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911B1 -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911B1
KR102390911B1 KR1020200178012A KR20200178012A KR102390911B1 KR 102390911 B1 KR102390911 B1 KR 102390911B1 KR 1020200178012 A KR1020200178012 A KR 1020200178012A KR 20200178012 A KR20200178012 A KR 20200178012A KR 102390911 B1 KR102390911 B1 KR 102390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button
buttons
contac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
Original Assignee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8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9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가 제공된다.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끼움 결합하여 간단하게 연결 또는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외관 및 내장재를 보호하고, 이러한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외주면에 부착된 버튼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어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을 직접적으로 터치하지 않고도 문자를 입력하거나 게임을 실행하는 등 모바일 디바이스에 입력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Mobile device case interaction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1부재 및 제2부재로 양 쪽 측면에서 끼움 결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를 보호함과 동시에 그 외주면에 포함된 버튼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기기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컴퓨팅 디바이스의 개발이 확산되면서, 컴퓨팅 디바이스들이 개인용 컴퓨터에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휴대용 게임 디바이스 등과 같은 게임용 또는 이동 통신용 모바일 디바이스로 개발 방향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능을 가진 장치의 개발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외관이나 내장재의 파손을 방지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편리한 제어가 가능한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위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끼움 결합하여 간단하게 연결 또는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외관 및 내장재를 보호하고, 이러한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외주면에 부착된 버튼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어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을 직접적으로 터치하지 않고도 애플리케이션 등의 컨트롤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면 측 및 후면 측이 개구되도록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1측면 및 제2측면 각각과 상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제1부재 및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의 상측부가 상기 제2부재의 상측부와 만나는 부위와 상기 제1부재의 하측부가 상기 제2부재의 하측부와 만나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탈부착식으로 결합 및 해제하는 체결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각각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끼움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홈; 및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각각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된 체결 돌기; 및 상기 제2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 돌기와 탈부착 방식의 요철 결합을 이루는 체결 홈;을 포함한다.
상기 버튼부는, 상기 제1부재의 정면에 구비된 제1정면버튼; 상기 제1부재의 배면에 구비된 4개의 제1배면버튼; 상기 제2부재의 정면에 구비된 제2정면버튼; 및 상기 제2부재의 배면에 구비된 4개의 제2배면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버튼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버튼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상기 버튼부의 외측면에 구비된 푸시버튼이거나 상기 버튼부의 외측면 또는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의 내측면 중 어느 한 쪽에 구비되는 터치버튼이다.
상기 버튼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버튼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상기 버튼부의 외측면 또는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의 내측면 중 어느 한 쪽에 구비되는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와 전도체로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가 가능한 부분 중 특정 부분에 터치 입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가이드홈에 구비된 접점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접점부는, 상기 버튼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버튼에서 각각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가 가능한 부분 중 서로 다른 특정 영역에 터치 입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가이드홈에 구비된다.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접점부와 맞닿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 영역에 특정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되어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특정 제어값이 입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끼움 결합하여 간단하게 연결 또는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외관 및 내장재를 보호하고, 이러한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외주면에 부착된 버튼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어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을 직접적으로 터치하지 않고도 애플리케이션 등의 컨트롤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의 분해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연결된 인터랙션 장치에 포함된 제1부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연결된 인터랙션 장치의 일부 버튼이 선택된 경우의 예시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OO부', 'OO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 '하나' 및 '그' 등의 관사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 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용한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둘레를 따라 장착된 제1부재(100a), 제2부재(100b), 중심부에 상기 제1부재(100a) 및 제2부재(100b)가 접하는 부분인 체결부(200),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제1부재(100a) 및 제2부재(100b)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300), 제1부재의 외주면에 구비된 버튼부(400)가 포함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 대한 설명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표시부가 향하는 방향을 정면,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의 우상단을 상측, 좌상단을 좌측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부재(100a)는,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전면 측 후면 측이 개구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일측면 및 상하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2부재(100b)는,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전면 측 후면 측이 개구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의 타측면 및 상하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도 1과 같은 예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좌측 둘레를 감싸는 부재를 제1부재(100a),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우측 둘레를 감싸는 부재를 제2부재(100b)라 할 수 있다.
