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157B1 - 버튼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 Google Patents

버튼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157B1
KR100786157B1 KR1020060102955A KR20060102955A KR100786157B1 KR 100786157 B1 KR100786157 B1 KR 100786157B1 KR 1020060102955 A KR1020060102955 A KR 1020060102955A KR 20060102955 A KR20060102955 A KR 20060102955A KR 100786157 B1 KR100786157 B1 KR 100786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plate
cover
cas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한
서동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2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157B1/ko
Priority to US11/873,663 priority patent/US796480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버튼부(48,48')가 구비되는 커버버튼판(36)이 케이스(10)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버튼부(48,48')가 상기 버튼판(36)의 표면에 평평하게 형성된다. 상기 버튼부(48,48')의 배면에 누름보스(46)가 형성되어 기판(18)에 실장된 텍트스위치(19)를 조작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커버버튼판(36)은 케이스(10)에 형성된 버튼단차부(24)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버튼판(36)의 배면에는 슬라이드걸이구(42)와 체결홈(4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버튼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에 의하면 버튼장치가 모바일기기의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아 모바일기기의 외관 디자인을 다양하게 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버튼장치에서 버튼부를 광원을 사용하여 조명하여 사용자가 어둠 속에서도 버튼부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버튼장치, 누름, 모바일기기, 조명

Description

버튼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Button apparatus and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모바일기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모바일기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요부 구성을 보인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프론트케이스의 배면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6a에서 도 6c는 커버버튼판을 버튼단차부에 장착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케이스 12: 프론트케이스
14: 리어케이스 16: 프레임
18: 기판 19: 텍트스위치
19': 다기능스위치 20: 윈도우
22: 디스플레이부 24: 버튼단차부
26: 보스통공 28: 광통로
30: 걸이구통공 32: 체결공
34: 다기능버튼공 35: 버튼걸이
36: 커버버튼판 38: 버튼관통공
40: 제1걸이단 42: 슬라이드걸이구
43: 관통판 43': 걸이판
44: 체결홈 46: 누름보스
본 발명은 버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기기 등의 조작을 위한 버튼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모바일기기의 예로 휴대단말기를 제시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예로는 전화기능이 주가 되는 휴대폰, 전자수첩기능이 주가 되는 PDA, 전화기능과 전자수첩기능을 겸비한 스마트폰, 동영상의 재생이 가능한 PMC(Portable multimedia center) 또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등이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모바일기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외관을 케이스(1)가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1)의 일부를 전면판(3)과 배면판(5)이 형성한다. 상기 전면판(3)은 케이스(1)의 전면과 양측면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면판(5)은 케이스(1)의 배면과 양측면 일부를 형 성한다.
상기 전면판(3)의 상반부 거의 전체를 차지하도록 디스플레이부(7)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7)는 액정패널과 같은 것이 사용되는데, 필요한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전면판(3)의 하반부에는 조그버튼(9)과 기능버튼(9')이 구비된다. 상기 조그버튼(9)과 기능버튼(9')은 눌러져 조작됨에 의해 각각 부여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능버튼(9')은 케이스(1)의 측면에도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조그버튼(9)과 기능버튼(9') 등은 전면판(3)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특히 상기 조그버튼(9)과 기능버튼(9')은 상기 전면판(3)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눌러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그버튼(9)과 기능버튼(9')이 전면판(3)에서 돌출되어 있음으로 해서, 전자기기의 외관 디자인을 다양하게 설계하지 못하여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조그버튼(9)이나 기능버튼(9')은 어두운 곳에서는 쉽게 식별할 수 없어, 어두운 곳에서 버튼(9,9')의 조작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이 터치됨에 의한 정전기를 이용하여 버튼을 조작하도록 하는 터치타입의 버튼장치가 채용되었다. 하지만 터치타입 버튼장치는 상대적으로 오동작이 많이 일어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바일기기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는 버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바일기기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가 누름에 의해 텍트스위치가 조작되는 버튼장치에서 버튼부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이 가능하고 대응되는 배면에 누름보스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버튼부를 구비하는 커버버튼판과,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버튼판이 안착되고 상기 누름보스가 관통하는 버튼단차부와, 상기 케이스의 배면에 위치되고 상기 누름보스에 의해 조작되는 텍트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튼단차부에는 상기 누름보스가 관통하는 보스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단차부의 양단에는 버튼단차부의 하단과 평행한 슬릿이 버튼단차부의 하단과 직교하는 방향의 슬릿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는 직교슬릿 형태의 걸이구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버튼판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버튼판에는 상기 걸이구통공에 걸어지는 슬라이드걸이구가 배면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버튼단차부의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홈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단차부의 상단에는 상기 커버버튼판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걸이단이 커버버튼판이 버튼단차부를 따라 슬라이딩됨에 의해 걸어지는 걸이홈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걸이구는 상기 커버버튼판의 배면에서 직교하게 돌출된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관통판과 상기 관통판의 상단에 각각의 관통판에 직교하게 형성되어 상기 버튼단차부의 배면에 밀착되어 걸어지는 걸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들 관통판과 걸이판으로 구성된 슬라이드걸이구는 양단의 것이 서로 대칭이 된다.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 설치되는 기판에는 광원이 더 구비되고, 상기 광원에서 나온 광을 상기 커버버튼판의 외부로 광학부재를 사용하여 보내는 버튼표시가 상기 커버버튼판의 버튼부에 더 구비된다.
