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7546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7546A
KR20100027546A KR1020080086493A KR20080086493A KR20100027546A KR 20100027546 A KR20100027546 A KR 20100027546A KR 1020080086493 A KR1020080086493 A KR 1020080086493A KR 20080086493 A KR20080086493 A KR 20080086493A KR 20100027546 A KR20100027546 A KR 20100027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eripheral member
sensor
input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9916B1 (ko
Inventor
김치영
최현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6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916B1/ko
Priority to US12/545,233 priority patent/US8471810B2/en
Priority to EP09010834.1A priority patent/EP2159999B1/en
Priority to CN2009101717699A priority patent/CN101668056B/zh
Publication of KR20100027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가 외부에서 인지되게 하는 윈도우와, 상기 윈도우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주변 부재와, 상기 주변 부재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주변 부재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입력부와 연관되게 배치되어 상기 입력부의 작동과 관련한 가시광을 출력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명령의 입력을 위한 수단의 작동과 관련하여 빛이 출력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와 다른 형태로 입력 수단과 관련한 가시광을 출력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명령의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입력 수단에 대응하여 가시광의 출력 위치가 달라지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가시광의 출력에 의해 명령 입력을 위한 수단을 조작하는 사용자가 조작 대상을 보다 쉽게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하우징과, 윈도우와, 주변 부재와, 입력부 및 발광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가 외부에서 인지되게 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덮는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주변 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 되어 상기 윈도우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입력부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하여 상기 주변 부재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배치된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입력부의 작동과 관련한 가시광을 출력하도록 상기 주변 부재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입력부와 연관되게 배치된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입력부 중 상기 명령의 입력을 위해 활성화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발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를 이루는 센서는 빛을 출력하여 상 기 출력된 빛의 변화나 상기 빛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는 광센서 또는 상기 주변 부재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광센서가 가시광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광센서이고, 상기 광센서가 가시광의 파장 대역을 벗어나는 파장의 빛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가시광을 출력하는 다른 발광요소일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가시광을 출력하며 터치 입력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주변부재에는 상기 발광부에서 출력되는 가시광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가시광을 안내하는 광 안내부가 형성된다. 상기 광 안내부는 일 단부가 상기 발광부에 대응한 채로 상기 주변부재에 내장되는 안내관 또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주변부재의 하우징과 마주하는 면 중 상기 광 안내부를 감싸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는 빛이 투과하지 않도록 하는 불투광층이 형성된다. 상기 주변부재는 광 투과성의 크리스탈 또는 광 투과성의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주변 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로드가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체결피스는 상기 연결로드와 체결되어 상기 주변 부재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시각정보에 대응한 명령의 입력 가능한 센서(들)이 윈도우를 감싸는 주변 부재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기에, 상기 명령의 입력을 위한 조작 과정에서 손가락 등에 의해 상기 시각 정보의 일부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 또는 완화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의 입력을 위한 센서(들) 중 일부가 활성화되면 그 활성화된 센서(들)에만 대응하도록 가시광이 출력됨에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해야 할 대상 센서(들)를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광 안내부를 구비함에 따라서는, 활성화된 센서(들)에 대응하는 가시광이 다른 빛보다 밝아서, 보다 명확하게 센서(들)가 활성화된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휴대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 단말기(100)와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11)에 포함되는 방송수신용 안테나(116)는 본체의 일 부분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 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 등에서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구성하기 위하여 광 센서(134)가 사용된 경우를 보이고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휴대 단말기의 방위, 휴대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발광부(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 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 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 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휴대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발광부(155)는 입력부(133,133',133", 도 4, 6, 7 참조)와 관련된 위치에 설치되어, 입력부(133,133',133")들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 또는 대기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빛을 발생시킨다. 