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46665A1 - 조작패드 - Google Patents

조작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46665A1
WO2020246665A1 PCT/KR2019/015022 KR2019015022W WO2020246665A1 WO 2020246665 A1 WO2020246665 A1 WO 2020246665A1 KR 2019015022 W KR2019015022 W KR 2019015022W WO 2020246665 A1 WO2020246665 A1 WO 202024666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utto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panel
pad
condu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502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대준
Original Assignee
김대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준 filed Critical 김대준
Publication of WO202024666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4666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ration pa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eration pad that is mounted on an electronic device and inputs a command to the electronic device by pressing a button.
  • the operation pad refers to a device that is mounted on an electronic device and inputs a command to the electronic device by pressing a button formed on the operation pad.
  • the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on its surface, which means that various functions are performed by a user touching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an electronic device may be a smartphone.
  • an operation screen on which a virtual electronic button is displayed and a display screen on which a result of the operation of the virtual electronic button is displayed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 the virtual electronic butt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s only displayed as a pattern of light on the touch screen, and the button does not actually protrude outside the surface of the smartphone. Therefore, in the case of touching the virtual electronic button, the user can only manipulate the electronic device only by touching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finger, and cannot actually operate the electronic device by pressing a physical button. There is a limit.
  • the operation pad can be said to have been introduced to overcome this limitation.
  • the operation pad is mounted on an operation screen of an electronic device and includes a physical button.
  • the button provided on the operation pad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electronic button, and a conductive material is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virtual electronic button. Therefore, the user presses the button of the electronic device so that the desired result is realized on the display screen.
  •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n operation pad capable of matching a button provided on the operation pad with a virtual electronic butto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when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There is a purpose.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panel installed on the su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a button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operation panel and co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on the rear surface, and a button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operation panel and mounting the operation panel to the electronic device.
  • the mounting member is provided one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peration panel when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viewed, and rubber pads are attached to each opposing surface so as to be mounted without shaking when wrapp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lectronic device,
  • the body portion is mount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 Each of the pair of mounting members is installed to be slidable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operation plate on a side surface of the operation plate, so that the distan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djusted when the main body is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 the body portion is form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operation panel, further includes a frame to which the moun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side, the frame, the operation plate of different types are installed to be selectively detachable, respectively.
  • the button includes a button body having a plurality of seating holes, a plurality of button members each seated in the plurality of seating hole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each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on a rear surface thereof, and the button body at the rear of the button body.
  • the button has a seating hole, a button body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seating hole, and is disposed to be spaced radially outward from the insertion protrusion, and is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body.
  • a button member comprising a seating cylinder, a button member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disposed to surround the button body, and disposed to contact the rear surface of the seating cylinder, and press the button member and the button bod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lectronic device. It includes an elastic member.
  • a main body including a button and an adjusting part having a button hol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are provided, and the adjusting part is first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before the main body is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n electronic device.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ad mounted on an operation screen of an electronic device in FIG. 1.
  • 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on pad shown in FIG. 1.
  •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operation pad shown in FIG. 1,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dth between a pair of mounting members is variable.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djustment unit is seat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before the operation panel is mounted in FIG. 2.
  • FIG.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operation panel mounted with the frame of FIG. 5.
  • FIG. 7 to 10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front view of an operation panel mounted on the frame of FIG. 5, and are views showing various forms of the operation panel.
  • 11 and 12 are diagram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button shown in FIG. 1.
  • FIG. 13 to 15 are views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button shown in FIG. 1.
  • the operation pad 100 is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10 to input commands to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the main body 110 and the adjustment unit 120 ).
  • the electronic device 10 has a surface designed as a touch screen type, and may correspond to a smartphone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operation pa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correspond to a game pad.
  • the electronic device 10 includes an operation screen 11 on which a virtual electronic button 11a is displayed, and a display screen 12 on which a result of the operation of the virtual electronic button 11a is displayed. ) Is formed.
  • the operation screen 11 and the display screen 12 can be said to appear on the electronic device 10 by a user's manipulation.
