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975B1 - 다이얼 리모콘 장치 - Google Patents

다이얼 리모콘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975B1
KR101845975B1 KR1020160140277A KR20160140277A KR101845975B1 KR 101845975 B1 KR101845975 B1 KR 101845975B1 KR 1020160140277 A KR1020160140277 A KR 1020160140277A KR 20160140277 A KR20160140277 A KR 20160140277A KR 101845975 B1 KR101845975 B1 KR 101845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housing
controller
display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규연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더블유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더블유엘 filed Critical (주)에이치더블유엘
Priority to KR1020160140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롤 휠 타입 제1컨트롤러와 누름 타입 제2컨트롤러의 조합을 통해 대상기기에 대한 기능 제어를 보다 간편하고 디테일하게 수행하고,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하며, 추가적인 입력수단으로 터치패드에 표시되는 다이얼패드 또는 드래그 패드를 제공하여 대상기기에 대한 입력이 다양화되는 등,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다이얼 리모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다이얼조작부를 갖는 스크롤 휠 타입 제1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복수의 누름입력부를 갖는 누름 타입 제2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제1컨트롤러 중심에 배치되고, 터치패드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컨트롤러의 조작신호를 대상기기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컨트롤러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다이얼 리모콘 장치{DIAL REMOTE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대상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다이얼 리모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롤 휠 타입 제1컨트롤러와 누름 타입 제2컨트롤러의 조합을 통해 대상기기에 대한 기능 제어를 보다 간편하고 디테일하게 수행하고,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하며, 추가적인 입력수단으로 터치패드에 표시되는 다이얼패드 또는 드래그 패드를 제공하여 대상기기에 대한 입력이 다양화되는 등,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다이얼 리모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확산과 디지털화된 방송 프로그램 제작 환경의 도래, 케이블 채널의 등장 등으로 인하여 기존 텔레비전의 기능뿐만 아니라, 각종 부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TV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스마트 TV는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콘텐츠를 저장하여 두었다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TV는 일반적으로 리모콘이라 불리는 원격제어장치(이하 리모콘)에 의해 제어될 수 있어서, 사용자들은 리모콘을 이용하여 원격에서도 스마트 TV의 채널 또는 볼륨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의 기능이 증대됨에 따라, 스마트 TV에 적용되는 기능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리모콘에 구비되는 버튼들의 숫자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리모콘의 크기가 무한정 커질 수는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버튼들은 점점 작은 크기로 구성되고 있다.
또한 텔레비전의 예를 들지 않아도, 각 종 스마트기기는 갈수록 그 기능이 다양화 및 복잡화되어 가고 있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에 입력 수단을 최대한 집적 구성해야 하고, 이에 버튼의 크기가 점점 작아질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한편, 점점 작아지고 있는 버튼들은 다수가 연속 배열되어 있어 구분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사 글씨나 부호 등을 통해 기능을 표시한다고 하더라도 그 인지에 있어 불편함이 있을 수밖에 없다.
리모콘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실용 제20-0466678호(2013년04월25일)[리모콘](이하 종래기술)이 있는데, 종래기술 역시 상기한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롤 휠 타입 제1컨트롤러와 누름 타입 제2컨트롤러의 조합을 통해 대상기기에 대한 기능 제어를 보다 간편하고 디테일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버튼구비에 따른 공간 확보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터치패드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를 통해 특정 숫자나 문자 등을 직접 입력 받되, 디스플레에 표시되는 다이얼패드 또는 드래그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해당 숫자나 문자 등을 직접 눌러서 입력하거나 또는 드래그를 통해 입력(그림 입력)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형태의 입력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고유의 하우징 및 장치 구조를 제공하여, 구조적 안정감은 물론 케이블 꼬임 방지, 누름 동작에 대한 탄지력 강화 등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다이얼조작부를 갖는 스크롤 휠 타입 제1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복수의 누름입력부를 갖는 누름 타입 제2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제1컨트롤러 중심에 배치되고, 터치패드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컨트롤러의 조작신호를 대상기기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컨트롤러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누름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네 갈래로 갈라진 제1 내지 제4입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내지 제4입력부의 누름 동작에는 제1내지 제4기능이 맵핑되고, 상기 다이얼조작부의 스크롤 휠 동작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기능에 대한 업/다운 제어 기능이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입력수단으로, 상기 터치패드에 표시되는 다이얼패드 또는 