입력부(133,133',133")들이 가시광을 출력하는 광 센서인 경우라면, 입력부(133,133',133")들 자체가 발광부(155)가 된다. 광센서들이 가시광 대역을 벗어난 파장 대역의 빛을 출력하는 경우라면, 발광부(155)는 입력부(133,133',133")들에 근접되게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요소, 예를 들어 ㅇ엘이디(LED)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라면, 발광부(155)에 근접되게 배치되는 센서들로서는, 광센서들이 아닌 다른 종류의 센서들, 예를 들어 압력 센서, 자기 센서, 터치 센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 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본체 또는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케이스, 케이싱,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제1 또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제2 또는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를 감싸는 채로는 주변 부재(103)가 배치된다. 폐곡선 형태를 이루는 주변 부재(103)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결합 된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광센서들(142 내지 148),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인 조작 유닛(131)과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광 안내부(103a)들에 대응하여 주변 부 재(103)의 하측에는 추가적인 조작 유닛 또는 입력부(133, 도 4 참조)들이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1,132,133)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33)를 통해서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에 대한 조작을 위한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입력부(133)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메뉴(Menu)'라는 안내 정보(I)가 출력된 상태를 보인다. 상기 입력부(133) 중 어느 하나에 연관된 발광부(135)에서는 상기 어느 하나의 입력부(133)가 명령을 입력받기 위하여 활성화된 상태임을 알리기 위하여 가시광을 출력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입력부(133)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광 안내부(103a)에 대해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근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입력부(133)에 일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들이 구체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표시되는 메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해당 메뉴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터치나, 입력부(133) 중 복수의 부분들에 대응하는 안내부(103a)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손가락 등의 접근 또는 접촉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배터리 커버(104)를 통 해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 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표시 형태에 따라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한 종류의 정보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입력부(133,133',133")가 광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센서는 빛을 출력하여 상기 출력된 빛의 변화나 상기 빛에 의한 변화를 감지한다. 상기 광 센서가 출력하는 빛의 변화를 유발하는 개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의 상기 광센서에 대한 접근{이하, 간단히 '액세스(access)'라고도 한다}의 정도, 상기 액세스된 상태의 유지 시간, 상기 액세스의 해제, 상기 해제의 방향, 상기 액세스의 해제 후의 재 액세스의 횟수, 및 복수의 광센서들에서 상기 개체가 순차적으로 감지됨에 따른 상기 개체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함으로써, 광센서는 설정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재 액세스의 횟수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광센서에 접근시켰다 멀리한 후에 재차 접근시키는 경우(이하, '더블 액세스'라고도 한다)가 있을 수 있다. 개체의 이동과 관련하여, 하나의 광센서에 대한 명령 입력 후에 일정 시간 내에 일정 방향을 따라 다른 광센서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면, 이러한 상황은 광센서들이 상기 일정 시간 범위를 벗어나서 각각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와 다른 경우로 인식된다. 이러한 입력은 '드래그(drag)' 동작에 의한 입력으로 칭해질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디스플레이 모듈(151b)을 내장하도록 서로 결합 되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51b)은 광 투과성의 윈도우(151a)에 의해 덮여진다. 디스플레이 모듈(151b)에서 출력된 시각 정보는 윈도우(151a)를 통해서 외부에서 인지된다.
윈도우(151a)의 둘레는 주변 부재(103)에 의해 감싸진다. 주변 부재(103)는 대략 사각 형상의 띠와 같은 형태를 가지며, 프론트 케이스(101)에 결합 된다. 주변 부재(103)의 일 부분에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명령을 입력받는 누름 키(131a)가 배치될 수 있다. 누름 키(131a)에 대응하여서는 스위치기판(131b)이 구비된다. 스위치기판(131b)에는 누름 키(131a)에 의해 가압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들)가 장착된다.
누름 키(131a)와 스위치기판(131b)이 이루는 제1 입력부(131)와 다른 형태로서, 주변 부재(103)의 다른 부분에 대응해서는 다른 입력부(133)가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133)의 수용을 위하여,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3개의 모서리를 따라 리세스된(recessed) 형태로 이어지는 수용부(101a)가 형성될 수 있다.
