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521B1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521B1
KR101301521B1 KR1020070112864A KR20070112864A KR101301521B1 KR 101301521 B1 KR101301521 B1 KR 101301521B1 KR 1020070112864 A KR1020070112864 A KR 1020070112864A KR 20070112864 A KR20070112864 A KR 20070112864A KR 101301521 B1 KR101301521 B1 KR 101301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window
area
unit
termin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6618A (ko
Inventor
이성철
박효성
송준혁
박상민
박재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2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521B1/ko
Priority to TW097125382A priority patent/TWI406551B/zh
Priority to MX2008008909A priority patent/MX2008008909A/es
Priority to US12/172,522 priority patent/US8249661B2/en
Priority to EP14151191.5A priority patent/EP2722738B1/en
Priority to DE202008018311U priority patent/DE202008018311U1/de
Priority to EP08163667.2A priority patent/EP2058727B1/en
Priority to PL08163667T priority patent/PL2058727T3/pl
Priority to ES08163667.2T priority patent/ES2468245T3/es
Priority to JP2008259500A priority patent/JP4849483B2/ja
Priority to CN201410008368.2A priority patent/CN103761040B/zh
Priority to CN200810176144.7A priority patent/CN101431552B/zh
Publication of KR20090046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618A/ko
Priority to US13/544,591 priority patent/US8447364B2/en
Priority to US13/865,565 priority patent/US871247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에 제1영역과 제2영역이 형성된 단말기 바디와, 상기 제1영역에 시각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터치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게 형성되는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제2영역 상의 설정된 위치에 가하여진 터치에 의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구성되는 터치패드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개선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의 디자인을 보다 심플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과 터치 패드를 구비하여 보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으며, 보다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직관적인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을 추구함과 동시에 단말기 디자인의 심플화 경향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 터치 스크린 기능을 구현되는 것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의 디자인을 보다 심플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전면에 제1영역과 제2영역이 형성된 단말기 바디와, 상기 제1영역에 시각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터치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게 형성되는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제2영역 상의 설정된 위치에 가하여진 터치에 의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구성되는 터치패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제1영역에는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되고,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전면에는 투광성 재질의 윈도우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터치스크린부는 상기 윈도우의 내측에 부착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패드부는 상기 터치시트가 상기 제2영역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터치를 감지하도록 도전 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도전 패턴은 상기 터치시트에 복수의 개소로 떨어져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터치패드부는 상기 제2영역을 조명하는 발광시 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시트에는 상기 발광시트의 영향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발광시트의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쉴딩패턴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터치시트의 가장자리에는 터치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쉴딩패턴은 상기 데이터 라인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터치 시트에서 상기 데이터 라인이 위치한 면의 반대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발광시트에는 터치되는 상기 터치키부에 대응되는 키를 개별적으로 조명시키도록 개별화된 발광패턴이 구비되고, 상기 발광패턴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갖고, 반경에 따라 차례로 배열되는 동심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동심원 형태의 발광패턴은 시순차적으로 주변 방향을 따라 밝기가 변하도록 개별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휴대 단말기는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는 센터키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센터키의 누름 동작에 따라 정보를 입력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제1영역에는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그 전면에 배치되는 투광성 재질의 윈도우가 장착되고, 상기 터치스크린부는 상기 윈도우의 내측에 부착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터치패드부는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어 터치를 입력받는 터치 패널과,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터치패널에 입력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터치패널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센서는 상기 바디 내부의 인쇄기판에 복수의 개소로 떨어져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터치패널의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휴대 단말기는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는 센터키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센터키의 누름 동작에 따라 정보를 입력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 바디에는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둘레를 감싸는 지지 프레임이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누름 동작에 따라 정보를 입력하는 스위치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터치스크린부에는 선택가능한 리스트가 표시되고, 상기 터치패드부는 상기 리스트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방향키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 바디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에는 상기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터치패드부가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바디에는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가 전면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형성된 제1영역과 제2영역에 터치스크린부와 터치패드부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의 디자인을 보다 심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패드부를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시키는 방향키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한 조작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시트의 그라운드와 터치시트의 쉴딩 패턴을 전기적으로 단락시킴으로써, 발광시트가 터치시트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터치시트와 발광 시트를 동시에 구비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시트에 터치키부를 개별적으로 조명하는 발광패턴을 구비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터치가 입력된 것을 효과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으며, 동심원 형태의 발광패턴들이 시순차적으로 밝기가 변하도록 개별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는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10)와, 상기 제1바디(1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120)를 포함한다.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터치스크린부(113), 터치패드부(114), 음향출력부(115), 제1영상입력부(116), 및 제1조작부(117)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의 전면에는 제1영역(113a)과 제2영역(113b)이 형성되고, 제1영역(113a)과 제2영역(113b)에는 터치스크린부(113)와 터치패드부(114)가 각각 형성된다.
