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24656A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24656A1
WO2016024656A1 PCT/KR2014/007952 KR2014007952W WO2016024656A1 WO 2016024656 A1 WO2016024656 A1 WO 2016024656A1 KR 2014007952 W KR2014007952 W KR 2014007952W WO 2016024656 A1 WO2016024656 A1 WO 201602465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isplay unit
mobile terminal
unit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795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충환
이병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503,953 priority Critical patent/US9954986B2/en
Publication of WO201602465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2465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3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the relative angle between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 Terminals may be divided into mobile / portable terminals and stationary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mobility.
  • the mobile terminal may be further classifi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ed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a user can directly carry it.
  • the functions of mobile terminals are diversifying. For example,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taking a picture and video with a camera, recording a voice, playing a music file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outputting an image or video to a display unit.
  • Some terminals have an electronic game play function or a multimedia player function.
  • recent mobile terminals may receive multicast signals that provide visual content such as broadcasting, video, and television programs.
  • such a terminal is a multimedia player having a complex function such as taking a picture or a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playing a game, or receiving a broadcast. Is being implemented.
  • the mobile terminal is regarded as a personal portable device for expressing its personality
  • various design forms are required.
  • the design form also includes structural changes and improvements for the user to use the mobile terminal more conveniently.
  •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n image and a main body provided with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battery are configured in a single case, thereby limiting the design change of the mobile terminal.
  •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battery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main body for outputting an image and the second main body provided with an electronic component therein.
  • the first body having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n image on one surface; A second main body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econd main body including a substrate unit in which an electronic component is mounted and a power battery for supplying power; And a connection membe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t lower ends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wherein the connection member comprises: a body part forming an external shape; An installation part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on which the first main body and the second main body are placed; A flexible substrate disposed in the body part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terminal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lexible substrate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installation unit and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respectively.
  • the body portion may be flexible so tha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move in a staggered or paralle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button unit provided at a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facing the second body and configured to receive a push input.
  • the displa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display unit which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outputs an image.
  • the displa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amera mounted at one edge portion of the auxiliary display unit.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eft edge and the right edge of the second body, and a second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eft edge and the right edge of the second body.
  • a first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eft edge and the right edge of the second body
  • a second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eft edge and the right edge of the second body.
  • the distance of the subject may be detected by a sensor located closer to the first camera among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 the camera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amera provided at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main body to perform shooting.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module mount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 the auxiliary module may include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an electronic component installed in one or both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 the auxiliary module may include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transmitted from any one or both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ttery is inserted into the button unit;
  •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nsertion groov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 a clip provided at a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such that a current charged in the battery is supplied to the first body by contact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 the auxiliary module is a magnetic member having a magnet therein, a magnetic body is mounted inside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respectively, and the first body and the magnetic body by the interaction of the magnetic member The second body may be maintai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auxiliary module.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unit, and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respective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the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respectively inserted therein.
  • the camera may be exposed while the camera photographing mode is executed.
  • the cursor for selecting an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moves to the left side, and the first body moves relative to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 the cursor for selecting the icon may move to the right.
  •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enlarged, and when the first body is relatively moved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the display unit The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reduced.
  •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can be manipulated at various angles.
  • 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seco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is moved relative to the seco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terminal showing a state of operating a butt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nection member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nection member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s coupled with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the fir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a seco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n auxilia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an auxilia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uxiliary modul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hotographing proces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is a hom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7 is a photographing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9 is a home screen diagram when the first body is moved to the le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0 is a home screen diagram when the first body is moved to the r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1 is a map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2 is an enlarged view of a map screen displayed o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3 is a reduced view of a map screen displayed o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navigation, a slate PC , Tablet PCs, ultrabooks, wearable devices, such as smartwatches, glass glasses, head mounted displays, and the like. have.
  • 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side by side on the first main body 100 and the first main body 100 to which an image or an image is output.
  • the second main body 200 having an electronic component for transmitting power and control commands to the main body 100, and a connecting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main body 100 and the second main body 100 ( 300).
  • the first body 100 includes a case 110 (for example, a frame, a housing, a cover, etc.) forming an appearance.
  • the case 110 may include a first front case 111 and a first rear case 113.
  •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front case 111 and the first rear case 113.
  • At least one middl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ont case 111 and the first rear case 113.
  • the case 110 may be formed by inject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for example, stainless steel (STS), aluminum (Al), titanium (Ti), or the like.
  • STS stainless steel
  • Al aluminum
  • Ti titanium
  • the first body 100 has a terminal body of a bar shape.
  • the display unit 101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00 to output information.
  • the window 101a of the display unit 101 is mounted to the first front case 111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first body 100 together with the first front case 111. Can be.
  • the first body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case provides the interior space.
  • the first body 100 of the unibody that the synthetic resin or metal from the side to the rear may be implemented.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 waterproof portion (not shown) to prevent water from seeping into the terminal body.
  • the waterproof part is provided between the window 101a and the first front case 111, and between the first front case 111 and the first rear case 113, and waterproofs to seal the internal space when they are combined. It may include a member.
  • the display unit 10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second main body 100.
  • the display unit 101 may display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driven in the mobile terminal 1 or UI (User Interface) or GUI (Graphic User Inte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have.
  • the display unit 10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display, a 3D display, or an e-ink display.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TFT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 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 display a 3D display, or an e-ink display.
  • the display unit 101 may include a touch sensor that senses a touch on the display unit 101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by a touch method. Using this, when a touch is made to the display unit 101, the touch sensor may sense the touch, and a controller (not shown) may generate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ouch based on the touch sensor.
  • the content input by the touch method may be letters or numbers or menu items that can be indicated or designated in various modes.
  • the touch sensor is formed of a film having a touch pattern and disposed between the window 101a and the display (not shown) on the back of the window 101a or directly patterned on the back of the window 101a. It can also be Alternatively, the touch sens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play.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disposed on a substrate of the display or provided in the display.
  • the display unit 101 may form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a touch sensor, and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 the second body 200 is disposed side by side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dy 100. Therefore, the size and shape of the second body 200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first body 100.
  • the second body 200 includes a case 210 (for example, a frame, a housing, a cover, etc.) forming an appearance.
  • the case 210 may include a second front case 211 and a second rear case 213.
  •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second front case 211 and the second rear case 213.
  • At least one middl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second front case 211 and the second rear case 213.
  • the auxiliary display unit that outputs an image or an imag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200 220 may be provided.
  • the auxiliary display unit 22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emitting diodes (OLEDs), flexible displays, 3D displays, and e-ink displays.
