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09543A1 -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09543A1
WO2014109543A1 PCT/KR2014/000196 KR2014000196W WO2014109543A1 WO 2014109543 A1 WO2014109543 A1 WO 2014109543A1 KR 2014000196 W KR2014000196 W KR 2014000196W WO 2014109543 A1 WO2014109543 A1 WO 201410954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ouch
pointer
virtual
scree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019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허용식
Original Assignee
Hur Yong Sik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Hur Yong Sik filed Critical Hur Yong Sik
Publication of WO201410954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095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control method using a virtual touch pointer and a portable terminal for performing the same.
  • a touch area and a thumb for virtually touching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while the user grips the portable terminal with one hand.
  •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 tablet PCs Personal Computers
  • intelligent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 Touch screens have been adopted as devices.
  • the touch screen touches an input device such as a human finger or a stylus on a character or a specific location on the screen without using a keypad
  • the touch screen determines the location where the input device touches and stores the stored software. This is a screen that allows input data to be directly received from the screen so that a specific process can be performed, and it is a function of adding a device called a touch panel to the screen of a general monitor.
  • the touch panel has a function of allowing the invisible infrared rays to flow from side to side and up and down to create a large number of rectangular grids on the screen so that the input means such as a finger can detect the position when the touch panel contacts the grids. If you touch the character or pictur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equipped with the hand by hand, it is possible to grasp the user's choi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uched screen and process the corresponding command by the computer very easily. You can get it.
  • the touch screen does not need to install a keypad that has previously been used as an input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creen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o allow the user to intuitively operate it. Recently,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users, it is gradually increasing in size. In particular, with the development of touch recognition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mobile applications and high-definition content, the size of the device is further accelerated.
  • a user's finger as an input means for example, an area where the thumb does not touch the entire area of the touch screen, touches a specific object distributed in the entire area of the touch screen. Difficulties were involved. 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held by one hand, an area in which the thumb of the held hand, which is an input means, cannot be touched exists among the entire areas of the touch screen to control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by touching the entire area of the touch screen. It has become a hassle to do.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reen control method using a virtual touch pointer, and a portable terminal for performing the sam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divides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into a touch area where the thumb touches and a non-touch area where the thumb does not touch, while the user grips the portable terminal with one hand, and the thumb touches the non-touch area where the thumb does not touch.
  • Screen control method using a virtual touch pointer that can easily control the screen of the non-touch area where the thumb does not touch by forming a virtual touch pointer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actual touch pointer formed in the touch area touched by There is another purpose to provide.
  •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 touch panel that senses a touch of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a display unit when the virtual touch mode is entered.
  • a screen processing unit for displaying a virtual dividing line for dividing the touch area into two parts, an actual touch pointer in the touch area, and a virtual touch pointer in the non-touch area, wherein the screen processing part includes: The touch panel detects the movement of the actual touch pointer displayed on the touch area through the touch panel to track the movement path of the actual touch pointer, and interlocks the virtual touch pointer with the actual touch pointer in the non-touch area.
  • a portable terminal After moving to the same path as the movement path of the actual touch pointer through a touch panel, a portable terminal may be selected and executed from among objects displayed on a screen in the non-touch area,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touch pointer.
  • the screen processing unit may enter the virtual touch mode when the menu button is press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or the volume key is pressed more than a set number of times.
  • the screen processing unit moves downward in the non-touch area when the actual touch pointer moves to the third quadrant of the quadrant while the virtual touch pointer touches an outer surface and no longer moves in the moving direction.
  • the actual touch pointer may be moved upward.
  • the screen processing unit moves the virtual touch pointer to the third quadrant of the quadrant in a state in which the virtual touch pointer reaches the virtual dividing line and no longer moves in the moving direction in the non-touch area.
  • the method may be configured to move downward along the dividing line, and move upward in the virtual dividing line when the actual touch pointer moves to the second quadrant of the quadrant.
  • the screen processing unit may move to the set initial coordinates when the actual touch pointer is no longer moved in the moving direction by touching the virtual dividing lin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within the touch area. Can be.
  • two actual touch pointers are displayed in the touch area, and two virtual touch pointers are displayed in the non-touch area to move in the same moving path in association with the two actual touch pointers.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screen processor removes one of the two actual touch pointers and one of the two virtual touch pointers from the screen. You can do
  • the screen processing unit removes any one of the two actual touch pointers and one of the two virtual touch pointers from the screen when the two virtual touch pointers are moved to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non-touch area. It can be characterized by.
  • the screen processing unit may end the virtual touch mode when the menu button is pressed again for a preset time or more after the entry into the virtual touch mode or when the volume key is pressed again for a set number of times or more. have.
  • the screen processing unit may remove the virtual split line, the actual touch pointer, and the virtual touch pointer from the screen.
  • the virtual dividing line divides the screen of the display into diagonal lines, vertically divides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or divides the screen into an area where the thumb of the user touches and an area where the thumb does not touch in consideration of the moving radius of the user's thumb. It may be characterized by dividing.
  • the virtual dividing line may be a straight line or a curve having a constant curvature, and may be represented by a dotted line or a solid line.
  • the virtual touch pointer and the actual touch pointer may be displayed in a form selected from a circle, an ellipse, a square, or a dot, respectively.
  •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enters the virtual touch mode, and displays a virtual dividing line for dividing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into a touch area and a non-touch area on the display unit, Displaying a real touch pointer on the touch area, and displaying a virtual touch pointer on the non-touch area; and (b) detecting that a user's finger is moved in contact with the actual touch pointer displayed in the touch area.
  • the virtual touch mode may be entered when the menu button is press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or the volume key is pressed for more than a set number of times.
  • the step (c) is a downward direction when the virtual touch pointer moves to the third quadrant of the quadrants while the virtual touch pointer touches an outer surface and no longer moves in the moving direction in the non-touch area. And move upwards when the actual touch pointer moves to the second quadrant of the quadrant.
