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938B1 -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938B1
KR102372938B1 KR1020200133312A KR20200133312A KR102372938B1 KR 102372938 B1 KR102372938 B1 KR 102372938B1 KR 1020200133312 A KR1020200133312 A KR 1020200133312A KR 20200133312 A KR20200133312 A KR 20200133312A KR 102372938 B1 KR102372938 B1 KR 102372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ouch input
input module
smartphone
touch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의섭
Original Assignee
현의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의섭 filed Critical 현의섭
Priority to KR1020200133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9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 배면에 터치 입력모듈이 부착되어,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동일한 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케이스 외면의 터치 입력모듈을 조작하여 스마트폰의 터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폰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폰 제어를 위한 사용자 터치를 입력받는 터치 입력모듈과; 상기 스마트폰과 무선통신에 의해 동기화하여, 상기 터치 입력모듈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을 스마트기기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케이스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터치 입력모듈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 케이스 외면에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입력모듈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한손으로 스마트폰의 파지와 터치입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스마트폰 조작 편의성이 향상됨은 물론, 어느 한 팔의 사용이 자유롭지 못한 상황의 사용자, 환자 및 지체 장애인들도 자유롭게 스마트폰을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PHONE CASE HAVING AREA DIVISION AND OPERATING TYPE TOUCH PAD MODULE}
본 발명은 기존의 마우스와 터치패드의 장점을 융합하여 운용원리를 재설정함으로서 기존의 터치패드보다 더 작은 면적의 터치패드로 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오류없이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 입력모듈이 부착되어,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동일한 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케이스 외면의 터치 입력모듈을 조작하여 스마트폰의 터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및 IPTV 등의 스마트기기를 마우스 또는 키보드의 기능을 활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버튼이 구비된 제어신호 입력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425949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종래의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측공간에 안착되는 밀기버튼과, 내측공간의 내벽과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어느 하나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둘 이상의 단자스위치를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과, 내측공간의 내벽과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다른 하나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단자스위치에 접촉되어 단자스위치를 접속시키는 도전체를 포함하여, 측방향으로 미는 조작력의 방향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입력신호를 발생시켜 신호입력장치에 구비되는 버튼의 개수를 줄이고, 별도의 가압센서가 구비되지 아니하더라도 측방향으로 미는 조작력을 감지하여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기능 및 성능 향상과 스마트폰이 일반화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전화통화 이외에 미디어시청, 인터넷 검색, 게임 등 다양한 수단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간편한 휴대성으로 인하여, 장소에 제한없이 대중교통이나 이동 중에도 스마트폰 이용하는 사례가 빈번해지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사용자 명령입력은 일반적으로 전면 화면을 터치함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아 경우, 한손은 스마트폰을 파지하고 다른 한손으로 터치 입력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양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만 스마트폰 조작이 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425949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12692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 외면에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입력모듈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한손으로 스마트폰의 파지와 터치입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 조작 용이성이 향상되고, 특히, 일측 팔이 자유롭지 못한 환자 및 지체 장애인들도 자유롭게 스마트폰을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구비되는 터치 입력모듈이 초박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극소면적의 터치패드상에서 근거리 및 원거리 정밀 포인팅을 수행하고, 터치패드에 의해 다양한 부가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실용성과 효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 터치패드의 유저인터페이스(UI) 및 수행 기능을 유지하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터치 센서의 전체 영역을 분할하여 수행 기능에 따라 각각 독립된 센서로서 구동되게 설계 및 프로그램화 하고 하드웨어적으로도 구조 및 구성을 변경함으로서 기존 입력장치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불어 키보드의 입력기능을 비롯하여 추가 기능을 수행하게 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와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전체 영역을 중앙과 외곽의 영역을 분할하여 이와 같이 분할된 영역이 각각 독립된 센서와 같이 구동되도록 IC 칩이 설계, 프로그램화 되고 수행기능에 따라 분할된 센서의 영역이 단독 또는 조합 수행을 하고 조합으로 수행될 때도 이원 구동을 하게 하고, 더불어 기존 입력장치와 달리 터치센서가 부착되는 메인보드의 구성과 구조도 변경하고 추가 기능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이 설정됨으로서 기존의 입력장치와는 비교될 수 없는 많은 추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며, 키보드로서의 입력 기능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스마트폰 조작의 편의를 높인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구비된 터치 입력모듈이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통해 무선으로 전원을 제공받아 구동되도록 하여, 외부의 별도 전원 공급없이도 스마트폰 충전만으로 구동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마트폰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폰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폰 제어를 위한 사용자 터치를 입력받는 터치 입력모듈과; 상기 스마트폰과 무선통신에 의해 동기화하여, 상기 터치 입력모듈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을 스마트기기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케이스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터치 입력모듈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터치 입력모듈은, 터치 좌표를 인식하는 원판형상의 터치패드와; 상기 터치패드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터치패드의 상부를 원형의 센터터치패드와 사이드터치패드롤 분할하는 링 형상의 제1분할경계막과,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를 