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212615A1 - 스마트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스마트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212615A1
WO2018212615A1 PCT/KR2018/005696 KR2018005696W WO2018212615A1 WO 2018212615 A1 WO2018212615 A1 WO 2018212615A1 KR 2018005696 W KR2018005696 W KR 2018005696W WO 2018212615 A1 WO2018212615 A1 WO 201821261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ignal
button
portable terminal
smart controller
m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569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연수
현의섭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버스 filed Critical (주)아이티버스
Priority to CN201890000861.1U priority Critical patent/CN212009526U/zh
Priority to JP2020514482A priority patent/JP2020521264A/ja
Priority to US16/614,796 priority patent/US11150744B2/en
Publication of WO201821261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21261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controller capable of generating an input signal of a portable terminal 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 the smart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large sized display provides a smart controller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freely and simply operate the portable terminal with one hand.
  • the smart controller relates to a smart controller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a portable terminal and controls th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direction controller generates a first signal by lateral pressure and is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r one side of the direction button.
  • a main button unit including a selection button for generating a second signal by downward pressing;
  • an auxiliary button unit including at least one button provided to change an operation mode of the main button unit or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 the auxiliary button unit preferably includes a first button for set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main button unit to a keyboard mode.
  • the first signal is a direction change signal generated based on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direction button, and the second signal is selected or It is preferably an execution signal.
  • the auxiliary button unit preferably includes a second button for set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main button unit to a mouse mode.
  • the first signal is a mouse pointing signal generated based on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direction button, and the second signal is selected or It is preferably an execution signal.
  • the first signal is switched from a mouse pointing signal to a scroll signal or a drag signal, and the switching from the scroll signal or the drag signal is performed to the second signal. It is preferable that the selection is made selectively based on the operation holding time or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button.
  • the auxiliary button unit preferably includes a third button configured to generate an initial screen return or go back signal.
  • the initial screen return signal and the back signal may be selectively generated based on the operation holding time or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third button.
  • the first signal When the direction button is press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signal is a mouse pointing signal in a specific direction, and when the first direction pressing of the direction button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first signal is a mouse in the specific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switch from the pointing signal to the scroll signal or the drag signal directed in the specific direction.
  • the first signal is preferably switched back to a mouse pointing signal from a scroll signal or a drag signal.
  • the operation mode of the main button unit is a mouse mode
  • the direction button is opera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within a preset time
  • the first signal is preferably switched from a mouse pointing signal to a scroll signal or a drag signal.
  • the operation mode of the main button unit is a mouse mode
  • the first signal is switched from a mouse pointing signal to a scroll signal or a drag signal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selection button, and the switching to the scroll signal or the drag signal is performed by the selection button. It is preferably made based on the operation holding time or the number of operations.
  • the scroll signal is converted into a mouse pointing signal, and the drag signal is converted into a drop signal.
  • the auxiliary button unit includes a fourth button for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 different applications are execu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holding time and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fourth button.
  • a first application is executed. If the operation of the fourth button is kept longer than a preset time, a second application is executed, and the fourth button is preset.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application is executed when the operation is performed twice within the time.
  • the second signal generates different control signals based on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holding time and an operation number of the selection button.
  • the direction of the first signal is preferably reversed.
  • a first body accommodating the main button part and the auxiliary button part; And a second body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first body and having a connection portion formed at a bottom or side thereof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 the accommodating part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body,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ody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art formed to support the portable terminal by a user inserting a finger.
  • the second body includes a vertical portion of which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portable terminal and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wherei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 the accommodation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first body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coupled to the second body.
  • the horizontal portion includes a support portion formed so that a user can insert a finger to support the portable terminal.
  • the magnetic body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body.
  • the first groove or the first protrusion for guiding the sliding insertion of the first body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the second protrusion or the seco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or the first protrus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referably, a groove is formed.
  • the smart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a portable terminal, a mobile phone cas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includes an input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mobile phon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o that the user supports the portable terminal with one hand. Sinc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rtable termina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ease of use of the user's portable terminal.
  • the input button by configuring the input button to be able to generate a variety of signals by the combination of the push button and the push butt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se that can reduce the cost and height constraints of the portable terminal.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 and 3 are view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mart button that can be used as a main butt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keyboard mode operation of the smart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use mode operation of the smart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 to 5 a smart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2 and 3 shows an embodiment of a smart button that can be used as the main butt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keyboard mode operation of the smart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use mode operation of the smart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 Smart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10,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portable terminal 10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10, such as Bluetooth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portable terminal 10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 the smart controller includes a main button unit 100 and an auxiliary button unit 200 which are input units for generating various control signals of the portable terminal 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o it.
  • the smart controller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300 for accommodating the main button unit 100 and the auxiliary button unit 200 described above,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300 is a portable terminal It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member for attach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or 10 to accommodate the portable terminal 10.
  • the main body 300 of the smart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formed so that the user can support the portable terminal 10 by inserting a finger such as an index finger or a middle finger.
  • the support unit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300, but the user can insert the main button unit 100 or the auxiliary button unit 200 described above with the finger inserted so that the main button unit 100 and Preferably, the auxiliary button 20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support member 41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300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ring member 42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410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 the ring member 420 can be rotated up, down, left and right about the main body 300.
  • the support portion may be formed such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are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300, respectively, so that the support portion is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ut the main body 300.
  • the smart controller may include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and the battery is a rechargeable battery and may include a connector terminal 510 for charging the battery in the main body 300. Can be.
  • Such a connector terminal is preferably for user convenience by applying the same as the connector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mmodated or attached to the smart controller.
  • the smart controller may be provided with an LED 520 for check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smart controller.
  • the smart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posed of two bodies differently from FIG.
  • a first body accommodating the main button part 100 and the auxiliary button part 200, etc.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 connection part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the above-described method, A second body to which one support is attached may be provided separately.
  • the second body is formed with an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first body, the second body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the first body, by using the first body attached to the rear of the portable terminal as necessary, the portable terminal 10 ), Or it may be possible to remotely control the portable terminal 10 by separating the first body from the second body.
  • the second body is formed in a "b" shape, and the first body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by sliding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bottom of the second body and the portable terminal 10. It is also possible.
  • the second body includes a vertical part of which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portable milling machine 10 and a horizontal part which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part.
  • One side of the second body is formed with an adhesive portion for contacting the portable terminal 10, whe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portable terminal 10, the receiving portion is the bottom and horizontal of the portable terminal 10 It is formed between the parts.
  • the first body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body by sliding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portion.
  • the horizontal portion includes a support portion formed so that the user can support the portable terminal by inserting a finger
  •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member 410 is formed on the horizontal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horizontal portion, the ring member 42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410 to be rotatable vertically.