제1부재(100a)와 제2부재(100b)는 각각 'ㄷ'자 형태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시 중심부가 개구된 'ㅁ'자 형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체결부(200)는 제1부재(100a)의 상측부와 제2부재(100b)의 상측부가 만나는 부위와 제1부재(100b)의 하측부와 제2부재(100b)의 하측부가 만나는 부위에 형성되어 제1부재(100a)와 제2부재(100b)를 탈부착식으로 결합 및 해제한다.
또한 가이드홈(300)은, 제1부재(100a)와 제2부재(100b) 각각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가 끼움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홈이다.
또한 버튼부(400)는 제1부재(100a) 및 제2부재(100b) 각각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제1부재(100a)에 구비된 제1정면버튼(410a) 및 제2부재(100b)에 구비된 제2정면버튼(410b)을 포함한다.
도 1에는 제1부재(100a) 및 제2부재(100b)가 모바일 디바이스(10)의 표시부 이외의 부분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0)의 표시부의 전부 또는 일부만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체결부(200)는 제1부재(100a)의 상측부에서 제2부재(100b)의 상측부와 만나는 부위에 형성된 제1상단체결부(200a), 제1부재(100a)의 하측부에서 제2부재(100b)의 하측부와 만나는 부위에 형성된 제1하단체결부(200c), 제2부재(100b)의 상측부에서 제1부재(100a)의 상측부와 만나는 부위에 형성된 제2상단체결부(200b), 제2부재(100b)의 하측부에서 제1부재(100a)의 하측부와 만나는 부위에 형성된 제2하단체결부(200d)가 포함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여기서 제1상단체결부(200a) 및 제1하단체결부(200c)는 체결 돌기, 제2상단체결부(200b) 및 제2하단체결부(200d)는 이러한 체결 돌기와 탈부착 방식의 요철 결합을 이루는 체결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상단체결부(200a), 제2상단체결부(200b), 제1하단체결부(200c) 및 제2하단체결부(200d)는 이러한 돌기와 홈의 위치에 구애되지 않고 제1상단체결부(200a)와 제2상단체결부(200b), 제1하단체결부(200c)와 제2하단체결부(200d)가 서로 탈부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 또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상단체결부(200a) 및 제2하단체결부(200d)에 체결 돌기가, 제2상단체결부(200b) 및 제1하단체결부(200c)에 체결 홈이 구비될 수도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또한 제1상단체결부(200a)와 제2상단체결부(200b), 제1하단체결부(200c)와 제2하단체결부(200d)가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도록 레일과 걸림턱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300)은, 제1부재(100a)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끼움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300a) 및 제2부재(100b)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끼움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300b)이 포함된다.
이처럼 제1부재(100a) 및 제2부재(100b)는 모바일 디바이스(10)를 중심부에 두고 양 쪽 측면에서 슬라이딩 하듯이 서로 끼움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버튼부(400)에 포함되는 제1정면버튼(410a)은 사용자의 한 쪽 손, 도 2에서는 왼쪽 손의 엄지를 통해 선택될 수 있으며, 오목하게 홈이 파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2정면버튼(410b)은 사용자의 다른 한 쪽 손, 도 2에서는 오른쪽 손의 엄지를 통해 선택될 수 있으며, 오목하게 홈이 파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의 분해배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버튼부(400)에는, 제1부재(100a)의 배면에 구비되는 4개의 제1배면버튼(421a, 422a, 423a, 424a), 제2부재(100b)의 배면에 구비되는 4개의 제2배면버튼(421b, 422b, 423b, 424b)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버튼부(400)에 포함되는 제1배면버튼(421a, 422a, 423a, 424a)은 사용자의 한 쪽 손, 도 3에서는 왼쪽 손의 검지, 중지, 약지, 소지를 통해 상측부 부터 순서대로 선택될 수 있으며, 오목하게 홈이 파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2배면버튼(421b, 422b, 423b, 424b)은 사용자의 다른 한 쪽 손, 도 3에서는 오른쪽 손의 검지, 중지, 약지, 소지를 통해 상측부 부터 순서대로 선택될 수 있으며, 오목하게 홈이 파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버튼부(400)는 제1부재(100a) 정면에 구비된 제1정면버튼(410a) 제1부재(100a)의 배면에 구비된 4개의 제1배면버튼((421a, 422a, 423a, 424a), 제2부재(100b)의 정면에 구비된 제2정면버튼(410b), 제2부재(100b)의 배면에 구비된 4개의 제2배면버튼(421b, 422b, 423b, 424b)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버튼부의 10개의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양 쪽 손의 열 손가락을 사용하여 각각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엄지와 나머지 손가락 사이에 모바일 디바이스(10)가 위치하게 되므로 엄지로 선택될 수 있는 정면버튼(410)은 제1부재(100a) 및 제2부재(100b)의 정면부에, 나머지 손가락으로 선택될 수 있는 배면버튼(420)은 제1부재(100a) 및 제2부재(100b)의 배면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버튼부(4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버튼은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버튼부(400)의 외측면에 구비된 푸시버튼일 수 있고, 또는 버튼부(400)의 외측면 또는 제1부재(100a) 및 제2부재(100b)의 내측면 중 어느 한 쪽에 구비되는 터치 버튼일 수 있다.
