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151B1 -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151B1
KR102228151B1 KR1020190135197A KR20190135197A KR102228151B1 KR 102228151 B1 KR102228151 B1 KR 102228151B1 KR 1020190135197 A KR1020190135197 A KR 1020190135197A KR 20190135197 A KR20190135197 A KR 20190135197A KR 102228151 B1 KR102228151 B1 KR 102228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ain body
terminal
remote control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이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훈 filed Critical 이승훈
Priority to KR1020190135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위치하고, 입력(input)을 획득하는, 입력부와, 상기 본체부에 위치하고, 상기 입력을 처리하여 입력 신호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본체부에 위치하고,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하며, 밴드가 탈착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은, 터치 입력(touch input)과 푸쉬 입력(push inpu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되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홀(hole)을 구비하는,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SMART SCREEN REMOT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의 화면을 원격으로 스크롤하기 위한 리모컨을 소형화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모컨은 단말기를 원격 조작하기 위한 장치로, 단말기의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원격으로 제어하여 신호와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시킬 수 있다.
리모컨은 비교적 크기가 큰 단말기에 적용된다. 즉, 원격 조종 리모컨의 경우 디지털 TV와 같이 특정 장소에 고정시켜 놓고 사용하는 단말기에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선 리모컨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휴대성을 떨어뜨리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스마트폰 및 터치 화면을 이용하여 뉴스 및 웹서핑 등을 하게 될 경우 터치로 스크롤을 내리면서 사용해야 한다는 조건이 있으며 단말기를 손에 쥐고 터치를 하여 스크롤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단말기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손목터널증후군 같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단말기의 스크롤 기능 및 간단한 원격 조작 기능을 소형화된 리모컨을 통해 구현하여서, 휴대성과 편의성을 높이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의 화면을 원격 조작하기 위한 리모컨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화면을 스크롤하기 위한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의 뒤로가기 조작 및 확인조작(화면 원클릭)에 대응하는 신호를 원격으로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의 스크롤 기능 및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리모컨을 소형화하고 휴대 형태를 변형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휴대성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위치하고, 입력(input)을 획득하는, 입력부; 상기 본체부에 위치하고, 상기 입력을 처리하여 입력 신호로 변환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부에 위치하고,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하며, 밴드가 탈착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은, 터치 입력(touch input) 과 푸쉬 입력(push inpu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되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홀(hole)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 입력(touch input) 과 상기 푸쉬 입력(push input)중 적어도 하나를 받아 상기 단말기 자동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며, 상버튼 및 하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상하버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 입력(touch input)을 받아 상기 단말기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는 회전센서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터치 입력(touch input) 과 상기 푸쉬 입력(push input)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버튼이 눌리면 온(On)상태를 유지하며 상하버튼을 이용하여 스크롤 속도 조절 및 회전센서의 감도를 조절하며 미설정시 상기 온(On)상태에서 상기 상기 터치 입력(touch input) 과 상기 푸쉬 입력(push input)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버튼이 눌리면 오프(Off)상태로 돌아가 평상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조절모듈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터치 입력(touch input) 과 상기 푸쉬 입력(push input)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버튼이 눌리면 상기 단말기의 뒤로가기 조작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 리턴 모듈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터치 입력(touch input) 과 상기 푸쉬 입력(push input)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버튼이 눌리면 상기 단말기의 화면 원클릭 조작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 원클릭 모듈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 내부 중공에 위치하며 수면 여부를 측정하여 상기 단말기의 화면을 오프(Off)시키는 수면감지센서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 입력(touch input)과 상기 푸쉬 입력(push input)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버튼이 눌리면 온(On)상태를 유지하는 알람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람모듈이 온(On) 상태인 경우, 단말기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의 스크롤 기능 및 간단한 조작을 하나의 기기를 통해 원격조작 할 수 있으므로, 거치되거나 원거리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를 조작에 있어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롤의 속도를 조절 가능하여 단말기 화면을 스크롤하는 데 있어서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의 탈착 가능한 구조로 손목 밴드 및 목걸이 등 다양한 형태로 휴대가 가능하여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의 제1결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의 제 2결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1)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1)는, 본체부(10), 입력부(100), 제어부(200), 통신부(300), 결합부(400), 포트(500), 디스플레이부(600), 수면감지센서(7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하우징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체부(10)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본체부(10)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파지 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체부(10)가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체부(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면과 타면이 다른 4개의 면에 비해 넓게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이때, 본체부(10)의 일면(12)은 본체부(10)의 상면(上面)일 수 있고, 타면은 일면(12)과 마주보고 있는 면으로 본체부의 하면(下面)일 수 있다.
