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422A -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및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및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422A
KR20200117422A KR1020190039500A KR20190039500A KR20200117422A KR 20200117422 A KR20200117422 A KR 20200117422A KR 1020190039500 A KR1020190039500 A KR 1020190039500A KR 20190039500 A KR20190039500 A KR 20190039500A KR 20200117422 A KR20200117422 A KR 20200117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portable terminal
user
smart controller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510B1 (ko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버스 filed Critical (주)아이티버스
Priority to KR1020190039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510B1/ko
Priority to US17/601,424 priority patent/US20220192602A1/en
Priority to CN202090000468.XU priority patent/CN217090698U/zh
Priority to PCT/KR2020/004576 priority patent/WO2020204656A1/ko
Priority to JP2021559220A priority patent/JP2022528135A/ja
Publication of KR20200117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61B5/0205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 an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44Details of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by using sensing means generating electric signals, i.e. ECG signals
    • A61B5/04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9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p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46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analy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ons, cytochr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2Portable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5Hand
    • A61B5/6826F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092Interfacing with an external cover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42Operational features adapted to measure environmental factors, e.g. temperature, pol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는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 또는 측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 버튼부;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외부 환경정보를 검출하는 센서; 및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의 검출값을 입력받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달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및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SMART CONTROLLER AND SMART CASE HAVING A SENSOR}
본 발명은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외부 환경정보를 검출 및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 등의 휴대 가능한 단말기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스마트폰의 경우 휴대가 간편하고 통화 본연의 기능에 충실하도록 작은 크기의 액정이 적용되었으나, 최근 사용자들은 휴대성보다는 넓은 화면에서 더욱 많은 정보를 얻는 것을 선호하는 추세가 계속됨으로써 큰 사이즈의 액정을 구비한 스마트폰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사이즈 증대로 인하여 사용자의 시각적 쾌적감을 만족시킬 수는 있지만, 스마트폰을 한 손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경우 대부분의 입력은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게임을 할 경우 정교한 조작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조작 버튼을 손으로 입력하여 조작하는 경우, 조작 버튼이나 손이 디스플레이를 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및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큰 사이즈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라도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자유롭고 간단히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마트 컨트롤러 및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외부 환경정보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스마트 컨트롤러 및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는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 또는 측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 버튼부;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외부 환경정보를 검출하는 센서; 및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의 검출값을 입력받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달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바이오 센서이고, 상기 바이오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혈당, 헤모글로빈 농도, 심박수, 체온, 심전도, 콜레스테롤 수치 및 체지방률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는 상기 사용자 주변의 환경정보를 검출하는 에코 센서이고, 상기 에코 센서는 방사능 농도, 오존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먼지 농도 및 자외선 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에는 상기 센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수용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 버튼부와 상기 센서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는 상기 센서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 및 상기 센서의 검출값을 출력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센서의 구동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어유닛에 센서 구동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센서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센서의 검출값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 버튼부는 상기 센서의 구동을 위한 센싱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를 구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센서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를 구동시키는 경우 상기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외부 환경정보를 복수 회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에 의하여 복수 회 검출된 값들 사이의 편차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센서를 다시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의 상면 또는 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저면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저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고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기 위하여 전면에 형성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와 대향되는 후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 버튼부; 상기 수용부와 대향되는 후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외부 환경정보를 검출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검출값을 입력받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달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바이오 센서이고, 상기 바이오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혈당, 헤모글로빈 농도, 심박수, 체온, 심전도, 콜레스테롤 수치 및 체지방률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는 상기 사용자 주변의 환경정보를 검출하는 에코 센서이고, 상기 에코 센서는 방사능 농도, 오존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먼지 농도 및 자외선 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와 대향되는 후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및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스마트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한 손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바이오 센서 또는 외부 환경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에코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자신의 혈당 등의 신체 정보 또는 현재 미세 먼지 농도 등의 환경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의 구성 중 메인 버튼부로 활용 가능한 스마트 버튼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와 유선 통신을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나,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마트 컨트롤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다양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입력부인 메인 버튼부(100) 및 보조 버튼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인 버튼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방향 버튼(110) 및 선택 버튼(120)으로 구성된다.