호형상으로 개별분할하는 직선형상의 제2분할경계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할경계막과; 상기 터치패드 상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터치패드를 수용하는 버튼프레임; 그리고 상기 버튼프레임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터치패드의 입력값을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기 위한 회로가 인쇄된 메인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터치 입력모듈은, 센터영역 터치 입력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에 의해 단독으로 사용자 터치의 입력을 수행하도록 하고; 사이드영역 터치 입력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에 의해 단독으로 사용자 터치의 입력을 수행하도록 하며; 복합영역 터치 입력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사용자 터치의 입력을 수행하도록 하되,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를 시작하여 상기 해당 사이드 터치패드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이동이 계속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버튼프레임은, 외곽영역이 분할되어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가압에 의해 사이드버튼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메인회로기판은, 상기 사이드버튼에 상응하는 위치인 외곽영역에 방사상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사이드버튼의 가압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2개 이상의 사이드버튼 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복합영역 터치 입력시, 이동이 계속되는 이동 속도는,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를 시작하여 상기 해당 사이드 터치패드에 도달할때의 터치반응감도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원모듈은, 상기 스마트폰의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자계변화를 통해 전력을 생성하는 무선 전력수신 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유닛은, 설계된 코일구조의 패턴이 형성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과;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 상면의 상기 코일주도의 패턴 내에 부착되는 자성코어와;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자성코어 전면을 마감하는 커버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유닛은, 유도된 자계가 상기 터치 입력모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 입력모듈과의 사이에 구비되는 페라이트 박막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할경계막은, 0.2mm 내지 0.4mm의 높이로 설정되어, 경계를 인식할 수준의 높이로 설정되되, 상기 특정조합에 의한 연동시 터치하면서 경계를 이동할 수 있는 수준의 높이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및 상기 사이드버튼은 상기 제2분할경계막에 의해 동등간격으로 STU, STD, STL 및 STR의 사이드터치패드 및 SBU, SBD, SBL 및 SBR의 해당 사이드버튼으로 각각 4 분할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터치패드는,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또는 상기 사이드버튼과의 조합에 의해 그래픽컨트롤러의 기 설정된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터터치패드 및 STU, STD, STL 및 STR를 포함하는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및 SBU, SBD, SBL 및 SBR를 포함하는 사이드버튼에 대한 단독 또는 복합 입력에 대한 실행명령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또는 변경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입력모듈은, 상기 센터터치패드(CRS)에 터치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UTS, DTS, LTS, RTS)중 어느 하나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센터터치패드(CRS)에 터치가 입력시 선택된 항목을 터치가 입력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UTS, DTS, LTS, RTS)의 방향으로, 터치입력이 해제될 때까지 드레그하는 드래그 앤 드롭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들 중, 좌우측 사이드터치패드(LTS, RTS)는 터치 감지영역이 상하로 구분되고; 상하측 사이드터치패드(UTS, DTS)는 터치 감지영역이 좌우로 구분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입력모듈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UTS, DTS, LTS, RTS)들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 터치가 입력되어, 동일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내에서 구분된 터치 감지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터치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터치의 이동량에 대응하여 스크롤 되도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모듈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UTS, DTS, LTS, RTS)들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 터치가 입력되어, 동일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내에서 구분된 터치 감지영역으로 이동한 후, 인접한 타 사이드터치패드 영역내로 상기 터치가 이동되는 경우, 상기 터치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터치가 해제될 때까지 스크롤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입력모듈은, 상기 SBU의 클릭에 의해 뒤로가기, 더블클릭에 의해 홈, 길게 누름에 의해 바로가기를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SBU의 클릭에 의해 마우스 기본설정, 더블클릭에 의해 주플랫폼으로 안드로이드, 길게누름에 의해 주플랫폼으로 ios를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SBR의 클릭에 의해 우클릭, 길게 누름에 의해 줌인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SBL의 클릭에 의해 좌클릭, 더블클릭에 의해 더블클릭, 길게 누름에 의해 줌아웃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모듈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단독 또는 다른 사이드버튼과 연동한 조합으로서 사용자가 설정한 추가기능을 실행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조합에 따라 키보드의 기능키 및 자판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 케이스 외면에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입력모듈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한손으로 스마트폰의 파지와 터치입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스마트폰 조작 편의성이 향상됨은 물론, 어느 한 팔의 사용이 자유롭지 못한 상황의 사용자, 환자 및 지체 장애인들도 자유롭게 스마트폰을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근거리 포인팅시, 센터터치패드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 포인팅시, 센터터치패드와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병행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물리적 이동없이 고정된 공간에서 포인팅 기능을 수행하여 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분할된 터치패드와 사이드버튼의 단독운용 및 조합운용에 의해 기존의 터치패드가 제공하지 못하는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마우스와 터치패드의 장점을 융합하고 기존의 구성과 구조를 변경하는 동시에 운용원리를 재설정함으로서 기존의 터치패드 보다 더 작은 면적의 터치패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극소면적의 터치패드틀 제공하여도 기존의 터치패드 UI 운용방식을 유지하면서 기존의 기능뿐 아니라 추가적 기능 수행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효율과 편리성을 배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보조 입력장치(마우스, 터치패드)의 기본기능 수행을 넘어 핫 키 등 부가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 내부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구성하는 