  • the auxiliary display unit 220 may include a touch sensor that senses a touch on the display unit 220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by a touch method.
  • the auxiliary display unit 220 may control to output the same screen as the image or imag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01 or to output another image or image.
  • the first camera 240 may be mounted at one edge portion of the auxiliary display unit 220.
  • the first detection sensor 242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second body 200,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244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second body 200.
  •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242 and 244 detect the movement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distance from the subject is detected by a sensor located closer to the first camera 240 of the first sensor 242 and the second sensor 244.
  • the first camera 121a processes an image frame of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shooting mode or a video call mode.
  •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1 or the auxiliary display unit 220 and stored in a memory.
  • the connecting member 300 is coupled to the first main body 100 and the second main body 200 a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main body 100 and the second main body 200 and the first main body 100, respectively.
  • the second body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connection member 300 is provided on a body portion 310 forming an external shap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10 to which the first main body 100 and the second main body 200 are placed.
  • the first mounting part 301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303 are included.
  • the body portion 3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emi-circle with a groove formed in the center side.
  • the material of the body part 310 may be a flexible material. Therefor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ody 310, the body 310 is deformed so that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can move in a staggered or paralle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Various angles can be formed.
  • the material of the body 310 may be a rigid material that is not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 the connection member 300 is coupled to the first main body 100 and the second main body 200 to fix the first main body 101 and the second main body 200.
  • the material of the body portion 31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being made of a flexible material.
  • first mounting portion 301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30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ngaging projections (301, 302) for coupling with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Terminals 322 and 324 are formed, respectively.
  • Terminals 322 and 324 are formed, respectively.
  •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connection member 300 and the main bodies 100 and 200 will be described later.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a seco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second camera 270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body 200.
  • the second camera 270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camera 240.
  • a rear input unit 23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main body 200.
  • the rear input unit 230 is manipul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 and the input content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commands such as power on / off, start, end, scroll, etc., control of the volume of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and switching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101 may be input. have.
  • the rear input unit 23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capable of input by a touch input, a push input,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rear input unit 230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rear of the second main body 200 and is mainly focused on the first button unit 232 and the first button unit 232 receiving a push input of a first function.
  • a second button unit 234 having keys disposed on both sides thereof and receiving a push input of a second fun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function.
  • the second button portion 234 has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so that the first button portion 232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button portion 234.
  • the first function is a function related to on / off of power or activation of the display 101
  • the second function is scrolling on output information of the display unit or the mobile terminal 1. It may be a function related to scaling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 the rear input unit 230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auxiliary display unit 201 on the front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 the rear input unit 230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rear portion of the second main body 20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anipulate the index by using the index finger when the user grips the terminal body with one han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position of the rear input unit 230 may be changed.
  •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figured as a larger screen due to the touch screen or the rear input unit 230 described above.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body is relatively moved with respect to a seco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butt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cross section.
  • the first body 100 may move relative to the second body 200.
  • the second main body 200 may move relative to the first main body 100.
  • the first main body 100 moves in a vertical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main body 200 in the drawing, the first main body 100 is the second main body 200. It is also possible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 the button unit 120 is another example of a user input unit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100. It may be provided.
  • the button unit 120 is manipul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 and the input content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when 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second camera 27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1 in the camera photographing mode, the user may view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00.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body 200 are pushed to contact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200.
  • the push of the button unit 120 may perform a function related to on / off of power or activation of the display unit 101.
  • connection member 300 will be described.
  • connection member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body 100 is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310 with a groove 311 formed in the body part 310 interposed therebetween.
  • An installation unit 301 and a second installation unit 303 on which the second main body 200 is disposed are provided.
  • the first mounting portion 301 includes a first mounting surface 301a on which the bottom of the first main body 100 is placed,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303 of the second main body 200. It includes a second installation surface 303a on which the bottom is placed.
  • first locking protrusions 302 are formed at both side edges of the first mounting surface 301a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formed in the first body 100, respectively, and the second mounting surface 303a is formed. At both side edges of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s 304 ar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second body 200, respectively.
  • the body portion 310 includes a first frame 311 forming an external shape and a second frame 312 fitted inside the first frame 311.
  • the first frame 311 is formed with a groove 311 toward the inside in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 the second frame 312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frame 311 in which the groove 311 is formed. That i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312a of the second frame 312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311 so that the first frame 311 and the second frame 312 are coupled to each other.
  • connection part 32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frame 311 and the second frame 312.
  • the connection part 320 is connected to the first main body 100 and the second main body 200, respectively,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main body 100 and the second main body 200.
  • the connection part 320 may include a flexible substrate 321 deformable by an external force, a first terminal 322 formed at one end of the flexible substrate 321 and inserted into the first main body 100, and the flexible substrate.
  • the second terminal 324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321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200.
  •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installation parts 301 and 303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322 and 324 pass therethrough. Therefore, when the first mounting portion 301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303 ar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10 as shown, the first terminal 322 and the second terminal 324 is It protrudes above the installation surfaces 301a and 303a.
  • connection member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coupled with the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upling grooves 103 and 203 ar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first main body 100 and the second main body 200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main body 100 and the second main body 200. Each is formed.
  • the first and second main bodies 100 and 200 may correspond to the engaging protrusions 302 and 304 form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s 301a and 303a of the connection member 300. At the bottom of each is formed at both ends.
  • a first protrusion 303 extending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coupling groove 103 is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302, and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304.
  • a second protrusion 305 is formed extending inwardly of 203.
  • the first protrusion 303 is connected to the first front case 111 of the first body 100.
  • the locking is made, and the second protrusion 305 is locked to the second rear case 213 of the second body 200. Therefore,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member 300.
  •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nd the connection member 300 may be coupled by a magnetic force.
  • a metal is attached to any one of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main body 100 and the second main body 100 and the mounting surfaces 301a and 303a, and a magnet is attached to the other of the first main body 100.
  • the second body 200 and the connection member 300 may be combined.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the fir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main body 100 includes a case 110 forming an external shape, a window 101a forming a front surface of the case 110, and an image from a rear surface of the window 101a. And an auxiliary battery 140 and an auxiliary substrate 130 disposed inside the case 110.
  • the case 110 is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front case 111 and the first rear case 113, the first front case 111 and the first rear case 113
  • the display unit 101, the auxiliary battery 140, and the auxiliary substrate unit 130 ar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upling.
  • An exposure hole 113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front case 111 so that the display unit 10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ndow 101a.
  • the window 101a is fitted to an edge of the exposure hole 113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front case 111.