본체부(10)의 전면(14)은 일단이 상기 일면(12)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일면(12)과 마주보고 있는 타면과 연결되는 4개의 측면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전면(14)과 마주보는 면은 본체부의 후면(18)으로, 전면(14)과 후면(18)은 결합부(400)가 형성되는 면으로, 결합부(400)는 이하에서 다시 후술하도록 한다.
본체부(10)의 측면 중, 상기 전면(14)과 후면(18)을 제외한 두 개의 면은 각각 좌측면(16)과 우측면(20)으로, 각 측면(좌측면(16), 우측면(20))에는 속도조절모듈(130), 리턴모듈(140), 원클릭모듈(150) 및 포트(500)가 마련될 수 있다. 각 측면(좌측면(16), 우측면(20))에 마련되는 각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입력부(100)는 본체부(10)의 직육면체 형상의 일면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입력(input)을 획득할 수 있다. 입력부(100)는 입력을 제어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은 사용자가 입력부(100)상에 접촉될 때 발생되는 전기적인 신호로 이해될 수 있으며 터치 입력(touch input)과 푸쉬 입력(push input)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1)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부(100)는 상하버튼(110), 회전센서(120), 속도조절모듈(130), 리턴모듈(140), 원클릭모듈(150), 전원모듈(160), 알람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하버튼(110)은 본체부(10)의 일면(12)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하버튼(110)은 본체부(10)의 일면(12) 중앙에 위치되되, 본체부(10)의 일면(12) 중앙에 돌출된 형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하버튼(110)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입력(input)(예를 들어, 터치 입력(touch input) 또는/및 푸쉬 입력(push input))을 받아 단말기(미도시)의 자동 스크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하버튼(110)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획득된 입력을 제어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의 예들은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태블릿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랩탑 컴퓨터, 퍼스널 컴퓨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격 조작 장치(1)가 제어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버튼(110)은 상버튼(111)과 하버튼(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버튼(111)은 일면(12)에 형성되되, 좌측면(16)과 우측면(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예를 들어, 후면(18)에 가까운 측)에 마련되고, 하버튼(112)은 일면(12)에 형성되되, 좌측면(16)과 우측면(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타측(예를 들어, 전면(14)에 가까운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버튼(111)과 하버튼(112) 사이에는 디스플레이부(600)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버튼(110)은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버튼(110)의 원 중앙(구체적으로, 좌측면(16)과 우측면(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중앙)에 디스플레이부(600)가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600)를 기준으로 상버튼(111)은 일측(예를 들어, 후면(18)에 가까운 측)에 마련되고, 하버튼(112)는 타측(예를 들어, 전면(14)에 가까운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00)의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상버튼(111)은 일면(12)에 형성되되, 좌측면(16)과 우측면(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예를 들어, 후면(18)에 가까운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버튼(111)은 반원 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버튼(111)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입력(input)을 받아 단말기의 화면을 상단으로 기 설정된 스크롤 속도에 따라 자동 스크롤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버튼(111)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획득된 상단 스크롤 입력을 제어부(200)에 전달함으로써, 제어부(200)가 사용자의 상단 스크롤 입력에 따른 단말기 화면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하버튼(112)은 일면(12)에 형성되되, 좌측면(16)과 우측면(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타측(예를 들어, 전면(14)에 가까운 측)에 마련될 수 있다. 