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2014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2014A
KR20090132014A KR1020080058063A KR20080058063A KR20090132014A KR 20090132014 A KR20090132014 A KR 20090132014A KR 1020080058063 A KR1020080058063 A KR 1020080058063A KR 20080058063 A KR20080058063 A KR 20080058063A KR 20090132014 A KR20090132014 A KR 20090132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 information
light
display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5392B1 (ko
Inventor
김영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58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392B1/ko
Priority to EP09007430A priority patent/EP2136225B1/en
Priority to US12/479,141 priority patent/US9338270B2/en
Priority to CN2009101394264A priority patent/CN101610313B/zh
Publication of KR20090132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75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 G02B6/0076Stacked 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of the same or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01H2219/052Phosphoresce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56Diffuser; Uneven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4Optical isolation of switch 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2Telephone hand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키 입력을 위한 제1키정보를 표시하는 제1키표시부와, 상기 제1표시부의 일면에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표시부의 비활성화시 상기 제1키정보의 표시 영역에 제2키정보를 표시하는 제2키표시부와, 상기 제1키표시부의 활성화시 상기 제1키정보에 가해지는 터치를 입력받는 터치 입력부. 및 상기 제2키표시부의 활성화시 상기 제2키정보에 가해지는 푸시를 변형에 의해 입력받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단일의 표시 영역에 복수의 키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함과 아울러 키 정보의 입력에 있어 터치 입력 방식과 푸시 입력 방식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키 정보를 입력하는 키패드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으며, 보다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터치 방식, 푸시 방식, 스크록 방식 등 다양한 입력 방식들이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 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크기 두께 또한 보다 소형화 슬림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휴대 단말기가 소형화, 슬림화됨에 따라 한정된 공간 안에서 보다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다양한 입력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키패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단일의 표시 영역에 복수의 키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함과 아울러 키 정보의 입력에 있어 터치 입력 방식과 푸시 입력 방식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키 입력을 위한 제1키정보를 표시하는 제1키표시부와, 상기 제1표시부의 일면에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표시부의 비활성화시 상기 제1키정보의 표시 영역에 제2키정보를 표시하는 제2키표시부와, 상기 제1키표시부의 활성화시 상기 제1키정보에 가해지는 터치를 입력받는 터치 입력부. 및 상기 제2키표시부의 활성화시 상기 제2키정보에 가해지는 푸시를 변형에 의해 입력받는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키표시부는 일 방향을 향해 빛을 발광하는 제1발광소자와, 상기 제1키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인쇄패턴이 구비되며 상기 제1발광소자의 빛을 상기 제1인쇄패턴으로 안내하는 제1도광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키표시부는 상기 제1발광소자와 다른 방향을 향해 빛을 발광하는 제2발광소자와, 상기 제2키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인쇄패턴이 구비되며 상기 제2발광소자의 빛을 상기 제2인쇄패턴으로 안내하는 제2도광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인쇄패턴은 상기 제1 및 제2발광소자의 빛에 의해 빛을 발하는 형광 잉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제1 또는 제2키표시부의 후면에 위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입력부 및 스위치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키정보는 복수의 작동 모드들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키정보는 상기 작동 모드에 대응되는 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및 제2키표시부에 제1 및 제2키정보가 각각 선택적으로 표시되었을 때 이들을 터치 또는 푸시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서 단일의 구조체로서 다양한 입력 방식을 갖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제1 및 제1키표시부를 제1 및 제2발광소자와 제1 및 제2도광필름을 통해 구현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해 모드에 따라 다른 키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선택 가능한 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들을 터치 방식으로 입력하고, 작동 모드에 대응되는 키 정보를 푸시 방식으로 입력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10)와, 제1바디(1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120)를 포함한다.