입력부(133)는 하나 이상의 센서(134)와, 상기 센서(134)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서 회로(135)를 포함한다. 센서(134)들은 주변 부재(103)에 형성되는 광안내부(103a)에 대응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센서(134)가 가시광을 출력하는 광센서라면, 센서(134) 자체가 발광부(155) 이기도 하다. 복수의 센서(134)들은 모 두 활성화되어 가시광을 출력하는 경우도 있겠으나, 주로는 명령의 입력을 위해 필요한 센서(들)만 선택적으로 활성화되어 가시광을 출력하게 된다.
입력부(133)의 센서 회로(135)는 메인 회로기판(1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메인 회로기판(180)의 제어를 받는다. 메인 회로기판(180)은 기능상 제어부라 칭해질 수 있기에, 도 1에서는 제어부에 대해서도 같은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리어 케이스(102)에 대해서는 배터리 커버(104)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된다. 배터리 커버(104)는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원 공급부(190, 도 1 참조)를 이루는 배터리를 감싸게 된다.
도 5는 도 4의 주변 부재(103)를 보인 사시도이다.
주변 부재(103)는 그 형태상으로 윈도우(151a, 도 2 참조)가 이루면 면과 교차하는 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라면, 주변 부재(103)는 베젤(bezel)이라 칭해질 수 있다.
주변 부재(103)는 광 투과성을 가지는 크리스탈 또는 사출물일 수 있다. 주변 부재(103)가 광 투과성을 가지면서 투명하다면,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에서 시각적인 포인트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주변 부재(103)가 투명한 경우에는 주변 부재(103)를 통해 프론트 케이스(101, 도 4 참조) 또는 주변 부재(103)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에 배치된 구성이 외부로 드러날 수 있다. 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변 부재(103)의 프론트 케이스(101)와 마주하는 면에는 빛이 투과하지 않거나 그의 투과가 최소 화되도록 하는 불투광층이 형성될 수 있다. 불투광층은 광안내부(103a)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광안내부(103a)의 기능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불투광층의 형성을 위해서는, 불투광성의 도료를 주변 부재(103)의 프론트 케이스(101)와 마주하는 면에 인쇄하거나 불투광성의 테이프를 상기 마주하는 면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마주하는 면을 거칠게 가공하여 불투광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불투광층을 형성하더라도, 불투광층 상에는 반사층을 형성하여, 주변 부재(103)를 볼 때 불투광층이 드러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라인(A-A)를 따라 취한 요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는 계단 형상으로 단차진 구조를 이룬다. 윈도우(151a)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주변 부재(103)는 위 단차진 부분에 배치되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가 단차 없이 완만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광안내부(103a)는 주변 부재(103)의 프론트 케이스(101)와 마주하는 면에서부터 주변 부재(103)의 외부로 노출되는 다른 면까지 연장하는 형태를 이룬다. 이는 발광부(155)에서 발광된 빛이 주변 부재(103)의 다른 영역으로 퍼지는 것을 최소화하고, 최단 경로를 통해 외부로 진행하도록 하여 보다 밝은 빛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안내하기 위함이다. 이와 달리, 광안내부(103a)가 발광부(155)에서 발광된 빛의 진행 경로를 최단 경로와는 다른 경로로 전환 시키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광안내부(103a)는 동, 철 등과 같이 빛의 반사성이 좋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 관 형태의 안내관일 수 있다. 이와 달리, 광안내부(103a)는 하나 이상의 광섬유일 수 있다. 광섬유는 일 단부로 입력된 빛이 다른 단부를 통해서 출력되게 하므로, 빛이 진행 과정에서 다른 경로로 분산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안내관이나 광섬유는 주변 부재(103)에 구멍을 뚫고서 삽입되거나, 주변 부재(103)의 사출 시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함께 사출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앞선 실시예에와 달리, 광센서(133')가 가시광의 파장 대역을 벗어나는 파장의 빛을 출력하는 경우를 보이고 있다. 