여기서 버튼부(4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버튼이 터치 버튼인 경우에는 버튼부에서 1회적 터치뿐만 아니라 적어도 일방향으로 슬라이드 터치까지 감지하여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버튼부(4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버튼은 푸시버튼이 눌러지거나 터치 또는 슬라이드를 인식하면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버튼부(4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버튼은,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버튼부(400)의 외측면 또는 제1부재(100a) 및 제2부재(100b)의 내측면 중 어느 한 쪽에 구비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버튼부(4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버튼 별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연결된 인터랙션 장치에 정면버튼(410) 및 배면버튼(420)을 포함하여 10개의 버튼이 포함된다면, 센서도 각 버튼 별로 10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연결된 인터랙션 장치에 포함된 제1부재의 단면도 이다.
도 4에 도시한 제1부재(100a)의 단면도에 대한 설명은 제2부재(100b)의 단면도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제1부재(100a) 및 제2부재(100b)의 버튼부(400)에 포함된 버튼을 관통하도록 상측부에서 하측부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한 단면도로서, 도 4 상의 상측부는 제1부재(100a)의 정면에 해당한다.
도 4의 상단에는 제1정면버튼(410a) 및 제2정면버튼(410b)을 포함하는 정면버튼(410)이, 하단에는 제1배면버튼(421a, 422a, 423a, 424a) 및 제2배면버튼(421b, 422b, 423b, 424b)을 포함하는 배면버튼(420)이 포함된다.
또한 접점부(510, 521. 522, 523, 524)가 제1부재(100a) 및 제2부재(100b)의 내주면에 위치한 가이드홈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접점부(510, 521. 522, 523, 524)는 버튼부(400)의 각각의 버튼에 포함된 센서와 전도체로 연결되어 모바일 디바이스(10)의 터치가 가능한 부분 중 특정 부분에 터치 입력이 발생하도록 가이드홈(300)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접점부(510, 521. 522, 523, 524)는 모바일 디바이스(10)에 터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홈(30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의 표시부와 맞닿는 부분에 구비된다.
이러한 접점부(510, 521. 522, 523, 524)는, 상측부부터 하측부까지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부재(100a)에 포함된 제1정면버튼(410a) 및 4개의 제1배면버튼(421a, 422a, 423a, 424a)은 각각 순서대로 제1접점부(510a, 521a, 522a, 523a, 524a)와 전도체로 연결되며, 제2부재(100b)에 포함된 제2정면버튼(410b) 및 4개의 제2배면버튼(421b, 422b, 423b, 424b)은 각각 순서대로 제2접점부(510b, 521b, 522b, 523b, 524b)와 전도체로 연결된다.
도 4에서 제1접점부(510a, 521a, 522a, 523a, 524a) 및 제2접점부(510b, 521b, 522b, 523b, 524b)는 직접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부재(100a)에 부착된 접점부(510, 521, 522, 523, 524)는 제1접점부(510a, 521a, 522a, 523a, 524a), 제2부재(100b)에 부착된 접점부(510, 521, 522, 523, 524)는 순서대로 제2접점부(510b, 521b, 522b, 523b, 524b)라 한다.
여기서 접점부(510, 521, 522, 523, 524)는, 버튼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버튼에서 각각 신호가 입력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의 터치가 가능한 부분 중 서로 다른 특정 영역에 터치 입력이 발생하도록 가이드홈(300)에 구비된다.
