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4950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4950A
KR20100104950A KR1020090023698A KR20090023698A KR20100104950A KR 20100104950 A KR20100104950 A KR 20100104950A KR 1020090023698 A KR1020090023698 A KR 1020090023698A KR 20090023698 A KR20090023698 A KR 20090023698A KR 20100104950 A KR20100104950 A KR 20100104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coupling member
unit
termin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1910B1 (ko
Inventor
이한빈
전성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3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910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는 투광성 재질의 투광성 결합부재와; 상기 투광성 결합부재의 내측에 배치되며, 제1방향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와 투광성 결합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제1방향의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 및 상기 투광성 결합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확산시트를 통과한 제1방향의 빛을 제2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외부 조명 효과를 위한 투광성 부재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 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에 투명한 소재를 사용하고 그 투명한 소재에 조명효과를 구현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의 적어도 일부분에 투광성 부재를 장착하고 이에 조명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조명 효과의 구현시 빛이 균일하게 확산되게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조명효과를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는 투광성 재질의 투광성 결합부재와; 상기 투광성 결합부재의 내측에 배치되며, 제1방향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와 투광성 결합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제1방향의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 및 상기 투광성 결합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확산시트를 통과한 제1방향의 빛을 제2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발광부들은 기설정된 모드 또는 상황에서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발광부는 기설정된 모드 또는 상황에서 기설정된 색깔, 점멸 시간, 점멸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갖도록 발광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방향은 상기 단말기 바디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며, 상기 제2방향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방향 전환부는 상기 제1방향의 빛을 제2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 또는 상기 제1방향의 빛을 제2방향으로 굴절시키는 굴절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케이스 상에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발광소자 어셈블리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확산시트와 방향 전환부를 적용함으로써 조명효과의 구현시 빛이 균일하게 확산되게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조명효과를 보다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부와 발광소자 어셈블리를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다양한 조명 효과를 구현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각종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닫힌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열린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는 서로에 대해 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도 1 및 2에 개시된 '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하지 않으며, 슬라이드 타입, 스위블 타입, 스윙 타입, 바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는 힌지(101)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힌지(101)의 내부에는 제1바디(11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캠장치 및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제2바디(120)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1과 같이 제2바디(120)의 노출되었던 전면이 제1바디(110)에 의하여 가려진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열린 상태에서 통화 모드, 편집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일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휴대 단말기(100)는 떨어져 있는 다른 단말, 기지국 또는 중계국과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휴대 단말기(100)를 통하여 다른 단말과 무선적으로 음성/화상 또는 문자 통신을 하거나, 인터넷 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휴대 단말기(100)는 라디오 방송 또는 TV방송을 무선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춤으로써 사용자가 위치하는 임의의 장소에서 방송을 즐길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바디(110)의 외측면에는 제1카메라(115) 및 투광성 결합부재(13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110)는 외관을 이루는 외측 케이스(111)와 내측 케이스(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영상입력부(제1카메라,115)는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거나 열린 상태에서 단말기의 후방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투광성 결합부재(200)는 내부의 발광부(140, 도 3 참조)의 빛을 외부로 투광시킨다.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투광성 결합부재(200)는 제1방향의 빛이 제2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다.
이러한 투광성 결합부재(200)는 휴대 단말기(100)가 갖는 각종 모드에서 내부의 발광부의 빛을 외부로 전달시킴으로써 다양한 조명효과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에서 전화가 걸려 오거나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투광성 결합부재(200)를 통하여 그에 대응되는 조명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상태 정보가 발광부의 광신호(빛의 강약, 색깔, 점멸시간, 횟수, 조명 범위 등)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바디(110)의 내측면에는 음향 출력부(114), 제2카메라(123) 및 디스플레이(113)가 설치된다.