  • a lower side of the second body horizontal portion is formed with a first groove or a first protrusion for guiding the sliding insertion of the first body
  •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is a second protrusion or first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or the first protrusion 2 grooves can be provided, which allows the first body to be accurately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thereby enabling a firm coupling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 the main button unit 100 includes a direction button 110 and a selection button 120.
  • the direction button 11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 first signal related to the direction by the lateral pressing
  • the selection button 120 is disposed in the center or one side of the direction button 110
  • the second by the downward pressing Performs the function of generating a signal.
  • the smart button shown in FIGS. 2 and 3 may be applied, and thus,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main button unit 100 may be implemented.
  • the main button unit 100 applied to the smart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10, a push button 1120, a sensor 1130, and a contact 1140.
  • the housing 1110 is formed to provide an inner space with an open upper side.
  • the push button 1120 is seated in the inner space provided in the housing 1100, is not fixed in a state seated in the inner space is configured to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ateral direction, such as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 the sensor 1130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on either the outer surface of the push button 1120 or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10, and the contact point 1130 is the outer surface of the push button 1120 or the inside of the housing 1110. It is a structure provided in the other side of a side surface.
  • the senor 1130 may be formed by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two or more terminal switches, and the terminal switches serve as the sensors 1130.
  • the contact 1130 is preferably formed of a conductor, and when the push button 1120 is pushed laterally, the contact 1130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1130 at a sensor 1130 positio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ush button 1200 moves. The input signal assigned to the contacted sensor 1130 is generated.
  • a push method input button in which an input signal is generated by pushing a button in a lateral direction has been proposed in various structures.
  • a push sensor for detecting a lateral press is essentially required.
  •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ignal input device must be very high.
  • the pressure sensor when a different type of input signal is generated depending on which direction the button is pushed, the pressure sensor must be mounted one by one in each direction to which the pressing force is applied. there was.
  • the elastic member 1160 to return the position of the push button 1120 so that the sensor 1130 and the contact 1140 is spaced apar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 the push button 1120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160.
  • the sensor 1130 and the contact 11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no input signal is generated.
  • the main button unit 100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witch 1170 and the push button 1120 disposed on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 the push button 1150 may be further included.
  • Push button 1150 penetrates push button 1120 upwardly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bottom is seated on switch 1170 and pushes down when push downward pressure is applied to push button 1120. Generates a signal separate from the signal generated by the movement.
  • various signals can be generated based on the operation combination of the push button 1120 and the push button 1150, where the push button 1120 and the push button 1150 are respectively related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button 110 and the selection button 120 in the smart controller according to.
  • the main button unit 100 applied to the smart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se member 1180, a push button 1120, a sensor unit 1130, and a contact 1140.
  • the base member 1180 includes a bottom surface 1181 and a protrusion 1182 protruding upward from a central side of the bottom surface 1181.
  • the push button 1120 is disposed above the protrusion 1182, and a downward side wall 1121 formed downwar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118 is formed.
  • a sensor unit 1130 is provided on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protrusion 1182, and a sensor unit 1130 is dispos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downward side wall 1121.
  • the contact point 1140 may be provid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 the senor 1130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wnward side wall 1121, and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downward side wall 1121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protrusion 1118.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contact point 1140 at.
  • the sensor 1130 and the contact point 1400 when the push button 1120 moves laterally, the sensor 1130 and the contact point 1400 generate signals by contacting each other. Specifically, the push button 1120 moves upward and downward. Rather, it is configured to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ateral direction, such as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and when the user pushes the push button 1120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contact point 1140 is a sensor unit located in the direction of the push button 1120 ( By contacting 1130, an input signal related to a corresponding sensor among a plurality of sensors formed in the sensor unit 1130 is generated.
  • the push button 1120 should be configured to be movable only in the front and rear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out rotation, which may not be in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sensor desired by the user when the push button 1120 is rotatable. This may cause unwanted input signals.
  • a touch sensor or a tactile sensor may be used as the sensor unit 1130, and in consideration of reduction in manufacturing cost and light weight of the product,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flexible circuit board.
  • At least one sensor is disposed on the flexible circuit board, and the sensor is formed by a terminal switch including a positive terminal and a negative terminal, and the contact button 1140 is formed of a conductor so that the push button 1120 is laterally oriented.
  •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of the terminal switch to contact the contact 1140,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is short-circuited, thereby generating an input signal.
  • the terminal switch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with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urther have a portion that is alternate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an anode having an uneven patter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uneven portion is arranged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 Consists of a terminal and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may be arranged to be interdigitated with the mutually uneven parts to be configured to maintain a finely spaced state from each other.
  • the contact point 1140 may be formed to protrude only a contact portion for a solid short circuit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 the push button 1120 after moving the push button 1120 in the lateral direc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1160 for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again, the push button 1120 as the elastic member 1160 to move laterally When compressed, it is preferable to apply an elastic material such as carbon sponge or silicon to apply the resilient elastic force to the push button 1120.
  • an elastic material such as carbon sponge or silicon
  • the smart controller includes an auxiliary button unit 200 formed separately from the main button unit 100, the auxiliary button unit 200 is the operation mode of the main button unit 100 At least one button provided to change or perform a specific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
  • the auxiliary button unit 200 may include a first button 210 and a second button 220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of the main button unit 100.
  • the first button 210 performs a function of set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main button unit 100 to the keyboard mode,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first button 210 to operate the main button unit 100 in the keyboard mode.
  • the direction button 110 of the main button unit 100 becomes a direction button of the keyboard, and the selection button 120 becomes an enter button.
  • a selection mark is generated on the F icon, which is one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 icons arranged on the display 11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s shown in FIG. .
  • a first signal which is a direction signal generated thereby, is generated. Will move from the F icon to the G icon.
  • the first signal is a direction change signal generated based on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direction button 110.
  • the second signal is a selection signal or an execution signal.
  • auxiliary button unit 200 may include a second button 220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main button unit 100 to the mouse mode.
  • the first signal is a mouse pointing signal generated based on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direction button 110.
  • the second signal is a select or execute (click) signal.
  • the mouse pointer 13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1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s shown in FIG.
  • the mouse pointer 13 mov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ressing direction or the pressing direction as shown in FIG. 5 (b).
  • the general mouse performs the scrolling function using the wheel as well as the mouse pointing function and the clicking function as described above, or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button operation after moving the mouse in the state of operating the mouse button.
  • a drag / drop function may be performed using the smart controller, and the smart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perform a scroll function and a drag / drop function by a simple oper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
  • the first signal generated by the direction button 110 is the portable terminal 10.