하버튼(112)은 반원 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버튼(112)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입력(input)(예를 들어, 터치 입력(touch input) 또는/및 푸쉬 입력(push input))을 받아 단말기의 화면을 하단으로 기 설정된 스크롤 속도에 따라 자동 스크롤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버튼(112)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획득된 하단 스크롤 입력을 제어부(200)에 전달함으로써, 제어부(200)가 사용자의 하단 스크롤 입력에 따른 단말기 화면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회전센서(120)는 본체부(10)의 일면(12)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센서(120)는 본체부(10)의 일면(12) 중앙에 위치되되, 전체적으로 링(ring)의 형상으로, 본체부(10)의 일면(12) 중앙에 돌출된 형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센서(120)는 원 형상으로 형성된 상하버튼(110) 및 디스플레이부(600)를 감싸는 외주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회전센서(120)는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touch input)을 받아 기 설정된 회전센서(120)의 감도에 따라 단말기 스크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회전센서(120)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획득된 회전 스크롤 입력을 제어부(200)에 전달함으로써, 제어부(200)가 사용자의 회전 스크롤 입력에 따른 단말기 화면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회전센서(120)는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touch input)이 시계 방향으로 인식될 경우 단말기의 화면을 하단으로 스크롤 할 수 있는 입력으로 받을 수 있다. 반대로, 회전센서(120)는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touch input)이 반시계 방향으로 인식될 경우 단말기 화면을 상단으로 스크롤 할 수 있는 입력으로 받을 수 있다.
여기서는, 회전센서(120)에 입력되는 입력 방향이 시계방향일 경우, 단말기의 화면을 하단으로 스크롤하고, 반시계 방향일 경우, 단말기의 화면을 상단으로 스크롤 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센서(120)에 입력되는 입력 방향이 시계방향일 경우, 단말기의 화면을 상단으로 스크롤하고, 반시계 방향일 경우, 단말기의 화면을 하단으로 스크롤 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속도조절모듈(130)은 본체부의 우측면(20)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입력(input)(예를 들어, 터치 입력(touch input) 또는/및 푸쉬 입력(push input))에 의해 버튼이 눌리면 온(On)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도조절모듈(130)은 본체부(10)의 우측면(20)에 형성되되, 좌측면(16)과 우측면(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예를 들어, 후면(18)에 가까운 측)에 마련되고 속도조절모듈(130)은 돌출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는, 속도조절모듈(130)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속도조절모듈(130)은 돌출된 버튼 구조가 아닌 다른 구조(예를 들어, 터치 구조 등)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속도조절모듈(130)은 온(On)상태(즉, 버튼이 눌린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단말기의 화면이 자동으로 스크롤이 되고, 이때 상하버튼(110)에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스크롤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속도조절모듈(130)은 상버튼(111)에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기 설정된 스크롤 속도가 높아질 수 있는 입력을 받아 제어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속도조절모듈(130)은 하버튼(112)에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기 설정된 스크롤 속도가 낮아질 수 있는 입력을 받아 제어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속도조절모듈(130)은 온(On)상태(즉, 버튼이 눌린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기 설정된 회전센서(120)의 감도를 회전센서(120)의 입력에 따라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속도조절모듈(130)은 회전센서(120)에 입력된 터치 입력(touch input)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인식될 경우 회전센서(120)의 감도가 높도록 조절할 수 있는 신호를 제어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속도조절모듈(130)은 회전센서(120)에 입력된 터치 입력(touch input)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인식될 경우 회전센서(120)의 감도가 낮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는 신호를 제어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속도조절모듈(130)은 기 설정된 스크롤 속도 및 기 설정된 회전센서(120)의 감도를 미설정시 속도조절모듈(130)의 온(On)상태에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입력(input)(예를 들어, 터치 입력(touch input) 또는/및 푸쉬 입력(push input))에 의해 버튼이 눌리면 오프(Off)상태로 돌아가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1)의 평상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리턴모듈(140)은 본체부(10)의 좌측면(16)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입력(input)에 의해 버튼이 눌리면 단말기의 뒤로가기 조작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리턴모듈(140)은 본체부(10)의 좌측면(16)에 형성되되, 좌측면(16)과 우측면(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예를 들어, 전면(14)에 가까운 측)에 마련되고 리턴모듈(140)은 돌출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리턴모듈(140)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입력(input)이 있는 경우, 단말기의 화면을 전 화면으로 돌릴 수 있다. 