터치스크린부(113)는 시각 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터치 방식에 의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터치패드부(114)는 제2영역 상의 설정된 위치에 가하여진 터치에 의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음향출력부(115)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제1영상입력부(116)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조작부(117)는 누름 동작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바디(1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조작부(124), 음향 입력부(125), 인터페이스(126)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및 제3조작부(123,124)는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및 제3조작부(123,124)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17)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1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조작부(124)는 제1영상입력부(116)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음향 입력부(1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1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1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의 후면에는 제2영상입력부(1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영상입력부(128)는 제1영상입력부(116,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16)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116)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1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영상입력부(128)에 인접하게는 제2영상입력부(1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는 플래쉬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제2영상입력부(128)가 제2바디(1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1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1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영상입력부(1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영상입력부(116)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영상입력부(1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리어 케이스(12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2)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132)는 제2바디(1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33)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33)의 다른 부분은 제2바디(120)의 프론트 케이스(12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제2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덮기 위한 배터리 커버(127)가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는 제2바디(12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와 달리 외장의 형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배터리 커버(127)의 후면에는 휴대 단말기(100)가 바닥이나 경사면에 대하여 쉽게 이동되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턴부(129)가 형성될 수 있다. 패턴부(129)는 격자 또는 빗살무늬와 같은 기하학적인 규칙적인 무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턴부(129)는 수지물(예를 들면, 탄소섬유)을 메탈 베이스에 코팅 또는 사출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의 분해 사시도로서, 구체적으로 제1바디(11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바디(110)를 구성하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인쇄회로기판들(134a,134b)이 장착되고, 인쇄회로기판(134a,134b)에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부품들이 장착된다.
인쇄회로기판(134a)에는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35)이 장착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35)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35)의 외측면에는 윈도우(136)가 배치되며, 윈도우(136)는 디스플레이 모듈(135)에 표시된 시각 정보가 보이도록 투광성 영역을 구비한다. 윈도우(136)의 재질로서 투명한 재질 또는 반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 강화 유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윈도우(136)의 제2영역(114a,도 1 참조)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관통홀(136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음향출력부(115)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115a)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윈도우(136)를 안착시키기고 지지하기 위한 윈도우 안착부(138)가 형성될 수 있고, 이는 프론트 케이스(111)의 표면에서 움푹 들어간 형태로 형성된다.
윈도우 안착부(138)의 둘레에는 지지 프레임(139)이 장착될 수 있으며, 지지 프레임(139)의 재질로서 금속재질이나 반투광성의 합성수지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39)의 일 영역에는 누름 동작되는 제1조작부(11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134b)에는 제1조작부(117)가 누름 동작됨에 따라 정보가 입력되는 스위치(117a)들이 장착될 수 있다.
윈도우(136)의 내측면에는 터치의 감지를 위한 터치시트(150)가 부착되며, 터치시트(15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시트(150)는 연성회로기판(141)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34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터치시트(150)의 제2영역(114a)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관통홀(150a)이 형성될 수 있고, 윈도우(136)와 터치시트(150)의 관통홀(136a,150a)에는 센터키(118)가 누름 동작 가능하게 배치된다. 센터키(118)의 후면에는 센터키(118)의 누름 동작에 따라 정보를 입력하는 스위치(118a)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시트(150)의 일 영역에는 제1조작부(117)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홀(150b)이 형성될 수 있다.
터치시트(150)의 내측에는 면발광되는 발광시트(160)가 배치된다. 발광시트(160)는 윈도우(136)의 제2영역(114a)에 해당하는 부분을 조명하거나 여기에 일정한 표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EL 시트(ElectroLuminescence Sheet)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터치시트(150)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터치시트(150)의 평면도로서, 터치시트(150)를 제1바디(110)의 후면에서 전면 방향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다.