드래그(Drag)된 숫자 형상을 입력받는 드래그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은 내부공간을 갖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이 내부공간에는, 상기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이 탑재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장착부재와, 이 장착부재에 결합되어 회동 및 누름에 의해 상기 다이얼조작부 및 상기 누름입력부를 구현하는 다이얼부재와, 장착부재와 다이얼부재에 개재되는 베어링부재와, 상기 다이얼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핸들부재를 갖는 휠 어셈블리가 내장되고, 상기 다이얼부재 및 상기 베어링부재는 각각 중앙에 결합용 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결합용 통공에 관통 삽입되는 결합기둥부를 구비하되, 상기 결합기둥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삽입 결합되는 중앙접속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다이얼부재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상기 중앙접속홀을 통과하고, 상기 다이얼부재는 상기 장착부재의 결합기둥부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 상면에 구비되어 누름에 대한 복원력을 부여하는 텐션바디 및, 상기 디스크 상면에 구비되어 누름에 대한 감지를 제공하는 누름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텐션바디에는 탄지력 강화를 위해, 일 측면 방향으로 패인 제1리세스와 타 측면 방향으로 패인 제2리세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버튼구비에 따른 공간 확보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특정 숫자나 문자 등을 직접 입력 받되 해당 숫자나 문자 등을 직접 눌러서 입력하거나 또는 드래그를 통해 입력(그림 입력)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형태의 입력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구조적 안정감은 물론 케이블 꼬임 방지, 누름 동작에 대한 탄지력 강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에 대한 상세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크롤 휠 타입 제1컨트롤러와 누름 타입 제2컨트롤러의 조합을 통해 대상기기에 대한 기능 제어를 보다 간편하고 디테일하게 수행하고,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하며, 추가적인 입력수단으로 터치패드에 표시되는 다이얼패드 또는 드래그패드를 제공하여 대상기기에 대한 입력이 다양화되는 등,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다이얼 리모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 리모콘 장치(이하 본 장치(R))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R)는 하우징(H), 제1컨트롤러(C1), 제2컨트롤러(C2), 디스플레이(D). 무선통신모듈 및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구성 별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H)은 내부 구성들을 보호하는 구성으로, 본 장치(R)의 외형에 해당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인 하우징(H)의 상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컨트롤러(C1)는 스크롤 휠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H)에 구비되며, 회동에 의해 대상기기를 제어하는 다이얼조작부(20)를 갖는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컨트롤러(C2)는 누름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역시 하우징(H)에 구비되며, 누름 동작에 의해 대상기기를 제어하는 복수의 누름입력부(30)를 갖는다. 여기에서 '누름 동작'이라 함은 상측 방향에서부터의 가압은 물론이고, 측면 방향에서부터의 가압, 즉 미는 형태의 가압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D)는 제1컨트롤러(C1) 중심에 배치되어 화면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한 제1 및 제2컨트롤러(C1)(C2) 외에 별도의 입력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터치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무선통신모듈은 제1 및 제2컨트롤러(C1)(C2)의 조작신호를 대상기기에 전송하는 구성으로, 디스플레이(D)의 터치 입력에 의한 조작신호 역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어모듈은 상기한 제1 및 제2컨트롤러(C1)(C2), 디스플레이(D), 무선통신모듈은 물론 본 장치(R)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제어모듈은 반드시 중앙처리장치(CPU, MCU, MICOM 등)를 구비하여야 한다.(무선통신모듈 및 제어모듈의 구성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후술하는 회로기판(5)의 구성을 통해 그 존재를 유추할 수 있음)
상기한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스크롤 휠 타입 제1컨트롤러(C1)와 누름 타입 제2컨트롤러(C2)의 조합을 통해, 제2컨트롤러(C2)의 누름입력부(30)가 기능 선택을 제공하고, 제1컨트롤러(C1)가 해당 기능에 대한 업/다운을 제공하는 등, 대상기기에 대한 기능 제어를 보다 간편하고 디테일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대상기기에 대한 제어를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원격으로 가능하게 함은 기본이고, 디스플레를 터치패드로 구성하여 조작에 대한 화면 제공과 더불어 추가적인 조작신호의 입력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대상기기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효과들을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또는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상기한 제2컨트롤러(C2)의 누름입력부(30)가 디스플레이(D)를 중심으로 네 갈래로 갈라진 제1 내지 제4입력부(31)(32)(33)(34)로 이루어지고, 제1 내지 제4입력부(31)(32)(33)(34)의 누름 동작에는 제1내지 제4기능이 맵핑되고, 다이얼조작부(20)의 스크롤 휠 동작에는 제1 내지 제4기능에 대한 업/다운 제어 기능이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제1 내지 제4입력부(31)(32)(33)(34)는 가장 중앙에 배치된 디스플레이(D)를 중심으로, 동, 서, 남, 북(또는 상, 하, 좌, 우), 사방(四方)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배치 각도는 90도를 이루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내지 제4입력부(31)(32)(33)(34)에는 각각 제1 내지 제4기능이 맵핑될 수 있는데, 입력부의 수는 반드시 4개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본 명세서에서 입력부의 수를 4개로 한정한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다.