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제1음향출력부(114), 제1영상입력부(115) 또는 제1조작부(116)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제1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영상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 바디(1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키패드 어셈블리(140)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조작부(123), 음향 입력부(124), 인터페이스(125)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조작부(116,123)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123)는 제1영상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음향입력부(124)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2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125)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6)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26)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의 후면에는 제2영상입력부(127)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영상입력부(127)는 제1영상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15)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127)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영상입력부(127)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8)와 거울부(129)가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8)는 제2영상입력부(127)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29)는 사용자가 제2영상입력부(127)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음향출력부(130)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부(130)는 제1음향출력부(114, 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리어 케이스(12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1)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131)는 제2바디(1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32)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32)의 다른 부분은 제2바디(120)의 프론트 케이스(12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영상입력부(127) 등이 제2바디(1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 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영상입력부(127) 등과 같이 리어 케이스(1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27 내지 13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10), 주로는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1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1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영상입력부(127)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영상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영상입력부(127)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Ⅳ-Ⅳ 라인을 따르는 키패드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4에서 키패드 어셈블리의 구성들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어 도시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바디(120)의 프론트 케이스(121)에는 장착홈(134)이 형성되고, 장착홈(134)에는 키패드 어셈블리(140)가 설치된다. 키패드 어셈블리(140)의 일측에는 연성회로기판(136,FPCB)가 연결되며, 연성회로기판(136)의 일단은 장착홈(134) 상에 형성된 커넥터 홀(135)을 통과하여 제2바디(120)의 내부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키패드 어셈블리(140)는 제1 및 제2키표시부(150,160)와, 터치 입력부(171), 및 스위치부(172)를 포함하며, 키패드 어셈블리(140)는 인쇄회로기판(141)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제1키표시부(150)는 키입력을 위한 제1키정보(181, 도 5a 참조)를 표시하며, 제1발광소자(151) 및 제1도광필름(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발광소자(151)는 인쇄회로기판(141)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일 방향을 향하여 향하여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제1발광소자(151)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141)의 전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빛을 발광하도록 배치된다.
제1도광필름(152)의 일면에는 제1인쇄패턴(153)들이 구비되며, 제1인쇄패턴(153)은 제1발광소자의 빛에 의해 빛을 발하는 형광 잉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도광필름은 제1발광소자(151)의 빛을 제1인쇄패턴(153)으로 안내하며, 제1인쇄패턴(153)은 제1도광필름(152)에 의해 안내된 빛에 의해 제1키정보(181)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도광필름(152)의 후면에 제1인쇄패턴(153)이 인쇄되며, 제1도광필름(152)의 전면에는 제1도광필름(152)을 물리적, 화학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14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키표시부(160)는 제1키표시부(150)의 일면에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제키1표시부(150)의 비활성화시 제1키정보(181)의 표시 영역에 제2키정보(184, 도 5b 및 5c 참조)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2키표시부(160)는 제1키표시부(150)와 마찬가지로 제2발광소자(161) 및 제2도광필름(162)을 포함한다.
제2발광소자(161)는 인쇄회로기판(141)의 타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1발광소자(151)와 마찬가지로 LED(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될 수 있다. 제2발광소자(161)는 제1발광소자(151)와 다른 방향을 향해 빛을 발광하도록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발광소자(151)의 발광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해 빛을 발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도광필름(162)은 제1도광필름(152)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도광필름(162)의 일면에는 제2인쇄패턴(163)들이 구비된다. 제2인쇄패턴(163)은 제1인쇄패턴(153)과 마찬가지로 형광잉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인쇄패턴(153)과 다른 색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도광필름(162)은 접착제(145)에 의하여 인쇄회로기판(141)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발광소자(151)의 비활성화 상태에서 제2발광소자(161)에서 나온 빛은 제2도광필름(162)을 통해 제2인쇄패턴(163)에 도달하며, 제2인쇄패턴(163)은 제2도광필름(162)에 의해 안내된 빛에 의해 제2키정보(184)를 표시한다.