음향 출력부(152)는 리시버(Receiver) 또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영상입력부(제2카메라,116)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카메라(116)는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거나 화상통화 모드시 사용자의 모습을 전송하기 위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제2영상입력부(116)는 제1영상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15)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영상입력부(116)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15)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113)는 휴대 단말기(100)가 갖는 각종 모드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편집중인 정보, 사용자 컨텐츠 등을 출력한다.
디스플레이(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 또는 이-페이퍼(e-paper)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3)는 터치감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제2바디(120)는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내측 케이스(121)와 외측 케이스(122)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바디(120)에는 키패드(123) 및 음향 입력부(125), 사이드키(124) 및 인터페이스(126)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키패드(123) 및 사이드키(1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키패드(123)는 문자나 숫자의 입력,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사이드키(124)는 조절가능한 상태량(볼륨, 밝기, 메뉴의 탐색 등)의 조절, 영상 입력부(115,116)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1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적외선 포트(IrDA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인터페이스(1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제1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발광부 및 투광성 결합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과 같이, 제1바디(110)는 외측 케이스(111)와 내측 케이스(112)를 포함하며, 이들 케이스(111,112)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113), 발광부(140), 연성회로기판(118), 및 디스플레이 보호 부재(117) 등이 배치된다.
연성회로기판(FPCB, 118)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연성회로기판(118)은 디스플레이(113)에 연결되며, 연성회로기판(118) 상에는 제2카메라(116), 발광부(140), 발광소자 어셈블리(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연성회로기판(118)에 상기 부품들을 설치하여 제조 단가를 낮추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 뿐만 아니라 인쇄기판에 상기 부품들을 설치하고 연성회로기판으로 연결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디스플레이 보호부재(117)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113)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113)를 덮도록 배치된다. 연성회로기판(118)은 디스 플레이 보호부재(117)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118)에는 빛을 발생시키기 위한 발광부(140)가 장착될 수 있다. 발광부(140)는 투광성 결합부재(130)를 통하여 일정한 조명효과를 구현하도록 빛을 생성한다. 이러한 발광부(250)는 전력의 손실을 줄이고 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발광부(140),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는 제1바디(110)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118)은 발광부(140)가 제1바디(110)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지향하도록 발광부(140)가 배치된 부분이 접힌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140)는 단색 또는 복수의 색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색을 구현시키기 위한 발광부(140)의 일예로서 RGB 발광 다이오드를 들 수 있다. 이는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에 의하여 적색(Red), 녹색(Green), 파랑색(Blue)을 구현할 수 있는 세그먼트를 복합(combine)시키고, 이들 각 세그먼트의 온/오프 조합에 의하여 다른 색상들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투광성 결합부재(130)는 케이스(111,112)의 내부에 수용되어 케이스(111,112)와 함께 체결되는 수용부(131)와, 수용부(131)에서 연장되어 케이스(111,112)로부터 노출되는 노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투광성 결합부재(130)는 '투광성 장식부재', '투광성 노출부재', 등으로 이해되거나 불릴 수 있다. 아울러, '투광성'은 완전 투광성(transparent) 및 반투광성(translucent, semi-transparent)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수용부(131)는 스크루에 의해 케이스(111,112)와 체결되는 체결부(134)를 포함하고 있다. 체결부(134)는 수용부(131)의 양단에 돌기의 형태로 형성되며, 각 체결부(134)에는 스크루 체결을 위한 체결홀(13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134)는 투광성 결합부재(130)가 제1바디(11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체결력을 제공한다.