이는 광센서(133')가 출력하는 빛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광센서(133')의 작동을 그와 연관되어 출력되는 가시광으로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광센서(133')와 별개로 발광부(155)가 배치된다. 발광부(155)는, 예를 들어, 엘이디(LED)와 같은 발광요소일 수 있다. 발광요소(155)에서 발생된 빛이 광안내부(103a)의 일 단부를 향해 원활히 진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프론트 케이스(101)의 발광요소(155)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프론트 케이스(101) 자체가 광 투과성의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라면, 별도의 홀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발광요소(155)는 명령의 입력을 위해 활성화되는 광센서(133')(들)에 대응한 것(들)만이 발광하도록 제어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라인(A-A)를 따라 요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에 비하여, 본 실시예서는 입력부를 이루는 센서는 터치 스크린(133")의 일 부분을 이룬다. 터치 스크린(133")은 자체적으로 가시광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듈 및 터치 센서의 조합으로서, 예를 들어, 오엘이디(OLED)가 디스플레이 모듈로서 채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로서 톨레드(TOLED)와 같이 투명 형태의 모듈이 사용되는 경우에, 터치 스크린(133")이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주변 부재(103)의 하측에 배치되는 터치 스크린(133")이 투명 형태를 가짐에 따라, 주변 부재(103)까지 투명한 경우에는 외관상 전체적으로 투명하고 깔끔한 인상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터치 스크린(133")에서 고르게 가시광이 출력되더라도, 주변 부재(103)의 광안내부(103a)에 대응하는 부분은 보다 밝은 빛이 출력된다. 이는 광안내부(103a)가 가시광이 흩어지지 않고 최단 경로로만 진행하도록 가이드 해주기 때문이다.
터치 스크린(133")은 수용부(101a)를 따라서 길게 연장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스크린(133")과 메인 회로기판(180)의 연결은 프론트 케이스(101)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연결 케이블(180a)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터치 스크린(133")을 채용한 휴대 단말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133")의 광안내부(103a)에 인접한 영역에서는 안내정보(I')가 출력될 수 있다. 안내정보(I')는 인접한 광안내부(103a)에 대한 터치 시에, 상기 터치된 광안내부(103a)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133")의 일 부분에서 입력되는 명령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시각 정보에 대한 제어와 관련한 안내정보(I')로서, '되감기(Reward), 저장(Save), 앞으로 감기(Forward)'가 출력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저장'이 표시된 부분과 인접한 광안내부(103a)에 해당하는 주변 부재(103)의 일 부분을 터치하게 되면, 터치 스크린(133")이 이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위와 같은 명령의 입력 전 또는 입력 이후에, 터치 스크린(133")의 터치될 영역 또는 터치된 영역의 주변에는 빛이 점멸될 수 있다. 이는 위 터치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시각적인 인식을 돕거나 시각적인 관심을 유발하게 된다.
휴대 단말기가 대기 상태인 경우에, 터치 스크린(133")은 제1 조작부(131a)에 대한 누름 조작에 의해 활성화되어 현재시간, 배터리 잔량, 요일 등의 간단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라면, 위의 간단한 정보의 확인을 위해 터치 스크린(133")보다 큰 디스플레이부(151) 전체를 활성화시키지 않아도 되도록 한다.
도 9는 도 2의 라인(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여 주변 부재(103)와 프론트 케이스(101)의 결합 방식을 살펴본다.
주변 부재(103)의 일 부분들에는 연결로드(103b)가 삽입된다. 연결로드(103b)는 주변 부재(103)의 외부에서 보기에 광안내부(103a)와 유사한 형태를 보일 수 있으나, 광안내부(103a)와 달리 빛의 진행을 안내하는 것은 아니다.
