 고정 전극 (21) 에 대해 경사를 가짐으로써, 가동 전극 (20) 과 고정 전극 (21) 사이의 거리를 근접시킬 수 있고, 정전 용량치의 절대치를 크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서술한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압하된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검지하는 경우 또는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압하 조작한 힘의 강도나 힘의 속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용량 소자의 정전 용량치의 절대치가 큰 것이 정밀도를 내기 쉽다. 가동 전극 (20) 이 고정 전극 (21) 에 대해 경사를 가짐으로써, 양자의 거리를 근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방향의 검지, 힘의 강도, 힘의 속도의 측정 정밀도를 올릴 수 있다.
고정 전극 (21) 은 가동 전극 (20) 에 대향하도록 하여 형성한다. 고정 전극 (21) 은 예를 들어 가동 전극 (20) 과 대향하도록 원고리 형상 (형상은 적절히 변경 가능) 을 4 분할하여 기판 (6) 상에 형성한다. 이 고정 전극 (21) 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90 도마다 등간격으로 4 분할한 것이다.
고정 전극 (21) 은 예를 들어 구리 등에 의해 형성된다. 또, 고정 전극 (21) 은 예를 들어 도전성 고무재, 도전 잉크 등을 기판 (6) 에 인쇄, 토출하여 형성해도 되고, 예를 들어 증착, 스퍼터링 등의 적절한 금속 박막의 성막 방법을 이용하여 기판 (6) 에 형성해도 된다. 또, 고정 전극 (21) 은 예를 들어 미리 형성한 금속 박막 등을 접착제나 점착재 등을 사용하여 부착 형성해도 된다. 또한, 고정 전극 (21) 의 분할은 방향 검지가 가능해지도록 복수로 분할되어 있으면 되고, 4 분할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용도에 따라 8 분할, 16 분할 등으로 해도 된다.
서로 이웃하는 고정 전극 (21) 각각 사이의 간격은 본 예에서는 비교적 좁게 형성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그 간격은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간격을 넓히거나 해도 된다. 고정 전극 (21) 의 각각의 표면은 테플론 (등록상표), 수지 필름 등의 도시하지 않은 절연층으로 피복하여 형성한다. 절연층은 가동 전극 (20) 의 표면 또한 2 개의 선형 링 (22) 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표면에 형성해도 된다. 절연층은 가동 전극 (20) (의 표면 또한 2 개의 선형 링 (22) 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 및 고정 전극 (21) 양자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절연층을 가동 전극 (20) 또는 고정 전극 (21) 에 형성되어 있어도, 가동 전극 (20) 또는 고정 전극 (21) 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2 개의 선형 링 전극 (22) 은 2 개의 단락용 접점으로서 기능하고, 가동 전극 (20) 과 접촉함으로써 단락되는 것이고, 고정 전극 (21) 의 내측에 가동 전극 (20) 의 형상에 맞추고 또한 원고리형으로 형성한다. 2 개의 선형 링 전극 (22) 은 가동 전극 (20) 에 접촉하여 단락되면 다른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또, 선형 링 전극 (22) 은 선형이 아닌 형상을 갖는 다른 2 개의 단락용 접점으로 변경 가능하다.
선형 링 전극 (22) 은 예를 들어 구리 등에 의해 형성된다. 또, 선형 링 전극 (22) 은 예를 들어 도전성 고무재, 도전 잉크 등을 기판 (6) 에 인쇄, 토출하여 형성해도 되고, 선형 링 전극 (22) 은 예를 들어 증착, 스퍼터링 등의 적절한 금속 박막의 성막 방법을 이용하여 기판 (6) 에 형성해도 된다. 또, 선형 링 전극 (22) 은 예를 들어 미리 형성한 금속 박막 등을 접착제나 점착재 등을 사용하여 부착 형성해도 된다.
가동 전극 (20) 상, 예를 들어 시트형 부재 (7) 와 방향 키 (11) 의 이면 (단면 (11bc)) 사이에는 공간 (38) 을 형성한다. 공간 (38) 은 방향 키 (11) 의 이면의 단면 (11bc) 과 시트형 부재 (7) 의 상면에 의해 구성된다. 가동 전 극 (20) 이 하방으로 이동해 가면, 고정 전극 (21) 이나 선형 링 전극 (22) 과 접촉한다. 이로써 대좌 (7c) 가 밀려올라간다. 공간 (38) 은 가동 전극 (20) 이 순조롭게 고정 전극 (21) 에 접촉해 가도록 대좌 (7c) 를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서히 일그러져 가는 것이다.
