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4355A - 키패드 - Google Patents

키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4355A
KR20160034355A KR1020167004174A KR20167004174A KR20160034355A KR 20160034355 A KR20160034355 A KR 20160034355A KR 1020167004174 A KR1020167004174 A KR 1020167004174A KR 20167004174 A KR20167004174 A KR 20167004174A KR 20160034355 A KR20160034355 A KR 20160034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support
key
touch scree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쿠스 루이스
Original Assignee
마르쿠스 루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르쿠스 루이스 filed Critical 마르쿠스 루이스
Publication of KR20160034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27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input arrangement with other functional units of a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by connection of exchangeable hous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9Textured surface identifying touch areas, e.g. overlay structure for a virtual keybo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키패드(keypad)는 사용시에 장치(12)의 터치 스크린(14)의 일부를 덮지만 그로부터 이격된 지지체(16)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16)는 복수의 키(keys)(18)를 지탱하고, 각각의 키는 상기 지지체(16)에 대해 상승된 휴지 위치(raised, rest position)와 누름 위치(depresse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각각의 키를 그 휴지 위치 쪽으로 가압하기 위해 가압 수단이 제공되고, 각각의 키(18)는 상기 키가 그 누름 위치를 차지할 때 상기 터치 스크린(14)의 표면과 접촉하는 전도성 재료 패드(20)를 지탱한다.

Description

키패드{TACTILE KEYPAD FOR A DEVICE HAVING A TOUCH SENSITIVE DISPLAY}
본 발명은 키패드, 특히 소정의 휴대전화 장치, 태블릿 컴퓨터 장치 등과 같은 터치 스크린을 갖는 장치에 이용되는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부 경우에, 종래의 키보드 또는 키패드 대신에 혹은 그와 더불어,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소위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장치 등의 휴대전화 장치가 더욱 더 보편화되고 있다. 다수의 경우에, 이메일 또는 sms 메시지를 타이핑할 때 또는 휴대전화 장치 또는 태블릿 컴퓨터 장치 상에 제공될 수 있는 다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때와 같이 텍스트가 들어가는 모드에서 사용자가 장치를 작업하고 있을 때에는, 스크린이 키보드 또는 키패드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적절한 스타일러스(stylus)를 이용하여 스크린의 관련 키-이미지 부분 또는 영역을 연속적으로 터치함으로써 요구되는 텍스트를 도입하는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구성이 만족스럽게 작동하지만, 일부 사용자는 그 부분에서 불편함을 알게 되는데, 그 이유는 디스플레이되지만 각각의 키와 관련된 스크린의 키-이미지 부분 또는 영역을 사용자가 느낄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모든 사용자가 스크린의 관련 영역을 터치하는 것이 요구됨에 따라, 관련 영역을 터치한 바를 장치에 기록했는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확인할 촉각적인 피드백이 없다.
이를 완화하기 위한 시도로서, 휴대전화 또는 태블릿 장치 내에 플러그하거나 또는 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이용하여 휴대전화 또는 태블릿 장치와 통신하는 보조 키패드를 제공하는 것이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복잡하여 비교적 경비가 들고, 사용하기에 특히 이동하기에 종종 번거롭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하고 편리한 형태를 가지며 이와 같은 적용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키패드로서, 전술한 단점 중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거나 또는 극복하는 키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시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의 일부를 덮지만 그로부터 이격된 지지체를 포함하는 키패드(keypad)로서, 상기 지지체는 복수의 키(keys)를 지탱하고, 각각의 키는 상기 지지체에 대해 상승된 휴지 위치(raised, rest position)와 누름 위치(depresse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각각의 키를 그 휴지 위치 쪽으로 가압하기 위해 가압 수단(biasing means)이 제공되고, 각각의 키는 상기 키가 그 누름 위치를 차지할 때 상기 터치 스크린의 표면과 접촉하는 전도성 재료 패드를 지탱하는(carrying), 키패드가 제공된다.
