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56783A1 - 패치형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패치형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56783A1
WO2018056783A1 PCT/KR2017/010584 KR2017010584W WO2018056783A1 WO 2018056783 A1 WO2018056783 A1 WO 2018056783A1 KR 2017010584 W KR2017010584 W KR 2017010584W WO 2018056783 A1 WO2018056783 A1 WO 201805678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input unit
function
patch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058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연수
현의섭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버스 filed Critical (주)아이티버스
Priority to JP2019537731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9530123A/ja
Priority to US16/335,681 priority patent/US20210141425A1/en
Priority to CN201790001259.5U priority patent/CN211427312U/zh
Priority to EP17853497.0A priority patent/EP3518084B1/en
Publication of WO201805678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5678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8Accessories, i.e. detachable arrangements optional for the use of the video game device, e.g. grip supports of game controll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enclosures rot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or with ball-joint coupling, e.g. PDA with display enclosure orientation changeable between portrait and landscape by rotation with respect to a coplanar body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ler capable of generating an input signal of a mobile phon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the patch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large size display provides a patch type controller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freely and simply operate the portable terminal with one hand.
  • Patch-type controller has a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on the bottom or side so as to be connected to a mobile phone, a mobile phone cas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with an input unit formed to be operable by the use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mobile phone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input unit.
  • connection part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side or bottom of the main body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formed in a shape capable of mounting the mobile phone, the mobile phone case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the main body is formed of at least two powders having an input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powder are connected such that the connecting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at least two powders.
  • connection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main body is detachable.
  • connection part is one side of the adhesive member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he other side of the adhesive member is preferably bonded to one side of the mobile phone, cell phone case 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insert a finger to support the mobile phone, the mobile phone case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the support is formed in a "U" shape,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dy.
  • connection member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an "O" shape, it is preferable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connection member.
  • the connecting member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able to rotate left and right from the main body.
  • the input unit may include a direction input unit configured to perform at least one directional user interface (UI) function among a direction key function, a mouse function, and a scroll function; And a function input unit for driving a specific function included in the mobile phone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UI directional user interface
  • the direction input unit includes a direction input unit for generating a direction signal based on the lateral pressing; And a push button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direction input unit and generating an additional signal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signal by downward pressurization.
  • the additional signal is preferably a click signal or an enter signal.
  • the additional signal is preferably a telephone call on / off signal of a cellular phone or an on / off signal of a speakerphone function of the cellular phone.
  •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etting button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 signal generated from the direction input unit.
  • the cellular phone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or a program for sett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direction signal generated from the direction input unit.
  • the function input unit is preferably at least one function button for executing at least one specific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cellular phone 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the cellular phone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or a program for setting a particular application executed by the function button.
  • the function input unit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button for executing at least one specific application or specific program installed in the cellular phone 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the function input unit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butt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home button, a back button, and a specific mode button of a mobile phon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the function input unit preferably includes a button for implementing a function for converting a voice into a text or converting a text into a voice in a mobile phon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at least one of the input unit and the control unit.
  • the main body includes a connector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 the controller is capable of simultaneously controlling the mobile phone and the driving device drive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phone.
  • the driving device is a drone, and the drone can be adjusted by the input unit.
  •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attached to the dron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phone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output to the display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An extension bar extending from a side of the main body in a bar shape; And at least one auxiliary button disposed at one end of the extension bar facing the main body.
  • the input unit includes a direction input unit for performing at least one directional user interface (UI) function among a direction key function, a mouse function, and a scroll function, and a function input unit for driving a specific function included in the mobile phon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UI directional user interface
  • the direction input unit includes a direction input unit for generating a direction signal based on the lateral pressing and a push button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direction input unit and generating an additional signal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signal by downward pressing.
  • the function input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function button, and the auxiliary button may perform a function of the push button or the function button.
  • the end of the extension bar is preferably formed to be bent so that the auxiliary button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cell phone case 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a hole or a groove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main body.
  • a first fastening part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hole or a groove of the mobile phone case, and a second fastening part is formed o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are coupled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main body from falling off from the mobile phone.
  • the patch type controller provides a patch type controller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main body provided with a connection unit and an input unit and a mobile phon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a mobile phone, a mobile phone cas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hile supporting the portable terminal with one hand and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a separate input butt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ease of use of the user's portable terminal.
  • the input button by configuring the input button to be able to generate a variety of signals by the combination of the push button and the push butt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se that can reduce the cost and height constraints of the portable terminal.
  • FIG. 1 and 2 illustrate a patch type controll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and 4 illustrate a patch type controll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tch-typ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mobile phone.
  • FIG. 6 and 7 illustrate a patch controll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and 9 are view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mart button that can be used as a direction input unit of the patch-typ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 and 2 illustrate a patch type controll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atch contro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main body 1000 and a controller.
  • the main body 1000 is specifically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ion 100 and an input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100 is formed on the bottom or side of the main body 1000 to be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10, a mobile phone case or a tablet This is the configuration that allows it.
  •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10, a mobile phone case or a tablet
  • the control unit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cellular phone 10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connection part 100 extends from the side or bottom of the main body 1000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on part 100 is a mobile phone 10 or.