  • the virtual touch pointer moves to the third quadrant of the quadrant while the virtual touch pointer touches the virtual dividing line and no longer moves in the movement direction.
  • the image may be moved downward along the virtual dividing line and moved upward along the virtual dividing line when the actual touch pointer moves to the second quadrant of the quadrant.
  • two actual touch pointers are displayed in the touch area, and two virtual touch pointers are displayed in the non-touch area to move in the same moving path in association with the two actual touch pointers. It may be characterized by.
  • one of the two actual touch pointers and one of the two virtual touch pointers may be removed from the screen. .
  • any one of the two actual touch pointers and one of the two virtual touch pointers may be removed from the screen. Can be.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ending the virtual touch mode when the menu button is pressed again for a preset time or more after the step (d) or when the volume key is pressed again for a set number of times or more. .
  • the virtual split line, the actual touch pointer, and the virtual touch pointer may be removed from the screen.
  • the virtual dividing line divides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in diagonal lines, divides them up and down, or the area where the user's thumb touches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thumb moving radius. It may be characterized by dividing into regions that do not reach.
  • the virtual dividing line may be displayed as a dotted line or a solid line in a straight line or a curve having a constant curvature.
  • the virtual touch pointer and the actual touch pointer may be displayed as one of a circle, an ellipse, a rectangle, and a dot, respectively.
  • the user divides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into a touch area where the thumb touches and a non-touch area where the thumb does not touch while the user holds the portable terminal with one hand
  • a virtual touch pointer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n actual touch pointer formed in a touch area where the thumb touches the non-touch area that does not touch can be easily controlled to control the screen of the non-touch area where the thumb does not touch.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uch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to explain a screen control method using a virtual touch po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 and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virtual dividing lin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to 10 schematically illustrate a touch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in order to explain an interlocking operation between an actual touch pointer and a virtual touch po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for performing a screen control method using a virtual touch po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reen control method using a virtual touch po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ouch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to explain a screen control method using a virtual touch po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rtable terminal 1 when a user grips the portable terminal 1 with one hand, for example, with his right hand, the user divides it into a touch area 2 where the thumb touches and a non-touch area 3 where the thumb does not touch.
  • the virtual touch pointer 7 which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actual touch pointer 6 displayed on the touch area 2 where the thumb touches is displayed on the non-touch area 3 where the thumb does not touch.
  • the touch screen 4 is divided into a touch area 2 where the thumb touches and a non-touch area 3 where the thumb does not touch the border of the virtual dividing line 5, and the touch touches the thumb.
  • the real touch pointer 6 is displayed in the area 2
  • the virtual touch pointer 7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eal touch pointer 6 is displayed in the non-touch area 3 where the thumb does not touch.
  • the non-touch area ( The virtual touch pointer 7 displayed in 3) is also moved in conjunction with the actual touch pointer 6, and in this way, the virtual touch pointer 7 is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using the actual touch pointer 6.
  • an event such as a mouse click may be generated to easily control the screen of the non-touch area 3 where the thumb of the user does not touch.
  • the virtual touch pointer 7 displayed in the non-touch area 3 is substantially controlled using the actual touch pointer 6 to touch an object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non-touch area 3.
  • An event such as a mouse click can be generated.
  • a touch operation m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irtual touch mode
  • executing an object selected by the virtual touch pointer 7 using the actual touch pointer 6 is provided. do.
  • the user presses the menu button of the mobile terminal 1, for example, a smartphone for more than a set time (for example, 2 seconds), or presses the volume key for a set number of times (for example, 2 times), or You can enter the menu by pressing the menu button and volume key at the same tim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pecific operation and can be set in various ways.
  •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4 includes a virtual dividing line 5, an actual touch pointer 6, and a virtual screen as shown in FIG. 1.
  • the touch pointer 7 is displayed.
  • the virtual dividing line 5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solid line or a dotted line
  • the actual touch pointer 6 and the virtual touch pointer 7 may be display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circle, an ellipse, a square, a dot, and the like. , Do not put restrictions.
  • FIGS. 2 and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virtual dividing lin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irtual dividing line 5 does not divide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4 into diagonal lines connecting the lower left corner from the upper right corner as shown in FIG. 1. Dividing up and down as shown in Fig. 3, or based on the average moving radius of the thumb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average thumb length of the adult male and female and the screen size of the touch screen as shown in Figure 3 in the lower left corner of the screen It can also be divided through a virtual dividing line with curvature and connecting to the right side.
  • FIG. 4 to 10 schematically illustrate a touch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in order to explain an interlocking operation between an actual touch pointer and a virtual touch po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rtable terminal 1 enters the virtual touch mode. Accordingly,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4 is shown in FIG. 4. As shown, the virtual dividing line 5, the actual touch pointer 6 and the virtual touch pointer 7 are displayed. At this time, the actual touch pointer 6 and the virtual touch pointer 7 are displayed at preset initial coordinates Xf0 and Yf0 (Xs0 and Ys0), respectively.
  • the user moves his thumb to the actual touch pointer 6 in order to move the path shown in FIG. 4, for example, the initial paths Xf0 and Yf0 to the final coordinates Xf3 and Yf3. Accordingly, when the actual touch pointer 6 is moved, the virtual touch pointer 7 moves from the initial coordinates Xs0 and Ys0 to the final coordinates Xs3 and Ys3 in conjunction with this.
  • the virtual touch pointer 7 moves to the outside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7 in association with the actual touch pointer 6, that is, the touch screen (FIGS. 5 and 6).
  • the virtual touch pointer 7 In the state where it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4) and can no longer be moved leftward, when the actual touch pointer 6 is moved leftward, the virtual touch pointer 7 is no longer moved but remains stationary but is actually The touch pointer 6 can move.
  • the same operation may be performed when the virtual touch pointer 7 is positioned on the virtual dividing line 5 and no longer moves to the right. That is, the virtual touch pointer 7 may move up and down along the virtual dividing line 5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actual touch pointer 6 moves in the quadrant.
