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406B1 -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7406B1
KR101247406B1 KR1020120144052A KR20120144052A KR101247406B1 KR 101247406 B1 KR101247406 B1 KR 101247406B1 KR 1020120144052 A KR1020120144052 A KR 1020120144052A KR 20120144052 A KR20120144052 A KR 20120144052A KR 101247406 B1 KR101247406 B1 KR 101247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cas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성
Original Assignee
김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성 filed Critical 김재성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406B1/ko
Priority to PCT/KR2013/00945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6557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01Flexible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 전자기기가 견고하게 수납되어 쉽게 빠지지 않고,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부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 그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상하방 개구부 및 일측에 형성되는 제1개구부를 갖는 'ㄷ' 형상의 평면을 갖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상단부에 부착되며 표면에 형성되는 제2개구부를 갖는 상판과, 프레임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하판을 포함하며, 프레임의 제1개구부를 통해 휴대 전자기기가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휴대 전자기기의 화면부가 제2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이 급격히 발달하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피씨 등을 비롯한 각종 휴대 전자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휴대 전자기기 사용자들은 단순히 휴대 전자기기를 구매하는 것을 넘어서 관련 액세서리에도 상당한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고가의 전자기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스크래치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스는 필수품목이 되었다.
이러한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는 소위 '범퍼'라 불리우는 상하방이 개구된 프레임 타입과, 프레임 타입의 케이스에 뒷판이 부착된 타입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경우, 휴대 전자기기는 프레임의 상방에서 밀어넣어 케이스에 장착하게 되며, 프레임은 휴대 전자기기가 잘 끼워지도록 어느 정도 탄성을 갖는 고무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휴대 전자기기가 잘 빠지지 않도록 플라스틱 재질의 프레임에 휴대 전자기기가 억지 끼워지도록 한 케이스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는 프레임이 휴대 전자기기의 테두리의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휴대 전자기기가 케이스로부터 쉽게 빠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고, 더욱이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부가 바닥을 향하여 떨어진 경우 전면유리가 깨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은 부족하였다. 또한, 휴대 전자기기가 프레임에 억지 끼워지도록 한 케이스는 사용자가 프레임에서 휴대 전자기기기를 분리하기가 어려우며, 분리하는 과정에서 손톱이 부러지거나 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휴대 전자기기의 케이스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일 예로, 케이스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여 교통카드나 명함 등과 같은 소형 소지품을 휴대할 수 있도록 한 케이스가 시판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 전자기기를 소지하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버스나 지하철을 탈 경우 케이스를 리더기에 접촉시켜 수납된 교통카드로 요금을 결제할 수 있고, 미팅시 케이스에 수납된 명함을 바로 꺼내 교환할 수 있는 등 일상 생활에서 여러 가지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의 수납부는 단순히 밴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포켓 형태가 있는데, 이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밴드 형태의 수납부는 케이스의 일면에 밴드를 부착하여 밴드 사이에 카드 등을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와 같이 구성하면 두께가 얇은 카드 등이 쉽게 빠져 분실의 위험이 있으며, 특히, 밴드가 노후되어 헐거워질 경우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등, 카드 등을 제대로 수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포켓 형태의 수납부는 커버의 내측 표면에 포켓을 형성하여 카드 등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것인데, 카드나 명함을 사용 또는 교체하기 위해서는 휴대 전자기기를 커버에서 분리하고 다시 커버에 결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카드와 휴대 전자기기가 직접 접촉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휴대 전자기기의 전자파로 인한 카드의 마그네틱이 손상될 염려가 있으며, 카드와 휴대 전자기기의 접촉으로 인해 휴대 전자기기에 스크래치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또한, 카드나 명함을 포켓에 수납한 경우 그 부분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케이스 표면에 카드 등이 수납된 자국이 남게 되어 외관이 저하되며, 심할 경우 케이스 표면이 찢어지는 현상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 전자기기가 견고하게 수납되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부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 그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전자기기를 쉽게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드나 명함 등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고, 휴대 전자기기를 케이스에서 분리해내지 않고서도 손쉽게 카드나 명함을 사용 또는 