이처럼 엄지와 나머지 손가락으로 선택할 수 있는 정면버튼(410) 및 배면버튼(420)이 서로 다른 면에 구비되는 것과 달리, 접점부(510, 521, 522, 523, 524)는 한쪽 면에 일렬로 배열되어 모바일 디바이스(10)에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연결된 인터랙션 장치의 일부 버튼이 선택된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터랙션 장치가 연결된 채로 일부 버튼이 눌릴 경우, 접점부(510, 521, 522, 523, 524)가 모바일 디바이스(10)에 터치 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데,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10)의 표시부 중 각 측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터랙션 장치에 의해 인터랙션이 발생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에 터치 입력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10)의 표시부 중 제1측면에 제1접점부(510a, 521a, 522a, 523a, 524a)에 의한 인터랙션이 발생하여 터치되는 영역인 제1인터랙션부(600a), 제2측면에 제2접점부(510b, 521b, 522b, 523b, 524b)에 의한 인터랙션이 발생하여 터치되는 영역인 제2인터랙션부(600b)가 포함된다.
여기서 각각의 제1접점부(510a, 521a, 522a, 523a, 524a)는 상측부 부터 순서대로 제1인터랙션부(600a)의 제1인터랙션영역(610a, 621a, 622a, 623a, 624a)에 각각 대응되어 모바일 디바이스(10)의 표시부에 터치 입력이 가해진다.
또한 각각의 제2접점부(510b, 521b, 522b, 523b, 524b)는 상측부 부터 순서대로 제2인터랙션부(600b)의 제2인터랙션영역(610b, 621b, 622b, 623b, 624b)에 각각 대응되어 모바일 디바이스(10)의 표시부에 터치 입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버튼부(400)에 포함된 버튼에서 신호가 입력되면, 제1접점부(510a, 521a, 522a, 523a, 524a) 및 제2접점부(510b, 521b, 522b, 523b, 524b)를 통해 제1인터랙션영역(610a, 621a, 622a, 623a, 624a) 및 제2인터랙션영역(610b, 621b, 622b, 623b, 624b)에 터치 입력이 가해진다.
도 5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제1정면버튼(410a)이 눌러지거나 터치 또는 슬라이드 되는 등 신호가 제1정면버튼(410a)에서 신호가 입력되면, 제1인터랙션영역의 첫번째 영역(610a)에 터치가 입력된다.
또한 사용자의 중지로 선택되는 제2배면버튼 중 2번째 버튼(422b)이 눌러지거나 터치 또는 슬라이드 되는 등 신호가 제2배면버튼 중 2번째 버튼(422b)에서 신호가 입력되면, 제2인터랙션영역의 3번째 영역(622b)에 터치가 입력된다.
이처럼 도 5에 나타난 예시는, 사용자가 왼손 엄지와 오른손 중지를 통해 각각 버튼부(400)에 포함된 제1정면버튼(410a) 및 제2배면버튼 중 2번째 버튼(422b)을 선택한 경우에 각각에 대응되는 인터랙션 영역인 제1인터랙션영역의 첫번째 영역(610a), 제2인터랙션영역의 3번째 영역(622b)이 활성화 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는, 상기 제1부재(100a)와 상기 제2부재(100b)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접점부(510, 521, 522, 523, 524)와 맞닿는 모바일 디바이스(10)의 터치 스크린 영역인 인터랙션 영역에 특정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되어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특정 제어값이 입력되도록 하는 제어부(70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700)는, 버튼부(400)에 포함된 버튼을 선택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문자를 입력하거나, 게임을 실행하여 제어할 수 있고,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에 있어 3차원 물체를 변환시킬 수 있다.