수용부분(202)은 외측 케이스(111) 및 내측 케이스(112)의 두께와 합하여져 노출부(132)의 두께에 상응할 수 있도록 노출부(132)보다는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양 체결부(134)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발광부(140)와 확산시트(145)를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부(133)가 형성된다. 장착부(133)는 일정 두께만큼 리세스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133)는 확산시트(145)가 부착될 수 있는 부착면을 제공하며, 이를 위하여 평평한 형태로 형성되거나 일정 곡률을 갖는 곡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확산시트(145)는 발광부(140)에서 발생된 빛을 고르게 확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발광부(140)와 투광성 결합부재(130)의 사이에 배치된다. 확산시트(145)는 투광성 또는 반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며, 그 일면에는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패턴들이 형성될 수 있다. 확산시트(145)가 반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확산시트(145)는 내측에 위치한 발광부(140)를 가리는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투광성 결합부재(130)의 노출부(132)는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의 일부를 구성한다. 노출부(132)에는 장식적인 고려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투광성 결합부재(130)에는 확산시트(145)를 통과한 제1방향의 빛을 제2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부(150)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5d를 참조하여 방향 전환부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a 내지 5d는 방향 전환부의 구체적인 형태들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이들 도면에서 화살표는 발광부에서 발생한 빛의 경로를 나타내며, 설명의 편의상 발광부에서 발생하는 빛들 중 단말기 바디(제1 및 제2바디)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진행하는 빛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발광부(140)에서 발생한 빛은 단말기 바디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제1방향)을 향하여 진행하게 되며, 이러한 빛이 확산시트(145)에 도달하면 확산시트(145)에 의하여 빛이 확산하게 된다. 본 도면들에서는 확산된 빛의 경로에 대해서는 그 도시를 생략하였다.
방향 전환부(150)는 확산시트(145)를 통과한 빛을 단말기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는 방향(제2방향)으로 반사 또는 굴절시키는 반사면 또는 굴절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도면들에서는 방향 전환부(150)에서 굴절된 빛을 실선으로, 반사된 빛을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도 5a와 같이, 방향 전환부(150)는 일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50)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150)은 반사면 또는 굴절면의 일 형태로서 구현된 것이며, 서로 다른 복수의 매질들(130a,130b)의 경계에 의해 형성된다.
즉, 투광성 결합부재(130)는 이러한 경사면(150)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굴절률이 서로 다른 복수의 매질들(130a,130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투광성 결합부재(130)는 서로 다른 매질들(130a,130b)의 경계에 의해 경사면(150), 즉 반사면 또는 굴절면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면(150)는 발광부(140)에서 생성된 빛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경사면(150)에 도달한 빛의 일부는 경사면(150)에서 굴절되어 상측 방향(단말기의 전방)으로 진행하고, 일부는 경사면(150)에서 반사되어 하측 방향(단말기의 후방)으로 진행한다. 이러한 경사면(150)의 각도는 빛을 굴절 또는 반사시키고자 하는 각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다.
이와 같이 빛이 경사면(150)에서 굴절되거나 반사됨에 따라 단말기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있는 사용자가 발광부(140)에서의 발광을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제1바디(110)의 외측 케이스(111)가 위를 바라보도록 놓여있는 경우, 발광부(140)에서 나온 빛이 위쪽으로 굴절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발광부(140)의 발광을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경사면(150)은 도 5b와 같이 발광부(140)에서 생성된 빛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경사면(150)에 도달한 빛의 일부는 경사면(150)에서 반사되어 상측 방향(단말기의 전방)으로 진행하고, 일부는 경사면(150)에서 굴절되어 하측 방향(단말기의 후방)으로 진행하게 된다.
