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429B1 -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429B1
KR101589429B1 KR1020140122271A KR20140122271A KR101589429B1 KR 101589429 B1 KR101589429 B1 KR 101589429B1 KR 1020140122271 A KR1020140122271 A KR 1020140122271A KR 20140122271 A KR20140122271 A KR 20140122271A KR 101589429 B1 KR101589429 B1 KR 101589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input
use restriction
unit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시은
Original Assignee
정시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9581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30488B1/ko
Application filed by 정시은 filed Critical 정시은
Priority to KR1020140122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429B1/ko
Priority to US15/326,352 priority patent/US9805178B2/en
Priority to PCT/KR2015/007677 priority patent/WO201601799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429B1/ko
Priority to US15/326,364 priority patent/US10282528B2/en
Priority to US15/797,443 priority patent/US2018004678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3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put devices, e.g. keyboards, mice or controller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는 본체 전면에 화면부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사용제한의 설정 또는 해제를 위한 암호입력이 가능한 후면암호입력부와,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설정암호가 입력되면 저장부에 저장시키면서 사용제한을 실행시키고, 해제암호가 입력되면 저장된 설정암호와 비교하여 양 암호가 동일하거나 대칭인 경우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제한의 설정 또는 해제를 위한 암호입력이 타인에게 전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의 보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setting-releasing use restriction thereof}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 후면에 구비된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사용제한의 설정 및 해제가 가능하여 주변의 타인에게 암호가 노출되지 않도록 보안성이 강화된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서비스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고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기능 또한 다양해지고 있으며, 예컨데 기본적인 음성통화뿐만 아니라 영상통화, 무선인테넷 접속, 전자결재 기능,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 기능, 음악이나 동영상의 재생이 가능한 MP3와 PMP 기능, 방송수신을 위한 DMB 기능 등의 복합적인 기능 등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에는 타인에게 노출되면 안되는 사용자 개인의 사생활이 담긴 사진파일이나 동영상파일 또는 문서파일, 문자메시지 등이 다양하게 저장되어 있고, 더 나아가 전자결재 등을 위한 ID, 비밀번호, 공인인증서와 같은 중요 개인정보들까지도 저장되어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에서는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다양한 개인정보의 도용방지와 사생활의 보호를 위한 보안성이 매우 중요해졌으며, 이러한 휴대단말기의 보안성 강화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화면잠금을 통한 사용제한 기능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화면잠금을 통한 사용제한 기능이 휴대단말기에 설정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분실하거나 또는 휴대단말기를 두고 잠시 자리를 비웠을 때에도, 설정된 사용제한에 의해 타인이 휴대단말기의 각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볼 수 없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각종 개인정보나 중요문서 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휴대단말기에 대한 종래 대표적인 사용제한 설정 및 해제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숫자입력화면을 통해 복수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암호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암호와 동일한 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사용제한을 해제시켜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인데, 보통 비밀번호는 사용자의 생일, 전화번호 등과 같이 사용자의 특정정보와 연동되는 경우가 많아 타인이 알아내기 쉬운 점이 있음과 함께, 이러한 비밀번호는 은행계좌의 이체비밀번호, 출입문의 해제비밀번호, 인터넷 로그인 비밀번호 등과 일반적으로 일치하는 경우도 많아 비밀번호 유출시 2차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크게 우려되었다.