입력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구성하는 터치 입력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터치 입력모듈을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배선도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터치 입력모듈에 구비된 사이드버튼의 가압동작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입력모듈의 구분된 입력영역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입력모듈을 통해 스크롤 입력 명령의 실행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입력모듈을 통해 다른 스크롤 입력 명령의 실행 예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살펴보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먼저, 본 발명의 효과, 특징 및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에서 명확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P)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폰(P)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에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폰 제어를 위한 사용자 터치를 입력받는 터치 입력모듈(100), 상기 스마트폰과 무선통신에 의해 동기화하여, 상기 터치 입력모듈(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을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미도시) 및 상기 케이스(10)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터치 입력모듈(100)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입력모듈(100)은 터치센서커버(110), 분할경계막(120), 터치패드(140), 버튼프레임(130) 및 메인회로기판(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터치패드(110)는 원판형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전변화를 감지하여, 터치좌표 및 이의 이동을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분할경계막(120)은 상기 터치센서커버(110)의 상부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터치센서커버(110)의 상부를 원형의 센터터치패드(CTS)와 사이드터치패드(UTS, DTS, LTS, RTS)롤 분할하는 링 형상의 제1분할경계막(121)과, 상기 사이드터치를 호형상으로 개별분할하는 직선형상의 제2분할경계막(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140)는 상기 터치센서커버(110) 하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값을 인식한다.
한편, 상기 버튼프레임(130)은 상기 터치패드(110,140) 상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터치패드를 수용하는 프레임으로, 외곽영역이 분할되어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가압에 의해 사이드버튼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회로기판(170)은 상기 버튼프레임(130)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터치패드(140)에서 인식한 사용자 터치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기 위한 회로가 인쇄된다. 이때, 상기 메인회로기판(170)은 상기 사이드버튼에 상응하는 위치인 외곽영역에 방사상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사이드버튼의 가압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2개 이상의 사이드버튼 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터치 입력모듈(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영역이 센터터치영역(CTS)와 사이드터치영역(UTS, DTS, LTS, RTS)으로 구분되는데, 사용자 터치에 의한 입력명령 수행은 센터영역 단독 터치 입력, 사이드영역 단독 터치 입력 및 센터영역과 사이드영역을 병행하여 터치 입력하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센터영역 터치만 입력시에는 상기 센터터치패드에 의해 단독으로 사용자 터치의 입력을 수행하고, 사이드영역 터치만 입력시에는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에 의해 단독으로 사용자 터치의 입력을 수행한다.
그러나 센터영역과 사이드영역이 병행하여 입력되는 복합영역 터치 입력시에는, 상기 센터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사용자 터치의 입력을 수행하도록 하되,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를 시작하여 상기 해당 사이드 터치패드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이동이 계속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모듈의 다양한 구성 및 이를 통한 터치입력명령의 수행 내용실시예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모듈은 상기 터치 입력모듈 및 몽신모듈 구동을 위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면 유/무선 충전용 충전배터리 또는 상용건전지와 같은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나, 스마트폰 케이스에 별도의 배터리나 건전지가 구비되는 것이 제품의 사용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모듈은 상기 스마트폰의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자계변화를 통해 전력을 생성하는 무선 전력수신 유닛(300)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무선 전력수신 유닛(300)은 설계된 코일구조의 패턴(307a)이 형성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305)과,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305) 상면의 상기 코일구도의 패턴(307a) 내에 부착되는 자성코어(304) 및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305) 및 자성코어(304) 전면을 마감하는 커버필름(30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유닛은 유도된 자계가 상기 터치 입력모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 입력모듈과(100)의 사이에는 페라이트 박막(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유도 자계는 터치 입력모듈의 터치 입력 감지시 오류를 발생시틸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도된 자계의 영향을 차단하는 페라이트 막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연성인쇄회로기판(FPCB)(305)는 요구성능에 따라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동박(구리막)층(305a), 폴리이미드(PI) 필름(305b), 후면 동박(구리막)층(305c)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FPCB)(305)은 매우 얇은 폴리이미드(PI) 필름(305b)의 앞뒤에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동박(구리막)(305a,305b)을 입힌 3층 구조의 연성동박적층판(FCCL)의 한쪽 또는 양쪽 동박(구리막)(305a, 305b)에 의도된 패턴(207a,207b)을 에칭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 중 하나인 터치 입력모듈의 구체적이고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입력모듈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터치패드(110)와, 센터터치패드영역과 각 사이드터치 패드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경계막(120)과, 사이드터치패드(112a, b, c, d)의 가압에 의해 해당 버튼프레임기능을 수행하는 버튼프레임(130)과, 터치패드(140) 및 버튼프레임접점(172)이 형성된 메인회로기판(170)을 포함하여, 센터영역 포인팅시에는, 센터터치패드(111)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복합영역 포인팅시에는, 센터터치패드(111)와 사이드터치패드(112a, b, c, d)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하되, 복합영역 포인팅은 센터터치패드(111)의 터치를 시작하여 해당 사이드터치패드(112a, b, c, d)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사이드터치패드(112a, b, c, d)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어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기억된 터치반응감도대로 이동이 계속되도록 하여, 원하는 포인팅좌표에 도달하여 터치를 떼면 원하는 포인팅좌표의 복합영역 포인팅을 수행하도록 하여서, 터치패드(110)의 극소면적으로도 원하는 만큼의 포인팅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터치패드(1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터치센서(미도시)의 터치에 의한 포인팅좌표를 인식하여 포인팅을 수행한다.