  • the cellular phone is formed into a shape that can accommodate a cellular phone cas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lready accommodated.
  • connection portion 100 of the patch-typ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1000, as shown in FIG.
  • the direction input unit 210 and the function input unit 220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0 of the patch contro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urther additional input means such as the touch pad 230 is disposed. It is also possible, the details of the input unit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patch type controller By coupling the patch typ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o a cellular phone, a cell phone cas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 patch type controller can be used like a game pad.
  • FIGS. 3 and 4 illustrate a patch type controll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atch controll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main body 1000 and a controller.
  • the main body 1000 is specifically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ion 100 and an input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100 is formed on the bottom or side of the main body 1000 to be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10, a mobile phone case or a tablet This is the configuration that allows it.
  •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10, a mobile phone case or a tablet
  • the control unit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cellular phone 10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the connecting portion 100 extends from the side or bottom of the main body 1000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Is formed, such a connection 100 is a mobile phone (10) or.
  • the cellular phone is formed into a shape that can accommodate a cellular phone cas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lready accommodated.
  • the main body 1000 is formed of two powders having an input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100 has two powders.
  • the connection part 100 and two powders are connected to be disposed between them.
  • the two powder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100 on the basis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horizontally, but it is also possible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respectively.
  • Two or more, for example, four powders of the upper side, the lower side,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may be arranged around the connection part 100.
  • connection portion 100 of the patch-typ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ormed to be detachable with the powder as shown in FIG.
  • the direction input unit 210 and the function input unit 22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wder of the patch-typ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s of the input unit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patch-type controller can be configured so that a user can hold two powders with two hands, respectively.
  • FIGS. 5 to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atch controll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mobile phone, and FIGS. 6 and 7 illustrate a patch controll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atch typ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0 and a controller.
  • the main body 1000 includes a connection part 100 and an input part in detail, and the connection part 100 is an adhesive member having one side thereof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0, and the other side of the adhesive member is a mobile phone 10. Adheres to one side of a cell phone cas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the patch typ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10 or the like as shown in FIG.
  • the control unit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cellular phone 10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a direction input unit 210 and a function input unit 220 may be disposed in the main body 1000 of the patch-typ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s of the input unit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main body 1000 of the patch-typ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support parts 410 and 430 formed so that the user can support the mobile phone 10 by inserting a finger.
  • the support 410 is formed in a "U" shape as shown in Figure 6,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ody 1000, respectively, the support 410 is the body 1000 It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0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member 420, the support portion 430 formed in the "O" shap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420, the connection It should be connect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up and down from the member 420.
  • connection member 42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0 so as to be able to rotate left and right about the main body 1000, and in this case, the support part 430 is vertically up and down based on the main body 1000. It can rotate in both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direction input unit 210 and the function input unit 22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0 of the patch-typ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s of the input unit will be described later.
  • FIGS. 8 and 9 are views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 smart button that can be used as a direction input unit of the patch-typ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atch-type controller includes an input unit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0, and the input unit may include a direction input unit 210 and a function input unit 220.
  • the direction input unit 210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at least one directional user interface (UI) function among a direction key function, a mouse function, and a scroll function.
  • UI directional user interface
  • direction input unit 210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direction input unit 211 and the direction input unit 211 that generates the direction signal based on the lateral press and generates an additional signal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signal by the downward press.
  • a push button 212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direction input unit 211 and the direction input unit 211 that generates the direction signal based on the lateral press and generates an additional signal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signal by the downward press.
  • the additional signal generated by the push button 212 may be a click signal or an enter signal, or may be a phone call on / off signal of a mobile phone or an on / off signal of a speakerphone function.
  • the patch-typ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tting button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 signal generated from the direction input unit 210.
  • the direction input unit 210 is disposed on the display direction side of the mobile phone 10, In the case of the patch type controller, the direction input unit 210 is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splay of the mobile phone 10.
  • the patch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setting button for setting the same.
  • the mobile phone 10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or a program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 signal generated from the direction input unit 210,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 signal may be set by the application or program. .
  •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 signal of the direction input unit 210 is automatically set in conjunction with the acceleration sensor, the gyro sensor, etc. in the mobile phone 10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out the user manually inputting the setting of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 signal. It would also be possible.
  • the smart button illustrated in FIGS. 8 and 9 may be applied, and thus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direction input unit 210 may be implemented.
  • the direction input unit 210 applied to the patch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10, a push button 1120, a sensor 1130, and a contact 1140.
  • the housing 1110 is formed to provide an inner space with an open upper side.
  • the push button 1120 is seated in the inner space provided in the housing 1100, is not fixed in a state seated in the inner space is configured to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ateral direction, such as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 the sensor 1130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on either the outer surface of the push button 1120 or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10, and the contact point 1130 is the outer surface of the push button 1120 or the inside of the housing 1110. It is a structure provided in the other side of a side surface.
  • the senor 1130 may be formed by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two or more terminal switches, and the terminal switches serve as the sensors 1130.
  • the contact 1130 is preferably formed of a conductor, and when the push button 1120 is pushed laterally, the contact 1130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1130 at a sensor 1130 positio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ush button 1200 moves. The input signal assigned to the contacted sensor 1130 is generated.