상기 커버버튼판이 상기 버튼단차부에 안착되면 상기 커버버튼판의 표면과 케이스의 표면은 연속되는 평면을 형성한다.
상기 커버버튼판에는 버튼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단차부의 상기 버튼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다기능버튼공이 형성되며, 상기 다기능버튼공이 형성된 버튼단차부의 배면에는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 설치되는 기판에 실장된 다기능스위치와 연동되는 다기능버튼이 설치되는 버튼걸이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부품들이 실장되는 기판과,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된 윈도우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어느 하나의 버튼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버튼단차부와, 상기 버튼단차부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버튼단차부에 안착되어 케이스와 결합되며 표면이 상기 케이스의 표 면과 연속되는 평면을 형성하는 커버버튼판과, 상기 커버버튼판의 표면에 평평하게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버튼단차부를 관통하는 누름보스를 배면에 구비하는 버튼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버튼부의 누름보스에 의해 조작되는 텍트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판에는 광원이 실장되고, 상기 버튼부에는 상기 광원에서 나온 광을 커버버튼판의 외부로 광학부재를 사용하여 노출되게 하는 버튼표시가 더 구비된다.
상기 버튼단차부에는 상기 기판과의 사이에서 상기 광원의 광을 전달하는 광통로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버튼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에 의하면 버튼장치가 모바일기기의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아 모바일기기의 외관 디자인을 다양하게 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버튼장치에서 버튼부를 광원을 사용하여 조명하여 사용자가 어둠 속에서도 버튼부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버튼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모바일기기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요부 구성이 배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프론트케이스의 배면 구성이 배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모바일기기의 외관을 케이스(10)가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10)는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케이스(12)와 리어케이스(14)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케이스(12)는 상기 케이스(10)의 전면 전체와 양측면 일부, 그리고 상면 및 하면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리어케이스(14)는 케이스(10)의 배면 전체와 양측면 일부, 그리고 상면 및 하면 일부를 형성한다. 하지만, 상기 케이스(10)는 반드시 프론트케이스(12)와 리어케이스(14)로만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론트케이스(12)와 리어케이스(14)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케이스(12)와 리어케이스(14)와 각각 결합되도록 프레임(16)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6)은 상기 프론트케이스(12)와 리어케이스(1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상기 케이스(10)의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케이스(12)와 리어케이스(14)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기판(18)이 설치된다. 상기 기판(18)에는 모바일기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실장된다. 상기 기판(18)에는 버튼장치를 구성하는 텍트스위치(19)와 다기능스위치(19')등이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케이스(12)의 전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윈도우(20)가 형성된다. 상기 윈도우(20)로는 디스플레이부(22)가 노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2)는 모바일기기에서 화상을 표시하는 부분으로, 일반적으로 액정패널이 사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2)는 상기 프론트케이스(12)의 배면에 설치되어 그 전면이 상기 윈도우(2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프론트케이스(12)의 윈도우(20) 하단에는 버튼단차부(24)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단차부(24)는 상기 프론트케이스(12)의 전면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요입되게 단차진다. 상기 버튼단차부(2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버튼판(36)이 안착된다.
상기 버튼단차부(24)에는 보스통공(26)이 형성된다. 상기 보스통공(26)은 상기 버튼단차부(24)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스통공(26)은 상기 프론트케이스(12)의 배면으로 개구된다. 상기 보스통공(26)은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버튼단차부(24)의 두 곳에 형성된다.