예컨대, 터치패드(140)는 센터영역 포인팅을 단독 수행하는 센터터치패드(111)와, 복합영역 포인팅과 터치패드의 다양한 기본기능 및 기존의 터치패드가 제공하지 않는 부가기능들을 수행하는 사이드터치패드(112a, b, c, d)로 분할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이드터치패드(112a, b, c, d)는 후술하는 제2분할경계막(122)에 의해 동등간격으로 STU(Side Touch Up)(112a)와 STD(Side Touch Down)(112b)와 STL(Side Touch Left)(112c)와 STR(Side Touch Right)(112d)의 해당 사이드터치패드로 각각 4분할 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구체적으로, 복합영역 포인팅은 센터터치패드(111)에서 터치를 시작하여 해당 사이드터치패드(112a, b, c, d)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사이드터치패드(112a, b, c, d)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기억된 터치반응감도대로 이동이 계속되도록 설계되어 원하는 포인팅좌표에 도달하여 터치를 떼면 원하는 포인팅좌표의 복합영역 포인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상기 터치감응도를 저장하여 이동에 이용하는 기술구성은 제품 설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 분할경계막(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드(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터치패드(10)의 상부영역을 원형의 센터터치패드(111)와 외곽의 사이드터치패드(112a, b, c, d)로 분할하는 링형상의 제1분할경계막(121)과, 사이드터치패드(112a, b, c, d)를 호형상으로 균등하게 개별분할하는 직선형상의 제2분할경계막(12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분할경계막(120)은 0.5mm 내지 1.0mm의 높이로 설정되어, 센터터치패드(111)와 사이드터치패드(112a, b, c, d) 사이의 경계를 인식할 수준의 높이로 설정되되, 복합영역 포인팅을 위한 센터터치패드(111)와 사이드터치패드(112a, b, c, d)의 특정조합에 의한 연동시 터치하면서 경계를 쉽게 넘어갈 수준의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분할경계막(120)은 터치패드(140)를 분할하여 다양하고 세분화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면서, 센터터치패드(111)와 각 사이드터치패드(112a, b, c, d) 별로 설정된 선택적 기능의 경계를 넘어선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가락의 촉각으로 제1분할경계막(121)과 제2분할경계막(122)에 의한 물리적 경계를 쉽게 인식하도록 한다.
다음, 버튼프레임(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드(110) 상부가 노출되도록 터치패드(140)를 수용하는 하우징역할(A)을 하면서 외곽영역은 제2분할경계막(122)에 의해 분할되어 해당 사이드터치패드(112a, b, c, d)의 가압에 의해 버튼프레임기능(B)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버튼프레임(130)은 전술한 제2분할경계막(122)에 의해 동등 간격으로 SBU(Side Button Up)(132a)와 SBD(Side Button Down)(132b)와 SBL(Side Button Left)(132c)과 SBR(Side Button Right)(132d)의 해당 버튼프레임으로 각각 4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센터터치패드(111), 사이드터치패드(112a, b, c, d) 또는 버튼프레임(130)의 단독으로 또는 특정조합으로 그래픽컨트롤러로서의 기본기능 및 부가기능의 다양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BU, SBD, SBL 및 SBR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버튼프레임접점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버튼프레임의 가압(push)에 의해 대응하는 하나의 버튼프레임접점이 통전되도록 하여 버튼프레임의 클릭과 더블클릭 및 길게 누름을 각각 인식하게 된다.
한편, 터치패드 배선라인과 버튼프레임 배선라인으로 구성된 회로라인(C)은 외부기기의 연결단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입력모듈(100)은 센터영역 포인팅시, 센터터치패드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복합영역 포인팅시, 센터터치패드와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하며, 물리적 이동없이 고정된 공간에서 포인팅기능을 수행하여 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으며, 분할된 터치패드와 버튼프레임의 단독운용 및 조합운용에 의해 기존의 터치패드가 제공하지 않는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하며, 거부감이나 이물감없이 부착하거나 크기제한 없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입력모듈(100)은 센터 터치패드와 각각의 사이드 터치패드가 물리적으로 구분된 별개의 소자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터치패드가 하나의 원형 터치패널로 구성되고, 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센터영역과 사이드영역으로 구분하여 명령을 입력받았으나, 이와 다르게, 센터영역과 각각의 사이드영역에 배치되는 터치패널을 별개의 터치패널소자들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메인회로기판 역시 각각의 터치패널에 대응하여 개별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원 발명의 구조적 특징을 정리하면, 먼저, 본 발명은 상/하/좌/우 클릭 버튼이 하드웨어적으로 추가된 특징을 갖는다.