터치시트(150)에는 터치스크린부(113)을 형성하는 제1영역(151)과, 제1영역(151)에서 연장되어 터치패드부(114)를 형성하는 제2영역(152)이 구비된다.
제1 및 제2영역(151,152)에는 터치 감지를 위한 도전패턴이 형성되며, 터치 시트의 가장자리에는 데이터 라인(153)이 형성된다.
제1영역(151)에 형성된 도전패턴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부(113)에 표시된 시각정보를 터치함으로써 정보가 입력되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며, 제2영역(152)의 도전 패턴은 미리 설정된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터치 시트(150)의 가장자리에는 도전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라인(153)이 배치된다. 데이터 라인(153)은 도전 패턴에 입력된 터치 신호를 제1바디(110)의 내부로 전달하며, 이를 위하여 데이터 라인(153)의 말단은 연성회로기판(141)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34b)과 연결된다. 도전패턴은 도전성 재질, 예를 들면 ITO(인듐 주석 산화물, Indium Tin Oxide)이 터치시트(150)에 패턴화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제2영역(152)에는 복수의 개소로 떨어져 위치되는 터치키부(154)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의 터치키부(154)는 관통홀(150a)을 중심으로 상, 하, 좌, 우로 떨어져 배치된다. 터치키부(154)는 도전성 물질이 터치시트(150)에 증착되어 형성되며, 이들은 데이터 라인(15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영역(152)의 내측에는 발광시트(160)가 배치될 수 있고, 발광시트(160)는 터치키부(154)에 발광 패턴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Ⅴ-Ⅴ 라인을 따르는 휴대 단말기(100)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5를 참조하면, 터치시트(150)의 가장자리에는 쉴딩 패턴(155)이 형성된다. 쉴딩 패턴(155)은 도전패턴의 신호{예를 들면, 데이터 라인(153)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가 외부의 영향, 즉 전자부품들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로부터의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쉴딩패턴(155)은 데이터 라인(15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데이터 라인(153)이 위치한 면의 반대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라인(153)이 터치시트(150)의 내측에 형성되고, 쉴딩패턴(155)은 터치시트(150)의 외측에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데이터 라인(153)이 터치시트(150)의 외측에, 쉴딩 패턴(155)이 터치시트(15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전 패턴은 데이터 라인(153)이 위치한 면과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발광시트(160)에는 그라운드(161)가 형성되며, 쉴딩패턴(155)은 발광시트(160)의 그라운드(161)와 전기적으로 단락된다. 여기서, 발광시트(160)의 그라운드(161)와 쉴딩패턴(155)의 연결 방식은 케이블에 의한 연결 또는 접점간의 연결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할 수 있다.
쉴딩패턴(155)과 발광시트(160)의 그라운드(161)가 전기적으로 단락됨으로써, 발광시트(160)에서 발생하는 전압이 터치시트(150)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3의 발광시트(160)의 정면도들로서, 터치패드부(114)에 터치 입력시 발광시트(160)의 동작을 시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발광시트(160)에는 터치패드부(114)가 터치되었을 때, 터치키부(154)를 개별적으로 조명시키도록 개별화된 발광패턴(162)이 구비될 수 있다. 발광 패턴(162)은 복수의 터치키부(154)들 중 하나에 터치가 가해졌을 때 발광됨으로써 터치키부(154)에 터치가 입력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발광패턴(162)은 터치시트(150)의 터치키부(154)에 대응되는 영역에 복수로 위치되며, 각 발광패턴(162)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동심원들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발광시트(160)의 우측 영역에 배치된 발광패턴(162)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실선으로 나타낸 것은 발광패턴(162)이 발광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점선으로 나타낸 것은 발광패턴(162)이 발광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발광패턴(162)은 그 반경에 따라 제1 내지 제4발광패턴(162a 내지 162d)들로 구성될 수 있고, 각 동심원 형태의 발광패턴들(162a 내지 162d)은 반경에 따라 차례로 배열된다.