이에, 도 25에 예시된 것처럼, 숫자에 의한 비밀번호 대신 사용자가 패턴입력화면을 통해 이동궤적에 따른 형상패턴을 입력하여 암호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암호와 동일한 형상패턴이 입력되는 경우에만 사용제한을 해제시켜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모든 사용제한 설정 및 해제방법은 모두 휴대단말기의 본체 전면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화면을 통하여 암호가 입력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의 사용해제를 위해 비밀번호나 형상패턴 등의 암호를 입력할 때, 입력되는 화면 및 사용자의 입력행위가 주변에 있는 타인에게 그대로 노출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보안성이 상당히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휴대단말기는 대부분 절전기능에 의해 잠시만 사용하지 않더라도 바로 사용제한 모드가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수시로 사용제한의 해제를 위한 암호를 입력하는데,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전면의 터치스크린 화면에 암호를 입력하게 되므로, 입력할 때마다 주변에 있는 타인이 입력화면 및 입력행위를 몰래 엿볼 수 있어 사용제한의 암호가 주변에 있는 타인에게 유출될 위험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것처럼 보안성이 취약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암호 유출에 대한 우려로 비밀번호나 형상패턴 등 암호를 입력할 때 타인이 엿보는지 등을 신경쓰면서 주의깊게 입력을 하거나 또는 암호를 자주 바꿀 수 밖에 없는 번거로움이 있음과 함께, 자주 암호를 바꾸게 되는 경우, 바뀐 새로운 암호를 기억하지 못해 휴대단말기 사용에 불편함을 겪게 되는 문제점까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암호의 유출 위험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휴대단말기에 지문인식수단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지문인식을 통해 사용제한을 설정하고 해제하는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지문인식을 통한 설정해제방법은 사용자의 지문 자체가 암호가 되는 것이므로 일상생활 중에는 암호유출의 우려가 전혀 없는 뛰어난 보안성을 갖지만, 예컨대, 사용자가 만취했거나, 잠에 깊게 빠져 있는 등 의식이 명확하지 않는 상태 또는 타인에 의해 강압을 받는 상태 등과 같이 특정한 상황에서는 타인이 몰래 또는 강압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만 지문인식수단에 대주면 바로 사용제한이 해제되기 때문에 오히려 상기한 비밀번호나 패턴암호를 통한 설정해제방법보다도 더 보안성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8224호 : 암호입력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제한의 설정 또는 해제를 위한 암호입력이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시킨 휴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본체 전면에 화면부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사용제한의 설정 또는 해제를 위한 암호입력이 가능한 후면암호입력부와,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설정암호가 입력되면 저장부에 저장시키면서 사용제한을 실행시키고, 해제암호가 입력되면 저장된 설정암호와 비교하여 양 암호가 동일하거나 대칭인 경우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본체 전면과 후면에 화면부와 후면암호입력부가 각각 구비된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을 설정하는 설정단계와, 상기 사용제한이 설정된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을 해제하는 해제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사용제한의 설정암호가 입력되는 설정암호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된 설정암호를 저장하면서 사용제한을 실행시키는 설정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단계는,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사용제한의 해제암호가 입력되는 해제암호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된 해제암호와 상기 저장된 설정암호를 비교하여, 양 암호가 동일하거나 대칭인 경우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는 해제판별단계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제한의 설정 또는 해제를 위한 암호입력이 휴대단말기의 본체 후면에 구비된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입력수단인 후면암호입력부와 사용자의 암호입력행위가 모두 본체에 가려져 타인에게 전혀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암호의 보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사용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암호의 입력수단이나 입력방향을 편의대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음과 함께 사용제한의 설정이나 해제작동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구성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면부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후면부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는 휴대단말기에 암호를 입력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암호가 입력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a)는 전면부를 예시하고 (b)는 후면부를 각각 예시한 도면이며,
도 7은 후면부에서 암호가 순서패턴으로 입력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제한의 설정단계 흐름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제한의 해제단계 흐름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제한의 설정단계 흐름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제한의 해제단계 흐름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구성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제한의 설정단계 흐름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제한의 해제단계 흐름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1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용제한의 설정단계 흐름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용제한의 해제단계 흐름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19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구성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사용제한의 설정단계 흐름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21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사용제한의 해제단계 흐름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2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23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사용제한의 설정단계 흐름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4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사용제한의 해제단계 흐름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25는 종래 통상적인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실시예별로 서로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이미 상세하게 설명이 된 경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실시예별로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태블릿(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는데,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마트폰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구성도가 예시되어 있는 바,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화면부(10)와, 후면암호입력부(20)와, 사용자입력부(30)와, 저장부(40)와,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의 특징과 관련되는 것만을 일 예시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로서의 다양한 기능 구현을 위하여 무선통신부, 전원공급부, 촬영수단, 음성입출력수단 등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필요에 따라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당해기술분야의 공지된 기술임과 함께 본 발명의 특징과는 무관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불필요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과 관련되는 구성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화면부(10)는 휴대단말기의 전면부를 일 예시한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통상적인 휴대단말기와 동일하게 본체(1)의 전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화면부(10)는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아이콘 등 다양한 종류의 시각정보들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며,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s),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 다양한 액정표시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부(10)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 기능뿐만 아니라 터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수단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화면부(10)에 표시된 각종 기능메뉴를 터치 입력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활성화시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후면암호입력부(20)는 휴대단말기에 대한 사용제한의 설정 또는 해제를 위한 암호가 입력되는 부분이다.