즉, 본원 발명은 기존 터치패드의 좌우 클릭버튼을 유지 구비하면서도 터치패드면 상하(좌우)의 하부지점 보드에 클릭이 수행될 수 있도록 추가로 상,하,좌,우 버튼을 구비하여 추가기능수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터치패드면 상,하,좌,우의 하부에 버튼을 구비하여 한 번 누름(클릭), 두 번 누름(더블클릭), 그리고 길게 누름을 수행할 수 있어, 이와 같은 버튼이 단독으로 운용된다 하여도 최소한 6가지의 기능이 추가 수행될 수 있는데 이들의 조합으로 운용이 된다면 수행 기능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영역 분할과 이원구동 방식에 의한 터치센서를 운용하는 특징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원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드센서의 전체 영역을 중앙과 4개의 외곽으로, 그리고 다시 각 외곽은 2개의 독립된 8개의 센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구동되도록 터치센서의 IC Chip을 설계/프로그래밍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 영역은 기존의 터치패드와 같이 터치자체를 이벤트로 인식하거나, 출발점과 이동하는 지점의 X,Y 좌표를 읽어 이동방향 및 거리의 판단하여 결과치를 전달하는 구동방식에 의하여 기본 기능 수행을 하고, 나머지 분할된 외곽 영역은 구비된 센서 커버의 영역 구별막으로 인하여 외관상 외곽영역센서가 4개로 분할되어 있는 듯 보여도 추가기능의 확장 고려하여 실제는 외곽영역의 센서를 8개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이원화되어 분할 독립된 각 센서는 중앙 영역 센서의 구동방식과 같이 터치 자체를 이벤트로 인식하거나, 출발점과 이동하는 지점의 X, Y 좌표를 읽어 이동방향 및 거리를 판단의 결과치를 전달하는 동작(Action)판단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어떠한 형태로 터치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터치 자체를 단지 단순히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만 인식시켜, 단순히 버튼과 같이 기능역할(Function)만을 하도록 하는 두 가지의 구동방식 이원구동방식 기반으로 터치센서의 IC Chip을 구현하였다.
이와 같이 이원구동방식으로 운용되는 외곽영역 센서들이 단독으로 운영되던 조합으로 운용되던 수행기능에 따라 또다시 메인보드의 또 다른 IC Chip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한 가지의 구동방식으로 선택 운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영역을 구별하는 분할경계막(120)이 구비되어, 센서의 영역이 소프트웨어적으로 분할 설계되었기에 사용자는 이와 같이 분할된 센서의 영역을 시각 및 촉각적으로 명확하게 인식하고 터치하여 오류 없이 원하는 기능 수행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터치패드의 외각부근(터치패드 원주에서 중심으로 약 40% 지점)에 분할경계막이 돌출 형성됨에 따라, 터치패드 상하좌우면 외곽센서의 하부에 구비된 버튼을 누룰 때 이와 같이 돌출된 분할경계막(120)의 돌출 형태가 버튼의 가이드뿐만 아니라 가압의 효과를 얻게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할경계막은 크기가 작고 정밀하여 제작의 난이도가 높아 별도 제작하여 터치패드의 Sheet의 상부에 부착할 경우에 제작 및 부착작업 공정상 비용이 추가된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의 분할경계막은 터치패드의 Sheet와 일체형으로 하나의 몰드에서 제작이 되도록 하여 제작상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높였다.
한편, 본원 발명의 기능적 특징을 살피면, 본원 발명은 기존 터치패드의 입력기능을 그대로 수행하면서, 기존 더치패드에서 구현할 수 없었던 추가적인 입력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즉, 본원 발명은 기존의 터치패드의 모듈과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는 분할된 센서의 중앙 영역에서 터치자체를 인식하거나, 출발점과 이동하는 지점의 X, Y좌표를 읽어 이동방향 및 거리를 판단하여 결과치를 전달하는 구동방식을 유지하고, 하드웨어적으로는 터치패드 좌우영역 하부의 메인보드에도 좌우 클릭을 수행하기 위한 두 개의 버튼을 각각 구비함으로서 기존 터치패드와 같은 기본기능을 수행하고, 기존 터치패드의 사용자환경(유저인터페이스 : UI )을 유지하여 터치패드를 터치(더블터치) 및 좌,우클릭(더블클릭)을 하여 포인팅, 스크롤, 드래그 앤 드롭 및 메뉴팝업 등의 기본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더불어 본원 발명에서 수행될 수 있는 추가 입력기능에 대하여 살피면, 다음과 같다.
(1) 롱 포인팅
일반적인 터치패드에서 제한된 터치패드의 작은 면적보다 먼 거리의 포인팅을 수행하기 위하여는 터치패드를 여러 번 끊어 터치하여 원하는 방향의 포인팅을 연속 수행하여야 하나, 본 발명에서는 한 번의 포인팅으로 원하는 곳으로의 포인팅이 가능하도록 구동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먼저, 분할된 터치패드의 중앙 터치영역에서 원하는 곳으로 속도와 방향을 지정하고 포인팅을 수행하고, 분할된 외곽터치영역에 이르면 포인팅이 계속되며 원하는 곳에 포인팅이 되었을 때 비로소 터치패드에서 손을 떼면 포인팅이 종료된다.