각 발광패턴(162a 내지 162d)들은 전류의 세기에 따라 밝기가 조절될 수 있는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4발광패턴(162a 내지 162d)은 시순차적으로 주변 방향을 따라 밝기가 차례로 변하도록 개별 제어될 수 있다. 도 6a 내지 6d에서 다른 발광패턴(162)에 비해 굵기가 굵게 나타낸 것은 가장 밝기가 밝은 상태의 발광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발광패턴(162)들은 시간에 따라 제1 내지 제4발광패턴들(162a 내지 162d)이 차례로 가장 밝은 상태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a와 같이, 터치시트(150)의 터치키부(154)에 터치가 입력되면 제1발광패턴(162a)이 가장 밝은 상태에 있도록 제어되고, 시간이 지나면 제1발광패턴(162a)의 밝기가 어두워지고, 제2발광패턴(162b)의 밝기가 가장 밝은 상태에 있도록 제어된다(도 6b 참조).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도 6c와 같이 시간에 따라 제3발광패턴(162c)이 가장 밝은 상태가 되고, 도 6d와 같이 제4발광패턴(162d)이 가장 밝은 상태가 된 후 제1 내지 제4발광패턴들(162a 내지 162d)의 발광이 정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패드부(114)에 터치를 입력하면 해당 터치키부(154)에 대응되는 발광패턴(162)이 발광하게 되며, 링 형태의 빛이 주변 방향을 따라 퍼져 나가도록 보이는 시각적 효과가 구현된다.
상기와 반대로 제4발광패턴(162d)부터 제1발광패턴(162a)이 차례로 가장 밝은 상태에 있도록 개별 제어함으로써, 링 형태의 빛이 시간에 따라 내부 방향을 따 라 들어오도록 보이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4개의 동심원 형태의 발광패턴들(162a 내지 162d)이 차례로 배열된 구성을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발광 패턴들(162a 내지 162d)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7a 내지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100)의 평면도들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부(113)에는 휴대 단말기(100)가 갖는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메뉴 또는 아이콘(113c)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동작시키고자 하는 메뉴나 아이콘(113c,예를 들면 문자 메세지)이 표시된 부분을 터치하면 그 해당 기능이 동작하게 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부(113)에는 선택 가능한 리스트(113d)가 표시될 수 있고, 리스트(113d)에는 커서 또는 포인터(113e)가 위치된다.
여기서, 터치패드부(114)는 리스트(113d)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113e)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방향키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b에서는 리스트의 일예로서 전화번호부를 들었으며, 하부에 위치한 터치키부(154)에 해당하는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커서 또는 포인터(113e)를 하측으로 이동시킨 후, 중앙 영역에 위치한 센터키(118)를 누름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알고자 하는 정보(예를 들면, 전화번호)를 터치스크린부(113)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터치패드부(114)를 터치할 때 터치키부(154)에 해당하는 영역에 발광패턴(162)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7c와 같이 사용자는 제3조작부(123)를 조작함으로써, 문자, 숫자, 심볼 등을 단말기에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113c)을 직접 터치함에 따라 그 해당 아이콘(113c)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터치 스크린 입력 방식과, 리스트(113d)에 표시된 커서(113e)를 이동시키는 방향키에 의한 입력 방식과, 문자, 숫자, 심볼 등을 입력시키기 위한 키패드에 의한 입력 방식을 모두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200)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휴대 단말기(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9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 또한 제1바디(210)의 전면에 제1영역(213a)과 제2영역(214a)이 형성되고, 제1영역(213a)과 제2영역(214a)에는 터치스크린부(213)와 터치패드부(214)가 배치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213a)의 전면에는 투광성 재질의 윈도우(236)가 장착되며, 윈도우(236)의 내측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시트(250)가 장착된다. 윈도우(236)에 터치가 입력되면, 터치시트(250)가 이를 감지하여 단말기 바디(110,120)의 내부로 터치 신호를 전달한다.
제2영역(214a)의 전면에는 터치 패널(219)이 장착되며, 터치 패널(219)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219)의 내측에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219a)가 장착되며, 터치 센서(219a)는 인쇄회로기판(234)에 복수의 개소로 떨어져 장착된다.
터치 패널(219) 중 터치 센서(219a)에 대응되는 영역이 터치되면, 터치 센서(219a)가 이를 감지하여 인쇄회로기판(234)에 터치신호를 전달한다.