리턴모듈(140)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획득된 리턴 입력을 제어부(200)에 전달함으로써, 제어부(200)가 사용자의 리턴 입력에 따른 단말기 화면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원클릭모듈(150)은 본체부(10)의 좌측면(16)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입력(input)에 의해 버튼이 눌리면 단말기 화면을 터치하는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원클릭모듈(150)은 본체부(10)의 좌측면(16)에 형성되되, 좌측면(16)과 우측면(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예를 들어, 후면(18)에 가까운 측)에 마련되고 원클릭모듈(150)은 돌출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클릭모듈(150)은 리턴모듈(140)이 위치된 면(좌측면(16)에 원클릭모듈(150)과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원클릭모듈(150)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입력(input)이 있는 경우, 단말기의 화면을 터치(예를 들어, 화면의 기 설정된 위치를 클릭하는 기능) 하도록 제어부(200)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원클릭모듈(150)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획득된 클릭 입력을 제어부(200)에 전달함으로써, 제어부(200)가 사용자의 클릭 입력에 따른 단말기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모듈(160)은 본체부(10)의 일면(12)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모듈(160)은 본체부(10)의 일면(12)에 형성되되, 본체부(10)의 전면(14)과 좌측면(16)이 맞붙는 측에 원형으로 돌출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전원모듈(160)은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1)의 전원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모듈(160)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입력(input)이 있는 경우,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1)의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전원모듈(160)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획득된 입력을 제어부(200)에 전달함으로써, 제어부(200)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1)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알람모듈(170)은 본체부(10)의 일면(12)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모듈(170)는 본체부(10)의 일면(12)에 위치되되, 본체부(10)의 좌측면(16)과 후면(18)이 맞붙는 측에 반구형 형상으로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는, 알람모듈(170)이 반구형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알람모듈(170)은 반구형 형상으로 돌출된 버튼 구조가 아닌 다른 구조(예를 들어, 터치 구조 등)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알람모듈(170)은 제어부(200)가 단말기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람모듈(17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온(On) 상태가 되는 경우, 제어부(200)가 단말기와의 거리를 측정(구체적으로,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알람모듈(170)의 경고 알림을 미사용시에는 알람모듈(170)의 온(On)상태에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입력(input)에 의해 버튼이 눌리면 오프(Off)상태가 될 수 있다.
알람모듈(170)은 사용자의 기 설정된 입력 횟수에 따라,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1)와 단말기(미도시)사이의 기준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람모듈(170)은 사용자의 연속된 접촉(예를 들어, 적어도 2회 이상의 접촉)에 의한 입력(input)이 있는 경우, 온(On)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알람모듈(170)은 상하버튼(110)에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기준거리를 설정할 수 있는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모듈(170)은 상버튼(111)에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기준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보다 일정 거리(예를 들어, 상버튼(111)의 1회 입력 시, 1m) 멀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알람모듈(170)은 하버튼(112)에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기준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보다 일정 거리(예를 들어, 하버튼(112)의 1 회 입력 시, 1m) 가까워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알람모듈(170)의 기준거리를 설정하는 기능을 미사용시에는 알람모듈(170)의 온(On)상태에서 사용자의 연속된 접촉(예를 들어, 적어도 2회 이상의 접촉)의해 버튼이 눌리면 오프(Off)상태가 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입력부(100)로부터 수신받은 입력을 입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본체부(10)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직육면체의 본체부(10) 내부 중공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입력부(100)에 