  • the auxiliary substrate 13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01 and electronic components for driving the first body 110 are mounted.
  • a groove 13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substrate 130 to allow the auxiliary battery 140 to be seated, and the auxiliary battery 140 is provid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groove 132 to provide the first body. Supply the necessary power to (110).
  • the first main body 100 may include the auxiliary battery and the auxiliary substrates 130 and 140, so that the first main body 100 may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main body 200. Can be driven independently.
  • the auxiliary battery and the auxiliary substrate unit 130, 140, the mobile terminal 1 in a configuration that is not the auxiliary concept of the main battery 250, the main substrate unit 260 disposed on the second body 20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obvious that can be designed.
  • the first rear case 113 covers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100.
  • the hole 113 is formed on the first rear case 113 so that the pressure of the button unit 120 is transmitted, and the push pressure of the button unit 120 is transferred to the auxiliary substrate 130 through the hole 113. Is delivered.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a seco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cond main body 200 includes an image of a case 210 forming an external shape, a window 220a forming a front surface of the case 210, and a rear surface of the window 220a. And an auxiliary display unit 220 for outputting the main battery 250 and a main substrate unit 260 disposed in the case 210.
  • the case 210 is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second front case 211 and the second rear case 213, and the combination of the second front case 211 and the second rear case 213.
  • the auxiliary display unit 220, the main battery 250, and the main substrate unit 260 are disposed in the formed internal space.
  • An exposure hole 212 is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second front case 211 so that the auxiliary display unit 22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ndow 220a.
  • the window 220a is fitted to an edge of the exposure hole 212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front case 211.
  • the size of the auxiliary display unit 220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display unit 101 to assist the displayed screen of the display unit 101 or to display another screen. Unlike this, it is obvious that the auxiliary display unit 220 may also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101.
  • the main substrate unit 26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auxiliary display unit 220, and electronic components for driving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re mounted.
  • a groove 26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substrate 260 to accommodate the main battery 250, and the main battery 250 is provid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groove 262 to allow the mobile terminal ( Supply the power for driving 100).
  • the second rear case 213 covers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body 200. Holes 214 and 271 are formed on the second rear case 213 to expose the rear input unit 230 and the second camera 270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second camera 270 mounted on the main board 26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push pressure of the rear input unit 230 is also transmitted to the main board 260.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n auxilia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an auxilia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of an auxilia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1 includes an auxiliary module 400 inserted into a space S formed by the first mounting unit 100 and the second mounting unit 200. )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auxiliary module 40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first mounting part 100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200, and is formed by the first mounting part 100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200. It is mounted in the space S.
  • the auxiliary module 400 may have various functions.
  • the auxiliary module 400 may function as a large capacity battery to supply power for driving the mobile terminal 1.
  • the main battery 250 and the auxiliary battery 140 are driven together to supply power or serve as a battery pack used when the capacity of the main battery 250 and the auxiliary battery 140 is exhausted. can do.
  • the auxiliary module 400 may serve as a speaker for outputting three-dimensional sound.
  •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loud speaker (loud speaker) for outputting various alarm sounds or multimedia playback sounds. Therefore, the user's hearing may be satisfied by outputting a three-dimensional sound together with the speakers installed in the first main body 100 and the second main body 200.
  • the auxiliary module 40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zes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 the insertion groove 41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auxiliary module 400.
  • the insertion portion 410 is inserted into the button portion 120 formed on the back of the first body 100. Therefore, when the auxiliary module 400 is mounted in the space S, the first body 100 and the auxiliary module 400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button unit 120.
  • connection terminal 42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unit 12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00. Therefore, the connection terminal 420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auxiliary module 40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by a magnetic force.
  • a first metal part 180 is provided in the first main body 100 adjacent to a rear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00
  • the second main body 200 is provided in the second main body 200.
  • the second metal part 28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plane.
  • a magnet part 430 may be provided inside the auxiliary module 40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metal parts 180 and 280 are parallel to each other.
  • the auxiliary module 400 is a magnetic member having a magnet therein, and the first and second metal parts 180 and 280, which are magnetic bodies, are formed inside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 the first main body 100 and the second main body 200 are maintai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auxiliary module 400 by the interaction of the magnetic member and the magnetic body.
  • a protrusion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auxiliary module 400 to fix the auxiliary module 400 through a locking structure at the upper ends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 the first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 clip 290 for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uxiliary module 400.
  • a hole 291 for exposing the clip 290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100. The hole 291 is formed to face the connection terminal 420 provided in the auxiliary module 400 when the auxiliary module 400 is mounted in the space S.
  • the clip 290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auxiliary substrate 130 disposed inside the first body 100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100 through the hole 291. Therefore, the auxiliary module 400 is mounted in the space S, and the clip 290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420 provided in the auxiliary module 400 so that the auxiliary module 400 and the first module 400 are contacted with each other.
  • the main body 100 is electrically connected.
  • the clip 290 is provide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main body 100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main body, and faces the first main body 100 of the auxiliary module 400.
  • the connection terminal 420 is disposed at an example, the clip 290 is provided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body 200 toward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200, and the auxiliary module 400 is provided.
  • the connection terminal 420 may b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body 100 facing the second body 10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 auxiliary module 400 functions as a battery pack
  •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main body 100 and the second main body 200, and when the auxiliary module 400 functions as a speaker, control is performed. You can output the sound according to the command.
  • FIG.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hotographing proces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6 is a home screen diagram displayed o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7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otographing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 a user activates a home screen on the display 101 (S100).
  • the home screen may activate the home screen on the display unit 101 by pushing the rear input unit 23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econd main body 200. Accordingly, the home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1 as shown in FIG. 16.
  • the user moves the first main body 100 to the left relative to the second main body 200 (S200). Accordingly, the first camera 240 and the first detection sensor 242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main body 200 are covered by the first main body 100, and the first main body 100 is left. By moving to the outside will be exposed.
  • the controller detects that the first camera 240 and the first detection sensor 242 are exposed, and displays a shooting screen on the display unit 101 as shown in FIG. 17 (S300).
  • the photographing mode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101
  • the image frame of the subject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101 by the first camera 240
  • the first detection sensor 242 is connected to the subject.
  • the focus of the first camera 240 is adjusted by measuring the distance.
  • the user When the user recognizes the image fram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01 and wants to capture the image, the user pushes the rear input unit 230 (S400). Shooting is performed by pushing the rear input unit 230 (S500), and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1 or the auxiliary display unit 220, and stored in a memory.