교체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전자기기와 카드를 별도로 분리 수납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드나 명함 등이 수납되더라도 외형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방 개구부 및 일측에 형성되는 제1개구부를 갖는 'ㄷ' 형상의 평면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부착되며 표면에 형성되는 제2개구부를 갖는 상판과,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하판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제1개구부를 통해 휴대 전자기기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삽입된 휴대 전자기기의 화면부가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의 제1개구부의 길이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가로부의 길이보다 작은 값을 가지며,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삽입을 위해 상기 프레임은 양단 각각에 외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의 회동부는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가지며, 상기 상판 또는 하판은 상기 회동부의 걸림돌기에 대응되도록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판 및 하판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소정 면적을 갖도록 각각 내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은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의 양 모서리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은 외측으로 볼록한 외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는 제1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제1단턱부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제2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판은 상기 제2단턱부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판은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와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양측부를 가지며, 상기 하판의 양측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하판의 평면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 사이에 끼워져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와 평평한 면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판의 양측부 사이에 요입형성되는 상기 평면부에는 다수의 장식용 스톤이 구비된 시트지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판 및 하판은 각각 합성수지 재질의 심재와, 상기 심재의 일면 및 타면에 도포되는 핫멜트층과, 상기 핫멜트층에 접착되는 가죽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심재 및 가죽외피는 고주파를 이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판은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와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양측부를 가지며, 상기 하판의 양측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하판의 평면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 사이에 끼워져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와 평평한 면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판의 양측부 사이에 요입형성되는 상기 평면부에는 다수의 장식용 스톤이 구비된 시트지가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방 개구부 및 일측에 형성되는 제1개구부를 갖는 'ㄷ' 형상의 평면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부착되며 표면에 형성되는 제2개구부를 갖는 상판과,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제1커버부 및 상기 제1커버부의 일측단에서 폴딩가능하게 연장되어 상기 상판의 상면을 덮을 수 있는 제2커버부를 갖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제1개구부를 통해 휴대 전자기기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삽입된 휴대 전자기기의 화면부가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는 일체를 이루되 각각 내장되는 제1심재 및 제2심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프레임의 제1개구부의 길이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가로부의 길이보다 작은 값을 가지며,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삽입을 위해 상기 프레임은 양단 각각에 외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커버부는 내측 표면에 카드 또는 명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삽입구를 갖고, 상기 제2심재는 일면에 오목하게 요입형성되는 수납부를 갖되, 상기 제2심재의 수납부가 상기 제2커버부의 삽입구 하방에 위치함으로써 카드나 명함이 상기 제2커버부의 삽입구로 삽입되어 상기 제2심재의 수납부에 안착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심재의 수납부는 상기 제2커버부의 삽입구 쪽에 위치하는 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의하면, 프레임에 상판 및 하판이 부착되어 휴대 전자기기가 견고하게 수납되어 쉽게 빠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의하면, 프레임의 테두리에 휴대 전자기기가 관통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됨으로써 휴대 전자기기의 수납 및 인출이 용이하며, 아울러 프레임의 양단에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회동부가 형성됨으로써 수납된 휴대 전자기기가 쉽게 빠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의하면, 프레임에 상판이 부착됨으로써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부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의하면, 카드 수납부를 갖는 폴딩가능한 커버가 마련됨으로써 카드나 명함을 간편하게 수납 및 인출할 수 있고, 휴대 전자기기와 카드를 별도로 분리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의하면, 커버에 내장되는 심재에 카드가 안착 수납될 수 있는 수납부가 요입형성됨으로써, 카드나 명함 등이 수납되더라도 덮개의 외형이 그대로 유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분해도.