터치 패널(219)의 중앙에는 관통홀(219b)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219b)에는 누름 동작 가능한 센터키(218)가 장착될 수 있다. 센터키(218)의 내측에는 센터키(218)의 누름동작에 따라 정보를 입력하는 스위치(218a)가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널(219)의 내측에는 터치 패널(219)에 발광 패턴을 표시하는 발광시트(260)가 장착될 수 있으며, 발광 시트(260)의 구성 및 작용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바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나, 도 8의 단말기(200)에도 그 적용이 가능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171), 조작부(117,123,124), 영상 입력부(116,128), 음향입력부(125), 터치스크린부(113), 터치패드부(114), 음향 출력부(115), 센싱유닛(176), 인터페이스(126), 방송 수신 모듈(175), 메모리(174), 전원공급부(130),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터치스크린부(113)와 터치패드부(114)에 입력된 터치 신호를 받아들여, 다른 전자부품들이 이와 관련된 동작을 하도록 다른 전자부품들을 제어한다.
무선 통신 모듈(17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7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73)을 포함한다.
조작부(117,123,1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70)에 제공한다.
영상 입력부(116,1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터치스크린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터치스크린부(1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16,1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7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17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125)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7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7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12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부(1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터치스크린부(113)는 터치 방식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15)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7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7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15)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센싱 유닛(176)은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형태인 경우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7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3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센싱 유닛(176)은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터치스크린부(113) 또는 터치패드부(114)에 터치가 입력되면, 이를 감지하여 터치 신호를 제어부(170)에 인가한다. 터치 시트(150,도 3 참조)의 도전 패턴에 터치가 입력되면, 센싱 유닛(176)은 도전 패턴에서 발생하는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게 된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부(113)에 표시된 메뉴나 아이콘(113c,도 7a 참조)을 터치하면, 센싱 유닛(176)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70)에 해당 신호를 인가하고, 제어부(170)는 메뉴나 아이콘(113c)의 해당 기능을 동작시킨다.
사용자가 터치패드부(114)를 터치하면, 센싱 유닛(176)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70)에 신호를 인가한다. 터치패드부(114)가 방향키의 형태로 구현된 경우, 제어부(170)는 터치스크린부(113)에 표시된 리스트(113d, 도 7b 참조)의 커서(113e)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터치패드부(114)에 인가함과 동시에 발광 패턴(162,도 6a 내지 6d 참조)이 발광되기 위한 신호를 발광시트(160)에 인가한다.
이 때, 제어부(170)는 동심원 형태의 발광패턴들(162a 내지 162d)이 시순차적으로 밝기가 변화되도록 각 발광패턴들(162a 내지 162d)을 개별 제어한다.
인터페이스(126)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74)는 제어부(1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7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7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 수신 모듈(17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터치스크린부(113), 음향 출력부(115)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7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7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7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74)에 저 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터치시트의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도 3에 도시된 발광시트의 정면도들.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평면도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9는 도 9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Claims (50)

  1.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을 구비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1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터치센싱부;
    상기 윈도우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1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시각 정보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제2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 상의 기설정된 위치에 가하여진 터치에 의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터치키 입력 유닛;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 내에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 내에 배치되어, 누름 조작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메커니컬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커니컬 키의 외주는 상기 윈도우에 의하여 완전히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커니컬 키의 크기 및 형태는 상기 관통홀의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커니컬 키는 상기 윈도우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커니컬 키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키 입력 유닛은 상기 제2영역 내에서 복수의 개소에 각각 떨어져 위치하는 복수의 터치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커니컬 키는 상기 복수의 터치키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메커니컬 키와 상기 복수의 터치키부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폭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싱부는 상기 윈도우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 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레이어는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1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레이어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터치시트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시트는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1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윈도우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시트는 