  • the mouse pointing signal which is the motion signal of the mouse pointer displayed on the display 11 of the () is generated.
  • the first signal generated by the direction button 110 may be switched from the mouse pointing signal to the scroll signal or the drag signal by a simple operation of the user, and various embodiments thereof will be described.
  • the first signal when the user operates the second button 220 again, the first signal may be switched from the mouse pointing signal to the scroll signal or the drag signal, and from the mouse pointing signal, the scroll signal or the drag signal.
  • the switching to the signal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based on the operation holding time or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second button 220.
  • the first signal is switched from a mouse pointing signal to a scroll signal, and if the user releases the operation within the preset time, the first signal is used. It is possible to switch from the pointing signal to the drag signal, and vice versa.
  • the first signal is switched from the mouse pointing signal to the scroll signal,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second button repeatedly within a preset time such as a double click, the first signal is changed.
  • the signal may be switched from the mouse pointing signal to the drag signal, or vice versa.
  • the first signal is switched from the mouse pointing signal to the scroll signal or the drag signal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selection button 120 of the main button unit 100, and scrolls from the mouse pointing signal.
  • the switching to the signal or the drag signal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based on the operation holding time or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selection button 120.
  • the first signal is switched from the mouse pointing signal to the scroll signal, and when the user releases the operation within the preset time, the first signal is the mouse pointing. It is possible to switch from a signal to a drag signal, and vice versa.
  • the first signal is switched from a mouse pointing signal to a scroll signal, and when the user presses three times in a predetermined time in a row, the first signal is It is possible to switch from the mouse pointing signal to the drag signal, and vice versa.
  • the first signal is converted from the mouse pointing signal to the scroll signal or the drag signal based on the pressing time of the direction button 110.
  • the first signal is a mouse pointing signal in the first direction o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which is pressed in the first direction.
  • the first signal it is possible to set the first signal to switch from a mouse pointing signal in a specific direction to a scroll signal or drag signal directed in a specific direction.
  • such a third embodiment may be useful when the user views a web page lengthened in a vertical direction such as a webtoon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10.
  • a mouse pointing signal which is a first signal, is generated to generate a mouse pointer. 10 is moved downward in the display 11.
  • the first signal is switched from the downward mouse pointing signal to the downward scroll signal, so that the web page is downward. It will automatically scroll in the direction.
  • the mouse pointer is placed in the bottommost direction in the display 10 so that the user cannot periodically find the position of the mouse pointer.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in the user's convenience.
  • the scroll signal is converted into a mouse pointing signal, and the drag signal is preferably converted into a drop signal.
  • the scroll signal or the drag signal generation cancellation may be made by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button (110).
  • the direction button 110 while the user presses the direction button 110 again while the scroll signal or the drag signal toward the specific direction is generated by pressing the first direction of the direction button 110 for more than a preset time. Presses the direction button 11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or at a 90 degree angle with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signal may be switched back from the scroll signal or the drag signal to the mouse pointing signal. Do.
  • the auxiliary button unit 200 in the smart controller may include a third button 230 for generating an initial screen (home screen) return signal or a back signal. have.
  • only one third button 230 may generate both the initial screen return signal and the back signal.
  • the initial screen return signal and the back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operation holding time or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third button 230.
  • the go signal can be set to occur selectively.
  • an initial screen return signal may be generated, and if the user cancels the operation within the preset time, a back signal may be generated. It is also possible to set.
  • an initial screen return signal may be generated, and when the user presses twice consecutively within a preset time such as a double click, a back signal may be generated.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opposite.
  • the auxiliary button unit 200 of the smart controller may include a fourth button for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 the fourth button For example, if the operation of the fourth button is kept below the preset time, the first application is executed. If the operation of the fourth button is kept longer than the preset time, the second application is executed, and the fourth button is pre-set. When the operation is performed twice within the set time, the third application may be set to be executed.
  • the selection / execution signal is mainly generated, but the operation of the selection button 120 is maintained. It is also possible to set different control signals to be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ime and the number of operations.
  • the selection button 120 ma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fourth button by setting the execution signal of a specific application to be generated.
  • the initial screen return signal or the go back signal can be set to generate, through this selection button 120 ma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above-described third button.
  • the smart controller may generate various signals by simultaneously operating at least two of the various buttons included in the main button unit 100 and the auxiliary button unit 200.
  • the pairing (Paring) of the smart controller and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performed.
  • the direction of the first signal generated by the direction button 110 can be reversed.
  • the direction button 120 of the smart controller is mounted on the rear of the portable terminal 10 to operate the smart controller in a state opposite to the display 11, and the smart controller is portable. After separating from the terminal, a situation in which the smart controller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button 120 is plac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splay 11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occ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는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측방향 가압에 의하여 제1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향 버튼 및 상기 방향 버튼의 중앙부 또는 일측에 배치되고 하향 가압에 의하여 제2 신호를 발생시키는 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메인 버튼부; 및 상기 메인 버튼부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보조 버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컨트롤러
본 발명은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스마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 등의 휴대 가능한 단말기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스마트폰의 경우 휴대가 간편하고 통화 본연의 기능에 충실하도록 작은 크기의 액정이 적용되었으나, 최근 사용자들은 휴대성보다는 넓은 화면에서 더욱 많은 정보를 얻는 것을 선호하는 추세가 계속됨으로써 큰 사이즈의 액정을 구비한 스마트폰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사이즈 증대로 인하여 사용자의 시각적 쾌적감을 만족시킬 수는 있지만, 스마트폰을 한 손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경우 대부분의 입력은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게임을 할 경우 정교한 조작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조작 버튼을 손으로 입력하여 조작하는 경우, 조작 버튼이나 손이 디스플레이를 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큰 사이즈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라도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자유롭고 간단히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마트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는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측방향 가압에 의하여 제1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향 버튼 및 상기 방향 버튼의 중앙부 또는 일측에 배치되고 하향 가압에 의하여 제2 신호를 발생시키는 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메인 버튼부; 및 상기 메인 버튼부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보조 버튼부;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버튼부는 상기 메인 버튼부의 동작 모드를 키보드 모드로 설정하는 제1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메인 버튼부의 동작 모드가 키보드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방향 버튼의 가압 방향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방향 전환 신호이고, 상기 제2 신호는 선택 또는 실행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버튼부는 상기 메인 버튼부의 