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555B1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555B1
KR100982555B1 KR1020100058797A KR20100058797A KR100982555B1 KR 100982555 B1 KR100982555 B1 KR 100982555B1 KR 1020100058797 A KR1020100058797 A KR 1020100058797A KR 20100058797 A KR20100058797 A KR 20100058797A KR 100982555 B1 KR100982555 B1 KR 100982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frame
touch scree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에스지피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지피코리아 (주) filed Critical 에스지피코리아 (주)
Priority to KR1020100058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555B1/ko
Priority to CN201110165554.3A priority patent/CN102291956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6Reinforcements for edges, corners, or othe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에 접촉되되 둘레에 결합부를 구비한 베이스 프레임과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 단측면과 양 장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제 1 프레임 및 휴대용 전자기기의 타 단측면과 휴대용 전자기기의 양 장측면 중 상기 제 1 프레임이 감싼 부위를 제외한 면을 감싸는 제 2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2 프레임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정면 둘레 일부를 감싸는 가드부를 포함하여, 상기 결합부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 1,2 프레임이 결합 연결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과 단측면 및 장측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착탈 시 휴대용 전자기기에 가해질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하고 휴대용 전자기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더욱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결합력 및 내구성이 높음과 동시에 모든 절곡부위를 라운딩 처리하여 보다 부드러운 파지감 및 미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Case for Cell Phone with 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베이스 프레임과 제 1,2 프레임을 개별적으로 구비함으로써 착탈 시 휴대용 전자기기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마찰 부위를 줄이고 떨어뜨렸을 때 휴대용 전자기기이 받을 수 있는 충격을 분산시킨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레일을 구비하고 제 1,2 프레임에 레일 결합부를 구비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이 가능토록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휴대폰, PDA, DMB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가 필수적인 소지품으로 자리잡고 있는데,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표적인 예인 휴대폰은, 고유 기능인 통화 기능 외에도 동영상 재생, 음악 재생, 디지털 카메라, DMB, 네비게이션, 인터넷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이 추가되고 그 디자인이나 형상 등도 점점 미려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폰의 전면이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 제품까지 개발되면서 휴대폰의 가격도 점점 상승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고가이며 미려한 자신의 휴대폰에 생길 수 있는 긁힘이나 흠집, 파손 등에 더욱 민감해졌으며 나아가 휴대폰의 외관을 더욱 아름답게 꾸며서 일종의 악세서리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향도 강해지고 있다.
이러한 현대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의 손상을 막으면서도 미려한 외관을 자랑하는 다양한 종류 및 재질의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는데,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를 기준으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종류는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인조 가죽 재질의 소프트 케이스로, 이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정면 및 배면을 모두 덮을 수 있어 다양한 생활 흠집으로부터 휴대용 전자기기를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프트 케이스는 변색의 우려가 있고 외부의 강한 충격으로부터 휴대용 전자기기를 보호하는 기능은 매우 미약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디스플레이 패널을 터치하면서 조작을 해야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정면 역시 모두 감싸도록 구성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을 위해 조작하려 하는 경우 소프트 케이스를 벗기는 별도의 과정이 필요하게 되어 번거롭게 된다는 문제가 따랐다.
하여, 근래에는 금속재 또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진 하드 케이스를 더욱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인데, 종래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경우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과 둘레면을 보호하는 구성이 일체로 구비되어 용기 형식의 케이스에 휴대용 전자기기를 끼우는 형식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는 용기 내에 휴대용 전자기기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돌기 등의 구성을 추가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허다했고, 이러한 경우에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케이스의 용기 내에 삽입하여 장착하는 과정에서 스크래치 등과 같은 손상이 많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장착한 후 사용하는 중에도 휴대용 전자기기이 케이스의 내부에서 일정 수준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이 있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 및 둘레면에 수많은 흠집을 생성하였다.