방향 버튼(110)은 측방향 가압에 의하여 방향과 관련된 제1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선택 버튼(120)은 방향 버튼(110)의 중앙부 또는 일측에 배치되되, 하향 가압에 의하여 제2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메인 버튼부(100)의 경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스마트 버튼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메인 버튼부(100)의 구조 및 기능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메인 버튼부(100)의 일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메인 버튼부(100)는 크게 하우징(1110), 밀기버튼(1120), 센서(1130) 및 접점(1140)을 포함한다.
하우징(1110)은 상측이 개방된 내측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된다.
밀기버튼(1120)은 하우징(1100)에 마련된 내측공간에 안착되며, 내측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후 및 좌우 등 측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센서(1130)는 밀기버튼(1120)의 외측면 또는 하우징(1110)의 내측면 중 어느 한 쪽에 구비되는 구성이고, 접점(1130)은 밀기버튼(1120)의 외측면 또는 하우징(1110)의 내측면 중 다른 한 쪽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센서(1130)는 둘 이상의 단자스위치를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단자스위치가 센서(1130)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접점(1130)은 도전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국 밀기버튼(1120)을 측방향으로 밀었을 때, 밀기버튼(1200)이 움직이는 방향에 위치하는 센서(1130)에 접점(1130)에 접촉되고, 접촉된 센서(1130)에 할당된 입력신호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측방향으로 버튼을 밀어 가압함에 따라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밀기방식 입력버튼은 이미 다양한 구조로 제안된 바 있는데, 종래의 밀기방식 입력버튼은 측방향 가압을 감지하기 위한 가압센서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바, 신호입력장치의 제조원가가 매우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버튼을 어느 방향으로 미는지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입력신호가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가압력이 인가되는 각 방향별로 하나씩 가압센서가 장착되어야 하므로, 상기와 같은 제조원가 문제는 더욱 커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메인 버튼부(100)의 일 예에 따르면, 각 방향 별 별도의 가압센서 없이도 측방으로 가압력이 인가되었을 때 해당 방향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밀기버튼(1120)이 어느 일측으로 밀려 이동됨에 따라 접점(1140)이 어느 하나의 센서(1130)를 접속시킨 후 상기 밀기버튼(1120)에 인가되어 있던 가압력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센서(1130)가 접속된 상태가 계속 유지되면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입력신호가 지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밀기버튼(1120)이 측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센서(1130)와 상기 접점(1140)이 이격되도록 상기 밀기버튼(1120)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탄성부재(11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1160)가 구비되면, 상기 밀기버튼(1120)에 인가되었던 측방향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밀기버튼(1120)은 상기 탄성부재(1160)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바, 센서(1130)와 접점(1130)이 이격된 상태 즉, 어떠한 입력신호도 발생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메인 버튼부(100)의 일 예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하단에 배치된 스위치(1170)와 밀기버튼(1120)의 상면에 배치되는 누름버튼(1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버튼(1150)은 밀기버튼(1120)을 상향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이 상기 스위치(1170)에 안착되어 하향 가압력이 인가될 때 아래로 밀려 상기 스위치(1170)를 누름으로써 밀기버튼(1120)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와는 별개의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밀기버튼(1120)과 누름버튼(1150)의 작동 조합에 기초하여 다양한 신호의 발생이 가능하게 되며, 여기에서 밀기버튼(1120) 및 누름버튼(1150)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에서의 방향 버튼(110) 및 선택 버튼(120)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메인 버튼부(100)의 다른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메인 버튼부(100)은 크게 베이스부재(1180), 밀기버튼(1120), 센서부(1130), 접점(1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1180)는 바닥면(1181) 및 바닥면(1181)의 중심부측에 상향 돌출된 돌출부(1182)를 포함한다.
밀기버튼(1120)은 돌출부(1182)의 상측에 배치되는데, 돌출부(1182)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향으로 형성된 하향측벽(1121)이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82)의 외측면에는 센서부(1130)가 구비되고, 하향측벽(1121)의 내측면에는 돌출부(1182)의 외측면 중 센서부(1130)가 배치된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에 접점(1140)을 구비할 수 있다.
