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08152A2 -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입력 방식의 모바일 장치 및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입력 방식의 모바일 장치 및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08152A2
WO2010008152A2 PCT/KR2009/003682 KR2009003682W WO2010008152A2 WO 2010008152 A2 WO2010008152 A2 WO 2010008152A2 KR 2009003682 W KR2009003682 W KR 2009003682W WO 2010008152 A2 WO2010008152 A2 WO 2010008152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put
keypad
mobile device
touch screen
inpu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368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008152A3 (ko
Inventor
김기완
Original Assignee
(주)휴브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브넷 filed Critical (주)휴브넷
Publication of WO2010008152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08152A2/ko
Publication of WO2010008152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08152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chnology of a hybrid input method having a front touch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by placing a rear keypad on a rear side of a mobile device and displaying a virtual inpu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rear keypad through a front touch scree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chnology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for selectively using a front touch screen and a rear keypad.
  • a touch screen input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s a method of replacing the entire front part with a touch screen instead of removing an input button disposed on the front part. Accordingly, the terminal user can input a telephone number or other command by touching a virtual butt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screen without pressing an existing input button.
  • the screen of the terminal can be widely used, and the volume occupied by the mechanical components can be reduced by removing the mechanical input button.
  •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can be simplifi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verall terminal shape can be made slim.
  • the touch screen input method since the input is made by directly touching the screen of the terminal, the screen of the terminal is covered every time the finger is touched. Also, when the finger and the screen are continuously contacted, fingerprints or other foreign matters may cause the screen to become dirty. There is this. In particular, when using a terminal with a game function, the user's key operation is frequently performed,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creen is often obstructed or the screen is dirt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chnology having an input means complementary to a touch screen using only a touch screen in a mobile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and having a complementary input means at a location convenient for a user to simultaneously input the touch screen.
  • a hybrid input type mobile device having a front touch screen, comprising: at least one rear keypad disposed at a rear side of the mobile device; A touch screen displaying a virtual input button corresponding to a rear keypad on a scree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match and process an input signal generated at any one of the input means of the rear keypad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input button or the virtual input button.
  • the rear keypad of the mobile device of the hybrid input method having a front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where each finger is located when the mobile device is gripped with both hands.
  • the rear keypad of the hybrid input type mobile device having the front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disposed on four sides of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ar portion.
  • the touch screen of a hybrid input type mobile device having a front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ar surface in an area on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ar keypad passing through the symmetrical surface with a symmetrical surfa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mobile device. It is preferable to display a virtual inpu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keypad.
  • control unit of the mobile device of the hybrid input method having a front touch screen activates both the rear keypad and the virtual input button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command input or alternatively activates one of the rear keypad and the virtual input button. It is preferable to set so that it is.
  • a hybrid input method of inputting a mobile device having a front touch screen is a method of inputting a mobile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input means at a front side and at least one rear keypad disposed at a rear side thereof.
  • Displaying a virtual input button corresponding to a rear keypad on a touch screen (B) checking in real time the occurrence of input to the rear keypad; (C) checking in real time the generation of a touch input for the virtual input button; (D) performing a preset processing command on the rear keypad input when an input to the rear keypad is generated; And (E) performing a processing command by matching a touch input to the virtual input button with a rear keypad input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input button.
  • step (A) is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ar keypad through a symmetrical plane betwee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mobile device. And displaying a virtual inpu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rear keypad in the upper region.
  • the hybrid input method of the mobile device input method having a front touch screen activates both the rear keypad and the virtual input button or by selecting one of the rear keypad and the virtual input button according to the user selection command.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setting to make.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three-dimensional key input method to compensate for this while maintaining the advantages of the touch screen input when using a mobile phone or various mobile devices of the touch screen input method, so that the rear keypad can be used using up to eight fingers. Compared to the method using the front touch screen using only two fingers, the input is more efficient.
  • the keypad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user's finger placement, it is particularly convenient for handling programs with many key operations, such as a game program, and the two types of input means that correspond to each other are positioned at symmetrical positions so that the user intuitively uses the keys. There is an effect of matching the operation and making it convenient to input.
  • FIG.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hybrid input type mobile device having a front touch scre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ar portion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hybrid input method of a mobile device input method having a front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hybrid input type mobile device having a front touch scre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 (A)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portion 110 of the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 (B) is a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the rear part 120 configuration.
  • the mobile device 100 includes a mobile phone, a PDA, a PMP, and other portable digital devices, each of which includes a touch screen 111 on the front surface 110.