  • the user may proceed with the photographing by directly touching the photographing button B provided on the photographing screen on the photographing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101.
  • the photographing is performed only by the photographing button B without pushing the rear input unit 230.
  • FIG.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ome screen displayed o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ome screen when a first main body is moved to the le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home screen diagram when the first main body is moved to the righ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the mobile terminal 1 may change an icon selected by moving the first main body 100 from side to side with respect to the second main body 200.
  •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is by exposing the first detection sensor 242 formed on the front of the second main body 200 to the outside. By detecting that the first body 100 is moved to the left.
  • the control unit is exposed by exposing the second detection sensor 244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main body 200 to the outside.
  • the first main body 100 is moved to the right.
  • the user may easily manipulate the screen by moving the first main body 100 and the second main body 200 in addition to the touch.
  • the selected icon may be activated by pushing the button unit 120.
  • FIG. 21 is a diagram of a map screen displayed o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2 is an enlarged view of a map screen displayed o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1 may enlarge or reduce the screen by moving the first main body 100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second main body 200.
  •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is by exposing the first detection sensor 242 formed on the front of the second main body 200 to the outside. By detecting that the first body 100 is moved to the left.
  • the control unit is exposed by exposing the second detection sensor 244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main body 200 to the outside.
  • the first main body 100 is moved to the right.
  • a map screen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101, and a user moves the first main body 100 to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second main body 200.
  • the controller detects that the first detection sensor 242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enlarges the map screen as shown in FIG. 22. At this time, the degree of enlargement of the map is controlled through a duration in which the first main body 100 remains moved to the left.
  • the controller detects that the second detection sensor 244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s shown in FIG. Will shrink.
  • the degree of reduction of the map is controlled through a duration in which the first body 100 is kept moved to the r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일면에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제 1 본체; 상기 제 1 본체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며, 내부에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기판부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배터리를 구비하는 제 2 본체; 및 상기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의 하단에서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외형을 이루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가 놓이는 설치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 기판; 및 상기 연성 기판의 양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와 각각 결합되는 단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적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디자인적 형태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좀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도 포함한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인쇄회로기판, 배터리 등의 전자부품이 구비된 본체가 단일의 케이스로 구성되어, 이동 단말기의 디자인 변화에 제약이 있다. 또한, 다양한 구성을 단일의 케이스 내부에 배치하여야 하므로,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조 설계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영상이 출력되는 제 1 본체와 내부에 전자부품이 구비된 제 2 본체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면에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제 1 본체; 상기 제 1 본체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며, 내부에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기판부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배터리를 구비하는 제 2 본체; 및 상기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의 하단에서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외형을 이루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가 놓이는 설치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 기판; 및 상기 연성 기판의 양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와 각각 결합되는 단자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가 서로에 대하여 엇갈리는 방향 또는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는 플렉시블(flexible)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본체와 마주보는 상기 제 1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어, 푸쉬입력을 받는 버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본체의 후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 2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고, 영상을 출력하는 보조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장착되는 제 1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본체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 중 어느 일측에 제공되는 제 1 감지센서와, 상기 제 2 본체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 중 다른 일측에 제공되는 제 2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감지센서와 상기 제 2 감지센서에 의하여, 상기 제 1 본체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카메라가 촬영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 1 감지센서와 제 2 감지센서 중 상기 제 1 카메라에 더 가까이 위치한 감지센서에 의하여 피사체의 거리가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촬영을 수행하는 제 2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장착되어, 보조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모듈은,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설치되는 전자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모듈은,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로부터 전송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이격되는 어느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 및 상기 연결단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단자와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류가 상기 제 1 본체로 공급되도록 하는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모듈은 내부에 자석을 구비하는 자력 부재이고,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의 내부에는 자성체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자성체와 상기 자력 부재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는 상기 보조 모듈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부의 상면에 돌출되는 다수의 걸림 돌기와, 상기 제 1 본체 및 상기 제 2 본체의 저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걸림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걸림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본체가 상기 제 2 본체에 대해 좌측으로 상대 이동 또는 하측으로 상대 이동하면 상기 카메라가 노출되면서 카메라 촬영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본체가 상기 제 2 본체에 대해 좌측으로 상대 이동하면, 상기 디스플레부에 표시되는 아이콘 선택을 위한 커서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 1 본체가 상기 제 2 본체에 대해 우측으로 상대 이동하면, 상기 아이콘 선택을 위한 커서가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본체가 상기 제 2 본체에 대해 좌측으로 상대 이동되면, 상기 디스플레부에 표시되는 화면이 확대되고, 상기 제 1 본체가 상기 제 2 본체에 대해 우측으로 상대 이동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이 축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영상이 출력되는 제 1 본체와 내부에 전자부품이 구비된 제 2 본체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제작되어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를 다양한 각도로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제 1 본체의 후면에 버튼부를 구비하여 이동 단말기의 조작이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넷째, 사용자가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를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다양한 작동 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보조 모듈을 장착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본체의 후면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본체를 제 2 본체에 대하여 상대 이동 시킨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튼부를 조작하는 모습을 보인 이동 단말기의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가 연결부재와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본체의 분해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본체의 분해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 모듈이 장착된 이동 단말기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 모듈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 모듈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 모듈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촬영 과정의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홈 화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촬영 화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홈 화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본체를 좌측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홈 화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본체를 우측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홈 화면도.
도 2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지도 화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지도 화면의 확대도.
도 2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지도 화면의 축소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는 영상 또는 이미지가 출력되는 제 1 본체(100)와, 상기 제 1 본체(100)에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제 1 본체(100)에 전원 및 제어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전자부품을 구비하는 제 2 본체(200)와, 상기 제 1 본체(100)와 상기 제 2 본체(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본체(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10)(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10)는 제 1 프론트 케이스(111)와 제 1 리어 케이스(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111)와 제 1 리어 케이스(113)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111)와 제 1 리어 케이스(113)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10)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본체(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1 본체(10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0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윈도우(101a)는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111)에 장착되어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111)와 함게 상기 제 1 본체(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본체(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제 1 본체(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01a)와 제 1 프론트 케이스(111) 사이, 제 1 프론트 케이스(111)와 제 1 리어 케이스(11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는 상기 제 2 본체(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는 이동 단말기(1)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0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0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미도시)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01a)와 윈도우(10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0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0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 2 본체(200)는 상기 제 1 본체(10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본체(200)의 크기 및 형상은 상기 제 1 본체(100)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본체(2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210)(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10)는 제 2 프론트 케이스(211)와 제 2 리어 케이스(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론트 케이스(211)와 제 2 리어 케이스(213)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상기 제 2 프론트 케이스(211)와 제 2 리어 케이스(213)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본체(200)에서 상기 제 1 본체(100)와 마주보는 면을 전면이라 하고 반대면을 후면이라 할 때, 상기 제 2 본체(200)의 전면에는 영상 또는 이미지가 출력되는 보조 디스플레이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2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와 마찬가지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220)도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220)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2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에 출력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와 동일한 화면이 출력되거나, 다른 영상 또는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22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제 1 카메라(240) 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본체(200)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 중 어느 일측에는 제 1 감지센서(242), 상기 제 2 본체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 중 다른 일측에는 제 2 감지센서(244)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감지센서(242) 및 제 2 감지센서(244)에 의해 상기 제 1 본체(100) 및 제 2 본체(200)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감지되는 바,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상기 제 1 감지센서(242) 및 제 2 감지센서(244) 중 상기 제 1 카메라(240)에 더 가까이 위치한 감지센서에 의하여 피사체와의 거리가 감지된다.