상기 키는 별개의 완전체일 수 있거나, 또는 변형적으로 가요성 키패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 상에 상기 키를 적절하게 배열하고, 각각의 키의 누름에 의해 상기 패드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제공된 키패드 디스플레이의 대응하는 키-이미지 부분 또는 섹션과 접촉하도록 상기 패드를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상기 키패드는 텍스트 등을 도입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키는 작업자에게 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키가 눌러져 있을 때에 피드백을 제공하고, 또한 사용자가 손가락끝으로 느낄 수 있는 명확히 식별되는 키 영역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은 타이핑 정확도에 대한 양호한 레벨을 성취하는데 사용자를 조력할 것으로 고려된다.
편리하게, 상기 지지체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일부를 덮는 사용 위치(in use position)와 상기 터치 스크린을 방해하지 않아 상기 터치 스크린의 실질적인 전체 영역을 보게 하는 수용 위치(stowed position) 사이에서 상기 장치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다수의 방식, 예컨대 상기 장치를 슬라이딩하거나 또는 상기 장치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이들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지지체는 상기 사용 위치와 상기 수용 위치 사이에서 피봇될 수 있도록 상기 장치에 대해 피봇식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리하게, 상기 지지체는 상기 수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장치 뒤에 위치된다.
편리하게, 상기 지지체의 피봇식 장착은 이중 힌지(double hinge)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체는 상기 장치에 영구적으로 부착, 예컨대 상기 장치의 하우징의 일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변형적으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장치의 하우징에 고정가능한 제거가능한 케이스에 피봇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 위치와 상기 수용 위치를 차지할 때의 운동에 대해 상기 지지체를 보유하는 리테이너 구성체가 제공된다. 예로서, 상기 리테이너 구성체는 자기 형태(magnetic form)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패드는 상기 키가 상기 휴지 위치를 차지할 때 상기 지지체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가 상기 수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패드는 상기 지지체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패드에 대한 손상 위험 또는 상기 패드에 대해 걸려 발생되는 다른 아이템에 대한 손상 위험이 감소된다.
일부 장치에서는, 상기 키패드 키-이미지 부분 또는 영역의 일부가 활성화될 때 나타낼 때 상이한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예로서, 캡스 록 키(caps lock key)로서 기능하는 영역, 또는 텍스트 엔트리 모드(text entry mode)와 수치 또는 심볼 엔트리 모드(numeric or symbol entry mode) 사이에서 상기 키패드를 스위칭하도록 작동가능한 영역이 활성화될 때 상이한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편리하게, 상기 키패드의 대응하는 키는 투명 또는 반투명 형태를 가짐으로써, 특정한 기능이 활성화됨을 지시하도록 디스플레이된 키-이미지의 색상차가 사용자에 의해 보일 수 있다. 상기 키의 하측부는 이와 같은 효과의 마련을 조력하고 증폭시키도록 광 파이프와 유사하게 기능하는 광 전달 멤브레인층을 구비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키에 의해 지탱되는 상기 층과 상기 터치 스크린 사이에 접촉이 이루어질 때 상기 키가 발광되었음을 사용자에게 느끼게 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로서 기술할 것이다.
도 1-6은 휴대전화 장치에 이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종 위치에서의 키패드에 대한 일련의 사시도,
도 7은 각종 작동 모드 하에서의 키패드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10)가 도시된다. 키패드(10)는 터치 스크린(14)을 갖는 타입의 관련된 휴대전화 장치(12)와 함께 도시된다. 휴대전화 장치(12)와 함께 도시되지만, 본 발명은 그 사용에 구속되지 않고,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다른 장치, 예컨대 태블릿 컴퓨터 장치 등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휴대전화 장치(12)의 일 형태가 도시되지만, 본 발명은 휴대전화 장치의 다른 형태 또는 디자인과 함께 이용되기에 적합하다.
