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5375A -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건강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건강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5375A
KR20090075375A KR1020080001212A KR20080001212A KR20090075375A KR 20090075375 A KR20090075375 A KR 20090075375A KR 1020080001212 A KR1020080001212 A KR 1020080001212A KR 20080001212 A KR20080001212 A KR 20080001212A KR 20090075375 A KR20090075375 A KR 20090075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information
user
exercise amount
health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80001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5375A/ko
Publication of KR20090075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42Operational features adapted to measure environmental factors, e.g. temperature, pollu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센싱하는 생체 신호 센서부와,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환경 센서부와, 환경 센서부에서 감지된 주변 환경 및 센싱된 생체 신호를 토대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검출하여 제공하는 건강 상태 관리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생체 신호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 정보를 조합으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기 때문에 그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Figure P1020080001212
휴대용 단말기, 운동, 건강, 센서, 주변 환경

Description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건강 관리 장치{HEALTH MANAGEMENT APPARATUS IN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본 발명은 건강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체 신호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 정보를 조합으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건강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더불어 반도체 기술의 발달로, 최근에는 가정에서도 체온, 혈압, 혈당, 체지방 등 기초적인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건강 측정기기를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경우, 사용자가 건강 측정 기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건강 변화를 체크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해당 건강 측정기기를 향상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서고, 휴대시에는 분실 방지에 신경에 써야 하므로 그 관리에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 예컨대 이동 통신 단말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등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생체 신호를 측 정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되어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생체 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는 생체 신호를 센싱한 후 이를 저장하고, 저장된 생체 신호를 의료 기관에 제공하거나 저장된 생체 신호를 토대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여 제공한다.
종래의 생체 신호 측정 방법은 주변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사용자의 생체 신호만을 센싱하기 때문 그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생체 신호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 정보를 환경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센싱하는 생체 신호 센서부와,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환경 센서부와, 상기 환경 센서부에서 감지된 주변 환경 및 상기 센싱된 생체 신호를 토대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검출하여 제공하는 건강 상태 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 및 계급별 표준 운동량 정보가 저장된 운동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된 주변 환경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정보 판단부와,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운동 상태인 경우 상기 운동 상태에 따른 현재 운동량을 체크하는 운동량 체크부와, 상기 운동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토대로 상기 현재 운동량의 적합성 여부를 체크하여 제공하는 운동량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량 관리부는, 상기 현재 운동량과 상기 운동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계급별 표준 운동량 정보를 토대로 운동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관리부는, 상기 주변 환경 정보의 변화 없이 상기 센싱한 생체 신호의 급격한 변화 여부를 체크하여 소정의 경고 메시지를 송출하는 기능또는 상기 주변 환경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급격한 변화 여부를 체크하여 소정의 경고 메시지를 송출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생체 신호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 정보를 조합으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기 때문에 그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태가 운동 상태인 경우 사용자의 운동량과 체크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현재 운동량과 기 저장된 계급별 표준 운동량 정보를 토대로 운동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 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생체 신호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운동 상태인 경우 이에 따른 운동량의 적합성 여부 및 운동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강 관리 장치를 갖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내부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멀티미디어 동작부(100), 생체 신호 센서부(102), 환경 센서부(104), 건강 관리부(106), 상태 정보 판단부(108), 운동량 검출부(110), 운동 관리 데이터베이스(112), 운동량 관리부(114), 통신 인터페이스(116), 제어부(118), 메모리(120) 및 출력부(122) 등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동작부(100)는 MP3 재생, PMP 기능 등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멀티미디어 동작부(100)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제어부(118)를 통해 출력부(122),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 스피커 등으로 출력된다.
생체 신호 센서부(102)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센싱하는 수단으로서, 그 예로 심전도(ECG : ElectroCardioGram) 측정 센서, 사용자의 신체 온도를 측정하는 SKT(SKin Temperature, 이하, SKT라고 한다.) 측정 센서, PPG(Photoplethysmogram) 측정 센서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렇게 센싱된 생체 신호는 건강 관리부(106)에 제공된다.