따라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를 손상 없이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내구성을 보장하는 새로운 구조를 가진 신규하고 진보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과 제 1,2 프레임을 각각 분리하여 구비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에 가해질 수 있는 마찰력을 줄여 휴대용 전자기기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이스 프레임에 레일을 형성하고, 제 1,2 프레임에 레일 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레일과 상기 레일 결합부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그 결합력과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이드 돌기의 상기 레일 결합부가 결합되는 끝단이 테이퍼 처리된 도입부를 포함하여 베이스 패널과 제 1,2 패널이 최초 결합할 때 보다 부드럽게 도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상기 제 1 절곡면 중 상기 제 1,2 프레임의 각 끝단이 서로 접촉하는 주변 부위가 곡률지게 돌출 형성된 제 1 굴곡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제 1,2 프레임이 베이스 프레임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상기 제 1 프레임의 양 단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연결 패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2 프레임의 양 단은 상기 연결 패널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제 2 레그판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될수록 함입된 깊이가 얕아지는 연결패널 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연결 패널이 상기 연결패널 수용부에 끼움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의 절곡 부위를 라운딩 처리하여 사용자의 미감 및 파지감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에 접촉되되 둘레에 결합부를 구비한 베이스 프레임과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 단측면과 양 장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제 1 프레임 및 휴대용 전자기기의 타 단측면과 휴대용 전자기기의 양 장측면 중 상기 제 1 프레임이 감싼 부위를 제외한 면을 감싸는 제 2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2 프레임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정면 둘레 일부를 감싸는 가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둘레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부위에서 하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된 제 1 절곡면과, 상기 제 1 절곡면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된 제 2 절곡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결합부 중 장측면은 상기 제 2 절곡면에서 상기 제 1 절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제 2 절곡면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와 상기 제 1 절곡면 사이를 따라 함입 연장된 가이드 홈으로 이루어진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 1,2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배면 둘레 일부를 감싸되 상기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레일 결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레일 결합부가 결합되는 끝단이 테이퍼 처리된 도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절곡면 중 상기 제 1,2 프레임의 각 끝단이 서로 접촉하는 주변 부위는 곡률지게 돌출 형성된 제 1 굴곡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 1 굴곡부와 대응되는 부위에서 곡률지게 돌출 형성된 제 2 굴곡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프레임은 끝단에서 상기 제 2 프레임의 끝단을 향해 돌출 형성된 연결 패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연결 패널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제 2 프레임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될수록 함입된 깊이가 얕아지는 연결패널 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연결 패널이 상기 연결패널 수용부에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제 1,2 프레임은 상기 제 1,2 절곡면과 상기 결합부, 상기 가드판, 상기 커넥터, 상기 레일 및 레일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 부위를 라운딩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따르면,
1)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 및 측면을 각각 감싸기 위해 베이스 프레임과 제 1,2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착탈 시 휴대용 전자기기에 가해질 수 있는 스크래치 등의 손상을 방지하고,
2) 휴대용 전자기기를 떨어뜨렸을 때 휴대용 전자기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더욱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3) 레일 및 레일 결합부가 상하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그 결합력과 내구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4) 레일의 특정 부위에 제 1,2 굴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레일 및 레일 결합부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5) 모든 절곡 부위를 라운딩 처리하여 보다 부드러운 파지감 및 미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와 휴대용 전자기기의 결합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제품은 휴대용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상부 표면에 터치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즉, PDA, UMPC, PMP, MP3 플레이어, 이북 리더와 같은 것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는 측면(둘레면)에 장변과 단변을 가진 도형으로 형성되는바 후술할 내용에서는 둘레면에 2개의 장측면과 2개의 단측면을 가지며, 휴대용 전자기기를 기준으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면을 정면이라 하고, 그 반대 측 바닥면을 배면이라 한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바닥면)에 접촉되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둘레와 연결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을 감싸 보호하도록 하는 제 1,2 프레임(200,3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휴대용 전자기기 배면과 유사한 크기를 가진 직사각형의 편평한 패널 형상으로 구성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을 감싸 보호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둘레를 따라 결합부를 구비함으로써 후술할 제 1,2 프레임(200,300)과 연결되도록 하는 매개의 기능을 하는데, 상기 결합부는 끼움식, 슬라이드식, 접착식 등 공지된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후술할 제 1,2 프레임(200,300)에 상기 결합부의 구성과 대응되는 구성이 있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제 1 프레임(200)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상측 단측면을 감쌀 수 있는 정도의 길이 및 폭을 가지도록 구성된 상측 수평판(210)을 형성하고, 상기 상측 수평판(210)의 길이 방향의 양 단에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양 장측면의 상부 일정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제 1 레그판(220)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 수평판(210)과 제 1 레그판(220)의 전체적인 평면 형상은 'ㄷ'자와 유사하다.