제1 및 제2발광소자(151,161)는 인쇄회로기판(141)의 복수의 개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2발광소자(161)는 제1발광소자(151)보다 강한 밝기를 가지거나 보다 많은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발광소자(151,161)에는 내부에서 발생된 빛을 제1 및 제2도광필름(152,162)에만 각각 도달시키기 위한 차광부재들이 장착될 수 있으며, 차광부재는 제1발광소자(151)의 주변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차광부재(154a,154b)와, 제2발광소자(161)의 주변에 장착되는 제3 및 제4차광부재(164a,164b를 포함할 수 있다. 차광부재들은 비투광성 재질의 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도광필름(152)의 후면에는 증착층(14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증착층(143)은 제2키표시부(160)의 활성화시 제2인쇄패턴(163)이 발하는 빛의 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증착층(143)은 제2인쇄패턴(163)이 발하는 빛의 휘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제2인쇄패턴(163)이 발하는 빛에 의해 제1인쇄패턴(153)이 표시되는 것 을 방지한다. 증착층(143)은 광투과율이 낮은 물질이 제1도광필름(152)의 후면에 증착(蒸着)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증착층(143)의 후면에는 제2인쇄패턴(163)의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층(144)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확산층(144)은 제2인쇄패턴(163)의 빛이 제1인쇄패턴(153)으로 집중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증착층(143)과 확산층(144)은 제2키표시부(160)의 활성화시 제2인쇄패턴(163)의 빛에 의해 제1인쇄패턴(153)이 제1키정보(181)를 표시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171)는 제1키표시부의 활성화시 제1키정보(181)에 가해지는 터치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인쇄회로기판(141)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171)는 인쇄회로기판(141)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인쇄패턴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171)는 압력 센서 또는 터치 센서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터치 센서는 정전 용량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위치부(172)는 제2키표시부(160)의 활성화시 제2키정보(184)에 가해지는 푸시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 입력부(171)의 후면에 배치되어 변형을 통하여 푸시를 입력받는다. 스위치부(172)는 인쇄회로기판(141)의 후면에 배치되는 돔 스위치(172)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키정보(184)에 푸시가 가해지면, 제1 및 제2도광필름(162), 인쇄회로기판(141)의 해당 영역과 돔 스위치(172)에는 변형이 발생하게 되며, 돔 스위치의 단부와 인쇄회로기판(141)의 접점이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141)의 후면에 형성된 접점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 신호가 발생한다.
돔 스위치(172)에는 돔 스위치(17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73)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141)은 푸시된 영역들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연성회로기판(FPCB)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상의 설명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이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도 5a와 같이, 제1키표시부(150)는 휴대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제1발광소자(151)가 활성화되어 제1인쇄패턴(153)에 의해 제1키정보(181)가 표시된다.
제1키정보(181)는 선택 가능한 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복수의 아이콘(182 내지 184)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동 모드들의 일 예로서, 전화통화 모드, 문자 메시지 모드, 필기 모드, 음악 또는 동영상 감상 모드, 카메라 촬영 모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화 통화 모드, 문자 메시지 모드, 필기 모드의 3개의 작동 모드를 일 예로 들었다.
복수의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에 터치가 가해지면, 터치 입력부(171)는 이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에 해당 신호를 인가하며, 제2키표시부(160)는 작동 모드에 대응되는 제2키정보(184)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b와 같이, 도 5a의 상태에서 전화 통화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182)이 터치되면 제2키표시부(160)는 제2키정보(184)를 표시한다. 이 경우, 제1발광소자(151)는 비활성화되고, 제2발광소자(161)가 활성화되어 제2인쇄패턴(163)에 의해 제2키정보(184)가 표시된다.
제2키정보(184)는 복수로 배열되는 숫자, 문자, 기호 등을 나타내는 시각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키정보(184)에 푸시가 가해짐으로써 해당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제2키정보(184)에 푸시가 가해지면 돔 스위치의 변형을 통해 휴대 단말기에 해당 신호가 인가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3)에는 해당 전화번호가 표시되게 된다.
도 5c와 같이, 도 5a의 상태에서 문자 메시지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183)이 터치되면 제2키표시부(160)가 활성화되어 제2키정보(184)가 표시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제2키정보(184)를 푸시함으로써 타인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문자, 기호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도 5d와 같이, 도 5a의 상태에서 필기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184)이 터치되는 경우, 제1 및 제2키표시부(160)는 비활성화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발광소자(161)는 필기 모드에서 빛이 나오지 않도록 제어되며, 이에 따라 제1 및 제2키표시부(160)는 제1 및 제2키정보(181,184)를 표시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하여, 제1키표시부(150)의 전면에 터치를 가하면, 터치 입력부(171)는 이를 감지하게 되며, 디스플레이부(113)에 는 터치 입력부(171)에 입력된 내용이 표시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에서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240)는 제1 내지 제3표시부(250,260,280)와, 터치 입력부(271), 및 스위치부(272)를 포함한다.