  • the actual touch pointer 6 further touches the virtual dividing line 5 or one of the right side and the bottom side of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4 in the moving direction. If it cannot move abnormally, when it enters the virtual touch mode, it is displayed by automatically moving to initial coordinates (Xf0, Yf0), which are positions where the actual touch pointer 6 is displayed.
  • FIGS. 1 through 5 one actual touch pointer 6 and one virtual touch pointer 7 are displayed. However, as shown in FIG. 8, two actual touch pointers and two virtual touch pointers may be displayed. And they can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 the virtual touch pointer 7-1 moves in the same manner as the movement path of the actual touch pointer 6-1 in cooperation with the actual touch pointer 6-1, and the virtual touch pointer 7-2 is moved. In conjunction with the actual touch pointer 6-2, the same movement as the movement path of the actual touch pointer 6-2 is performed.
  • the actual touch pointer 6-2 is touched for a set time, for example, 2 to 3 seconds while the user is stationary without moving the actual touch pointer 6-1 using his or her thumb, or the actual touch pointer When (6-1) is touched two or more times quickly, it is generated on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4).
  • the virtual touch mode when the virtual touch mode is to be terminated, a specific operation performed to enter the virtual touch mode, for example, pressing a menu button for 2 seconds or more, is performed again, or the virtual touch pointer 7-shown in FIG.
  • the virtual touch mode may be terminated by moving all of 1, 7-2) to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4.
  • FIG.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for performing a screen control method using a virtual touch po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components are shown.
  • a portable terminal provides a display unit 11 for displaying an image, a touch panel 12 for detecting a touch of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11, and a touch signal through the touch panel 12. And a screen processing unit 20 for sensing and controlling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1.
  • the screen processing unit 20 detects when a specific operation occurs such that the menu button 30 is pressed for a set time or longer or a volume key 40 is pressed for a set number of times or more by a user's operation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 a specific operation such that the menu button 30 is pressed for a set time or longer or a volume key 40 is pressed for a set number of times or more by a user's operation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 To enter the touch operation mode into the virtual touch mode to display the virtual dividing line 5 dividing the touch area 2 and the non-touch area 3 into the display area 11, and the touch area of the display part 11.
  • An actual touch pointer 6 is displayed in (2), and a virtual touch pointer 7 is displayed in the non-touch area 3.
  • the screen processor 20 senses that a user's finger, for example, a thumb, moves in contact with the actual touch pointer 6 displayed in the touch area 2 through the touch panel 12 of the touch screen unit 10.
  • the movement path of the actual touch pointer 6 is tracked.
  • the virtual touch pointer 7 is interlocked with the actual touch pointer 6 in the non-touch area 3 based on the tracked movement path to move the same path as the movement path of the actual touch pointer 6.
  • the screen processor 20 moves the virtual touch pointer 7 to the same path as the movement path of the actual touch pointer 6 and then touches the user with the thumb again through the touch panel 12 through the user's thumb. If this is detected, the object displayed on the screen is selected and executed so as to overlap the virtual touch pointer 7 among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non-touch area 3.
  • the screen processing unit 20 has a virtual touch pointer 7 in the non-touch area 3, the left side of which is moved toward the outer surface and the left side of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4.
  • the actual touch pointer 6 moves to the third quadrant of the quadrants while it is no longer moved, it moves downward along the left side.
  • the actual touch pointer 6 moves to the second quadrant of the quadrant, the actual touch pointer 6 moves upward.
  • the screen processing unit 20 is the third of the quadrants of the actual touch pointer 6 in the state in which the virtual touch pointer 6 touches the virtual dividing line 5 and no longer moves in the moving direction in the non-touch area 3. When moving to the quadrant, it moves downward along the virtual dividing line 5. In addition, when the actual touch pointer 6 moves to the second quadrant of the quadrant, the actual touch pointer 6 is moved upward along the virtual dividing line 5.
  • the screen processing unit 20 includes two actual touch pointers 6-1 and 6-2.
  • one of the two virtual touch pointers 7-1 and 7-2 are removed from the screen.
  • the screen processor 20 may move two real touch pointers 6-1 when the two virtual touch pointers 7-1 and 7-2 are moved to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non-touch area 3. 6-2) and one of the two virtual touch pointers 7-1 and 7-2 are removed from the screen.
  • the screen processing unit 20 ends the virtual touch mode when the menu button is pressed again for a set time or more, or the volume key is pressed again for a set number of times or more.
  • the virtual touch mode ends, the virtual dividing line 5, the actual touch pointer 6, and the virtual touch pointer 7 are removed from the screen.
  •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reen control method using a virtual touch po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virtual touch mode is entered to touch the display unit 11.
  • the virtual dividing line 5 dividing into the area 2 and the non-touch area 3 is displayed, the actual touch pointer 6 is displayed in the touch area 3, and the virtual touch is displayed in the non-touch area 3.
  • the pointer 7 is displayed (S121, S122).
  • the user's finger is sensed to be moved in contact with the actual touch pointer 6 displayed in the touch area 2 to track the movement path of the actual touch pointer 6 (S123).
  • the virtual touch pointer 7 is moved in the non-touch area 3 in the same path as the movement path of the tracked real touch pointer 6 in association with the actual touch pointer 6 (S124).
  • the virtual touch pointer 7 is activated to correspond to the virtual touch pointer 7 among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non-touch area 3.
  • the object is displayed to be selected and executed (S125 and S126).
  • the virtual touch mode ends when the menu button is pressed agai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or when the volume key is pressed again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가상으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가 닿는 터치 영역과 엄지가 닿지 않는 비터치 영역으로 이분할하고, 엄지가 닿지 않는 비터치 영역에 엄지가 닿는 터치 영역에 형성된 실제 터치 포인터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형성하여 엄지가 닿지 않는 비터치 영역의 화면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본 발명은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가상으로 엄지가 닿는 터치 영역과 엄지가 닿지 않는 비터치 영역으로 이분할하고, 엄지가 닿지 않는 비터치 영역에 엄지가 닿는 터치 영역에 형성된 실제 터치 포인터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형성하여 엄지가 닿지 않는 비터치 영역의 화면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그리고 지능형 단말기인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대부분은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다양한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하여 입력과 시각적 출력이 동시에 가능하다는 이점 때문에 표시장치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채택하게 되었다.