상기 후면암호입력부(20)는 휴대단말기의 후면부를 일 예시한 도 4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 화면부(10)의 반대쪽, 즉 휴대단말기 본체(1)의 후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후면암호입력부(20)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하여 암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센서를 포함하여 특별하게 제한됨이 없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주지된 다양한 입력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면암호입력부(20)가 터치센서로 구현된 것만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제한을 위한 암호 또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암호의 일 예로서, 후면암호입력부(20)를 터치하여 표현할 수 있고 또한 기억할 수 있는 문자, 숫자, 기호, 도형, 그래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특정 형태일 수 있으며, 도 6에는 이러한 특정형태의 일 예로서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문자인 “G”가 사용제한의 암호로서 입력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또한, 암호의 다른 예로서, 도 7에 예시된 것처럼 후면암호입력부(20)의 다수 터치영역 중 특정 터치영역을 적어도 한번 이상 터치하는 순서패턴일 수 있으며, 도 7에는 이러한 순서패턴의 일 예로서 후면암호입력부(20)의 4개 터치영역 중 좌측상부, 좌측상부, 좌측하부, 우측상부를 순서대로 터치하여 순서패턴의 암호가 입력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후면암호입력부(20)는 휴대단말기의 본체(1) 후면에 구비되므로,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정상적으로 파지한 상태(즉, 전면의 화면부(10)가 사용자와 대면하도록 파지한 상태)에서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암호를 입력할 때, 터치행위나 드래그행위 등과 같은 사용자의 암호입력행위와 후면암호입력부(20) 자체가 모두 휴대단말기의 본체(1)에 의해 가려지면서 자연스럽게 은폐가 되므로 입력하는 암호정보가 주변에 있는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이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입력부(30)는 사용자가 조작을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고, 휴대단말기의 본체(1) 전면이나 측면, 후면 등에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입력부(30)는 시작, 종료, 스크롤, 음향의 크기조절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제어부(50)로 전달하며, 특히 사용제한의 설정을 위한 설정명령과 사용제한의 해제를 위한 해제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5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0)는 플래시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카드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타입의 메모리(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어느 한 타입의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40)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하거나 동작중에 발생하는 각종정보를 저장하는 부분으로서, 즉 후술할 제어부(50)에서 수행되는 각종 신호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으며, 특히,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제한의 설정암호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5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사용제한의 설정 및 해제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사용자입력부(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제한의 설정명령이 입력되면 후면암호입력부(20)를 입력대기 상태로 제어하고,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사용제한의 설정암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설정암호를 상기 저장부(40)에 저장시킴과 함께 사용제한기능을 실행시키게 된다.
또한, 제어부(50)는 사용제한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제한의 해제명령이 입력되면, 후면암호입력부(20)를 입력대기 상태로 제어하고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해제암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된 설정암호를 비교하여 해제암호와 설정암호가 동일하거나 대칭인 경우에 사용제한기능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를 위한 제어부(50)는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이, 동일성판별부(51)와, 대칭성판별부(52)와, 해제결정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일성판별부(51)는 사용제한의 해제를 위한 해제암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부(40)에 저장된 설정암호를 비교하여 양 암호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대칭성판별부(52)는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부(40)에 저장된 설정암호를 비교하여 양 암호가 대칭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해제결정부(53)는 상기 동일성판별부(51)에서 해제암호와 설정암호가 동일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며, 상이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대칭성판별부(52)에서 해제암호와 설정암호가 대칭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사용제한기능을 해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50)는 입력된 해제암호가 저장된 설정암호와 동일한 경우에만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는 통상적인 구성과 달리,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대칭인 경우에도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설정암호 또는 해제암호를 입력하여 사용제한을 설정하거나 해제하고자 할 때, 사용환경에 따라 후면암호입력부(20)의 방향을 달리하여 암호를 입력할 수도 있으며, 이렇게 후면암호입력부(20)의 방향을 달리하여 