동작 모드를 마우스 모드로 설정하는 제2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메인 버튼부의 동작 모드가 마우스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방향 버튼의 가압 방향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마우스 포인팅 신호이고, 상기 제2 신호는 선택 또는 실행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신호가 마우스 포인팅 신호인 상태에서 상기 제2 버튼을 동작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는 마우스 포인팅 신호에서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로 전환되고, 상기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로의 전환은 상기 제2 버튼의 동작 유지 시간 또는 동작 횟수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버튼부는 초기 화면 복귀 또는 뒤로 가기 신호가 발생하도록 설정하는 제3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버튼의 동작 유지 시간 또는 동작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초기 화면 복귀 신호 및 상기 뒤로 가기 신호가 선택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 버튼을 제1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는 특정 방향의 마우스 포인팅 신호이고, 상기 방향 버튼의 제1 방향 가압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특정 방향의 마우스 포인팅 신호에서 상기 특정 방향으로 향하는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정 방향으로 향하는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는 상태에서 상기 방향 버튼의 가압 방향을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90도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는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에서 마우스 포인팅 신호로 다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버튼부의 동작 모드가 마우스 모드인 경우 상기 방향 버튼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미리 설정된 횟수를 동작시키면, 상기 제1 신호는 마우스 포인팅 신호에서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버튼부의 동작 모드가 마우스 모드인 경우 상기 선택 버튼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가 마우스 포인팅 신호에서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로 전환되고, 상기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로의 전환은 상기 선택 버튼의 동작 유지 시간 또는 동작 횟수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신호가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인 상태에서 상기 선택 버튼을 동작시키는 경우, 상기 스크롤 신호는 마우스 포인팅 신호로 전환되고, 상기 드래그 신호는 드롭 신호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버튼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4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버튼의 동작 유지 시간 및 동작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각각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버튼의 동작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하로 유지시키면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상기 제4 버튼의 동작을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유지시키면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상기 제4 버튼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2회 동작시키면 제3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선택 버튼의 동작 유지 시간 및 동작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각각 다른 제어 신호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택 버튼의 동작을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유지시키는 경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신호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택 버튼의 동작을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유지시키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2회 이상 동작시키는 경우 초기 화면 복귀 신호 또는 뒤로 가기 신호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택 버튼과 상기 보조 버튼부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버튼을 동시에 동작시키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페어링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택 버튼과 상기 보조 버튼부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버튼을 동시에 동작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신호의 방향이 반대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버튼부 및 상기 보조 버튼부를 수용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저면 또는 측면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가 형성되는 제2 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2 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의 타측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몸체는 일측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접촉 결합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타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의 일측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저면과 접촉 결합되는 경우, 상기 수용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저면 및 상기 수평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수용부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제2 몸체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부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몸체의 저면에는 자성체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부의 하측에는 상기 제1 몸체의 슬라이딩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 홈 또는 제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제1 홈 또는 제1 돌기와 대응되는 제2 돌기 또는 제2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는 휴대용 단말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한 손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입력버튼을 밀기버튼 및 누름버튼의 조합에 의한 다양한 신호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원가 절감 및 휴대용 단말기의 높이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의 구성 중 메인 버튼부로 활용 가능한 스마트 버튼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의 키보드 모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의 마우스 모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의 구성 중 메인 버튼부로 활용 가능한 스마트 버튼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의 키보드 모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의 마우스 모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는 휴대용 단말기(10)를 제어하는 스마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10)와 유선 통신을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1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나,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1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마트 컨트롤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의 다양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입력부인 메인 버튼부(100) 및 보조 버튼부(200)를 구비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는 상술한 메인 버튼부(100) 및 보조 버튼부(200)를 수용하기 위한 본체(300)를 구비하며, 이러한 본체(300)의 하면에는 휴대용 단말기(10) 또는 휴대용 단말기(10)를 수용하는 케이스 저면에 부착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의 본체(300)에는 사용자가 검지 또는 중지 등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휴대용 단말기(10)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는 본체(300)의 상면에 배치되되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한 채로 상술한 메인 버튼부(100) 또는 보조 버튼부(200)를 삽입된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메인 버튼부(100) 및 보조 버튼부(200)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0)의 상면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410) 및 상기 연결부재(410)와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리부재(4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고리부재(420)는 본체(300)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지지부는 도 1과 다르게 그 일단 및 타단이 본체(30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연결되되 지지부가 본체(300)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터리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써 본체(300)에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커넥터 단자(5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단자는 스마트 컨트롤러가 수용 또는 부착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10)의 커넥터 단자과 동일한 것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는 스마트 컨트롤러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LED(520)를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는 도 1과는 다르게 2개의 몸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휴대용 단말기(10)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메인 버튼부(100) 및 보조 버튼부(200) 등을 수용하는 제1 몸체와, 휴대용 단말기(10)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과 상술한 지지부가 부착되는 제2 몸체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몸체에는 제1 몸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제2 몸체는 제1 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제1 몸체를 휴대용 단말기 후면에 부착하여 사용하여 휴대용 단말기(10)를 제어할 수도 있으며, 또는 제1 몸체를 제2 몸체와 분리시켜서 휴대용 단말기(10)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제2 몸체를 “ㄱ”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제1 몸체를 제2 몸체와 휴대용 단말기(10)의 저면 사이에 형성된 수용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제1 몸체 및 제2 몸체를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2 몸체는 일측이 휴대용 단밀기(10)와 접촉 결합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타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도록 한다.
제2 몸체의 일측에는 휴대용 단말기(10)와 접촉하기 위한 접착부가 형성되어, 제2 몸체의 일측이 휴대용 단말기(10)의 저면과 접촉 결합되는 경우, 수용부는 휴대용 단말기(10)의 저면 및 수평부 사이에 형성되게 된다.
이때 제1 몸체는 수용부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제2 몸체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수평부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갑입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상술한 연결부재(410)가 수평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수평부 상측에 형성되고, 고리부재(42)가 연결부재(410)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몸체가 제2 몸체의 수용부에 슬라이딩 삽입될 경우, 제1 몸체의 유동이 없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메인 버튼부 및 보조 버튼부를 조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몸체의 저면에 자성체를 배치함으로써, 제1 몸체를 휴대용 단말기(10)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2 몸체 수평부의 하측에는 제1 몸체의 슬라이딩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 홈 또는 제1 돌기가 형성되고, 제1 몸체의 상면에는 제1 홈 또는 제1 돌기와 대응되는 제2 돌기 또는 제2 홈을 마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1 몸체가 제2 몸체에 정확히 삽입될 수 있으며,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메인 버튼부(100) 및 보조 버튼부(200)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메인 버튼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방향 버튼(110) 및 선택 버튼(120)으로 구성된다.
