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0101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0101A
KR20090030101A KR1020070095430A KR20070095430A KR20090030101A KR 20090030101 A KR20090030101 A KR 20090030101A KR 1020070095430 A KR1020070095430 A KR 1020070095430A KR 20070095430 A KR20070095430 A KR 20070095430A KR 20090030101 A KR20090030101 A KR 20090030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key
unit
backlighting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혁
이성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5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0101A/ko
Publication of KR20090030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1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18Electroluminescent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01H2219/037Light emitting elements using organic materials, e.g. organic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 어셈블리와, 상기 키 어셈블리에 대해 영역을 구분하여 선택적인 백라이팅이 이루어지게 하는 백라이팅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키 어셈블리 또는 키에 대한 백라이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나아가,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 어셈블리 또는 키에 대한 백라이팅에 대해서도 새로운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키 어셈블리에 대하여 종래와 다른 백라이팅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상기 키 어셈블리에 표시된 정보에 관한 사용자의 인식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상기 백라이팅 시의 소모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본체, 키 어셈블리 및 백라이팅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모듈 등이 장착되고,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정보를 입력받는 키 어셈블리 또한 구비된다. 상기 키 어셈블리에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가 구비된다. 상기 키에는 복수의 입력 가능한 정보 모드들을 이루는 요소들이 표시된다. 상기 백라이팅 유닛은 상기 키 어셈블리에 대한 백라이팅이 복수로 나누어진 발광 영역들에서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하여, 상기 키 어셈블리의 내면 측에 형성된다. 상기 키 어셈블리는 누름 방식의 어셈블리이거나 터치 방식의 어셈블리 등 어떠한 형태이건 사용자가 직접 손가락 등을 접촉하여 정보 또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면 무방하다.
상기 발광 영역들은 각 정보 모드 별로 할당되거나, 각 키 별로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모드는 숫자, 언어 등을 입력하기 위한 신호들일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들은 상기 키 어셈블리의 내면에 인쇄되는 유기 발광층들로서,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기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키 어셈블리를 영역별로 구분하여 백라이팅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백라이팅이 이루어진 키 어셈블리 부분에 표시된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그 결과로, 사용자는 선택된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인식하여 키 어셈블리(키)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키 어셈블리의 일부 영역에만 백라이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에 따라, 구분없이 키 어셈블리 전체를 백라이팅하는 경우에 비하여 백라이팅을 위한 전력 소모가 줄어들도록 한다.
나아가, 복수의 발광 영역들의 발광 순서 또는 패턴을 제어하여 백라이팅에 더하여, 발광에 의한 새로운 느낌 또는 의미를 표현할 수도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0)와, 상기 제1바디(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 및 20)는 통칭하여 본체라고 칭해질 수도 있다.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에는 디스플레이부(13), 음향출력부(14), 제1 영상입력부(15) 또는 제1 조작부(1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음향출력부(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입력부(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작부(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바디(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21)와 리어 케이스(22)가 제2 바디(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바디(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23)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1) 또는 리어 케이스(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24), 제1 음향입력부(25), 인터페이스(2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6,23,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조작부(24)는 제1 영상입력부(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음향 입력부(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7)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바디(20)의 리어 케이스(22)의 후면에는 제2 영상입력부(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입력부(28)는 제1 영상입력부(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입력부(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입력부(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입력부(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9)와 거울부(30)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29)는 제2 영상입력부(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30)는 사용자가 제2 영상입력부(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하부 커버(22)에는 제2 음향출력부(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출력부(31)는 제1 음향출력부(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하부 커버(2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32)는 제2바디(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10)의 리어 케이스(12) 측에는 제1바디(10)와 제2바디(20)를 슬라이 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33)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33)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20)의 프론트 케이스(2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영상입력부(28) 등이 제2바디(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입력부(28) 등과 같이 하부 커버(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8 내지 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0), 주로는 하부 커버(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하부 커버(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영상입력부(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입력부(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입력부(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에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위의 제2 조작부(23)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라인(Ⅲ-Ⅲ)을 따라 취한 요부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에서 제2 조작부(23)는 편의상 키 어셈블리(100)로도 칭해진다.