  • One or more rear keypads 121 are disposed on the rear portion 120 of the mobile device 100. Unlike the touch screen method, the rear keypad 121 may make a user feel a click when the user presses the touch screen method.
  • the rear keypad 121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pad instead of the mechanical input method.
  • 1B shows an embodiment of a rear keypad consisting of eight keys.
  • the user may conveniently place the rear keypad 121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such that the remaining fingers other than the thumb may be positioned on the buttons.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the rear keypad to be pressed.
  • the front part 110 of the mobile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111 that simultaneously provides not only the function of information output means such as an image, but also the function of an input means by which a user can input a command.
  • the touch screen 111 displays a virtual input button 112 corresponding to the rear keypad 121 disposed on the rear panel 120 on the touch screen screen.
  • the virtual input button 112 corresponding thereto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 the virtual input button 112 is preferably displayed in a position symmetrical with the rear keypad 121.
  • a virtual inpu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rear keypad ' ⁇ ' is also displayed on the upper left of the touch screen screen.
  • the position at which the virtual input button is displayed does not have to be exactly the same as the symmetric position and size of the corresponding rear keypad and is sufficient to provide a convenience for the user to key in.
  • the controller of the mobile device 100 matches and processes the two input means. That is, the user may touch the virtual input button 112 corresponding thereto instead of pressing the rear keypad 121, or conversely, the user may press the rear keypad 121 instead of touching the virtual input button 112.
  • the rear keypad 121 and the virtual input button 112 may be processed to be exactly the sam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internal setting, or may be set to process similar but slightly differently.
  • the controller of the mobile device 100 may activate both the rear keypad 121 and the virtual input button 112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r select only one of the rear keypad 121 and the virtual input button 112. It can also be set to activate.
  • both the rear keypad 121 and the virtual input button 112 are activated, the user may arbitrarily press the rear keypad 121 or touch the virtual input button 112 while using the mobile device 100.
  • the virtual input button 112 may not be displayed on the screen at all, or the virtual input button 112 may be used as an input means. Not to serve to inform the user only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rear keypad 121. In this case, when the virtual input button 112 is displayed, the virtual keypad 112 may be blinked when the rear keypad 121 is pressed to notify the user that the rear keypad 121 is pressed.
  • the mobile device 100 is used only as a touch screen input method.
  • FIG. 2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A)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portion 110 of the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B) is a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the rear part 120 configuration.
  • the mobile device 100 is characterized by being u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order to use a game or other interactive application, it is necessary to use the mobile device 100 as a joystick, and in this case, it is more convenient to use the mobile device 100 in a horizontal direction.
  • the rear keypad 122 of the rear part 120 is disposed on both sides when the mobile device 100 is plac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user may more conveniently input the mobile device 100.
  • the virtual input button 113 displayed through the touch screen 111 screen of the front part 110 is also displayed on both sides of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111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rear keypad 122.
  • the user can operate the rear keypad 122 or the virtual input button 113 by holding the mobile device 100 with both ha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using the rear keypad 122 when playing a game.
  • Three-dimensional key operation is possible, such as moving a character and giving an attack or jump command through the virtual input button 113.
  • the game play screen may be more widely utilized by activating only the rear keypad 122.
  •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ar portion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llustrates a rear keypa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top and bottom sides of the rear part 120 of the mobile device 100 so as to implement both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FIG. 1.
  • the user may use the rear keypad 121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FIG. 3 while using the mobile device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rear keypad 122 disposed on both sides.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hybrid input method of a mobile device input method having a front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virtual inpu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rear keypad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mobile device (ST10).
  • the input generation of the rear keypad is checked in real time, and the touch input generation of the virtual input button corresponding thereto is also checked in real time (ST20).
  • a preset processing command is performed on the rear keypad input (ST40).
  • the command is performed to input the ' ⁇ ' character, and the role of the key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currently running application program. For example, even if the ' ⁇ ' key may operate as an arrow key to move the character to the right in the currently running game program.
  • the virtual input button when a touch input to the virtual input button occurs (ST50), it matches the rear keypad input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input button to perform a processing command (ST60). That is, when the user touches the ' ⁇ ' key on the touch screen, the processor executes a processing command matching the ' ⁇ ' key on the rear keypad.
  • the matching processing instructions may be set internally exactly the same, but may be differently set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application program being run.