제1키표시부(250)는 제1발광소자(251)와, 제1인쇄패턴(253)이 인쇄된 제1도광필름(252)을 포함하며, 제2키표시부(260)는 제2발광소자(261)와, 제2인쇄패턴(263)이 인쇄된 제2도광필름(26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3키표시부(280)는 제3발광소자(281)와, 제3인쇄패턴(283)이 인쇄된 제3도광필름(28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도광필름(252,262)의 후면에는 제1 및 제2증착층(243a,243b)과, 제1 및 제2확산층(244a,244b)이 각각 장착되며, 제1 내지 제3발광소자(251,261,281)의 주변에는 차광부재들(254a,254b,264a,264b,284a,284b)이 각각 장착된다.
제1 내지 제3발광소자(251,261,281)와, 제1 내지 제3도광필름(252,262,282), 터치 입력부(271),및 스위치부(272) 등의 구성은 앞선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140)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240)는 제1 내지 제3발광소자(251,261,281)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발광함으로써, 제1 내지 제3인쇄패턴(253,263,283)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키정보가 표시된다.
제1키표시부(250)가 제1키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터치 입력부(271)는 제1키정보(281, 도 7a 참조)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키표시부(260)가 제2키정보를 표시하거나 제3키표시부(280)가 제3키정보(286,도 7b 참조)를 표시하는 경우, 스위치부(272)는 제2 또는 제3키정보에 가해지는 푸시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71)와 스위치부(272)는 상기와 같은 구성 뿐만 아니라 제1 내지 제3키표시부(250,260,280)에 입력된 터치 또는 푸시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입력부(271)가 제1 또는 제2키정보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경우, 스위치부(272)는 제3키정보에 가해진 푸시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a 및 7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도 7a와 같이 휴대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제1키표시부(150)는 작동모드와 관련된 아이콘들(282.283,284,285)을 포함하는 제1키정보(181)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화통화 모드, 문자 메시지 모드, 필기 모드, 음악(또는 동영상) 감상 모드의 4가지 작동모드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키정보는 전화통화 모드와 문자 메지시 모드에 관련된 키정보를 포함하며(도 5b 및 5c 참조), 제3키정보(286)는 음악 감상 모드와 관련된 키정보를 포함한다. 전화통화 모드와 문자 메시지 모드, 필기 모드와 관련된 작동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 로 한다.
도 7b와 같이, 음악 감상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285)이 터치되면, 제3키표시부(280)는 제3키정보(286)를 표시한다. 제3키정보(286)는 음악의 재생과 관련된 복수의 재생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재생키들을 푸시함으로써 음악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들을 입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슬라이드 타입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바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키패드 어셈블리가 2개 또는 3개의 표시부를 갖는 것을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그 이상의 표시부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191), 조작부(116,123), 영상입력부(115,127), 음향입력부(124), 디스플레이부(113), 음향출력부(114,130), 센싱유닛(196), 인터페이스(125), 방송 수신 모듈(195), 메모리(194), 전원공급부(126), 제어부(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19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키패드 어셈블 리(140)가 갖는 제1 또는 제2키표시부(16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90)가 제1키표시부(150)에 해당 신호를 인가하면, 제1키표시부(150)는 제1키정보(181)를 표시한다. 제1키정보(181)에 터치가 입력되면, 터치 입력부(171)는 터치를 감지하여 제어부(190)에 해당 신호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90)는 제1키표시부(150)를 비활성화시킴과 아울러 제2키표시부(160)를 활성화시킨다. 제2키표시부(160)는 제2키정보(184)를 표시하며, 제2키정보에 푸시가 가해지면 스위치부(172)는 누름 동작에 의해 제어부(190)에 해당 신호를 인가한다.
무선 통신 모듈(19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93)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92)을 포함한다.
조작부(116,12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조작부(116,123)는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영상입력부(115,127)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3)로 출력된다.