도 5c를 참조하면, 방향 전환부(150)는 투광성 결합부재(13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투광성 결합부재(130)의 외면에는 제1방향의 빛을 제2방향으로 굴 절 또는 반사시키기 위한 경사면(150)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경사면(150)에 도달한 빛의 일부는 경사면(150)에서 굴절되어 상측 방향(단말기의 전방)으로 진행하고, 일부는 경사면(150)에서 반사되어 하측 방향(단말기의 후방)으로 진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면(150)이 투광성 결합부재(130)의 상면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투광성 결합부재(130)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d를 참조하면, 방향 전환부(150)는 경사면의 형태 뿐만 아니라 일정 패턴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d는 방향 전환부(150)가 계단 형태의 패턴에 의해 구현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방향 전환부(150)에 도달한 빛은 다양한 방향으로 굴절 및 반사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빛이 진행하는 발광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방향 전환부(150)는 도 5d에서 예시한 형태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패턴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발광소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발광소자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발광소자 어셈블리(170)는 복수의 발광소자들(171)이 조합되어 케이스, 구체적으로 외측 케이스(111)의 표시 영역(111a)에 특정 시각정보(예를 들면, 문자, 숫자, 기호 등)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발광소자 어셈블리(170)는 연성회로기판(118)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발광소자들(171)과, 발광소자들(171)을 덮도록 연성회로기판(118)의 일면에 배치되는 가이드 시트(172)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들(171)로서 발광 다이오드(LED)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 드로서 단색 발광 다이오드, RGB 발광 다이오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발광소자들(171) 중 일부가 선택적으로 점등되면서, 기호, 문자, 숫자 등 다양한 발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발광소자들(171)의 일측에는 발광소자들(172)들에 발광신호를 전달하고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소자(174)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소자들(171)은 길이가 폭보다 큰 형태를 갖는다. 발광소자들(171) 사이의 가로 방향 거리(a)와 세로 방향 거리(b)가 동일한 값을 갖도록 발광소자들(171)은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외측 케이스(111)는 반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발광소자들(171)에 의해 형성된 발광 패턴은 외측 케이스(111)를 통과하면서 외측 케이스(111)에 표시되게 된다. 외측 케이스(111)의 외면(또는 내면)에는 이러한 발광 패턴이 보다 선명하게 표시될 수 있도록 특정 색상을 갖는 반투광성의 염료가 증착 또는 도포될 수 있다.
가이드 시트(172)는 발광소자들(171)을 덮도록 연성회로기판(118)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가이트 시트(172)에는 발광소자들(171)에서 생성된 빛의 진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들(173)이 구비된다. 가이드 홀들(173)은 발광소자들(17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발광소자들(171)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가이드 홀들(173)은 발광소자들(171)에서 생성된 빛들에 직진성을 부여하여 빛이 퍼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외측 케이스(111) 상에 발광 패턴을 보다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도들이다.
복수의 발광부(140)들과 발광소자 어셈블리(170)는 함께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전화가 걸려 오거나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대기 모드, 알람 모드 등 휴대 단말기의 각종 상태 정보가 발광부(140)와 발광소자 어셈블리(170)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발광부(140)들은 기설정된 모드 또는 상황에서 기설정된 색깔, 점멸 시간, 점멸 횟수, 빛의 강약, 조명 범위 등을 갖도록 발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140)들은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빨간색으로 발광되고 문자 메시지가 걸려 오는 경우 파란색 등으로 발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140)의 색상 또는 점멸 시간 등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발광부(140)들은 기설정된 모드 또는 상황에서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발신자가 누구인지에 따라 모두 동시에 발광하거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순차적으로 발광하거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차적으로 발광하거나, 중앙에서 외곽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발광되는 등 다양한 패턴으로 발광될 수 있다.
발광소자 어셈블리(170) 또한 전화가 걸려오거나 문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발신자에 대한 정보(이름, 전화번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그 밖에 휴대 단말기의 상태 정보가 아이콘 또는 문자의 형태로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8a는 휴대 단말기에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발광부(140)의 발광에 의해 투광성 결합부재(130)에 조명 효과가 나타남과 아울러 외측 케이스(111)에 발광소자 어셈블리(170)의 발광에 의한 발신자 정보가 나타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본 도면에서는 발광부(140)들과 발광소자 어셈블리(170)가 함께 동작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다.