여기서, 상기 상측 수평판(210)과 제 1 레그판(220)은 높이 방향의 양 단에서 각각 내측(휴대용 전자기기를 향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소폭 연장된 가드부(230)와 커넥터(240)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정면 둘레 측 일정 부위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배면 둘레 측 일정 부위를 감싸도록 한다. 즉, 상기 제 1 레그판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도 'ㄷ'자와 유사한 형상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가드부(230)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정면에 구비된 터치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리지 않으면서 마치 액자의 프레임 구조와 유사하게 휴대용 전자기기 정면 둘레 측 일정 부위를 덮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는 상태를 보장하고, 커넥터(24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과 맞닿아 구비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둘레 측 일정 부위를 감싸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부와 연결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제 2 프레임(300)은, 상기 제 1 프레임(200)과 유사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하측 단측면을 보호하는 하측 수평판(310)과 하측 수평판(310)에서 연장된 제 2 레그판(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2 레그판(220,320)의 길이의 합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좌우 측 둘레면의 길이와 유사하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고, 상기 제 1,2 레그판(220,320)의 길이는 서로 같도록(각각 상기 좌우 측 둘레면의 길이의 절반) 구성될 수 있을 것이나, 보다 내구성이 좋고 안정적인 결합을 도모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레그판(220)의 길이가 60~80%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제 1,2 레그판(220,320)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가 휴대용 전자기기의 장측면에서 중앙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탈부착하는 데 있어서 더욱 편리하기 때문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과 제 1,2 프레임(200,300)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형성되되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는 기능적인 구성들, 예를 들어 카메라나 버튼, 각종 단자 등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기능적인 구성들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통공(10)이 구비되며, 이러한 통공(10)은 적용될 휴대용 전자기기에 따라 그 위치 및 형상이 바뀔 수 있다. 상기 통공(10)은 당 업계에서 공공연히 이용되는 구성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베이스 프레임(100)과 제 1 프레임(200) 및 제 2 프레임(300)으로 구성되되 결합부를 매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기 형태(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 및 장/단측면을 감싸도록 하는 형태)의 케이스에서 베이스 프레임(100)을 분리시킨 것에 있다.
베이스 프레임(100)을 별개의 구성으로 구비하고 제 1,2 프레임(200,300)을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결합력 및 내구성이 강화되고, 용기 형태의 케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착탈 시 휴대용 전자기기에 가해질 수 있는 마찰이 현격히 감소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에 스크래치 등 손상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내부에서 휴대용 전자기기이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장착 후 사용하는 동안에도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케이스가 장착된 휴대용 전자기기를 떨어뜨리는 경우, 상술한 용기 형태의 케이스나 혹은 커버 형태(가죽 등의 재질을 사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정면 및 배면을 덮는 형태)의 케이스보다 훨씬 더 효율적으로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 자체에 가해지는 물리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하여 각 프레임들이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하나의 프레임에 파손이나 손상을 입은 경우 모든 케이스를 바꿀 필요 없이 해당 프레임만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어 실용적이고, 외부로 노출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아랫면(휴대용 전자기기과 맞닿지 않는 면)에 특정 이미지를 삽입하여 미감을 증진시킬 수 있고, 다양한 이미지를 삽입한 복수 개의 베이스 프레임(100)을 구비하여 때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디자인적 감각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과 제 1,2 프레임(200,300)(후술할 구성 포함)에 형성된 대부분의 모서리 부위(절곡 부위)를 라운딩 처리한 것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보다 부드러운 미감 및 파지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충격을 더욱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와 휴대용 전자기기의 결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여 상술한 구성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을 위치시킨다. 그 후 결합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제 1 프레임(200)을 결합시키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제 2 프레임(300)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배면 둘레 일부와 휴대용 전자기기의 장/단측면을 모두 감쌀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는 공지의 여러 가지 연결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2 프레임(200,300)이 서로 맞닿는 부위(상기 제 1,2 레그판(220,320)의 끝단이 서로 닿는 부위) 역시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결합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끼움식, 슬라이드식, 접착식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에서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레일을 형성하여 상기 제 1,2 프레임(200,300)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10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하기에서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에 닿게 되는 면을 윗면이라 하고 휴대용 전자기기과 닿지 않는 면을 아랫면이라 칭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100)의 결합부는 아랫면 상에서 양 장변 측에 레일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된다.