포함되어 있는 상하버튼(110), 회전센서(120), 속도조절모듈(130), 리턴모듈(140), 원클릭모듈(150) 및 전원모듈(160)에서 받은 입력을 전달받아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1)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입력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상버튼(111)의 상단 스크롤 입력을 전달받을 경우 단말기의 화면을 기 설정된 스크롤 속도에 따라 단말기의 화면을 상단으로 자동 스크롤 할 수 있는 입력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하버튼(112)의 하단 스크롤 입력을 전달받을 경우 단말기의 화면을 하단으로 자동 스크롤 할 수 있는 입력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회전센서(120)의 입력을 전달받을 경우 단말기의 화면을 기 설정된 회전센서(120)의 감도에 따라 스크롤 할 수 있는 입력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회전센서(120)의 단말기 화면을 하단으로 스크롤 할 수 있는 입력을 전달받을 경우 단말기의 화면을 기 설정된 회전센서(120)의 감도에 따라 단말기의 화면을 하단으로 스크롤 할 수 있는 입력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회전센서(120)의 단말기 화면을 상단으로 스크롤 할 수 있는 입력을 전달받을 경우 단말기의 화면을 기 설정된 회전센서(120)의 감도에 따라 단말기의 화면을 상단으로 스크롤 할 수 있는 입력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스크롤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속도조절모듈(130)이 상하버튼(110) 온(On)상태(즉, 버튼이 눌린 상태)가 유지되어 단말기의 화면이 자동으로 스크롤이 되는 상태에서 상하버튼(110)에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상하버튼(110)의 입력을 스크롤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상기 속도조절모듈(130)이 상버튼(111)에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기 설정된 스크롤 속도가 높아질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속도조절모듈(130)이 하버튼(112)에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기 설정된 스크롤 속도가 낮아질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속도조절모듈(130)이 온(On)상태(즉, 버튼이 눌린 상태)가 유지될 때 회전센서(120)의 입력에 따라 기 설정된 회전센서(120)의 감도가 조절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속도조절모듈(130)이 회전센서(120)에 입력된 터치 입력(touch input)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인식될 경우 회전센서(120)의 감도가 높도록 조절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200)는 속도조절모듈(130)이 회전센서(120)에 입력된 터치 입력(touch input)이 반시계 방향으로 인식될 경우 회전센서(120)의 감도가 낮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리턴모듈(140)의 입력을 전달받을 경우 단말기의 화면을 전 화면으로 돌릴 수 있는 입력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리턴모듈(140)의 리턴 입력을 전달받을 경우 단말기의 현재 화면을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 갈 수 있는 입력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원클릭모듈(150)의 입력을 전달받을 경우 단말기의 화면을 터치하는 입력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원클릭모듈(150)의 클릭 입력을 전달받을 경우 단말기 화면의 기 설정된 위치를 클릭할 수 있는 입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전원모듈(160)의 입력을 전달받을 경우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1)의 전원을 관리할 수 있는 입력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전원모듈(160)의 입력을 전달받을 경우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1)의 전원을 제어(구체적으로, on/off)할 수 있는 입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1)와 단말기(미도시)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알람모듈(170)이 On 상태에 있는 경우,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1)와 단말기(미도시)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통신부(300)를 통해 단말기와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1)와 단말기 사이 거리를 산출(예를 들어, 단말기와의 송수신 시 걸리는 시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측정한 거리를 거리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단말기와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1)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장치에 마련된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알림 소리를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단말기를 통해서도 알림 소리를 송출하도록 알림 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변환된 입력신호를 통신부(300)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부(600)에 이미지(image) 또는 영상에 대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란,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1)의 작동 상태 및 시간 일 수 있다.