터치 스크린은 키패드(key pad)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screen)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와 같은 입력 수단이 닿으면, 입력 수단이 닿은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화면에서 직접 입력 자료를 받을 수 있게 한 화면으로서, 일반 모니터의 화면에 터치패널(touch panel) 이라는 장치를 덧붙여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을 말한다.
터치패널은 좌우상하로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이 흐르게 하여 화면에 수많은 사각형 격자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손가락과 같은 입력 수단이 상기 격자에 접촉하면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터치패널을 장착한 화면에 미리 나타낸 문자나 그림 정보를 손으로 접촉하면 접촉한 화면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명령을 컴퓨터로 처리하도록 하여 아주 쉽게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기존에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로 사용되었던 키패드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표시 면적의 증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하여 대부분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점차 대형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터치 인식 기술 발전과, 다양한 모바일용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및 고화질의 콘텐츠 개발과 맞물려 대형화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그러나 터치 스크린이 대형화되어 감에 따라 터치 스크린의 전체 영역에서 입력 수단인 사용자의 손가락, 예를 들면 엄지가 닿지 않는 영역이 존재하게 되어 터치 스크린의 전체 영역에 분포하고 있는 특정 객체(object)를 터치하는데 어려움이 수반되었다. 즉, 휴대용 단말기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의 전체 영역 중 입력 수단인 파지한 손의 엄지가 터치할 수 없는 영역이 존재하게 되어 터치 스크린의 전체 영역을 터치하여 터치 스크린의 화면을 제어하는 것은 번거로움이 존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손에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파지한 손의 엄지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의 전체 영역에서 화면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가상으로 엄지가 닿는 터치 영역과 엄지가 닿지 않는 비터치 영역으로 이분할하고, 엄지가 닿지 않는 비터치 영역에 엄지가 닿는 터치 영역에 형성된 실제 터치 포인터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형성하여 엄지가 닿지 않는 비터치 영역의 화면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화면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패널과, 가상 터치 모드 진입시 상기 표시부에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터치 영역과 비터치 영역으로 이분할하는 가상 분할선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 영역에는 실제 터치 포인터를 표시하고, 상기 비터치 영역에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표시하는 화면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면 처리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터치 영역 내에 표시된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것을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감지하여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상기 비터치 영역 내에서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를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와 연동하여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의 이동 경로와 동일한 경로로 이동시킨 후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에 다시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비터치 영역 내의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들 중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에 대응되는 객체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면 처리부는 메뉴버튼이 설정시간 이상으로 눌려지거나, 볼륨키가 설정횟수 이상 눌려지는 경우 상기 가상 터치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면 처리부는 상기 비터치 영역 내에서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가 외곽면에 닿아 이동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가 사분면 중 제3 분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가 사분면 중 제2 분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윗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면 처리부는 상기 비터치 영역 내에서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가 상기 가상 분할선에 닿아 이동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가 사분면 중 제3 분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상 분할선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가 사분면 중 제2 분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상 분할선을 따라 윗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면 처리부는 상기 터치 영역 내에서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가 상기 가상 분할선 또는 상기 표시부의 화면의 외곽면에 닿아 이동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 설정된 초기 좌표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는 상기 터치 영역 내에서 2개가 표시되고, 2개로 표시되는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와 각각 연동하여 동일한 이동 경로로 이동하도록 상기 비터치 영역 내에는 2개의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면 처리부는 상기 2개의 실제 터치 포인터가 서로 동일한 위치로 이동하여 서로 중첩되면 상기 2개의 실제 터치 포인터 중 어느 하나와, 상기 2개의 가상 터치 포인터 중 어느 하나를 화면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면 처리부는 상기 2개의 가상 터치 포인터가 상기 비터치 영역의 좌측 상단 모서리로 이동되면 상기 2개의 실제 터치 포인터 중 어느 하나와, 상기 2개의 가상 터치 포인터 중 어느 하나를 화면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면 처리부는 상기 가상 터치 모드로 진입된 후 상기 메뉴버튼이 설정시간 이상으로 다시 눌려지거나, 상기 볼륨키가 설정횟수 이상 다시 눌려지는 경우 상기 가상 터치 모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면 처리부는 가상 터치 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가상 분할선과,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와,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를 화면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상 분할선은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사선 방향으로 이분할하거나, 상하로 이분할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엄지의 이동 반경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엄지가 닿는 영역과 엄지가 닿지 않는 영역으로 이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상 분할선은 직선 또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선으로 점선 또는 실선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와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는 각각 원형, 타원형, 각형 또는 점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a) 가상 터치 모드에 진입하면, 표시부에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터치 영역과 비터치 영역으로 이분할하는 가상 분할선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 영역에는 실제 터치 포인터를 표시하고, 상기 비터치 영역에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와, (b)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터치 영역 내에 표시된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와, (c) 상기 비터치 영역 내에서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를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와 연동하여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의 이동 경로와 동일한 경로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d)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에 사용자 손가락을 통해 접촉이 다시 감지되면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를 활성화하여 상기 비터치 영역 