연결로드(103b)의 프론트 케이스(101)와 마주하는 부분인 헤드(103b')에는 체결피스(105)가 삽입된다. 체결피스(105)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형성된 홀을 통해 프론트 케이스(101)를 관통하여 헤드(103b')에 체결된다. 이에 의하여, 주변 부재(103)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결합 되고, 프론트 케이스(101)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주변 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2의 라인(A-A)를 따라 취한 요부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라인(A-A)를 따라 요부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주변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는 입력부로서 터치 스크린을 채용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2의 라인(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Claims (21)

  1.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가 외부에서 인지되게 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 되는 주변 부재;
    상기 주변 부재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주변 부재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입력부와 연관되게 배치되어, 상기 입력부의 작동과 관련한 가시광을 출력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주변 부재가 결합 되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 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터치 입력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부재는 상기 윈도우가 이루면 면과 교차하는 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베젤(bezel)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서 회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회로는 상기 제1 케이스에 상기 주변 부재의 연장방향을 따라 리세스된 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빛을 출력하여 상기 출력된 빛의 변화나 상기 빛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는 광센서 또는 상기 주변 부재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 는 휴대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광센서가 가시광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광센서이고, 상기 광센서가 가시광의 파장 대역을 벗어나는 파장의 빛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가시광을 출력하는 다른 발광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가시광을 출력하며 터치 입력 가능한 터치 스크린의 일 부분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시 입력되는 명령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재에는 상기 발광부에서 출력되는 가시광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가시광을 안내하는 광 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안내부는 일 단부가 상기 발광부에 대응한 채로 상기 주변부재에 내장되는 안내관 또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재의 하우징과 마주하는 면 중 상기 광 안내부를 감싸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는 빛이 투과하지 않도록 하는 불투광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재는 광 투과성의 크리스탈 또는 광 투과성의 사출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활성화될 때 상기 가시광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로드가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체결피스는 상기 연결로드와 체결되어 상기 주변 부재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재의 일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누름 방식의 키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입력부 중 상기 명령의 입력을 위해 활성화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하우징 보다 작은 면적을 가져서 상기 하우징과 단차진 계단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주변부재의 외면은 상기 윈도우와 하우징의 인접한 모서리들을 완만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투명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086493A 2008-09-02 2008-09-02 휴대 단말기 KR101529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493A KR101529916B1 (ko) 2008-09-02 2008-09-02 휴대 단말기
US12/545,233 US8471810B2 (en) 2008-09-02 2009-08-21 Mobile terminal
EP09010834.1A EP2159999B1 (en) 2008-09-02 2009-08-24 Mobile terminal
CN2009101717699A CN101668056B (zh) 2008-09-02 2009-09-02 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493A KR101529916B1 (ko) 2008-09-02 2008-09-02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546A true KR20100027546A (ko) 2010-03-11
KR101529916B1 KR101529916B1 (ko) 2015-06-18

Family

ID=41318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493A KR101529916B1 (ko) 2008-09-02 2008-09-02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71810B2 (ko)
EP (1) EP2159999B1 (ko)
KR (1) KR101529916B1 (ko)
CN (1) CN101668056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8907B2 (en) 2008-06-18 2011-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gic circuits, inverter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KR101537438B1 (ko) * 2010-03-18 2015-07-16 노키아 코포레이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
US9110580B2 (en) 2011-08-05 2015-08-18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and a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17111563A1 (ko) 2015-12-23 2017-06-29 씨제이제일제당(주) D-사이코스 3-에피머화 효소 및 염을 포함하는 d-사이코스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d-사이코스의 제조 방법
KR20180137599A (ko) * 2012-10-19 2018-12-27 애플 인크. 트림리스 글래스 엔클로저 인터페이스