  • a push method input button in which an input signal is generated by pushing a button in a lateral direction has been proposed in various structures.
  • a push sensor for detecting a lateral press is essentially required.
  •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ignal input device must be very high.
  • the pressure sensor when a different type of input signal is generated depending on which direction the button is pushed, the pressure sensor must be mounted one by one in each direction to which the pressing force is applied. there was.
  • the direction input unit 210 applied to the patch-typ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side without a separate pressure sensor for each direc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different types of input signals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directions. There are advantages to it.
  • the elastic member 1160 to return the position of the push button 1120 so that the sensor 1130 and the contact 1140 is spaced apar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 the push button 1120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160.
  • the sensor 1130 and the contact 11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no input signal is generated.
  • the direction input unit 210 applied to the patch-typ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witch 1170 and the push button 1120 disposed on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It may further include a push button 1150.
  • Push button 1150 penetrates push button 1120 upwardly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bottom is seated on switch 1170 and pushes down when push downward pressure is applied to push button 1120. Generates a signal separate from the signal generated by the movement.
  • various signals can be generate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push button 1120 and the push button 1150.
  • the direction input unit 210 applied to the patch-typ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member 1180, a push button 1120, a sensor unit 1130, and a contact 1140.
  • the base member 1180 includes a bottom surface 1181 and a protrusion 1182 protruding upward from a central side of the bottom surface 1181.
  • the push button 1120 is disposed above the protrusion 1182, and a downward side wall 1121 formed downwar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118 is formed.
  • a sensor unit 1130 is provided on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protrusion 1182, and a sensor unit 1130 is dispos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downward side wall 1121.
  • the contact point 1140 may be provid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 the senor 1130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wnward side wall 1121, and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downward side wall 1121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protrusion 1118.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contact point 1140 at.
  • the sensor 1130 and the contact point 1400 when the push button 1120 moves laterally, the sensor 1130 and the contact point 1400 generate signals by contacting each other. Specifically, the push button 1120 moves upward and downward. Rather, it is configured to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ateral direction, such as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and when the user pushes the push button 1120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contact point 1140 is a sensor unit located in the direction of the push button 1120 ( By contacting 1130, an input signal related to a corresponding sensor among a plurality of sensors formed in the sensor unit 1130 is generated.
  • the push button 1120 should be configured to be movable only in the front and rear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out rotation, which may not be in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sensor desired by the user when the push button 1120 is rotatable. This may cause unwanted input signals.
  • a touch sensor or a tactile sensor may be used as the sensor unit 1130, and in consideration of reduction in manufacturing cost and light weight of the product,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flexible circuit board.
  • At least one sensor is disposed on the flexible circuit board, and the sensor is formed by a terminal switch including a positive terminal and a negative terminal, and the contact button 1140 is formed of a conductor so that the push button 1120 is laterally oriented.
  •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of the terminal switch to contact the contact 1140,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is short-circuited, thereby generating an input signal.
  • the terminal switch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with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urther have a portion that is alternate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an anode having an uneven patter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uneven portion is arranged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 Consists of a terminal and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may be arranged to be interdigitated with the mutually uneven parts to be configured to maintain a finely spaced state from each other.
  • the contact point 1140 may be formed to protrude only a contact portion for a solid short circuit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 the push button 1120 after moving the push button 1120 in the lateral direc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1160 for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again, the push button 1120 as the elastic member 1160 to move laterally When compressed, it is preferable to apply an elastic material such as carbon sponge or silicon to apply the resilient elastic force to the push button 1120.
  • an elastic material such as carbon sponge or silicon
  • the patch-type controller includes a direction input unit 210 and a function input unit 220 as described above.
  • the function input unit 220 will be described.
  • the function input unit 220 performs a function of driving a specific function included in the mobile phone 10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and the function input unit 220 is at least installed in the mobile phone 10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t least one function button for executing one specific application or a specific program is included.
  • the three function buttons may execute the camera application, the music application, and the web browser application, respectively.
  • an application or a program executed by such a function button may be set by a user.
  • the patch typ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tting button for setting a specific application executed by the function button.
  • the mobile phone 10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or a program for setting a specific application executed by the function button.
  • the function input unit 220 may include at least one butt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home button, a back button, and a specific mode button of the mobile phone 10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the function input unit 220 may include a button for implementing a function of converting a voice into a text or a text into a voice in the mobile phone 10 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the main body 1000 of the patch-type controller includes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at least one of the input unit and the control unit.
  • such a battery is a rechargeable battery
  • the main body 100 may include a connector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 Such a connector terminal is preferably for user convenience by applying such a connector terminal of a cellular phone 10 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the patch type controller accommodates or attaches.
  • controller of the patch-typ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simultaneously controlling the mobile phone 10 and the driving device drive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phone.
  • the driving device is a drone
  • the user manipulates the drone by manipulating the input of the patch type controller.
  • a camera installed in the drone photographs an image
  • the photographed image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phone 10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output the corresponding image to the display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10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the patch-type controller is at least one end of the extension bar and the extension bar forme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0 and the extension bar is formed at one end facing the main body 1000 It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button.
  • the auxiliary button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push button or the function button described above, and the end of the extension bar is formed to be bent so that the auxiliary button can be attached to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10, the mobile phone case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esirable.
