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13966A1 - 4차원 터치패드 모듈 - Google Patents

4차원 터치패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13966A1
WO2020213966A1 PCT/KR2020/005130 KR2020005130W WO2020213966A1 WO 2020213966 A1 WO2020213966 A1 WO 2020213966A1 KR 2020005130 W KR2020005130 W KR 2020005130W WO 2020213966 A1 WO2020213966 A1 WO 202021396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ouch pad
touch
center
pointin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513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현의섭
정태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엘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엘디
Priority to US17/604,204 priority Critical patent/US11366533B2/en
Priority to EP20790690.0A priority patent/EP3958099A4/en
Priority to CN202080029005.0A priority patent/CN113711167B/zh
Priority to JP2021562068A priority patent/JP7229454B2/ja
Publication of WO202021396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139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8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from or to individual record carriers, e.g. punched card, memory card, integrated circuit [IC] card or smart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the advantages of an existing mouse and a touch pad, changes the existing configuration and structure, and resets the operating principle, thereby providing a touch pad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e existing touch pad. It relates to a state-of-the-art progressive 4D touch pad module that doubles efficiency and convenience by enabling additional functions as well as existing functions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touch pad UI operation method even if a teach pad is provided. Relates to a 4D touch pad module that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by a center touch pad when pointing at a short distance, and performing concurrently by a combination of a center touch pad and a side touch pad when pointing at a distance.
  • a conventional push method signal input device includes a housing, a push button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the inner wall of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wall of the push button. It is coupled to surround any one and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ther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two or more terminal switches, the inner wall of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wall of the push button.
  • the terminal switch By generating different types of input signal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operating force pushed in the lateral direction, including the conductors that are in contact and connect the terminal switches, the number of buttons provided in the signal input device is reduced, and a separate pressure sensor is not provided. Even if it does,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by detecting the operating force pushing in the lateral direction.
  •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terminal switch are formed vertically on the inner wall, there is a limit to manufacturing an ultra-thin mouse due to the wiring structure, and the difficulty of bonding to the curved inner wall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high, resulting in lower work efficiency and defective rate. Increases, and due to frequent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switch and temperature change,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separated and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is high, resulting in lower product durability. Long-distance pointing is possible, but short-range precision pointing cannot be performed, and auxiliary buttons are additionally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alue of the product is deteriorated in terms of practicality and appearance because it performs the function as a mouse only.
  • 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can be manufactured in an ultra-thin type,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near- and long-distance precise pointing on a touch pad of a very small area, and to perform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by a touch pad to improve practicality and utility. It is to provide a four-dimensional touch pad module.
  •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k-shaped touch pad for performing pointing by recognizing coordinates; A ring-shaped first dividing boundary film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touch pad and dividing the upper part of the touch pad into a circular center touch pad and a side touch pad, and a linear shape separately dividing the side touch pad into an arc shape.
  • Two or more side button contacts are formed in a central area with a touch pad FPCB connection to which the touch pad wiring line is connected, and are arranged in a radial shape in an outer area corresponding to the side button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pressing the side button
  • Each formed FPCB And an upper/lower housing in which the divided boundary layer, the touch pad, the side button, and the FPCB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accommodated on the inside, so that when pointing at a short distance, the center touch pad is used alone, and when pointing at a distance.
  • a combination of the center touch pad and the side touch pad is performed in parallel, but the remote pointing starts the touch of the center touch pad to memorize the touch response sensitivity when reaching the corresponding side touch pad, and the While reaching the side touch pad and maintaining the touch, the movement continues at the touch responsiveness level without repeated touch, and when the touch reaches the desired pointing coordinate and releases the touch, the desired pointing coordinate is pointed at a distance, and the touch pad Provides a 4D touch pad module that performs infinite remote pointing as much as desired with a small area of
  • a disk-shaped center touch pad for performing pointing by recognizing coordinates;
  • a center touch pad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center touch pad such that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enter touch pad wiring line passes is formed in a central region and an upper portion of the center touch pad is exposed;
  • a side touch pad that is separated from the center touch pad and is divided into two or more arc-shaped outside;
  • a side button correspo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side touch pa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ide touch pad wiring line passes, and performing a side button function by pressing the side touch pad;
  • a center touch pad FPCB connection to which the center touch pad wiring line is connected is formed in a central region, and a side touch pad FPCB connection to which the side touch pad wiring line is connected is formed on one side of an outer region, and an outer side corresponding to the side button FPCBs arranged in a radial shape on the other side of the region and each formed with two or more side button contacts electrically connected by pressing the side button;
  • an upper housing for sequentially stacking and receiving the center touch pad, the side touch pad, the center touch pad housing, the side button, and the FPCB; And a lower housing formed to face the upper housing; including, when pointing at a short distance, to be performed alone by the center touch pad, and when pointing at a distance, to perform parallel by a combination of the center touch pad and the side touch pad.
  • the remote pointing starts the touch of the center touch pad to memorize the touch response sensitivity when it reaches the corresponding side touch pad, and the touch is not repeated while the touch is maintained by reaching the side touch pad.
  • Four-dimensional (4D) that allows the movement to continue as the touch response sensitivity is reached, and when the desired pointing coordinate is reached and the touch is released, the remote pointing of the desired pointing coordinate is performed.
  • the side touch pad and the side button are divided into four by the corresponding side touch pads of STU, STD, STL, and STR, and corresponding side buttons of SBU, SBD, SBL, and SBR at equal intervals by the second division boundary layer. Can be configured.
  • center touch pad the side touch pad, or the side button may be used alone or in a specific combination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of the graphic controller.
  • the divided boundary layer is set to a height of 0.5mm to 1.0mm, and is set to a height at which the boundary is recognized, but may be set to a height at which the boundary can be easily crossed while touching when interlocked by the specific combination.
  • vertical scrolling may be performed by the vertical touch of the STL or the STR, or the horizontal scroll may be performed by the left and right touch of the STU or the STD.
  • a vacuum suction plate or an attachment pad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housing, and is attached to a mouse, smartphone, smartphone case, tablet, notebook, or remote controller, and is connected wirelessly or wired to the circuit line of the FPCB and touch pad. It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a function.
  • the mouse, the smart phone, the smart phone case, the tablet, the notebook, or the remote controller itself may be integrally formed to perform a touch pad function.
  • short-range pointing or fine adjustment may be performed by a touch of the center touch pad
  • a drag-and-drop function may be performed by a combination of a double-click of the center touch pad and the side touch pad.
  • the user sets and performs the desired additional function.
  • Four cases of clicking/double-clicking the side touch pad alone and the side touch pad It creates 10 cases, including 6 combinations formed by simultaneous clicking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 the 10 cases are interlocked to form a combination with the click/double click/long press of the corresponding side button again. It is possible to arbitrarily set and execute additional functions of, and to set and execute the function keys of the keyboard and the functions of the keyboard by memorizing the combinations set by the user.
  • the center touch pad when pointing at a short distance, can be used alone, and when pointing at a distance, the center touch pad and the side touch pad can be combined in parallel.
  • the existing touch pad does not provide by the single operation and combination operation of the divided touch pad and the side butt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4D touch pad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4D touch pad module of FIG. 1.
  • FIG. 3 shows a wiring diagram of the FPCB of the 4D touch pad module of FIG. 1.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ssing operation of a side button of the 4D touch pad module of FIG. 1.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4D touch pad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4D touch pad module of FIG. 5.