방향 버튼(110)은 측방향 가압에 의하여 방향과 관련된 제1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선택 버튼(120)은 방향 버튼(110)의 중앙부 또는 일측에 배치되되, 하향 가압에 의하여 제2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메인 버튼부(100)의 경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스마트 버튼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메인 버튼부(100)의 구조 및 기능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메인 버튼부(100)의 일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메인 버튼부(100)는 크게 하우징(1110), 밀기버튼(1120), 센서(1130) 및 접점(1140)을 포함한다.
하우징(1110)은 상측이 개방된 내측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된다.
밀기버튼(1120)은 하우징(1100)에 마련된 내측공간에 안착되며, 내측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후 및 좌우 등 측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센서(1130)는 밀기버튼(1120)의 외측면 또는 하우징(1110)의 내측면 중 어느 한 쪽에 구비되는 구성이고, 접점(1130)은 밀기버튼(1120)의 외측면 또는 하우징(1110)의 내측면 중 다른 한 쪽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센서(1130)는 둘 이상의 단자스위치를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단자스위치가 센서(1130)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접점(1130)은 도전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국 밀기버튼(1120)을 측방향으로 밀었을 때, 밀기버튼(1200)이 움직이는 방향에 위치하는 센서(1130)에 접점(1130)에 접촉되고, 접촉된 센서(1130)에 할당된 입력신호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측방향으로 버튼을 밀어 가압함에 따라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밀기방식 입력버튼은 이미 다양한 구조로 제안된 바 있는데, 종래의 밀기방식 입력버튼은 측방향 가압을 감지하기 위한 가압센서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바, 신호입력장치의 제조원가가 매우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버튼을 어느 방향으로 미는지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입력신호가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가압력이 인가되는 각 방향별로 하나씩 가압센서가 장착되어야 하므로, 상기와 같은 제조원가 문제는 더욱 커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메인 버튼부(100)의 일 예에 따르면, 각 방향 별 별도의 가압센서 없이도 측방으로 가압력이 인가되었을 때 해당 방향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밀기버튼(1120)이 어느 일측으로 밀려 이동됨에 따라 접점(1140)이 어느 하나의 센서(1130)를 접속시킨 후 상기 밀기버튼(1120)에 인가되어 있던 가압력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센서(1130)가 접속된 상태가 계속 유지되면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입력신호가 지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밀기버튼(1120)이 측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센서(1130)와 상기 접점(1140)이 이격되도록 상기 밀기버튼(1120)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탄성부재(11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1160)가 구비되면, 상기 밀기버튼(1120)에 인가되었던 측방향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밀기버튼(1120)은 상기 탄성부재(1160)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바, 센서(1130)와 접점(1130)이 이격된 상태 즉, 어떠한 입력신호도 발생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메인 버튼부(100)의 일 예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하단에 배치된 스위치(1170)와 밀기버튼(1120)의 상면에 배치되는 누름버튼(1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버튼(1150)은 밀기버튼(1120)을 상향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이 상기 스위치(1170)에 안착되어 하향 가압력이 인가될 때 아래로 밀려 상기 스위치(1170)를 누름으로써 밀기버튼(1120)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와는 별개의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밀기버튼(1120)과 누름버튼(1150)의 작동 조합에 기초하여 다양한 신호의 발생이 가능하게 되며, 여기에서 밀기버튼(1120) 및 누름버튼(1150)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에서의 방향 버튼(110) 및 선택 버튼(120)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메인 버튼부(100)의 다른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메인 버튼부(100)은 크게 베이스부재(1180), 밀기버튼(1120), 센서부(1130), 접점(1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1180)는 바닥면(1181) 및 바닥면(1181)의 중심부측에 상향 돌출된 돌출부(1182)를 포함한다.
밀기버튼(1120)은 돌출부(1182)의 상측에 배치되는데, 돌출부(1182)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향으로 형성된 하향측벽(1121)이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82)의 외측면에는 센서부(1130)가 구비되고, 하향측벽(1121)의 내측면에는 돌출부(1182)의 외측면 중 센서부(1130)가 배치된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에 접점(1140)을 구비할 수 있다.
반대로, 하향측벽(1121)의 내측면에 센서부(1130)가 구비되고, 돌출부(1182)의 외측면에는 하향측벽(1121)의 내측면 중 센서부(1130)가 배치된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에 접점(1140)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조 하에서, 밀기버튼(112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센서(1130) 및 접점(1400)이 상호 접촉함으로써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이러한 밀기버튼(1120)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전후 및 좌우 등 측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사용자가 밀기버튼(1120)을 측방향으로 밀었을 때 접점(1140)은 밀기버튼(1120)이 움직이는 방향에 위치하는 센서부(1130)에 접촉됨으로써 센서부(1130) 내에 형성된 복수의 센서 중 해당되는 센서와 관련된 입력신호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밀기버튼(1120)은 회전하지 않고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이는 밀기버튼(1120)의 회전이 가능할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해당 센서와 접점이 접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원치 않는 입력신호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센서부(1130)로서는 터치센서 또는 촉각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조 원가 절감 및 제품의 경량화 등을 고려할 때, 연성회로기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성회로기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배치시키되, 이러한 센서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포함하는 단자스위치로 형성되게 하고, 접점(1140)을 도전체로 형성함으로써, 밀기버튼(1120)을 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단자스위치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모두 접점(1140)과 접촉하게 함으로써 상기 양극단자와 상기 음극단자가 단락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서 입력신호를 발생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자스위치는 구체적으로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서로 이격시켜 나란히 배치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수평방향으로 교번으로 배열되는 부위를 갖도록 즉, 상하 방향으로 요철패턴을 가지며 요철부위가 엇갈려 맞물리도록 배열되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는 상호 요철부위가 엇갈려 맞물리도록 배치되되 상호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동시에, 접점(1140)의 경우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상호간의 견고한 단락을 위하여 접촉 부위만을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밀기버튼(1120)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11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부재(1160)로써는 밀기버튼(1120)이 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압축됨으로써 밀기버튼(1120)에 복원탄성력을 인가하는 카본스펀지나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밀기버튼(1120)과 누름버튼(1150)의 작동 조합에 기초하여 다양한 신호의 발생이 가능하게 되며, 여기에서 밀기버튼(1120) 및 누름버튼(1150)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에서의 방향 버튼(110) 및 선택 버튼(120)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는 메인 버튼부(100)와는 별도로 형성된 보조 버튼부(200)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보조 버튼부(200)는 메인 버튼부(100)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거나 또는 휴대용 단말기(10)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한다.