연성회로기판을 통하여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키 입력 유닛은 상기 윈도우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 상의 기설정된 위치에 가하여진 터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는 연성회로기판을 통하여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터치키 입력 유닛을 조명하도록 형성되는 조명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터치키 입력 유닛에 터치가 가해졌을 때 발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터치키 입력 유닛을 개별적으로 조명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키 입력 유닛은 상기 제2영역 내에서 복수의 개소에 각각 떨어져 위치하는 복수의 터치키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복수의 터치키부에서 대응되는 터치키부를 조명시키도록 개별화된 복수의 조명 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 패턴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동심원들이 집합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패턴의 밝기를 상기 터치키 입력 유닛에 대한 터치 시간에 근거하여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에 형성되어, 음향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방출하도록 이루어지는 음향출력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과 상기 음향출력홀은 상기 제1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단말기 바디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홀은 상기 단말기 바디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는,
    전면에 상기 제1 및 제2영역을 구비하는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의 전면에는 키패드가 구비되어 숫자, 문자 또는 기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는 윈도우 안착부를 구비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안착부는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서 리세스되어 상기 윈도우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는 상기 윈도우 안착부에 장착되고 일 영역에 조작 유닛을 구비하는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상기 조작 유닛이 누름 동작됨에 따라 가압되어 정보를 입력하도록 형성되는 스위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아래에 배치되어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형성되는 제1영상입력유닛; 및
    상기 윈도우 안착부에 상기 제1영상입력유닛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입력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영역을 벗어난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입력유닛과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영상입력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영상입력유닛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영상입력유닛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덮도록 이루어지는 배터리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커버에는 기하학적 무늬를 포함하는 패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적 무늬는 격자 또는 빗살무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수지물을 메탈 베이스에 코팅 또는 사출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OLED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된 시각 정보가 보이도록 투광성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강화유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싱부에는 선택 가능한 리스트가 표시되며,
    상기 리스트에는 커서 또는 포인터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키 입력 유닛은 상기 리스트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방향키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터치키 입력 유닛에 터치가 이루어지면, 상기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 신호를 제어부에 인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외장형 카드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UIM(User Identity Module) 또는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의 일 측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6. 제1항에 있어서,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형성되는 방송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이터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채널 리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8.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을 구비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1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시각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시각 정보에 대한 상기 윈도우 상의 터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터치스크린부;
    상기 제2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 상의 기설정된 위치에 가하여진 터치에 의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터치키 입력 유닛;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 내에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 내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가 상기 윈도우에 의하여 완전히 둘러싸이도록 이루어지는 메커니컬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9.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을 구비하는 단일 몸체로 형성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1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시각 정보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 상의 기설정된 위치에 가하여진 터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터치키부;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 내에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 내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커니컬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0.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을 구비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1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시각 정보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 내에 형성되는 관통홀;
    상기 관통홀 내에 배치되어, 누름 조작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메커니컬 키; 및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1 및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는 음향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방출하도록 이루어지는 음향출력홀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과 상기 음향출력홀은 상기 제1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단말기 바디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112864A 2007-11-06 2007-11-06 휴대 단말기 KR101301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864A KR101301521B1 (ko) 2007-11-06 2007-11-06 휴대 단말기
TW097125382A TWI406551B (zh) 2007-11-06 2008-07-04 行動式終端機