  • the main body 110 is installed on the operation screen 11 of the electronic device 10, the operation panel 111, the button 112, a pair of mounting members ( 113) and a frame 114.
  • the operation panel 111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 the operation panel 111 is smaller in size than the first operation panel 111a and the first operation panel 111a, and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operation panel 111a. It may include a second operation plate (111b) to be coupled.
  • the button 112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operation panel 111 and moves toward the electronic device 10 as it is pressed by a user.
  • the button 112 is co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on the rear surface.
  • the button 112 contacts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to transmit an input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10.
  • the button 112 refers to a physical button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 the virtual electronic button 11a is a pattern of light appearing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can be said to mean an on-screen button formed in a two-dimensional planar shape.
  • the pair of mounting members 113 are install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operation panel 111 when looking at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 the pair of mounting members 113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o surround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electronic device.
  • the main body 110 is mount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as shown in FIGS. Accordingly, the pair of mounting members 113 mounts the operation panel 111 and the button 112 on the electronic device 10.
  • the pair of mounting members 113 may have rubber pads 113a attached to each opposite surface to prevent slipping.
  • the main body 110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10 is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10 as shown in Fig. 2, the main body 1100 must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 To this end, the rubber It can be said that the pad 113a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mounting members 113.
  • the pair of mounting members 113 are installed to be slidable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operation plate 111 on the side surfaces of the operation plate 111, respectively. Accordingly, when the body portion 110 is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10, the pair of mounting members 113 has a width (interva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djusted to fit the width of the electronic device 10. Therefore, according to the operation pa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unt the electronic device 10 of various sizes.
  • the user attaches the operation pad 100 to the electronic device 10 in a state where the gap between the pair of mounting members 113 is widened, so that the operation pa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 ) Can be easily installed. After the operation pad 100 is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10, the user narrows the gap between the pair of mounting members 113, so that the rubber pad 113a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Be able to be.
  • the frame 114 is formed in a rectangular ring shape,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operation panel 111. And the frame 114, the pair of mounting members 113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side.
  • the operation panel 111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frame 114. More specifically, the operation panel 111 includes the first operation plate 111a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frame 114, and the second operation panel 111b being the frame shown in FIG. 114), and is seat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 the operation pad 100 when the arrangement of the virtual electronic buttons 11a on the electronic device 10 is changed, the operation pad 100 is not entirely replaced, but the operation Only the plate 111 can be removed from the frame 114 and replaced.
  • the operation pa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7 to 10, to mount the operation plates 115 to 118 on which buttons 115a to 118a of various patterns are formed on the frame 114. I can. Therefore, according to the operation pa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venience of use is improved and product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 the button 112 when it is assumed that the adjustment unit 120 is interposed between the operation panel 111 and the electronic device 10, the button 112 is locat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button 112.
  • a buttonhole 12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lanar shape of is formed.
  • the planar shape of the button 112 may be said to be a shape when the button 112 is orthogonal projection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 the buttonhole 121 can be said to be formed in a female-ty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utton 121. Accordingly, when the adjustment unit 120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only the portion where the button hole 121 is formed is visible from the outside.
  • the adjustment unit 120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before the operation panel 111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adjustment unit 120 is seat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on the surface por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button hole 121, the virtual electronic button ( 11a) is formed.
  • the virtual electronic button 11a is formed to have the same planar shape as the button 112 as shown in FIG. 1.
  • the buttonhole 121 is formed in the adjustment unit 120 when the adjustment unit 120 is disposed between the operation panel 111 and the electronic device 10 as a reference, so the adjustment unit ( When the operation panel 111 is mounted on the frame 114 after the virtual electronic button 11a is formed on the operation screen 11 by 120), the button 112 on the frame 114 And virtual electronic buttons 11a on the operation screen 11 are form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Therefore, according to the operation pa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112 and the virtual electronic button 11a can be accurately matched with each other, and the command input by the operation pa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t can be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
  • the adjustment unit 120 when nothing is mounted on the operation screen 11, the adjustment unit 120 is seated on the operation screen 11 and the virtual electronic button 11a ) Is formed on the operation screen 11, and then the main body 110 is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10.