영상입력부(115,127)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94)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 모듈(19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입력부(124)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9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9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입력부(124)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출력부(114,130)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9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9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부(114,130)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센싱 유닛(19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9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6)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125)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5)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94)는 제어부(19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9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9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 수신 모듈(19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31),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9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9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4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9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26)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 라인을 따르는 키패드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이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키패드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7a 및 7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Claims (18)

  1. 키 입력을 위한 제1키정보를 표시하는 제1키표시부;
    상기 제1표시부의 일면에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표시부의 비활성화시 상기 제1키정보의 표시 영역에 제2키정보를 표시하는 제2키표시부;
    상기 제1키표시부의 활성화시 상기 제1키정보에 가해지는 터치를 입력받는 터치 입력부; 및
    상기 제2키표시부의 활성화시 상기 제2키정보에 가해지는 푸시를 변형에 의해 입력받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키표시부는,
    일 방향을 향해 빛을 발광하는 제1발광소자; 및
    상기 제1키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인쇄패턴이 구비되며, 상기 제1발광소자의 빛을 상기 제1인쇄패턴으로 안내하는 제1도광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키표시부는,
    상기 제1발광소자와 다른 방향을 향해 빛을 발광하는 제2발광소자; 및
    상기 제2키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인쇄패턴이 구비되며, 상기 제2발광소자의 빛을 상기 제2인쇄패턴으로 안내하는 제2도광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쇄패턴은 상기 제1 및 제2발광소자의 빛에 의해 빛을 발하는 형광 잉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광필름은 상기 제1도광필름의 후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광필름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인쇄패턴의 빛에 의해 상기 제1인쇄패턴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인쇄패턴의 빛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증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인쇄패턴의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발광소자에는 상기 제1 및 제2도광필름에만 빛을 각각 도달시키기 위한 차광 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키표시부의 후면에 위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부 및 스위치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부는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 배치되는 압력 센서 또는 터치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후면에 배치되는 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2키정보의 푸시된 영역이 변형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키정보는 복수의 작동 모드들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키정보는 상기 작동 모드에 대응되는 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는 전화번호 입력 모드 또는 문자 입력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키정보는 복수로 배열된 숫자, 문자,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는 터치에 의한 필기를 입력받는 필기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부는 상기 제1 및 제2표시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필기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는 동영상 또는 음악의 재생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키정보는 상기 동영상 또는 음악의 재생과 관련된 복수의 재생키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키표시부의 비활성화시 제3키정보를 표시하는 제3키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부 또는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3키정보에 가해지는 터치 또는 푸시를 입력 받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키표시부는 상기 제2바디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20080058063A 2008-06-19 2008-06-19 휴대 단말기 KR101485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58063A KR101485392B1 (ko) 2008-06-19 2008-06-19 휴대 단말기
EP09007430A EP2136225B1 (en) 2008-06-19 2009-06-04 Mobile terminal
US12/479,141 US9338270B2 (en) 2008-06-19 2009-06-05 Mobile terminal
CN2009101394264A CN101610313B (zh) 2008-06-19 2009-06-18 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58063A KR101485392B1 (ko) 2008-06-19 2008-06-19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014A true KR20090132014A (ko) 2009-12-30
KR101485392B1 KR101485392B1 (ko) 2015-01-23

Family

ID=41092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58063A KR101485392B1 (ko) 2008-06-19 2008-06-19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38270B2 (ko)
EP (1) EP2136225B1 (ko)
KR (1) KR101485392B1 (ko)
CN (1) CN10161031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0022A (ko) * 2010-01-04 2011-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65480A1 (en) * 2009-09-17 2011-03-17 Chang Jae Kim Mobile terminal