먼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아랫면 상에서 각 둘레는 계단식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 1 절곡면(101) 및 제 2 절곡면(102)를 구성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다시 말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둘레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부위에서 하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된 제 1 절곡면(101)과, 상기 제 1 절곡면(101)의 끝단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둘레 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된 제 2 절곡면(102)을 형성한 것으로, 마치 아랫면 상에서 베이스 프레임(100)의 둘레에서 내측으로 소폭 이격되어 형성된 형상(베이스 프레임(100)의 둘레보다 각 면의 길이가 약간씩 작되 베이스 프레임(100)과 유사한 형상)이 하측으로 융기된 것과 유사하게 보인다(도 2 참조). 여기서 제 1 절곡면(101)은 상기 단 턱이 형성됨으로써 구성되는 두 단의 높이차를 나타내는 세로면으로 상기 제 1 절곡면(101)의 높이가 두 단의 높이차가 되는 것이다. 또한 제 2 절곡면(102)은 두 단이 폭 차를 나타내는 가로면으로, 상기 제 1 절곡면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수평 연장된 것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결합부는 상기 제 2 절곡면(102) 상에 레일을 형성하는 바, 상기 레일은 가이드 홈(110)과 가이드 돌기(120)로 이루어진다.
가이드 돌기(120)는 긴 바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장측면 상에 구비된 제 2 절곡면(102)에서 상기 제 1 절곡면(101)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라운딩 처리되어 있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둘레가 곡률지지 않고 직선으로 형성된 지점, 즉 둘레 끝단에서 내측으로 약간 이격된 부위에서 길이 방향으로 부착된다. 이는 라운딩 처리되어 곡률진 면보다 편평하게 형성된 면상에 부착하는 것이 더욱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약간 내측으로 이동되어 부착되는 것이 내구성 면에서도 더욱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가이드 돌기(120)는 도입부(121)를 구비하는데, 도입부(121)는 상기 레일 결합부가 결합되는 끝단이 테이퍼 처리된 것으로, 상기 도입부의 첨단 부위(가장 뾰족한 부위)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내측(상기 가이드 홈(110) 측)을 향해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20)에 상기 도입부(121)를 포함하는 이유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제 1,2 프레임(200,300)이 최초 결합할 때 보다 부드럽게 도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이러한 형상은 상술한 목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응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돌기(120)의 내측(휴대용 전자기기 방향) 세로면과 상기 제 1 절곡면(101) 중, 상기 제 1,2 레그판(220,320)의 각 끝단이 서로 접촉하는 주변 부위에는 제 1,2 굴곡부(130,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는데, 제 1 굴곡부(130)는 상기 제 1 절곡면(101)에서 외측(상기 가이드 돌기(120) 측 방향)으로 미세하게 돌출 형성된 것이고 제 2 굴곡부(미도시)는 상기 가이드 돌기(120)의 내측 세로면 중 상기 제 1 굴곡부(130)와 대응되는 부위에서 내측(상기 제 1 절곡면(101) 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1,2 굴곡부(130,미도시)는 상기 제 1,2 레그판(220,320)이 서로 접촉하는 부위에서 가이드 홈(110)의 공간이 일정 수준 좁아지도록 함으로써 후술할 가이드 홈 결합부(241)가 슬라이딩 이동될 때 적당한 마찰과 고정력을 제공한다. 이로써 레일과 후술할 레일 결합부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가 더욱 안정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가이드 홈(11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좌우 일 측에서 하부로 함입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홈으로서 상기 가이드 돌기(120)와 상기 제 1 절곡면(101) 사이를 따라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하 측 단까지 연결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 홈(110)의 양단을 곡률지게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가이드 홈 결합부(241)가 삽입될 때 보다 부드럽고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형성되는 레일은 하기의 제 1,2 프레임(200,300)에 구비되는 레일 결합부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데, 상기 레일과 레일 결합부는 서로 측 방향이 아닌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결합을 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프레임(20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프레임(30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제 1,2 프레임(200,300)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형성된 레일에 대응되어 결합하기 위하여 레일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는바, 레일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 홈과 가이드 돌기(120)에 각각 대응하는 가이드 홈 결합부(241)와 가이드 돌기 결합부(242)로 이루어져 있다.