상기 키 어셈블리(100)는 적어도 하나의 키(110)와, 상기 키(110)를 지지하는 지지패드(120)를 포함한다. 지지패드(120)는 플레이트와 같은 형태로서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키(110)들은 서로 이격된 채로 지지패드(120)의 외면 상에 배치되어 돌출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키(110)들은 지지패드(120)에 인쇄되는 등의 방식으로 지지패드(120)와 일체화되어 실질적으로 돌출되지 않게 형성될 수도 있다.
키 어셈블리(100)에는 각 키(110)에 대응하는 누름돌기(131)를 가지는 누름패드(130)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각 누름돌기(131)에 대응해서는 회로기판(40) 상에 스위치(140)가 배치된다. 회로기판(40)은 기능적인 관점에서 제어부(40, 도 7 참조)라고 칭해질 수도 있으며, 스위치(140)는, 예를 들어 돔 스위치일 수 있다. 이와 달리 키 어셈블리(100)는 사용자의 터치(touch) 조작을 인식하는 터치 패드일 수도 있다.
상기 키 어셈블리(100), 구체적으로는 키(110)를 백라이팅(backlighting)하기 위한 백라이팅 유닛(200)은 지지패드(120)의 내면 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백라이팅 유닛(200)이 지지패드(120)의 내면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를 보이고 있다.
도 4는 도 3에서의 백라이팅 유닛(200)의 배열을 보다 구체적으로 보인 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키(110)에는 그를 누름 조작함에 따라 입력 가능한 정보 모드들, 예를 들어 숫자 모드, 영어 모드 등을 위한 개별 숫자 및 알파벳이 표시된다.
백라이팅 유닛(200)은 복수의 발광 영역들(210,220)을 포함한다. 발광 영역들(210,220)은 지지패드(120)의 내면에 인쇄되어 형성되는 유기발광층(Organic Light Emitting Layer)일 수 있다. 유기발광층은 빛의 직진성이 좋아 해당 영역만이 집중적으로 백라이팅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유기발광층이 직접 지지패 드(120)의 내면에 인쇄됨에 따라, 별도의 백라이팅을 위한 부재 또는 패드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발광 영역들(210,220) 중 제1 발광 영역(210)은 복수의 키(110)들에 표시된 숫자들만을 대상으로 한다. 그 결과로, 예시된 키(110)들 전체의 숫자가 표시된 영역{키(110)의 왼쪽 영역}에 대응하는 발광 영역은 제1 발광 영역(210)으로 묶여 질 수 있다. 이와 달리, 키(110)들의 숫자가 표시된 영역들이 복수의 발광 영역들로 보다 세분화될 수 있다.
제1 발광 영역(210)과 구분되는 제2 발광 영역(220)은 키(110)의 알파벳이 표시된 영역{키(110)의 오른쪽 영역}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로, 예시된 키(110)들 전체의 알파벳이 표시된 영역들은 제2 발광 영역(220)으로 설정되어 일체로 백라이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알파벳이 표시된 영역들이 복수의 발광 영역들로 세분화될 수도 있다.
발광 영역들(210,220) 각각 에는 제1 전극(211) 또는 제2 전극(221)이 연결되고, 상기 전극들(211 및 221)은 회로기판(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로기판(40)은 발광 영역들(210,220)에 대한 전원 공급 및 그에 따른 그들의 발광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정보 모드들 중 하나의 모드 만이 백라이팅 유닛(200)에 의해 백라이팅될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발광 영역(210)에 전원이 공급된 경우라면, 각 키(110)의 숫자들이 표시된 영역에 대한 백라이팅이 이루어져서, 키(110)들에는 숫자 모드 만이 표시된 것과 같은 상태가 된 다. 사용자는 전화번호를 입력하려는 경우 등에서 알파벳을 고려하지 않고 숫자만을 인식하게 되어, 보다 신속하게 원하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11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특정 모드의 정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그러한 모드를 구성하는 키(110)의 영역만이 백라이팅 됨에 따라, 키(110)의 전 영역을 백라이팅하는 경우에 비하여 백라이팅을 위한 전력 소모가 저감 되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도 4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키 어셈블리(100')를 백라이팅하기 위한 백라이팅 유닛(200')을 구성하는 복수의 발광 영역들(211' 내지 222')이 각 키(110) 별로 할당되는 점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다.