  • the main body 110 after the virtual electronic button 11a is formed on the electronic device 10 by the adjusting part 120, the adjusting part 120 is remo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
  • it may be mounted as the electronic device 10, or may be mounted above the adjusting part 120 while the adjusting part 120 is seat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
  • the pair of mounting members 113 and the frame 114 are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10 while moving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the adjustment unit ( After 120 is inserted into the frame 114, the adjustment unit 120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to form the virtual electronic button 11a on the operation screen 11, and the This is a method in which the operation panel 111 is mounted on the frame 114.
  • the operation panel 111 is, after the virtual electronic button 11a is formed on the electronic device 10 by the adjusting part 120, the adjusting part 120 is remo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
  • it may be mounted as the frame 114, or may be mounted as the frame 114 in a state in which the adjustment unit 120 is seat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
  • the button 121a may include a button body 1211a, a plurality of button members 1213a, a plurality of transmission members 1215a, and an elastic member 1216a.
  • the button body 1211a is formed in a cross shape, and a seating hole 1212a is formed in each cross portion.
  • the plurality of button members 1213a ar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are respectively seated in the seating holes 1212a.
  • the plurality of button members 1213a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insertion holes 1214a on the rear surface thereof.
  •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members 1215a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214a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utton body 1211a.
  •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members 1215a are each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 the elastic member 1216a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utton body 1211a, and presses the button body 1211a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
  • the button member 1213a When the practitioner presses the button member 1213a, as the button body 1211a and the transmission member 1215a are pressed toward the electronic device 10, the rear surface of the transmission member 1215a becomes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Comes in contact with. Since the button member 1213a and the transmission member 1215a ar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current flows through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to input the button operation of the implementer into the electronic device 10. Thereafter, when the operator releases his or her hand from the button member 1213a, the transfer member 1215a is pressed by the elastic member 1216a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 Is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Accordingly, the button operation of the implementer is no longer input to the electronic device 10.
  • the button 121b may include a button body 1211b, a button member 1213b, and an elastic member 1216b.
  • the button body 1211b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a seating hole 1212b is formed.
  • the button member 1213b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includes an insertion protrusion 1214b and a seating cylinder 1215b.
  • the seating cylinder 1215b is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tton body 1211b.
  • the insertion protrusion 1214b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radially inward of the mounting cylinder 1215b, and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1212b.
  • the elastic member 1216b is disposed to surround the button body 1213b, and is disposed to contact the rear surface of the seating cylinder 1215b. Further, the elastic member 1216b presses the button member 1213b and the button body 1211b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
  • the button member 1213b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button member 1213b, the back surface of the button body 1211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as the button body 1211b is pressed toward the electronic device 10. Since the button body 1211b and the button member 1213b ar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current flows through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to input the button operation of the implementer into the electronic device 10. Thereafter, when the practitioner releases his or her hand from the button member 1213b, the button member 1213b is press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 by the elastic member 1216b. ) And the button body 1211b are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Accordingly, the button operation of the implementer is no longer input to the electronic device 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표면에 설치되는 조작판과, 상기 조작판의 표면에 설치되며 배면에 전도성 소재가 도포된 버튼과, 상기 조작판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조작판을 전자기기에 장착시키는 장착부재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조작판과 전자기기의 사이에 개재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상기 버튼과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버튼의 평면 형상과 대응되는 버튼홀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판이 전자기기의 표면에 설치되기 전, 전자기기의 표면에 안착되는 조정부를 포함하는 조작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패드에 의하면, 버튼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버튼과 대응되는 버튼홀이 형성된 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가 전자기기에 장착되기 전 상기 조정부를 전자기기의 표면에 먼저 안착시켜 상기 버튼홀이 배치된 전자기기의 표면 부위에 가상의 전자버튼을 형성한 후 상기 본체부를 장작시킴으로써, 상기 버튼과 상기 가상의 전자버튼을 서로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조작패드
본 발명은 조작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에 장착되며 버튼을 눌러 전자기기에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작패드란,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조작패드에 형성된 버튼을 눌러 전자기기에 명령을 입력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전자기기는 표면에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전자기기의 표면을 터치하는 방식을 통하여, 각종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자기기의 대표적인 예로는 스마트폰이 해당될 수 있다.