KR101028294B1 (ko) 2010-01-07 2011-04-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어셈블리,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20923B1 (ko) * 2010-01-07 2011-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어셈블리,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99780B1 (ko) 2010-01-07 2010-1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어셈블리,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2011223187A (ja) * 2010-04-07 2011-11-04 Canon Inc 3d眼鏡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1258532A (ja) * 2010-06-11 2011-12-22 Omron Corp 面光源装置及び立体表示装置
CN102479635A (zh) * 2010-11-26 2012-05-3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键盘、按键组件和按键开关组件
EP2461239A3 (en) * 2010-12-02 2014-03-19 LG Electronics Inc. Input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2461238B1 (en) 2010-12-02 2017-06-28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n input device
US9363504B2 (en) 2011-06-23 2016-06-07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3-dimensional image
CN104246359A (zh) * 2012-03-09 2014-12-24 苹果公司 用于电子设备显示器的背光结构和背光组件
CN103838460A (zh) * 2012-11-27 2014-06-04 联想(北京)有限公司 终端设备
KR101398141B1 (ko) 2013-02-08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1488112B (zh) * 2014-01-23 2024-03-08 苹果公司 虚拟计算机键盘
KR101589429B1 (ko) * 2014-07-28 2016-01-28 정시은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KR102293599B1 (ko) * 2014-12-23 2021-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제품
CN105979102A (zh) * 2016-07-26 2016-09-28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移动终端
US10261606B2 (en) * 2016-10-17 2019-04-16 Lenovo (Singapore) Pte. Ltd. Electronic assembly with expandable input device
KR102463695B1 (ko) * 2016-12-12 2022-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입력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8257A (en) 1976-08-23 1978-03-07 Hewlett-Packard Company Calculator apparatus with electronically alterable key symbols
US6712481B2 (en) * 1995-06-27 2004-03-30 Solid State Opto Limited Light emitting panel assemblies
JP2000278573A (ja) * 1999-03-23 2000-10-06 Minolta Co Ltd データ記憶媒体の駆動システム
US6850226B2 (en) * 2001-11-09 2005-02-01 Nokia Corporation Multifunctio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lidable display screen
US7525558B2 (en) * 2002-09-18 2009-04-28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service providing system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7224945B2 (en) * 2003-06-10 2007-05-29 Nokia Corporation Mobile station having overlapping translucent material layers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7499040B2 (en) * 2003-08-18 2009-03-03 Apple Inc. Movable touch pad with added functionality
GB2410664B (en) * 2004-01-31 2009-04-08 Autodesk Canada Inc Generating a user interface
KR101122233B1 (ko) * 2004-12-23 2012-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지 소자를 내장한 표시 장치
KR100664275B1 (ko) 2005-12-30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652755B1 (ko) 2005-08-30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팅이 가능한 터치 및 푸시 입력 방식의 휴대폰
EP1761002B1 (en) * 2005-08-30 2013-12-18 LG Electronics Inc. Touch key assembly for a mobile terminal
KR100754587B1 (ko) * 2006-03-03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JP4301262B2 (ja) * 2006-08-08 2009-07-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および表示方法
US8471822B2 (en) * 2006-09-06 2013-06-25 Apple Inc. Dual-sided track pad
US20080088597A1 (en) * 2006-10-11 2008-04-17 Apple Inc. Sensor configurations in a user input device
US20080117635A1 (en) 2006-11-17 2008-05-22 Ko-Ju Chen Multi-Layer Light Guiding Structur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080150903A1 (en) * 2006-12-21 2008-06-26 Invente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with dual-sided touch device
US7845826B2 (en) * 2008-01-15 2010-12-07 Skc Haas Display Films Co., Ltd. Multilayered integrated backlight illumination assembly
US20090322690A1 (en) * 2008-06-30 2009-12-31 Nokia Corporation Screen display
US20100259485A1 (en) * 2009-04-08 2010-10-14 Cheng-Yen Chuang Touch keyboard input device enabling pattern switch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0022A (ko) * 2010-01-04 2011-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392B1 (ko) 2015-01-23
CN101610313B (zh) 2013-01-09
US9338270B2 (en) 2016-05-10
EP2136225A1 (en) 2009-12-23
EP2136225B1 (en) 2012-06-20
CN101610313A (zh) 2009-12-23
US20090315846A1 (en)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392B1 (ko) 휴대 단말기
KR101437991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013129A (ko) 휴대 단말기
US8154521B2 (en) Mobile terminal
KR20100054668A (ko) 이동 단말기
KR20100025417A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제조 방법
KR20100033278A (ko) 휴대 단말기
KR20100003625A (ko) 기능확장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88941B1 (ko)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
KR101441922B1 (ko) 터치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090027514A (ko) 안테나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설정방법
KR101561900B1 (ko) 휴대 단말기
KR101502000B1 (ko) 휴대 단말기
KR101604749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방법
KR20110021477A (ko) 이동 단말기
KR101409872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034659A (ko) 휴대 단말기
KR101495180B1 (ko)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74443B1 (ko) 휴대 단말기
KR101595345B1 (ko)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090111A (ko) 휴대 단말기
KR101504213B1 (ko) 스위치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95362B1 (ko) 휴대 단말기
KR101604716B1 (ko) 터치 입력 유닛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10058524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