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4451A - 터치 동작 방법, 터치 동작 어셈블리 및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터치 동작 방법, 터치 동작 어셈블리 및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4451A
KR20170094451A KR1020177020815A KR20177020815A KR20170094451A KR 20170094451 A KR20170094451 A KR 20170094451A KR 1020177020815 A KR1020177020815 A KR 1020177020815A KR 20177020815 A KR20177020815 A KR 20177020815A KR 20170094451 A KR20170094451 A KR 20170094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ouch sensor
signal
generates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0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링 양
지홍 리우
Original Assignee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94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개시물은 터치 동작 어셈블리를 제공하며, 이 터치 동작 어셈블리는, 터치에 응답하여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제1 터치 센서 및 제2 터치 센서와, 상기 제1 터치 센서 및 제2 터치 센서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상기 제2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면 제1 동작을 트리거링하고; 상기 제2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상기 제1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면 제2 동작을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되는 판단 모듈을 포함한다. 제1 터치 센서 및 제2 터치 센서의 조합을 통해, 터치 동작 어셈블리는 터치 신호들이 검출되는 순서에 기반하여 상이한 동작을 제공하며, 보다 많은 동작들이 제한된 물리적 구조를 통해 확장되며, 이는 사용자 동작 경험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물은 또한 전자 디바이스 및 터치 동작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Description

터치 동작 방법, 터치 동작 어셈블리 및 전자 디바이스
본 개시물은 일반적으로 제어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동작 방법, 터치 동작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터치 기술은 그 직관성으로 인해 다양한 타입의 전자 기기에서 널리 적용되어 기기 제어의 편의성을 개선하고 있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동작 인터페이스들에 의존하여, 사용자는 이 동작 인터페이스들 상에 제시되는 특정의 기능 옵션에 따라 관련된 기능을 직관적인 방식으로 트리거링하기 위해 해당 디스플레이 구역을 터치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구역이 직접 동작될 수 없는 디바이스들의 경우, 가령, 전형적으로 물리적 버튼을 채택함으로써 조작 기능을 제공하는 몰입형 헤드 탑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경우에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첫째, 몰입형 디바이스가 탑재된 경우, 제어 버튼이 관측될 수 없어서 사용자는 그 디바이스를 사용하기 전에, 몰입형 디바이스의 버튼 레이아웃과 그 관련된 조작 기능을 학습해야만 한다. 또한, 각각의 물리적 버튼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는 단일 기능은 사용의 곤란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새로운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수용 축소를 초래한다.
둘째, 설치된 물리적 버튼의 개수는 제품 디자인을 고려하여 제한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제어를 위해 제공되는 기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관점에서, 상이한 형태의 제품의 경우, 관련된 기술은 제품의 특성과 호환가능하게 하며 사용자 동작 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 조작 방법을 제공할 수가 없다.
본 개시물의 하나의 목적은 관련 기술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터치 동작 방법, 터치 동작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개시물은 터치 동작 어셈블리를 제공하며, 이 어셈블리는 터치에 응답하여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제1 터치 센서 및 제2 터치 센서와, 상기 제1 터치 센서 및 제2 터치 센서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상기 제2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면 제1 동작을 트리거링하고; 상기 제2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상기 제1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면 제2 동작을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되는 판단 모듈을 포함한다.