환경 센서부(104)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가 위치 장소의 주변 환경 정보, 예컨대 산소량, 고도,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진동 범위,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이동 속도 등을 통해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여 건강 관리부(106)에 제공함과 더불어 상태 정보 판단부(108)에 제공한다.
건강 관리부(106)는 주변 환경 정보와 생체 신호를 토대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데, 검출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는 제어부(118)를 통해 출력부(122)에 출력될 것이다.
건강 관리부(106)는 주변 환경 정보의 변화 없이 생체 신호 센서부(102)에서 제공받은 생체 신호가 기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소정의 경고 메시지를 발생하며, 소정의 경고 메시지는 제어부(118)를 통해 출력부(122)에 출력될 것이다. 예를 들어, 주변 환경 정보를 토대로 주변 환경의 변화가 없으나 혈압이 급격하게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경우 또는 심박수가 급격하게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경우 또는 혈중 산소가 급격히 저하될 경우에 건강 관리부(106)는 소정의 경고 메시지를 발생한다.
또한, 건강 관리부(106)는 이전에 제공받은 주변 환경 정보와 현재 제공받은 주변 환경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주변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체크하고, 급격한 변환가 있을 경우 소정의 경고 메시지를 발생하며, 이러한 소정의 경고 메시지는 제어부(118)를 통해 출력부(122)에 출력될 것이다. 예를 들어, 주변 환경 정보를 토대로 판단한 결과 주변 환경의 산소량이 급격하게 감속하는 경우에 건강 관리 부(106)는 소정의 메시지를 발생한다.
상태 정보 판단부(108)는 환경 센서부(104)로부터 주변 환경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의 상태 정보, 예컨대 운동 상태, 비운동 상태 등을 판단하는데, 즉 고도, 산소량, 진동 범위, 이동 속도 등의 주변 환경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운동 상태인지 비운동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운동 상태인 경우 어떤 운동, 예컨대 도보, 경보, 자전거, 인라인, 축구 등을 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가 운동 상태인 경우 운동량 검출부(110)는 환경 센서부(104)로부터 주변 환경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의 현재 운동량을 검출, 즉 진동 범위, 이동 속도 등의 주변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운동량을 검출하여 운동량 관리부(114)에 제공한다.
운동 관리 데이터베이스(112)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의 몸무게, 연령, 성별, 지역, 병력 등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각 계급별 운동 가이드 정보, 즉 연령별, 성별, 지역별, 몸무게별 표준 운동량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운동량 관리부(114)는 운동 관리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토대로 현재 운동량의 적합성 여부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운동량 부족, 운동량 적절, 운동량 과다 등의 정보를 체크하여 제어부(118)를 통해 출력부(122)에 출력한다.
또한, 운동량 관리부(114)는 현재 운동량과 운동 관리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 표준 운동량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향후 운동 가이드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제어부(118)를 통해 출력부(122)에 출력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6)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시키는 수단으로, 이를 통해 운동 관리 서버(미도시됨), 건강 관리 서버(미도시됨) 등과 휴대용 정보 단말기가 연결된다.
제어부(118)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건강 관리부(106), 운동량 관리부(114)에서 제공받은 데이터를 출력부(122)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시키거나 스피커에 출력시킨다.
또한, 제어부(118)는 통신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운동 관리 서버(미도시됨)에 접속하여 다양한 운동 가이드 정보를 제공받아 운동 관리 데이터베이스(112)를 업데이트시키고, 통신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건강 관리 서버(미도시됨)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제공한다.
메모리(120)에는 사용자의 연령, 병력, 몸무게, 신장 등의 사용자 개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제어부(118)에 의해 업데이트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관리하는 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정보 단말기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건강 관리부(106)는 생체 신호 센서부(102) 및 환경 센서부(104)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한다(S200).
이후, 건강 관리부(106)는 취득한 생체 신호에 사용자의 생체 상태가 급격한 변화가 있거나 취득한 주변 환경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장소에 대한 급격한 변화 여부를 판단한다(S202). 즉, 건강 관리부(106)는 생체 신호에 의거하여 혈압이 급격하게 상승 및 하락하거나, 심박수가 급격하게 상승 및 하락하는 경우나 취득한 주변 환경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한 장소의 산소량이 급격하게 감소되는지를 판단한다.
S202의 판단 결과, 급격한 변화가 있는 경우 건강 관리부(106)는 경고 메시지를 발생시키며, 경고 메시지는 제어부(118)를 통해 출력부(122)에 출력된다(S204).
한편, S202의 판단 결과, 급격한 변화가 없는 경우 상태 정보 판단부(108)는 환경 센서부(104)로부터 제공받은 주변 환경 정보, 예컨대 이동 속도, 진동 범위, 고도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가 운동 상태인지 비운동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206).
S206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현재 상태가 운동 상태인 경우 운동량 검출부(110)는 환경 센서부(104)로부터 제공받은 주변 환경 정보의 변화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현재 운동량을 체크하여 운동량 관리부(114)에 제공한다(S208).
운동량 관리부(114)는 사용자의 현재 운동량과 운동 관리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현재 운동량의 적합성 여부에 대한 정보, 예컨대 운동량 부족, 운동량 적절, 운동량 과다 등의 정보를 생성하며, 이러한 적합성 여부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118)를 통해 출력부(122)에 출력된 다(S210).
한편, 운동량 관리부(114)는 사용자의 현재 운동량과 운동 관리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 각 계급별 표준 운동량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18)를 통해 출력부(122)에 출력한다(S212).
또한, S206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현재 상태가 비운동 상태인 경우 건강 관리부(106)는 S200으로 진행하여 계속해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생체 신호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 정보를 조합으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기 때문에 그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강 관리 장치를 갖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정보 단말기가 사용자의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멀티미디어 동작부 102 : 생체 신호 센서부
104 : 환경 센서부 106 : 건강 관리부
108 : 상태 정보 판단부 110 : 운동량 검출부
112 : 운동 관리 데이터베이스 114 : 운동량 관리부
116 : 통신 인터페이스 118 : 제어부
120 : 메모리 122 : 출력부