  • a hole or a groove is formed in the mobile phone case of the mobile phone 10 to which the patch type controller is at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main body 1000 of the patch type controller can be accommodated.
  • a first fastening portion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e or groove of the mobile phone case,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main body 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are formed. It may be desirable for the fastening portions to be coupled to each other to prevent the main body from falling off from the mobile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저면 또는 측면에는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형성된 입력부가 구비된 본체;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가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일측면이 본체의 저면에 배치된 접착부재이고, 상기 접착부재의 타측면은 상기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일측에 접착된다. 상기 입력부는 방향키 기능, 마우스 기능 및 스크롤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성 UI(User Interface) 기능을 수행하는 방향 입력부; 및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구비하고 있는 특정 기능을 구동시키는 기능 입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입력부 및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폰 및 상기 휴대폰과 무선 통신을 통하여 구동되는 구동 디바이스를 동시에 제어 가능하다.

Description

패치형 컨트롤러
본 발명은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 등의 휴대 가능한 단말기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스마트폰의 경우 휴대가 간편하고 통화 본연의 기능에 충실하도록 작은 크기의 액정이 적용되었으나, 최근 사용자들은 휴대성보다는 넓은 화면에서 더욱 많은 정보를 얻는 것을 선호하는 추세가 계속됨으로써 큰 사이즈의 액정을 구비한 스마트폰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사이즈 증대로 인하여 사용자의 시각적 쾌적감을 만족시킬 수는 있지만, 스마트폰을 한 손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경우 대부분의 입력은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게임을 할 경우 정교한 조작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조작 버튼을 손으로 입력하여 조작하는 경우, 조작 버튼이나 손이 디스플레이를 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큰 사이즈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라도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자유롭고 간단히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패치형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저면 또는 측면에는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형성된 입력부가 구비된 본체;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 또는 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거치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입력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2개의 분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적어도 2개의 분체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분체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가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는 일측면이 상기 본체의 저면에 배치된 접착부재이고, 상기 접착부재의 타측면은 상기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일측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본체의 일측면 및 타측면과 연결되되, 상기 지지부가 상기 몸체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O"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상하 방향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본체로부터 좌우 방향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부는, 방향키 기능, 마우스 기능 및 스크롤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성 UI(User Interface) 기능을 수행하는 방향 입력부; 및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구비하고 있는 특정 기능을 구동시키는 기능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 입력부는, 측방향 가압에 기초하여 방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향 입력 유닛; 및 상기 방향 입력 유닛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하향 가압에 의하여 상기 방향 신호와는 다른 추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누름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가 신호는 클릭 신호 또는 엔터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가 신호는 휴대폰의 전화 통화 온/오프 신호 또는 휴대폰의 스피커폰 기능의 온/오프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 입력부로부터 발생되는 방향 신호의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는, 상기 방향 입력부로부터 발생되는 방향 신호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 입력부는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 버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 버튼에 의하여 실행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는, 상기 기능 버튼에 의하여 실행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 입력부는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 입력부는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홈 버튼(Home Button), 백 버튼(Back Button) 및 특정 모드 버튼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 입력부는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거나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상기 입력부 및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폰 및 상기 휴대폰과 무선 통신을 통하여 구동되는 구동 디바이스를 동시에 제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디바이스는 드론이고, 상기 입력부에 의하여 상기 드론의 조정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론에 부착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이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전송되어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바(Bar)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바; 및 상기 연장바 중 상기 본체와 대향되는 일단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부는 방향키 기능, 마우스 기능 및 스크롤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성 UI(User Interface) 기능을 수행하는 방향 입력부 및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구비하고 있는 특정 기능을 구동시키는 기능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입력부는 측방향 가압에 기초하여 방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향 입력 유닛 및 상기 방향 입력 유닛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하향 가압에 의하여 상기 방향 신호와는 다른 추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누름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 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버튼은 상기 누름 버튼 또는 상기 기능 버튼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버튼이 상기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측면에 부착되도록 상기 연장바의 끝단은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폰이 실장되는 휴대폰 케이스에는 상기 본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홀 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폰 케이스의 홀 또는 홈의 내주면에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중 상기 제1 체결부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와 입력부가 구비된 본체 및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패치형 컨트롤러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한 손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별도의 입력버튼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입력버튼을 밀기버튼 및 누름버튼의 조합에 의한 다양한 신호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원가 절감 및 휴대용 단말기의 높이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가 휴대폰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구성 중 방향 입력부로 활용 가능한 스마트 버튼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크게 본체(100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체(1000)는 구체적으로 연결부(100) 및 입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연결부(100)는 본체(1000)의 저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어 휴대폰(10), 휴대폰 케이스 또는 타블렛과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어부는 휴대폰(10)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00)가 본체(1000)의 측면 또는 저면으로부터 본체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러한 연결부(100)는 휴대폰(10)이나. 휴대폰이 이미 수용된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거치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연결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0)와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본체(1000) 상면에는 방향 입력부(210) 및 기능 입력부(220)가 배치되고, 더 나아가 터치패드(230) 등의 추가 입력 수단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입력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를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결합함으로써, 패치형 컨트롤러는 게임 패드와 같이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크게 본체(100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체(1000)는 구체적으로 연결부(100) 및 입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연결부(100)는 본체(1000)의 저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어 휴대폰(10), 휴대폰 케이스 또는 타블렛과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어부는 휴대폰(10)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와 마찬가지로 연결부(100)가 본체(1000)의 측면 또는 저면으로부터 본체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러한 연결부(100)는 휴대폰(10)이나. 휴대폰이 이미 수용된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거치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경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0)는 입력부를 구비하는 2개의 분체로 형성되되, 연결부(100)는 2개의 분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연결부(100) 및 2개의 분체가 연결되게 된다.