암호가 입력되는 경우 동일성만을 판별하면 사용제한 해제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사용제한 해제의 오류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제한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타인과 함께 있는 공간에서 사용제한을 설정 또는 해제할 때는 암호입력행위가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게, 도 5에 예시된 것처럼 휴대단말기를 정상적으로 파지한 상태(즉, 전면의 화면부(10)가 사용자와 대면하도록 파지한 상태)에서 후면암호입력부(20)에 암호 입력을 해야하지만, 타인에게 노출될 염려가 전혀 없는 혼자있는 공간에서 사용제한을 설정 또는 해제할 때는 휴대단말기를 뒤집어 역으로 파지한 상태(즉, 후면의 후면암호입력부(20)가 사용자와 대면하도록 파지한 상태)에서 후면암호입력부(20)에 암호를 입력해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환경에 따라, 정상적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설정암호가 입력되어 사용제한이 실행된 후, 역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해제암호가 입력되거나, 반대로, 역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설정암호가 입력되어 사용제한이 실행된 후, 정상적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해제암호가 입력되는 경우, 즉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한 설정시와 해제시 암호의 입력방향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설정시와 해제시 서로 동일한 암호를 입력하더라도 양 암호가 서로 대칭이 되어 버리기 때문에 제어부(50)가 양 암호의 동일성만을 판별한다면 서로 상이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제한을 해제시키지 않는 오류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도 6의 (a)에 예시된 것처럼 정상적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문자형태 “G”를 입력하여 설정암호가 저장되고 사용제한기능이 실행되었을 때, 저장된 설정암호는 이를 후면쪽에서 바라보면 도 6의 (b)와 같은 대칭 형태가 되므로, 사용자가 역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후면암호입력부(20)에 동일하게 해제암호로서“G”를 입력하더라도 정상적으로 파지한 상태의 입력시와는 대칭 형태가 되는 것이며, 따라서 제어부(50)에서는 이러한 경우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동일성판별부(51)와 대칭성판별부(52)에서 각각 양 암호의 동일성과 대칭성을 판별하고 해제결정부(53)는 양 암호가 동일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사용제한을 해제시킴과 함께 동일하지 않더라도 대칭인 것으로 판별되면 또한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이하에서는, 상기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사용제한의 설정 또는 해제암호가 입력되는 그 입력방향과 관련하여, 전면의 화면부(10)가 사용자와 대면하도록 휴대단말기를 정상적으로 파지한 상태의 입력방향을 정방향이라고 정의하고, 휴대단말기가 뒤집혀서 후면암호입력부(20)가 사용자와 대면하도록 파지한 상태의 입력방향을 역방향이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였는 바, 도 8과 도 9에 예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의 휴대단말기에 대한 사용제한의 설정해제방법을 이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은 크게 사용제한을 설정하는 설정단계(S110)와, 설정된 사용제한을 해제하는 해제단계(S120)로 구분할 수 있으며, 먼저, 도 8에 예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사용제한의 설정단계(S110)를 살펴본다.
사용자로부터 사용제한의 설정명령이 입력되면(S111), 제어부(50)는 설정암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후면암호입력부(20)를 입력대기 상태로 제어한다.(S112)
그리고 후면암호입력부(20)는 사용자로부터 설정암호를 입력받는다.(S113)
여기서, 이렇게 설정암호가 입력되는 단계(S113)에서는, 입력오류의 방지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설정암호를 2회 입력받을 수 있으며, 제어부(50)는 이렇게 2회 입력된 설정암호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만 설정암호가 정확하게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다음 단계로 진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S113단계에서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설정암호가 정확하게 입력되면, 제어부(50)는 해당 설정암호를 저장부(40)에 저장시키면서(S114), 휴대단말기에 대한 사용제한기능을 실행시킨다.(S115)
상기한 과정을 통해 사용제한의 설정단계(S110)가 완료된다.
상기한 설정단계(S110)가 완료되고 나면, 휴대단말기는 외부조작 또는 외부입력이 없는 상태의 시간경과 등에 따라 사용제한기능이 실행되며, 사용자가 사용제한기능이 실행되는 휴대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제한기능이 해제되어야 하는 바, 다음으로, 도 9에 예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사용제한의 해제단계(S120)를 살펴본다.
사용제한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제한의 해제명령이 입력되면(S121), 제어부(50)는 해제암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후면암호입력부(20)를 입력대기 상태로 제어한다.(S122)
그리고 후면암호입력부(20)는 사용자로부터 해제암호를 입력받는다.(S123)
이렇게 해제암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부(40)에 저장된 설정암호를 비교하여 양 암호가 동일하거나 대칭인 경우 사용제한기능을 해제시키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된 설정암호를 비교하여 양 암호가 동일한지 여부를 1차 판별한다.(S124),
상기 S124단계의 판별결과 양 암호가 동일한 경우에는 후술하는 S126단계로 진행하고, 양 암호가 상이한 경우에는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된 설정암호를 비교하여 양 암호가 대칭인지 여부를 2차 판별한다.(S125)
그리고 상기 S124단계의 판별결과와 S125단계의 판별결과에 따라 사용제한기능을 해제시키게 되는데(S126), 즉 상기 S124단계의 판별결과 양 암호가 동일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사용제한기능을 해제시키고, 상이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S125단계의 판별결과 양 암호가 대칭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사용제한기능을 해제시키게 된다.