키패드(10)는 일련의 개구를 형성하도록 성형된 플라스틱 재료 패널의 형태인 지지체(16)를 포함한다. 각각의 개구 내에는 해당하는 키(18)가 위치된다. 키(18) 각각은 지지체(16)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휴지, 연장된 위치와 누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각각의 키(18)는, 예컨대 해당하는 스프링 또는 다른 가압 수단(미도시)의 사용에 의해 해당하는 휴지 위치 쪽으로 가압된다.
도시한 구성에서 별개의 키(18)가 제공되지만, 공통의 가요성 키보드의 영역에 의해 키(18)가 형성되는 구성이 가능하다.
각각의 키(18)의 하측부에는 전기 전도성 재료의 패드(20)가 구비된다. 예로서, 각각의 키(18)는 돌출부를 구비하도록 성형 또는 형상화될 수 있으며, 그 단부면은 전도성 페인트 등의 하나 이상의 층을 구비하여, 해당하는 패드(20)를 형성한다. 전도성 페인트는 산화은 페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인트를 위한 돌출부를 제공하고, 터치 스크린(14)에 대한 손상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셸락(shellac) 또는 마이크로-분사된 수지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변형적으로, 패드(20)는 정전용량형 폴리머 형태일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지지체(16)는 장치(12)에 임의의 편리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케이스(22)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피봇식 연결은 이중 힌지 형태를 취하며, 케이스(22)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또한 지지체(16)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힌지 플레이트(24)를 포함한다. 각각의 피봇식 연결은 지지체(16)가 장치(12)의 터치 스크린(12)의 일부를 덮는 사용 위치(예컨대, 도 1에 도시함)와, 지지체(16)가 장치(12)의 후방을 덮는 수용 위치(예컨대, 도 3에 도시함) 사이에서 지지체(16)의 운동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큰 각도를 통해 피봇할 수 있다. 편리하게, 지지체(16)를 수용 위치와 사용 위치에 보유하도록 리테이너 구성체(미도시)가 제공된다. 예로서, 지지체(16)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자기 인력에 의해 소정 위치에 보유되고, 마찬가지로 지지체(16)가 수용 위치를 차지할 때, 자기 인력에 의해 그 위치에 보유되도록 지지체(16) 및/또는 케이스(22)의 적절한 부분에 작은 자석이 부착 또는 매입될 수 있다. 물론, 자석의 사용은 지지체(16)가 운동에 대해 보유될 수 있는 다수의 방식 중 하나만을 나타낸다.
도시한 구성에서, 지지체(16)는 사용 위치에서 장치(12) 상에 제공된 액추에이터가 여전히 가능하도록 절결부(16a)를 구비한다.
지지체(16)와 케이스(22)에 대한 설계는 지지체(16)가 사용 위치를 차지할 때, 터치 스크린(14)의 일부를 덮지만, 터치하지는 않는다. 지지체(16)는 터치 스크린(14)으로부터 약간 이격되게 유지하여, 터치 스크린(14)과의 우연한 터치가 회피됨으로써 터치 스크린(14)의 부분과의 우연한 접촉과, 장치(12)에서의 우연한 텍스트 도입을 회피한다. 지지체(16)가 터치 스크린(14)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보유될 뿐만 아니라, 지지체(16)가 터치 스크린(14)과 접촉하기에 충분히 멀게 벗어나지 않도록 지지체(16)는 사용시에 키에 인가되는 부하의 적용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다. 지지체(16)와 터치 스크린(14) 사이의 접촉이 회피되도록 보장하는데 조력하기 위해, 지지체(16)는 약간 만곡된 볼록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 휴지 위치에 있을 때, 키(18)는 패드(20)가 지지체(16)로부터 상당히 돌출하지 않는 위치를 취한다. 이에 따라, 지지체가 수용 위치에 있을 때 패드(20)에 대한 손상 위험 또는 장치(12)에 인접한 다른 아이템을 걸리게 하는 패드의 위험이 최소화된다.