도 3 및 도 4의 경우, 2개의 분체가 각각 휴대용 단말기가 가로로 놓여 있는 기준으로 연결부(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나아가 분체는 2개가 아닌 2개 이상, 예를 들면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의 4개의 분체가 연결부(100)를 중심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연결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체들과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분체들 상면에는 각각 방향 입력부(210) 및 기능 입력부(2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입력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를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2개의 분체를 두 손으로 각각 파지할 수 있도록 패치형 컨트롤러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가 휴대폰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크게 본체(100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체(1000)는 구체적으로 연결부(100) 및 입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연결부(100)는 그 일측면이 본체(1000)의 저면에 배치된 접착부재이며, 접착부재의 타측면은 휴대폰(10),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일측에 접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 등의 후면에 부착되게 된다.
제어부는 휴대폰(10)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본체(1000)에는 각각 방향 입력부(210) 및 기능 입력부(2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입력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본체(1000)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하여 휴대폰(10)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부(410, 43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부(4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 및 타단이 각각 본체(1000)의 일측면 및 타측면과 연결되되 지지부(410)가 몸체(1000)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본체(10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0)의 상면에는 연결부재(42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O"자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430)가 연결부재(420)와 연결되되, 연결부재(420)로부터 상하 방향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상술한 연결부재(420)는 본체(1000)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 회동 가능하도록 본체(100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국 지지부(430)는 본체(1000)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모두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본체(1000) 상면에는 각각 방향 입력부(210) 및 기능 입력부(2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입력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입력부에 대하여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구성 중 방향 입력부로 활용 가능한 스마트 버튼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본체(1000) 상면에 입력부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입력부는 방향 입력부(210) 및 기능 입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 입력부(210)는 방향키 기능, 마우스 기능 및 스크롤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성 UI(User Interface)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또한, 방향 입력부(210)는 측방향 가압에 기초하여 방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향 입력 유닛(211) 및 방향 입력 유닛(211)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하향 가압에 의하여 방향 신호와는 다른 추가 신호를 방생시키는 누름 버튼(212)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누름 버튼(212)에 의하여 발생한 추가 신호는 클릭 신호나 엔터 신호일 수 있으며, 또는 휴대폰의 전화 통화 온/오프 신호나 스피커폰 기능의 온/오프 신호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방향 입력부(210)로부터 발생되는 방향 신호의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경우, 방향 입력부(210)는 휴대폰(10)의 디스플레이 방향쪽에 배치되는 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경우, 방향 입력부(210)는 휴대폰(10)의 디스플레이와 반대 방향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의 방향 입력부(210)에서의 좌/우 방향 설정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방향 입력부(210)의 경우와 반대로 설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패치 컨트롤러는 이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휴대폰(10)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는 방향 입력부(210)로부터 발생되는 방향 신호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도록 하여,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방향 신호의 방향성을 설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방향 신호의 방향성의 설정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하지 않고 휴대폰(10)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에서의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과 연동하여 방향 입력부(210)의 방향 신호의 방향성을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방향 입력부(210)의 경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스마트 버튼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방향 입력부(210)의 구조 및 기능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우선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방향 입력부(210)의 일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방향 입력부(210)는 크게 하우징(1110), 밀기버튼(1120), 센서(1130) 및 접점(1140)을 포함한다.
하우징(1110)은 상측이 개방된 내측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된다.