공간 (38) 이 서서히 일그러져갈 때의 공간 (38) 의 공기를 내보내기 위한 및 임의 방향의 압하 조작을 해제했을 때에 공간 (38) 으로 공기를 들여보내기 위한 공기 통로 (40) 를 방향 키 (11) 의 단부 (11bb) 의 일부에 형성하면 된다. 이로써, 방향 키 (11) 의 조작이 보다 순조로워진다.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가 경동할 때의 다방향 입력 장치 (1) 내부의 공기를 내보내기 위한 및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의 압하 조작을 해제했을 때에 다방향 입력 장치 (1) 내부에 공기를 들여보내기 위한 공기 통로 (41) 를 지지 부재 (36) 의 일부에 형성하면 된다. 이로써, 확정 키 (10), 방향 키 (11) 의 조작이 보다 순조로워진다.
도 6(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 (1) 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의 (b) 내지 (e) 는 방향 키 (111) 의 임의 방향 (여기서는 우측 가로 방향) 을 압하해 가는 경우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 (1) 상태를 순서대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f) 는 확정키 (10) 를 압하한 경우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 (1)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6 에 나타내는 다방향 입력 장치 (1) 는 설명을 위해서 도 3(a) 에 나타내는 다방향 입력 장치 (1) 와는 치수 등이 변경되어 있다. 도 6 에 있어서, 가동 전극 (20), 고정 전극 (21a, 21c), 2 개의 선형 링 전극 (22) 의 단면을 나타내는 해칭은 생략하였다.
방향 키 (11) 의 우측 옆을 압하하면, 그 동작이 방향 키 (11) 의 단차면 (11ba) 으로부터 확정 키 (10) 의 플랜지 (10a) 에 전해진다. 이 때, 플랜지 (11a) 의 단부와 커버 부재 (35) 의 상부 (35b) 의 하면 (35ba) 이 맞닿아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의 경동 지점이 된다. 이로써 확정 키 (10) 와 방향 키 (11) 는 함께 경동한다 (도 6(b) 참조). 또한, 방향 키 (111) 의 어느 방향을 압하해도 동일하게 경동하고, 후술하는 클릭감이 발생한다.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의 경동에 수반하여 가동 전극 (20) 은 하방으로 이동하여 기판 (6) 에 근접하여 2 개의 선형 링 전극 (22) 에 접촉하고, 이 2 개의 선형 링 전극 (22) 을 도통시킨다 (도 6(b) 참조). 2 개의 선형 링 전극 (22) 을 도통시킴으로써 온 신호가 얻어진다. 가동 전극 (20) 이 2 개의 선형 링 전극 (22) 에 접촉하면 2 개의 선형 링 전극 (22) 을 도통시켜 온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반하면 당해 도통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이들 도통에 의한 온 신호는 방향 키 (11) 의 조작 중, 즉 가동 전극 (20) 이 2 개의 선형 링 전극 (22) 에 접촉하고 있는 한 계속해서 발생한다.
이 온 신호는 예를 들어, C/V 변환 IC (201) 이나 제어부나 시스템 전체의 여기 신호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는, 이 온 신호에 의해, 제어부는 방향 검지를 개시한다. 또한, 도 6(a)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6(b) 에 나타내는 상태로의 이행시라도, 정전 용량은 변화하므로 압하한 임의 방향을 검지하는 것은 가능하다.
방향 키 (111) 의 우측 옆을 더욱 압하하면,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는 추가로 경동하여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가 기판 (6) 과 맞닿는다 (도 6(c) 참조).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가 기판 (6) 에 맞닿으면,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의 경동 지점이 이 맞닿은 위치 상으로 옮겨진다.