도 3은 도 1의 A-A'부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사용상태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다른 예들을 보인 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구성하는 상판 및 하판의 다른 예들을 보인 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보인 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저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B-B'부 단면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분해도.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휴대 전자기기로 핸드폰만을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태블릿피씨, MP3, PMP 등 모든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각종 전자기기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에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프레임(100), 상판(200) 및 하판(300)을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 개구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와, 일측에 형성되는 제1개구부(110)를 갖는다. 즉, 프레임(100)은 대략 'ㄷ' 형상의 평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프레임(100)은 양단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부(120)를 가질 수 있는데, 회동부(12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프레임(100)은 휴대 전자기기의 테두리를 감싸게 되며,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가 바닥에 떨어지는 경우 충격으로부터 휴대 전자기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100)의 회동부(12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100)은 상판(200) 및 하판(300)과 부착되는 상단부(130) 및 하단부(140)를 갖는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130) 및 하단부(140)는 각각 소정 면적을 갖도록 내측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프레임(100)은 'ㄷ' 형상의 단면을 갖게 된다. 프레임(100)의 상단부(130) 및 하단부(140)를 연장형성한 이유는 상판(200) 및 하판(300)과의 부착면적을 넓혀 부착력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더욱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은 상단부(130) 및 하단부(140)와의 부착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상단부(130) 및 하단부(140)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132, 142)와, 상단부(130) 및 하단부(140)의 양 모서리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돌출부(134, 144)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100)의 상단부(130)에 제1돌출부(132)와 제2돌출부(134)를 더 형성할 수 있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판(200)이 제2개구부(210)를 제외한 양쪽 표면(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이며, 그 표면에 제1돌출부(132)와 제2돌출부(134)가 부착된다.
상판(200)은 프레임(100)의 상단부(130)에 부착되어,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판(200)은 표면에 형성되는 제2개구부(210)를 갖는데, 제2개구부(210)는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부의 화면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판(200)은 제2개구부(210)를 제외한 표면이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부를 커버하게 되며, 따라서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부가 하방을 향하는 상태에서 바닥으로 떨어지더라도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부의 파손이 상판(200)에 의해 최소화될 수 있다.
상판(200)에는 휴대 전자기기의 버튼, 스피커, 카메라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버튼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 및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판(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에 부착되는 부드러운 천 또는 가죽 재질의 내피(230)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합성수지 재질의 상판(200)에 휴대 전자기기가 직접 접촉되지 않고 그 사이에 내피가 개재되도록 함으로써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부에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상판(200)의 내피(230)는 제2개구부(210)를 제외한 상판(200)의 내측면에 부착되되, 프레임(100)과 상판(200)이 부착되는 부분에는 내피(230)가 부착되지 않아도 무방하며, 이에 따라 상판(200)에 부착되는 내피(230)는 상판(200)과 부착되는 프레임(100)의 상단부(130)와 대략 동일 수평면을 이루게 되며, 삽입되는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부와 접촉하게 된다.
하판(300)은 프레임(100)의 하단부(140)에 부착되어, 휴대 전자기기의 배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하판(300)은 상판(200)과 마찬가지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판(200) 및 하판(300)은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하판(300)은 내측면에 부착되는 부드러운 천 또는 가죽 재질의 내피(330)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합성수지 재질의 하판(200)에 휴대 전자기기가 직접 접촉되지 않고 그 사이에 내피(330)가 개재되도록 함으로써 휴대 전자기기의 배면부에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300)의 내피(330)는 프레임(100)과 하판(300)이 부착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만 부착되며, 이에 따라 하판(300)에 부착되는 내피(330)는 하판(300)과 부착되는 프레임(100)의 하단부(140)와 대략 동일 수평면을 이루게 되며, 삽입되는 휴대 전자기기의 배면부와 접촉하게 된다.
프레임(100)에 상판(200) 및 하판(300)이 부착되면, 프레임(100)에 형성된 제1개구부(110)를 통해 휴대 전자기기를 삽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삽입된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부에 마련된 화면부는 상판(200)의 제2개구부(21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프레임(100)의 제1개구부(110)는 휴대 전자기기의 가로부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그러한 경우에는 휴대 전자기기를 프레임(100)의 제1개구부(110)로 밀어넣기만 하면 된다.
이와 달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제1개구부(110)의 길이(a)가 휴대 전자기기(1)의 가로부의 길이(b)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고, 그러한 경우에는 휴대 전자기기(1)의 삽입을 위해 프레임(100)의 양단이 양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양단 각각에 회동부(120)가 형성된다. 회동부(120)는 휴대 전자기기(1)가 삽입되어 수납된 후 다시 원래 상태로 환원되어 휴대 전자기기(1)가 케이스 밖으로 쉽게 빠져나오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회동부(120)는 탄성을 갖는 재질, 예컨대 프레임(100)과 같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120)는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22)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대응하도록 상판(200)은 회동부(120)의 걸림돌기(122)가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홈(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회동부(120)의 하면에도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되도록 하판(300)의 내면에 걸림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휴대 전자기기(1)를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프레임(100)의 회동부(120)를 각각 손(도시되지 않음)으로 외측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휴대 전자기기(1)를 프레임(100)의 제1개구부(110)로 삽입시키면 된다.