통상, 전자기기의 표면에는, 가상의 전자버튼이 표시되는 조작화면과, 가상의 전자버튼의 조작에 의한 결과물이 표시되는 표시화면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조작화면에 표시된 가상의 전자버튼을 터치하여, 표시화면 상에 나타나는 여러 기능들을 조절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게임을 하고자 하는 경우, 표시화면에는 조작의 대상이 되는 캐릭터가 표시되며, 조작화면에는 이러한 캐릭터를 움직이는 이동버튼이나, 캐릭터의 스킬을 발동시키기 위한 스킬버튼 등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화면에 표시된 가상의 전자버튼들을 터치하여, 조작화면의 캐릭터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가상의 전자버튼은, 터치스크린에 빛의 무늬로 표시된 것일 뿐, 실제로 버튼이 스마트폰의 표면 외측으로 돌출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가상의 전자버튼을 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자기기의 표면에 손가락을 접촉시키는 정도만으로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있을 뿐, 실제로 물리적인 버튼을 가압하여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조작패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조작패드는, 전자기기의 조작화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물리적인 버튼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패드에 구비된 버튼은, 상기 가상의 전자버튼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가상의 전자버튼과의 대향면에 전도성 소재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기기의 버튼을 가압함으로써, 목적했던 결과가 표시화면 상에서 구현되도록 한다.
한편, 조작패드를 전자기기에 장착하는 데 있어서, 조작패드에 구비된 버튼과 전자기기의 표면에 형성되는 가상의 전자버튼을 일치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그래야 조작패드를 이용하여 전자기기에 명령을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종래의 조작패드에 의하면, 조작화면 상에 가상의 전자버튼이 조작패드의 버튼과는 무관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조작패드가 전자기기에 장착될 시에 조작패드에 구비된 버튼과 전자기기의 표면에 형성되는 가상의 전자버튼을 서로 일치시키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전자기기에 장착될 시에 조작패드에 구비된 버튼을 전자기기의 표면에 형성된 가상의 전자버튼과 일치시킬 수 있는 조작패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표면에 설치되는 조작판과, 상기 조작판의 표면에 설치되며 배면에 전도성 소재가 도포된 버튼과, 상기 조작판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조작판을 전자기기에 장착시키는 장착부재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조작판과 전자기기의 사이에 개재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상기 버튼과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버튼의 평면 형상과 대응되는 버튼홀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판이 전자기기의 표면에 설치되기 전, 전자기기의 표면에 안착되는 조정부를 포함하는 조작패드를 제공한다.
상기 장착부재는, 전자기기의 표면을 보았을 때의 상기 조작판의 좌우 측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며, 각각의 대향면에는 전자기기의 좌우 측면을 감쌀 때 흔들림 없이 장착되도록 하기 위한 고무패드가 부착되고, 상기 본체부는, 전자기기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장착된다.