도 8b는 휴대 단말기에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발광부(140)만 동작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발신자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발광소자 어셈블리(170)에 의한 발신자 정보는 표시되지 않고 발광부(140)들에 의한 조명 효과만 나타나도록 설정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발신자가 누구인지 사용자만 알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특정 상황에서 발광부(140)와 발광소자 어셈블리(170)가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설정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 통신 모듈(181), 조작부(123,124), 영상 입력부(115,116), 음향입력부(125),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 센싱유닛(186), 인터페이스(126), 방송 수신 모듈(185), 메모리(184), 전원공급부(127), 제어부(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 된 발광부(140)와 발광소자 어셈블리(170)의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 통신 모듈(18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8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83)을 포함한다.
조작부(123,1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80)에 제공한다. 조작부(123,124)는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영상 입력부(115,116)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15,116)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84)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 모듈(181)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입력부(125)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8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8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입력부(12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14)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8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8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14)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4)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센싱유닛(18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8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7)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126)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84)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8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8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 수신 모듈(18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8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8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8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8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27)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제1바디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발광부 및 투광성 결합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a 내지 5d는 방향 전환부의 구체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발광소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발광소자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8a 및 8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Claims (12)

  1.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는 투광성 재질의 투광성 결합부재;
    상기 투광성 결합부재의 내측에 배치되며, 제1방향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와 투광성 결합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제1방향의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 및
    상기 투광성 결합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확산시트를 통과한 제1방향의 빛을 제2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결합부재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케이스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는 상기 발광부 및 확산시트를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발광부들은 기설정된 모드 또는 상황에서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기설정된 모드 또는 상황에서 기설정된 색깔, 점멸 시간, 점멸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갖도록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상기 단말기 바디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며,
    상기 제2방향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부는 상기 제1방향의 빛을 제2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 또는 상기 제1방향의 빛을 제2방향으로 굴절시키는 굴절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 또는 굴절면은 상기 투광성 결합부재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결합부재는 서로 다른 복수의 매질들로 형성되며, 상기 매질들의 경계에 의하여 상기 반사면 또는 굴절면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단말기 바디의 케이스 상에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발광소자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어셈블리는,
    기판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서로 조합되어 특정 패턴을 표시하는복수의 발광소자들; 및
    상기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소자들의 빛의 진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들을 구비하는 가이드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발광소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소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90023698A 2009-03-19 2009-03-19 휴대 단말기 KR101561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698A KR101561910B1 (ko) 2009-03-19 2009-03-19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698A KR101561910B1 (ko) 2009-03-19 2009-03-19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950A true KR20100104950A (ko) 2010-09-29
KR101561910B1 KR101561910B1 (ko) 2015-10-20

Family

ID=4300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698A KR101561910B1 (ko) 2009-03-19 2009-03-19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91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603Y1 (ko) 2001-05-21 2001-10-29 엘지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발광장치
TWI363219B (en) 2005-09-05 2012-05-01 Hon Hai Prec Ind Co Ltd Direct type backlight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910B1 (ko) 201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521B1 (ko) 휴대 단말기
KR101485392B1 (ko) 휴대 단말기
KR101535486B1 (ko) 휴대 단말기
US8095180B2 (en) Mobile terminal
KR101587085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59B1 (ko) 휴대 단말기
US20080036627A1 (en) Mobile terminal
KR101586307B1 (ko) 터치패드와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561910B1 (ko) 휴대 단말기
KR101392916B1 (ko) 휴대 단말기
KR101978208B1 (ko) 이동단말기
KR101604749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1490167B1 (ko) 휴대 단말기
KR101398137B1 (ko) 휴대 단말기
KR20120080941A (ko) 이동 단말기
KR101409872B1 (ko) 휴대 단말기
KR101595362B1 (ko) 휴대 단말기
KR101910381B1 (ko) 이동 단말기
KR101604714B1 (ko) 휴대 단말기
KR101604716B1 (ko) 터치 입력 유닛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10090111A (ko) 휴대 단말기
KR20090076109A (ko) 휴대 단말기
KR20100027542A (ko) 휴대 단말기
KR20100070225A (ko) 휴대 단말기
KR20090008927A (ko) 터치 패널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