제1 내지 제4입력부(31)(32)(33)(34)의 실시에 관한 예를 본 장치(R)에 의해 조작되는 대상기기를 TV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본 장치(R)의 제어모듈을 통해 상측 제1입력부(31)에는 제1기능인 '메뉴 선택 기능'을 맵핑하고, 우측 제2입력부(32)에는 제2기능인 '채널 조절 기능' 을 맵핑하고, 하측 제3입력부(33)에는 제3기능인 '뒤로 가기 기능'을 맵핑하고, 좌측 제4입력부(34)에는 제4기능인 '볼륨 조절 기능'을 맵핑한다고 가정한다.(이러한 방향 설정은 도 2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가정 하에서 본 장치(R)를 통해 TV를 제어하는 경우, 제2컨트롤러(C2)의 상측 제1입력부(31)를 누르면 메뉴 선택 기능이 활성화되어, TV 제어를 위한 각 종 메뉴가 디스플레이(D) 및 TV 화면에 표시되고, 이 후 제1컨트롤러(C1)의 다이얼조작부(20)를 통해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제2컨트롤러(C2)의 우측 제2입력부(32)를 누르면 채널 조정 기능이 활성화되고, 이 후 제1컨트롤러(C1)의 다이얼조작부(20)를 돌려가며 채널을 선택할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3입력부(33)는 뒤로 가기 기능을 활성화시켜 다이얼조작부(20)의 회동을 통해 메뉴 또는 채널 등의 앞뒤 이동(Redo/Undo)을 제공하고, 제4입력부(34)는 볼륨 조절 기능을 활성화시켜 다이얼조작부(20)의 회동을 통해 볼륨의 크기 조절을 제공한다.
상기 기재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특징인 제2컨트롤러(C2), 특히 누름입력부(30)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또는 추가적인 특징으로, 본 장치(R)는 디스플레이(D)부가 입력수단으로, 터치패드에 표시되는 다이얼패드 또는 드래그(Drag)된 숫자 형상을 입력받는 드래그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을 통해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특정한 숫자의 입력 또한 함께 제공하기 때문에, 대상기기의 제어를 위한 보다 다양한 형태의 입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일예로, 다이얼패드는 0~9, #, * 등의 입력을 제공하고, 드래그패드는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전용 터치입력수단을 통해 숫자를 터치패드 상에 드래그 하면 그 숫자의 입력을 제공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조, 특히 하우징(H)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에 대한 분해상세도, 도 6은 다이얼부재(62)의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조를 하우징(H)의 구조를 중점적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R)의 하우징(H)은 내부공간(40)을 갖는 베이스(4)를 포함하고, 이 내부공간(40)에는 회로기판(5) 및 휠 어셈블리(6)가 내장된다.
각 구성 별로, 먼저 베이스(4)는 내부공간(40)을 가져 회로기판(5), 휠 어셈블리(6)를 포함, 기타 구성들을 내장하는 구성으로,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H)의 일 구성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베이스(4)의 내부공간(40)에 내장되는 회로기판(5)은 상기한 무선통신모듈 및 제어모듈이 탑재되는 구성으로, 무선통신모듈 및 제어모듈 외, 기타 회로 관련 장치들이 탑재된다.
다음으로, 휠 어셈블리(6)는 상기한 회로기판(5)과 함께 베이스(4)의 내부공간(40)에 내장되는데, 이러한 휠 어셈블리(6)는 장착부재(61)와, 다이얼부재(62)와, 베어링부재(63)와, 핸들부재(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인 휠 어셈블리(6)의 각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재(61)는 베이스(4)에 결합되어, 다이얼부재(62) 및 베어링부재(63)의 결합을 제공한다.