상기 보스통공(26)에 각각 인접한 위치에는 광통로(28)가 형성된다. 상기 광통로(28)는 상기 기판(18)에 실장된 광원(도시되지 않음)에서 나온 광을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버튼판(36)의 전면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통로(28)가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버튼단차부(24)의 양단에는 각각 2개씩의 걸이구통공(30)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구통공(30)은 상기 버튼단차부(24)의 배면(도 5 참조)에서 볼 때, '└'이나 '┘'형상으로 된다. 상기 걸이구통공(30)중 상기 버튼단차부(24)의 하단과 평행한 부분은 상대적으로 폭이 넓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걸이구통공(30)에 걸어지는 슬라이드걸이구(42)가 걸이구통공(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 거리만큼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걸이구통공(30)의 일측 부분은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드걸이구(42)의 걸이판(43')이 통과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진다. 참고로 이와 같은 걸이구통공(30)의 형상은 두개의 슬릿이 서로 직교하므로 이를 직교슬릿 형태라고 하기로 한다.
상기 버튼단차부(24)의 중앙 하단에는 체결공(32)이 두 개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32)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버튼판(36)을 프론트케이스(12)에 체결하는 나사가 체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버튼단차부(24)의 중간부분에는 다기능버튼(33)이 위치되는 다기능버튼공(34)이 형성된다. 상기 다기능버튼(33)은 일종의 조그버튼으로, 예를 들면 상하좌우로의 움직임이나 눌러짐에 의해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다기능버튼(33)은 상기 다기능스위치(19')와 연결되어 다기능스위치(19')를 조작하도록 한다.
상기 다기능버튼공(34)의 양단에 해당되는 상기 프론트케이스(12)의 배면에는 버튼걸이(35)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걸이(35)는 상기 다기능버튼(33)이 상기 다기능버튼공(34) 내에 설치되어 있도록 걸어주는 역할을 한다.
커버버튼판(36)은 상기 버튼단차부(24)에 안착된다. 상기 커버버튼판(36)이 상기 버튼단차부(24)에 안착되면, 상기 프론트케이스(12)의 표면과 상기 커버버튼판(36)의 표면이 연속적인 표면을 이루도록 된다. 즉, 이들 사이에는 높이차가 없도록 된다.
상기 커버버튼판(36)은 프론트케이스(12)의 하단부 전면과 하단부 양측면 및 하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커버버튼판(36)에는 상기 다기능버튼공(34)과 대응되는 위치에 버튼관통공(38)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관통공(38)을 통해서는 상기 다기능버튼(33)이 커버버튼판(36)의 전면으로 노출된다.
상기 커버버튼판(36)의 상단 중앙에는 제1걸이단(40)이 형성된다. 상기 제1걸이단(40)은 상기 버튼단차부(24)의 상단에 형성되는 걸이홈(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어 커버버튼판(36)의 상단이 프론트케이스(12)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이홈은 상기 버튼단차부(24)를 정면에서 볼 때, 상기 프론트케이스(12)의 전면에서 버튼단차부(24)로 넘어가는 수직면에 형성된다.
상기 커버버튼판(36)의 배면 양단에는 슬라이드걸이구(42)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걸이구(42)는 상기 걸이구통공(30)에 걸어지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걸이구(42)는 상기 커버버튼판(36)의 배면을 포함하여 전체가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그 중에서 인접하는 2면이 제거된 형태이다. 즉, 상기 커버버튼판(36)의 배면에서 직교하게 두 개의 관통판(43)이 돌출된다. 이들 관통판(43)은 서로 직교한다. 상기 관통판(43)은 상기 걸이구통공(30)을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관통판(43)의 상단에는 각각의 관통판(43)에 직교하게 걸이판(43')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판(43')은 상기 버튼단차부(24)의 배면에 밀착되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슬라이드걸이구(42)는 그 양단의 것이 서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버튼판(36)의 배면에는 상기 프론트케이스(12)의 체결공(32)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홈(4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44)에는 상기 체결공(32)을 관통한 나사가 체결된다.
상기 커버버튼판(36)의 배면에는 누름보스(4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누름보스(46)는 상기 기판(18)의 텍트스위치(19)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누름보스(46)가 구비된다.