즉, 중앙영역에서 출발하는 지점과 이동하는 지점들의 X,Y 좌표를 읽어 이동방향 판단 결과치를 전달하는 기존의 터치패드와 같은 구동방식으로 포인팅을 수행되나, 이와 같은 포인팅이 분할된 외곽영역 센서에 도달되어 터치가 이루어지는 순간 터치 자체를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 즉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포인팅 하던 방향으로 계속 진행하라는 명령을 수행하는 버튼을 누른 것과 같은 것으로 인식하여 포인팅이 계속 이루어진다.
결국, 중앙 영역 센서와 분할된 외곽영역의 센서와 조합을 이루고 선행 센서 영역이 동작(Action : 방향 및 거리)을 인식하면 후행의 외곽 센서영역은 다른 수행기능(function)을 인식하여 단지 버튼 역할을 하도록 구동방식을 이원화하여 운용함으로서 단 한 번의 포인팅으로 롱 포인팅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종래 터치패드에 비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롱 포인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롱 포인팅을 수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입력 오류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2) 드래그 앤 드롭
본 발명에서도 중앙 영역 센서에서 기존 터치패드와 같은 방식으로 드래그 앤 드롭을 수행하고 있는데 좀 더 편리한 방식으로 아래와 같이 기존 터치패드와 차별화된 두 가지 방식으로 단 한 번의 시도로 드래그와 드롭을 수행할 수 있다.
첫째는 롱 드래그 앤 드롭으로, 이는 전술한 롱 포인팅의 경우와 같이, 중앙 영역 센서에서 방향을 잡고 드래그를 계속하다 외곽센서영역(ST)에 도달하면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계속 진행하도록 프로그램이 설계되어 있어 드래그가 스스로 원하는 지점에 이르러 드롭을 하면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둘째는 위치 선택이동 롱 드래그 앤 드롭으로, 이는 중앙센서영역(CT)에서 터치를 하고 외곽센서영역(UST)을 터치를 하면 기존의 터치패드에서는 일단 한 손으로 터치패드의 좌 클릭하여 클릭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과 같이 포인팅 하듯이 원하는 지점과 방향으로 수차례 드래그를 수행하여도 중단이 없이 원하는 지점에 도달하였을 때 비로소 터치를 해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기존의 터치패드에서 드래그 앤 드롭을 할 때도 한 번에 원하는 곳에 도달할 수 없어 몇 차례 시도하여 원하는 곳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렇게 여러 번 시도하는 가운데 멈춰지는 지점에 파일 폴더 아이콘이 있을 경우에는 파일 폴더에 들어가 저장되게 되므로 다시 끌어내야 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의 터치패드에서는 일단 한 손으로 터치패드의 좌 클릭을 하여 클릭한 상태로 유지하고 다른 손을 이용하여 원하는 지점에 도달하는 방식을 적용하는데, 롱 드래그 앤 드롭을 기존의 터치패드에서도 수행할 수는 있으나, 본원 발명에서는 종래기술과 같이, 굳이 한 손으로 좌 클릭을 유지하고 다른 손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불편 없이 한 손으로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3) 스크롤(휠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의 터치 입력모듈에서는 단거리 스크롤 및 장거리(롱)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거리 스크롤은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마우스의 휠키가 작동하듯 좌우 사이드터치패드를 상하로 또는 역으로 포인팅 하듯이 움직여서 상하스크롤을 수행하고 좌우스크롤은 상하 사이드터치패드를 좌우로 또는 역으로 움직여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좌우 사이드터치패드는 터치영역이 상하로 구분되고, 상하 사이드터치패드는 터치영역이 좌우로 구분되어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크롤을 수행할 때, 사이드터치패드는 터치의 움직임 방향과 거리가 인식이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롱 스크롤은 전술한 단거리 스크롤과 유사하게,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터치패드의 좌우영역을 터치하며 상하스크롤을 수행하다 터치의 영역을 경계(분할경계막)를 넘어 상부 또는 하부 사이드터치패드의 영역에 도달하면, 이때는 상/하부 사이드터치패드 영역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순간, 터치 자체를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포인팅 하던 방향으로 계속 진행하라는 명령을 수행하여, 인식하여 진행방향으로 계속 스크롤이 이루어지며, 터치의 해제가 감지되면 비로소 스크롤이 중단되도록 구성된다.
결국, 단 한 번 터치 수행(끊김 없는 스크롤 수행)은 센서를 분할하여 이원구동방식을 설정하고 이와 같이 분할된 센서들이 조합을 이루어 기능을 수행할 때 프로그램에 의하여 선택된 구동방식이 운용됨으로서 가능하게 된 것으로, 좌우스크롤의 경우에 있어서도 같은 구동원리가 적용된다.