본 개시물은 또한 전술한 터치 동작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개시물은 또한 터치 동작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제1 터치 센서 또는 제2 터치 센서가 터치에 응답하여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상기 제2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면 제1 동작을 트리거링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상기 제1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면 제2 동작을 트리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되는 터치 동작 어셈블리, 전자 디바이스및 터치 동작 방법에 의하면, 제1 터치 센서 및 제2 터치 센서의 조합을 통해 터치 신호들이 검출되는 순서에 기반하여 상이한 동작이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제한된 물리적 구조를 통해 보다 많은 동작들이 확장될 수 있고, 정의되지 않은 동작은 동작 인터페이스에 의존한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사용자 동작 경험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물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동작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물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동작 어셈블리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터치 동작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물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물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본 개시물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본 개시물은 이하 첨부되는 도면 및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며, 이로부터 본 개시물의 목적, 해결책 및 이점은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특정 실시예는 단지 본 개시물의 예시일 뿐 본 개시물을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물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터치 동작 어셈블리(1)의 블럭도가 도시된다. 터치 동작 어셈블리(1)는 제1 터치 센서(11), 제2 터치 센서(20) 및 판단 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센서(11) 및 제2 터치 센서(20)는 터치 동작에 응답하여 터치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터치 센서(11) 및 제2 터치 센서(20)는 터치를 검출할 경우에 터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판단 모듈(30)은 상기 제1 터치 센서(11)가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상기 제2 터치 센서(20)가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터치 센서(20)가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면 제1 동작을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된다. 판단 모듈(30)은 또한 상기 제2 터치 센서(20)가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상기 제1 터치 센서(11)가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터치 센서(11)가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면 제2 동작을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터치 동작 어셈블리의 경우, 제1 터치 센서(11) 및 제2 터치 센서(20)의 조합을 사용하여 상이한 터치 순서에 따라 상이한 동작들이 트리거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은 동일한 조작 기능에 대응하는 상이한 동작일 수 있다. 가령, 조작 기능은 볼륨 조정, 비디오 고속 포워드 및 백워드 조정, 메뉴 진입 또는 진출 동작 등일 수 있다. 추가적인 명확성을 위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세히 기술되도록 조합될 것이며, 제1 터치 센서(11)는 원형 형상이며, 제2 터치 센서(20)는 환형 형상으로서 제1 터치 센서(11)를 둘러싸고 제1 터치 센서(11)로부터 이격된다. 사용자의 핑거가 제1 터치 센서(11)로부터 제2 터치 센서(20)로 슬라이딩될 때, 제1 터치 센서(11)가 먼저 터치 신호를 생성하고, 제2 터치 센서(20)가 그 뒤에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 이 시점에서, 판단 모듈(30)은 이러한 두 개의 터치 신호가 차례로 검출되고 있음을 결정하고, 제1 동작을 트리거링하며, 제1 동작은 포커스 포인트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기능 메뉴에 따라 다음 레벨 메뉴로 진입할 수 있다. 대응하여, 사용자의 핑거가 제2 터치 센서(20)로부터 제1 터치 센서(11)로 슬라이딩될 때, 제2 터치 센서(20)가 먼저 터치 신호를 생성하고, 제1 터치 센서(11)가 그 뒤에 터치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 시점에서, 판단 모듈(30)은 이러한 두 개의 터치 신호가 차례로 검출되고 있음을 결정할 수 있고, 제2 동작을 트리거링할 수 있으며, 제2 동작은 이전 레벨 메뉴로 복귀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1 동작은 볼륨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대응하는 제2 동작은 볼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1 동작은 또한 비디오의 고속 포워드일 수 있지만, 대응하는 제2 동작은 비디오의 고속 백워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판단 모듈(30)은 또한 제1 터치 센서 또는 제2 터치 센서의 터치 신호가 나중에 생성되고 계속해서 나중에 생성된 신호가 종료될 때까지 지속되는 것을 검출할 경우 관련된 제2 동작 또는 관련된 제1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동작은 특정 시나리오로 간소화될 수 있다. 