도 6(b) 에서 (c) 에 걸쳐,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의 경동에 수반하여 압압자 (8) 는 하방으로 이동하지만, 소돌기 (8a) 는 클릭감 발생부 (9) 에 의해 눌려 일그러진다. 그러나, 클릭감 발생부 (9) 를 변형시킬 정도의 힘이 아직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클릭감은 발생하지 않는다.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가 기판 (6) 에 맞닿아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의 경동 지점이 이 맞닿은 위치 상으로 옮겨져 있기 때문에, 방향 키 (11) 의 우측 옆을 더욱 압하 조작하면, 즉 도 6(c) 에서 (d) 에 걸쳐 방향 키 (11) 의 우측 방향을 더욱 압하해 가면, 이 우측 방향과 역방향 (좌방향) 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의 경동 방향이 변화한다 (도 6(d) 참조). 또한, 이 때,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의 형상 (크기, 단면 방향의 폭, 길이), 재료 (예를 들어 어느 정도 변형되는지 또는 변형되지 않는지) 등의 조건에 따라,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가 평행하게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라도 확정 키 (10) 나 방향 키 (11) 가 경동한다고 표현한다.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의 경동에 의해 방향 키 (11) 의 플랜지 (11a) 의 단부와 커버 부재 (35) 의 상부 (35b) 의 하면 (35ba) 이 맞닿아 방향 키 (11) 의 경동 지점이 되기 때문에, 이 맞닿은 부분에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의 경동에 의한 힘이 더해져 부담이 가해진다. 이 부담에 의해, 커버 부재 (35) 의 상부 (35b) 가 올라가는 경우가 있었지만, 이 우측 방향과 역방향 (좌방향) 이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이 부담을 경감할 수 있어, 커버 부재 (35) 의 상부 (35b) 가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의 경동에 수반하여 압압자 (8) 는 하방으로 이동하지만, 소돌기 (8a) 는 클릭감 발생부 (9) 에 의해 모두 일그러져 있다 (도 6(c) 참조). 또한 압압자 (8) 의 본체 (8b) 가 클릭감 발생부 (9) 를 압압하여 클릭감 발생부 (9) 를 변형시킬 정도의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클릭감 발생부 (9) 는 변형된다 (도 6(d) 참조).
이로써 클릭감이 발생한다. 이 때 클릭감 발생부 (9) 는 도시하지 않은 고정 접점이 도통되어 온 신호가 발생하는데, 이 신호는 적절히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이 신호에 의해 검지된 임의 방향으로 대응하는 처리를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어 방향 키 (11) 의 동일 방향 (우측 방향) 을 압하해 가서 클릭감이 발생한 후에 더 이상 방향 키의 동일 방향을 압하할 수 없다고 해도, 이 조작을 해제하지 않으면, 포인터는 클릭감 발생 전에는 통상 속도 (기본적으로는 일정 속도) 로 이동하고, 클릭감 발생 후에는 가속하여 이동하는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이 신호를 사용하지 않아도, 예를 들어 클릭감이 발생할 때까지의 정전 용량의 변 화를 미리 제어부의 기억부 등에 기억시키고, 이것을 참조하여 검지된 임의 방향에 대응하는 처리를 변경해도 된다.
여기서,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가 없어도, 방향 키 (11) 의 우측 방향을 압하해 감으로써, 압압자 (8) 가 하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압압자 (8) 가 클릭감 발생부 (9) 를 압압하여 클릭감이 발생한다.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서 클릭감이 발생하는 데에 필요한 힘은 클릭감 발생부 (9) 를 변형시키는 힘에 따라 달라진다. 이 때문에,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면 곧바로 클릭감이 발생되어 클릭감 발생 전의 방향 키 (11) 의 조작이 곧바로 종료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는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가 경동하는 데에 필요한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는 힘은,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1) 의 경동 방향의 변화 전보다도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의 경동 방향의 변화 후가 커지도록 형성하면 된다. 이로써, 클릭감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압하하는 힘은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보다 커진다. 이 때문에, 서서히 힘을 넣어 가는 중에 클릭감의 발생 포인트를 늦출 수 있다. 이로써,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는 중에 소정의 약한 힘 (즉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하여 클릭감이 발생하기 위해서 필요한 힘보다 약한 힘) 의 범위 (클릭감 발생 전의 방향 키 (11) 의 조작의 범위) 를 넓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자는 클릭감이 발생하기 전의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하기 쉬워진다.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를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가 경동하는데에 필요한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는 힘은,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의 경동 방향의 변화 전보다도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의 경동 방향의 변화 후가 커지도록 형성하는 것이란, 예를 들어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향 키 (11) 의 상면 (압하 조작을 실시하는 부분) 으로부터의 거리가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의 경동 방향 변화 전의 경동 지점의 위치보다 가로 방향에 있어서 가까운 위치에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를 형성하고, 또한 방향 키 (11) 의 상면의 외측에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를 형성함으로써 실현된다. 방향 키 (11) 의 우측 옆을 더욱 압하하면,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가 탄성을 갖기 때문에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다음 번에는 클릭감 발생부 (9) 를 변형시키고 있는 압압자 (8) 가 경동 지점이 되어 더욱 우측으로 경동한다 (도 6(e) 참조).
또한, 이 때, 압압자 (8) 의 형상 (크기, 길이 등),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의 형상 (크기, 단면 방향의 폭, 길이 등), 이들의 재료 (예를 들어 어느 정도 변형되는지 (어느 정도 탄성을 갖는지) 또는 변형되지 않는지) 등의 조건에 의해,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가 평행하게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이나 우측 옆과 반대측 (임의 방향의 반대측) 도 다소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에도 확정 키 (10) 나 방향 키 (11) 가 경동한다고 표현한다.