이 경우,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손으로 회동부(120)를 회동시킨 후에 손에서 회동부(120)를 놓게 되더라도, 회동부(120)의 걸림돌기(122)가 상판(200) 및 하판(300)의 테두리에 각각 걸리게 되어 프레임(100)의 제1개구부(11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100)의 제1개구부(110)로 휴대 전자기기를 삽입시킬 수 있다.
삽입된 휴대 전자기기(1)의 화면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는 상판(200)의 제2개구부(21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판(200)의 내측에 부착된 내피(도시되지 않음)와 하판(300)의 내측에 부착된 내피(330)는 휴대 전자기기(1)의 삽입 또는 분리시 휴대 전자기기(1)의 전면부 및 배면부가 상판(200) 및 하판(300)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크래치를 방지하게 된다.
휴대 전자기기(1)가 케이스에 삽입되면 프레임(100)의 회동부(120)를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면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부(120)의 걸림돌기(122)가 상판(200) 및 하판(300)의 테두리에 각각 걸려있는 경우에는 손으로 회동부(120)를 밀어넣어 회동부(120)의 걸림돌기(122)가 상판(200)의 걸림홈 및 하판(300)의 걸림홈(310)에 끼워지도록 하면 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다른 예들을 보인 단면도로서, 이들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와 대비해 프레임의 형상과, 상판 및 하판과의 결합관계 등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기술적인 특징들은 대동소이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부분만 설명한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프레임(100a)이 외측으로 볼록한 외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100a)의 테두리가 어느 정도 두께를 확보됨으로써 프레임(100a)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이 향상될 수 있고, 또한 낙하시 프레임(100a)이 바닥에 떨어진 경우 쿠션의 기능도 향상되어 충격에 대한 파손 방지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프레임(100b)의 상단부(130)를 변형한 것이다. 즉, 프레임(100b)의 상단부(130)에는 제1단턱부(136)가 형성되고, 상판(200)은 제1단턱부(136)에 부착된다. 이 경우, 프레임(100b)의 상단부(130)에 제1단턱부(136)가 형성됨으로써, 상판(200)의 부착시 상판(200)의 테두리면(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이 프레임(100b)의 제1단턱부(136)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판(200)을 정확하고 쉽게 부착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프레임(100c)의 하단부(140)를 변형한 것으로, 프레임(100c)의 하단부(140)에 제2단턱부(146)가 형성되고, 하판(300)은 제2단턱부(146)에 부착된다. 이 경우, 프레임(100c)의 하단부(140)에 제2단턱부(146)가 형성됨으로써, 하판(300)의 부착시 하판(300)의 테두리면(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이 프레임(100c)의 제2단턱부(146)에 걸리게 됨으로써 하판(300)을 정확하고 쉽게 부착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프레임(100d)의 상단부(130) 및 하단부(140)를 변형한 것이다. 프레임(100d)의 상단부(130) 및 하단부(140)에는 각각 제1단턱부(136) 및 제2단턱부(146)가 형성되고, 상판(200) 및 하판(300)은 각각 제1단턱부(136) 및 제2단턱부(146)에 부착된다. 프레임(100d)의 상단부(130) 및 하단부(140)에 제1단턱부(136) 및 제2단턱부(146)가 형성됨으로써, 상판(200) 및 하판(300)의 부착시 상판(200) 및 하판(300)의 테두리면(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이 프레임(100d)의 제1단턱부(136) 및 제2단턱부(146)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판(200) 및 하판(300)을 정확하고 쉽게 부착할 수 있다.