가령, 제1 동작이 볼륨을 증가시키고 있는 경우, 그때 사용자가 핑거를 제1 터치 센서(11)로부터 제2 터치 센서(20)로 슬라이딩하고 제2 터치 센서(20) 상에서 그 터치를 소정의 시간 동안 유지할 때, 제1 터치 센서(11)는 먼저 터치 신호를 생성하고 제2 터치 센서(20)는 그 뒤에 지속적인 시간 동안 터치 신호, 즉 지속적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판단 모듈(30)은 이러한 두 개의 터치 신호가 차례로 검출되고 있음을 결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볼륨을 증가시키는 제1 동작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또한, 제2 터치 센서(20)가 터치 신호를 지속적으로 생성하므로, 판단 모듈(30)은 사용자의 핑거가 제2 터치 센서(20)로부터 떠날 때까지 지속적인 신호에 따라 볼륨을 지속해서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볼륨을 보다 편리하게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분명하게도, 특정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는 볼륨을 조정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으며, 즉, 이 시나리오는 비디오의 진행을 조정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임의의 다른 시나리오가 이러한 동작을 적절히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다수의 제2 터치 센서들이 존재할 경우 다수의 상이한 동작들이 트리거링될 수 있다. 가령, 제2 터치 센서들의 개수가 N인 경우, 제1 터치 센서와 조합하여 정의될 수 있는 상이한 동작들의 개수는 2N개 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2 터치 센서(20)가 배치된 구역 내에, 다수의 개별 제2 터치 센서들(20A, 20B, 20C)이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제2 터치 센서들(20A, 20B, 20C)은 제각기 제1 터치 센서(11)와 조합되어, 볼륨 조정 기능, 비디오 고속 포워드 및 고속 백워드 기능, 및 메뉴 진입 및 진출 기능을 제각기 정의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핑거가 제1 터치 센서(11)로부터 제2 터치 센서(20A)로 슬라이딩될 때, 판단 모듈(30)은 먼저 제1 터치 센서(11)에 의해 생성된 터치 신호를 수신하고, 그 후 제2 터치 센서(20A)에 의해 생성된 터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판단 모듈(30)은 볼륨 증가 동작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역으로, 사용자의 핑거가 제2 터치 센서(20A)로부터 제1 터치 센서(11)로 슬라이딩될 때, 제2 터치 센서(20A)는 먼저 터치 신호를 생성하고, 제1 터치 센서(11)는 그 뒤에 터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판단 모듈(30)은 볼륨 감소 동작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사용자의 핑거가 제1 터치 센서(11)로부터 제2 터치 센서(20B)로 슬라이딩될 때, 판단 모듈(30)은 먼저 제1 터치 센서(11)에 의해 생성되는 터치 신호를 수신하며 그 후 제2 터치 센서(20B)에 의해 생성된 터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비디오 고속 포워드 동작이 트리거링될 수 있다. 역으로, 사용자의 핑거가 제2 터치 센서(20B)로부터 제1 터치 센서(11)로 슬라이딩될 때, 제2 터치 센서(20B)는 먼저 터치 신호를 생성하고 제1 터치 센서(11)는 그 뒤에 터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판단 모듈(30)은 비디오 고속 백워드 동작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터치 센서(11) 및 제2 터치 센서(20C)의 조합은 도 2와 관련하여 전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시 상세하게 기술되지는 않을 것이다.
전술한 조작 기능은 상이한 전자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 특성들에 따라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을 특정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당업자는 이러한 정의를 전술한 실시예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원리에 따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터치 센서(11) 및 제2 터치 센서(20)가 단일 손에 의해 제어가능한 범위 내에 배치될 때, 그 조작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두 개의 터치 센서에 걸친 슬라이드와 같은 지속 동작에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터치 센서 및 제2 터치 센서가 서로로부터 비교적 멀리 이격되게 배치될 때, 그 조작은 두 개의 손의 조합을 통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따라서, 인터페이스 메뉴에 의존함이 없이 다수의 동작이 정의될 수 있으며, 이는 메뉴 아이템 설정의 복잡성을 감소시키며, 동작들은 사용자에 우호적으로 명확하게 정의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판단 모듈(30)은 또한 제1 터치 센서(11) 및 제2 터치 센서(20)에 의해 제각기 생성되어 연속적으로 검출되는 터치 신호들이 사전설정된 유효 시간 간격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만약 그러한 경우 제1 동작을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판단 모듈(30)은 또한 제2 터치 센서(20) 및 제 터치 센서(11)에 의해 제각기 생성되어 연속적으로 검출되는 터치 신호들이 사전설정된 유효 시간 간격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만약 그러한 경우 제2 동작을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판단 모듈(30)이 먼저 제1 터치 센서(11)에 의해 생성된 터치 신호를 검출할 경우, 판단 모듈(30)은 제2 터치 센서(20)가 사전설정된 유효 시간 간격내에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제1 동작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판단 모듈(30)은 먼저 제2 터치 센서(20)에 의해 생성된 터치 신호를 검출할 경우, 판단 모듈(30)은 제1 터치 센서(11)가 사전설정된 유효 시간 간격 내에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제2 동작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또한, 판단 모듈(30)은 제1 터치 센서(11) 및 제2 터치 센서(20)에 의해 생성된 터치 신호들의 연속적인 트리거링 시간들 간의 차이가 사전설정된 유효 시간 간격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그 차이가 사전설정된 유효 시간 간격 내에 존재하면 제1 동작 또는 제2 동작을 대응하게 트리거링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동작의 효율성 및 정밀성이 보장될 수 있다.