상기 한 쌍의 장착부재는, 각각 상기 조작판의 측면에 상기 조작판의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가 전자기기에 장착될 시에 좌우 방향의 간격이 조절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조작판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측면에 상기 장착부재가 결합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서로 다른 종류의 상기 조작판이 각각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버튼은, 복수개의 안착홀이 형성된 버튼본체와, 상기 복수개의 안착홀에 각각 안착되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고, 배면에 삽입홀이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버튼부재와,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에서 상기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는 전달부재와,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버튼본체를 전자기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은, 안착홀이 형성되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는 버튼본체와, 상기 안착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삽입돌기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버튼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안착실린더를 포함하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는 버튼부재와, 상기 버튼본체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안착실린더의 배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버튼부재 및 버튼본체를 전자기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패드에 의하면, 버튼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버튼과 대응되는 버튼홀이 형성된 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가 전자기기에 장착되기 전 상기 조정부를 전자기기의 표면에 먼저 안착시켜 상기 버튼홀이 배치된 전자기기의 표면 부위에 가상의 전자버튼을 형성한 후 상기 본체부를 장작시킴으로써, 상기 버튼과 상기 가상의 전자버튼을 서로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패드가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조작패드가 전자기기의 조작화면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조작패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조작패드의 정면도로서, 한 쌍의 장착부재 사이의 폭이 가변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서 조작판이 장착되기 전, 조정부가 전자기기의 표면에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프레임으로 장착되는 조작판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5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조작판의 정면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조작판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에 나타난 버튼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에 나타낸 버튼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작패드(100)는, 전자기기(10)에 장착되어 전자기기(10)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부(110), 조정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자기기(10)는, 표면이 터치스크린 타입으로 설계되는 것으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10) 상에서 구현되는 프로그램이 게임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작패드(100) 역시 게임용 패드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하나에 불과하며, 전자기기(10)의 종류 및 전자기기(10) 상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자기기(10)는, 그 표면에, 가상의 전자버튼(11a)이 표시되는 조작화면(11)과, 상기 가상의 전자버튼(11a)의 조작에 의한 결과물이 표시되는 표시화면(12)이 형성된다. 물론, 이러한 조작화면(11)과 표시화면(12)은, 전자기기(10) 상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나타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10)는, 전자기기(10)의 조작화면(1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조작판(111), 버튼(112), 한 쌍의 장착부재(113), 프레임(114)을 포함한다. 상기 조작판(111)은, 전자기기(10)의 표면에 설치된다. 이때,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조작판(111)은, 제1조작판(111a)과, 상기 제1조작판(111a)보다 크키가 작으며, 상기 제1조작판(111a)의 배면에 결합되는 제2조작판(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112)은, 상기 조작판(111)의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전자기기(1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버튼(112)은, 배면에 전도성 소재가 도포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112)은, 사용자에 의해 전자기기(10) 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전자기기(10)의 표면에 접촉되어 전자기기(10)로 입력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버튼(112)은, 3차원 입체 형상으로 형성된 물리적 버튼(Physical button)을 의미한다. 반면, 상기 가상의 전자버튼(11a)은, 전자기기(10)의 표면에 나타나는 빛의 무늬로서, 2차원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온-스크린 버튼(On-screen button)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장착부재(113)는, 전자기기(10)의 표면을 바라보았을 때의 상기 조작판(111)의 좌우 측면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장착부재(113)는, 전자기기의 좌우 측면을 감싸도록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부(1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장착부재(113)는, 상기 조작판(111) 및 상기 버튼(112)을 전자기기(10)에 장착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장착부재(113)는, 각 대향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고무패드(113a)가 부착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가 전자기기(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100는 전자기기(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무패드(113a)가 상기 한 쌍의 장착부재(113)의 내면에 부착된다고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장착부재(113)는, 각각 상기 조작판(111)의 측면에 상기 조작판(111)의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장착부재(113)는, 상기 본체부(110)가 전자기기(10)에 장착될 시에, 좌우 방향의 폭(간격)이 전자기기(10)의 폭에 맞게 조절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작패드(100)에 의하면, 다양한 사이즈의 전자기기(10)에 대해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이 외에도, 사용자는 상기 한 쌍의 장착부재(113) 사이의 간격을 벌린 상태에서 조작패드(100)를 전자기기(10)에 장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작패드(100)를 전자기기(10)에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조작패드(100)가 전자기기(10)에 장착된 이후에는, 사용자는 상기 한 쌍의 장착부재(113) 사이의 간격을 좁혀, 상기 고무패트(113a)가 전자기기(10)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14)은, 사각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조작판(111)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4)은, 측면에 상기 한 쌍의 장착부재(113)가 각각 결합된다. 이때, 상기 조작판(111)은, 상기 프레임(114)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조작판(111)은, 상기 제1조작판(111a)이 상기 프레임(114)의 표면에 안착되고, 상기 제2조작판(111b)이 도 5에 도시된 상기 프레임(114)의 사이로 삽입되어 전자기기(10)의 표면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조작패드(100)에 의하면, 전자기기(10) 상에서 상기 가상의 전자버튼(11a)의 배열이 변경되는 경우에 있어서, 조작패드(100)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조작판(111)만을 상기 프레임(114)으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조작패드(100)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다양한 패턴의 버튼(115a~118a)이 형성된 조작판(115~118)을 상기 프레임(114)에 장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작패드(100)에 의하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제품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조정부(120)는, 상기 조작판(111)과 전자기기(10)의 사이에 개재되었다고 가정했을 때, 상기 버튼(112)과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버튼(112)의 평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버튼홀(1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버튼(112)의 평면 형상은, 상기 버튼(112)이 전자기기(10)의 표면에 정사영(Orthogonal projection) 되었을 때의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버튼(121)이 수형(Male-type)으로 형성되는 것이라고 하면, 상기 버튼홀(121)은 상기 버튼(121)의 형상에 대응하여 암형(Female-type)으로 형성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정부(120)를 전자기기(10)의 표면에 안착시키는 경우, 전자기기(10)의 표면은 상기 버튼홀(121)이 형성된 부위만이 외부에서 보이게 된다.