이러한 장착부재(61)는 디어얼부재 및 베어링부재(63)의 결합을 위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기둥부(610)를 구비한다. 도 3 내지 도 6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결합기둥부(610)에는 디스플레이(D)가 삽입 결합되는 중앙접속홀(611)이 형성되며, 회로기판(5)과 다이얼부재(62)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중앙접속홀(611)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중앙접속홀(611)의 구비를 통해, 다이얼부재(62) 및 핸들부재(64)의 회동에도 케이블의 꼬임이 방지되어 케이블의 꼬임에 의한 단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본 장치(R)는 상기한 디스플레이(D)는 액정 하부에 연장되고 상기한 중앙접속홀(611)에 삽입되는 결합돌부(70)를 포함하여, 장착부재(61)와 디스플레이(D)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도 3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D)가 중앙접속홀(611) 내에서 임의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결합기둥부(610)의 일 측 벽면에는 걸림슬릿(71)이 구비되고, 디스플레이(D)의 결합돌부(70)에는 걸림슬릿(71)에 삽입되는 걸림돌기(7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걸림슬릿(71)의 보다 명확한 확인은 도 5를 참조)
다음으로, 다이얼부재(62)는 장착부재(61)에 결합되어 회동 및 누름에 의해 다이얼조작부(20) 및 누름입력부(30)를 구현하는 구성으로, 장착부재(61)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한 결합기둥부(610)가 관통 삽입되는 결합용 통공(h600)을 구비한다.
이러한 다이얼부재(62)는 도 3 내지 도 6, 특히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621), 텐션바디(622) 및 누름단자(6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구성 별로, 디스크(621)는 장착부재(61)의 결합기둥부(610)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구성으로, 상기한 결합용 통공(h600)이 디스크(621)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 텐션바디(622)는 디스크(621) 상면에 구비되어 누름에 대한 복원력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자체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누름단자(623)와 함께 디스크(621)의 중심(결합용 통공(h600))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누름단자(623)와 순차 배열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이러한 텐션바디(622)에는 탄지력 강화를 위해, 일 측면 방향으로 패인 제1리세스(622a)와 타 측면 방향으로 패인 제2리세스(622b)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상태에서 상측 관점을 기준으로, 제1리세스(622a)는 제2리세스(622b)보다 외측에 배열되고, 좌측(일 측면 방향)에 패인 형상을 가지며, 제2리세스(622b)는 제1리세스(622a)보다 내측에 배열되고, 우측(타 측면 방향)이 패인 형상을 가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리세스(622a)(622b)의 구비를 통해, 텐션바디(622)는 수축 및 복원력이 강화되고, 이에 보다 강한 탄지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누름단자(623)는 디스크(621) 상면에 구비되어 누름에 대한 감지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가압(눌림)되는 핸들부재(64)와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한 누름입력부(30)를 구현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누름입력부(30)가 제1 내지 제4입력부(31)(32)(33)(34)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 누름단자(623)가 사방(四方)으로 4개 구비될 수 있으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누름단자(623)와 텐션바디(622)는 방사형으로 순차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별도의 언급 및 도면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다이얼부재(62)(핸들부재(64))의 회동각도 또는 회동 정도(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모듈이 회로기판(5) 상에 구비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가 충분히 유추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베어링부재(63)는 장착부재(61)와 다이얼부재(62)에 개재되는 구성으로, 다이얼부재(62)의 회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베어링부재(63)에도 역시 장착부재(61)의 결합기둥부(610)가 관통 삽입되는 결합용 통공(h600)이 구비되며, 만약 베어링부재(63)를 도입하는 경우, 다이얼부재(62), 즉 디스크(621)에 구비된 결합용 통공(h600)의 직경은 베어링부재(63)의 외경에 대응될 것이고, 베어링부재(63)에 구비된 결합용 통공(h600)의 직경은 결합기둥부(610)의 외경에 대응될 것이다. 엄밀하게 따지면 다이얼부재(62)의 결합용 통공(h600)과 베어링부재(63)의 결합용 통공(h600)은 서로 다른 구성이라고 볼 수 있으나, 그 기능이 동일하고 베어링부재(63)의 도입은 실시자의 선택에 따를 수 있는 것인 만큼, 별도의 도면참조부호 구분을 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다음, 핸들부재(64)는 다이얼부재(62)에 결합되어 하우징(H)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으로, 사용자는 이 핸들부재(64)를 회동시킴으로써 다이얼부재(62)를 회동시킬 수 있다.