WO2021236966A1 (en) * 2020-05-22 2021-11-25 Lumileds Llc Led lighting module
US11982431B2 (en) 2020-07-27 2024-05-14 Lumileds Llc LED lighting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8440B2 (en) 2005-12-30 2011-09-13 Microsoft Corporation Unintentional touch rejection
KR101529916B1 (ko) * 2008-09-02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8324578B2 (en) 2008-09-30 2012-12-04 Apple Inc. Hidden sensors in an electronic device
US8836648B2 (en) 2009-05-27 2014-09-16 Microsoft Corporation Touch pull-in gesture
KR101646508B1 (ko) * 2009-09-18 201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US20110080348A1 (en) * 2009-10-01 2011-04-07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a primary display and a selectively illuminated secondary display
US9411504B2 (en) * 2010-01-28 2016-08-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py and staple gestures
US8261213B2 (en) 2010-01-28 2012-09-04 Microsoft Corporation Brush, carbon-copy, and fill gestures
US20110185320A1 (en) * 2010-01-28 2011-07-28 Microsoft Corporation Cross-reference Gestures
US20110185299A1 (en) * 2010-01-28 2011-07-28 Microsoft Corporation Stamp Gestures
US20110191704A1 (en) * 2010-02-04 2011-08-04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ual multiplexing gestures
US9519356B2 (en) * 2010-02-04 2016-12-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ink gestures
US9274682B2 (en) * 2010-02-19 2016-03-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ff-screen gestures to create on-screen input
US8799827B2 (en) * 2010-02-19 2014-08-05 Microsoft Corporation Page manipulations using on and off-screen gestures
US9367205B2 (en) 2010-02-19 2016-06-14 Microsoft Technolgoy Licensing, Llc Radial menus with bezel gestures
US9310994B2 (en) * 2010-02-19 2016-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 of bezel as an input mechanism
US9965165B2 (en) * 2010-02-19 2018-05-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finger gestures
US8707174B2 (en) * 2010-02-25 2014-04-22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hold and page-flip gesture
US20110209089A1 (en) * 2010-02-25 2011-08-25 Hinckley Kenneth P Multi-screen object-hold and page-change gesture
US20110209058A1 (en) * 2010-02-25 2011-08-25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hold and tap gesture
US8751970B2 (en) * 2010-02-25 2014-06-10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synchronous slide gesture
US9454304B2 (en) * 2010-02-25 2016-09-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screen dual tap gesture
US9075522B2 (en) * 2010-02-25 2015-07-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screen bookmark hold gesture
EP2375736A1 (en) * 2010-03-15 2011-10-12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KR101681327B1 (ko) 2010-03-17 2016-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8264837B2 (en) * 2010-04-19 2012-09-11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ver assembly reten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M406219U (en) * 2010-11-18 2011-06-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Optical touch module and optical touch display module therewith
US20120159395A1 (en) 2010-12-20 2012-06-2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launching interface for multiple modes
US8612874B2 (en) 2010-12-23 2013-12-17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ing an application change through a tile
US8689123B2 (en) 2010-12-23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JP5630347B2 (ja) * 2011-03-18 2014-11-26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US8767394B1 (en) * 2011-03-21 2014-07-01 Google Inc. One-handed browsing appliance
US9658766B2 (en) 2011-05-27 2017-05-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dge gesture
US9104440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9158445B2 (en) 2011-05-27 2015-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an immersive interface in a multi-application immersive environment
US9104307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8893033B2 (en) 2011-05-27 2014-11-18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notifications
BR202012004687U8 (pt) * 2011-07-13 2016-11-22 Motorola Mobility Inc Dispositivo eletrônico móvel com chassi aperfeiçoado
KR200471325Y1 (ko) 2011-07-13 2014-02-19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강화된 공차 누적기를 구비하는 모바일 전자 장치
BR202012004685Y1 (pt) 2011-07-13 2019-04-0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Dispositivo eletrônico móvel com construção laminada aprimorada
BR202012004686Y1 (pt) 2011-07-13 2019-05-1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Dispositivo eletrônico móvel com redução de impacto reforçada.