이러한 보조 버튼부(200)는 메인 버튼부(10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제1 버튼(210) 및 제2 버튼(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튼(210)은 메인 버튼부(100)의 동작 모드를 키보드 모드로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가 제1 버튼(210)을 눌러서 메인 버튼부(100)가 키보드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메인 버튼부(100)의 방향 버튼(110)은 키보드의 방향 버튼이 되고, 선택 버튼(120)은 엔터(Enter) 버튼이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1 버튼(210)을 누르면 도 4(a)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11)상에 배열된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인 F 아이콘에 선택 표시가 생기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선택 버튼(120)을 누르게 되면, F 아이콘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며, 사용자가 선택 버튼(120)이 아닌 방향 버튼(110)을 어느 한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가압하는 방향 또는 가압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선택되는 아이콘이 변경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a)와 같이 선택 표시가 F 아이콘에 위치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방향 버튼(110)을 측방향 가압하게 되면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방향 신호인 제1 신호가 발생하게 되어 선택 표시가 F 아이콘에서부터 G 아이콘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선택 버튼(120)을 누르게 되면, G 아이콘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제1 버튼(210)의 조작에 의하여 메인 버튼부(100)의 동작 모드가 키보드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제1 신호는 방향 버튼(110)의 가압 방향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방향 전환 신호이고, 제2 신호는 선택 신호 또는 실행 신호인 것이다.
또한, 보조 버튼부(200)는 메인 버튼부(100)의 동작 모드를 마우스 모드로 설정하는 제2 버튼(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버튼(220)의 조작에 의하여 메인 버튼부(100)의 동작 모드가 마우스 모드로 동작하게 되는 경우, 제1 신호는 방향 버튼(110)의 가압 방향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마우스 포인팅 신호이고, 제2 신호는 선택 또는 실행(클릭) 신호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2 버튼(220)을 누르면 도 5(a)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11)상에 마우스 포인터(13)가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가 방향 버튼(110)을 측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도 5(b)와 같이 가압하는 방향 또는 가압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마우스 포인터(13)가 이동한다.
사용자가 방향 버튼(110)을 이용하여 마우스 포인터(13)를 휴대용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11) 상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아이콘 위에 이동시킨 후 선택 버튼(120)을 누르게 되면, 해당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한편, 일반적인 마우스는 상술한 마우스 포인팅 기능 및 클릭 기능 뿐만 아니라 휠을 이용하여 스크롤(Scroll)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마우스의 버튼을 동작시키는 상태에서 마우스를 이동시킨 후 버튼의 동작을 해제하는 과정을 이용하여 드래그/드롭(Drag/Drop)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스크롤 기능 및 드래그/드롭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 버튼(220)을 조작하여 메인 버튼부(100)의 동작 모드가 마우스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방향 버튼(110)에 의하여 발생하는 제1 신호는 휴대용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11) 상에 표시된 마우스 포인터의 움직임 신호인 마우스 포인팅 신호가 발생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방향 버튼(110)에 의하여 발생되는 제1 신호를 마우스 포인팅 신호로부터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로 전환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여러 실시예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제1 실시예로써, 사용자가 다시 제2 버튼(220)을 동작시키는 경우, 제1 신호는 마우스 포인팅 신호에서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마우스 포인팅 신호로부터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로의 전환은 제2 버튼(220)의 동작 유지 시간 또는 동작 횟수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버튼(220)을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누르고 있으면 제1 신호는 마우스 포인팅 신호에서 스크롤 신호로 전환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그 동작을 해제하는 경우 제1 신호는 마우스 포인팅 신호에서 드래그 신호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제2 버튼(220)을 1회 누를 경우 제1 신호는 마우스 포인팅 신호에서 스크롤 신호로 전환되고, 더블 클릭(Double Click)과 같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2회를 연속하여 누를 경우 제1 신호는 마우스 포인팅 신호에서 드래그 신호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실시예로써 메인 버튼부(100)의 선택 버튼(120)의 동작에 기초하여 제1 신호가 마우스 포인팅 신호에서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로 전환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마우스 포인팅 신호로부터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로의 전환은 선택 버튼(120)의 동작 유지 시간 또는 동작 횟수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 버튼(120)을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누르고 있으면 제1 신호는 마우스 포인팅 신호에서 스크롤 신호로 전환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그 동작을 해제하는 경우 제1 신호는 마우스 포인팅 신호에서 드래그 신호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 버튼(120)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2회를 연속하여 누를 경우 제1 신호는 마우스 포인팅 신호에서 스크롤 신호로 전환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3회를 연속하여 누를 경우 제1 신호는 마우스 포인팅 신호에서 드래그 신호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실시예로써, 방향 버튼(110)의 가압 시간에 기초하여 제1 신호가 마우스 포인팅 신호에서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로 전환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향 버튼(110)을 제1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신호는 제1 방향 또는 제1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의 마우스 포인팅 신호인데, 이러한 제1 방향으로의 가압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유지되는 경우 제1 신호는 특정 방향의 마우스 포인팅 신호에서 특정 방향으로 향하는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로 전환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제3 실시예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0)를 통하여 웹툰 등 세로 방향으로 길게 구성된 웹 페이지를 보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0)를 통하여 웹 페이지를 보고 있는 경우, 사용자가 방향 버튼(110)을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제1 신호인 마우스 포인팅 신호가 발생하여 마우스 포인터가 휴대용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11) 내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이러한 방향 버튼(110)의 아래 방향으로의 가압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유지되는 경우 제1 신호는 아래 방향의 마우스 포인팅 신호에서 아래 방향의 스크롤 신호로 전환되게 되어, 웹페이지가 아래 방향으로 자동으로 스크롤되게 된다.
이때 마우스 포인터는 디스플레이(10) 내의 가장 아래 방향에 놓이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를 찾지 못할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마우스 포인터가 디스플레이(10)의 중앙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우스 포인터 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이 사용자 편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의하여 마우스 포인팅 신호인 제1 신호가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로 전환된 상태에서, 이러한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의 발생을 해지시켜야 할 상황이 있다..