밀기버튼(1120)은 하우징(1100)에 마련된 내측공간에 안착되며, 내측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후 및 좌우 등 측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센서(1130)는 밀기버튼(1120)의 외측면 또는 하우징(1110)의 내측면 중 어느 한 쪽에 구비되는 구성이고, 접점(1130)은 밀기버튼(1120)의 외측면 또는 하우징(1110)의 내측면 중 다른 한 쪽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센서(1130)는 둘 이상의 단자스위치를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단자스위치가 센서(1130)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접점(1130)은 도전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국 밀기버튼(1120)을 측방향으로 밀었을 때, 밀기버튼(1200)이 움직이는 방향에 위치하는 센서(1130)에 접점(1130)에 접촉되고, 접촉된 센서(1130)에 할당된 입력신호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측방향으로 버튼을 밀어 가압함에 따라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밀기방식 입력버튼은 이미 다양한 구조로 제안된 바 있는데, 종래의 밀기방식 입력버튼은 측방향 가압을 감지하기 위한 가압센서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바, 신호입력장치의 제조원가가 매우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버튼을 어느 방향으로 미는지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입력신호가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가압력이 인가되는 각 방향별로 하나씩 가압센서가 장착되어야 하므로, 상기와 같은 제조원가 문제는 더욱 커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방향 입력부(210)의 일 예에 따르면, 각 방향 별 별도의 가압센서 없이도 측방으로 가압력이 인가되었을 때 해당 방향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밀기버튼(1120)이 어느 일측으로 밀려 이동됨에 따라 접점(1140)이 어느 하나의 센서(1130)를 접속시킨 후 상기 밀기버튼(1120)에 인가되어 있던 가압력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센서(1130)가 접속된 상태가 계속 유지되면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입력신호가 지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밀기버튼(1120)이 측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센서(1130)와 상기 접점(1140)이 이격되도록 상기 밀기버튼(1120)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탄성부재(11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1160)가 구비되면, 상기 밀기버튼(1120)에 인가되었던 측방향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밀기버튼(1120)은 상기 탄성부재(1160)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바, 센서(1130)와 접점(1130)이 이격된 상태 즉, 어떠한 입력신호도 발생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방향 입력부(210)의 일 예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하단에 배치된 스위치(1170)와 밀기버튼(1120)의 상면에 배치되는 누름버튼(1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버튼(1150)은 밀기버튼(1120)을 상향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이 상기 스위치(1170)에 안착되어 하향 가압력이 인가될 때 아래로 밀려 상기 스위치(1170)를 누름으로써 밀기버튼(1120)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와는 별개의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밀기버튼(1120)과 누름버튼(1150)의 작동 조합에 기초하여 다양한 신호의 발생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방향 입력부(210)의 다른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방향 입력부(210)은 크게 베이스부재(1180), 밀기버튼(1120), 센서부(1130), 접점(1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부재(1180)는 바닥면(1181) 및 바닥면(1181)의 중심부측에 상향 돌출된 돌출부(1182)를 포함한다.
밀기버튼(1120)은 돌출부(1182)의 상측에 배치되는데, 돌출부(1182)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향으로 형성된 하향측벽(1121)이 형성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82)의 외측면에는 센서부(1130)가 구비되고, 하향측벽(1121)의 내측면에는 돌출부(1182)의 외측면 중 센서부(1130)가 배치된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에 접점(1140)을 구비할 수 있다.
반대로, 하향측벽(1121)의 내측면에 센서부(1130)가 구비되고, 돌출부(1182)의 외측면에는 하향측벽(1121)의 내측면 중 센서부(1130)가 배치된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에 접점(1140)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조 하에서, 밀기버튼(112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센서(1130) 및 접점(1400)이 상호 접촉함으로써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이러한 밀기버튼(1120)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전후 및 좌우 등 측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사용자가 밀기버튼(1120)을 측방향으로 밀었을 때 접점(1140)은 밀기버튼(1120)이 움직이는 방향에 위치하는 센서부(1130)에 접촉됨으로써 센서부(1130) 내에 형성된 복수의 센서 중 해당되는 센서와 관련된 입력신호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밀기버튼(1120)은 회전하지 않고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이는 밀기버튼(1120)의 회전이 가능할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해당 센서와 접점이 접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원치 않는 입력신호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센서부(1130)로서는 터치센서 또는 촉각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조 원가 절감 및 제품의 경량화 등을 고려할 때, 연성회로기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성회로기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배치시키되, 이러한 센서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포함하는 단자스위치로 형성되게 하고, 접점(1140)을 도전체로 형성함으로써, 밀기버튼(1120)을 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단자스위치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모두 접점(1140)과 접촉하게 함으로써 상기 양극단자와 상기 음극단자가 단락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서 입력신호를 발생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자스위치는 구체적으로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서로 이격시켜 나란히 배치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수평방향으로 교번으로 배열되는 부위를 갖도록 즉, 상하 방향으로 요철패턴을 가지며 요철부위가 엇갈려 맞물리도록 배열되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는 상호 요철부위가 엇갈려 맞물리도록 배치되되 상호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동시에, 접점(1140)의 경우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상호간의 견고한 단락을 위하여 접촉 부위만을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밀기버튼(1120)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11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부재(1160)로써는 밀기버튼(1120)이 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압축됨으로써 밀기버튼(1120)에 복원탄성력을 인가하는 카본스펀지나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방향 입력부(210) 및 기능 입력부(220)를 구비하는데, 이하 기능 입력부(22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기능 입력부(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폰(10)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구비하고 있는 특정 기능을 구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 입력부(220)는 휴대폰(10) 도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 버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패치형 컨트롤러에 기능 버튼이 3개가 구비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3개의 기능 버튼은 각각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음악 어플리케이션,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버튼에 의하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기능 버튼에 의하여 실행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휴대폰(10)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는, 기능 버튼에 의하여 실행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기능 입력부(220)는 휴대폰(10)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홈 버튼(Home Button), 백 버튼(Back Button) 및 특정 모드 버튼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 입력부(220)는 휴대폰(10)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거나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본체(1000)에는 입력부 및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한다.
특히, 이러한 배터리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써 본체(100)에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커넥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단자는 패치형 컨트롤러가 수용 또는 부착하고 있는 휴대폰(10)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커넥터 단자와 같은 것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제어부는, 휴대폰(10) 및 휴대폰과 무선 통신을 통하여 구동되는 구동 디바이스를 동시에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디바이스가 드론일 경우, 사용자는 패치형 컨트롤러의 입력부를 조작하여 드론을 조정한다.