상기 제 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01) 또는 보조 디플레이부(220)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제 1 본체(100) 및 제 2 본체(200)의 하단에서 상기 제 1 본체(100) 및 제 2 본체(200)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 1 본체(100)와 상기 제 2 본체(200)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00)는 외형을 이루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본체(100) 및 제 2 본체(200)가 놓이는 제 1 설치부(301) 및 제 2 설치부(303)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310)는 측면이 중앙에 홈이 형성된 반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310)의 재질은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310)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몸체부(310)가 변형됨으로써 상기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200)가 서로에 대하여 엇갈리는 방향 또는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다양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310)의 재질은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리지드(rigid)한 소재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재(300)가 상기 제 1 본체(100) 및 제 2 본체(200)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본체(101) 및 제 2 본체(200)를 고정시킨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몸체부(310)의 재질이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로 제작된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 1 설치부(301) 및 제 2 설치부(303)에는 상기 제 1 본체(100) 및 제 2 본체(200)와 결합되기 위한 걸림 돌기(301, 3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단자(322, 32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300)와 상기 본체(100, 200)와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본체의 후면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본체(200)의 후면에는 제 2 카메라(27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카메라(270)는 상기 제 1 카메라(240)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또한, 제 2 본체(200)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의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입력부(230)는 이동 단말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음향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후면 입력부(230)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후면 입력부(230)는 상기 제 2 본체(200)의 후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며 제 1 기능의 푸쉬입력을 받는 제 1 버튼부(232)와 상기 제 1 버튼부(232)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키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기능과 다른 제 2 기능의 푸쉬입력을 받는 제 2 버튼부(234)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버튼부(234)는 중앙에 관통홀을 구비하여 상기 제 1 버튼부(232)가 상기 제 2 버튼부(234)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한다.
사용자 입력의 일 예로서, 상기 제 1 기능은 전원의 온오프나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활성화와 관련된 기능이고, 상기 제 2 기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정보에 대한 스크롤이나 상기 이동 단말기(1)에서 출력되는 음향에 대한 크기조절과 관련된 기능일 수 있다.
상기 후면 입력부(230)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20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230)는 제 2 본체(200)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후면 입력부(23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제 2 본체(200)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230)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230)로 인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본체를 제 2 본체에 대하여 상대 이동 시킨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튼부를 조작하는 모습을 보인 이동 단말기의 측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300)의 몸체부(310) 재질이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제작되므로, 상기 제 1 본체(100)가 상기 제 2 본체(20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본체(200)가 상기 제 1 본체(10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상기 제 1 본체(100)가 상기 제 2 본체(200)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제 1 본체(100)가 상기 제 2 본체(200)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본체(100)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1)가 형성된 면을 전면이라 하고 반대면을 후면이라 할 때, 상기 제 1 본체(100)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의 다른 예로서 버튼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20)는 상기 이동 단말기(1)의 동작을 제어 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카메라 촬영 모드에서 상기 제 2 카메라(270)에 의해 처리된 화상 프레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에 표시되면, 사용자가 상기 제 1 본체(100)의 후면을 상기 제 2 본체(200)에 전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 1 본체(100)의 전면과 상기 제 2 본체(200)의 후면을 푸쉬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 2 본체(200)의 전면에 상기 제 1 버튼부(120)가 푸쉬되므로 카메라 촬영 명령이 상기 제 2 카메라(270)에 전달되어 촬영이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버튼부(120)의 푸쉬로 인해 전원의 온오프나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활성화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결부재(3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시도 이고, 도 7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310)에 형성되는 홈(311)을 사이에 두고 상기 몸체부(310)의 상면에는 상기 제 1 본체(100)가 놓이는 제 1 설치부(301)와, 상기 제 2 본체(200)가 놓이는 제 2 설치부(303)가 각각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설치부(301)는 상기 제 1 본체(100)의 저면이 놓이는 제 1 설치면(301a)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설치부(303)는 상기 제 2 본체(200)의 저면이 놓이는 제 2 설치면(303a)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설치면(301a)의 양 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 1 본체(100)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기 위한 제 1 걸림 돌기(30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2 설치면(303a)의 양 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 2 본체(200)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기 위한 제 2 걸림 돌기(304)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부(310)는 외형을 이루는 제 1 프레임(311)과 상기 제 1 프레임(311)의 내측에 끼워지는 제 2 프레임(31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프레임(311)은 반원 형상의 단면에 내측을 향하여 홈(3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311)이 형성된 상기 제 1 프레임(311)의 내측에 상기 제 2 프레임(312)이 결합된다. 즉 상기 제 2 프레임(312)의 외주면(312a)이 상기 홈(311)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 1 프레임(311)과 상기 제 2 프레임(312)이 상호 결합된다.