US20130057587A1 (en) 2011-09-01 2013-03-07 Microsoft Corporation Arranging tiles
US9519382B2 (en) * 2011-09-02 2016-12-13 Sony Corporation Touch panel device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including touch panel device
US9146670B2 (en) 2011-09-10 2015-09-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gressively indicating new content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8666456B2 (en) * 2011-10-12 2014-03-04 Htc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US8810535B2 (en) 2011-10-18 2014-08-19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TWI454998B (zh) * 2011-10-28 2014-10-01 Wistron Corp 光學觸控裝置
EP2611146A1 (en) 2011-12-30 2013-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with camera
KR101397084B1 (ko) * 2012-07-02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8994678B2 (en) * 2012-07-18 201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chniques for programmable button on bezel of mobile terminal
CN202795155U (zh) * 2012-08-16 2013-03-13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US9785186B2 (en) * 2012-10-16 2017-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ckage system with cover structur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114312B1 (ko) * 2012-10-29 2020-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화면 제어 방법
US9582122B2 (en) 2012-11-12 2017-0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sensitive bezel techniques
KR101424742B1 (ko) * 2012-12-06 2014-08-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입력장치와 그 방법
KR102051908B1 (ko) * 2013-01-16 2019-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장치 및 방법
US20150227167A1 (en) * 2014-02-10 2015-08-13 Ming Yi CHIANG Back cover assembly of electronic mobile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light emission effect
US9477337B2 (en) * 2014-03-14 2016-10-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ductive trace routing for display and bezel sensors
KR102188105B1 (ko) * 2014-06-20 2020-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US9747739B2 (en) * 2014-08-18 2017-08-29 Noke, Inc. Wireless locking device
DE202015000056U1 (de) * 2015-01-12 2015-04-24 Dieter Christandl Lichtleitblock mit Leuchtrahmen
US9728022B2 (en) 2015-01-28 2017-08-08 Noke, Inc. Electronic padlocks and related methods
KR102252225B1 (ko) * 2015-02-27 2021-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나 이상의 통지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9898129B1 (en) * 2016-01-26 2018-02-20 Rockwell Collins, Inc. Displays with functional bezels
KR102401285B1 (ko) 2016-04-01 2022-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16344B1 (ko) * 2016-06-21 2023-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6736771B2 (ja) * 2017-06-23 2020-08-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文字表示方法
CN108040155B (zh) * 2018-02-07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光敏组件及移动终端
CN108418925B (zh) * 2018-04-13 2019-12-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8712524B (zh) * 2018-04-13 2020-01-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8429836A (zh) * 2018-04-19 2018-08-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8712537B (zh) * 2018-07-23 2021-03-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9375232B (zh) * 2018-10-17 2021-01-26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一种距离测量方法及装置
WO2020144138A1 (en) * 2019-01-11 2020-07-16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td. Interaction element, control element and motor vehicle
US11352817B2 (en) 2019-01-25 2022-06-07 Noke, Inc. Electronic lock and interchangeable shackles
CN210225469U (zh) * 2019-03-19 2020-03-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和中框
CN110430704B (zh) * 2019-07-31 2021-10-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USD961572S1 (en) 2020-11-11 2022-08-23 Case-Mate, Inc. Case for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1276A (en) * 1985-04-15 1988-09-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omagnetic touch sensor input system in a cathode ray tube display device
US4898555A (en) * 1989-03-23 1990-02-06 Bell & Howell Publication Systems Company Display screen bezel and assembly method