반대로, 하향측벽(1121)의 내측면에 센서부(1130)가 구비되고, 돌출부(1182)의 외측면에는 하향측벽(1121)의 내측면 중 센서부(1130)가 배치된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에 접점(1140)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조 하에서, 밀기버튼(112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센서(1130) 및 접점(1400)이 상호 접촉함으로써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이러한 밀기버튼(1120)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전후 및 좌우 등 측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사용자가 밀기버튼(1120)을 측방향으로 밀었을 때 접점(1140)은 밀기버튼(1120)이 움직이는 방향에 위치하는 센서부(1130)에 접촉됨으로써 센서부(1130) 내에 형성된 복수의 센서 중 해당되는 센서와 관련된 입력신호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밀기버튼(1120)은 회전하지 않고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이는 밀기버튼(1120)의 회전이 가능할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해당 센서와 접점이 접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원치 않는 입력신호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센서부(1130)로서는 터치센서 또는 촉각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조 원가 절감 및 제품의 경량화 등을 고려할 때, 연성회로기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성회로기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배치시키되, 이러한 센서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포함하는 단자스위치로 형성되게 하고, 접점(1140)을 도전체로 형성함으로써, 밀기버튼(1120)을 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단자스위치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모두 접점(1140)과 접촉하게 함으로써 상기 양극단자와 상기 음극단자가 단락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서 입력신호를 발생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자스위치는 구체적으로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서로 이격시켜 나란히 배치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수평방향으로 교번으로 배열되는 부위를 갖도록 즉, 상하 방향으로 요철패턴을 가지며 요철부위가 엇갈려 맞물리도록 배열되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는 상호 요철부위가 엇갈려 맞물리도록 배치되되 상호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동시에, 접점(1140)의 경우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상호간의 견고한 단락을 위하여 접촉 부위만을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밀기버튼(1120)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11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부재(1160)로써는 밀기버튼(1120)이 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압축됨으로써 밀기버튼(1120)에 복원탄성력을 인가하는 카본스펀지나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밀기버튼(1120)과 누름버튼(1150)의 작동 조합에 기초하여 다양한 신호의 발생이 가능하게 되며, 여기에서 밀기버튼(1120) 및 누름버튼(1150)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에서의 방향 버튼(110) 및 선택 버튼(120)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는 메인 버튼부(100)와는 별도로 형성된 보조 버튼부(200)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보조 버튼부(200)는 메인 버튼부(100)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거나 또는 휴대용 단말기(10)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한다.
특히, 이러한 보조 버튼부(200)는 메인 버튼부(100)의 동작 모드, 즉 키보드 모드 및 마우스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화, 볼륨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미리 설정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나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는 상술한 메인 버튼부(100) 및 보조 버튼부(200)를 수용하기 위한 본체(300)를 구비하며, 이러한 본체(300)의 하면에는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는 케이스 저면에 부착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의 몸체(300)에는 휴대용 단말기 등을 테이블 또는 바닥에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는 몸체(300)의 상면에 배치되되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한 채로 상술한 메인 버튼부(100) 또는 보조 버튼부(200)를 삽입된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메인 버튼부(100) 및 보조 버튼부(200)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00)의 상면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410) 및 상기 연결부재(410)와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리부재(4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고리부재(420)는 몸체(300)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지지부는 도 1과 다르게 그 일단 및 타단이 몸체(30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연결되되 지지부가 몸체(300)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지지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테이블 또는 바닥에 휴대용 단말기 등을 기울여서 세울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별도의 거치대 없이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용이하게 동영상 등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대를 링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검지 또는 중지 등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한손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용이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터리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써 몸체(300)에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커넥터 단자(5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단자(510)는 스마트 컨트롤러가 수용 또는 부착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커넥터 단자과 동일한 것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술한 유선 충전을 위한 커넥터 단자(510)를 구비하는 대신 몸체(300) 내부에는 무선충전을 위한 수신코일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하여 송신코일을 구비한 외부 충전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는 스마트 