제어부(200)는 수면감지센서(700)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수면 여부를 전달받아 단말기의 화면을 오프(Off)시키는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수면감지센서(700)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수면 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수면 신호를 수신하고, 단말기의 화면을 오프(Off)시킬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면감지센서(700)의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통신부(300)는 단말기(미도시)와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00) 사용자가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1)와 연결되어 제어하고자 하는 단말기와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300)는 단말기와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셀룰라 네트워크, 근거리 무선통신(예를 들어,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 또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결합부(400)는 밴드가 착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400)는 본체부(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하며 밴드가 탈착되는 제1결합부(410) 및 제 2결합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400)는 본체부(10)의 전면(14)과 후면(18) 중앙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결합부(410)는 본체부(10)의 일측인 전면(14)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결합부(420)는 제 1결합부(410)의 타측인 후면(18)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 1결합부(410)와 마주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 1결합부(410)와 제 2결합부(420)는 하면을 기준으로 같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3및 도 4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포트(500)는 본체부(10)의 우측면(20)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트(500)는 본체부(10)의 우측면(20)에 형성되되, 좌측면(16)과 우측면(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예를 들어, 전면(14)에 가까운 측)에 마련되고 포트(500)는 충전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충전 케이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00)는 본체부(10)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600)는 본체부(10)의 일면(12)에 돌출되어 있는 상버튼(111)과 하버튼(11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회전센서(120)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00)는 이미지(image) 또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00)는 예를 들어,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1)의 작동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수면감지센서(700)는 본체부(10) 내부 중공에 위치하며 수면 여부를 판단하여 단말기의 화면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면감지센서(700)는 사용자의 생체리듬(예를 들어, 맥박 등)을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수면 여부를 판단한다. 수면감지센서(700)는 사용자가 수면중 일 경우 단말기의 화면을 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제어부(200)에 수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1)의 제 1결합부(4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 1결합부(410)는 본체부(10)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되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결합부(410)는 본체부(1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체부(10)의 일측은, 본체부(10)의 전면(14)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결합부(410)는 밴드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며 본체부(10)내면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함몰되는 밴드결합홈(411)을 가질 수 있다. 밴드결합홈(411)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함몰되어 있는 형상의 탈착홈(412)을 형성할 수 있다. 탈착홈(412)은 밴드 핀의 크기와 같을 수 있다. 여기서 일 방향은 좌측면(16)을 기준으로 우측면(20)으로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탈착홈(412)은 밴드에 형성된 돌출부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결합되어 있던 밴드를 제거 시에는 밴드에 형성된 돌출부를 일 방향으로 밀어 탈착홈(412)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1)의 제 2결합부(4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 2결합부(420)는 본체부(10)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되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홀(hole)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결합부(420)는 본체부(10) 외부로 돌출되는 형상의 밴드결합돌출부재(421)를 형성할 수 있다. 밴드결합돌출부재(421)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탈착홀(422)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일 방향은 좌측면(16)을 기준으로 우측면(20)으로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탈착홀(422)은 밴드 핀의 크기와 같을 수 있다. 밴드의 핀이 탈착홀(422)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 탈착홀(422)에 결합된 핀을 통해 밴드가 고정될 수 있다.
탈착홀(422)에 결합된 핀이 제거된 경우 형성된 홀을 통해 줄이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탈착홀(422)에 관통하여 삽입된 줄을 통해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1)를 목걸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
10; 본체부
12; 일면
14; 전면
16; 좌측면
18; 후면
20; 우측면
100; 입력부
110; 상하버튼
111; 상버튼
112; 하버튼
120; 회전센서
130; 속도조절모듈
140; 리턴모듈
150; 원클릭모듈
160; 전원모듈
170; 알람모듈
200; 제어부
300; 통신부
400; 결합부
410; 제1결합부
411; 밴드결합홈
412; 탈착홈
420; 제2결합부
421; 밴드결합돌출부재
422; 탈착홀
500; 포트
600; 디스플레이부
700; 수면감지센서

Claims (8)

  1.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에 있어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위치하고, 입력(input)을 획득하는, 입력부;
    상기 본체부에 위치하고, 상기 입력을 처리하여 입력 신호로 변환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부에 위치하고,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하며, 밴드가 탈착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은,