더욱이, 휴대 전자기기가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판(200) 및 하판(300)에 내측방향으로 눌리도록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도 3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비해 프레임(100d)에서 상판(200) 및 하판(300)이 떨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왜냐하면, 도 3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상판(200)의 하부면이 프레임(100)의 상단부에 부착되고 하판(300)의 상부면이 프레임(100)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구조이지만, 도 9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프레임(100d)의 제1단턱부(136) 및 제2단턱부(146)에 각각 상판(200)의 테두리면 및 하판(300)의 테두리면이 부착되어 있어서 단순히 상판(200)의 하부면 및 하판(300)의 상부면이 프레임(100)에 부착된 경우에 비해 부착력이 견고하기 때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상판 및 하판의 다른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판(200) 및 하판(300)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와 달리 합성수지 재질의 심재(10)와 심재(10)의 일면 및 타면을 덮는 가죽외피(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심재(10)와 가죽외피(30) 사이에는 핫멜트층(20)이 형성된다. 접착 방식은 고주파 접착에 의할 수 있다. 즉, 심재(10)의 일면 및 타면에 핫멜트층(20)을 도포하고, 가죽외피(30)를 접착한 다음 고주파를 이용하여 완전하게 접착고정시킨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하판(300')의 형상을 변경하고, 이에 더하여 하판(300')에 장식용 스톤(410)을 부착한 것에 특징이 있으며, 기타 기술적인 특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대동소이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특징부만 설명한다.
우선, 하판(300')은 평면부(300a')와 양측부(300b)를 가지며, 양측부(300b)는 평면부(300a')와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프레임(100)의 하단부(140)에 부착된다. 이 경우, 양측부(300b)는 평면부(300a')보다 낮게 단차를 이루게 되며, 하판(300')의 평면부(300a')는 프레임(100)의 하단부(140) 사이에 끼워져 프레임(100)의 하단부와 평평한 면을 이루게 된다. 이 경우, 하판(300')의 평면부(300a') 상에는 내피가 부착되지 않을 수 있고, 상판(200)에만 내피(230)가 부착될 수 있다.
도면상 하판(300')의 하부면(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에는 평면부(300a')와 양측부(300b')의 단차에 의해 요입형성되는 요입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평면부(300a') 및 양측부(300b)가 단차를 이루는 하판(300')은 단순히 평판 형태에 비해 프레임(100)과의 부착력이 견고해질 수 있다.
더욱이, 하판(300')의 요입부에는 다수의 장식용 스톤(410)이 부착된 시트지(400)가 부착될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상의 차이를 둠으로써 하트 모양이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는 디자인을 비롯하여 다양한 무늬가 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시트지(400) 및 장식용 스톤(410)의 높이를 하판(300')의 양측부(300b') 두께와 대략 동일하게 하거나 그보다 작게 함으로써, 장식용 스톤(410)이 하판(300')의 요입부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프레임(100), 상판(200), 커버(5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프레임(100)과 상판(20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프레임(100) 및 상판(200)과 기술적인 특징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커버(500)에 관한 설명만 하기로 한다.