이와 같이, 다방향 입력 장치 (1) 를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와 압압자 (8) 중 적어도 일방은 변형 가능하게 하여,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는 중에 클릭감이 발생한 후에 더욱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면, 상기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및 또는 상기 압압자 (8) 가 변형되어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가 추가로 경동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클릭감 발생 후에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가 경동할 수 있다. 이로써, 가동 전극 (20) 이 고정 전극 (21) 에 더욱 근접할 수 있어, 동일한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는 중에, 클릭감 발생 후에 있어서도 서로의 거리 변화로부터 방향 검지, 힘의 강도나 힘의 속도의 측정을 할 수 있다.
압압자 (8) 및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가 경질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클릭감 발생 후에 압하해 간 임의 방향과 동일 방향을 더욱 압하해도 압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도 6(b) 에서 (e) 에 걸쳐 제 2 굴곡부 (7b) 는 전개된다. 이로써 방향 키 (11) 의 경동이 순조로워진다.
도 6(b) 에서 (e) 에 걸쳐 가동 전극 (20) 은 고정 전극 (21a) 에 접촉해 감으로써 근접해 간다. 이로써, 가동 전극 (20) 과 고정 전극 (21) 의 분할된 각각과의 사이의 거리, 즉 가동 전극 (20) 과 고정 전극 (21) 의 서로의 거리는 변화하기 때문에, 가동 전극 (20) 과 고정 전극 (21) 의 분할된 각각과의 사이의 정전 용량은 변화해간다. 또한, 가동 전극 (20) 의 및 또는 고정 전극 (21) 은 표면에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전극 (20) 과 고정 전극 (21) 이 접촉해도 정전 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도 6(b) 에서 (e) 에 걸쳐 공간 (38) 은 대좌 (7c) 를 수납하고, 서서히 일그러져 간다.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에 대한 압하 조작을 해제하면, 전개되어 있던 제 2 굴곡부 (7b) 및 신장되어 있던 부분이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오려고 하는 복원력(즉 시트형 부재 (7) 가 갖는 탄성에 의한 복원력) 에 의해,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는 도 6(a) 의 초기 상태로 돌아온다. 또 공간 (38) 에 대해서도 시트형 부재 (7) 가 갖는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원래대로 돌아간다.
또, 확정 키 (10) 를 조작한 (압하한) 경우, 방향 키 (11) 는 이동하지 않고, 도 6(f)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정 키 (11) 만이 바로 밑으로 이동하여 그 압압자 (8) 에 의해 기판 (6) 상의 클릭감 발생부 (9) 가 압압되어 일그러지고, 도시하지 않은 고정 접점이 도통하여 온 신호가 발생한다.
그런데, 시트형 부재 (7) 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예를 들어 플랜지 (11a) 의 상면과 커버 부재 (35) 의 상부 (35b) 의 하면 (35ba) 사이에 판 스프링등을 형성하고, 이 판 스프링과 클릭감 발생부 (9) 에 맞닿는 소돌기 (8a) 를 갖는 압압자 (8) 에 의해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를 지지한다. 이 경우, 확정 키 (10) 의 외주면 (10c) 과 방향 키 (11) 의 내주면 (11c) 이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 키 (11) 의 이면 등에는 가동 전극 (20) 등을 형성하지만,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동 전극 (20) 은 변형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방향 키 (11) 의 하측을 변형 가능 (복원력이 있는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게 형성하고, 이 하면에 가동 전극 (20) 을 형성하거나, 대좌 (7c) 등을 상기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이 위에 가동 전극 (20) 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도 방향 키 (11) 의 플랜지 (11a) 단부에 일체적으로 또는 이후에 접착제, 점착재 등에 의해 고착시키거나 하여 형성한다. 압압자 (8) 는 확정 키 (10) 의 이면에 확정 키 (10) 에 일체적으로 직접 형성하거나 또는 미리 확정 키 (10) 와는 별도로 각종 합성 수지, 금속 등으로 형성하고 나서 확정 키 (10) 에 접착제, 점착재 등에 의해 고착시키거나 하여 형성한다.
(제 2 실시형태)
도 7 은 제 2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 (1A) 의 단면도이다. 또한, 가동 전극 (20), 고정 전극 (21a, 21c), 2 개의 선형 링 전극 (22) 의 단면의 해칭은 생략하고, 전체를 검게 칠하였다. 상기의 다방향 입력 장치 (1) 와 상이한 곳은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의 경동 지점이 압압자 (80) 의 위치에 있는 것이다. 즉, 압압자 (80) 와 클릭감 발생부 (9) 가 맞닿아 있는 부분이 경동 지점이 되고, 시소와 같이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이 경동한다. 압압자 (80) 에는 소돌기 (8a) 에 대응하는 것이 없다.