(4) 핫 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의 터치 입력모듈은 터치패드의 상하/좌우에 클릭 버튼(사이드버튼)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서, 이들 단독 또는 조합에 의해 다양한 기능을 핫키로 설정하여 운용할 수 있다.
나아가, 버튼운용에 따라 수행기능을 추가할 수 있지만 버튼과 터치센서의 분할영역이 조합을 이루어 운용이 될 경우에는 더 많은 추가 기능이 수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4 방향 모두 사이드 버튼이 구비됨에 따라, 이와 같은 핫키를 운용하여 스마트폰의 뒤로가기, 홈으로 가기 등의 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특정 홈페이지, 브라우저 등에 바로 접속할 수가 있다.
(5) 자판 기능(문자, 숫자, 부호 입력)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의 터치 입력모듈은 터치패드 하부의 상하좌우 클릭버튼의 클릭, 더블클릭 및 길게 누를 때에 입력될 수 있는 문자, 숫자, 부호 등의 키값을 할당하여, 조합 운용하여 키보드와 같은 문자, 숫자 부호등의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 배면에 터치 입력모듈이 부착되어,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동일한 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케이스 외면의 터치 입력모듈을 조작하여 스마트폰의 터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 케이스 외면에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입력모듈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한손으로 스마트폰의 파지와 터치입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스마트폰 조작 편의성이 향상됨은 물론, 어느 한 팔의 사용이 자유롭지 못한 상황의 사용자, 환자 및 지체 장애인들도 자유롭게 스마트폰을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케이스 100 : 터치 입력모듈
110 : 터치패드 111 : 센터터치패드
112a, b, c, d : 사이드터치패드 112a : STU
112b : STD 112c : STL
112d : STR 120 : 터치센서커버
121 : 제1분할경계막 122 : 제2분할경계막
130 : 버튼프레임 132a : SBU
132b : SBD 132c : SBL
132d : SBR 140 : 터치패드
170 : 메인회로기판 172 : 사이드버튼 접점
200 : 제어패널 300 : 무선 전력수신 유닛
302 : 커버필름 304 : 자성코어
305 : 연성인쇄회로기판 305a : 전면 동박(구리막)층
305b : 폴리이미드(PI) 필름 305c : 후면 동박(구리막)층
307a : 코일구조의 패턴 P : 스마트폰

Claims (16)

  1. 스마트폰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폰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폰 제어를 위한 사용자 터치를 입력받는 터치 입력모듈과;
    상기 스마트폰과 무선통신에 의해 동기화하여, 상기 터치 입력모듈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을 스마트기기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케이스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터치 입력모듈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터치 입력모듈은,
    터치 좌표를 인식하는 원판형상의 터치패드와;
    상기 터치패드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터치패드의 상부를 원형의 센터터치패드와 사이드터치패드롤 분할하는 링 형상의 제1분할경계막과,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를 호형상으로 개별분할하는 직선형상의 제2분할경계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할경계막과;
    상기 터치패드 상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터치패드를 수용하는 버튼프레임; 그리고
    상기 버튼프레임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터치패드의 입력값을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기 위한 회로가 인쇄된 메인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터치 입력모듈은,
    센터영역 터치 입력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에 의해 단독으로 사용자 터치의 입력을 수행하도록 하고;
    사이드영역 터치 입력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에 의해 단독으로 사용자 터치의 입력을 수행하도록 하며;
    복합영역 터치 입력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사용자 터치의 입력을 수행하도록 하되,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를 시작하여 해당 사이드 터치패드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이동이 계속되도록 하고:
    상기 복합영역 터치 입력시, 이동이 계속되는 이동 속도는,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를 시작하여 상기 해당 사이드 터치패드에 도달할때의 터치반응감도에 따라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프레임은,
    외곽영역이 분할되어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가압에 의해 사이드버튼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메인회로기판은,
    상기 사이드버튼에 상응하는 위치인 외곽영역에 방사상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사이드버튼의 가압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2개 이상의 사이드버튼 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모듈은,
    상기 스마트폰의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자계변화를 통해 전력을 생성하는 무선 전력수신 유닛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유닛은,
    설계된 코일구조의 패턴이 형성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과;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 상면의 상기 코일구조의 패턴 내에 부착되는 자성코어와;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자성코어 전면을 마감하는 커버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유닛은,
    유도된 자계가 상기 터치 입력모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 입력모듈과의 사이에 구비되는 페라이트 박막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경계막은,
    0.2mm 내지 0.4mm의 높이로 설정되어, 경계를 인식할 수준의 높이로 설정되되, 복합영역 포인팅을 위한 센터터치패드와 사이드터치패드의 특정조합에 의한 연동시 터치하면서 경계를 이동할 수 있는 수준의 높이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8. 제 2 항 및 제4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및 상기 사이드버튼은 상기 제2분할경계막에 의해 동등간격으로 STU, STD, STL 및 STR의 사이드터치패드 및 SBU, SBD, SBL 및 SBR의 해당 사이드버튼으로 각각 4 분할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터치패드는,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또는 상기 사이드버튼과의 조합에 의해 그래픽컨트롤러의 기 설정된 기능들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터치패드 및 STU, STD, STL 및 STR를 포함하는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및 SBU, SBD, SBL 및 SBR를 포함하는 사이드버튼에 대한 단독 또는 복합 입력에 대한 실행명령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또는 변경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모듈은,