이때, 드론에 설치된 카메라가 영상을 촬영하는데,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휴대폰(10)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전송되어 휴대폰(10)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해당 영상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본체(1000)의 일측면으로부터 바(Bar)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바 및 연장바 중 본체(1000)와 대향되는 일단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버튼은 앞서 설명한 누름 버튼 또는 기능 버튼의 기능을 수행하며, 보조 버튼이 휴대폰(10),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연장바의 끝단은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가 부착된 휴대폰(10)의 휴대폰 케이스에는 패치형 컨트롤러의 본체(10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홀 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치형 컨트롤러가 휴대폰(10)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이 상태에서 휴대폰(10)을 휴대폰 케이스에 실장하게 되면 패치형 컨트롤러의 높이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폰 케이스 중 패치형 컨트롤러와 대응되는 영역에 홈 또는 홀을 형성시키게 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휴대폰 케이스의 홀 또는 홈의 내주면에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 중 상기 제1 체결부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30)

  1. 저면 또는 측면에는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형성된 입력부가 구비된 본체;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패치형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가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패치형 컨트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측면이 상기 본체의 저면에 배치된 접착부재이고,
    상기 접착부재의 타측면은 상기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일측에 접착되는 패치형 컨트롤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패치형 컨트롤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본체의 일측면 및 타측면과 연결되되,
    상기 지지부가 상기 몸체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패치형 컨트롤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O"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상하 방향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패치형 컨트롤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본체로부터 좌우 방향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패치형 컨트롤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방향키 기능, 마우스 기능 및 스크롤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성 UI(User Interface) 기능을 수행하는 방향 입력부; 및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구비하고 있는 특정 기능을 구동시키는 기능 입력부;
    를 포함하는 패치형 컨트롤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입력부는,
    측방향 가압에 기초하여 방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향 입력 유닛; 및
    상기 방향 입력 유닛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하향 가압에 의하여 상기 방향 신호와는 다른 추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누름 버튼;
    을 포함하는 패치형 컨트롤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신호는 클릭 신호 또는 엔터 신호인 패치형 컨트롤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신호는 휴대폰의 전화 통화 온/오프 신호 또는 휴대폰의 스피커폰 기능의 온/오프 신호인 패치형 컨트롤러.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입력부로부터 발생되는 방향 신호의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 버튼;을 더 포함하는 패치형 컨트롤러.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는, 상기 방향 입력부로부터 발생되는 방향 신호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패치형 컨트롤러.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입력부는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 버튼인 패치형 컨트롤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버튼에 의하여 실행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버튼;을 더 포함하는 패치형 컨트롤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는, 상기 기능 버튼에 의하여 실행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패치형 컨트롤러.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입력부는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홈 버튼(Home Button), 백 버튼(Back Button) 및 특정 모드 버튼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패치형 컨트롤러.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입력부는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거나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패치형 컨트롤러.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입력부 및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패치형 컨트롤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패치형 컨트롤러.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폰 및 상기 휴대폰과 무선 통신을 통하여 구동되는 구동 디바이스를 동시에 제어 가능한 패치형 컨트롤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디바이스는 드론이고, 상기 입력부에 의하여 상기 드론의 조정이 가능한 패치형 컨트롤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에 부착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이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전송되어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패치형 컨트롤러.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바(Bar)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바; 및
    상기 연장바 중 상기 본체와 대향되는 일단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버튼;
    을 더 포함하는 패치형 컨트롤러.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방향키 기능, 마우스 기능 및 스크롤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성 UI(User Interface) 기능을 수행하는 방향 입력부 및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구비하고 있는 특정 기능을 구동시키는 기능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입력부는 측방향 가압에 기초하여 방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향 입력 유닛 및 상기 방향 입력 유닛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하향 가압에 의하여 상기 방향 신호와는 다른 추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누름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 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버튼은 상기 누름 버튼 또는 상기 기능 버튼의 기능을 수행하는 패치형 컨트롤러.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버튼이 상기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측면에 부착되도록 상기 연장바의 끝단은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패치형 컨트롤러.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이 실장되는 휴대폰 케이스에는 상기 본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홀 또는 홈이 형성되는 패치형 컨트롤러.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의 홀 또는 홈의 내주면에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중 상기 제1 체결부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치형 컨트롤러.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 또는 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거치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패치형 컨트롤러.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입력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2개의 분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적어도 2개의 분체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분체가 연결되는 패치형 컨트롤러.