상기 누름보스(46)가 구비된 위치와 대응되는 커버버튼판(36)의 전면은 각각 제1 및 제2 버튼부(48,48')가 된다.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48,48')는 사용자가 누르면 어느 정도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48,48')에 해당되는 커버버튼판(36) 부분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두께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48,48')가 눌러져 탄성변형됨에 의해 상기 누름보스(46)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상기 텍트스위치(19)를 눌러주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48,48')에는 각각 버튼표시(49)가 구비된다. 상기 버튼표시(49)는 해당되는 버튼부(48,48')가 눌러졌을 때, 수행되는 기능을 표시하는 기호이다. 상기 버튼표시(49)는 상기 광통로(28)를 통해 전달된 광에 의해 조명되어 외부에서 알아볼 수 있도록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버튼표시(49)가 구비된 부분에는 커버버튼판(36)과는 다른 재질로 된 광학부재(도면부호 부여않음)가 인서트사출 또는 이중사출에 의해 구비된다. 상기 광학부재는 광원에서 나온 광을 외부로 보낼 수 있는 성질을 가지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버튼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버튼장치를 모바일기기의 케이스(10)에 장착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프론트케이스(12)에 형성된 상기 버튼단차부(24)에 인접하여 상기 커버버튼판(36)을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커버버튼판(36)은 상기 버튼단차부(24)의 하단 가장자리보다 약간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걸이구통공(30)의 일측 슬릿 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걸이구(42)가 삽입되어 프론트케이스(12)의 배면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버튼판(36)을 상기 버튼단차부(24)를 따라 상승시킨다. 즉, 상기 제1걸이단(40)이 상기 프론트케이스(12)의 걸이홈에 걸어지도록 커버버튼판(36)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커버버튼판(36)이 이동되어 상기 제1걸이단(40)이 걸이홈에 걸어지면, 상기 체결공(32)과 체결홈(44)이 서로 일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기능버튼(33)이 상기 버튼관통공(38)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걸이구(42)는 상기 걸이구통공(30)내에서 이동되어 상기 걸이판(43')이 상기 프론트케이스(12)의 배면에 걸어진다.
따라서, 상기 커버버튼판(36)은 상기 걸이판(43')이 상기 프론트케이스(12)의 배면에 걸어지고, 상기 제1걸이단(40)이 걸이홈에 걸어짐에 의해 상기 버튼단차부(24)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된다. 하지만, 상기 커버버튼판(36)은 상기 프론트케이스(12)의 하단부 방향으로는 슬라이딩될 수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커버버튼판(36)이 상기 프론트케이스(12)에 최종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프론트케이스(12)의 배면에서 상기 체결공(32)과 체결홈(44)에 나사를 체결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프론트케이스(12)에 상기 커버버튼판(36)이 완전히 체결된다.
한편, 상기 커버버튼판(36)의 표면은 상기 프론트케이스(12)의 다른 표면과 연속되는 표면으로 되어 사용자가 볼 때, 만약 커버버튼판(36)이 프론트케이스(12) 와 동일 색상 또는 재질 등으로 되어 있다면 커버버튼판(36)과 프론트케이스(12)를 다른 부품으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버튼장치가 모바일기기에 장착되고, 상기 기판(18)이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등, 모바일기기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누름보스(46)는 상기 기판(18)의 텍트스위치(19)에 인접하거나 접촉하여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48,48')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면 누름보스(46)가 텍트스위치(19)를 눌러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기능버튼(33)은 상기 다기능스위치(19')와 연동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사용자가 다기능버튼(33)을 조작하면 다기능스위치(19')가 조작되면서 원하는 조작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광통로(28)는 상기 기판(18)에 설치된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광을 받아 상기 버튼표시(49)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버튼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버튼장치는 커버버튼판이 외관을 구성하고 커버버튼판의 제1 버튼부나 제2 버튼부를 눌러주면 프론트케이스를 관통한 누름보스가 기판에 설치 된 텍트스위치를 조작하여 원하는 기능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버튼장치의 외관으로 버튼이 돌출되지 않고 커버버튼판이 프론트케이스의 다른 표면과 연속되는 표면을 형성하므로 버튼장치의 외관이 상대적으로 깔끔하게 되어 소비자의 디자인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커버버튼판의 표면으로 버튼 등의 구성이 돌출되지 않아, 불의의 외력에 의한 버튼장치의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가방이나 주머니에 수납하여 가지고 다니더라도 불의의 외력에 의한 버튼장치의 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커버버튼판의 외부로 버튼 등의 구성이 돌출되지 않으면서도 버튼표시가 내부의 광원에 의해 조명되므로 사용자가 버튼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특히, 어두운 곳에서도 버튼표시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Claims (11)

  1.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이 가능하고 대응되는 배면에 누름보스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버튼부를 구비하는 커버버튼판과,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버튼판이 안착되고 상기 누름보스가 관통하는 버튼단차부와,