이 경우,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압하하면 압하한만큼, 방향 키 (11) 의 반대 방향이 상방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플랜지 (11a) 의 상면과 커버 부재 (35) 의 상부 (35b) 의 하면 (35ba) 사이를 넓게 취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의 하면 또는 상면과 기판 (6) 또는 키 시트 (2) 사이의 거리만큼, 플랜지 (11a) 의 상면과 커버 부재 (35) 의 상부 (35b) 의 하면 (35ba) 사이를 취할 필요가 있다.
또,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플랜지 (11a) 의 상면과 커버 부재 (35) 의 상부 (35b) 의 하면 (35ba) 사이를 좁게 취할 필요가 있다. 이로써,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면, 플랜지 (11a) 의 단부와 커버 부재 (35) 의 상부 (35b) 의 하면 (35ba) 이 맞닿고, 이 맞닿은 부분이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의 경동 지점이 되고, 압압자 (80) 가 클릭감 발생부 (9) 를 변형시킬 수 있다.
단,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를 형성하지 않으면, 상기와 같이 경동 지점이 되는 상기 플랜지 (11a) 의 단부와 하면 (35ba) 의 맞닿은 부분에 부담이 가해진다.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30) 를 형성하면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도, 압하한 만큼 반대측이 상방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어 플랜지 (11a) 의 상면과 커버 부재 (35) 의 상부 (35b) 의 하면 (35ba) 사이를 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다방향 입력 장치 (1) 를 박형화시킬 수 있다.
그 밖의 설명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준하므로 생략한다.
(제 3 실시형태)
도 8 은 제 3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 (1B) 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8 에 있어서 가동 전극 (20), 고정 전극 (21a, 21c), 및 2 개의 선형 링 전극 (22) 의 해칭은 생략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곳은 가동 전극 (20) 의 경사를 반대로 한 것에 있다. 즉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전극 (20) 을 단면이 대략 역 八 자 형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었지만,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단면이 대략 八 자 형이 되도록 가동 전극 (20) 을 형성하고 있다.
확정 키 (10) 및 방향 키 (11) 의 경동에 수반하여 가동 전극은 이동하지만, 가동 전극 (20) 을 단면이 대략 역 八 자 형이 되도록 형성한 쪽이 상기의 경동에 수반하여 크게 이동하기 때문에 정전 용량의 변화가 커지므로, 방향 검지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전극 (20) 의 경사를 반대로 한 것에 의해, 이것에 아울러 대좌 (82) 및 공간 (81) 도 형성한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전극 (20) 의 경사에 맞추어, 2 개의 선형 링 전극 (22) 등의 2 개의 고정 접점을 고정 전극 (21) 의 외측에 형성한다.
그 밖의 설명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준하므로 생략한다.
(제 4 실시형태)
도 9(a) 는 제 4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 (1C) 의 단면도이다. 도 9(b) 는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압하 조작한 경우의 제 4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 (1C)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9(a)(b) 에 있어서 가동 전극 (20), 고정 전극 (21a, 21c), 및 2 개의 선형 링 전극 (22) 의 해칭은 생략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곳은 가동 전극 (20) 상에 형성한 공간이 상이하다. 즉, 시트형 부재 (7) 에 형성한 대좌 (7) 를 형성하지 않고, 그 대신에 도 9(a) 와 같이 시트형 부재 (7) 의 소정 위치를 고정 전극 (21) 에 대해 경사를 갖게 하는 경사부 (83) 를 형성하고, 이 경사부 (83) 와 방향 키 (11) 의 이면 사이에 제 1 실시예의 공간 (38) 에 대응하는 공간 (84) 을 형성한다.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면 도 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전극 (20) 은 고정 전극 (21a) 에 접촉하고 경사부 (83), 상승부 (88) 는 변형되고, 공간 (84) 은 일그러져 간다. 또한, 상승부 (88) 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공기 통로 (40) 와 동일한 역할을 갖게 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에 있어서는, 경사부 (83) 를 형성함으로써, 방향 키 (11) 의 이면에 단부 (11bc) 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이면을 평탄부 (85) 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평탄부 (85) 에 각종 장식을 부가할 수 있다. 이것은 방향 키 (11) 가 투광성을 갖고 조광식인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제 1 굴곡부 (7a) 및 제 2 굴곡부 (7b) 는 단면이 대략 역 ㄷ 자 형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지만, 설명은 제 1 실시형태의 제 1 굴곡부 (7a) 및 제 2 굴곡부 (7b) 의 설명에 준한다. 또, 그 밖의 설명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준하므로 생략한다.