  • FIG. 7 shows a wiring diagram of the FPCB of the 4D touch pad module of FIG. 5.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ssing operation of a side button of the 4D touch pad module of FIG. 5.
  • FIG. 9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touch pad and a side button of a 4D touch pad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 the four-dimensional touch pad module generally includes a touch pad 110, a center touch pad area, and a divided boundary layer divided into each side touch pad area. (120), a side button 130 that performs a corresponding side button function by pressing the side touch pads 112a, b, c, d, and the touch pad FPCB connection part 141 and the side button contact point 142 Including each of the formed FPCB 140 and upper/lower housings 150 and 160, when short-range pointing, the center touch pad 111 is used alone to perform, and when long-distance pointing, the center touch pad 111 and the side The combination of the touch pads 112a,b,c,d is used in parallel, but the remote pointing starts the touch of the center touch pad 111 and reaches the corresponding side touch pads 112a,b,c,d.
  • the touch response sensitivity at the time is memorized, and while the touch is maintained by reaching the side touch pads 112a, b, c, d, the movement continues as the memorized touch response sensitivity without repeated touches, so that the desired pointing coordinates When it reaches and releases the touch, the point is to perform long-distance pointing of the desired pointing coordinate, so that an infinite distance pointing as much as desired can be performed even with a small area of the touch pad 110.
  • the touch pad 110 is formed in a disk shape,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performs pointing by recognizing a pointing coordinate by a touch of a touch sensor (not shown).
  • the touch pad 110 includes a center touch pad 111 that performs short-range pointing alone, and a side touch pad that simultaneously performs various basic functions of the remote pointing and touch pad, and additional functions not provided by the existing touch pad. It can be divided into 112a, b, c, d).
  • the side touch pads 112a,b,c,d are at equal intervals by the second divided boundary layer 12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STU (Side Touch Up) 112a and the STD (Side Touch Down) 112b
  • STU Side Touch Up
  • STD Side Touch Down
  • Each of the side touch pads of the STL (Side Touch Left) 112c and the STR (Side Touch Right) 112d may be divided into four and configured.
  • the remote pointing starts the touch at the center touch pad 111 and stores the touch response sensitivity when reaching the corresponding side touch pads 112a, b, c, and d, and the side touch pad 112a, As long as b, c, d) is reached and the touch is maintained, the movement continues with the memorized touch response sensitivity even without repeated touches.
  • the desired pointing coordinate is reached and the touch is released, remote pointing of the desired pointing coordinate is performed.
  • the touch response sensitivity when reaching the side touch pads 112a,b,c,d is memorized, and the side touch pads 112a,b,c,d are touched. It is set to be able to move infinitely with the memorized touch response sensitivity even without repeated touches while continuing, so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nd conveniently perform as many long-distance pointing as desired even in a very small area that is not compared with the existing touch pad.
  • the divided boundary layer 120 is formed on the touch pad 110, and the upper area of the touch pad 110 is formed with the circular center touch pad 111.
  • the ring-shaped first divided boundary layer 121 divided into the outer side touch pads 112a,b,c,d, and the side touch pads 112a,b,c,d are divided equally into an arc shape. It is composed of a linear second divided boundary layer 122.
  • the divided boundary film 120 is set to a height of 0.5mm to 1.0mm,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center touch pad 111 and the side touch pads 112a,b,c,d is set to a height of a level to recognize
  • the height can be set to a level that can easily cross the border while touching.
  • the divided boundary layer 120 divides the touch pad 110 to perform various and subdivided functions, while an optional set for each of the center touch pad 111 and each side touch pad 112a, b, c, and d.
  •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physical boundary by the first and second divided boundary layers 121 and 122 with the touch of a finger.
  • a through hole 131 through which the touch pad wiring line 113 passes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touch pad 110 is exposed.
  • the outer area is divided by the second divided boundary layer 122 while the housing function (A) for accommodating the touch pad 110 and the corresponding side is pressed by the corresponding side touch pads 112a,b,c,d. It is configured to perform a button function (B).
  • the side button 130 is SBU (Side Button Up) 132a, SBD (Side Button Down) 132b and SBL (Side Button Left) at equal intervals by the above-described second divided boundary layer 122 132c) and the corresponding side buttons of the SBR (Side Button Right) 132d, respectively, may be divided into four and configured.
  • a touch pad FPCB connection part 141 to which the touch pad wiring line 113 is electrically connected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as shown in FIGS. 2 to 4, and the side button 130
  • Two or more elastic side button contacts 142 are formed in the outer reg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a radial shape and electrically connected by pressing the side button 130.
  • the first to fourth side button contacts 142a and b corresponding to the side buttons 130 of the SBU 132a, SBD 132b, SBL 132c, and SBR 132d. ,c,d) are formed respectively.
  • the divided boundary layer 120, the touch pad 110, the side button 130, and the FPCB 140 are sequentially inside. To accommodate stacking.
  • circuit line C composed of the touch pad wiring line 113 and the side button wiring line 144 is externally formed through a connection groove (not shown) opened at one side of the upper housing 150 or the lower housing 160.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not shown) of the device.
  • the center touch pad when short-range pointing, the center touch pad is used alone, and when long-distance pointing, the center touch pad and the side touch pad are combined. It is possible to overcome spatial constraints by performing a pointing function in a fixed space without physical movement, and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not provided by conventional touch pads by the single operation and combination operation of the divided touch pad and side button. It is attached without feeling of rejection or foreign body, or it is built into itself in various forms without any size limitation so that it can be integrated and used by wired/wireless connection, and it is formed in an ultra-thin shape and linked with the overall design of various smart devices that can apply touch pad functions. Thus, it can be manufactured in a single, integrated configuration.
  • the 4D touch pad module generally includes a center touch pad 110 and a center touch pad housing 120 accommodating the center touch pad 110. ), a side touch pad 125 that is dividedly formed outside the center touch pad 110, a side button 130 that performs a corresponding side button function by pressing the side touch pad 125, and a center touch pad FPCB Split consisting of a connection part 141, a side touch pad FPCB connection part 142 and a side button contact 143 respectively formed FPCB 140, and a first divided boundary film 151a and a second divided boundary film 151b Including the upper housing 150 and the lower housing 160 on which the boundary layer 151 is formed, when pointing at a short distance, the center touch pad 110 is used to perform the operation alone, and when pointing at a distance, the center touch pad ( 110) and the side touch pad 125 are performed in parallel, but the remote pointing starts the touch of the center touch pad 110 and remembers the touch response sensitivity when reaching the corresponding side touch pad 110.
  • the center touch pad 110 is formed in a disk shape, as shown in FIGS. 5 and 6, and performs pointing by recognizing a pointing coordinate by a touch of a touch sensor (not shown).
  • a through hole 121 through which the center touch pad wiring line 111 passes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and the upper part of the center touch pad 110 is The center touch pad 110 is accommodated to be exposed.
  • the side touch pad 125 is separated from the center touch pad 110 and is divided into two or more arc-shaped outside.
  • the center touch pad 110 performs short-range pointing alone, while the side touch pads 125a, b, c, and d perform long-distance pointing in combination with the center touch pad 110, and various basic touch pads It performs functions and additional functions not provided by the existing touch pad in parallel.
  • the far-distance pointing allows you to start a touch from the center touch pad 110 and remember the touch response sensitivity when reaching the corresponding side touch pads 125a,b,c,d, and the side touch pads 125a,b, As long as the touch is maintained after reaching c,d), it is designed so that the movement continues with the memorized touch response sensitivity even without repeated touches.