US5162783A (en) * 1990-07-23 1992-11-10 Akzo N.V. Infrared touch screen device for a video monitor
US5936615A (en) * 1996-09-12 1999-08-10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Image-based touchscreen
US6424335B1 (en) * 1998-09-02 2002-07-23 Fujitsu Limited Notebook computer with detachable infrared multi-mode input device
US7289102B2 (en) * 2000-07-17 2007-10-3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multiple sensors in a device with a display
US6816154B2 (en) * 2001-05-30 2004-11-09 Palmone, Inc. Optical sensor based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3271301A (ja) 2002-03-15 2003-09-26 Hitachi Ltd 携帯端末装置
US20080153581A1 (en) * 2003-09-12 2008-06-26 Igt Card loading system for a data card unit
KR20050031736A (ko) * 2003-09-30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광 핸드폰
EP1758013B1 (en) * 2005-08-24 2018-07-04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a touch input uni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755851B1 (ko) 2005-10-14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방법,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이동 단말기용 크래들
CN101609383B (zh) 2006-03-03 2014-08-06 苹果公司 具有显示器和用于用户界面及控制的周围触摸敏感边框的电子设备
KR101168987B1 (ko) * 2006-07-25 2012-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KR100778483B1 (ko) * 2006-07-27 2007-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0786157B1 (ko) * 2006-10-23 200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버튼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KR101529916B1 (ko) * 2008-09-02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8907B2 (en) 2008-06-18 2011-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gic circuits, inverter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9686873B2 (en) 2010-03-18 2017-06-20 Nokia Technologies Oy Housing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537438B1 (ko) * 2010-03-18 2015-07-16 노키아 코포레이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
US9119293B2 (en) 2010-03-18 2015-08-25 Nokia Technologies Oy Housing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162510B2 (en) 2011-08-05 2018-12-25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and a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9110580B2 (en) 2011-08-05 2015-08-18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and a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80137599A (ko) * 2012-10-19 2018-12-27 애플 인크. 트림리스 글래스 엔클로저 인터페이스
KR20190131607A (ko) * 2012-10-19 2019-11-26 애플 인크. 트림리스 글래스 엔클로저 인터페이스
US10534403B2 (en) 2012-10-19 2020-01-14 Apple Inc. Trimless glass enclosure interface
KR20210000324A (ko) * 2012-10-19 2021-01-04 애플 인크. 트림리스 글래스 엔클로저 인터페이스
US11132029B2 (en) 2012-10-19 2021-09-28 Apple Inc. Trimless glass enclosure interface
WO2017111563A1 (ko) 2015-12-23 2017-06-29 씨제이제일제당(주) D-사이코스 3-에피머화 효소 및 염을 포함하는 d-사이코스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d-사이코스의 제조 방법
WO2021236966A1 (en) * 2020-05-22 2021-11-25 Lumileds Llc Led lighting module
US11982431B2 (en) 2020-07-27 2024-05-14 Lumileds Llc LED lighting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68056B (zh) 2013-11-13
EP2159999A1 (en) 2010-03-03
US20100053861A1 (en) 2010-03-04
CN101668056A (zh) 2010-03-10
US8471810B2 (en) 2013-06-25
KR101529916B1 (ko) 2015-06-18
EP2159999B1 (en) 201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916B1 (ko) 휴대 단말기
KR101613919B1 (ko) 이동 단말기
KR20110045330A (ko) 이동 단말기
KR2010004216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KR101901610B1 (ko) 이동 단말기
KR20100064936A (ko) 이동 단말기
KR20110022386A (ko) 이동 단말기
KR102007225B1 (ko) 이동 단말기
KR101772074B1 (ko) 이동 단말기
KR101913213B1 (ko) 이동 단말기
KR101909605B1 (ko) 이동 단말기
KR101561906B1 (ko) 이동 단말기
KR101951415B1 (ko) 이동 단말기
KR101929811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91185A (ko) 이동 단말기
KR20110002366A (ko) 이동 단말기
KR101578726B1 (ko) 이동 단말기
KR102076510B1 (ko) 이동 단말기
KR101275189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62751A (ko) 이동 단말기
KR102007242B1 (ko) 이동 단말기
KR101504215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55320A (ko) 이동 단말기
KR101912690B1 (ko) 이동 단말기
KR101279517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