터치 동작 어셈블리(1)는 또한 가압된 이후에 제3 동작을 트리거링하는 조작 버튼(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조작 버튼(12)은 제1 터치 센서(11) 또는 제2 터치 센서(20)와 함께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조작 모듈(10)을 구성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터치 동작 어셈블리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터치 동작 어셈블리의 제1 터치 센서(11)는 조작 버튼(12) 상에 직접 배치되지만, 이 개시물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제2 터치 센서가 제품의 특정 형태, 특성 등과 같은 다른 고려사항을 고려하여 조작 버튼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터치 센서(11) 또는 제2 터치 센서(20)는, 조작 버튼이 상기 센서의 가압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한, 조작 버튼(12)에 대해 다른 구성요소 또는 부품을 통해 간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터치 센서(11)를 가압할 경우, 조작 버튼(12)이 아래로 가압되어, 제3 동작이 트리거링될 수 있는데, 이는 현재의 메뉴 인터페이스 상의 특정 선택 동작, 파워 스위치 동작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조작 버튼(12)은, 가압시 제3 동작을 트리거링하는 데 사용되고 또한 제4 동작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회전각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버튼 타입 회전식 인코더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버튼은 X 축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특히, 제4 동작은 볼륨 조정, 비디오 고속 포워드 및 백워드 조정등일 수 있으며, 따라서 특정 제품 및 콘텐츠의 조작 특성에 따라 보다 편리한 조정 방식이 제공될 수 있다. 버튼 타입 회전식 인코더는 기존의 성숙된 기술(an existing mature technology)일 수 있으며, 따라서 그 원리는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실시예에서, 터치 동작 어셈블리는 제2 터치 센서와 조합해서 제1 터치 센서를 사용하여 상이한 조작 기능에 대응하는 상이한 동작을 정의할 수 있으며, 또한, 조작 버튼 및 회전 노브에 상이한 제어 모드를 제공하도록 연계하여 버튼 타입 회전식 인코더를 사용하여 상이한 제품의 조작 특성에 대해 상이한 조작 모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동작 경험을 최적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판단 모듈(30)은 또한 터치 신호가 경로 슬라이드를 나타내고 있음을 제1 터치 센서(11)가 검출할 경우 제5 동작을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터치 센서(20)가 터치 신호를 검출하는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제6 동작을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판단 모듈(30)은 또한 터치 신호가 경로 슬라이드를 나타내고 있음을 제2 터치 센서(20)가 검출할 경우 제5 동작을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터치 센서(11)가 터치 신호를 검출하는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제6 동작을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령, 제5 동작은 포커스 이동일 수 있지만 제6 동작은 동작 인터페이스의 현재의 호출(current call)과 같은 "확인" 동작일 수 있다. 특히, 조작 버튼을 포함하는 터치 동작 어셈블리가 사용될 경우, 조작 버튼을 가압함으로써 동작 인터페이스가 호출될 수 있으며, 즉 제3 동작은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또는 상태에 기반하여 상이한 특정 동작들과 관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된 동작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는 제1 터치 센서(11) 상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에 의해 경로 슬라이드 Y→Z를 만들어, 동작 인터페이스 내의 조작 옵션들 상에서 포커스 포인트의 이동을 트리거링할 수 있으며, 포커스 포인트가 조작될 옵션으로 이동할 때, 핑거는 제2 터치 센서(20)로 이동하고 경로 슬라이드 Z→K를 수행하여 다음 레벨 메뉴가 진입될 수 있도록 "확인" 