사용시에,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하기를 원할 때, 키패드(10)는 터치 스크린(14)의 일부를 덮는 사용 위치로 이동된다. 키패드(10)가 배치되는 터치 스크린(14)의 부분은 키보드의 이미지(26)가 디스플레이되는 터치 스크린(14)의 부분이다. 이미지(26)는 일련의 키-이미지 부분을 형성하며, 그 각각의 터치는 디스플레이된 문자를 도입한다. 사용자는 키패드(10)의 키(18) 중 적절한 하나를 연속적으로 누름으로써 요구된 텍스트를 도입한다. 키(18) 중 하나가 눌러질 때, 키(18)의 패드(20)와 그와 관련된 돌출부의 전도성 단부는 터치 스크린(14)을 터치하는 위치로 이동될 것이다. 키(18)와 관련된 돌출부와 패드(20)의 위치는 디스플레이된 키패드 이미지(26)의 대응하는 키-이미지 부분과 접촉하도록 이동한다. 패드(20)와 돌출부의 단부가 터치 스크린과 결합하는 것은 관련된 키-이미지 부분 상에 디스플레이된 관련 문자의 입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장치(12)에 의해 감지되어 장치(12)를 트리거하는 터치 스크린(14)의 국부 변경 전기용량 또는 저항을 초래한다. 패드(20)와 터치 스크린(14)의 결합이 감지되는 방식은 본 발명에 관한 것이 아니므로, 본원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소정의 적용에서, 각각의 패드(20)는 패드(20)와 터치 스크린(14)의 결합이 감지되고, 패드(20)의 설계 및 레이아웃이 고려되도록 사전결정된 최소 영역보다 큰 영역을 가져야 한다.
키(18)의 레이아웃은 디스플레이된 키패드 이미지(26)의 대응하는 키-이미지 부분의 위치와 정확하게 상응하지 않고, 그에 따라, 각각의 키(18)와 관련된 돌출부 및 패드(20)의 위치는 각각의 키(18)의 누름이 정확한 대응하는 문자의 입력을 발생하게 보장하도록 주의 깊게 설계되어야 한다.
키패드 이미지(26)의 사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된 키패드 이미지의 키-이미지 부분 중 특정한 것이 엔트리 모드들 사이에서 스위칭하는데 이용되는 것이 통상적이며, 키패드 이미지 변경은 엔트리 모드가 선택되는 것에 따라 다르다. 예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12)는 디스플레이된 키패드(30)의 키-이미지 부분이 QWERTY 레이아웃 키패드의 키에 대한 외관을 실질적으로 취하는 텍스트 엔트리 모드, 디스플레이된 키패드(32)의 키-이미지 부분이 넘버 키의 형태를 취하는 수치 엔트리 모드, 및 디스플레이된 키패드(34)가 심볼의 범위를 디스플레이하는 심볼 엔트리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될 수 있다. 편리하게, 키(18) 중 대응하는 하나는 이들 엔트리 모드들 사이에서의 스위칭을 트리거하는데 이용되고, 키(18) 중 적절한 하나는 각각의 해당하는 엔트리 모드에서 문자가 입력되어야 함을 명확하게 지시하는 추가적인 마킹을 편리하게 구비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키패드의 키-이미지 부분에 대한 사이즈, 위치 및 레이아웃은 엔트리 모드들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고, 사용시에 각각의 키(18)의 누름이 소정의 문자의 도입을 발생시키는 것을 보장하도록 돌출부와 패드(20)의 위치 및 각각의 키(18)를 설계하는데 추가적인 주의가 취해져야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텍스트 엔트리 모트에 있을 때 각 열의 키-이미지 부분은 인접한 열에 대해 스태거(stagger)된다. 다른 작동 모드에서, 열 중 일부는 칼럼을 형성하도록 서로 정렬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엔트리 모드를 수용하기 위해, 패드(20)의 위치(그 위치는 도 7에 도시함)는 모든 각종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의 소정의 부분을 덮도록 주의 깊게 선택되어야 한다. 예로서, 텍스트 엔트리 모드에서 문자 "a"를 도입하는데 이용되는 키(18)의 패드(20)는 "a" 키-이미지 부분의 왼손 가장자리만을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심볼 모드(symbol mode)에서 작동할 때 "_" 키-이미지 부분을 터치하고, 수치 입력 모드(numeric input mode)에서 작동할 때 "-" 키-이미지 부분을 접촉할 수 있다. 이들 모드에서 작동할 때, 패드(20)는 키-이미지 영역의 오른손 측부만을 터치한다.