  • the desired pointing coordinate is reached and the touch is released, remote pointing of the desired pointing coordinate is performed.
  • the touch response sensitivity when reaching the side touch pads 125a,b,c,d is memorized, and the side touch pads 125a,b,c,d are touched. It is set to be able to move infinitely with the memorized touch response sensitivity even without repeated touches while continuing, so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nd conveniently perform as many long-distance pointing as desired even in a very small area that is not compared with the existing touch pad.
  • the side button 130 has a through hole 131 through which the side touch pad wiring line 126 passes, and the side touch pads 125a, b, and c It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side button function by pressing ,d).
  • the side button 130 is divided into four corresponding side buttons of the SBU (132a), SBD (132b), SBL (132c) and SBR (132d) at equal intervals by a second partitioning boundary layer (151b)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configured.
  • center touch pad 110 the side touch pads 125a, b, c, d, or the side button 130 alone or in a specific combination to faithfully perform various functions of basic functions and additional functions as a graphic controller. I can.
  • a center touch pad FPCB connection part 141 to which the center touch pad wiring line 111 is electrically connected is formed in the central area, and one side of the outer area A side touch pad FPCB connection part 142 to which the side touch pad wiring line 126 is connected is formed, and is arranged in a radial shape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area corresponding to each side button 130 to press a specific side button 130
  • Two or more side button contacts 143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each are formed.
  • the first to fourth side button contacts 143a and b corresponding to the side buttons 130 of the SBU 132a, SBD 132b, SBL 132c, and SBR 132d. ,c,d) are formed respectively.
  • the upper housing 150 is a ring-shaped first division boundary that divides the center touch pad 110 and the side touch pads 125a, b, c, and d at the upper end.
  • a divided boundary layer 151 comprising a layer 151a and a linear second divided border layer 151b for equally dividing the side touch pads 125a, b, c, and d in an arc shape is formed.
  • the lower housing 160 is formed to face the upper housing 150, and i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housing 150 and the lower housing 160, the center touch pad 110, the center touch pad housing 120 and the side touch Pads 125a, b, c, d, side buttons 130 and FPCB 140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accommodated.
  • the side touch pads 125a,b,c,d are the corresponding sides of the STU 125a, STD 125b, STL 125c, and STR 125d at equal intervals by the second divided boundary layer 151b.
  • Each of the touch pads can be divided into 4 parts.
  • the divided boundary film 151 is set to a height of 0.5mm to 1.0mm,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center touch pad 110 and the side touch pads 125a, b, c, and d is set to a height of a level to recognize
  • the height can be set to a level that can easily cross the border while touching.
  • the divided boundary layer 151 divides the touch pad to perform various and subdivided functions, while the boundary between the center touch pad 110 and the optional function set for each side touch pad 125a, b, c, d In order to prevent malfunctions beyond the user's fingertips,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physical boundary by the first divided boundary layer 151a and the second divided boundary layer 151b.
  • circuit line C composed of the center touch pad wiring line 111, the side touch pad wiring line 126 and the side button wiring line 144 is opened at one side of the upper housing 150 or the lower housing 160.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not shown) of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connected groove (not shown).
  • a vacuum suction plate or an attachment pad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housing 160, and thus a mouse, a smartphone, a smartphone case, a tablet, a notebook, or a remote control unit is It is attached to various remote controllers of the drone controller, game controller, and VR controller, and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touch pad function by being connected to the circuit line C of the FPCB 140 wirelessly or by wire through a wireless module.
  • the 4D touch pad module may be configured by being combined with an existing mouse, applied to an ultra-thin flat mouse, applied to an ultra-thin curved mouse, or combined with a deformable mouse. .
  • it can be applied to an ultra-thin flat-type mouse for both employee ID, and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freely move through the employee ID and use it during presentation.
  • the center touch pad 110, the STU 125a, the STD 125b, the STL 125c, and the side touch pad of the STR 125d, and the SBU ( 132a), SBD (132b), SBL (132c), and the basic functions and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by the single operation or combination operation of the side button 130 of the SBR (132d) are as follows.
  • the right-click function can be performed by the touch of the STR (125d), and the vertical scroll is performed by the up-and-down touch of the STL (125c) or the STR (125d), or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U (125a) or STD (125d)
  • the left and right scroll can be performed by a touch, and short-range pointing or fine adjustment is performed by the touch of the center touch pad 110, and double click and side touch pads 125a,b,c of the center touch pad 110
  • the drag-and-drop function can be performed by a combination of ,d).
  • the drag-and-drop is performed by double-clicking the center touch pad 110 and pointing to the side touch pads 125a,b,c,d. If touched, drag is continuously performed while the touch is maintained, and when the desired coordinate point is reached, the touch is released and dropped.
  • the side touch pads 125a Creates 10 cases, including 4 cases where b,c,d) is clicked/double-clicked alone and 6 combinations formed by simultaneously clicking the side touch pads 125a,b,c,d by interlocking with each other If these 10 cases are interlocked to form a combination with the click/double click/long press of the side button 130 again, the user can arbitrarily set and perform 120 additional functions. If you can remember the combination, you can set and perform not only the function keys of the keyboard but also the functions of the keyboard.