내의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들 중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에 대응되도록 표시되어 있는 객체를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상 터치 모드는 메뉴버튼이 설정시간 이상으로 눌려지거나, 볼륨키가 설정횟수 이상 눌려지는 경우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상기 비터치 영역 내에서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가 외곽면에 닿아 이동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가 사분면 중 제3 분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가 사분면 중 제2 분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윗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상기 비터치 영역 내에서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가 상기 가상 분할선에 닿아 이동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가 사분면 중 제3 분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상 분할선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가 사분면 중 제2 분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상 분할선을 따라 윗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는 상기 터치 영역 내에서 2개가 표시되고, 2개로 표시되는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와 각각 연동하여 동일한 이동 경로로 이동하도록 상기 비터치 영역 내에는 2개의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2개의 실제 터치 포인터가 서로 동일한 위치로 이동하여 서로 중첩되면 상기 2개의 실제 터치 포인터 중 어느 하나와, 상기 2개의 가상 터치 포인터 중 어느 하나를 화면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2개의 가상 터치 포인터가 상기 비터치 영역의 좌측 상단 모서리로 이동되면 상기 2개의 실제 터치 포인터 중 어느 하나와, 상기 2개의 가상 터치 포인터 중 어느 하나를 화면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 후 상기 메뉴버튼이 설정시간 이상으로 다시 눌려지거나, 상기 볼륨키가 설정횟수 이상 다시 눌려지는 경우 상기 가상 터치 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상 터치 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가상 분할선과,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와,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를 화면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가상 분할선은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사선 방향으로 이분할하거나, 상하로 이분할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엄지의 이동 반경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엄지가 닿는 영역과 엄지가 닿지 않는 영역으로 이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가상 분할선은 직선 또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선으로 점선 또는 실선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와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는 각각 원형, 타원형, 각형 또는 점들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가상으로 엄지가 닿는 터치 영역과 엄지가 닿지 않는 비터치 영역으로 이분할하고, 엄지가 닿지 않는 비터치 영역에 엄지가 닿는 터치 영역에 형성된 실제 터치 포인터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형성하여 엄지가 닿지 않는 비터치 영역의 화면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가상 분할선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제 터치 포인터와 가상 터치 포인터 간의 연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를 한 손, 예를 들면 오른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가 닿는 터치 영역(2)과, 엄지가 닿지 않는 비터치 영역(3)으로 이분할하고, 엄지가 닿지 않는 비터치 영역(3)에 엄지가 닿는 터치 영역(2)에 표시된 실제 터치 포인터(6)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7)를 표시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4)은 가상 분할선(5)을 경계로 하여 엄지가 닿는 터치 영역(2)과 엄지가 닿지 않는 비터치 영역(3)으로 이분할하고, 엄지가 닿는 터치 영역(2)에는 실제 터치 포인터(6)가 표시되고, 엄지가 닿지 않는 비터치 영역(3)에는 실제 터치 포인터(6)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7)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비터치 영역(3) 내에 표시된 가상 터치 포인터(7)에 자신의 오른손 엄지를 직접 접촉시키지 않아도 터치 영역(2) 내에 표시된 실제 터치 포인터(6)를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시키면 비터치 영역(3) 내에 표시된 가상 터치 포인터(7) 또한 실제 터치 포인터(6)와 연동하여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실제 터치 포인터(6)를 이용하여 가상 터치 포인터(7)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실제 터치 포인터(6)를 터치하면 마우스의 클릭과 같은 이벤트(event)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엄지가 닿지 않는 비터치 영역(3)의 화면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제 터치 포인터(6)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비터치 영역(3) 내에 표시된 가상 터치 포인터(7)를 제어하여 비터치 영역(3) 내의 소정 위치에 표시된 객체를 터치하여 마우스의 클릭과 같은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실제 터치 포인터(6)를 이용하여 가상 터치 포인터(7)에 의해 선택된 객체를 실행하는 터치 동작 모드(이하, 가상 터치 모드라 함)를 제공한다.
가상 터치 모드의 진입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 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메뉴버튼을 설정시간 이상(예, 2초) 누르거나, 볼륨키를 설정회수(예 2회) 이상 누르거나, 혹은 메뉴버튼과 볼륨키를 동시에 누르는 방식으로 진입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특정 동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한 특정 동작들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통해 가상 터치 모드에 진입하면 터치 스크린(4)의 화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분할선(5), 실제 터치 포인터(6) 및 가상 터치 포인터(7)가 표시된다. 이때, 가상 분할선(5)은 실선 또는 점선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고, 실제 터치 포인터(6) 및 가상 터치 포인터(7)는 원형, 타원형, 각형, 점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가상 분할선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분할선(5)은 도 1과 같이 터치 스크린(4)의 화면을 우측 상단 모서리에서 좌측 하단 모서리를 연결하는 사선으로 이분할하는 것이 아니라, 엄지가 작은 사용자들을 고려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이분할하거나, 혹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인남녀의 평균 엄지 길이와 터치 스크린의 화면 크기를 고려하여 산출된 엄지의 평균 이동반경을 토대로 화면의 좌측 하단 모서리에서 일정 곡률을 갖고 우측면으로 연결되는 가상 분할선을 통해 이분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제 터치 포인터와 가상 터치 포인터 간의 연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엄지를 이용하여 실제 터치 포인터(6)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터치 영역(2) 내에서 실제 터치 포인터(6)를 일정한 궤적을 따라 이동시키면 이와 연동하여 가상 터치 포인터(7)는 비터치 영역(3) 내에서 실제 터치 포인터(6)와 연동하여 실제 터치 포인터(6)의 이동 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연동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특정 동작, 예를 들어 메뉴버튼을 2초 이상 누르면 휴대용 단말기(1)는 가상 터치 모드로 진입하고,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4)의 화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분할선(5), 실제 터치 포인터(6) 및 가상 터치 포인터(7)가 표시된다. 이때, 실제 터치 포인터(6)와 가상 터치 포인터(7)는 각각 미리 설정된 초기 좌표(Xf0, Yf0)(Xs0, Ys0)에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가 자신의 엄지를 실제 터치 포인터(6)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이동 경로, 예를 들면 초기 좌표(Xf0, Yf0)에서 최종 좌표(Xf3, Yf3)로 이어지는 이동 경로를 따라 실제 터치 포인터(6)를 이동시키면, 이와 연동하여 가상 터치 포인터(7)는 초기 좌표(Xs0, Ys0)에서 최종 좌표(Xs3, Ys3)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실제 터치 포인터(6)가 최종 좌표(Xf3, Yf3) 상에 위치한 후 사용자가 엄지를 이용하여 실제 터치 포인터(6)를 1회 터치하면 실제 터치 포인터(6)가 위치하는 최종 좌표(Xf3, Yf3)의 화면에 표시된 객체가 선택되어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가상 터치 포인터(7)가 활성화되어 최종 좌표(Xs3, Ys3)의 화면에 표시된 객체가 선택된다.