    터치 입력(touch input) 과 푸쉬 입력(push inpu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본체부 내면을 향해 함몰되되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밴드결합홈과, 상기 밴드결합홈에 구비되되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밴드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본체부 외부로 돌출되되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밴드결합돌출부재와, 상기 밴드결합돌출부재에 구비되되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밴드 또는 줄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탈착홀을 구비하는,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 입력(touch input) 과 상기 푸쉬 입력(push input)중 적어도 하나를 받아 상기 단말기의 자동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며, 상버튼 및 하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상하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 입력(touch input)을 받아 상기 단말기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는 회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터치 입력(touch input) 과 상기 푸쉬 입력(push input)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버튼이 눌리면 온(On)상태를 유지하며 상하버튼을 이용하여 스크롤 속도 조절 및 회전센서의 감도를 조절하며 미설정시 상기 온(On)상태에서 상기 터치 입력(touch input) 과 상기 푸쉬 입력(push input)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버튼이 눌리면 오프(Off)상태로 돌아가 평상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조절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터치 입력(touch input) 과 상기 푸쉬 입력(push input)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버튼이 눌리면 상기 단말기의 뒤로가기 조작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 리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터치 입력(touch input) 과 상기 푸쉬 입력(push input)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버튼이 눌리면 상기 단말기의 화면 원클릭 조작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 원클릭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 내부 중공에 위치하며 수면 여부를 측정하여 상기 단말기의 화면을 오프(Off)시키는 수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 입력(touch input)과 상기 푸쉬 입력(push input)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버튼이 눌리면 온(On)상태를 유지하는 알람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람모듈이 온(On) 상태인 경우, 단말기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
KR1020190135197A 2019-10-29 2019-10-29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 KR102228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97A KR102228151B1 (ko) 2019-10-29 2019-10-29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97A KR102228151B1 (ko) 2019-10-29 2019-10-29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151B1 true KR102228151B1 (ko) 2021-03-16

Family

ID=75223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197A KR102228151B1 (ko) 2019-10-29 2019-10-29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1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028A (ko) * 2008-11-04 2010-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단말기
KR20140125629A (ko) * 2013-04-19 2014-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KR20150029153A (ko) * 2013-09-09 2015-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104920A (ko) * 2015-02-27 2016-09-06 서영빈 리모콘 찾기용 위치추적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170035547A (ko) * 2015-09-23 2017-03-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원격 제어장치, 원격 제어방법 및 원격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028A (ko) * 2008-11-04 2010-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단말기
KR20140125629A (ko) * 2013-04-19 2014-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KR20150029153A (ko) * 2013-09-09 2015-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104920A (ko) * 2015-02-27 2016-09-06 서영빈 리모콘 찾기용 위치추적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170035547A (ko) * 2015-09-23 2017-03-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원격 제어장치, 원격 제어방법 및 원격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449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sensory information to devices and peripherals
US9978261B2 (en) Remote controll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KR101116487B1 (ko) 다수의 오디오 장치들 사이의 오디오의 동적인 라우팅
EP1963948B1 (en) Wireless handheld device and method with gui control
EP2851785A2 (en) Dual screen system and method
WO2016197697A1 (zh) 手势控制方法、装置及系统
US9001042B2 (en) Pointing device and wireless terminal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supplying power only when a contact is detected
WO2021160000A1 (zh) 可穿戴设备及控制方法
KR102274372B1 (ko)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착용형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9052551A1 (zh) 终端设备的交互方法、存储介质以及终端设备
US10959010B1 (en) Earphone device
WO2018039881A1 (zh) 充电保护方法、终端及充电器
WO2016049842A1 (zh) 一种便携或可穿戴智能设备的混合交互方法
KR102228151B1 (ko)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
WO2022048623A1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KR101228477B1 (ko) 휴대 단말과 연동하여 마우스 기능을 갖는 케이스
EP3370398A1 (en) Shell assembly, electronic device and mobile phone having same
CN220105826U (zh) 一种便携式手指触摸无线控制设备
US10725962B2 (en) Electronic device and usage method thereof
WO2021129365A1 (zh) 血压测量方法及装置
CN109375804B (zh) 一种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
CN110888489A (zh) 电子装置组合及其使用方法
CN116824828A (zh) 一种便携式手指触摸无线控制设备及控制方法
TWM484251U (zh) 遙控器
WO2018133310A1 (zh) 双屏终端设备及显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