  • both the rear keypad and the virtual input button may be activated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command input, or alternatively, one of the rear keypad and the virtual input button may be activate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has been made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FIG. 1.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 터치스크린과 후면 키패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입력 방식의 모바일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입력방식의 휴대폰이나 각종 모바일 장치를 사용할 때 터치스크린 입력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이를 보완하는 입체적인 키입력 방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최대 8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후면 키패드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2개의 손가락만으로 전면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보다 효율적으로 입력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 배치에 맞게 키패드가 배치되므로 특히 게임 프로그램과 같이 키 조작이 많은 프로그램을 다루는 데에 편리하며, 서로 대응되는 두 종류의 입력수단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놓이므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키조작을 매칭시켜 입력하기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입력 방식의 모바일 장치 및 입력 방법
본 발명은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입력 방식의 모바일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장치의 뒷면에 후면 키패드를 배치하고 후면 키패드에 대응되는 가상 입력버튼을 전면부 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전면 터치스크린과 후면 키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터치스크린 입력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본격적으로 출시되는 추세이다. 터치스크린 입력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존의 전면부에 배치된 입력버튼을 제거하는 대신 전면부 전체를 터치스크린으로 대체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기존의 입력버튼을 누를 필요 없이 터치스크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의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기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터치스크린으로 대체함으로써 단말기의 화면을 넓게 활용할 수 있으며 기계적인 입력버튼을 제거함으로써 기계적인 구성요소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구조를 보다 간단히 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단말기 형태를 슬림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터치스크린 입력방식을 채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불편함도 있다. 예컨대, 단말기 화면에 직접 손가락을 접촉시켜 입력이 이루어지므로 손가락 접촉시마다 단말기 화면이 가려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손가락과 화면의 접촉이 계속 이루어질 시에 지문이나 기타 이물질이 묻어 화면이 지저분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게임 기능이 있는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키조작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므로 화면을 자주 가리게 되거나 화면이 많이 지저분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장치에서 터치스크린만을 사용한 입력방식을 보완하고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입력과 동시에 입력하기 편리한 위치에 보완적인 입력수단을 구비한 모바일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입력 방식의 모바일 장치는, 전면부에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력수단을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로서, 모바일 장치의 후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후면 키패드; 후면 키패드에 대응되는 가상 입력버튼을 화면에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가상 입력버튼 또는 가상 입력버튼에 대응되는 후면 키패드 중 어느 하나의 입력수단에 발생한 입력신호를 매칭하여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입력 방식의 모바일 장치의 후면 키패드는 모바일 장치를 양손으로 그립한 경우 각 손가락이 위치하는 후면 양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입력 방식의 모바일 장치의 후면 키패드는 후면부의 좌우 양측면과 상하 양측면의 4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입력 방식의 모바일 장치의 터치스크린은 모바일 장치의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를 대칭면으로 하여 대칭면을 통과하여 후면 키패드의 위치에 해당되는 화면상의 영역에 후면 키패드에 대응되는 가상 입력버튼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입력 방식의 모바일 장치의 제어부는 사용자 선택명령 입력에 따라 후면 키패드와 가상 입력버튼 모두 활성화시키거나 후면 키패드 및 가상 입력버튼 중 하나를 택일하여 활성화시키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입력 방식의 모바일 장치 입력 방법은, 전면부에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력 수단을 제공하고 후면부에 하나 이상의 후면 키패드가 배치된 모바일 장치의 입력 방법으로서, (A) 터치스크린 화면에 후면 키패드에 대응되는 가상 입력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B) 