상기 제 1 프레임(311)과 상기 제 2 프레임(312)의 사이에는 접속부(320)가 구비된다. 상기 접속부(320)는 상기 제 1 본체(100)와 상기 제 2 본체(20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 1 본체(100)와 상기 제 2 본체(2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접속부(320)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한 연성 기판(321)과, 상기 연성 기판(321)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본체(100)에 삽입되는 제 1 단자(322)와, 상기 연성 기판(321)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본체(200)에 삽입되는 제 2 단자(3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설치부(301) 및 제 2 설치부(303)에는 상기 제 1 단자(322) 및 제 2 단자(324)가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310)의 상면에 상기 제 1 설치부(301) 및 제 2 설치부(303)가 결합되면, 상기 제 1 단자(322) 및 제 2 단자(324)가 상기 설치면(301a, 303a)의 상방으로 돌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가 연결부재와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본체(100)와 상기 제 2 본체(200)의 저면에는 상기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200)의 내부를 향하여 결합홈(103, 20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03, 203)은 상기 연결부재(300)의 설치면(301a, 303a) 상에 형성된 걸림돌기(302, 304)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 1 본체(100) 및 제 2 본체(200)의 저면에서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걸림돌기(302)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홈(103)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된 제 1 돌출부(303)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걸림돌기(304)의 단부에도 상기 결합홈(203)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된 제 2 돌출부(305)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302, 304)가 상기 결합홈(103, 203)에 삽입되면, 상기 제 1 돌출부(303)는 상기 제 1 본체(100)의 제 1 프론트 케이스(111)에 걸림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돌출부(305)는 상기 제 2 본체(200)의 제 2 리어 케이스(213)에 걸림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300)를 통해 상기 제 1 본체(100)와 상기 제 2 본체(200)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 1 본체(100) 및 제 2 본체(200)와 상기 연결부재(300)는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본체(100) 및 제 2 본체(100)의 저면과 상기 설치면(301a, 303a) 중 어느 하나에 금속을 부착하고, 다른 하나에 자석을 부착하여 상기 제 1 본체(100) 및 제 2 본체(200)와 상기 연결부재(3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본체의 분해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본체(100)는,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윈도우(101a)와, 상기 윈도우(101a)의 배면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01)와,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보조 배터리(140) 및 보조 기판부(130)를 포함한다.
전술하였듯, 상기 케이스(110)는 제 1 프론트 케이스(111)와 제 1 리어 케이스(113)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111)와 상기 제 1 리어 케이스(113)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01), 보조 배터리(140), 보조 기판부(130)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111)의 전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가 상기 윈도우(101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홀(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111)의 전면에 상기 노출홀(113)의 가장자리로 상기 윈도우(101a)가 끼워진다.
상기 보조 기판부(13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본체(110)의 구동을 위한 전자부품들이 실장된다. 상기 보조 기판부(130)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140)가 안착되기 위한 홈(132)이 형성되고, 상기 홈(132)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보조 배터리(140)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본체(11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처럼, 상기 제 1 본체(100)에도 보조 배터리 및 보조 기판부(130, 14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 1 본체(100)가 상기 제 2 본체(200)와 분리되더라도 상기 제 1 본체(100)가 독자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배터리 및 보조기판부(130, 140)가 후술할 제 2 본체(200)에 배치된 주 배터리(250), 주 기판부(260)의 보조 개념이 아닌 구성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1)가 설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제 1 리어 케이스(113)는 상기 제 1 본체(100)의 후면을 커버한다. 상기 제 1 리어 케이스(113) 상에는 버튼부(120)의 압력이 전달되도록 홀(113)이 형성되고, 상기 홀(113)을 통해 상기 버튼부(120)의 푸시 압력이 상기 보조 기판부(130)로 전달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본체의 분해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본체(200)는,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2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윈도우(220a)와, 상기 윈도우(220a)의 배면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보조 디스플레이부(220)와,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주 배터리(250) 및 주 기판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10)는 상기 제 2 프론트 케이스(211) 상기 제 2 리어 케이스(213)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2 프론트 케이스(211)와 상기 제 2 리어 케이스(213)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220), 주 배터리(250) 및 주 기판부(260)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프론트 케이스(211)의 전면에는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220)가 상기 윈도우(220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홀(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프론트 케이스(211)의 전면에 상기 노출홀(212)의 가장자리로 상기 윈도우(220a)가 끼워진다.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220)의 크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표시되는 화면을 보조하거나 다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220)도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크기에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주 기판부(260)는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220)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본체(100) 및 제 2 본체(200)의 구동을 위한 전자부품들이 실장된다. 상기 주 기판부(260)의 일측에는 상기 주 배터리(250)가 안착되기 위한 홈(262)이 형성되고, 상기 홈(262)의 둘레를 따라 상기 주 배터리(250)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 2 리어 케이스(213)는 상기 제 2 본체(200)의 후면을 커버한다. 상기 제 2 리어 케이스(213) 상에는 상기 후면 입력부(230) 및 제 2 카메라(270)가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홀(214, 27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주 기판부(260)에 장착되는 상기 제 2 카메라(270)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후면 입력부(230)의 푸시 압력도 상기 주 기판부(260)로 전달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 모듈이 장착된 이동 단말기를 보인 사시도 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 모듈의 사시도 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 모듈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 모듈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는, 상기 제 1 장착부(100) 및 제 2 장착부(2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S)에 삽입되는 보조 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모듈(400)은 상기 제 1 장착부(100) 및 제 2 장착부(200)의 크기와 모양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장착부(100)와 상기 제 2 장착부(2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S)에 장착된다.
상기 보조 모듈(400)은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조 모듈(400)은 대용량 배터리로 기능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주 배터리(250) 및 보조 배터리(140)와 함께 구동되어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주 배터리(250) 및 보조 배터리(140)의 용량이 소진될 경우 사용되는 배터리 팩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모듈(400)의 다른 예로, 입체적인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본체(100) 및 제 2 본체(200)에 설치되는 스피커와 함께 입체적인 음향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청감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 모듈(400)은 상기 제 1 본체(100) 및 제 2 본체(200)의 크기에 상응하여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모듈(400)의 일면에는 상기 삽입홈(41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410)에는 상기 제 1 본체(100)의 후면에 형성된 버튼부(120)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모듈(400)이 상기 공간(S)에 장착될 경우 상기 버튼부(120)에 의해 상기 제 1 본체(100)와 상기 보조 모듈(400)이 서로 이격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120)의 상부에는 상기 제 1 본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연결단자(4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단자(42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 모듈(400)은 상기 제 1 본체(100) 및 제 2 본체(200)와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본체(100) 내부에는 상기 제 1 본체(100)의 후면에 인접하여 제 1 금속부(180)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본체(200)의 내부에는 상기 제 2 본체(200)의 전면에 인접하여 제 2 금속부(28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2 금속부(180, 280)이 마주하는 수직방향에 나란하도록 상기 보조 모듈(400)의 내부에는 자석부(43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보조 모듈(400)은 내부에 자석을 구비하는 자력 부재이고, 상기 제 1 본체(100)와 상기 제 2 본체(200)의 내부에는 자성체인 제 1 및 2 금속부(180, 280)가 장착되어, 상기 자력 부재와 자성체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200)는 상기 보조 모듈(400)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모듈(400)이 상기 공간(S)에 장착되면, 상기 자석부(430)와 상기 제 1 및 2 금속부(180, 280) 사이에 자력이 발생되어 상기 보조 모듈(400)이 상기 공간(S)에 고정된다.