컨트롤러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LED(520)를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는 도 1과는 다르게 2개의 몸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메인 버튼부(100), 보조 버튼부(200) 및 제어부 등을 수용하는 제1 몸체와, 휴대용 단말기(10)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과 상술한 지지부가 부착되는 제2 몸체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몸체에는 제1 몸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제2 몸체는 제1 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제1 몸체를 휴대용 단말기 후면에 부착하여 사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할 수도 있으며, 또는 제1 몸체를 제2 몸체와 분리시켜서 휴대용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는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외부 환경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바이오 센서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바이오 센서는 사용자의 혈당, 헤모글로빈 농도, 심박수, 체온, 심전도, 콜레스테롤 수치 및 체지방률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센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주변의 환경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에코 센서일 수 있으며, 이러한 에코 센서는 방사능 온도, 오존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먼지 농도 및 자외선 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몸체(300)에는 센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센서는 수용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측정이 필요한 사항에 대응되는 센서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입력 버튼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메인 버튼부(100) 및 보조 버튼부(200)와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메인 버튼부(100)의 선택 버튼(120)의 일부, 구체적으로 선택 버튼(120)의 상면을 센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나아가 방향 버튼(110)의 일부를 센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의 몸체(300)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몸체 및 제2 몸체로 구성할 경우, 제1 몸체에 입력 버튼부, 센서 및 제어유닛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의 입력 버튼부에는 센서의 구동을 위한 센싱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센싱 버튼을 동작시키는 경우 제어유닛은 센서로 하여금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외부의 환경정보를 검출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에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시키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가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심전도 센서인 경우, 사용자가 센싱 버튼을 동작시키면 제어유닛은 심전도 센서로 하여금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도록 하며,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심전도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센싱 버튼을 한차례 동작시킴으로써 심전도 측정 및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한 자신의 현재 심전도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센싱 버튼을 동작시키면 제어유닛은 센서의 종류를 먼저 확인한 후 휴대용 단말기로 하여금 장착된 센서와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하고, 이후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생체정보 또는 환경정보를 센싱한다는 안내문구와 함께 센서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특히, 이러한 센싱 버튼은 보조 버튼부(200)에 포함된 특정 버튼일 수도 있고, 나아가 메인 버튼부(100)의 선택 버튼(120)일 수도 있다.
특히 센싱 버튼이 선택 버튼(120)으로 구성될 경우, 선택 버튼(120)의 상면은 센서가 배치되고, 선택 버튼(120)의 하부의 누름버튼은 센싱 버튼으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센서의 구동 방법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컨트롤러에 포함된 센싱 버튼에 의한 구동 방법 이외에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센서를 구동시키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어 센서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 및 센서의 검출값을 출력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때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센서의 구동을 요청하게 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스마트 컨트롤러의 제어유닛에 센서 구동 신호를 전달하고, 제어유닛은 전달받은 센서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센서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후, 센서가 사용자의 생체 정보 또는 외부의 환경 정보 등을 검출하여 검출값을 획득하게 되면, 제어유닛은 획득된 검출값을 휴대용 단말기 측으로 전달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검출값, 평가 등의 검출결과를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는 센서의 구동을 위한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을 터치하게 되면 센싱을 위한 안내 정보가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되는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는 스마트 컨트롤러의 제어유닛으로 센서의 구동 신호를 전달한다.
제어유닛은 센서의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센서를 구동시키고, 센서의 구동에 의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 또는 외부의 환경 정보를 검출하면, 제어유닛은 이러한 검출결과를 휴대용 단말기 측으로 전달하여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가공을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게 된다.
한편, 센서의 정확한 측정을 담보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센싱 버튼을 동작시키는 경우 센서는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외부 환경정보를 복수 회 검출하고, 센서에 의하여 복수 회 검출된 값들 사이의 편차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제어유닛은 센서를 다시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접촉하여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의 체온을 검출하기 위한 바이오 센서일 경우, 사용자가 센서 위에 손가락을 제대로 안착시키지 않거나 또는 센서의 동작 시간에 손가락을 안착시키지 않을 경우 센서는 사용자의 체온을 제대로 검출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센서는 사용자의 체온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복수 회를 검출하게 된다.