  • the center touch pad when short-range pointing, the center touch pad is used alone, and when long-distance pointing, the center touch pad and the side touch pad are combined. It is possible to overcome spatial constraints by performing a pointing function in a fixed space without physical movement, and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not provided by conventional touch pads by the single operation and combination operation of the divided touch pad and side button. It is attached without feeling of rejection or foreign body, or it is built into itself in various forms without any size limitation so that it can be integrated and used by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hus, it can be manufactured in a single, integrated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패드와, 센터터치패드영역과 각 사이드터치패드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경계막과, 사이드터치패드의 가압에 의해 해당 사이드버튼기능을 수행하는 사이드버튼과, 터치패드 FPCB 연결부 및 사이드버튼접점이 각각 형성된 FPCB와, 상부/하부하우징을 포함하여, 근거리포인팅시에는, 센터터치패드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포인팅시에는, 센터터치패드와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하되, 원거리포인팅은 센터터치패드의 터치를 시작하여 해당 사이드터치패드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사이드터치패드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기억된 터치반응감도대로 이동이 계속되도록 하여, 원하는 포인팅좌표에 도달하여 터치를 떼면 원하는 포인팅좌표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도록 하여서, 터치패드의 극소면적으로도 원하는 만큼의 무한대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할 수 있는,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4차원 터치패드 모듈
본 발명은 기존의 마우스와 터치패드의 장점을 융합하고 기존의 구성과 구조를 변경하는 동시에 운용원리를 재설정함으로서 기존의 터치패드 보다 더 작은 면적의 터치패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극소면적의 티치패드를 제공하여도 기존의 터치패드 UI 운용방식을 유지하면서 기존의 기능뿐 아니라 추가적 기능 수행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효율과 편리성을 배가한 첨단의 진보적 4차원 터치패드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거리포인팅시, 센터터치패드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포인팅시, 센터터치패드와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4차원 터치패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과 태블릿과 IPTV의 스마트기기를 마우스 또는 키보드의 기능을 활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버튼이 구비된 제어신호 입력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425949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종래의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측공간에 안착되는 밀기버튼과, 내측공간의 내벽과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어느 하나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둘 이상의 단자스위치를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과, 내측공간의 내벽과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다른 하나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단자스위치에 접촉되어 단자스위치를 접속시키는 도전체를 포함하여, 측방향으로 미는 조작력의 방향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입력신호를 발생시켜 신호입력장치에 구비되는 버튼의 개수를 줄이고, 별도의 가압센서가 구비되지 아니하더라도 측방향으로 미는 조작력을 감지하여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하지만,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단자스위치가 내벽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배선구조로 인해 초박형의 마우스를 제작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곡선의 내벽에 본딩작업 난이도가 높아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불량률이 높아지며, 빈번한 단자스위치와의 접속과 온도변화로 연성인쇄회로기판이 분리되어 오작동 가능성이 높아 제품 내구성이 저하되며, 원거리 포인팅은 가능하나 근거리 정밀 포인팅을 수행할 수 없고, 보조버튼을 추가로 설치하여야 마우스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실용성과 외관상 제품의 가치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초박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극소면적의 터치패드상에서 근거리 및 원거리 정밀 포인팅을 수행하고, 터치패드에 의해 다양한 부가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실용성과 효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좌표를 인식하여 포인팅을 수행하는 원판형상의 터치패드; 상기 터치패드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터치패드의 상부를 원형의 센터터치패드와 사이드터치패드로 분할하는 링형상의 제1분할경계막과,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를 호형상으로 개별분할하는 직선형상의 제2분할경계막으로 구성되는, 분할경계막; 중앙영역에 터치패드 배선라인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터치패드 상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터치패드를 수용하면서 외곽영역은 분할되어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가압에 의해 사이드버튼기능을 수행하는 해당 사이드버튼; 중앙영역에 상기 터치패드 배선라인이 연결되는 터치패드 FPCB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버튼에 상응하여 외곽영역에 방사상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사이드버튼의 가압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2개 이상의 사이드버튼접점이 각각 형성된 FPCB; 및 상기 분할경계막과 상기 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버튼과 상기 FPCB가 내측에 순차적으로 적층 수용되는 상부/하부하우징을 포함하여, 근거리포인팅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포인팅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하되, 원거리포인팅은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를 시작하여 상기 해당 사이드터치패드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상기 터치반응감도대로 이동이 계속되도록 하여, 원하는 포인팅좌표에 도달하여 터치를 떼면 원하는 포인팅좌표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도록 하여서, 상기 터치패드의 극소면적으로 원하는 만큼의 무한대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는,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좌표를 인식하여 포인팅을 수행하는 원판형상의 센터터치패드; 중앙영역에 센터터치패드 배선라인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터치패드 상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센터터치패드를 수용하는 센터터치패드하우징; 상기 센터터치패드와 이격되어 외곽에 호형상으로 2개 이상 분할형성되는 사이드터치패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하부에 상응하여 형성되며, 사이드터치패드 배선라인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가압에 의해 사이드버튼기능을 수행하는 해당 사이드버튼; 중앙영역에 상기 센터터치패드 배선라인이 연결되는 센터터치패드 FPCB 연결부가 형성되며, 외곽영역 일측에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배선라인이 연결되는 사이드터치패드 FPCB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버튼에 상응하여 외곽영역 타측에 방사상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사이드버튼의 가압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2개 이상의 사이드버튼접점이 각각 형성된 FPCB; 상단에는 상기 센터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를 분할하는 링형상의 제1분할경계막과,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를 호형상으로 개별분할하는 직선형상의 제2분할경계막으로 구성되는 분할경계막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와 상기 센터터치패드하우징과 상기 사이드버튼과 상기 FPCB를 순차적으로 적층 수용하는 상부하우징; 및 상기 상부하우징에 대향하여 형성된 하부하우징;을 포함하여, 근거리포인팅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포인팅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하되, 원거리포인팅은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를 시작하여 상기 해당 사이드터치패드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상기 터치반응감도대로 이동이 계속되도록 하여, 원하는 포인팅좌표에 도달하여 터치를 떼면 원하는 포인팅좌표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도록 하여서, 상기 터치패드의 극소면적으로 원하는 만큼의 무한대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는,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및 상기 사이드버튼은 상기 제2분할경계막에 의해 동등간격으로 STU와 STD와 STL와 STR의 해당 사이드터치패드 및 SBU와 SBD와 SBL과 SBR의 해당 사이드버튼으로 각각 4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터치패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또는 상기 사이드버튼의 단독 또는 특정조합으로 그래픽컨트롤러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경계막은 0.5mm 내지 1.0mm의 높이로 설정되어, 경계를 인식할 수준의 높이로 설정되되, 상기 특정조합에 의한 연동시 터치하면서 경계를 쉽게 넘어갈 수준의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TR의 터치에 의해 우클릭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TL 또는 상기 STR의 상하터치에 의해 상하 스크롤을 수행하거나, 상기 STU 또는 상기 STD의 좌우터치에 의해 좌우 스크롤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의 저면에는 진공흡착판 또는 부착패드가 형성되어, 마우스, 스마트폰, 스마트폰케이스, 태블릿, 노트북 또는 리모트컨트롤러에 부착되어 무선으로 또는 상기 FPCB의 회로라인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터치패드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우스, 상기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케이스, 상기 태블릿, 상기 노트북 또는 상기 리모트컨트롤러 자체에 내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터치패드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에 의해 근거리포인팅 또는 미세조정을 수행하고,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더블클릭과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드래그 앤 드롭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BU의 클릭에 의해 뒤로가기, 더블클릭에 의해 홈, 길게누름에 의해 바로가기를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SBD의 클릭에 의해 마우스 기본설정, 더블클릭에 의해 주플랫폼으로 안드로이드, 길게누름에 의해 주플랫폼으로 iOS를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SBR의 클릭에 의해 우클릭, 길게누름에 의해 줌인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SBL의 클릭에 의해 좌클릭, 더블클릭에 의해 더블클릭, 길게누름에 의해 줌아웃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화모드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에 의해 전화받기, 더블터치에 의해 전화끊기, 길게터치에 의해 녹음을 수행하도록 하고, 사진모드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에 의해 사진찍기, 더블터치에 의해 줌인, 길게터치에 의해 줌아웃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단독 또는 다른 사이드버튼과 연동한 조합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추가기능을 설정하여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를 단독으로 클릭/더블 클릭하는 4가지 경우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를 서로 연동하여 동시 클릭하여 이루는 6가지 조합을 포함하여 10가지의 경우를 생성하며, 상기 10가지 경우를 연동하여 다시 상기 해당 사이드버튼의 클릭/더블클릭/길게누름과 조합을 이루어, 사용자가 120가지의 추가기능을 임의로 설정하여 수행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조합을 기억하여 키보드의 기능키 및 자판의 기능을 설정하여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근거리포인팅시, 센터터치패드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포인팅시, 센터터치패드와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리적 이동없이 고정된 공간에서 포인팅기능을 수행하여 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할된 터치패드와 사이드버튼의 단독운용 및 조합운용에 의해 기존의 터치패드가 제공하지 않는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부감이나 이물감없이 부착하거나 크기제한없이 다양한 형태로 자체내에 내장시켜 일체화하여 유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마우스와 터치패드의 장점을 융합하고 기존의 구성과 구조를 변경하는 동시에 운용원리를 재설정함으로서 기존의 터치패드 보다 더 작은 면적의 터치패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극소면적의 티치패드를 제공하여도 기존의 터치패드 UI 운용방식을 유지하면서 기존의 기능뿐 아니라 추가적 기능 수행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효율과 편리성을 배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초박형으로 형성하여 터치패드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스마트기기의 전체 디자인과 연계하여 외관상으로 통합된 단일구성으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의 FPCB의 배선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1의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의 사이드버튼의 가압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의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5의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의 FPCB의 배선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5의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의 사이드버튼의 가압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도 9는 제1 및 제2실시예에 의한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의 터치패드 및 사이드버튼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은, 전체적으로, 터치패드(110)와, 센터터치패드영역과 각 사이드터치패드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경계막(120)과,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의 가압에 의해 해당 사이드버튼기능을 수행하는 사이드버튼(130)과, 터치패드 FPCB 연결부(141) 및 사이드버튼접점(142)이 각각 형성된 FPCB(140)와, 상부/하부하우징(150,160)을 포함하여, 근거리포인팅시에는, 센터터치패드(111)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포인팅시에는, 센터터치패드(111)와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하되, 원거리포인팅은 센터터치패드(111)의 터치를 시작하여 해당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기억된 터치반응감도대로 이동이 계속되도록 하여, 원하는 포인팅좌표에 도달하여 터치를 떼면 원하는 포인팅좌표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도록 하여서, 터치패드(110)의 극소면적으로도 원하는 만큼의 무한대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우선, 터치패드(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터치센서(미도시)의 터치에 의한 포인팅좌표를 인식하여 포인팅을 수행한다.