PCT/KR2017/010584 2016-09-26 2017-09-26 패치형 컨트롤러 WO2018056783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537731A JP2019530123A (ja) 2016-09-26 2017-09-26 パッチ型コントローラ
US16/335,681 US20210141425A1 (en) 2016-09-26 2017-09-26 Patch type controller
CN201790001259.5U CN211427312U (zh) 2016-09-26 2017-09-26 贴片型控制器
EP17853497.0A EP3518084B1 (en) 2016-09-26 2017-09-26 Patch type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793 2016-09-26
KR1020160122793A KR101861530B1 (ko) 2016-09-26 2016-09-26 패치형 컨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56783A1 true WO2018056783A1 (ko) 2018-03-29

Family

ID=61690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0584 WO2018056783A1 (ko) 2016-09-26 2017-09-26 패치형 컨트롤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141425A1 (ko)
EP (1) EP3518084B1 (ko)
JP (1) JP2019530123A (ko)
KR (1) KR101861530B1 (ko)
CN (1) CN211427312U (ko)
WO (1) WO20180567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8363A (zh) * 2017-06-21 2019-03-15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与可变换遥控器有关的方法和装置
USD937933S1 (en) * 2019-02-07 2021-12-07 Razer (Asia-Pacific) Pte. Ltd. Controller
KR102468942B1 (ko) * 2019-10-16 2022-11-21 (주)아이티버스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US11717746B1 (en) * 2022-10-12 2023-08-08 T2M, Inc. Video gaming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727B1 (ko) * 2006-09-29 2007-08-28 주식회사 뉴빛 휴대폰 기능을 겸비한 휴대폰 케이스
KR20110115453A (ko) * 2010-04-15 2011-10-21 남윤영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입력장치
KR20140035209A (ko) * 2012-09-13 2014-03-21 (주)애니토이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
KR200472008Y1 (ko) * 2013-03-08 2014-04-01 김봉철 다양한 크기의 링으로 교체 가능한 휴대폰 홀더
KR20150025754A (ko) * 2013-08-30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87259A (ko) * 2012-11-01 2015-07-29 위키패드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디바이스 컨트롤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0070U (ja) * 1992-01-10 1993-08-06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ワイヤレスコントローラ
JP3086041U (ja) * 2001-11-14 2002-05-31 昭彦 米谷 携帯情報機器に装着する脱着式データ入力操作部
JP4887244B2 (ja) * 2007-09-04 2012-02-29 株式会社タイトー 携帯電話機
US20090090750A1 (en) * 2007-10-03 2009-04-09 Wendell Alcenat Finger holder for electronic accessories
US8858335B2 (en) * 2013-01-18 2014-10-14 Microsoft Corporation Reconfigurable clip-on modules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CA2908911C (en) * 2013-04-12 2017-09-26 Aauxx Korea Co., Ltd Mobile device accessory and apparatus for mounting the same on an automotive
KR101637985B1 (ko) * 2015-02-16 2016-07-08 (주)아이티버스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727B1 (ko) * 2006-09-29 2007-08-28 주식회사 뉴빛 휴대폰 기능을 겸비한 휴대폰 케이스
KR20110115453A (ko) * 2010-04-15 2011-10-21 남윤영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입력장치
KR20140035209A (ko) * 2012-09-13 2014-03-21 (주)애니토이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
KR20150087259A (ko) * 2012-11-01 2015-07-29 위키패드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디바이스 컨트롤러
KR200472008Y1 (ko) * 2013-03-08 2014-04-01 김봉철 다양한 크기의 링으로 교체 가능한 휴대폰 홀더
KR20150025754A (ko) * 2013-08-30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ONYMOUS: "Remarkable Performance of DJI's Inspire 1 Created in China and Seen at P&i", PHOTOHISTORY.TISTORY.COM, 17 April 2015 (2015-04-17), XP055590615,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photohistory.tistory.com/15337> *
See also references of EP3518084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41425A1 (en) 2021-05-13
JP2019530123A (ja) 2019-10-17
CN211427312U (zh) 2020-09-04
KR20180033627A (ko) 2018-04-04
EP3518084A4 (en) 2020-05-27
EP3518084A1 (en) 2019-07-31
EP3518084B1 (en) 2021-05-19
KR101861530B1 (ko) 201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12615A1 (ko) 스마트 컨트롤러
WO2018056783A1 (ko) 패치형 컨트롤러
WO2016133315A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WO2016125947A1 (ko) 이동 단말기
WO2020054883A1 (ko) 이동 단말기
WO2020096413A1 (en) Pop-up and rotational camer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5133827A1 (en) Mobile electronic apparatus, accessory device therefo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accessory device
WO2016153101A1 (ko) 이동 단말기
WO2016021779A1 (ko) 이동 단말기
WO2016167437A1 (ko) 이동 단말기
WO2016204338A1 (ko) 전자디바이스
WO2016153086A1 (ko) 전자기기 및 그 제조방법
WO2021020801A1 (ko) 이벤트에 따라 형태가 전환되는 접이식 전자 장치 및 그 접이식 전자 장치의 형태를 전환하는 방법
WO2021157891A1 (ko) 음향 경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6056730A1 (en) Mobile terminal
WO2016024656A1 (ko) 이동 단말기
WO2020032525A1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garding stylus pen and method thereof
WO2018074615A1 (ko) 이동 단말기
WO2022030804A1 (ko) 화면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5194716A1 (ko) 이동 단말기
WO2017217579A1 (ko) 이동 단말기
WO2016093414A1 (ko) 터치입력장치용 센서-액츄에이터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WO2022055178A1 (ko) 다양한 형태의 콘텐트를 표시하기 위한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2054986A1 (ko) 이동 단말기
WO2020209444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534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537731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534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