    상기 센터터치패드(CRS)에 터치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UTS, DTS, LTS, RTS)중 어느 하나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센터터치패드(CRS)에 터치가 입력시 선택된 항목을 터치가 입력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UTS, DTS, LTS, RTS)의 방향으로, 터치입력이 해제될 때까지 드레그하는 드래그 앤 드롭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들 중,
    좌우측 사이드터치패드(LTS, RTS)는 터치 감지영역이 상하로 구분되고;
    상하측 사이드터치패드(UTS, DTS)는 터치 감지영역이 좌우로 구분되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모듈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UTS, DTS, LTS, RTS)들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 터치가 입력되어, 동일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내에서 구분된 터치 감지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터치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터치의 이동량에 대응하여 스크롤 되도록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모듈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UTS, DTS, LTS, RTS)들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 터치가 입력되어, 동일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내에서 구분된 터치 감지영역으로 이동한 후, 인접한 타 사이드터치패드 영역내로 상기 터치가 이동되는 경우,
    상기 터치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터치가 해제될 때까지 스크롤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모듈은,
    상기 SBU의 클릭에 의해 뒤로가기, 더블클릭에 의해 홈, 길게 누름에 의해 바로가기를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SBU의 클릭에 의해 마우스 기본설정, 더블클릭에 의해 주플랫폼으로 안드로이드, 길게누름에 의해 주플랫폼으로 ios를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SBR의 클릭에 의해 우클릭, 길게 누름에 의해 줌인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SBL의 클릭에 의해 좌클릭, 더블클릭에 의해 더블클릭, 길게 누름에 의해 줌아웃이 수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모듈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단독 또는 다른 사이드버튼과 연동한 조합으로서 사용자가 설정한 추가기능을 실행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조합에 따라 키보드의 기능키 및 자판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KR1020200133312A 2020-10-15 2020-10-15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KR102372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312A KR102372938B1 (ko) 2020-10-15 2020-10-15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312A KR102372938B1 (ko) 2020-10-15 2020-10-15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938B1 true KR102372938B1 (ko) 2022-03-08

Family

ID=80812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312A KR102372938B1 (ko) 2020-10-15 2020-10-15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9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0688A (ko) 2022-04-22 2023-10-31 주식회사 비엘디 컴퓨터 기기를 위한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949B1 (ko) 2012-08-24 2014-08-05 (주)아이티버스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JP2015028821A (ja) * 2003-08-18 2015-02-12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追加された機能を持つ移動可能なタッチパッド
KR20180126923A (ko) 2017-05-19 2018-11-28 (주)아이티버스 스마트 컨트롤러
KR20190000670U (ko) * 2017-09-06 2019-03-14 (주)한보이앤씨 한 손으로 휴대단말기를 용이하게 조작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8821A (ja) * 2003-08-18 2015-02-12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追加された機能を持つ移動可能なタッチパッド
KR101425949B1 (ko) 2012-08-24 2014-08-05 (주)아이티버스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KR20180126923A (ko) 2017-05-19 2018-11-28 (주)아이티버스 스마트 컨트롤러
KR20190000670U (ko) * 2017-09-06 2019-03-14 (주)한보이앤씨 한 손으로 휴대단말기를 용이하게 조작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0688A (ko) 2022-04-22 2023-10-31 주식회사 비엘디 컴퓨터 기기를 위한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841B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JP6293109B2 (ja) 選択的入力信号拒否及び修正
US9891732B2 (en) Selective rejection of touch contacts in an edge region of a touch surface
JP5862898B2 (ja) 動作モードを変更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5326569B2 (ja) 入力装置
US20140002358A1 (en) Compact capacitive track pad
CN105122256A (zh) 在手持设备上用于单手及多模式交互的握力传感器阵列及方法
US20120127093A1 (en) Touch pad and electronic display device applied with the same
EP3053006A1 (en) Keyboard and touchpad areas
JP2008198205A (ja) 傾斜型タッチ制御パネル
EP1779224A2 (en) A touchpad device
JP2009258946A (ja) 静電容量式タッチセンサ
KR102372938B1 (ko)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JP4128385B2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KR102395632B1 (ko)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WO2010119713A1 (ja) 携帯端末
KR102236950B1 (ko) 터치패드 모듈
AU2013205165B2 (en) Interpreting touch contacts on a touch surface
KR102441963B1 (ko)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착탈식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JP2008257296A (ja) 転動型入力装置とプログラム
AU2015271962B2 (en) Interpreting touch contacts on a touch surface
KR100904001B1 (ko) 촉각센서를 이용한 슬림형 마우스 및 그 제조 방법
JP2018180917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TW201516764A (zh) 具有多功能按鍵的滑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