동작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음 레벨 메뉴가 다수의 조작 옵션을 포함하면, 경로 슬라이드 K→M이 제2 터치 센서(20)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경로 슬라이드 K→M은 이 레벨의 메뉴 내의 조작 옵션상에서 포커스의 이동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포커스 포인트가 조작될 옵션으로 이동할 때, 핑거는 경로 슬라이드 M→N을 통해 제1 터치 센서(11)로 이동하여 이 옵션 하에서 다음 레벨 메뉴로 진입하도록 "확인" 동작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다음 레벨 메뉴가 존재하지 않으면, "확인" 동작이 트리거링될 것이고 경로 슬라이드 M→N이 이 옵션의 실행을 야기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상이한 터치 센서들 상에서 지속적인 모션을 통해 다수의 동작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핑거는 진출, 복귀 등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터치 센서로부터 분리되는 것으로 검출될 수 있다. 또한, 복귀 동작은, "확인" 동작을 수행하고 그후 경로 슬라이드를 수행하는 것을 중지하고 그후 다시 "확인"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통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가령, 사용자는 자신의 핑거를 제2 터치 센서(20) 상에서 슬라이딩하여 경로 슬라이드 K→M을 만들어 포커스를 조작될 옵션 위에 위치시키며, 그후에 그 핑거를 제1 터치 센서(11)로 슬라이딩시켜 경로 슬라이드 M→N을 수행하여 이 옵션 하의 다음 레벨 메뉴로 진입하며, 그 다음 레벨 메뉴에서 조작될 옵션이 없음을 발견하게 되면, 그 후 사용자는 자신의 핑거를 다시 바로 제2 터치 센서(20)로 슬라이딩하여 경로 슬라이드 N→T를 만들어 이전의 레벨 메뉴로 복귀하는 것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전술한 특정의 실시예는 단지 본 개시물의 예시용일 뿐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터치 동작 어셈블리는 제1 터치 센서를 제2 터치 센서와 조합하여 사용하여 상이한 조작 기능에 대응하는 상이한 동작을 정의하며, 또한 터치 모드를 경로 슬라이드와 연계하여 사용하여, 그 결과 사용자는 지속적인 제스처를 통해 다수의 동작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또한, 버튼 타입 회전식 인코더는 조작 버튼 및 회전 노브에 상이한 조작 방법을 제공하도록 연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제품의 조작 특성에 따라 상이한 조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동작 경험은 최적화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터치 동작 어셈블리들 중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한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전자 디바이스는 모바일폰, PDA, 컴퓨터, 원격 제어장치, 헤드폰, 헤드셋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터치 동작 방법이 또한 제공되며,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101에서, 제1 터치 센서 또는 제2 터치 센서가 터치에 응답하여 터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S102에서, 제1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제2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지를 판단하고, 제2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 제1 동작을 트리거링한다.
S103에서, 제2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제1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지를 판단하고, 제1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 제2 동작을 트리거링한다.
도 5에 도시된 단계 S102 및 S103의 실행 단계는 단지 본 개시물의 일 구현예를 구성할 뿐이며 따라서 본 개시물을 제한할려는 의도는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가령, 단계 S102 및 S103은 또한 역으로 또는 동시에 실행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만들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한 조합이 된다.