예컨대, 터치패드(110)는 근거리포인팅을 단독 수행하는 센터터치패드(111)와, 원거리포인팅과 터치패드의 다양한 기본기능 및 기존의 터치패드가 제공하지 않는 부가기능을 병행 수행하는 사이드터치패드(112a,b,c,d)로 분할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이드터치패드(112a,b,c,d)는 후술하는 제2분할경계막(122)에 의해 동등간격으로 STU(Side Touch Up)(112a)와 STD(Side Touch Down)(112b)와 STL(Side Touch Left)(112c)와 STR(Side Touch Right)(112d)의 해당 사이드터치패드로 각각 4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구체적으로, 원거리포인팅은 센터터치패드(111)에서 터치를 시작하여 해당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기억된 터치반응감도대로 이동이 계속되도록 설계되어 원하는 포인팅좌표에 도달하여 터치를 떼면 원하는 포인팅좌표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센터터치패드(111)에서 시작하여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에 터치가 지속되는 동안에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기억된 터치반응감도대로 무한대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정되어서, 기존터치패드와 비교되지 않는 극소면적으로도 원하는 만큼의 원거리포인팅을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음, 분할경계막(1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드(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터치패드(110)의 상부영역을 원형의 센터터치패드(111)와 외곽의 사이드터치패드(112a,b,c,d)로 분할하는 링형상의 제1분할경계막(121)과, 사이드터치패드(112a,b,c,d)를 호형상으로 균등하게 개별분할하는 직선형상의 제2분할경계막(12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분할경계막(120)은 0.5mm 내지 1.0mm의 높이로 설정되어, 센터터치패드(111)와 사이드터치패드(112a,b,c,d) 사이의 경계를 인식할 수준의 높이로 설정되되, 원거리포인팅을 위한 센터터치패드(111)와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의 특정조합에 의한 연동시 터치하면서 경계를 쉽게 넘어갈 수준의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분할경계막(120)은 터치패드(110)를 분할하여 다양하고 세분화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면서, 센터터치패드(111)와 각 사이드터치패드(112a,b,c,d)별로 설정된 선택적 기능의 경계를 넘어선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가락의 촉각으로 제1분할경계막(121)과 제2분할경계막(122)에 의한 물리적 경계를 쉽게 인식하도록 한다.
다음, 사이드버튼(1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영역에 터치패드 배선라인(113)이 관통하는 관통홀(131)이 형성되고, 터치패드(110) 상부가 노출되도록 터치패드(110)를 수용하는 하우징역할(A)을 하면서 외곽영역은 제2분할경계막(122)에 의해 분할되어 해당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의 가압에 의해 해당 사이드버튼기능(B)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사이드버튼(130)은 전술한 제2분할경계막(122)에 의해 동등간격으로 SBU(Side Button Up)(132a)와 SBD(Side Button Down)(132b)와 SBL(Side Button Left)(132c)과 SBR(Side Button Right)(132d)의 해당 사이드버튼으로 각각 4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센터터치패드(111), 사이드터치패드(112a,b,c,d) 또는 사이드버튼(130)의 단독으로 또는 특정조합으로 그래픽컨트롤러로서의 기본기능 및 부가기능의 다양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FPCB(14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영역에 터치패드 배선라인(113)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패드 FPCB 연결부(141)가 형성되고, 사이드버튼(130)에 상응하여 외곽영역에 방사상 형태로 배열되어 해당 사이드버튼(130)의 가압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2개 이상의 탄성적인 사이드버튼접점(142)이 각각 형성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BU(132a)와 SBD(132b)와 SBL(132c)과 SBR(132d)의 사이드버튼(130)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사이드버튼접점(142a,b,c,d)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사이드버튼(SB;132a,b,c,d)의 가압(push)에 의해 대응하는 하나의 사이드버튼접점(SBCP;142a,b,c,d)이 통전되도록 하여 사이드버튼(SB)의 클릭과 더블클릭과 길게누름을 각각 인식하게 된다.
다음, 상부/하부하우징(150,16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경계막(120)과 터치패드(110)와 사이드버튼(130)과 FPCB(140)가 내측에 순차적으로 적층 수용한다.
또한, 터치패드 배선라인(113)과 사이드버튼 배선라인(144)으로 구성된 회로라인(C)은 상부하우징(150) 또는 하부하우징(160)의 일측에 개구된 연결홈(미도시)을 통해 외부기기의 연결단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제1실시예의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의 구성에 의해서, 근거리포인팅시, 센터터치패드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포인팅시, 센터터치패드와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하며, 물리적 이동없이 고정된 공간에서 포인팅기능을 수행하여 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으며, 분할된 터치패드와 사이드버튼의 단독운용 및 조합운용에 의해 기존의 터치패드가 제공하지 않는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하며, 거부감이나 이물감없이 부착하거나 크기제한없이 다양한 형태로 자체내에 내장시켜 일체화하여 유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초박형으로 형성하여 터치패드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스마트기기의 전체 디자인과 연계하여 외관상으로 통합된 단일구성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은, 전체적으로, 센터터치패드(110)와, 센터터치패드(110)를 수용하는 센터터치패드하우징(120)과, 센터터치패드(110) 외곽에 분할형성되는 사이드터치패드(125)와, 사이드터치패드(125)의 가압에 의해 해당 사이드버튼기능을 수행하는 사이드버튼(130)과, 센터터치패드 FPCB 연결부(141), 사이드터치패드 FPCB 연결부(142) 및 사이드버튼접점(143)이 각각 형성된 FPCB(140)와, 제1분할경계막(151a) 및 제2분할경계막(151b)로 구성되는 분할경계막(151)이 형성된 상부하우징(150)과, 하부하우징(160)을 포함하여, 근거리포인팅시에는, 센터터치패드(110)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포인팅시에는, 센터터치패드(110)와 사이드터치패드(125)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하되, 원거리포인팅은 센터터치패드(110)의 터치를 시작하여 해당 사이드터치패드(125)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사이드터치패드(125)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기억된 터치반응감도대로 이동이 계속되도록 하여, 원하는 포인팅좌표에 도달하여 터치를 떼면 원하는 포인팅좌표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도록 하여서, 센터터치패드(110) 및 사이드터치패드(125)의 극소면적으로도 원하는 만큼의 무한대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우선, 센터터치패드(1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터치센서(미도시)의 터치에 의한 포인팅좌표를 인식하여 포인팅을 수행한다.