후면 키패드에 대한 입력발생을 실시간으로 체크하는 단계; (C) 가상 입력버튼에 대한 터치입력 발생을 실시간으로 체크하는 단계; (D) 후면 키패드에 대한 입력발생시 후면 키패드 입력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처리명령을 수행하는 단계; 및 (E) 가상 입력버튼에 대한 터치입력 발생시 이를 가상 입력버튼에 대응되는 후면 키패드 입력에 매칭하여 처리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입력 방식의 모바일 장치 입력 방법에서 (A) 단계는 모바일 장치의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를 대칭면으로 하여 대칭면을 통과하여 후면 키패드의 위치에 해당되는 화면상의 영역에 후면 키패드에 대응되는 가상 입력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입력 방식의 모바일 장치 입력 방법은, 사용자 선택명령에 입력 따라 후면 키패드와 가상 입력버튼 모두 활성화시키거나 후면 키패드 및 가상 입력버튼 중 하나를 택일하여 활성화시키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입력방식의 휴대폰이나 각종 모바일 장치를 사용할 때 터치스크린 입력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이를 보완하는 입체적인 키입력 방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최대 8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후면 키패드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2개의 손가락만으로 전면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보다 효율적으로 입력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 배치에 맞게 키패드가 배치되므로 특히 게임 프로그램과 같이 키 조작이 많은 프로그램을 다루는 데에 편리하며, 서로 대응되는 두 종류의 입력수단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놓이므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키조작을 매칭시켜 입력하기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입력 방식의 모바일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후면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입력 방식의 모바일 장치 입력 방법의 전체 동작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입력 방식의 모바일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의 전면부(110)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의 후면부(120)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모바일 장치(100)는 전면부(110)에 터치스크린(111)이 구비된 휴대폰, PDA, PMP 및 기타 휴대 가능한 디지털 기기를 모두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100)의 후면부(120)에는 하나 이상의 후면 키패드(121)가 배치된다. 후면 키패드(121)는 터치스크린 방식과 달리 기계식 입력 방식으로 구성할 경우 사용자가 누를 때 클릭감을 느낄도록 할 수 있으며, 기계식 입력 방식 대신 전면 터치스크린과 마찬가지로 터치패드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B)에는 8개의 키로 구성된 후면 키패드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후면 키패드(121)를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모바일 장치(100)를 양손으로 쥐었을 때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이 버튼 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후면 양측면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후면 키패드를 누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 장치(100)의 전면부(110)에는 영상 등의 정보출력수단의 기능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터치스크린(111)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터치스크린(111)은 후면부(120)에 배치된 후면 키패드(121)에 대응되는 가상 입력버튼(112)을 터치스크린 화면에 표시한다.
예컨대, 후면 키패드(121) 중에서 'ㄱ'에 해당되는 키가 있으면 이에 대응되는 가상 입력버튼(112)이 터치스크린 화면에 표시된다. 이때, 가상 입력버튼(112)은 후면 키패드(121)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100)를 양손으로 쥐었을 때 왼손 검지손가락이 후면 키패드 'ㄱ'에 위치하므로, 후면 키패드 'ㄱ'에 대응되는 가상 입력버튼 역시 터치스크린 화면의 왼쪽 상단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정리하자면, 모바일 장치의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를 대칭면으로 볼 때 대칭면을 통과하여 후면 키패드의 위치에 해당되는 화면상의 영역에 후면 키패드에 대응되는 가상 입력버튼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상 입력버튼이 표시되는 위치는 대응되는 후면 키패드의 대칭 위치 및 크기와 완전히 일치할 필요는 없으며 사용자가 키 입력을 하는데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다.
모바일 장치(100)의 제어부는 가상 입력버튼(112)이 터치되거나 가상 입력버튼(112)과 대응된 후면 키패드(121)가 눌리면 두 입력수단을 매칭하여 처리한다. 즉, 사용자가 후면 키패드(121)를 누르는 대신 이에 대응되는 가상 입력버튼(112)을 터치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가상 입력버튼(112)을 터치하는 대신 후면 키패드(121)를 누를 수도 있다. 이때, 후면 키패드(121)와 가상 입력버튼(112)는 내부 설정에 따라 완전히 동일한 입력신호로 처리할 수도 있으며, 유사하지만 약간 다르게 처리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100)의 제어부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후면 키패드(121)와 가상 입력버튼(112)을 모두 활성화시킬 수도 있으며, 또는 후면 키패드(121)와 가상 입력버튼(112) 중 하나만을 택일하여 활성화시키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후면 키패드(121)와 가상 입력버튼(112)을 모두 활성화시킨 경우라면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100)를 사용하는 중에 임의로 후면 키패드(121)를 누르거나 가상 입력버튼(112)을 터치할 수 있다.