대안으로서, 다수의 제2 터치 센서가 존재할 수 있으며, 각각의 터치 센서는 상이한 기능에 대응한다. 제1 동작 및 제2동작은 동일한 기능의 상이한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터치 동작 방법은 또한 제1 터치 센서 또는 제2 터치 센서의 터치 신호가 나중에 생성되고 지속적인 신호라는 것을 검출할 경우 관련된 제2 동작 또는 관련된 제1 동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단계 S102 및 S103은 제1 터치 센서 및 제2 터치 센서에 의해 제각기 생성되고 연속적으로 검출되는 터치 신호들이 사전설정된 유효 시간 간격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제1 동작을 트리거링하는 단계와, 제2 터치 센서 및 제1 터치 센서에 의해 제각기 생성되고 연속적으로 검출되는 터치 신호들이 사전설정된 유효 시간 간격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제2 동작을 트리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또한 제1 터치 센서 또는 제2 터치 센서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배치된 조작 버튼이 아래로 가압될 때 제3 동작을 트리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조작 버튼은 제3 동작을 트리거링하는 데 사용되고 또한 제4 동작을 트리거링하기 위해 회전각을 검출하는 데 사용되는 버튼 타입 회전식 인코더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동작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201에서, 제1 터치 센서 또는 제2 터치 센서는 터치에 응답하여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
S202에서, 제1 터치 센서가 경로 슬라이드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제5 동작을 트리거링하고, 제2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지를 판단하고,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 제6 동작을 트리거링한다.
S203에서, 제2 터치 센서가 경로 슬라이드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제5 동작을 트리거링하고, 제1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지를 판단하고,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 제6 동작을 트리거링한다.
전술한 터치 동작 어셈블리의 원리가 터치 동작 방법의 특정 원리에 대해 참조될 수 있으므로 다시 상세하게 기술되지는 않을 것이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을 뿐이며 본 개시물을 제한할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개시물의 사상 및 원리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행해진 임의의 수정, 등가의 대체 및 개선물은 모두 본 개시물의 보호 범위 내에서 포함될 것이다.

Claims (17)

  1. 터치 동작 어셈블리로서,
    터치에 응답하여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제1 터치 센서 및 제2 터치 센서와,
    상기 제1 터치 센서 및 제2 터치 센서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상기 제2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면 제1 동작을 트리거링하며, 상기 제2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상기 제1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면 제2 동작을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되는 판단 모듈을 포함하는
    터치 동작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은 동일한 조작 기능에 대응하는 상이한 동작들인
    터치 동작 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동작 어셈블리는 복수의 제2 터치 센서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2 터치 센서는 상이한 조작 기능에 대응되는
    터치 동작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모듈은, 상기 제1 터치 센서 또는 제2 터치 센서의 터치 신호가 나중에 생성되고 지속적인 신호라는 것을 검출할 경우, 관련된 제2 동작 또는 관련된 제1 동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터치 동작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터치 센서 및 제2 터치 센서에 의해 제각기 생성되고 연속적으로 검출되는 터치 신호들이 사전설정된 유효 시간 간격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터치 신호들이 상기 사전설정된 유효 시간 간격 내에 존재한다면 상기 제1 동작을 트리거링하며, 상기 제2 터치 센서 및 제1 터치 센서에 의해 제각기 생성되고 연속적으로 검출되는 터치 신호들이 상기 사전설정된 유효 시간 간격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터치 신호들이 상기 사전설정된 유효 시간 간격 내에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동작을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되는
    터치 동작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동작 어셈블리는 가압시 제3 동작을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되는 조작 버튼을 더 포함하는
    터치 동작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센서 또는 상기 제2 터치 센서는 상기 조작 버튼 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배치되는
    터치 동작 어셈블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버튼은, 상기 제3 동작을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되고 제4 동작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회전각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버튼 타입 회전식 인코더인
    터치 동작 어셈블리.
  9. 제1항,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터치 센서가 경로 슬라이드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제5 동작을 트리거링하고, 상기 제2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후속해서 생성하는지를 더 판단하고, 상기 제2 터치 센서가 상기 터치 신호를 후속해서 생성하는 경우에 제6 동작을 트리거링하며,
    상기 제2 터치 센서가 경로 슬라이드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제5 동작을 트리거링하고, 상기 제1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후속해서 생성하는지를 더 판단하며, 상기 제1 터치 센서가 상기 터치 신호를 후속해서 생성하는 경우에 제6 동작을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되는
    터치 동작 어셈블리.