이를 위해서, 제1 신호가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인 상태에서 선택 버튼(120)을 동작시키는 경우, 스크롤 신호는 마우스 포인팅 신호로 전환되고, 드래그 신호는 드롭 신호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3 실시예의 경우,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 발생 해지를 방향 버튼(110)의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방향 버튼(110)의 제1 방향의 가압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유지하여 특정 방향으로 향하는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방향 버튼(110)을 다시 조작하되, 사용자가 방향 버튼(110)을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 또는 제1 방향과 90도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제1 신호는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에서 마우스 포인팅 신호로 다시 전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에서의 보조 버튼부(200)는 초기 화면(홈 화면) 복귀 신호 또는 뒤로 가기(Back)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3 버튼(23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제3 버튼(230)만으로 초기 화면 복귀 신호 및 뒤로 가기 신호를 모두 발생시킬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제3 버튼(230)의 동작 유지 시간 또는 동작 횟수에 기초하여 초기 화면 복귀 신호 및 뒤로 가기 신호가 선택적으로 발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3 버튼(230)을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누르고 있으면 초기 화면 복귀 신호가 발생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그 동작을 해제하면 뒤로 가기 신호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제3 버튼(230)을 1회 누를 경우 초기 화면 복귀 신호가 발생하고, 더블 클릭(Double Click)과 같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2회를 연속하여 누를 경우 뒤로 가기 신호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의 보조 버튼부(200)는 휴대용 단말기(10)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4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제4 버튼만으로 복수 개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제4 버튼의 동작 유지 시간 및 동작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각각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4 버튼의 동작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하로 유지시키면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제4 버튼의 동작을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유지시키면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제4 버튼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2회 동작시키면 제3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의 메인 버튼부(100)에 포함된 선택 버튼(120)의 경우, 주로 선택/실행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선택 버튼(120)의 동작 유지 시간 및 동작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각각 다른 제어 신호가 발생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선택 버튼(120)의 동작을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유지시키는 경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신호가 발생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선택 버튼(120)이 상술한 제4 버튼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선택 버튼(120)의 동작을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유지시키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2회 이상 동작시키는 경우, 초기 화면 복귀 신호 또는 뒤로 가기 신호가 발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선택 버튼(120)이 상술한 제3 버튼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는 메인 버튼부(100) 및 보조 버튼부(200)에 포함된 여러 버튼 중 적어도 2개를 동시에 동작시킴으로써 다양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선택 버튼(120)과 보조 버튼부(200)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버튼을 동시에 동작시킴으로써, 스마트 컨트롤러와 휴대용 단말기와의 페어링(Paring)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선택 버튼(120)과 보조 버튼부(200)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버튼을 동시에 동작시킴으로써 방향 버튼(110)에 의하여 발생되는 제1 신호의 방향성이 반대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스마트 컨트롤러의 방향 버튼(120)이 휴대용 단말기(10)의 후면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11)와 대향되는 방향에 놓인 상태로 스마트 컨트롤러를 조작하는 상황과, 스마트 컨트롤러를 휴대용 단말기와 분리한 후 방향 버튼(120)을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11)와 동일한 방향에 놓인 상태로 스마트 컨트롤러를 조작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두 상황에 따라 방향 버튼(110)의 좌/우 가압 방향과 마우스 포인터의 좌/우 이동 방향을 동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설정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선택 버튼(120)과 보조 버튼부(200)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버튼을 동시에 동작시킴으로써 상술한 방향 설정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27)

  1.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측방향 가압에 의하여 제1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향 버튼 및 상기 방향 버튼의 중앙부 또는 일측에 배치되고 하향 가압에 의하여 제2 신호를 발생시키는 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메인 버튼부; 및
    상기 메인 버튼부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보조 버튼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버튼부는 상기 메인 버튼부의 동작 모드를 키보드 모드로 설정하는 제1 버튼을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롤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메인 버튼부의 동작 모드가 키보드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방향 버튼의 가압 방향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방향 전환 신호이고, 상기 제2 신호는 선택 또는 실행 신호인 스마트 컨트롤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버튼부는 상기 메인 버튼부의 동작 모드를 마우스 모드로 설정하는 제2 버튼을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롤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메인 버튼부의 동작 모드가 마우스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방향 버튼의 가압 방향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마우스 포인팅 신호이고, 상기 제2 신호는 선택 또는 실행 신호인 스마트 컨트롤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가 마우스 포인팅 신호인 상태에서 상기 제2 버튼을 동작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는 마우스 포인팅 신호에서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로 전환되고,
    상기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로의 전환은 상기 제2 버튼의 동작 유지 시간 또는 동작 횟수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 컨트롤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버튼부는 초기 화면 복귀 또는 뒤로 가기 신호가 발생하도록 설정하는 제3 버튼을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롤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버튼의 동작 유지 시간 또는 동작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초기 화면 복귀 신호 및 상기 뒤로 가기 신호가 선택적으로 발생하는 스마트 컨트롤러.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버튼을 제1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는 특정 방향의 마우스 포인팅 신호이고, 상기 방향 버튼의 제1 방향 가압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특정 방향의 마우스 포인팅 신호에서 상기 특정 방향으로 향하는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로 전환되는 스마트 컨트롤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방향으로 향하는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는 상태에서 상기 방향 버튼의 가압 방향을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90도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는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에서 마우스 포인팅 신호로 다시 전환되는 스마트 컨트롤러.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버튼부의 동작 모드가 마우스 모드인 경우 상기 방향 버튼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미리 설정된 횟수를 동작시키면, 상기 제1 신호는 마우스 포인팅 신호에서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로 전환되는 스마트 컨트롤러.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버튼부의 동작 모드가 마우스 모드인 경우 상기 선택 버튼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가 마우스 포인팅 신호에서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로 전환되고,
    상기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로의 전환은 상기 선택 버튼의 동작 유지 시간 또는 동작 횟수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스마트 컨트롤러.
  13. 제6항,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가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인 상태에서 상기 선택 버튼을 동작시키는 경우, 상기 스크롤 신호는 마우스 포인팅 신호로 전환되고, 상기 드래그 신호는 드롭 신호로 전환되는 스마트 컨트롤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버튼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4 버튼을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롤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버튼의 동작 유지 시간 및 동작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각각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스마트 컨트롤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버튼의 동작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하로 유지시키면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상기 제4 버튼의 동작을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유지시키면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상기 제4 버튼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2회 동작시키면 제3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스마트 컨트롤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버튼의 동작 유지 시간 및 동작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각각 다른 제어 신호가 발생하는 스마트 컨트롤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버튼의 동작을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유지시키는 경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신호가 발생하는 스마트 컨트롤러.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버튼의 동작을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유지시키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2회 이상 동작시키는 경우 초기 화면 복귀 신호 또는 뒤로 가기 신호가 발생하는 스마트 컨트롤러.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버튼과 상기 보조 버튼부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버튼을 동시에 동작시키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페어링이 수행되는 스마트 컨트롤러.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버튼과 상기 보조 버튼부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버튼을 동시에 동작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신호의 방향이 반대로 전환되는 스마트 컨트롤러.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버튼부 및 상기 보조 버튼부를 수용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저면 또는 측면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가 형성되는 제2 몸체;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롤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2 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의 타측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롤러.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일측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접촉 결합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타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의 일측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저면과 접촉 결합되는 경우, 상기 수용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저면 및 상기 수평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수용부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제2 몸체와 결합되는 스마트 컨트롤러.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롤러.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의 저면에는 자성체가 배치되는 스마트 컨트롤러.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의 하측에는 상기 제1 몸체의 슬라이딩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 홈 또는 제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제1 홈 또는 제1 돌기와 대응되는 제2 돌기 또는 제2 홈이 형성되는 스마트 컨트롤러.