한편, 도 5 및 도 6과 같이 가상 터치 포인터(7)가 실제 터치 포인터(6)와 연동하여 이동하는 과정 중 가상 터치 포인터(7)가 외곽, 즉 도 5 및 도 6의 도면상에서 터치 스크린(4)의 좌측면에 위치하여 더 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에서, 실제 터치 포인터(6)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가상 터치 포인터(7)는 더 이상 이동하지 않고 정지 상태로 유지되지만 실제 터치 포인터(6)는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 터치 포인터(7)가 도 5의 도면상에서 터치 스크린(4)의 좌측면에 위치하여 더 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터치 포인터(6)가 사분면 중 제3 분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가상 터치 포인터(7)는 이와 연동하여 터치 스크린(4)의 좌측면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반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터치 포인터(6)가 사분면 중 제2 분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가상 터치 포인터(7)는 이와 연동하여 윗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가상 터치 포인터(7)가 가상 분할선(5)에 위치하여 더 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분면 내에서 실제 터치 포인터(6)가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기설정된 방향으로 가상 터치 포인터(7)는 가상 분할선(5)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실제 터치 포인터(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터치 포인터(6)가 가상 분할선(5) 또는 터치 스크린(4)의 화면 우측면과 하측면 중 어느 하나에 닿아 이동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는 경우 가상 터치 모드로 진입시 실제 터치 포인터(6)가 표시되는 위치인 초기 좌표(Xf0, Yf0)로 자동 이동하여 표시된다.
도 1 내지 도 5에서는 실제 터치 포인터(6)와 가상 터치 포인터(7)가 각각 하나씩 표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터치 포인터와 가상 터치 포인터를 각각 2개씩 표시할 수 있고, 이들은 서로 연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터치 포인터(7-1)는 실제 터치 포인터(6-1)와 연동하여 실제 터치 포인터(6-1)의 이동 경로와 동일하게 이동하고, 가상 터치 포인터(7-2)는 실제 터치 포인터(6-2)와 연동하여 실제 터치 포인터(6-2)의 이동 경로와 동일하게 이동한다.
실제 터치 포인터(6-2)는 사용자가 자신의 엄지를 이용하여 실제 터치 포인터(6-1)를 이동시키지 않고 정지된 상태에서 설정시간, 예를 들면 2~3초 동안 접촉하거나, 실제 터치 포인터(6-1)를 빠르게 2회 이상 접촉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4)의 화면에 생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4)의 화면 상에 2개의 실제 터치 포인터(6-1, 6-2)가 표시된 상태에서 이들을 하나로 병합하고자 하는 경우 실제 터치 포인터(6-1, 6-2)를 서로 중첩시키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터치 포인터(7-1, 7-2) 중 어느 하나를 터치 스크린(4)의 화면 좌측 상단 모서리로 이동시킨다.
한편, 가상 터치 모드를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가상 터치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수행하였던 특정 동작, 예를 들면 메뉴버튼을 2초 이상 누르는 특정 동작을 다시 수행하거나, 도 10에 도시된 가상 터치 포인터(7-1, 7-2) 모두를 터치 스크린(4)의 화면 좌측 상단 모서리로 이동시켜 집어 넣는 동작을 통해 가상 터치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구성도로서,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일반적인 단말기의 구성요소를 생략하고 특징적인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1)와, 표시부(11) 화면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패널(12)과, 터치패널(12)을 통해 접촉 신호를 감지하여 표시부(11)의 화면을 제어하는 화면 처리부(20)를 포함한다.
화면 처리부(20)는 휴대용 단말기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메뉴버튼(30)이 설정시간 이상으로 눌려지거나, 볼륨키(40)가 설정횟수 이상 눌려지는 것과 같이 특정 동작이 일어나면 이를 감지하여 터치 동작 모드를 가상 터치 모드로 진입시켜 표시부(11)에 터치 영역(2)과 비터치 영역(3)으로 이분할하는 가상 분할선(5)을 표시하는 한편, 표시부(11)의 터치 영역(2)에는 실제 터치 포인터(6)를 표시하고, 비터치 영역(3)에는 가상 터치 포인터(7)를 표시한다.
화면 처리부(20)는 사용자의 손가락, 예를 들면 엄지가 터치 영역(2) 내에 표시된 실제 터치 포인터(6)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것을 터치 스크린부(10)의 터치패널(12)을 통해 감지하여 실제 터치 포인터(6)의 이동 경로를 추적한다. 그리고, 추적된 이동 경로를 토대로 비터치 영역(3) 내에서 가상 터치 포인터(7)를 실제 터치 포인터(6)와 연동하여 실제 터치 포인터(6)의 이동 경로와 동일한 경로로 이동시킨다.
화면 처리부(20)는 가상 터치 포인터(7)를 실제 터치 포인터(6)의 이동 경로와 동일한 경로로 이동시킨 후 터치패널(12)을 통해 실제 터치 포인터(6)에 다시 사용자의 엄지를 통한 접촉이 감지되면 비터치 영역(3) 내의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들 중 가상 터치 포인터(7)와 중첩되도록 화면 상에 표시된 객체를 선택하여 실행시킨다.