도 3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핸들부재(64)는 디스크(621)의 외측 둘레에 결합되고, 핸들부재(64)의 중앙 개구부에는 디스플레이(D)가 결합된다. 또한 다이얼부재(62)와 베어링부재(63)는 장착부재(61)에 결합되고, 장착부재(61)는 베이스(4)에 결합된다. 이에 장착부재(61), 다이얼부재(62), 베어링부재(63). 핸들부재(64)로 이루어진 휠 어셈블리(6)와, 디스플레이(D), 회로기판(5), 베이스(4)가 상호 결합되어 본 장치(R)를 구성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4)와 회로기판(5)과 장착부재(61) 간의 상호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으로, 베이스(4)에는 제1결합돌기(81)가, 회로기판(5)과 장착부재(61)는 제1결합공(82)이 구비될 수 있고, 다시 회로기판(5)과 장착부재(61) 간의 결합을 위해, 회로기판(5)에는 제2결합돌기(83)가, 장착부재(61)에는 제2결합공(84)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2중 결합 구조를 갖는 결합수단은 베이스(4)-회로기판(5), 베이스(4)-장착부재(61), 회로기판(5)-장착부재(61) 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여, 본 장치(R)의 구조적 안정감을 제공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4)는 지면에 접촉하는 다리(411), 그리고 다리(411)와 함께 지면에 접촉하되 지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미끄럼방지부재(412)로 구성된 받침대(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추가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R)는 감도강화수단으로, 장착부재(61)의 하면에는 돌부와 홈부가 연속 배열된 제1크라운(91)이 구비될 수 있고, 다이얼부재(62)의 디스크(621) 상면에는 역시 돌부와 홈부가 연속 배열된 제2크라운(92)이 구비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제1크라운(91)은 다이얼부재(62) 회전 시, 돌부와 홈부가 연속 배열된 특징을 통해 다이얼부재(62)의 현재 회동 정도에 대한 검출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1크라운(91)을 통해 다이얼부재(62)가 회전 시 단계적으로 걸림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해 다이얼부재의 회전에 의한 업/다운 조작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다이얼부재의 회전감(드르륵 걸리는 느낌)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2크라운(92) 역시, 핸들부재(64) 회전 시, 돌부와 홈부가 연속 배열된 특징을 통해 핸들부재(64)의 현재 회동 정도에 대한 검출이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제1크라운(91)과 마찬가지로 핸들부재(64)의 회전 시 단계적으로 걸림이 발생하게 하고, 이를 통해 핸들부재(64)를 통한 업/다운 조작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핸들부재(64)의 회전감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제1크라운(91)과 제2크라운(92)은 어느 하나만 구비되거나 또는 상호 보완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이 둘(91)(92)이 조합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R: 본 장치
H: 하우징 C1, C2: 제1 및 제2컨트롤러
D: 디스플레이
4: 베이스 40: 내부공간
5: 회로기판
6: 휠 어셈블리
61: 장착부재 610: 결합기둥부
611: 중앙접속홀
62: 다이얼부재 h600: 결합용 통공
621: 디스크 622: 텐션바디
622a: 제1리세스 622b: 제2리세스
623: 누름단자
63: 베어링부재 64: 핸들부재

Claims (4)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다이얼조작부를 갖는 스크롤 휠 타입 제1컨트롤러;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복수의 누름입력부를 갖는 누름 타입 제2컨트롤러;
    상기 제1컨트롤러 중심에 배치되고, 터치패드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및 제2컨트롤러의 조작신호를 대상기기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컨트롤러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은 내부공간을 갖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이 내부공간에는, 상기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이 탑재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장착부재와, 이 장착부재에 결합되어 회동 및 누름에 의해 상기 다이얼조작부 및 상기 누름입력부를 구현하는 다이얼부재와, 장착부재와 다이얼부재에 개재되는 베어링부재와, 상기 다이얼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핸들부재를 갖는 휠 어셈블리가 내장되고,

    상기 다이얼부재 및 상기 베어링부재는 각각 중앙에 결합용 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결합용 통공에 관통 삽입되는 결합기둥부를 구비하되,
    상기 결합기둥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삽입 결합되는 중앙접속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다이얼부재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상기 중앙접속홀을 통과하고,
    상기 다이얼부재는
    상기 장착부재의 결합기둥부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 상면에 구비되어 누름에 대한 복원력을 부여하는 텐션바디 및, 상기 디스크 상면에 구비되어 누름에 대한 감지를 제공하는 누름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리모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네 갈래로 갈라진 제1 내지 제4입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내지 제4입력부의 누름 동작에는 제1내지 제4기능이 맵핑되고,
    상기 다이얼조작부의 스크롤 휠 동작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기능에 대한 업/다운 제어 기능이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리모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입력수단으로, 상기 터치패드에 표시되는 다이얼패드 또는 드래그(Drag)된 숫자 형상을 입력받는 드래그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리모콘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부재의 텐션바디에는 탄지력 강화를 위해, 일 측면 방향으로 패인 제1리세스와 타 측면 방향으로 패인 제2리세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리모콘 장치.