레이아웃 등에 따라서, 패드(20)의 좌측-우측 위치와, 키(18) 상의 수직방향 위치 양자를 주의 깊게 제어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작동 모드 중 일부에서, 키 중 소정의 것은 여분(redundant)일 수 있다.
각각의 패드(20)가 대략 1.5-2mm 직경을 가지는 것으로 예상된다.
종종 다수의 키(18)가 디스플레이된 키패드의 복수의 키-이미지 부분을 덮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이는 설계 자유도를 제공하는 것이 고려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키-이미지 부분 중 소정의 것은 엔트리 모드들 사이에서 스위칭하는데 이용된다. 일부 장치(12)에서, 해당하는 키-이미지 부분의 색상은 관련된 키-이미지 부분이 선택됨을 시각적인 지시로 제공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예로서, 시프트 키-이미지 부분이 하측과 상측 케이스 텍스트 엔트리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선택되어 있다면, 관련된 키-이미지 부분은 이를 강조하도록 상이한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편리하게, 이러한 키-이미지 부분과 관련된 적어도 키(18)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일 수 있으므로, 관련된 엔트리 모드가 선택되었음을 사용자가 볼 수 있게 한다.
광 투과성 멤브레인 재료층은 각 키의 하측부 또는 키 중 적어도 일부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멤브레인은 키에 의해 지탱되는 멤브레인과 터치 스크린 사이에 접촉이 발생할 때, 키가 발광하는 것으로 보이도록 광 파이프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키가 작동되었음을 나타내는 포지티브 피드백(positive feedback)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장치(12)의 상이한 설계가 상이한 키패드 이미지 레이아웃을 활용하며, 따라서, 적절히 위치된 키, 그에 적절히 위치된 패드를 가진 키패드(10)의 다른 설계가 장치(12)의 상이한 설계로 동작하게 요구되는 것도 가능하다.
별개의 구성으로 설명되었으나, 키(18)는 소망한다면 키(18)의 부분에 대한 굴곡의 결과로서 지지체(16)와 일체로 형성되지만, 지지체(16)에 대해 이동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는 장치(12)에 부착하기 위해 케이스(22)에 피봇식으로 연결하는 키패드(10)의 형태여서 일반적으로 기존의 장치(12)에 새로 장착될 것이지만, 본 발명은 장치의 일부로서 제공되거나 새로 장착을 위한 추가적인 구성을 제공하여 장치의 하우징에 영구적으로 피봇식 연결되게 설계된 키패드에도 활용가능하다. 지지체(16)의 피봇식 연결이 본원에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는 달리 지지체(16)가 사용 위치와 수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케이스(22)는 몇 가지의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를 위한 보호 케이스로서 기능함으로써, 손상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보조 배터리를 수용하여, 장치의 전체 배터리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장치가 배터리 충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케이스(22)와 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제공된다.