10 : 모바일 디바이스
100a : 제1부재
100b : 제2부재
200 : 체결부
200a : 제1상단체결부
200b : 제2상단체결부
200c : 제1하단체결부
200d : 제2하단체결부
300 : 가이드홈
300a : 제1가이드홈
300b : 제2가이드홈
400 : 버튼부
410 : 정면버튼
410a : 제1정면버튼
410b : 제2정면버튼
420 : 배면버튼
421a, 422a, 423a, 424a : 제1배면버튼
421b, 422b, 423b, 424b : 제2배면버튼
510, 521, 522, 523, 524 : 접점부
510a, 521a, 522a, 523a, 524a : 제1접점부
510b, 521b, 522b, 523b, 524b : 제2접점부
600a : 제1인터랙션부
610a, 621a, 622a, 623a, 624a : 제1인터랙션영역
610b, 621b, 622b, 623b, 624b : 제2인터랙션영역
700 : 제어부

Claims (8)

  1.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면 측 및 후면 측이 개구되도록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1측면 및 제2측면 각각과 상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제1부재 및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의 상측부가 상기 제2부재의 상측부와 만나는 부위와 상기 제1부재의 하측부가 상기 제2부재의 하측부와 만나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탈부착식으로 결합 및 해제하는 체결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각각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끼움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홈; 및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각각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버튼에서 각각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가 가능한 부분 중 서로 다른 특정 영역에 터치 입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가이드홈에 구비되는 접점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제1부재의 정면에 구비된 제1정면버튼;
    상기 제1부재의 배면에 구비된 4개의 제1배면버튼;
    상기 제2부재의 정면에 구비된 제2정면버튼; 및
    상기 제2부재의 배면에 구비된 4개의 제2배면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제1정면버튼 및 4개의 제1배면버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5개의 제1접점부; 및
    상기 제2정면버튼 및 4개의 제2배면버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5개의 제2접점부;를 포함하고,
    상기 5개의 제1접점부는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면에 일렬로 배열되고, 상기 5개의 제2접점부는 타측면에 일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된 체결 돌기; 및
    상기 제2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 돌기와 탈부착 방식의 요철 결합을 이루는 체결 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버튼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상기 버튼부의 외측면에 구비된 푸시버튼이거나 상기 버튼부의 외측면 또는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의 내측면 중 어느 한 쪽에 구비되는 터치버튼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버튼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상기 버튼부의 외측면 또는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의 내측면 중 어느 한 쪽에 구비되는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는,
    상기 센서와 전도체로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가 가능한 부분 중 특정 부분에 터치 입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가이드홈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접점부와 맞닿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 영역에 특정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되어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특정 제어값이 입력되도록 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
KR1020200178012A 2020-12-18 2020-12-18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 KR102390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012A KR102390911B1 (ko) 2020-12-18 2020-12-18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012A KR102390911B1 (ko) 2020-12-18 2020-12-18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911B1 true KR102390911B1 (ko) 2022-04-26

Family

ID=81390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012A KR102390911B1 (ko) 2020-12-18 2020-12-18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9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55B1 (ko) * 2010-06-21 2010-09-15 에스지피코리아 (주)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122400B1 (ko) * 2011-08-01 2012-03-09 이성복 체결식 구조의 금속 판재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와 그 제조 방법
KR101637985B1 (ko) * 2015-02-16 2016-07-08 (주)아이티버스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170002529U (ko) * 2016-01-04 2017-07-12 주식회사 하나통신 3단 분리형 휴대폰용 보호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55B1 (ko) * 2010-06-21 2010-09-15 에스지피코리아 (주)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122400B1 (ko) * 2011-08-01 2012-03-09 이성복 체결식 구조의 금속 판재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와 그 제조 방법
KR101637985B1 (ko) * 2015-02-16 2016-07-08 (주)아이티버스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170002529U (ko) * 2016-01-04 2017-07-12 주식회사 하나통신 3단 분리형 휴대폰용 보호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9095B2 (en) Removable protective cover with embedded proximity sensors
US7692667B2 (en) Handheld computer having moveable segments that are interactive with an integrated display
US94177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key function switching
US9910515B2 (en) User interface for a touchscreen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11163375B1 (en) Slider structure for a mechanical keyboard
US20060133881A1 (en) Mobile computing device form factor
KR101845975B1 (ko) 다이얼 리모콘 장치
KR102390911B1 (ko)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
US8502777B2 (en) Mouse device with movable button
US9024879B2 (en) Computer input device with switchable operation modes and mode switching method thereof
EP3391947B1 (en) Inpu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nput device
JP2011170585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11392237B2 (en) Virtual input devices for pressure sensitive surfaces
US20170113132A1 (en) Enhanced function interaction device
US11137836B2 (en) Electronic device
KR101212364B1 (ko)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CN109144398B (zh) 一种电子设备及控制方法
US20140320419A1 (en) Touch input device
US20140145958A1 (en) Tablet computer assembly, accessory thereof, and tablet computer input method
CN108475085A (zh) 头戴式显示设备及其交互输入方法
KR20050018890A (ko) 조이스틱 기능과 키보드 입력이 가능한 마우스
TWI510967B (zh) 觸控輸入裝置
KR20070079359A (ko) 조이스틱 겸용 반지형 무선 입력장치
US20240248549A1 (en) Input device for users with limited mobility
KR20040018050A (ko) 마우스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