가이드 홈 결합부(241) 및 가이드 돌기 결합부(242)는 상기 제 1,2 프레임(200,300)의 커넥터(240)의 내측 면(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100)에 구비된 가이드 홈(110)과 가이드 돌기(120)에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홈(110) 및 가이드 돌기(1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1,2 프레임(200,300)에는 각 프레임의 높이 방향(세로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소폭 돌출 형성된 돌출부(201)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돌출부(201)가 구비됨으로써 각 프레임의 내면에는 함입된 부위가 형성되고, 이 부위에 휴대용 전자기기의 장/단측면의 일정 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가드부(230)와 휴대용 전자기기의 정면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이 직접 접촉되지 않아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휴대용 전자기기에 착탈하는 과정에서 휴대용 전자기기 정면에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더불어, 상기 제 1,2 레그판(220,320)의 가드부(230)에는 곡률부(231)가 형성되는바, 상기 곡률부(231)는 가드부(230)의 외측면(최상측면)에 형성되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곡률지게 형성되어 휴대용 전자기기과 가까워질수록 가드부(230)의 두께가 더욱 얇아지도록(도 3,4 참조) 형성된 것이다.
즉, 상기 제 1,2 레그판(220,320)에서 가드부(230)로 연장되는 데 있어서 내측면은 수직 절곡되나 외측면은 가드부(230)의 연장 끝단으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하여 보다 부드러운 외관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가드부(230)가 휴대용 전자기기의 정면 둘레 부위에 가할 수 있는 압력을 감소시켜 마찰로 인한 손상을 방지한다. 이러한 곡률부(231)를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를 휴대용 전자기기에 착탈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 등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장착 후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정면 둘레와 더욱 밀착되어 있는 것과 같이 느끼도록 하여 안정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 1,2 레그판(220,320)은 베이스 프레임(100)과 결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장/단측면을 감싸도록 고정되기 위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매개가 구비되어야 하는바 상기 제 1 레그판(220)에는 연결패널(221)이, 상기 제 2 레그판(320)에는 연결패널 수용부(321)가 형성된다.
연결패널(221)은 상기 제 1 레그판(220)의 높이보다 작은 길이를 가진 패널 형상으로 상기 제 1 레그판(220)의 끝단에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레그판(220)의 끝단에서 가드부(230)와 커넥터(240) 사이 일정 부위에 형성되어 후술할 연결패널 수용부(321)에 삽입 식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도3 참조).
연결패널 수용부(321)는 상기 제 2 레그판(320)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패널(221)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연결패널(221)을 수용할 수 있도록 홈과 같은 형상으로 구비된 것으로, 특히 상기 연결패널 수용부(321)가 상기 제 2 레그판(320)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될수록 함입된 깊이가 얕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패널(221)이 상기 연결패널 수용부(321)로 삽입되는 초입에는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고 더 끼워짐에 따라 더욱 타이트하게 서로가 밀착되어 안정적이면서도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고 결합되는 과정에서 휴대용 전자기기에 스크래치 등의 손상을 주지 않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각 구성요소는 모두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보다 효율적으로 충격을 분산 및 흡수시키기 위하여 베이스 프레임(100) 및 제 1,2 프레임(200,300)을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하나의 구성에서도 특정 부분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금속재 또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통공 100: 베이스 프레임
101: 제 1 절곡면 102: 제 2 절곡면
110: 가이드 홈 120: 가이드 돌기
121: 도입부 130: 제 1 굴곡부
200: 제 1 프레임 201: 돌출부
210: 상측 수평판 220: 제 1 레그판
221: 연결 패널 230: 가드부
231: 곡률부 240: 커넥터
241: 가이드 홈 결합부 242: 가이드 돌기 결합부
300: 제 2 프레임 310: 하측 수평판
320: 제 2 레그판 321: 연결패널 수용부
500: 휴대용 전자기기

Claims (8)

  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로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에 접촉되되 둘레에 결합부를 구비한 베이스 프레임;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 단측면과 양 장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제 1 프레임;
    휴대용 전자기기의 타 단측면과 휴대용 전자기기의 양 장측면 중 상기 제 1 프레임이 감싼 부위를 제외한 면을 감싸는 제 2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2 프레임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정면 둘레 일부를 감싸는 가드부를 포함하여,
    상기 결합부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 1,2 프레임이 결합 연결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과 단측면 및 장측면을 감싸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둘레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부위에서 하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된 제 1 절곡면과, 상기 제 1 절곡면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된 제 2 절곡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중 장측면은,