케이스(22)가 보조 배터리를 구비하는 경우, 예를 들어 키패드에 하나 이상의 LED를 내장함으로써, 예를 들어 복수의 키 또는 특정 키를 누르면, 키 중 눌린 키가 발광할 수도 있다. 광 투과성 멤브레인이 있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LED로부터의 빛이 키 중 눌려진 키와 관련된 멤브레인의 일부에 들어가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LED의 사용에 의해 발광이 얻어진다. 케이스(22) 내에 제공된 배터리가 이러한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이다. 그러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의된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수의 변형 혹은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17)

  1. 사용시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의 일부를 덮지만 그로부터 이격된 지지체를 포함하는 키패드(keypad)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복수의 키(keys)를 지탱하고, 각각의 키는 상기 지지체에 대해 상승된 휴지 위치(raised, rest position)와 누름 위치(depresse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각각의 키를 그 휴지 위치 쪽으로 가압하기 위해 가압 수단(biasing means)이 제공되고, 각각의 키는 상기 키가 그 누름 위치를 차지할 때 상기 터치 스크린의 표면과 접촉하는 패드를 지탱하는(carrying),
    키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일부를 덮는 사용 위치(in use position)와 상기 터치 스크린을 방해하지 않아 상기 터치 스크린의 실질적인 전체 영역을 보게 하는 수용 위치(stowed position) 사이에서 상기 장치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키패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장치를 슬라이딩하거나 또는 상기 장치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상기 사용 위치와 상기 수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키패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사용 위치와 상기 수용 위치 사이에서 피봇될 수 있도록 상기 장치에 대해 피봇식으로 장착됨으로써 상기 사용 위치와 상기 수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키패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수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장치 뒤에 위치되는,
    키패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선회식 장착은 이중 힌지(double hinge)에 의해 이루어지는,
    키패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장치에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키패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장치의 하우징의 일부에 힌지 결합되는,
    키패드.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장치의 하우징에 고정가능한 제거가능한 케이스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키패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위치와 상기 수용 위치를 차지할 때의 운동에 대해 상기 지지체를 보유하는 리테이너 구성체를 더 포함하는,
    키패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구성체는 자기 형태(magnetic form)를 갖는,
    키패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기 키가 상기 휴지 위치를 차지할 때 상기 지지체 내에 위치되는,
    키패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의 적어도 하나는 투명 또는 반투명 형태를 갖는,
    키패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정전용량형 폴리머 형태를 갖는,
    키패드.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산화은 페인트층(layer of a silver oxide paint)을 구비하는,
    키패드.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하측부에 광 전달 멤브레인이 관련되는,
    키패드.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회로에 연결가능한 보조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키패드.
KR1020167004174A 2013-07-18 2014-07-17 키패드 KR201600343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312883.0A GB2516295A (en) 2013-07-18 2013-07-18 Keypad
GB1312883.0 2013-07-18
PCT/GB2014/052183 WO2015008072A1 (en) 2013-07-18 2014-07-17 Tactile keypad for a device having a touch sensitive displ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355A true KR20160034355A (ko) 2016-03-29

Family

ID=49118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174A KR20160034355A (ko) 2013-07-18 2014-07-17 키패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60173664A1 (ko)
EP (1) EP3022631A1 (ko)
JP (1) JP2016529604A (ko)
KR (1) KR20160034355A (ko)
CN (1) CN105531647A (ko)
CA (1) CA2918561A1 (ko)
GB (1) GB2516295A (ko)
MX (1) MX2016000693A (ko)
SG (1) SG11201600313PA (ko)
WO (1) WO20150080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525B1 (ko) * 2019-06-05 2020-08-07 김대준 조작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02794T3 (es) * 2015-04-17 2022-03-29 Cleveland Clinic Found Aparato y procedimiento relacionado para facilitar la realización de pruebas por medio de un dispositivo informático
US11016661B2 (en) * 2016-08-16 2021-05-25 Finetune Technologies Ltd.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hangeable icons on a plurality of display zones of a reverse keyboard assembly