상기 조정부(120)는, 상기 조작판(111)이 전자기기(10)의 표면에 설치되기 전에, 전자기기(10)의 표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조정부(120)가 전자기기(10)의 표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홀(121)에 의해 외부로 드러난 전자기기(10)의 표면 부위에, 상기 가상의 전자버튼(11a)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가상의 전자버튼(11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112)의 평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버튼홀(121)은, 상기 조정부(120)가 상기 조작판(111)과 전자기기(10)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상기 조정부(120)에 형성된 것이므로, 상기 조정부(120)에 의해 상기 조작화면(11) 상에 상기 가상의 전자버튼(11a)이 형성된 이후 상기 조작판(111)이 상기 프레임(114)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114) 상의 버튼(112)과 상기 조작화면(11) 상의 가상의 전자버튼(11a)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작패드(100)에 의하면, 상기 버튼(112)과 상기 가상의 전자버튼(11a)을 서로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조작패드(100)에 의해 입력된 명령이 전자기기(10)로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작패드(100)를 전자기기(10)에 장착시키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 번째로는,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조작화면(11) 상에 아무것도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조정부(120)가 조작화면(11) 상에 안착되어 상기 가상의 전자버튼(11a)이 조작화면(11) 상에 형성된 후, 상기 본체부(110)가 전자기기(10)에 장착되는 방법이다. 이때,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조정부(120)에 의해 전자기기(10) 상에 상기 가상의 전자버튼(11a)이 형성된 이후, 상기 조정부(120)가 전자기기(10)로부터 제거된 다음에 전자기기(10)로 장착될 수도 있고, 아니면 전자기기(10)에 상기 조정부(12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정부(120)의 위로 장착될 수도 있다.