    상기 제 2 절곡면에서 상기 제 1 절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제 2 절곡면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와 상기 제 1 절곡면 사이를 따라 함입 연장된 가이드 홈으로 이루어진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 1,2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배면 둘레 일부를 감싸되 상기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레일 결합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레일과 상기 레일 결합부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레일 결합부가 결합되는 끝단이 테이퍼 처리된 도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곡면 중 상기 제 1,2 프레임의 각 끝단이 서로 접촉하는 주변 부위는,
    곡률지게 돌출 형성된 제 1 굴곡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 1 굴곡부와 대응되는 부위에서 곡률지게 돌출 형성된 제 2 굴곡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끝단에서 상기 제 2 프레임의 끝단을 향해 돌출 형성된 연결 패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연결 패널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제 2 프레임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될수록 함입된 깊이가 얕아지는 연결패널 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연결 패널이 상기 연결패널 수용부에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제 1,2 프레임은,
    상기 제 1,2 절곡면과 상기 결합부, 상기 가드판, 상기 커넥터, 상기 레일 및 레일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 부위를 라운딩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8. 삭제
KR1020100058797A 2010-06-21 2010-06-2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0982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797A KR100982555B1 (ko) 2010-06-21 2010-06-2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CN201110165554.3A CN102291956B (zh) 2010-06-21 2011-06-20 具备触摸屏的携带式电子仪器用外壳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797A KR100982555B1 (ko) 2010-06-21 2010-06-2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2555B1 true KR100982555B1 (ko) 2010-09-15

Family

ID=43010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797A KR100982555B1 (ko) 2010-06-21 2010-06-2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82555B1 (ko)
CN (1) CN102291956B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049B1 (ko) 2010-09-09 2010-12-03 박갑세 휴대용 단말기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0456259Y1 (ko) 2011-04-11 2011-10-20 에스지피코리아 (주)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KR101122400B1 (ko) * 2011-08-01 2012-03-09 이성복 체결식 구조의 금속 판재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와 그 제조 방법
KR101137145B1 (ko) * 2011-09-16 2012-04-19 임남일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 케이스
KR101141761B1 (ko) 2011-12-22 2012-05-04 박지현 휴대 전자기기 보호용 케이스
KR101168008B1 (ko) 2011-06-23 2012-07-31 (주)제이엠씨 휴대단말기용 메탈범퍼케이스
KR200462642Y1 (ko) * 2012-01-20 2012-09-21 박지현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101201630B1 (ko) 2011-05-16 2012-11-14 박갑세 휴대용 단말기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1226837B1 (ko) 2011-07-13 2013-01-25 이주훈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247406B1 (ko) 2012-10-23 2013-03-25 김재성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290686B1 (ko) * 2012-04-20 2013-07-31 정장교 데이터 케이블 겸용 휴대전화 범퍼
KR200470168Y1 (ko) * 2012-03-12 2013-12-03 주식회사 솔로젠 휴대폰 케이스
KR101386340B1 (ko) 2012-12-05 2014-04-24 김재성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0474127Y1 (ko) * 2013-06-26 2014-08-28 김재성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WO2014208853A1 (ko) * 2013-06-28 2014-12-31 Kim Kyung Min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0476087Y1 (ko) * 2013-06-28 2015-01-27 (주)씨에스테크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546615B1 (ko) 2013-03-29 2015-08-21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커버 부재
KR101563717B1 (ko) 2014-04-02 2015-10-27 엄명용 스마트폰 케이스
KR102390911B1 (ko) * 2020-12-18 2022-04-26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32503B (zh) * 2012-09-07 2015-04-15 宁波大学 一种手机的保护壳
CN103040221A (zh) * 2012-12-26 2013-04-17 佛山市万佳塑料有限公司 一种手机保护套
KR20170033168A (ko) * 2015-09-16 2017-03-24 박희철 이동통신단말기의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CN108566463A (zh) * 2018-04-25 2018-09-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中框、移动终端及中框的制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546U (ko) * 2007-08-13 2009-02-18 송태성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100056014A (ko) * 2008-11-19 2010-05-27 서재원 휴대 단말기의 보호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2905A (ko) * 2007-06-22 2008-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장치