다음, 센터터치패드하우징(1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영역에 센터터치패드 배선라인(111)이 관통하는 관통홀(121)이 형성되고, 센터터치패드(110) 상부가 노출되도록 센터터치패드(110)를 수용한다.
다음, 사이드터치패드(12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터치패드(110)와 이격되어 외곽에 호형상으로 2개 이상 분할형성된다.
여기서, 센터터치패드(110)는 근거리포인팅을 단독 수행하는 반면, 사이드터치패드(125a,b,c,d)는 센터터치패드(110)와 조합하여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고, 터치패드의 다양한 기본기능 및 기존의 터치패드가 제공하지 않는 부가기능을 병행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원거리포인팅은 센터터치패드(110)에서 터치를 시작하여 해당 사이드터치패드(125a,b,c,d)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사이드터치패드(125a,b,c,d)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기억된 터치반응감도대로 이동이 계속되도록 설계되어 원하는 포인팅좌표에 도달하여 터치를 떼면 원하는 포인팅좌표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센터터치패드(110)에서 시작하여 사이드터치패드(125a,b,c,d)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사이드터치패드(125a,b,c,d)에 터치가 지속되는 동안에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기억된 터치반응감도대로 무한대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정되어서, 기존터치패드와 비교되지 않는 극소면적으로도 원하는 만큼의 원거리포인팅을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음, 사이드버튼(13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터치패드 배선라인(126)이 관통하는 관통홀(131)이 형성되고, 해당 사이드터치패드(125a,b,c,d)의 가압에 의해 해당 사이드버튼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사이드버튼(130)은 후술하는 제2분할경계막(151b)에 의해 동등간격으로 SBU(132a)와 SBD(132b)와 SBL(132c)과 SBR(132d)의 해당 사이드버튼으로 각각 4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센터터치패드(110), 사이드터치패드(125a,b,c,d) 또는 사이드버튼(130)의 단독으로 또는 특정조합으로 그래픽컨트롤러로서의 기본기능 및 부가기능의 다양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FPCB(14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영역에 센터터치패드 배선라인(11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터터치패드 FPCB 연결부(141)가 형성되고, 외곽영역 일측에 사이드터치패드 배선라인(126)이 연결되는 사이드터치패드 FPCB 연결부(142)가 형성되고, 각 사이드버튼(130)에 상응하여 외곽영역 타측에 방사상 형태로 배열되어 특정 사이드버튼(130)의 가압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2개 이상의 사이드버튼접점(143)이 각각 형성된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BU(132a)와 SBD(132b)와 SBL(132c)과 SBR(132d)의 사이드버튼(130)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사이드버튼접점(143a,b,c,d)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사이드버튼(SB;132a,b,c,d)의 가압(push)에 의해 대응하는 하나의 사이드버튼접점(SBCP;143a,b,c,d)이 통전되도록 하여 사이드버튼(SB)의 클릭과 더블클릭과 길게누름을 각각 인식하게 된다.
다음, 상부하우징(15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는 센터터치패드(110)와 사이드터치패드(125a,b,c,d)를 분할하는 링형상의 제1분할경계막(151a)과, 사이드터치패드(125a,b,c,d)를 호형상으로 균등하게 개별분할하는 직선형상의 제2분할경계막(151b)으로 구성되는 분할경계막(151)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하우징(160)은 상부하우징(150)에 대향하여 형성되고, 상부하우징(150)과 하부하우징(160) 내측공간에는 센터터치패드(110)와 센터터치패드하우징(120)과 사이드터치패드(125a,b,c,d)와 사이드버튼(130)과 FPCB(140)를 순차적으로 적층 수용된다.
여기서, 사이드터치패드(125a,b,c,d)는 제2분할경계막(151b)에 의해 동등간격으로 STU(125a)와 STD(125b)와 STL(125c)와 STR(125d)의 해당 사이드터치패드로 각각 4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분할경계막(151)은 0.5mm 내지 1.0mm의 높이로 설정되어, 센터터치패드(110)와 사이드터치패드(125a,b,c,d) 사이의 경계를 인식할 수준의 높이로 설정되되, 원거리포인팅을 위한 센터터치패드(110)와 사이드터치패드(125a,b,c,d)의 특정조합에 의한 연동시 터치하면서 경계를 쉽게 넘어갈 수준의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분할경계막(151)은 터치패드를 분할하여 다양하고 세분화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면서, 센터터치패드(110)와 각 사이드터치패드(125a,b,c,d)별로 설정된 선택적 기능의 경계를 넘어선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가락의 촉각으로 제1분할경계막(151a)과 제2분할경계막(151b)에 의한 물리적 경계를 쉽게 인식하도록 한다.
또한, 센터터치패드 배선라인(111)과 사이드터치패드 배선라인(126)과 사이드버튼 배선라인(144)으로 구성된 회로라인(C)은 상부하우징(150) 또는 하부하우징(160)의 일측에 개구된 연결홈(미도시)을 통해 외부기기의 연결단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은 하부하우징(160)의 저면에는 진공흡착판 또는 부착패드(패치)가 형성되어, 마우스, 스마트폰, 스마트폰케이스, 태블릿, 노트북, 또는 리모콘과 드론조정기와 게임조정기와 VR조정기의 다양한 리모트컨트롤러에 부착되어서, 무선모듈을 통해 무선으로 또는 FPCB(140)의 회로라인(C)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터치패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부착없이, 마우스, 스마트폰, 스마트폰케이스, 태블릿, 노트북 또는 리모콘과 드론조정기와 게임조정기와 VR조정기의 다양한 리모트컨트롤러 자체에 내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터치패드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은 기존 마우스에 결합시켜 구성하거나, 초박 평면형 마우스에 적용시키거나, 초박 굴곡형 마우스에 적용시키거나, 변형형 마우스에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사원증 겸용 초박 평면형 마우스에 적용시켜, 프리젠테이션시, 사용자가 사원증을 통해 자유롭게 이동하며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 및 다음의 표 1 내지 표 3을 참조하여, 센터터치패드(110), STU(125a)와 STD(125b)와 STL(125c)와 STR(125d)의 사이드터치패드, 및 SBU(132a)와 SBD(132b)와 SBL(132c)과 SBR(132d)의 사이드버튼(130)의 단독운용 또는 조합운용에 의한 기본기능 및 다양한 부가기능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포인팅 근거리(미세조정) 원거리
CT CT + ST
클릭 좌클릭 우클릭
CT, STL, SBL STR, SBR
스크롤 아래
STR, STL STU, STD
드래그 앤 드롭 CT(더블클릭) + ST
즉, STR(125d)의 터치에 의해 우클릭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STL(125c) 또는 STR(125d)의 상하터치에 의해 상하 스크롤을 수행하거나, STU(125a) 또는 STD(125d)의 좌우터치에 의해 좌우 스크롤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센터터치패드(110)의 터치에 의해 근거리포인팅 또는 미세조정을 수행하며, 센터터치패드(110)의 더블클릭과 사이드터치패드(125a,b,c,d)의 조합에 의해 드래그 앤 드롭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여기서, 드래그 앤 드롭은, 센터터치패드(110)의 더블클릭 후 포인팅하며 사이드터치패드(125a,b,c,d)를 터치하면, 터치가 유지되는 동안 계속하여 드래그가 수행되고 원하는 좌표지점에 도달할 때 터치를 떼어 드롭하여 수행한다.