    상기 케이스의 배면에 위치되고 상기 누름보스에 의해 조작되는 텍트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단차부에는 상기 누름보스가 관통하는 보스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단차부의 양단에는 버튼단차부의 하단과 평행한 슬릿이 버튼단차부의 하단과 직교하는 방향의 슬릿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는 직교슬릿 형태의 걸이구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버튼판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버튼판에는 상기 걸이구통공에 걸어지는 슬라이드걸이구가 배면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버튼단차부의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단차부의 상단에는 상기 커버버튼판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걸이단이 커버버튼판이 버튼단차부를 따라 슬라이딩됨에 의해 걸어지는 걸이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걸이구는 상기 커버버튼판의 배면에서 직교하게 돌출된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관통판과 상기 관통판의 상단에 각각의 관통판에 직교하게 형성되어 상기 버튼단차부의 배면에 밀착되어 걸어지는 걸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들 관통판과 걸이판으로 구성된 슬라이드걸이구는 양단의 것이 서로 대칭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 설치되는 기판에는 광원이 더 구비되고, 상기 광원에서 나온 광을 상기 커버버튼판의 외부로 광학부재를 사용하여 보내는 버튼표시가 상기 커버버튼판의 버튼부에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버튼판이 상기 버튼단차부에 안착되면 상기 커버버튼판의 표면과 케이스의 표면은 연속되는 평면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버튼판에는 버튼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단차부의 상기 버튼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다기능버튼공이 형성되며, 상기 다기능버튼공이 형성된 버튼단차부의 배면에는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 설치되는 기판에 실장된 다기능스위치와 연동되는 다기능버튼이 설치되는 버튼걸이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8.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부품들이 실장되는 기판과,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된 윈도우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청구항 1에서 청구항 7중 어느 한 항의 버튼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9.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버튼단차부와,
    상기 버튼단차부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버튼단차부에 안착되어 케이스와 결합되며 표면이 상기 케이스의 표면과 연속되는 평면을 형성하는 커버버튼판과,
    상기 커버버튼판의 표면에 평평하게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버튼단차부를 관통하는 누름보스를 배면에 구비하는 버튼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버튼부의 누름보스에 의해 조작되는 텍트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광원이 실장되고, 상기 버튼부에는 상기 광원에서 나온 광을 커버버튼판의 외부로 광학부재를 사용하여 노출되게 하는 버튼표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단차부에는 상기 기판과의 사이에서 상기 광원의 광을 전달하는 광통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KR1020060102955A 2006-10-23 2006-10-23 버튼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KR100786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955A KR100786157B1 (ko) 2006-10-23 2006-10-23 버튼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US11/873,663 US7964808B2 (en) 2006-10-23 2007-10-17 Button apparatus and mobile applian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955A KR100786157B1 (ko) 2006-10-23 2006-10-23 버튼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157B1 true KR100786157B1 (ko) 2007-12-21

Family

ID=39147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955A KR100786157B1 (ko) 2006-10-23 2006-10-23 버튼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1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727B1 (ko) * 2008-06-30 2011-01-13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
KR101529916B1 (ko) * 2008-09-02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1458A (ja) 2000-06-06 2001-12-21 Polymatech Co Ltd キー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90092Y1 (ko) 2005-05-04 2005-07-18 이해식 금속재 키패드
KR200413540Y1 (ko) 2006-01-17 2006-04-07 주식회사 신화엠에스 핸드폰용 키패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1458A (ja) 2000-06-06 2001-12-21 Polymatech Co Ltd キー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90092Y1 (ko) 2005-05-04 2005-07-18 이해식 금속재 키패드
KR200413540Y1 (ko) 2006-01-17 2006-04-07 주식회사 신화엠에스 핸드폰용 키패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727B1 (ko) * 2008-06-30 2011-01-13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
KR101529916B1 (ko) * 2008-09-02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4808B2 (en) Button apparatus and mobile appliance having the same
CN100570530C (zh) 用于便携式计算机的锁闩装置
JP6107556B2 (ja) キーボード装置
US8723064B2 (en) Button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0786157B1 (ko) 버튼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US20110074608A1 (en) Button-ke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US8833179B2 (en) Pressing type input device
US20160223866A1 (en) Display apparatus
US20110211306A1 (en) Electronic device
US8090096B2 (en) Tilting mechanism and electronic apparatus
US7312413B2 (en) Electronic device and key assembly thereof
JP6844987B2 (ja) キー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JP4309732B2 (ja) 情報機器
EP2469809B1 (en) Mobile Device
EP2685345B1 (en) Switch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JP2000270063A (ja) 携帯電話機
US8760590B2 (en) Attachment structure for control key unit
KR20080056966A (ko) 버튼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US10832879B1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201210775Y (zh) 具有面板式按键的电子装置
KR20080056962A (ko) 버튼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TW201324565A (zh) 按鍵組件
JP5857352B1 (ja) ボタン操作装置
CN101599374A (zh) 具有面板式按键的电子装置
KR20090034146A (ko) 휴대용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