  10. 청구항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치 동작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1. 터치 동작 방법으로서,
    A: 제1 터치 센서 또는 제2 터치 센서가 터치에 응답하여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B: 상기 제1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상기 제2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터치 센서가 상기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면 제1 동작을 트리거링하는 단계와,
    C: 상기 제2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상기 제1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터치 센서가 상기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면 제2 동작을 트리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센서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되, 각각의 터치 센서는 상이한 조작 기능에 대응하며, 상기 제1 동작 및 상기 제2 동작은 동일한 조작 기능의 상이한 동작들인
    터치 동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터치 센서 또는 제2 터치 센서의 터치 신호가 나중에 생성되고 지속적인 신호라는 것을 검출할 경우, 관련된 제2 동작 또는 관련된 제1 동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동작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터치 센서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에 의해 제각기 생성되고 연속적으로 검출되는 터치 신호들이 사전설정된 유효 시간 간격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터치 신호들이 상기 사전설정된 유효 시간 간격 내에 존재한다면 상기 제1 동작을 트리거링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터치 센서 및 제1 터치 센서에 의해 제각기 생성되고 연속적으로 검출되는 터치 신호들이 상기 사전설정된 유효 시간 간격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터치 신호들이 상기 사전설정된 유효 시간 간격 내에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동작을 트리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동작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터치 센서 또는 상기 제2 터치 센서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배치되는 조작 버튼이 아래로 가압될 경우 제3 동작을 트리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동작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버튼은, 상기 제3 동작을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되고 제4 동작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회전각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버튼 타입 회전식 인코더인
    터치 동작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터치 센서가 경로 슬라이드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제5 동작을 트리거링하고, 상기 제2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후속해서 생성하는지를 더 판단하며, 상기 제2 터치 센서가 상기 터치 신호를 후속해서 생성하는 경우에 제6 동작을 트리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2 터치 센서가 경로 슬라이드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제5 동작을 트리거링하고, 상기 제1 터치 센서가 터치 신호를 후속해서 생성하는지를 더 판단하며, 상기 제1 터치 센서가 상기 터치 신호를 후속해서 생성하는 경우에 제6 동작을 트리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동작 방법.
KR1020177020815A 2014-12-30 2014-12-30 터치 동작 방법, 터치 동작 어셈블리 및 전자 디바이스 KR201700944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95489 WO2016106541A1 (zh) 2014-12-30 2014-12-30 一种触控操作方法、触控操作组件及电子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451A true KR20170094451A (ko) 2017-08-17

Family

ID=5572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0815A KR20170094451A (ko) 2014-12-30 2014-12-30 터치 동작 방법, 터치 동작 어셈블리 및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364197A1 (ko)
EP (1) EP3242189A4 (ko)
JP (1) JP6470416B2 (ko)
KR (1) KR20170094451A (ko)
CN (1) CN105518588B (ko)
WO (1) WO20161065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61665A1 (en) * 2016-09-14 2019-11-28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Earphone assembly, headset having the same, and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N108900941B (zh) * 2018-07-10 2020-03-31 上海易景信息科技有限公司 耳机的音量控制方法及装置
KR102236950B1 (ko) * 2019-04-17 2021-04-06 주식회사 비엘디 터치패드 모듈
CN111556396A (zh) * 2020-04-28 2020-08-18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tws耳机和触控方法
US11788729B2 (en) * 2020-11-10 2023-10-17 Midea Group Co., Ltd. Cooking appliance with integrated touch sensing controls
CN116473344A (zh) * 2022-01-14 2023-07-25 浙江捷昌线性驱动科技股份有限公司 电动桌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0246B2 (ja) * 2002-03-26 2007-12-12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ッド装置
KR100767686B1 (ko) * 2006-03-30 2007-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휠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명령 입력 방법
KR101442542B1 (ko) * 2007-08-28 2014-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20090091536A1 (en) * 2007-10-05 2009-04-09 Microsoft Corporation Dial Pad Data Entry