또한, 사이드터치패드(125a,b,c,d)의 단독 내지는 다른 사이드버튼(130)과 연동한 조합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추가기능을 설정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사이드터치패드(125a,b,c,d)를 단독으로 클릭/더블 클릭하는 4가지 경우와 사이드터치패드(125a,b,c,d)를 서로 연동하여 동시 클릭하여 이루는 6가지 조합을 포함하여 10가지의 경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10가지 경우를 연동하여 다시 해당 사이드버튼(130)의 클릭/더블클릭/길게누름과 조합을 이룬다면 사용자가 120가지의 추가기능을 임의로 설정하여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설정한 조합을 기억할 수만 있다면 키보드의 기능키뿐만 아니라 자판의 기능까지도 설정하여 수행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설정한 조합을 기억할 수만 있다면 키보드의 기능키뿐만 아니라 자판의 기능까지도 설정하여 수행할 수 있다.
사이드버튼 운용 기능 사이드버튼 운용 기능
SBU V 뒤로가기 SBR V 우클릭
W W
~ 바로가기 ~ 줌인
SBD V 기본설정 SBL V 좌클릭
W MP/안드로이드 W 더블클릭
~ MP/iOS ~ 줌아웃
즉, SBU(132a)의 클릭(V)에 의해 뒤로가기, 더블클릭(W)에 의해 홈, 길게누름(~)에 의해 바로가기를 수행하도록 하며, SBD(132b)의 클릭에 의해 마우스 기본설정, 더블클릭에 의해 주플랫폼으로 안드로이드, 길게누름에 의해 주플랫폼으로 iOS를 수행하도록 하며, SBR(132d)의 클릭에 의해 우클릭, 길게누름에 의해 줌인을 수행하도록 하고, SBL(132c)의 클릭에 의해 좌클릭, 더블클릭에 의해 더블클릭, 길게누름에 의해 줌아웃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터치 사용중 사진모드
CT 전화받기 사진찍기
CT 더블터치 전화끊기 줌인
CT 길게터치 녹음 줌아웃
즉, 전화모드시, 센터터치패드(110)의 터치에 의해 전화받기, 더블터치에 의해 전화끊기, 길게터치에 의해 녹음을 수행하도록 하고, 사진모드시, 센터터치패드(110)의 터치에 의해 사진찍기, 더블터치에 의해 줌인, 길게터치에 의해 줌아웃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제2실시예의 4차원 터치패드 모듈의 구성에 의해서, 근거리포인팅시, 센터터치패드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포인팅시, 센터터치패드와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하며, 물리적 이동없이 고정된 공간에서 포인팅기능을 수행하여 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으며, 분할된 터치패드와 사이드버튼의 단독운용 및 조합운용에 의해 기존의 터치패드가 제공하지 않는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하며, 거부감이나 이물감없이 부착하거나 크기제한없이 다양한 형태로 자체내에 내장시켜 일체화하여 유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초박형으로 형성하여 터치패드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스마트기기의 전체 디자인과 연계하여 외관상으로 통합된 단일구성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3)

  1. 좌표를 인식하여 포인팅을 수행하는 원판형상의 터치패드;
    상기 터치패드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터치패드의 상부를 원형의 센터터치패드와 사이드터치패드로 분할하는 링형상의 제1분할경계막과,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를 호형상으로 개별분할하는 직선형상의 제2분할경계막으로 구성되는, 분할경계막;
    중앙영역에 터치패드 배선라인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터치패드 상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터치패드를 수용하면서 외곽영역은 분할되어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가압에 의해 사이드버튼기능을 수행하는 해당 사이드버튼;
    중앙영역에 상기 터치패드 배선라인이 연결되는 터치패드 FPCB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버튼에 상응하여 외곽영역에 방사상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사이드버튼의 가압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2개 이상의 사이드버튼접점이 각각 형성된 FPCB; 및
    상기 분할경계막과 상기 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버튼과 상기 FPCB가 내측에 순차적으로 적층 수용되는 상부/하부하우징을 포함하여,
    근거리포인팅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포인팅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하되,
    원거리포인팅은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를 시작하여 상기 해당 사이드터치패드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상기 터치반응감도대로 이동이 계속되도록 하여, 원하는 포인팅좌표에 도달하여 터치를 떼면 원하는 포인팅좌표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도록 하여서, 상기 터치패드의 극소면적으로 원하는 만큼의 무한대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는, 4차원 터치패드 모듈.
  2. 좌표를 인식하여 포인팅을 수행하는 원판형상의 센터터치패드;
    중앙영역에 센터터치패드 배선라인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터치패드 상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센터터치패드를 수용하는 센터터치패드하우징;
    상기 센터터치패드와 이격되어 외곽에 호형상으로 2개 이상 분할형성되는 사이드터치패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하부에 상응하여 형성되며, 사이드터치패드 배선라인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가압에 의해 사이드버튼기능을 수행하는 해당 사이드버튼;
    중앙영역에 상기 센터터치패드 배선라인이 연결되는 센터터치패드 FPCB 연결부가 형성되며, 외곽영역 일측에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배선라인이 연결되는 사이드터치패드 FPCB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버튼에 상응하여 외곽영역 타측에 방사상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사이드버튼의 가압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2개 이상의 사이드버튼접점이 각각 형성된 FPCB;
    상단에는 상기 센터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를 분할하는 링형상의 제1분할경계막과,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를 호형상으로 개별분할하는 직선형상의 제2분할경계막으로 구성되는 분할경계막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와 상기 센터터치패드하우징과 상기 사이드버튼과 상기 FPCB를 순차적으로 적층 수용하는 상부하우징; 및
    상기 상부하우징에 대향하여 형성된 하부하우징;을 포함하여,
    근거리포인팅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포인팅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하되,
    원거리포인팅은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를 시작하여 상기 해당 사이드터치패드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상기 터치반응감도대로 이동이 계속되도록 하여, 원하는 포인팅좌표에 도달하여 터치를 떼면 원하는 포인팅좌표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도록 하여서, 상기 터치패드의 극소면적으로 원하는 만큼의 무한대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는, 4차원 터치패드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및 상기 사이드버튼은 상기 제2분할경계막에 의해 동등간격으로 STU와 STD와 STL와 STR의 해당 사이드터치패드 및 SBU와 SBD와 SBL과 SBR의 해당 사이드버튼으로 각각 4분할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차원 터치패드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터치패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또는 상기 사이드버튼의 단독 또는 특정조합으로 그래픽컨트롤러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차원 터치패드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경계막은 0.5mm 내지 1.0mm의 높이로 설정되어, 경계를 인식할 수준의 높이로 설정되되, 상기 특정조합에 의한 연동시 터치하면서 경계를 쉽게 넘어갈 수준의 높이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차원 터치패드 모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TR의 터치에 의해 우클릭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차원 터치패드 모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TL 또는 상기 STR의 상하터치에 의해 상하 스크롤을 수행하거나, 상기 STU 또는 상기 STD의 좌우터치에 의해 좌우 스크롤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차원 터치패드 모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의 저면에는 진공흡착판 또는 부착패드가 형성되어, 마우스, 스마트폰, 스마트폰케이스, 태블릿, 노트북 또는 리모트컨트롤러에 부착되어 무선으로 또는 상기 FPCB의 회로라인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터치패드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차원 터치패드 모듈.