WO2018035100A1 (en) 2016-08-16 2018-02-22 Finetune Technologies Ltd. Reverse keyboard assembly
JP6677416B2 (ja) * 2017-06-16 2020-04-08 株式会社光波 操作パネル及び表示装置用ケース
US10760728B1 (en) 2018-09-25 2020-09-01 Ramzi Khalil Maalouf Stand for a terminal system with adjustable screen orientation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8924A (en) * 1996-08-02 1998-10-06 Siemens Business Communication Systems, Inc. Combined keypad and protective cover
SE9803960L (sv) * 1998-11-19 2000-05-20 Ericsson Telefon Ab L M Mobiltelefon
CA2278832A1 (en) * 1999-01-06 2000-07-06 Vtech Communications, Ltd. Touch screen overlay apparatus
AU2002213017A1 (en) * 2000-10-10 2002-04-22 Motorola Inc., A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Data entry device
KR20080108839A (ko) * 2007-06-11 2008-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US20090002199A1 (en) * 2007-06-28 2009-01-01 Nokia Corporation Piezoelectric sensing as user input means
IL196485A0 (en) * 2009-01-13 2009-09-22 Igal Shusteri Tactile transparent keyboard
US20100238119A1 (en) * 2009-03-18 2010-09-23 Zivthan Dubrovsky Touchscreen Keyboard Overlay
US8558796B2 (en) * 2009-05-07 2013-10-15 Headwater Partners Ii Llc Overlay keyboard for touch screen devices
US9024908B2 (en) * 2009-06-30 2015-05-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actile feedback display screen overlay
DE102009029537A1 (de) * 2009-09-17 2011-03-31 Robert Bosch Gmbh Handwerkzeugmodul
US20110181514A1 (en) * 2009-12-14 2011-07-28 Hassan Aboulhosn Touch keypad for touch screen devices
US9041661B2 (en) * 2010-08-13 2015-05-26 Nokia Corporation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194528B1 (ko) * 2010-08-27 2012-10-25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용 키보드 패드
JP3169346U (ja) * 2011-05-13 2011-07-28 株式会社レーベン販売 キーパッド
US8206047B1 (en) * 2011-06-24 2012-06-26 TouchFire, Inc. Keyboard overlay for optimal touch typing on a proximity-based touch screen
JP2014530432A (ja) * 2011-09-26 2014-11-17 ナノ ネイルズ エルエルシーNano Nails,Llc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用指スタイラス
US20130203473A1 (en) * 2012-02-07 2013-08-08 Amarnath Kota Cellular Phone Case having a Keyboard Input
US8390255B1 (en) * 2012-05-25 2013-03-05 Incipio Technologies, Inc. Battery case for mobile device
US8988355B2 (en) * 2012-06-13 2015-03-24 Solomatrix, Inc. Keyboard appliance for touchscreen
US20150205370A1 (en) * 2014-01-18 2015-07-23 Charles Albert Morris Method for Providing Tactile Keys for Touch-Sensitive Keyboar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525B1 (ko) * 2019-06-05 2020-08-07 김대준 조작패드
WO2020246665A1 (ko) * 2019-06-05 2020-12-10 김대준 조작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31647A (zh) 2016-04-27
US20160173664A1 (en) 2016-06-16
EP3022631A1 (en) 2016-05-25
CA2918561A1 (en) 2015-01-22
JP2016529604A (ja) 2016-09-23
SG11201600313PA (en) 2016-02-26
WO2015008072A1 (en) 2015-01-22
GB201312883D0 (en) 2013-09-04
MX2016000693A (es) 2016-07-14
GB2516295A (en)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4355A (ko) 키패드
CA2473331C (en) Cover plate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push-through dial keypad
EP2367094B1 (en) Touch sensitive keypad with tactile feedback
TWI379215B (en) Keyboard module to prevent mistyping
US20090046065A1 (en) Sensor-keypad combination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and applications thereof
US8233942B2 (en) Mobile terminal
JP2008527620A (ja) シフト可能なキーパッドを有する携帯電話
US9614523B2 (en) Keypad with optical sensors
GB2364173A (en) Key assembly
JP2014052666A (ja) タッチパネル用入力補助装置
CN108346542B (zh) 一种键盘装置
JP5660611B2 (ja) 電子機器、文字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506624A (ja) データ入力パッド及びデータ入力パッドが組込まれた電子装置
CN103095873B (zh) 电子移动设备无缝按键/显示结构
CN102630134B (zh) 电子移动设备无缝按键/显示结构
JP5963468B2 (ja) 携帯型入力ディバイス
JP4215940B2 (ja) 自照式シート部材
EP2148495B1 (en) Electronic device
KR101119474B1 (ko) 키패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EP2784622B1 (en) A keypad with optical sensors
JP4566016B2 (ja) 小型電子機器
GB2455556A (en) A computer mouse having a key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