(제 5 실시형태)
도 10 은 제 5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 (1D) 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 에 있어서 가동 전극 (20) 및 고정 전극 (21a, 21c) 의 해칭은 생략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곳은 가동 전극 (20) 과 고정 전극 (21) 을 평행으 로 형성한 것에 있다. 이 경우에도, 가동 전극 (20) 의 이동에 의해 정전 용량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으면 본 발명에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가동 전극 (20) 은 고정 전극 (21a, 21c) 등과 접촉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 경우에는 2 개의 선형 링 전극 (22) 이나 절연층을 적절히 생략할 수 있다.
그 밖의 설명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준하므로 생략한다.
(기타)
상기 제 1 내지 제 5 실시형태에 대해 1 또는 복수의 부분을 적절히 변경 가능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5 실시형태에 대해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전극 (21) 및 가동 전극 (20) 은 적절히 다른 고정 소자 및 가동 소자로 변경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의 구성 요소를 적절히 변경 또는 적절히 생략한다.
고정 소자 및 가동 소자는 적어도 클릭감의 발생 전에 있어서의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의 압하에 수반하여 서로의 거리가 변화되고, 또한 이 거리의 변화로부터 압하한 상기 임의 방향을 적어도 상기 클릭감의 발생 전에 검지하기 위한 것이면 된다.
또, 가동 소자 및 고정 소자는 클릭감의 발생 전에 있어서의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의 압하에 수반하여 서로의 거리가 변화되고, 또한 이 거리의 변화로부터 압하한 상기 임의 방향을 상기 클릭감의 발생 전후에 검지하기 위한 것이어도 된다.
또, 가동 소자 및 고정 소자는 상기 거리의 변화로부터 상기 임의 방향의 압 하에 사용한 힘의 강도 및 또는 힘의 속도도 추가로 측정하기 위한 것이어도 된다.
고정 소자 및 가동 소자의 거리의 변화로부터 압하된 방향 키 (11) 의 임의 방향을 검지하는 방법으로서 자기의 변화를 이용한 것이나 저항의 변화를 이용한 것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자기의 변화를 이용한 것으로서는, 가동 소자 및 고정 소자 중 어느 일방을 자석으로 하고, 타방을 전류를 통하는 배선으로 하여, 자석과 배선의 거리의 변화로부터 배선 내에 생기는 전류를 사용하여 방향을 검지하는 것이 있다. 또, 이것을 이용하여 압하에 사용한 힘의 강도 및 또는 힘의 속도도 추가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의 흐름을 이용한 것으로는, 가동 소자 및 고정 소자를 도전체로 하여, 예를 들어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한 경우에 양자를 접촉시키고, 이 접촉 면적과 가동 소자 및 고정 소자의 저항의 값의 관계로부터 방향을 검지하는 것이 있다. 또, 이것을 이용하여 압하에 사용한 힘의 강도 및 또는 힘의 속도도 추가로 측정할 수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다방향 입력 장치에 사용하는 확정 키 (10) 와 방향 키 (11) 와 이들을 배치한 시트형 부재 (70) 를 갖는 키 시트 (200) 의 사시도이다. 시트형 부재 (70) 는 시트형 부재 (7) 와 대응한다. 키 시트 (200) 는 키 시트 (2) 와 대응한다.
본 발명에서는 키 시트 (200) 과 같이 시트형 부재 (70) 에는 확정키 (110) 및 방향 키 (11) 에 추가로 일반 키 (3) 도 배치해도 된다. 이것을 휴대 전화 기 (5) 등의 전자 기기에 직접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의 커버 부재 (35) 는 전자 기기의 광체 등이 된다. 또, 기판 (6) 은 전자 기기의 갖는 기판에 대응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전자 기기 그 자체 (도 1 에서는 전체) 를 다방향 입력 장치로서 파악할 수 있다.