두 번째는,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장착부재(113)와 상기 프레임(114)이 전자기기(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전자기기(10)에 장착되고, 상기 조정부(120)가 상기 프레임(114)으로 삽입된 다음, 상기 조정부(120)가 전자기기(10)의 표면에 안착되어 상기 조작화면(11) 상에 상기 가상의 전자버튼(11a)이 형성된 후, 상기 조작판(111)이 상기 프레임(114)에 안착되는 방법이다. 이때, 상기 조작판(111)은, 상기 조정부(120)에 의해 전자기기(10) 상에 상기 가상의 전자버튼(11a)이 형성된 이후, 상기 조정부(120)가 전자기기(10)로부터 제거된 다음에 상기 프레임(114)으로 장착될 수도 있고, 아니면 전자기기(10)에 상기 조정부(12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14)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이하부터는,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작패드(100)에서 사용되는 상기 버튼(121)의 실시예(121a,121b)에 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버튼(121a)은, 버튼본체(1211a), 복수개의 버튼부재(1213a), 복수개의 전달부재(1215a) 및 탄성부재(1216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본체(1211a)는,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십자 부위에 안착홀(1212a)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버튼부재(1213a)는,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각각 상기 안착홀(1212a)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버튼부재(1213a)는, 각각 배면에 삽입홀(1214a)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전달부재(1215a)는, 상기 버튼본체(1211a)의 배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삽입홀(1214a)에 각각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전달부재(1215a)는, 각각 전도성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1216a)는, 상기 버튼본체(1211a)의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버튼본체(1211a)를 전자기기(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실시자가 상기 버튼부재(1213a)를 누르는 경우, 상기 버튼본체(1211a) 및 전달부재(1215a)가 전자기기(10) 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전달부재(1215a)의 배면이 전자기기(10)의 표면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버튼부재(1213a)와 전달부재(1215a)는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므로, 전자기기(10)의 표면으로 전류가 흘러 실시자의 버튼 동작이 전자기기(10)에 입력되게 된다. 그 후, 실시자가 상기 버튼부재(1213a)로부터 손을 떼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1216a)에 의해 상기 버튼본체(1211a)가 전자기기(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전달부재(1215a)는 전자기기(1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실시자의 버튼 동작은 전자기기(10)에 더 이상 입력되지 않게 된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버튼(121b)은, 버튼본체(1211b), 버튼부재(1213b) 및 탄성부재(121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본체(1211b)는,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며, 안착홀(1212b)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부재(1213b)는,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삽입돌기(1214b) 및 안착실린더(1215b)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실린더(1215b)는, 상기 버튼본체(1211b)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삽입돌기(1214b)는, 상기 안착실린더(1215b)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안착홀(1212b)에 삽입된다. 상기 탄성부재(1216b)는, 상기 버튼본체(1213b)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안착실린더(1215b)의 배면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216b)는, 상기 버튼부재(1213b) 및 버튼본체(1211b)를 전자기기(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실시자가 상기 버튼부재(1213b)를 누르는 경우, 상기 버튼본체(1211b)가 전자기기(10) 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버튼본체(1211b)의 배면이 전자기기(10)의 표면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버튼본체(1211b)와 버튼부재(1213b)는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므로, 전자기기(10)의 표면으로 전류가 흘러 실시자의 버튼 동작이 전자기기(10)에 입력되게 된다. 그 후, 실시자가 상기 버튼부재(1213b)로부터 손을 떼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1216b)에 의해 상기 버튼부재(1213b)가 전자기기(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버튼부재(1213b) 및 버튼본체(1211b)는 전자기기(1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실시자의 버튼 동작은 전자기기(10)에 더 이상 입력되지 않게 된다.

Claims (6)

  1. 전자기기의 표면에 설치되는 조작판과, 상기 조작판의 표면에 설치되며 배면에 전도성 소재가 도포된 버튼과, 상기 조작판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조작판을 전자기기에 장착시키는 장착부재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조작판과 전자기기의 사이에 개재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상기 버튼과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버튼의 평면 형상과 대응되는 버튼홀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판이 전자기기의 표면에 설치되기 전, 전자기기의 표면에 안착되는 조정부를 포함하는 조작패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전자기기의 표면을 보았을 때의 상기 조작판의 좌우 측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며, 각각의 대향면에는 전자기기의 좌우 측면을 감쌀 때 흔들림 없이 장착되도록 하기 위한 고무패드가 부착되고,
    상기 본체부는, 전자기기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장착되는 조작패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장착부재는, 각각 상기 조작판의 측면에 상기 조작판의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가 전자기기에 장착될 시에 좌우 방향의 간격이 조절되는 조작패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조작판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측면에 상기 장착부재가 결합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서로 다른 종류의 상기 조작판이 각각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패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복수개의 안착홀이 형성된 버튼본체와,
    상기 복수개의 안착홀에 각각 안착되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고, 배면에 삽입홀이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버튼부재와,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에서 상기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는 전달부재와,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버튼본체를 전자기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조작패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안착홀이 형성되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는 버튼본체와,
    상기 안착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삽입돌기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버튼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안착실린더를 포함하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는 버튼부재와,
    상기 버튼본체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안착실린더의 배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버튼부재 및 버튼본체를 전자기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조작패드.