Claims (6)

  1.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장치로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센싱하는 생체 신호 센서부와,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환경 센서부와,
    상기 환경 센서부에서 감지된 주변 환경 및 상기 센싱된 생체 신호를 토대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검출하여 제공하는 건강 상태 관리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건강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 및 계급별 표준 운동량 정보가 저장된 운동 관리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건강 관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관리 장치는,
    상기 감지된 주변 환경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정보 판단부와,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운동 상태인 경우 상기 운동 상태에 따른 현재 운동량 을 체크하는 운동량 체크부와,
    상기 운동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토대로 상기 현재 운동량의 적합성 여부를 체크하여 제공하는 운동량 관리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건강 관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량 관리부는, 상기 현재 운동량과 상기 운동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계급별 표준 운동량 정보를 토대로 운동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건강 관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관리부는,
    상기 주변 환경 정보의 변화 없이 상기 센싱한 생체 신호의 급격한 변화 여부를 체크하여 소정의 경고 메시지를 송출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건강 관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관리부는,
    상기 주변 환경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급격한 변화 여부를 체크하여 소정의 경고 메시지를 송출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건강 관리 장치.
KR1020080001212A 2008-01-04 2008-01-04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건강 관리 장치 KR20090075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212A KR20090075375A (ko) 2008-01-04 2008-01-04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건강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212A KR20090075375A (ko) 2008-01-04 2008-01-04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건강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375A true KR20090075375A (ko) 2009-07-08

Family

ID=4133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212A KR20090075375A (ko) 2008-01-04 2008-01-04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건강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53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656A1 (ko) * 2019-04-04 2020-10-08 (주)아이티버스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및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656A1 (ko) * 2019-04-04 2020-10-08 (주)아이티버스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및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1694A (ko) 운동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9674456B (zh) 血压估计设备和方法以及可穿戴装置
KR20130123597A (ko) 휴대용 혈압 측정 장치 및 휴대 단말에서의 혈압 측정 방법
KR20160108051A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028660B2 (en) Physiological parameter measuring system
JP7258918B2 (ja) モニタリング対象者のバイタルサインの信頼性の決定
EP3331431A1 (en) Generating an indicator of a condition of a patient
KR20200095457A (ko) 비외과적 음용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및 디바이스
KR101974831B1 (ko) 낙상위험 평가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KR101880198B1 (ko)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운동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WO2018235440A1 (ja) 生体状態管理装置および生体状態管理方法
JP2019091334A (ja)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41455B1 (ko) 휴대용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JP2016016067A (ja) 活動量測定装置、活動量の測定方法、活動量の測定プログラム
US201901106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bio-information
JP201905367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810996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응급 문자 전송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20190045475A (ko) 헬스케어 시스템 및 이의 운동 관리 방법
KR102186414B1 (ko) 개인의 상황을 파악한 개인 맞춤형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75375A (ko)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건강 관리 장치
US201700714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blood pressure measurement, computer program product using th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20220351856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determining panic disorder
KR100943295B1 (ko) 비만 관리 기능이 구비된 체지방 측정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7135521B2 (ja) 行動変容支援装置、端末およびサーバ
KR101430818B1 (ko) 체형 정보를 이용한 고혈압 판단 모델을 생성하는 장치 및 그 방법, 고혈압 판단 모델을 이용한 고혈압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