CN101426039A (zh) * 2007-10-31 2009-05-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保护壳
CN101426348B (zh) * 2007-11-02 2011-05-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保护壳
CN201146543Y (zh) * 2007-12-26 2008-11-05 邱继明 一种手机外壳
US7612997B1 (en) * 2008-11-17 2009-11-03 Incase Designs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with battery
US8965458B2 (en) * 2009-08-21 2015-02-24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ushion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546U (ko) * 2007-08-13 2009-02-18 송태성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100056014A (ko) * 2008-11-19 2010-05-27 서재원 휴대 단말기의 보호 케이스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049B1 (ko) 2010-09-09 2010-12-03 박갑세 휴대용 단말기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0456259Y1 (ko) 2011-04-11 2011-10-20 에스지피코리아 (주)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CN102726917B (zh) * 2011-04-11 2014-07-16 修必肯Sgp韩国株式会社 用于便携式电子装置的保护罩
CN102726917A (zh) * 2011-04-11 2012-10-17 修必肯Sgp韩国株式会社 用于便携式电子装置的保护罩
KR101201630B1 (ko) 2011-05-16 2012-11-14 박갑세 휴대용 단말기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1168008B1 (ko) 2011-06-23 2012-07-31 (주)제이엠씨 휴대단말기용 메탈범퍼케이스
KR101226837B1 (ko) 2011-07-13 2013-01-25 이주훈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122400B1 (ko) * 2011-08-01 2012-03-09 이성복 체결식 구조의 금속 판재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와 그 제조 방법
WO2013039345A1 (ko) * 2011-09-16 2013-03-21 Lim Namil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 케이스
KR101137145B1 (ko) * 2011-09-16 2012-04-19 임남일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 케이스
KR101141761B1 (ko) 2011-12-22 2012-05-04 박지현 휴대 전자기기 보호용 케이스
KR200462642Y1 (ko) * 2012-01-20 2012-09-21 박지현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0470168Y1 (ko) * 2012-03-12 2013-12-03 주식회사 솔로젠 휴대폰 케이스
KR101290686B1 (ko) * 2012-04-20 2013-07-31 정장교 데이터 케이블 겸용 휴대전화 범퍼
WO2014065578A1 (ko) * 2012-10-23 2014-05-01 (주)씨에스테크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247406B1 (ko) 2012-10-23 2013-03-25 김재성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386340B1 (ko) 2012-12-05 2014-04-24 김재성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546615B1 (ko) 2013-03-29 2015-08-21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커버 부재
KR200474127Y1 (ko) * 2013-06-26 2014-08-28 김재성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WO2014208853A1 (ko) * 2013-06-28 2014-12-31 Kim Kyung Min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0476087Y1 (ko) * 2013-06-28 2015-01-27 (주)씨에스테크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563717B1 (ko) 2014-04-02 2015-10-27 엄명용 스마트폰 케이스
KR102390911B1 (ko) * 2020-12-18 2022-04-26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91956A (zh) 2011-12-21
CN102291956B (zh)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55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0988204B1 (ko) 바 형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US8694064B2 (en)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US8800762B2 (en) Protective cases for mobile devices
KR200470332Y1 (ko) 모바일 기기 케이스
KR200458135Y1 (ko) 통신단말기용 케이스
US9201517B2 (en) Wireless mouse and wireless input device
US20170079393A1 (en)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54003Y1 (ko)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커버
KR101226837B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141761B1 (ko) 휴대 전자기기 보호용 케이스
KR101437315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20130006353U (ko) 탈부착이 가능한 어플부재를 구비하는 보호 케이스
TWM291018U (en) Electronic device casing
CN208754367U (zh) 一种新型电子产品保护壳
KR200464932Y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1239088B1 (ko)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 어셈블리
KR200462642Y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120103854A (ko) 바형 휴대기기용 케이스 및 바형 휴대기기와의 조립방법
KR20130000435U (ko)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CN206060898U (zh) 手机保护壳
CN214432432U (zh) 一种四面无边框电子产品保护套
KR20150129978A (ko) 스마트폰 및 태블릿 피씨 거치수단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폰 및 태블릿 피씨 케이스
CN214851379U (zh) 全方位保护壳
KR200464318Y1 (ko) 휴대용 전자기기와 밀착결합되는 슬라이드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