PCT/KR2019/015022 2019-06-05 2019-11-07 조작패드 WO202024666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681A KR102142525B1 (ko) 2019-06-05 2019-06-05 조작패드
KR10-2019-0066681 2019-06-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46665A1 true WO2020246665A1 (ko) 2020-12-10

Family

ID=7204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5022 WO2020246665A1 (ko) 2019-06-05 2019-11-07 조작패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2525B1 (ko)
WO (1) WO20202466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994B1 (ko) * 2020-12-24 2023-04-25 (주)코텍 정전식 버튼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2487998B1 (ko) * 2021-11-01 2023-01-13 (주)코텍 정전식 버튼의 배경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711B1 (ko) * 2010-07-16 2011-02-22 정영훈 터치스크린용 버튼 어답터 키트
JP2012018478A (ja) * 2010-07-06 2012-01-26 Shin Etsu Polymer Co Ltd 外付けキーパッド
KR20120111197A (ko) * 2011-03-31 2012-10-10 양재일 터치스크린용 부착식 버튼
US20120326987A1 (en) * 2002-11-04 2012-12-27 Neonode, Inc. Light actuator for movable buttons on a keypad
KR20130003238U (ko) * 2011-11-23 2013-05-31 류미영 키 입력 오류를 줄일 수 있는 터치 스크린용 키 가이드
KR20160034355A (ko) * 2013-07-18 2016-03-29 마르쿠스 루이스 키패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26987A1 (en) * 2002-11-04 2012-12-27 Neonode, Inc. Light actuator for movable buttons on a keypad
JP2012018478A (ja) * 2010-07-06 2012-01-26 Shin Etsu Polymer Co Ltd 外付けキーパッド
KR101015711B1 (ko) * 2010-07-16 2011-02-22 정영훈 터치스크린용 버튼 어답터 키트
KR20120111197A (ko) * 2011-03-31 2012-10-10 양재일 터치스크린용 부착식 버튼
KR20130003238U (ko) * 2011-11-23 2013-05-31 류미영 키 입력 오류를 줄일 수 있는 터치 스크린용 키 가이드
KR20160034355A (ko) * 2013-07-18 2016-03-29 마르쿠스 루이스 키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525B1 (ko) 2020-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46665A1 (ko) 조작패드
CN202838259U (zh) 覆盖物及触摸式显示装置
WO2014077630A1 (ko) 터치패드 입력장치
KR20060127881A (ko) 손가락 제어 방식의 다방향 스위치
KR20120111197A (ko) 터치스크린용 부착식 버튼
WO2012005463A2 (ko) 터치스크린 조향 어답터
KR101211189B1 (ko) 스틱형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 스틱형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시스템 및 스틱형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방법
TW202121134A (zh) 觸控板裝置
KR101183476B1 (ko)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시스템 및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방법
KR20120094978A (ko)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신호 입력 시스템 및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신호 입력 방법
US9299517B2 (en) Operation keys having individual and cooperative functions
CN204155186U (zh) 一种便携设备
WO2010008152A2 (ko)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입력 방식의 모바일 장치 및 입력 방법
WO2021206337A1 (ko) 터치 가능한 모바일 기기 상의 게임 컨트롤러
CN101740250A (zh) 平面式按键结构
JP2012018448A (ja) 電子機器
WO2024084945A1 (ja) 入力デバイス及び操作ボタン
CN209056411U (zh) 一种用于车辆的琴键式开关及车辆
WO2016129883A1 (ko) 골무형 촉감 제시 장치
TWI673743B (zh) 機械式鍵盤結構改良
WO2024084946A1 (ja) 入力デバイス及び操作ボタン
WO2023075194A1 (ko) 카지노머신용 버튼장치
CN106329175A (zh) 一种连接器复合背板
TWM578465U (zh) Mechanical keyboard structure improvement
WO2015096045A1 (zh) 键盘用杠杆及机械杠杆式metal dome超薄键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3174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3174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