US20090273583A1 (en) * 2008-05-05 2009-11-0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ntact sensitive display
US20120019999A1 (en) * 2008-06-27 2012-01-26 Nokia Corporation Touchpad
JP2010287007A (ja) * 2009-06-11 2010-12-24 Sony Corp 入力装置および入力方法
US20100315349A1 (en) * 2009-06-12 2010-12-16 Dave Choi Vehicle commander control switch, system and method
US8441460B2 (en) * 2009-11-24 2013-05-14 Mediatek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ide touch panel as part of man-machine interface (MMI)
JP2011150413A (ja) * 2010-01-19 2011-08-0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操作入力方法及び操作入力プログラム
JP5581904B2 (ja) * 2010-08-31 2014-09-03 日本精機株式会社 入力装置
US8847792B2 (en) * 2010-09-24 2014-09-3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Object detection apparatus and object detection program
JP2013073513A (ja) * 2011-09-28 2013-04-22 Kyocera Corp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5412692B2 (ja) * 2011-10-04 2014-02-12 株式会社モルフォ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808705B2 (ja) * 2012-03-29 2015-11-10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
DE112012006801T5 (de) * 2012-08-10 2015-04-2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perationsschnittstellenvorrichtung und Operationsschnittstellenverfahren
US9389725B2 (en) * 2012-08-14 2016-07-12 Lenovo (Singapore) Pte. Ltd. Detecting a touch event using a first touch interface and a second touch interface
CN102890580B (zh) * 2012-09-06 2016-06-15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移动终端和移动终端中光标位置选择的方法
JP5983225B2 (ja) * 2012-09-17 2016-08-31 株式会社デンソー 入力装置、および入力システム
KR101667079B1 (ko) * 2012-12-24 2016-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싱 장치
US9013452B2 (en) * 2013-03-25 2015-04-21 Qeexo, Co. Method and system for activating different interactive functions using different types of finger contacts
KR101444091B1 (ko) * 2013-08-06 2014-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927927B2 (en) * 2014-05-05 2018-03-27 Atmel Corporation Implementing a virtual controller outside an area of a touch sensor
WO2016112209A1 (en) * 2015-01-09 2016-07-14 Ecorithm, Inc. Machine learning-based fault detection system
US10664092B2 (en) * 2016-09-09 2020-05-26 Ht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18588A (zh) 2016-04-20
EP3242189A1 (en) 2017-11-08
JP6470416B2 (ja) 2019-02-13
EP3242189A4 (en) 2018-08-08
CN105518588B (zh) 2019-09-27
US20170364197A1 (en) 2017-12-21
JP2018500691A (ja) 2018-01-11
WO2016106541A1 (zh)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4451A (ko) 터치 동작 방법, 터치 동작 어셈블리 및 전자 디바이스
US8855966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proximity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69206B1 (ko) 햅틱 피드백 제어 시스템
US9978261B2 (en) Remote controll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KR101640464B1 (ko) 터치스크린 기반의 ui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JP6149604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127701A (ko) 다수의 모드들을 갖는 강화된 리모트 컨트롤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미디어
WO201311223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eedback from an electronic device
JP2009536385A (ja) スクロール付き多機能キー
US10123107B2 (en) Headset controller
CN102111582A (zh) 电视遥控装置、电视机及遥控方法
CN105138136A (zh) 手势识别装置、手势识别方法及手势识别系统
CN105278699A (zh) 易穿戴式手势识别装置
WO2012111227A1 (ja) タッチ式入力装置、電子機器および入力方法
US8779904B2 (en) Multimode remote controller comprising an accelerometer, a gyroscope, a capacitive pressure transducer, and a touch pad
JP2015011679A (ja) 操作入力装置及び入力操作処理方法
TWI567593B (zh) 能夠自動切換操作模式的多功能滑鼠裝置及其方法
US9851801B1 (en) Dual touchpad system
US20130050082A1 (en) Mouse and method for determining motion of a cursor
JP2014120168A (ja) テレビ、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20180006670A (ko) 스마트폰에 내장된 마우스 볼의 회전을 감지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스마트폰
JP2010079772A (ja) 座標指示装置と、この座標指示装置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
US20110001716A1 (en) Key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21043658A (ja) 操作入力装置
KR20110126279A (ko)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 및 이를 이용한 화면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