KR1020160140277A 2016-10-26 2016-10-26 다이얼 리모콘 장치 KR101845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277A KR101845975B1 (ko) 2016-10-26 2016-10-26 다이얼 리모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277A KR101845975B1 (ko) 2016-10-26 2016-10-26 다이얼 리모콘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124A Division KR20180045785A (ko) 2017-08-17 2017-08-17 다이얼 리모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975B1 true KR101845975B1 (ko) 2018-05-18

Family

ID=62453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277A KR101845975B1 (ko) 2016-10-26 2016-10-26 다이얼 리모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97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643A (ko) * 2019-04-10 2020-10-20 주식회사 비엘디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WO2020213966A1 (ko) * 2019-04-17 2020-10-22 주식회사 비엘디 4차원 터치패드 모듈
KR20200144788A (ko) * 2019-06-19 2020-12-30 주식회사 비엘디 상하 배치된 폴더타입의 듀얼모니터
WO2022119149A1 (ko) * 2020-12-03 2022-06-09 경인전자 주식회사 인풋 디바이스
WO2024005355A1 (ko) * 2022-06-30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트롤러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643A (ko) * 2019-04-10 2020-10-20 주식회사 비엘디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KR102236945B1 (ko) * 2019-04-10 2021-04-05 주식회사 비엘디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US11366533B2 (en) 2019-04-17 2022-06-21 Bld Co., Ltd Four-dimensional touch pad module
WO2020213966A1 (ko) * 2019-04-17 2020-10-22 주식회사 비엘디 4차원 터치패드 모듈
KR20200122032A (ko) * 2019-04-17 2020-10-27 주식회사 비엘디 터치패드 모듈
KR102236950B1 (ko) * 2019-04-17 2021-04-06 주식회사 비엘디 터치패드 모듈
KR20200144788A (ko) * 2019-06-19 2020-12-30 주식회사 비엘디 상하 배치된 폴더타입의 듀얼모니터
KR102304053B1 (ko) 2019-06-19 2021-09-17 주식회사 비엘디 상하 배치된 폴더타입의 듀얼모니터
US11449097B2 (en) 2019-06-19 2022-09-20 Bld Co., Ltd Vertically arranged folder-type dual monitor
WO2022119149A1 (ko) * 2020-12-03 2022-06-09 경인전자 주식회사 인풋 디바이스
KR20220078035A (ko) * 2020-12-03 2022-06-10 경인전자 주식회사 인풋 디바이스
KR102633219B1 (ko) * 2020-12-03 2024-02-02 경인전자 주식회사 인풋 디바이스
WO2024005355A1 (ko) * 2022-06-30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트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975B1 (ko) 다이얼 리모콘 장치
EP2755220B1 (en) Switch
US7321361B2 (en) Coordinate input device having non-flat operation surface and electronic apparatus
EP1503277B1 (en) Coordinate input device
US20100141580A1 (en) Piezo-electric sensing unit and data input device using piezo-electric sensing
KR101339942B1 (ko)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EP1653316B1 (en) Multifunctional button for an information input system
EP3792734B1 (en) Remote controller navigation interface assembly
US6847357B2 (en) Remote control device having wheel and ball switches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an electronic machine
CN101174185B (zh) 一种移动终端的方向键的使用方法以及相应的滚轮式按键
WO2012086601A1 (ja) 操作子及び操作装置
CN110622271B (zh) 一种操作键结构及电子装置
KR102633219B1 (ko) 인풋 디바이스
KR20180045785A (ko) 다이얼 리모콘 장치
KR101344463B1 (ko)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US10782797B2 (en) Mouse device
RU2520318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электронными приборами и пульт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0402333B1 (ko) 디스플레이와 볼 스위치를 갖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EP196529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2 dimentional input device
US20050068298A1 (en) Input equipment with sensed movement feedback
KR100754688B1 (ko)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부를 포인팅 장치로 사용하는 방법
KR100857789B1 (ko) 트랙포인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포인터 동작 제어 방법
JP2003256132A (ja) スクロール機能付きマウス
CN117771654A (zh) 一种摇杆机构以及穿戴设备
JP3148760B2 (ja) 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