PCT/KR2018/005696 2017-05-19 2018-05-18 스마트 컨트롤러 WO2018212615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90000861.1U CN212009526U (zh) 2017-05-19 2018-05-18 智能控制器
JP2020514482A JP2020521264A (ja) 2017-05-19 2018-05-18 スマートコントローラ
US16/614,796 US11150744B2 (en) 2017-05-19 2018-05-18 Smart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034 2017-05-19
KR1020170062034A KR102180169B1 (ko) 2017-05-19 2017-05-19 스마트 컨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12615A1 true WO2018212615A1 (ko) 2018-11-22

Family

ID=6427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5696 WO2018212615A1 (ko) 2017-05-19 2018-05-18 스마트 컨트롤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50744B2 (ko)
JP (1) JP2020521264A (ko)
KR (1) KR102180169B1 (ko)
CN (1) CN212009526U (ko)
WO (1) WO20182126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29482A (ja) * 2019-04-17 2022-06-22 ビーエルデ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4次元タッチパッドモジュール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8131S1 (en) * 2019-02-19 2022-07-19 Miworld Accessories Llc Smart phone back protector with ring holder
KR102236945B1 (ko) 2019-04-10 2021-04-05 주식회사 비엘디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WO2021075894A1 (ko) * 2019-10-16 2021-04-22 (주)아이티버스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KR102468942B1 (ko) * 2019-10-16 2022-11-21 (주)아이티버스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US11994251B2 (en) * 2020-05-06 2024-05-28 Tommie T. Daniels Cellular phone carrier
KR102372938B1 (ko) 2020-10-15 2022-03-08 현의섭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KR102395632B1 (ko) 2020-10-15 2022-05-06 현의섭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KR102441963B1 (ko) 2020-10-16 2022-09-07 현의섭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착탈식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KR20230151497A (ko) 2022-04-25 2023-11-01 주식회사 비엘디 배면 터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스마트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1132A (ko) * 2013-04-05 2014-10-15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어 입력방법 및 입력장치
KR20140129817A (ko) * 2013-04-30 2014-11-0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어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20150059350A (ko) * 2013-11-22 2015-06-01 김수현 콘텐츠 실행 시스템 및 실행 방법
JP2015116459A (ja) * 2013-12-19 2015-06-25 誠二 石元 スマートフォンケース
JP5857246B2 (ja) * 2011-12-26 2016-02-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101637985B1 (ko) * 2015-02-16 2016-07-08 (주)아이티버스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8825A (ja) * 2004-01-15 2005-07-28 Olympus Corp 生体組織形成促進材とその製造方法
US20080007524A1 (en) * 2006-07-07 2008-01-10 Chun-Ching Chang Mouse capable of horizontal scrolling
JP2010081425A (ja) * 2008-09-26 2010-04-08 Panasonic Corp 制御装置およびペアリング方法
JP2010152761A (ja) * 2008-12-25 2010-07-08 Sony Corp 入力装置、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制御方法
JP2014503160A (ja) * 2011-01-21 2014-02-06 ヘリョン キム, 携帯端末用のフィンガーリングおよびこれを備える携帯端末ケース
KR20130000875U (ko) 2011-07-28 2013-02-06 최형근 스마트폰 블루투스 원격제어 엘이디 컨트롤러
KR20140017142A (ko) * 2012-07-31 2014-02-11 장경선 탈부착 가능한 손가락 끼움고리를 갖는 휴대폰용 케이스
KR101425949B1 (ko) * 2012-08-24 2014-08-05 (주)아이티버스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US20150163393A1 (en) * 2013-12-06 2015-06-11 Jwin Electronics Corp. Remote control built-in device case for electronic device
JP6247263B2 (ja) * 2015-09-10 2017-12-13 株式会社Access ビーコン装置、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ビーコン信号送信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7246B2 (ja) * 2011-12-26 2016-02-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20140121132A (ko) * 2013-04-05 2014-10-15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어 입력방법 및 입력장치
KR20140129817A (ko) * 2013-04-30 2014-11-0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어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20150059350A (ko) * 2013-11-22 2015-06-01 김수현 콘텐츠 실행 시스템 및 실행 방법
JP2015116459A (ja) * 2013-12-19 2015-06-25 誠二 石元 スマートフォンケース
KR101637985B1 (ko) * 2015-02-16 2016-07-08 (주)아이티버스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29482A (ja) * 2019-04-17 2022-06-22 ビーエルデ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4次元タッチパッドモジュール
JP7229454B2 (ja) 2019-04-17 2023-02-28 ビーエルデ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4次元タッチパッド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09985A1 (en) 2020-07-02
US11150744B2 (en) 2021-10-19
JP2020521264A (ja) 2020-07-16
CN212009526U (zh) 2020-11-24
KR102180169B1 (ko) 2020-11-18
KR20180126923A (ko) 201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12615A1 (ko) 스마트 컨트롤러
WO2016133315A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WO2014077630A1 (ko) 터치패드 입력장치
WO2014030949A1 (ko)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WO2018056783A1 (ko) 패치형 컨트롤러
WO2013073908A1 (en) Apparatus with touch screen for preload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6153101A1 (ko) 이동 단말기
WO2016204338A1 (ko) 전자디바이스
WO2015102175A1 (ko) 반지형 무선 콘트롤러 장치
WO2012008696A2 (ko) 터치스크린 버튼 어답터 키트
WO2019039702A1 (en) COVER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COVER DEVICE IDENTIFICATION METHOD
WO2016200117A1 (ko)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WO2010126295A2 (ko) 화면 스크롤 기능을 구비하는 스크롤 마우스
WO2016024656A1 (ko) 이동 단말기
WO2020032525A1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garding stylus pen and method thereof
WO2016085232A1 (ko) 단말기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WO2010110532A2 (ko) 터치 기능을 구비한 복합 입력장치
WO2020013542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방법
WO2016072672A1 (ko) 신호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장치
WO2022030910A1 (ko) 폴딩 각도에 따라 입력 모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방법
WO2017150790A1 (ko) 펜 마우스 장치
WO2021145614A1 (ko)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20213966A1 (ko) 4차원 터치패드 모듈
WO2021075894A1 (ko)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WO2020204656A1 (ko)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및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0301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51448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0301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