즉, 센서가 사용자의 체온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3차례 측정하는 것으로 설정되고, 센서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측정된 제1 체온, 제2 체온 및 제3 체온이 각각 42.3도, 36.9도 및 36.8도인 경우, 제어유닛은 사용자가 센서에 손가락을 올바르게 안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센서로 하여금 사용자의 체온을 다시 검출하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잘못된 조작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외부의 환경정보 측정의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센서의 고장에 의한 생체정보 또는 외부 환경정보 측정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는 복수 개의 센서,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센서가 검출한 값들 사이의 편차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에는 복수 개의 센서가 검출한 값들의 평균값을 검출 결과로 출력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센서가 검출한 값들 사이의 편차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제어유닛은 복수 개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센서의 고장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한 차례의 측정만으로 성급하게 고장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센서가 검출한 값들 사이의 편차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에는 제어유닛은 복수 개의 센서를 다시 구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유닛이 복수 개의 센서를 다시 구동시키더라도 어느 하나의 센서가 검출한 값이 다른 센서들의 검출값과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할 경우에는 해당 센서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의 측정결과에 기초한 센서의 고장유무의 판단은 스마트 컨트롤러의 제어유닛이 수행할 수도 있으나, 휴대용 단말기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이 센서가 검출한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어유닛에 경고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는 상술한 경고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경고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고 유닛은 발광소자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됨으로써 센서 고장 발생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 가능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컨트롤러 내에 별도의 경고 유닛을 포함시키지 않고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나아가 3개 이상의 센서들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하나의 센서의 고장에 의하여 경고만 발생시키지 않고, 이상이 없는 2개의 센서로부터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를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되,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의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고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수용부, 입력 버튼부, 센서 및 제어유닛으로 구성된다.
수용부는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기 위하여 전면에 형성되며, 입력 버튼부는 수용부와 대향되는 후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입력 버튼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와 마찬가지로 메인 버튼부(100) 및 보조 버튼부(4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아울러, 센서는 수용부와 대향되는 후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외부 환경정보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센서의 종류, 기능, 장착위치 또한 앞서 설명한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와 동일하다.
즉, 센서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바이오 센서일 수 있고, 외부 환경정보를 검출하는 에코 센서일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러의 내용 중 센서가 검출한 값들의 처리, 센싱 방법, 센싱 버튼 등의 내용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도 그대로 적용 가능할 것이다.
제어유닛(200)은 입력 버튼부의 조작에 의하여 발생된 신호와, 센서가 검출한 값을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제어부(200)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수용된 휴대용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포함한다.
특히 휴대용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 사이의 별도의 연결 수단이 필요하지 않도록 양 구성 간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300)는 입력버튼(100) 또는 제어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써,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의 두께를 고려하여 코인(coin) 형태의 리튬 또는 수은 전지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배터리(300)를 무선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성 이외에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 렌즈, 발광다이오드 소자 등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중공(500)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와 마찬가지로 휴대용 단말기 등을 테이블 또는 바닥에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는 수용부와 대향되는 후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결합될 수 있으며, 나아가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며, 지지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에 기재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 또는 측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 버튼부;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외부 환경정보를 검출하는 센서; 및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의 검출값을 입력받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달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는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바이오 센서이고,
    상기 바이오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혈당, 헤모글로빈 농도, 심박수, 체온, 심전도, 콜레스테롤 수치 및 체지방률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사용자 주변의 환경정보를 검출하는 에코 센서이고,