커버(500)는 휴대 전자기기(1)의 전면부 및 배면부를 덮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프레임(100)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휴대 전자기기(1)의 배면부를 덮는 제1커버부(510), 상판(200)의 상면을 덮음으로써 휴대 전자기기(1)의 전면부를 덮게 되는 제2커버부(52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2커버부(520)는 제1커버부(510)의 일측단에서 폴딩가능하게 연장되며, 제1커버부(510)와는 일체를 이룬다. 따라서 제1커버부(510)의 일면에 프레임(100)의 하단부가 부착고정되고, 프레임(100)의 상단부에 상판(200)이 부착고정되며, 제1커버부(510)와 폴딩가능한 제2커버부(520)는 상판(200)의 상면을 덮거나 개방시키게 된다. 제1커버부(510)는 제1심재를, 제2커버부(520)는 제2심재를 가지며, 제1심재(512) 및 제2심재(522)는 제1커버부(510) 및 제2커버부(520)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제2커버부(520)는 카드 또는 명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삽입구를 가진다. 이에 대응되도록, 제2심재(522)는 일면에 오목하게 요입형성되는 수납부(523)를 가진다. 이 경우, 제2심재(522)의 수납부(523)는 제2커버부(520)의 삽입구(521) 하방에 위치하며, 카드나 명함이 제2커버부(520)의 삽입구(521)로 삽입되어 제2심재(522)의 수납부(523)에 안착 수납될 수 있다. 즉, 제2심재(522)를 소정의 단차를 갖도록 오목하게 깎아 수납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카드 등이 삽입되더라도 볼록하게 돌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제2심재(522)의 수납부(523)의 두께와 크기는 수납되는 카드 등의 두께 및 크기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심재(522)의 수납부(523)는 제2커버부(520)의 삽입구(521) 쪽에 위치하는 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심재(522)의 수납부(523)에서 카드(2) 등이 출입되는 부분을 모따기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직한 형태의 단턱부를 제거하고, 경사면(524)을 형성함으로써 카드(2) 등이 걸리지 않고 경사면(524)을 따라 자연스럽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제2심재(522)의 수납부(523)에 경사면을 형성하지 않고 수직한 형태의 단턱부를 그대로 두어도 무방하며, 다만 그 경우에는 카드(2)를 빼내기 위해 카드(2)와 심재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도록 심재에 힘을 가하여 약간 구부릴 필요가 있다. 참고로, 미설명된 부호 530은 제1커버부(51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부드러운 천 또는 가죽 재질의 내피를 가리키는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자기기(1)를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커버(500)를 펼친 후 휴대 전자기기(1)를 프레임(100)의 제1개구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로 밀어넣으면 된다. 이 경우, 휴대 전자기기(1)의 수납을 위해 프레임(100)의 회동부(120)를 회동시켜야 하는 등의 기술적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카드(2)를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커버부(520)의 삽입구(521)로 카드(2)를 삽입하여 끝까지 밀어넣으면 카드(2)가 제2심재(522)의 수납부(523)에 안착된다. 이 경우, 제2심재(522)의 수납부(523)가 요입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2)가 수납된 상태에서 제2커버부(520)가 볼록하게 돌출되지 않으며, 따라서 커버(500)의 외형이 원래 상태 그대로 유지될 수 있고 제2커버부(520)의 찢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카드(2)를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커버부(520)의 삽입구(521)를 통해 손가락으로 카드(2)를 가압한 후 잡아당기면 되고, 제2심재(522)의 수납부(523)에 경사면(52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2)가 걸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인출될 수 있다.
100, 100a, 100b, 100c, 100d : 프레임 110 : 제1개구부
120 : 회동부 122 : 걸림돌기
130 : 상단부 132, 142 : 제1돌출부
134, 144 : 제2돌출부 136 : 제1단턱부
140 : 하단부 146 : 제2단턱부
200 : 상판 210 : 제2개구부
230, 330 : 내피 300, 300' : 하판
300a' : 평면부 300b' : 양측부
310 : 걸림홈 400 : 시트지
410 : 장식용 스톤 500 : 커버
510 : 제1커버부 512 : 제1심재
520 : 제2커버부 522 : 제2심재

Claims (16)

  1. 상하방 개구부와, 일측에 형성되는 제1개구부를 갖는 'ㄷ' 형상의 평면을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부착되며 표면에 형성되는 제2개구부를 갖는 상판; 및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하판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제1개구부를 통해 휴대 전자기기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삽입된 휴대 전자기기의 화면부가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프레임의 제1개구부의 길이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가로부의 길이보다 작은 값을 가지며,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삽입을 위해 상기 프레임은 양단 각각에 외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회동부는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가지며, 상기 상판 또는 하판은 상기 회동부의 걸림돌기에 대응되도록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 및 하판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5. 상하방 개구부와, 일측에 형성되는 제1개구부를 갖는 'ㄷ' 형상의 평면을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부착되며 표면에 형성되는 제2개구부를 갖는 상판; 및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하판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제1개구부를 통해 휴대 전자기기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삽입된 휴대 전자기기의 화면부가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소정 면적을 갖도록 각각 내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은 'ㄷ'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의 양 모서리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외측으로 볼록한 외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는 제1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제1단턱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제2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판은 상기 제2단턱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10. 