  9. 제8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상기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케이스, 상기 태블릿, 상기 노트북 또는 상기 리모트컨트롤러 자체에 내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터치패드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차원 터치패드 모듈.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에 의해 근거리포인팅 또는 미세조정을 수행하고,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더블클릭과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드래그 앤 드롭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차원 터치패드 모듈.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BU의 클릭에 의해 뒤로가기, 더블클릭에 의해 홈, 길게누름에 의해 바로가기를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SBD의 클릭에 의해 마우스 기본설정, 더블클릭에 의해 주플랫폼으로 안드로이드, 길게누름에 의해 주플랫폼으로 iOS를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SBR의 클릭에 의해 우클릭, 길게누름에 의해 줌인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SBL의 클릭에 의해 좌클릭, 더블클릭에 의해 더블클릭, 길게누름에 의해 줌아웃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차원 터치패드 모듈.
  12. 제9항에 있어서,
    전화모드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에 의해 전화받기, 더블터치에 의해 전화끊기, 길게터치에 의해 녹음을 수행하도록 하고,
    사진모드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에 의해 사진찍기, 더블터치에 의해 줌인, 길게터치에 의해 줌아웃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차원 터치패드 모듈.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단독 또는 다른 사이드버튼과 연동한 조합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추가기능을 설정하여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를 단독으로 클릭/더블 클릭하는 4가지 경우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를 서로 연동하여 동시 클릭하여 이루는 6가지 조합을 포함하여 10가지의 경우를 생성하며, 상기 10가지 경우를 연동하여 다시 상기 해당 사이드버튼의 클릭/더블클릭/길게누름과 조합을 이루어, 사용자가 120가지의 추가기능을 임의로 설정하여 수행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조합을 기억하여 키보드의 기능키 및 자판의 기능을 설정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차원 터치패드 모듈.
PCT/KR2020/005130 2019-04-17 2020-04-17 4차원 터치패드 모듈 WO2020213966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604,204 US11366533B2 (en) 2019-04-17 2020-04-17 Four-dimensional touch pad module
EP20790690.0A EP3958099A4 (en) 2019-04-17 2020-04-17 FOUR-DIMENSIONAL TOUCHPAD MODULE
CN202080029005.0A CN113711167B (zh) 2019-04-17 2020-04-17 四维触控板模块
JP2021562068A JP7229454B2 (ja) 2019-04-17 2020-04-17 4次元タッチパッドモジュー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783A KR102236950B1 (ko) 2019-04-17 2019-04-17 터치패드 모듈
KR10-2019-0044783 2019-04-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13966A1 true WO2020213966A1 (ko) 2020-10-22

Family

ID=72837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5130 WO2020213966A1 (ko) 2019-04-17 2020-04-17 4차원 터치패드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66533B2 (ko)
EP (1) EP3958099A4 (ko)
JP (1) JP7229454B2 (ko)
KR (1) KR102236950B1 (ko)
WO (1) WO2020213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639A (ko) * 2020-11-20 2022-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균일한 클릭 동작을 지원하는 터치패드 모듈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9729A (ja) * 2008-02-19 2009-09-03 Panasonic Corp リモコン送信機
KR20130019590A (ko) * 2011-08-17 2013-02-27 이주협 데이터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97986A (ko) * 2012-02-27 2013-09-04 주식회사 디오시스템즈 리모컨 및 그 리모컨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방법
KR101425949B1 (ko) 2012-08-24 2014-08-05 (주)아이티버스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KR101845975B1 (ko) * 2016-10-26 2018-05-18 (주)에이치더블유엘 다이얼 리모콘 장치
KR20180126923A (ko) * 2017-05-19 2018-11-28 (주)아이티버스 스마트 컨트롤러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9230B2 (ja) 2001-09-04 2007-04-2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
JP4020246B2 (ja) 2002-03-26 2007-12-12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ッド装置
US7499040B2 (en) * 2003-08-18 2009-03-03 Apple Inc. Movable touch pad with added functionality
JP2005348036A (ja) 2004-06-02 2005-12-15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入力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70057922A1 (en) * 2005-09-13 2007-03-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put having concentric touch pads
US20100026626A1 (en) * 2008-07-30 2010-02-04 Macfarlane Scott Efficient keyboards
US8362349B2 (en) * 2009-09-11 2013-01-29 Gibson Guitar Corp. Touch pad disc jockey controller
JP5581904B2 (ja) 2010-08-31 2014-09-03 日本精機株式会社 入力装置
WO2013168338A1 (ja) * 2012-05-09 2013-11-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
KR20170094451A (ko) 2014-12-30 2017-08-17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터치 동작 방법, 터치 동작 어셈블리 및 전자 디바이스
KR101817527B1 (ko) * 2015-11-19 2018-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조방법
KR101802667B1 (ko) * 2016-08-25 201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 제품용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CN207115366U (zh) * 2017-08-01 2018-03-16 徐海波 一种多功能触控装置
KR102236945B1 (ko) * 2019-04-10 2021-04-05 주식회사 비엘디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9729A (ja) * 2008-02-19 2009-09-03 Panasonic Corp リモコン送信機
KR20130019590A (ko) * 2011-08-17 2013-02-27 이주협 데이터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97986A (ko) * 2012-02-27 2013-09-04 주식회사 디오시스템즈 리모컨 및 그 리모컨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방법
KR101425949B1 (ko) 2012-08-24 2014-08-05 (주)아이티버스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KR101845975B1 (ko) * 2016-10-26 2018-05-18 (주)에이치더블유엘 다이얼 리모콘 장치
KR20180126923A (ko) * 2017-05-19 2018-11-28 (주)아이티버스 스마트 컨트롤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958099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032A (ko) 2020-10-27
KR102236950B1 (ko) 2021-04-06
CN113711167A (zh) 2021-11-26
JP2022529482A (ja) 2022-06-22
EP3958099A4 (en) 2023-01-04
US11366533B2 (en) 2022-06-21
US20220147167A1 (en) 2022-05-12
EP3958099A1 (en) 2022-02-23
JP7229454B2 (ja)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5421B2 (en) Mutual capacitance touch sensing device
US8514185B2 (en) Mutual capacitance touch sensing device
CN1487766B (zh) 输入设备和移动终端
EP2069877B1 (en) Dual-sided track pad
WO2016133315A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WO2014030949A1 (ko)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WO2020251300A1 (ko) 상하 배치된 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WO2012074256A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mode thereof
JPH11194882A (ja) キーボードおよび入力装置
US7737374B2 (en) Inpu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ame
CN101641667B (zh) 便携信息终端以及便携电话机
WO2011090302A2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WO2013027983A2 (ko) 전자기기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WO2020213966A1 (ko) 4차원 터치패드 모듈
WO2013055002A1 (ko) 터치 패드 및 그 제조방법
WO2010110532A2 (ko) 터치 기능을 구비한 복합 입력장치
KR102236945B1 (ko)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WO2014163374A1 (ko)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
CN113711167B (zh) 四维触控板模块
TWI639110B (zh) 穿戴式電子裝置及其反射電容式觸控面板
KR102502603B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4109543A1 (ko)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CN219320759U (zh) 一种带有多媒体控制功能的无线鼠标
WO2017069332A1 (ko) 펜 마우스 장치
WO2020040551A1 (ko)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906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6206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7906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