그리고, 후면 키패드(121)만 활성화시키고 가상 입력버튼(112)을 활성화시키지 않았다면 가상 입력버튼(112)이 아예 화면에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가상 입력버튼(112)이 표시되더라도 입력수단으로서는 사용되지 못하고 후면 키패드(121)의 배치 상태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가상 입력버튼(112)을 표시하는 경우라면, 후면 키패드(121)가 눌리면 가상 입력버튼(112)을 깜빡여서 후면 키패드(121)가 눌렸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그 밖에, 가상 입력버튼(112)만 활성화시키고 후면 키패드(121)를 활성화시키지 않았다면 모바일 장치(100)을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으로만 사용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의 전면부(110)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의 후면부(120)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모바일 장치(100)를 가로 방향으로 놓고 사용하도록 특성화된 점이다. 게임이나 기타 인터랙티브한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장치(100)를 조이스틱처럼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라면 모바일 장치(100)를 가로 방향으로 놓고 사용하는 것이 키 조작에 더욱 편리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100)의 입력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후면부(120)의 후면 키패드(122)를 모바일 장치(100)를 가로 방향으로 놓았을 때의 양측면에 놓이도록 배치하였다. 또한, 전면부(110)의 터치스크린(111)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가상 입력버튼(113) 역시 후면 키패드(122)와 대칭되도록 터치스크린(111) 화면의 양측면에 표시된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100)를 가로 방향으로 양손으로 잡고 후면 키패드(122) 또는 가상 입력버튼(113)을 조작할 수 있으며, 게임을 하는 경우라면 후면 키패드(122)를 사용하여 캐릭터를 이동시키고 가상 입력버튼(113)을 통해서는 공격 또는 점프 명령을 내리는 등 입체적인 키조작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후면 키패드(122)만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게임 플레이 화면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후면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의 제 1 실시예와 도 2의 제 2 실시예를 모두 구현할 수 있도록 모바일 장치(100) 후면부(120)의 좌우 양측면과 상하 양측면의 4면 모두에 후면 키패드(121, 122)를 배치한 실시예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100)를 세로 방향으로 놓고 사용하면서 도 3의 상하 양측면에 배치된 후면 키패드(121)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모바일 장치(100)를 가로 방향으로 놓고 사용하면서 도 3의 좌우 양측면에 배치된 후면 키패드(122)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입력 방식의 모바일 장치 입력 방법의 전체 동작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모바일 장치의 터치스크린 화면에 후면 키패드에 대응되는 가상 입력버튼을 표시한다(ST10). 이때, 모바일 장치의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를 대칭면으로 하여 대칭면을 통과하여 후면 키패드의 위치에 해당되는 화면상의 영역에 후면 키패드에 대응되는 가상 입력버튼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언급하였다.
그리고, 후면 키패드에 대한 입력발생을 실시간으로 체크하는 한편, 그에 대응되는 가상 입력버튼에 대한 터치입력 발생도 실시간으로 체크한다(ST20).
이후 모바일 장치를 구동하는 중에, 후면 키패드에 대한 입력이 발생하면(ST30) 후면 키패드 입력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처리명령을 수행한다(ST40). 즉, 'ㅁ'키를 입력하였다면 'ㅁ' 문자를 입력하는 명령을 수행하며, 현재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설정에 따라 키의 역할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ㅁ' 키라 하더라도 현재 구동되는 게임 프로그램에서 캐릭터를 우측으로 이동하는 화살표 키로 작동할 수도 있다.
가상 입력버튼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가상 입력버튼에 대한 터치입력이 발생하면(ST50) 이를 가상 입력버튼에 대응되는 후면 키패드 입력에 매칭하여 처리명령을 수행한다(ST60). 즉, 터치스크린 화면 상의 'ㅁ' 키를 사용자가 터치하면 후면 키패드 'ㅁ' 키와 매칭되는 처리명령을 수행한다. 매칭되는 처리명령은 내부적으로 완전히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지만, 현재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그 밖에, 사용자 선택명령 입력에 따라 후면 키패드와 가상 입력버튼을 모두 활성화시킬 수도 있으며, 또는 후면 키패드 및 가상 입력버튼 중 하나를 택일하여 활성화시키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언급하였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전면부에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력수단을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로서,
    상기 모바일 장치의 후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후면 키패드;
    상기 후면 키패드에 대응되는 가상 입력버튼을 화면에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가상 입력버튼 또는 상기 가상 입력버튼에 대응되는 후면 키패드 중 어느 하나의 입력수단에 발생한 입력신호를 매칭하여 처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바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면 키패드는 상기 모바일 장치를 양손으로 그립한 경우 각 손가락이 위치하는 후면 양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면 키패드는 상기 후면부의 좌우 양측면과 상하 양측면의 4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모바일 장치의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를 대칭면으로 하여 상기 대칭면을 통과하여 상기 후면 키패드의 위치에 해당되는 화면상의 영역에 상기 후면 키패드에 대응되는 가상 입력버튼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선택명령 입력에 따라 상기 후면 키패드와 상기 가상 입력버튼 모두 활성화시키거나 상기 후면 키패드 및 상기 가상 입력버튼 중 하나를 택일하여 활성화시키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6. 전면부에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력 수단을 제공하고 후면부에 하나 이상의 후면 키패드가 배치된 모바일 장치의 입력 방법으로서,
    (A) 터치스크린 화면에 상기 후면 키패드에 대응되는 가상 입력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후면 키패드에 대한 입력발생을 실시간으로 체크하는 단계;
    (C) 상기 가상 입력버튼에 대한 터치입력 발생을 실시간으로 체크하는 단계;
    (D) 상기 후면 키패드에 대한 입력발생시 상기 후면 키패드 입력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처리명령을 수행하는 단계; 및
    (E) 상기 가상 입력버튼에 대한 터치입력 발생시 이를 상기 가상 입력버튼에 대응되는 후면 키패드 입력에 매칭하여 처리명령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바일 장치 입력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를 대칭면으로 하여 상기 대칭면을 통과하여 상기 후면 키패드의 위치에 해당되는 화면상의 영역에 상기 후면 키패드에 대응되는 가상 입력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입력 방법.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 입력 방법은,
    사용자 선택명령 입력에 따라 상기 후면 키패드와 상기 가상 입력버튼 모두 활성화시키거나 상기 후면 키패드 및 상기 가상 입력버튼 중 하나를 택일하여 활성화시키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바일 장치 입력 방법.