상기 보조 모듈(400)에 상단에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제 1 본체(100) 및 제 2 본체(200)의 상단에 걸림구조를 통해 상기 보조 모듈(400)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본체(100)에는 상기 보조 모듈(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클립(29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본체(100)의 후면에는 상기 클립(290)이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홀(29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291)은 상기 보조 모듈(400)이 상기 공간(S)에 장착 시에 상기 보조 모듈(400)에 구비된 연결단자(420)와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클립(290)은 상기 제 1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보조 기판부(13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홀(291)을 통해 상기 제 1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모듈(400)이 상기 공간(S)에 장착되고, 상기 클립(290)이 상기 보조 모듈(400)에 구비된 연결단자(420)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보조 모듈(400) 및 제 1 본체(1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본체(100)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본체의 외부를 향하여 클립(290)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모듈(400)의 상기 제 1 본체(100)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연결단자(420)가 배치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 2 본체(200)의 내부에서 상기 제 2 본체(200)의 외부를 향하여 클립(290)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모듈(400)의 상기 제 2 본체(100)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연결단자(420)가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보조 모듈(400)이 배터리 팩으로 기능할 경우 상기 제 1 본체(100) 및 제 2 본체(20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고, 상기 보조 모듈(400)이 스피커로 기능할 경우, 제어명령에 따른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1)의 촬영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촬영 과정의 흐름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홈 화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촬영 화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에 홈 화면을 활성화 시키게 된다(S100). 일 예로, 상기 홈 화면은 상기 제 2 본체(200)의 후면에 구비된 후면 입력부(230)를 푸쉬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에 홈 화면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6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에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에 홈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 1 본체(100)를 상기 제 2 본체(200)에 대해 좌측으로 상대 이동 시키게 된다(S200). 따라서, 상기 제 2 본체(200)의 전면에 구비된 제 1 카메라(240) 및 제 1 감지센서(242)가 상기 제 1 본체(100)에 의해 가려져 있다가 상기 제 1 본체(100)가 좌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외부에 노출되게 된다. 제어부는 상기 제 1 카메라(240) 및 제 1 감지센서(242)가 노출된 것을 감지하고, 도 17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에 촬영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S300).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에 촬영 모드가 출력 되면, 상기 제 1 카메라(240)에 의해 피사체의 화상 프레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에 출력되고, 이때 상기 제 1 감지센서(242)가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제 1 카메라(240)의 초점을 조절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에 출력된 화상 프레임을 인식하고 촬영을 원할 경우 상기 후면 입력부(230)를 푸쉬 한다(S400). 상기 후면 입력부(230)를 푸쉬함으로써 촬영이 진행되고(S500),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01) 또는 보조 디플레이부(220)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에 출력된 촬영 화면에서, 상기 촬영 화면에 구비된 촬영 버튼(B)을 직접 터치함으로써 촬영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면 입력부(230)를 푸쉬하지 않고, 촬영 버튼(B) 만으로 촬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 1 본체(100) 및 제 2 본체(200)를 이동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촬영 모드에 돌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홈 화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본체를 좌측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홈 화면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본체를 우측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홈 화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는 상기 제 1 본체(100)를 상기 제 2 본체(200)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선택되는 아이콘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 1 본체(100)를 상기 제 2 본체(200)에 대해 좌측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상기 제 2 본체(200)의 전면에 형성된 제 1 감지센서(242)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제어부가 이를 인식하여 상기 제 1 본체(100)가 좌측으로 이동되었음을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본체(100)를 상기 제 2 본체(200)에 대해 우측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상기 제 2 본체(200)의 전면에 형성된 제 2 감지센서(244)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제어부가 이를 인식하여 상기 제 1 본체(100)가 우측으로 이동되었음을 감지한다.
일 예로 도 18과 같이 홈 화면의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고, 도 19와 같이 상기 제 1 본체(100)를 상기 제 2 본체(200)에 대하여 좌측으로 상대 이동 시켰을 때, 선택되는 아이콘이 좌측으로 변경 된다.
또한, 도 20과 같이 상기 상기 제 1 본체(100)를 상기 제 2 본체(200)에 대하여 우측으로 상대 이동 시켰을 때에는, 선택되는 아이콘이 우측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 외에도, 상기 제 1 본체(100) 및 제 2 본체(200)의 이동을 통해 화면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선택된 아이콘은 상기 버튼부(120)의 푸시를 통하여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지도 화면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지도 화면의 확대도이며, 도 2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지도 화면의 축소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는 상기 제 1 본체(100)를 상기 제 2 본체(200)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상기 제 1 본체(100)를 상기 제 2 본체(200)에 대해 좌측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상기 제 2 본체(200)의 전면에 형성된 제 1 감지센서(242)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제어부가 이를 인식하여 상기 제 1 본체(100)가 좌측으로 이동되었음을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본체(100)를 상기 제 2 본체(200)에 대해 우측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상기 제 2 본체(200)의 전면에 형성된 제 2 감지센서(244)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제어부가 이를 인식하여 상기 제 1 본체(100)가 우측으로 이동되었음을 감지한다.
일 예로, 도 21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에 지도 화면이 출력되고, 사용자가 상기 제 1 본체(100)를 상기 제 2 본체(200) 대해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제어부는 상기 제 1 감지센서(242)가 외부로 노출되었음을 감지하고, 도 22와 같이 상기 지도 화면을 확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지도의 확대되는 정도는 상기 제 1 본체(100)가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로 유지되는 지속시간을 통해 조절된다.
사용자가 상기 제 1 본체(100)를 상기 제 2 본체(200)에 대해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제어부는 상기 제 2 감지센서(244)가 외부로 노출되었음을 감지하고, 도 23과 같이 상기 지도 화면을 축소하게 된다. 상기 지도의 축소되는 정도는 상기 제 1 본체(100)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로 유지되는 지속시간을 통해 조절된다.