화면 처리부(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터치 영역(3) 내에서 가상 터치 포인터(7)가 외곽면, 터치 스크린(4) 화면의 좌측면에 닿아 이동방향인 좌측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한 상태에서 실제 터치 포인터(6)가 사분면 중 제3 분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좌측면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실제 터치 포인터(6)가 사분면 중 제2 분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윗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화면 처리부(20)는 비터치 영역(3) 내에서 가상 터치 포인터(6)가 가상 분할선(5)에 닿아 이동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한 상태에서 실제 터치 포인터(6)가 사분면 중 제3 분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가상 분할선(5)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실제 터치 포인터(6)가 사분면 중 제2 분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가상 분할선(5)을 따라 윗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화면 처리부(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실제 터치 포인터(6-1, 6-2)가 서로 동일한 위치로 이동하여 서로 중첩되면 2개의 실제 터치 포인터(6-1, 6-2) 중 어느 하나와, 2개의 가상 터치 포인터(7-1, 7-2) 중 어느 하나를 화면에서 제거한다.
화면 처리부(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가상 터치 포인터(7-1, 7-2)가 비터치 영역(3)의 좌측 상단 모서리로 이동되면 2개의 실제 터치 포인터(6-1, 6-2) 중 어느 하나와, 2개의 가상 터치 포인터(7-1, 7-2) 중 어느 하나를 화면에서 제거한다.
화면 처리부(20)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동작 모드가 가상 터치 모드로 진입된 후 메뉴버튼이 설정시간 이상으로 다시 눌려지거나, 볼륨키가 설정횟수 이상 다시 눌려지는 경우 가상 터치 모드를 종료한다. 그리고, 가상 터치 모드가 종료되면 가상 분할선(5)과, 실제 터치 포인터(6)와, 가상 터치 포인터(7)를 화면에서 제거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메뉴버튼이 설정시간 이상으로 눌려지거나, 볼륨키가 설정횟수 이상 눌려지는 것과 같은 특정 동작이 수행되면 가상 터치 모드로 진입하여, 표시부(11)에 터치 영역(2)과 비터치 영역(3)으로 이분할하는 가상 분할선(5)을 표시하고, 터치 영역(3)에는 실제 터치 포인터(6)를 표시하고, 비터치 영역(3)에는 가상 터치 포인터(7)를 표시한다(S121, S122).
이후,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영역(2) 내에 표시된 실제 터치 포인터(6)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여 실제 터치 포인터(6)의 이동 경로를 추적한다(S123).
이후, 비터치 영역(3) 내에서 가상 터치 포인터(7)를 실제 터치 포인터(6)와 연동하여 추적된 실제 터치 포인터(6)의 이동 경로와 동일한 경로로 이동시킨다(S124).
이후, 실제 터치 포인터(6)에 사용자의 엄지에 의한 접촉이 다시 감지되면 가상 터치 포인터(7)를 활성화하여 비터치 영역(3) 내의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들 중 가상 터치 포인터(7)에 대응되도록 표시되어 있는 객체를 선택하여 실행시킨다(S125, S126).
이후, 상기 메뉴버튼이 설정시간 이상으로 다시 눌려지거나, 상기 볼륨키가 설정횟수 이상 다시 눌려지는 것과 같은 특정 동작이 수행되면 가상 터치 모드를 종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Claims (11)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화면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패널; 및
    가상 터치 모드 진입시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터치 영역과 비터치 영역으로 이분할하는 가상 분할선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 영역에는 실제 터치 포인터를 표시하며, 상기 비터치 영역에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표시하는 화면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면 처리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터치 영역 내에 표시된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것을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감지하여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상기 비터치 영역 내에서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를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와 연동하여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의 이동 경로와 동일한 경로로 이동시킨 후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에 다시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비터치 영역 내의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들 중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에 대응되는 객체를 선택하여 실행하며,
    상기 화면 처리부는 상기 비터치 영역 내에서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가 외곽면에 닿아 이동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가 사분면 중 제3 분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가 사분면 중 제2 분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윗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화면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패널; 및
    가상 터치 모드 진입시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터치 영역과 비터치 영역으로 이분할하는 가상 분할선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 영역에는 실제 터치 포인터를 표시하며, 상기 비터치 영역에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표시하는 화면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면 처리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터치 영역 내에 표시된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것을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감지하여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상기 비터치 영역 내에서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를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와 연동하여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의 이동 경로와 동일한 경로로 이동시킨 후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에 다시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비터치 영역 내의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들 중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에 대응되는 객체를 선택하여 실행하며,
    상기 화면 처리부는 상기 비터치 영역 내에서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가 상기 가상 분할선에 닿아 이동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가 사분면 중 제3 분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상 분할선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가 사분면 중 제2 분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상 분할선을 따라 윗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화면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패널; 및
    가상 터치 모드 진입시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터치 영역과 비터치 영역으로 이분할하는 가상 분할선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 영역에는 실제 터치 포인터를 표시하며, 상기 비터치 영역에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표시하는 화면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면 처리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터치 영역 내에 표시된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것을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감지하여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상기 비터치 영역 내에서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를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와 연동하여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의 이동 경로와 동일한 경로로 이동시킨 후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에 다시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비터치 영역 내의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들 중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에 대응되는 객체를 선택하여 실행하며,
    상기 화면 처리부는 상기 터치 영역 내에서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가 상기 가상 분할선 또는 상기 표시부의 화면의 외곽면에 닿아 이동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 설정된 초기 좌표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화면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패널; 및
    가상 터치 모드 진입시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터치 영역과 비터치 영역으로 이분할하는 가상 분할선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 영역에는 실제 터치 포인터를 표시하며, 상기 비터치 영역에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표시하는 화면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면 처리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터치 영역 내에 표시된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것을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감지하여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상기 비터치 영역 내에서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를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와 연동하여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의 이동 경로와 동일한 경로로 이동시킨 후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에 다시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비터치 영역 내의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들 중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에 대응되는 객체를 선택하여 실행하며,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는 상기 터치 영역 내에서 2개가 표시되고, 2개로 표시되는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와 각각 연동하여 동일한 이동 경로로 이동하도록 상기 비터치 영역 내에는 2개의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처리부는 상기 2개의 실제 터치 포인터가 서로 동일한 위치로 이동하여 서로 중첩되면 상기 2개의 실제 터치 포인터 중 어느 하나와, 상기 2개의 가상 터치 포인터 중 어느 하나를 화면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처리부는 상기 2개의 가상 터치 포인터가 상기 비터치 영역의 좌측 상단 모서리로 이동되면 상기 2개의 실제 터치 포인터 중 어느 하나와, 상기 2개의 가상 터치 포인터 중 어느 하나를 화면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a) 가상 터치 모드에 진입하면, 표시부에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터치 영역과 비터치 영역으로 이분할하는 가상 분할선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 영역에는 실제 터치 포인터를 표시하며, 상기 비터치 영역에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b)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터치 영역 내에 표시된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 및