MX2008008909A MX2008008909A (es) 2007-11-06 2008-07-10 Terminal movil.
US12/172,522 US8249661B2 (en) 2007-11-06 2008-07-14 Mobile terminal
DE202008018311U DE202008018311U1 (de) 2007-11-06 2008-09-04 Mobiles Endgerät
EP08163667.2A EP2058727B1 (en) 2007-11-06 2008-09-04 Mobile terminal with touchpad and touchscreen
EP14151191.5A EP2722738B1 (en) 2007-11-06 2008-09-04 Mobile terminal
PL08163667T PL2058727T3 (pl) 2007-11-06 2008-09-04 Terminal przenośny z gładzikiem i ekranem dotykowym
ES08163667.2T ES2468245T3 (es) 2007-11-06 2008-09-04 Terminal móvil con teclado y pantalla táctil
JP2008259500A JP4849483B2 (ja) 2007-11-06 2008-10-06 移動端末機
CN201410008368.2A CN103761040B (zh) 2007-11-06 2008-11-06 移动终端
CN200810176144.7A CN101431552B (zh) 2007-11-06 2008-11-06 移动终端
US13/544,591 US8447364B2 (en) 2007-11-06 2012-07-09 Mobile terminal
US13/865,565 US8712479B2 (en) 2007-11-06 2013-04-18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864A KR101301521B1 (ko) 2007-11-06 2007-11-06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618A KR20090046618A (ko) 2009-05-11
KR101301521B1 true KR101301521B1 (ko) 2013-09-04

Family

ID=40646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864A KR101301521B1 (ko) 2007-11-06 2007-11-06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01521B1 (ko)
CN (1) CN10143155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2171A1 (ko) * 2017-12-07 2019-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
US10937769B2 (en) 2017-12-07 2021-03-02 Zkw Group Gmbh In-vehicle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US10998296B2 (en) 2017-12-07 2021-05-04 Zkw Group Gmbh In-vehicle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68692B (zh) * 2009-07-28 2015-04-01 茂丞科技股份有限公司 三维微型输入装置
CN101989135A (zh) * 2009-08-07 2011-03-23 希姆通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触摸屏线路的配置方法
US8441465B2 (en) * 2009-08-17 2013-05-14 Nokia Corporation Apparatus comprising an optically transparent sheet and related methods
US9239678B2 (en) 2009-09-21 2016-01-19 Beijing Lenovo Software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cell phone, program to achieve preset operation command thereof
KR101689692B1 (ko) * 2010-10-08 201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2830826B (zh) * 2011-06-14 2017-02-0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用于移动终端的操作方法
KR101830670B1 (ko) 2011-06-27 2018-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976067B1 (ko) * 2012-07-25 2019-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발광키 유닛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9542018B2 (en) * 2012-11-12 2017-01-10 Htc Corporation Touch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467867B1 (ko) * 2012-11-30 2014-12-03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
CN103064555B (zh) * 2012-12-26 2016-04-13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感应层、触摸屏及手机
KR102247283B1 (ko) * 2014-10-20 2021-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외관 부재 제작 방법
CN106020661B (zh) * 2014-12-31 2020-11-24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具有内部边框的跟踪板
CN105824451B (zh) * 2015-07-29 2018-02-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触摸装置及移动终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9993A (ja) * 1996-07-26 1998-02-13 Fujitsu Kiden Ltd 透明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利用した入力装置
KR20040004365A (ko) * 2000-08-17 2004-01-13 노키아 코포레이션 휴대용 전자 장치의 키 매트에 키 조명이 통합된 장치
KR20070023147A (ko) * 2005-08-23 2007-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의 연속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3473A (ja) * 1999-07-07 2001-0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体通信端末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る透明タッチパネルスイッチ
CN1160661C (zh) * 2003-03-18 2004-08-04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五研究所 用介质层校正电场分布非线性的触摸屏
CN2748977Y (zh) * 2004-11-05 2005-12-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带触摸板的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9993A (ja) * 1996-07-26 1998-02-13 Fujitsu Kiden Ltd 透明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利用した入力装置
KR20040004365A (ko) * 2000-08-17 2004-01-13 노키아 코포레이션 휴대용 전자 장치의 키 매트에 키 조명이 통합된 장치
KR20070023147A (ko) * 2005-08-23 2007-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의 연속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2171A1 (ko) * 2017-12-07 2019-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
US10937769B2 (en) 2017-12-07 2021-03-02 Zkw Group Gmbh In-vehicle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US10998296B2 (en) 2017-12-07 2021-05-04 Zkw Group Gmbh In-vehicle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31552B (zh) 2014-02-12
KR20090046618A (ko) 2009-05-11
CN101431552A (zh)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521B1 (ko) 휴대 단말기
JP4849483B2 (ja) 移動端末機
US9880690B2 (en) Mobile terminal
KR101485392B1 (ko) 휴대 단말기
EP1887597B1 (en) Mobile terminal
US8095180B2 (en) Mobile terminal
KR20100027546A (ko) 휴대 단말기
KR20100046595A (ko) 휴대 단말기
KR101649626B1 (ko) 이동 단말기
KR101301522B1 (ko) 휴대 단말기
KR101772078B1 (ko) 이동 단말기
KR101409872B1 (ko) 휴대 단말기
KR20140001701A (ko) 이동 단말기
KR101490167B1 (ko) 휴대 단말기
KR20100106158A (ko) 이동 단말기
KR101421162B1 (ko) 터치 패널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KR20090076109A (ko) 휴대 단말기
KR20110058524A (ko) 이동 단말기
KR20110011060A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방법
KR20090030101A (ko) 휴대 단말기
KR20100129029A (ko) 터치 입력 유닛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00104950A (ko) 휴대 단말기
KR20130022293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