상하방 개구부와, 일측에 형성되는 제1개구부를 갖는 'ㄷ' 형상의 평면을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부착되며 표면에 형성되는 제2개구부를 갖는 상판; 및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하판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제1개구부를 통해 휴대 전자기기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삽입된 휴대 전자기기의 화면부가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상판 및 하판은 각각 합성수지 재질의 심재와, 상기 심재의 일면 및 타면에 도포되는 핫멜트층과, 상기 핫멜트층에 접착되는 가죽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심재 및 가죽외피는 고주파를 이용하여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와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양측부를 가지며, 상기 하판의 양측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하판의 평면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 사이에 끼워져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와 평평한 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하판의 양측부 사이에 요입형성되는 상기 평면부에는 다수의 장식용 스톤이 구비된 시트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13. 상하방 개구부와, 일측에 형성되는 제1개구부를 갖는 'ㄷ' 형상의 평면을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부착되며 표면에 형성되는 제2개구부를 갖는 상판; 및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제1커버부와, 상기 제1커버부의 일측단에서 폴딩가능하게 연장되어 상기 상판의 상면을 덮을 수 있는 제2커버부를 갖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제1개구부를 통해 휴대 전자기기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삽입된 휴대 전자기기의 화면부가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는 일체를 이루되 각각 내장되는 제1심재 및 제2심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제1개구부의 길이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가로부의 길이보다 작은 값을 가지며,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삽입을 위해 상기 프레임은 양단 각각에 외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15. 청구항 13 또는 14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부는 내측 표면에 카드 또는 명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삽입구를 갖고, 상기 제2심재는 일면에 오목하게 요입형성되는 수납부를 갖되, 상기 제2심재의 수납부가 상기 제2커버부의 삽입구 하방에 위치함으로써 카드나 명함이 상기 제2커버부의 삽입구로 삽입되어 상기 제2심재의 수납부에 안착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심재의 수납부는 상기 제2커버부의 삽입구 쪽에 위치하는 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20120144052A 2012-10-23 2012-12-12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247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9456 WO2014065578A1 (ko) 2012-10-23 2013-10-23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608 2012-10-23
KR20120117608 2012-10-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7406B1 true KR101247406B1 (ko) 2013-03-25

Family

ID=48182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052A KR101247406B1 (ko) 2012-10-23 2012-12-12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47406B1 (ko)
WO (1) WO20140655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982B1 (ko) * 2015-11-30 2018-07-16 (주)한보이앤씨 스마트폰의 외면보호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55B1 (ko) 2010-06-21 2010-09-15 에스지피코리아 (주)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0990284B1 (ko) * 2008-05-30 2010-10-26 김상범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071B1 (ko) * 2009-09-15 2010-01-12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제조방법
KR101166237B1 (ko) * 2010-12-01 2012-07-16 상신이디피(주) 휴대용 충전기와 여기에 장착된 핸드폰의 보호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284B1 (ko) * 2008-05-30 2010-10-26 김상범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KR100982555B1 (ko) 2010-06-21 2010-09-15 에스지피코리아 (주)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982B1 (ko) * 2015-11-30 2018-07-16 (주)한보이앤씨 스마트폰의 외면보호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5578A1 (ko) 201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4192B2 (en)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
KR10139428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US10256860B2 (en) Card storage mobile phone case
US8267251B2 (en) Case for enclosing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and a card
KR101386340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422194B1 (ko)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200469053Y1 (ko) 핸드폰 보호 케이스
JP5689520B1 (ja) 携帯電話機用背面カバー
KR200471599Y1 (ko) 카드 수납이 용이한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KR101348712B1 (ko)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
US20160254835A1 (en) Integrated screen and perimeter prot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247406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750677B1 (ko) 카드 홀더
KR102013326B1 (ko) 휴대단말장치에 구비된 슬롯 및 윈도우 보호 커버
KR200472146Y1 (ko) 탈부착이 가능한 어플부재를 구비하는 보호 케이스
KR101369297B1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2067337B1 (ko) 개선된 구조의 스마트폰 뒷면 커버
KR200472723Y1 (ko)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0464932Y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0472573Y1 (ko) 지갑이 내장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0474127Y1 (ko)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0471486Y1 (ko)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커버
KR101585224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422196B1 (ko)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101529168B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