PCT/KR2009/003682 2008-07-15 2009-07-06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입력 방식의 모바일 장치 및 입력 방법 WO2010008152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821A KR20100008317A (ko) 2008-07-15 2008-07-15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입력 방식의 모바일장치 및 입력 방법
KR10-2008-0068821 2008-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08152A2 true WO2010008152A2 (ko) 2010-01-21
WO2010008152A3 WO2010008152A3 (ko) 2010-04-15

Family

ID=41550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3682 WO2010008152A2 (ko) 2008-07-15 2009-07-06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입력 방식의 모바일 장치 및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08317A (ko)
WO (1) WO2010008152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3830A1 (zh) * 2012-09-20 2014-03-27 Zong Fanhong 手持终端二指背面触控
US10768804B2 (en) 2016-09-06 2020-09-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sture language for a device with multiple touch surfa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537B1 (ko) * 2011-12-02 2012-05-15 오대주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0611A (ja) * 2002-05-16 2003-11-21 Sony Corp 入力方法及び入力装置
KR20050089914A (ko) * 2004-03-06 2005-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키 입력장치
KR20070067417A (ko) * 2005-12-23 2007-06-28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의 확장키 입력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80042056A (ko) * 2008-04-23 2008-05-14 (주)씨에스랩글로벌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향상된 문자 입력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0611A (ja) * 2002-05-16 2003-11-21 Sony Corp 入力方法及び入力装置
KR20050089914A (ko) * 2004-03-06 2005-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키 입력장치
KR20070067417A (ko) * 2005-12-23 2007-06-28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의 확장키 입력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80042056A (ko) * 2008-04-23 2008-05-14 (주)씨에스랩글로벌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향상된 문자 입력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3830A1 (zh) * 2012-09-20 2014-03-27 Zong Fanhong 手持终端二指背面触控
US10768804B2 (en) 2016-09-06 2020-09-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sture language for a device with multiple touch surf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317A (ko) 2010-01-25
WO2010008152A3 (ko)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0989Y1 (ko) 양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플랫 패널 형상의 모바일 장치
US8452338B2 (en) Telephone call and alarm control methods for a cell phone
WO2014107077A1 (ko)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WO2010107208A2 (ko) 포인터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US20140247246A1 (en) Tactile to touch input device
US8886264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O201216973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racter input interface
WO2012070682A1 (ja) 入力装置及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WO2011043555A2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
WO2012074256A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mode thereof
JP5779156B2 (ja) 情報入力装置、その入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EP2590056B1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used in mobile terminal device
WO2012005463A2 (ko) 터치스크린 조향 어답터
EP2679074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2008696A2 (ko) 터치스크린 버튼 어답터 키트
WO2010008152A2 (ko)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입력 방식의 모바일 장치 및 입력 방법
WO20130059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on touch screen
JPH07295720A (ja) 入力装置
WO2022127722A1 (zh) 电子设备的保护套、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设备组件
WO2017150947A1 (ko) 반응형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0110532A2 (ko) 터치 기능을 구비한 복합 입력장치
GB2438477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plural touchpad modes and keypad press mode of operation
WO2015129984A1 (ko) 게임 조정장치
WO2014065557A1 (ko) 휴대폰 커버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WO2012077845A1 (en) Korea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touch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7980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7980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