발광 영역들(211' 내지 222')은 각 키(110)에 대응하는 영역을 백라이팅하기 위하여 지지패드(120)의 내면에 인쇄되는 등의 형태로 형성된다. 발광 영역들(211' 내지 222') 각각에서 연장하는 전극들은 회로기판(40, 도 3 참조)에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회로기판(40)의 제어에 의해 발광 영역들(211' 내지 222')은 일제히 발광 되거나, 각 키(110)를 조작할 때마다 상기 조작에 대한 확인의 의미로 개별적으로 발광될 수도 있다. 상기 확인의 의미를 가지는 경우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 도 1)를 통한 입력 확인에 더하여 백라이팅에 의해서도 자신의 조작에 의한 입력이 이루어졌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발광 영역들(211' 내지 222')은 음악의 재생이 나 방송 중 특정 장면(예를 들어, 축구 경기 중 골을 넣은 경우 등)에 대응하여, 키(110)들에 대한 조작과 상관없이 일정한 패턴을 가진 채로 발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도 1 등에 도시된 슬라이드 타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바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키 어셈블리(100,100') 및 백라이팅 유닛(200,200')은 제2 조작부(23)뿐만 아니라 다른 조작부(16,24)를 위해서도 채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41), 조작부(16,23,24), 영상 입력부(15,28), 음향입력부(25), 디스플레이부(13), 음향 출력부(14,31), 센싱유닛(46), 인터페이스(26), 방송 수신 모듈(45), 메모리(44), 전원공급부(27),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4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4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 통신 모듈(4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4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43)를 포함한다.
조작부(16,23,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40)에 제공한다.
영상 입력부(15,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5,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4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4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25)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4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4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2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4,3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4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4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4,31)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4,31)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센싱 유닛(4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4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27)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26)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44)는 제어부(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 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4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메모리(4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 수신 모듈(4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4,31), 디스플레이부(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4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4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4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4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27)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백라이팅 유닛(200,200')은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전원 공급부(27)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게 된다. 백라이팅 유닛(200,200')의 작동에 따라 조작부(23) 또는 키 어셈블리(100,100')에 대한 백라이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다양한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라인(Ⅲ-Ⅲ)을 따라 취한 요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의 백라이팅 유닛의 배열을 보다 구체적으로 보인 요부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제1 발광 영역만이 발광하는 경우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Claims (7)

  1. 본체;
    상기 본체에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며,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구비하는 키 어셈블리; 및
    상기 키 어셈블리의 내면 측에 형성되어, 상기 키 어셈블리에 대한 백라이팅이 복수로 나누어진 발광 영역들에서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백라이팅 유닛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에는 입력 가능한 복수 모드의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발광 영역들은 각 정보 모드를 기준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영역들은 각 정보 모드에 대하여 하나씩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영역들은 각 키를 기준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영역들은 하나의 키에 하나씩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영역들은 상기 키 어셈블리의 내면에 인쇄되는 유기발광층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기발광층들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095430A 2007-09-19 2007-09-19 휴대 단말기 KR200900301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430A KR20090030101A (ko) 2007-09-19 2007-09-19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430A KR20090030101A (ko) 2007-09-19 2007-09-19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101A true KR20090030101A (ko) 2009-03-24

Family

ID=40696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430A KR20090030101A (ko) 2007-09-19 2007-09-19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01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521B1 (ko) 휴대 단말기
KR101613953B1 (ko) 휴대 단말기
KR101437991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065109A (ko) 휴대 단말기
KR20100018389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090132014A (ko) 휴대 단말기
KR20090067886A (ko) 외부 모듈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충전상태 표시 방법
KR20100003625A (ko) 기능확장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20020664A (ko) 휴대 단말기
KR20090027514A (ko) 안테나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설정방법
KR20090102240A (ko) 터치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61900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030101A (ko) 휴대 단말기
KR101409872B1 (ko) 휴대 단말기
KR20100002902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사용되는 배터리
KR20090034659A (ko) 휴대 단말기
KR20110021477A (ko) 이동 단말기
KR10136021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전력 제어방법
KR101631082B1 (ko) 키패드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70378B1 (ko) 휴대 단말기
KR10103065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회로 구성 방법
KR20090092169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110090111A (ko) 휴대 단말기
KR101513618B1 (ko) 휴대 단말기
KR20110090110A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