Claims (17)

  1. 일면에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제 1 본체;
    상기 제 1 본체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며, 내부에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기판부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배터리를 구비하는 제 2 본체; 및
    상기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의 하단에서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외형을 이루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가 놓이는 설치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 기판; 및
    상기 연성 기판의 양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와 각각 결합되는 단자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가 서로에 대하여 엇갈리는 방향 또는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는 플렉시블(flexible)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와 마주보는 상기 제 1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어, 푸쉬입력을 받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의 후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 2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고, 영상을 출력하는 보조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장착되는 제 1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 중 어느 일측에 제공되는 제 1 감지센서와,
    상기 제 2 본체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 중 다른 일측에 제공되는 제 2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감지센서와 상기 제 2 감지센서에 의하여, 상기 제 1 본체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가 촬영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 1 감지센서와 제 2 감지센서 중 상기 제 1 카메라에 더 가까이 위치한 감지센서에 의하여 피사체의 거리가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촬영을 수행하는 제 2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장착되어, 보조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모듈은,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설치되는 전자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모듈은,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로부터 전송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이격되는 어느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 및
    상기 연결단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단자와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류가 상기 제 1 본체로 공급되도록 하는 클립을 포함되는 이동 단말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모듈은 내부에 자석을 구비하는 자력 부재이고,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의 내부에는 자성체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자성체와 상기 자력 부재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는 상기 보조 모듈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의 상면에 돌출되는 다수의 걸림 돌기와,
    상기 제 1 본체 및 상기 제 2 본체의 저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걸림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걸림홈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가 상기 제 2 본체에 대해 좌측으로 상대 이동 또는 하측으로 상대 이동하면 상기 카메라가 노출되면서 카메라 촬영 모드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가 상기 제 2 본체에 대해 좌측으로 상대 이동하면, 상기 디스플레부에 표시되는 아이콘 선택을 위한 커서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 1 본체가 상기 제 2 본체에 대해 우측으로 상대 이동하면, 상기 아이콘 선택을 위한 커서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가 상기 제 2 본체에 대해 좌측으로 상대 이동되면, 상기 디스플레부에 표시되는 화면이 확대되고,
    상기 제 1 본체가 상기 제 2 본체에 대해 우측으로 상대 이동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이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PCT/KR2014/007952 2014-08-14 2014-08-26 이동 단말기 WO201602465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03,953 US9954986B2 (en) 2014-08-14 2014-08-26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201A KR101592113B1 (ko) 2014-08-14 2014-08-14 이동 단말기
KR10-2014-0106201 2014-08-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4656A1 true WO2016024656A1 (ko) 2016-02-18

Family

ID=55304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7952 WO2016024656A1 (ko) 2014-08-14 2014-08-26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54986B2 (ko)
KR (1) KR101592113B1 (ko)
WO (1) WO20160246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2590A1 (en) 2015-09-25 2017-03-30 Intel Corporation Hinge for an electronic device
USD822658S1 (en) 2016-06-30 2018-07-10 Intel Corporation Computer notebook
USD901495S1 (en) 2017-05-31 2020-11-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08900671A (zh) * 2018-06-29 2018-11-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
KR200497166Y1 (ko) * 2018-07-03 2023-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속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보조 전원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8842A (ko) * 2007-06-11 2008-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20090054848A (ko) * 2007-11-27 2009-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100116397A (ko) * 2009-04-22 2010-11-01 알앤디컴퍼니 주식회사 본체 일부를 입력수단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US20120014054A1 (en) * 2010-07-16 2012-01-19 Ashcraft Britt C Altering the flexibility of a display device
KR20140038583A (ko) * 2012-09-20 2014-03-31 김성수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45093A1 (en) * 2003-10-31 2008-02-21 Richard Terrence Tamba De-Coupling Clutch, Particularly for Marine Use
US7505582B2 (en) * 2003-12-31 2009-03-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Hinge mechanism having multiple axes of rotation for position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8005521B2 (en) * 2007-06-01 2011-08-23 Lg Electronics Inc. Portable terminal
US8046033B2 (en) * 2007-09-17 2011-10-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20090126155A1 (en) * 2007-11-16 2009-05-21 Motorola, Inc. Coupling assembly for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8229524B2 (en) * 2008-06-27 2012-07-24 Nokia Corporation Clip shaped electronic device with swivelling panels
KR20120001015U (ko) 2010-08-03 2012-02-13 신두일 분리결합이 가능한 회전식 듀얼 휴대 단말기
TWM395340U (en) * 2010-08-04 2010-12-21 Micro Star Int Co Ltd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US9167991B2 (en) * 2010-09-30 2015-10-27 Fitbit, Inc. Portable monitoring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9048927B2 (en) * 2011-10-04 2015-06-02 Glynntech, Inc. Solar powered mobile phone
KR102083918B1 (ko) * 2012-10-10 2020-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41081B1 (ko) 2012-12-14 2014-09-23 이유구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KR102065419B1 (ko) * 2013-12-02 202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클립형 이동 단말기
KR102309411B1 (ko) * 2014-10-27 2021-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8842A (ko) * 2007-06-11 2008-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20090054848A (ko) * 2007-11-27 2009-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100116397A (ko) * 2009-04-22 2010-11-01 알앤디컴퍼니 주식회사 본체 일부를 입력수단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US20120014054A1 (en) * 2010-07-16 2012-01-19 Ashcraft Britt C Altering the flexibility of a display device
KR20140038583A (ko) * 2012-09-20 2014-03-31 김성수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54986B2 (en) 2018-04-24
US20170279942A1 (en) 2017-09-28
KR101592113B1 (ko) 201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11204A1 (ko) 이동단말기
WO2016021779A1 (ko) 이동 단말기
WO2016003036A1 (ko) 근접조도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WO2018043790A1 (ko) 이동 단말기
WO2016195191A1 (en) Mobile terminal
WO2016167437A1 (ko) 이동 단말기
WO2016024656A1 (ko) 이동 단말기
WO2018124334A1 (ko) 전자장치
WO2018043844A1 (ko) 이동 단말기
WO2018169102A1 (ko) 이동 단말기
WO2018097340A1 (ko) 이동 단말기
WO2017171161A1 (ko) 이동 단말기
WO2018038288A1 (ko) 이동 단말기
WO2018135675A1 (ko) 전자장치
WO2015108287A1 (ko) 이동 단말기
WO2015064887A1 (ko) 이동 단말기
WO2019066284A1 (ko) 이동 단말기
WO2017034083A1 (ko) 이동 단말기
WO2018074615A1 (ko) 이동 단말기
WO2015194716A1 (ko) 이동 단말기
WO2015105232A1 (ko) 이동 단말기
WO2018079869A1 (ko) 이동 단말기
WO2017126736A1 (ko) 이동 단말기
WO2017217579A1 (ko) 이동 단말기
WO2021049685A1 (ko) 홈스크린을 설정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998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03953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998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