    (c) 상기 비터치 영역 내에서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를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와 연동하여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의 이동 경로와 동일한 경로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에 사용자 손가락을 통해 접촉이 다시 감지되면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를 활성화하여 상기 비터치 영역 내의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들 중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에 대응되도록 표시되어 있는 객체를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비터치 영역 내에서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가 외곽면에 닿아 이동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가 사분면 중 제3 분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가 사분면 중 제2 분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윗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
  8. (a) 가상 터치 모드에 진입하면, 표시부에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터치 영역과 비터치 영역으로 이분할하는 가상 분할선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 영역에는 실제 터치 포인터를 표시하며, 상기 비터치 영역에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b)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터치 영역 내에 표시된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 및
    (c) 상기 비터치 영역 내에서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를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와 연동하여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의 이동 경로와 동일한 경로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에 사용자 손가락을 통해 접촉이 다시 감지되면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를 활성화하여 상기 비터치 영역 내의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들 중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에 대응되도록 표시되어 있는 객체를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비터치 영역 내에서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가 상기 가상 분할선에 닿아 이동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가 사분면 중 제3 분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상 분할선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가 사분면 중 제2 분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상 분할선을 따라 윗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
  9. (a) 가상 터치 모드에 진입하면, 표시부에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터치 영역과 비터치 영역으로 이분할하는 가상 분할선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 영역에는 실제 터치 포인터를 표시하며, 상기 비터치 영역에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b)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터치 영역 내에 표시된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 및
    (c) 상기 비터치 영역 내에서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를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와 연동하여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의 이동 경로와 동일한 경로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에 사용자 손가락을 통해 접촉이 다시 감지되면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를 활성화하여 상기 비터치 영역 내의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들 중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에 대응되도록 표시되어 있는 객체를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는 상기 터치 영역 내에서 2개가 표시되고, 2개로 표시되는 상기 실제 터치 포인터와 각각 연동하여 동일한 이동 경로로 이동하도록 상기 비터치 영역 내에는 2개의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실제 터치 포인터가 서로 동일한 위치로 이동하여 서로 중첩되면 상기 2개의 실제 터치 포인터 중 어느 하나와, 상기 2개의 가상 터치 포인터 중 어느 하나를 화면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가상 터치 포인터가 상기 비터치 영역의 좌측 상단 모서리로 이동되면 상기 2개의 실제 터치 포인터 중 어느 하나와, 상기 2개의 가상 터치 포인터 중 어느 하나를 화면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
PCT/KR2014/000196 2013-01-10 2014-01-08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WO201410954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046 2013-01-10
KR1020130003046A KR101405344B1 (ko) 2013-01-10 2013-01-10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09543A1 true WO2014109543A1 (ko) 2014-07-17

Family

ID=51132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0196 WO2014109543A1 (ko) 2013-01-10 2014-01-08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05344B1 (ko)
WO (1) WO20141095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8429A (zh) * 2017-08-31 2018-02-1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应用控件的管理方法、移动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706A (ko) * 2015-10-05 201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한 손 조작 ui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1718A (ja) * 2007-12-21 2009-07-09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20110115683A (ko) * 2010-04-16 2011-10-24 조근우 터치스크린에서의 한 손 입력방법
KR20120016729A (ko) * 2010-08-17 2012-02-27 주식회사 팬택 터치스크린의 제어영역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20024299A (ko) * 2010-09-06 2012-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1718A (ja) * 2007-12-21 2009-07-09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20110115683A (ko) * 2010-04-16 2011-10-24 조근우 터치스크린에서의 한 손 입력방법
KR20120016729A (ko) * 2010-08-17 2012-02-27 주식회사 팬택 터치스크린의 제어영역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20024299A (ko) * 2010-09-06 2012-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8429A (zh) * 2017-08-31 2018-02-1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应用控件的管理方法、移动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5344B1 (ko)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6973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racter input interface
WO2015088263A1 (ko) 터치 입력의 압력 상태에 따라 동작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12074256A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mode thereof
WO20131258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contents in terminal
WO2010107208A2 (ko) 포인터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WO2011046270A1 (ko)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
WO2014051201A1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203336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region on screen of mobile device
WO2016072823A2 (ko) 루프 형태의 택타일 멀티터치 입력장치, 제스처와 그 방법
WO2013115558A1 (en) Method of operating multi-touch panel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WO2014084633A1 (en) Method for displaying application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15108224A1 (ko) 디스플레이가 꺼져 있는 저전력 모드에서의 터치입력을 통한 디바이스 구동시스템
WO2013141464A1 (ko) 터치 기반의 입력제어 방법
WO2015099293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f virtual input device based on motion recognition
WO2014065499A1 (ko) 멀티터치 기반의 텍스트블록 설정에 따른 편집제공 방법
WO2014107005A1 (en) Mouse function provision method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CN103218044B (zh) 一种基于物理回馈的触摸装置及其触摸处理方法
WO2011090302A2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WO2014104727A1 (ko) 멀티 포인트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004140A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3027983A2 (ko) 전자기기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EP2955619A1 (en) Mobile terminal and application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4104726A1 (ko) 원 포인트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30059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on touch screen
WO2011065744A2 (en) Method of providing gui for guiding start position of user operation and digital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381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8.12.2015)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381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