Claims (15)

  1. 확정 키와 이 확정 키를 둘러싸는 방향 키를 갖는 키 시트와,
    상기 키 시트의 이면의 상기 확정 키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한 압압자와,
    상기 압압자에 대향하도록 형성하고 또한 상기 압압자에 의해 변형되어 클릭감을 발생하는 클릭감 발생부를 구비한 다방향 입력 장치로서,
    상기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의 압하에 수반하여 상기 방향 키가 상기 확정 키와 함께 경동하는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면, 상기 압압자에 의해 상기 클릭감 발생부가 변형되어 클릭감이 발생하는 구조로 형성하고,
    적어도 상기 클릭감의 발생 전에 있어서의 상기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의 압하에 수반하여 서로의 거리가 변화하고, 또한 이 거리의 변화로부터 압하한 상기 임의 방향을 적어도 상기 클릭감의 발생 전에 검지하기 위한 가동 소자 및 고정 소자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소자 및 상기 고정 소자는 상기 클릭감의 발생 전에 있어서의 상기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의 압하에 수반하여 서로의 거리가 변화되고, 또한 이 거리의 변화로부터 압하한 상기 임의 방향을 상기 클릭감의 발생 전후에 검지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소자 및 상기 고정 소자는 상기 클릭감의 발생 전후에 있어서의 상기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의 압하에 수반하여 서로의 거리가 변화하고, 또한 이 거리의 변화로부터 압하한 상기 임의 방향을 상기 클릭감의 발생 전후에 검지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소자 및 상기 고정 소자는 상기 거리의 변화로부터 상기 임의 방향의 압하에 사용한 힘의 강도 및 또는 힘의 속도도 추가로 측정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시트는 상기 확정 키 및 상기 방향 키를 배치한 시트형 부재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소자는 상기 확정 키 및 방향 키의 경동에 수반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키 시트의 이면측에 형성하고, 상기 고정 소자는 상기 가동 소자에 대향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키의 임의 방향을 압하해 가면 이 방향 키가 이 임의 방향과 역방향인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확정 키 및 상기 방향 키의 경동 방향을 변화시키는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를 추가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확정 키 및 상기 방향 키의 경동 방향의 변화 후에 상기 방향 키를 상기 임의 방향으로 추가로 압하해 가면, 상기 압압자에 의해 상기 클릭감 발생부가 변형되어 클릭감을 발생하는 구조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키 및 상기 방향 키가 경동하기 위해 상기 방향 키를 임의 방향으로 압하하는 데 필요한 힘은 상기 경동 방향의 변화 전보다도 상기 경동 방향의 변화 후가 커지도록 상기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9. 제 1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와 상기 압압자 중 적어도 일방은 변형 가능하고, 상기 클릭감이 발생한 후에 상기 방향 키를 상기 임의 방향으로 더욱 압하해 가면, 상기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상기 압압자, 또는 상기 경동 방향 변화용 부재 및 상기 압압자가 변형되어 상기 확정 키 및 상기 방향 키가 추가로 경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소자는 상기 고정 소자에 대해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소자는 가동 전극이며, 상기 고정 소자는 고정 전극이며, 상기 서로의 거리는 정전 용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전극 상에 형성한 공간과,
    상기 가동 전극과 상기 고정 전극 중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형성한 절연층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방향 키가 임의 방향으로 압하되면, 상기 확정 키 및 상기 방향 키의 경동에 수반하여 상기 가동 전극이 상기 절연층을 통해 상기 고정 전극과 접촉하도록 이동하고, 상기 가동 전극이 상기 고정 전극에 접촉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공간이 서서히 일그러져 가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전극 상에 형성한 공간과,
    상기 고정 전극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한 2 개의 단락용 접점과,
    상기 가동 전극의 상기 2 개의 단락용 접점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표면과 상기 고정 전극의 표면 중 적어도 일방에 형성한 절연층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방향 키가 임의 방향으로 압하되면, 상기 확정 키 및 상기 방향 키의 경동에 수반하여 상기 가동 전극은 단락용 접점이 먼저 단락되고 상기 절연층을 통해서 상기 가동 전극이 상기 고정 전극에 접촉하도록 이동하고, 상기 가동 전극이 상기 고정 전극에 접촉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공간이 서서히 일그러져 가는 구조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14. 제 5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확정 키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전개 가능한 굴곡부를 상기 시트형 부재에서 상기 확정 키의 외주부에 추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15. 제 5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키의 경동에 수반하여 전개 가능한 굴곡부를 상기 시트형 부재에서 상기 방향 키의 외주부에 추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KR1020087029769A 2006-06-06 2007-03-26 다방향 입력 장치 KR200900164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57912 2006-06-06
JP2006157912A JP4605474B2 (ja) 2006-06-06 2006-06-06 多方向入力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467A true KR20090016467A (ko) 2009-02-13

Family

ID=38801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9769A KR20090016467A (ko) 2006-06-06 2007-03-26 다방향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93341A1 (ko)
EP (1) EP2026166A4 (ko)
JP (1) JP4605474B2 (ko)
KR (1) KR20090016467A (ko)
CN (1) CN101460913A (ko)
WO (1) WO20071419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1040A (ja) * 2007-06-22 2010-09-16 スー キム、ヨン 電子製品用ボタン
US20090058802A1 (en) * 2007-08-27 2009-03-05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Input device
CN102132228B (zh) * 2008-09-03 2014-01-01 水岛昌德 输入装置