    상기 에코 센서는 방사능 농도, 오존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먼지 농도 및 자외선 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센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수용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버튼부와 상기 센서는 일체로 형성되는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는 상기 센서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 및 상기 센서의 검출값을 출력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7.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센서의 구동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어유닛에 센서 구동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센서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를 구동시키는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센서의 검출값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버튼부는 상기 센서의 구동을 위한 센싱 버튼을 포함하는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버튼을 동작시키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센서를 구동시키는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를 구동시키는 경우 상기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외부 환경정보를 복수 회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 의하여 복수 회 검출된 값들 사이의 편차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센서를 다시 구동시키는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 또는 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저면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저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15.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기 위하여 전면에 형성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와 대향되는 후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 버튼부;
    상기 수용부와 대향되는 후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외부 환경정보를 검출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검출값을 입력받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달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는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바이오 센서이고,
    상기 바이오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혈당, 헤모글로빈 농도, 심박수, 체온, 심전도, 콜레스테롤 수치 및 체지방률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사용자 주변의 환경정보를 검출하는 에코 센서이고,
    상기 에코 센서는 방사능 농도, 오존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먼지 농도상기 및 자외선 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와 대향되는 후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20190039500A 2019-04-04 2019-04-04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KR102353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500A KR102353510B1 (ko) 2019-04-04 2019-04-04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US17/601,424 US20220192602A1 (en) 2019-04-04 2020-04-03 Smart controller including sensor, and portable terminal case including sensor
CN202090000468.XU CN217090698U (zh) 2019-04-04 2020-04-03 具有传感器的智能控制器及具有传感器的便携式终端设备外壳
PCT/KR2020/004576 WO2020204656A1 (ko) 2019-04-04 2020-04-03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및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JP2021559220A JP2022528135A (ja) 2019-04-04 2020-04-03 センサー付きスマートコントローラー及びセンサー付き携帯型端末ケー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500A KR102353510B1 (ko) 2019-04-04 2019-04-04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422A true KR20200117422A (ko) 2020-10-14
KR102353510B1 KR102353510B1 (ko) 2022-01-21

Family

ID=72667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500A KR102353510B1 (ko) 2019-04-04 2019-04-04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92602A1 (ko)
JP (1) JP2022528135A (ko)
KR (1) KR102353510B1 (ko)
CN (1) CN217090698U (ko)
WO (1) WO2020204656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7105A (ko) * 2011-06-30 2013-02-20 주식회사 솔미테크 모바일 폰 보호 케이스 및 그것과 연동되는 모바일 폰
KR20130117212A (ko) * 2012-04-18 2013-10-25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휴대폰용 케이스
KR101637985B1 (ko) * 2015-02-16 2016-07-08 (주)아이티버스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3571A (ko) * 2007-02-06 2008-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보호 케이스
KR20090075375A (ko) * 2008-01-04 2009-07-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건강 관리 장치
KR101258203B1 (ko) * 2011-02-24 2013-04-25 상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 신호 검출 크래들 및 휴대용 생체 신호 분석기
BR112018002219A2 (pt) * 2015-08-02 2018-09-04 G Medical Innovations Holdings Ltd sistema para monitorar sinais vitai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7105A (ko) * 2011-06-30 2013-02-20 주식회사 솔미테크 모바일 폰 보호 케이스 및 그것과 연동되는 모바일 폰
KR20130117212A (ko) * 2012-04-18 2013-10-25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휴대폰용 케이스
KR101637985B1 (ko) * 2015-02-16 2016-07-08 (주)아이티버스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510B1 (ko) 2022-01-21
JP2022528135A (ja) 2022-06-08
CN217090698U (zh) 2022-08-02
US20220192602A1 (en) 2022-06-23
WO2020204656A1 (ko)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1081B2 (en) Tactile switch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812127B2 (en) Portable terminal case
US10032592B2 (en) Force sensing switch
US8116831B2 (en)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with auxiliary input apparatus, and method
KR102180169B1 (ko) 스마트 컨트롤러
AU2014308618B2 (en) Remote control device
CN103838399A (zh) 鼠标装置
US20100177043A1 (en) Flip-operation mouse device
KR20080079485A (ko)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EP3518084B1 (en) Patch type controller
JP4940294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操作デバイス及び情報処理方法
KR102353510B1 (ko)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US7369119B2 (en) Handset device with dual side joystick
KR102468942B1 (ko)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KR101228477B1 (ko) 휴대 단말과 연동하여 마우스 기능을 갖는 케이스
WO2021075894A1 (ko)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TWI755103B (zh) 外接式鍵盤與可攜式電子裝置
KR101694281B1 (ko) 다방향 입력장치
KR102228151B1 (ko)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
KR20100111139A (ko) 입력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JP6257830B2 (ja) 入力装置
US1000272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lidable control button
JP2008198067A (ja) 携帯型電子機器
CN110888489A (zh) 电子装置组合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