JP5321806B2 (ja) * 2009-01-13 2013-10-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の操作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192416A (ja) * 2010-03-12 2011-09-29 Omron Corp 入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11136046A1 (ja) * 2010-04-26 2011-11-0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
JP5776313B2 (ja) * 2011-04-28 2015-09-09 株式会社リコー 会議装置
JP6421329B2 (ja) * 2012-08-08 2018-11-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操作スイッチ
WO2014072869A1 (en) * 2012-11-06 2014-05-15 Koninklijke Philips N.V. Sensor for moving equipment
WO2015012463A1 (ko) * 2013-07-22 201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6204232B2 (ja) * 2014-03-11 2017-09-2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CN106328419B (zh) * 2016-11-04 2019-07-26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一种触摸式按键结构及手持终端、游戏手柄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3787A (en) * 1996-11-12 1998-07-21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switch assembly
AU2878999A (en) * 1998-02-25 1999-09-15 Daniel S. Kwoh Alphanumerical data input device using multiple input keys
US6586689B2 (en) * 2000-02-15 2003-07-0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Multi-direction switch
JP4429477B2 (ja) * 2000-05-17 2010-03-10 株式会社ワコー 力検出装置および操作量検出装置
JP3903731B2 (ja) * 2000-08-03 2007-04-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2107245A (ja) * 2000-09-29 2002-04-10 Nitta Ind Corp 力検出装置
JP3925067B2 (ja) * 2000-10-05 2007-06-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6809529B2 (en) * 2001-08-10 2004-10-26 Wacoh Corporation Force detector
JP4256685B2 (ja) * 2002-05-13 2009-04-22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多方向入力キーおよびキー入力装置
JP2004045173A (ja) * 2002-07-11 2004-02-12 Nitta Ind Corp 静電容量式センサ
JP4409201B2 (ja) * 2003-04-17 2010-02-03 京セラ株式会社 方向操作キー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端末装置
US20050140653A1 (en) 2003-12-04 2005-06-30 Velimir Pletikosa Character key incorporating navigation control
JP4152897B2 (ja) * 2004-01-05 2008-09-17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JP4495525B2 (ja) * 2004-06-01 2010-07-07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用のキーシート及び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4417789B2 (ja) * 2004-06-18 2010-02-17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JP4448020B2 (ja) * 2004-12-21 2010-04-07 サンアロー株式会社 方向検知スイッチ
JP4694392B2 (ja) * 2005-05-30 2011-06-08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用キーシート及び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US7432459B2 (en) * 2006-03-31 2008-10-07 Volkswagen Ag Seat control unit for adjusting a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configu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41950A1 (ja) 2007-12-13
CN101460913A (zh) 2009-06-17
EP2026166A1 (en) 2009-02-18
US20100193341A1 (en) 2010-08-05
JP2007328470A (ja) 2007-12-20
EP2026166A4 (en) 2010-03-17
JP4605474B2 (ja) 201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6467A (ko) 다방향 입력 장치
US7889176B2 (en) Capacitive sensing in displacement type pointing devices
US7312790B2 (en) Input apparatus for performing input operation corresponding to indication marks and coordinate input operation on the same operational plane
US7339577B2 (en) Input device capable of button input and coordinate input on the same operating surface
US6980199B2 (en) Information input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US7784366B2 (en) Single sided capacitive force sensor for electronic devices
CN101449230B (zh) 输入装置
CN110506317B (zh) 触摸面板用按钮结构、触摸面板用按钮以及电子设备
US20130100030A1 (en) Keypad apparatus having proximity and pressure sensing
EP2853990A1 (en) Display actuator
CN1914808A (zh) 具有力感测键的电子设备
EP1406158A2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JP5415970B2 (ja) スイッチ機構並びに入力装置
US20100045593A1 (en) Directional input device
WO2006067911A1 (ja) 方向検知スイッチ
JP2009295155A (ja) 入力装置
EP2584432A1 (en) Keypad apparatus having proximity and pressure sensing
US7936335B2 (en) Operation direction judging method for operation key in direction detecting switch
US7978173B2 (en) Pointing device including a moveable puck with mechanical detents
JP4049703B2 (ja) 入力装置
US20110043476A1 (en) Scrollbar and Touchpad with Tactile and/or Audible Feedback
KR20110105262A (ko) 다방향 입력장치
KR10109592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커서입력장치
KR100932357B1 (ko) 포인팅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상의 아이템선택 방법
KR20110103313A (ko) 입력 장치 및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