만일, S124단계의 판별결과와 S125단계의 판별결과, 양 암호가 동일하지도 않고 대칭도 아닌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제어부(50)는 사용제한기능의 실행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면서, 화면부(10)에 암호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오류메시지를 표시하면서 사용자에게 해제암호의 재입력을 요청하게 된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해제단계(S120)가 완료된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구성도가 예시되어 있는 바,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되, 사용제한을 위한 설정암호 또는 해제암호가 후면암호입력부(20) 뿐만 아니라 화면부(10)를 통해서도 입력되는 차이점이 있으며,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도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화면부(10)와, 후면암호입력부(20)와, 사용자입력부(30)와, 저장부(40)와,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제한을 위한 설정암호 또는 해제암호는 상기 화면부(10) 및 후면암호입력부(2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사용환경에 따라, 타인과 함께 있는 장소에서는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정방향으로 암호를 입력함으로써 암호노출을 방지하되, 타인에게 암호가 노출된 염려가 없는 환경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후면암호입력부(20) 뿐만 아니라 화면부(10)를 통해서도 사용제한의 설정 또는 해제를 위한 암호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화면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암호는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는 암호와 대비할 때, 역방향에서 입력되는 암호와는 동일하고 정방향에서 입력되는 암호와는 대칭이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설정시와 해제시 후면암호입력부(20)의 입력방향이 상이한 경우 뿐만 아니라 입력수단이 상이한 경우, 즉 화면부(10)를 통해 설정암호가 입력되고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해제암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그 반대인 경우에도 사용제한 해제의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부(5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설정암호와 해제암호가 동일하거나 대칭인 경우 사용제한기능을 해제시키게 된다.
도 11과 도 12에는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대한 사용제한의 설정해제방법이 예시되어 있는 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설정해제방법과 상이한 부분을 위주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1에 예시된 것처럼, 설정단계(S21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제한의 설정명령이 입력되면(S211), 제어부(50)는 설정암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화면부(10)와 후면암호입력부(20)를 입력대기 상태로 제어한다.(S212)
그리고 화면부(10) 및 후면암호입력부(20) 중 사용자가 선택한 어느 하나는 사용자로부터 설정암호를 입력받게 된다.(S213)
즉, 사용자는 암호노출의 우려가 있는 사용환경이면 후면암호입력부(20)를 선택하여 설정암호를 입력하겠지만, 암호노출의 우려가 전혀 없는 사용환경에서는 자신의 편의에 따라 화면부(10)와 후면암호입력부(20) 중 어느 하나를 임의로 선택하여 설정암호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S213단계에서 화면부(10) 및 후면암호입력부(20) 중 사용자가 선택한 어느 하나를 통해 설정암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해당 설정암호를 저장부(40)에 저장시키면서(S214), 휴대단말기에 대한 사용제한기능을 실행시킨다.(S215)
다음, 도 12에 예시된 것처럼, 해제단계(S220)에서는 사용제한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제한의 해제명령이 입력되면(S221), 제어부(50)는 해제암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화면부(10) 및 후면암호입력부(20)를 입력대기 상태로 제어한다.(S222)
그리고 화면부(10) 및 후면암호입력부(20) 중 사용자가 선택한 어느 하나는 사용자로부터 해제암호를 입력받게 된다.(S223)
즉, 설정암호 입력시와 동일하게 사용환경 및 편의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부(10)와 후면암호입력부(20) 중 어느 하나를 임의로 선택하여 해제암호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화면부(10) 및 후면암호입력부(20) 중 사용자가 선택한 어느 하나를 통해 해제암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된 설정암호를 비교하여 양 암호가 동일한지 여부를 1차 판별하고(S224), 상이한 경우 양 암호가 대칭인지 여부를 2차 판별하게 된다.(S225)
그리고 상기 S224단계의 판별결과 양 암호가 동일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사용제한기능을 해제시키고, 상이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S225단계의 판별결과 양 암호가 대칭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사용제한기능을 해제시키게 된다.(S226)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구성도가 예시되어 있는 바,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은 동일하되, 입력방향선택부(6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50)가 입력방향에 따라 사용제한의 해제여부를 달리 판단하도록 구성된 차이점이 있으며, 따라서 상이한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입력방향선택부(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력방향선택부(60)는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설정암호 또는 해제암호를 입력하기 전에 사용자로부터 정방향 상태에서 암호를 입력할지 또는 역방향 상태에서 암호를 입력할지 여부를 선택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입력방향선택부(60)는 설정명령 또는 해제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가 입력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부(10)에 입력방향의 선택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정방향 또는 역방향에 대한 선택을 받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설정시 사용자가 입력방향을 선택한 후 선택한 입력방향으로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설정암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설정암호와 함께 선택된 입력방향 또한 함께 저장부(40)에 저장시키면서 사용제한을 실행시키게 된다.
또한, 제어부(50)는 해제시 사용자가 입력방향을 선택한 후 선택한 입력방향으로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해제암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해제암호 및 선택된 입력방향과 저장된 설정암호 및 설정시의 입력방향을 서로 비교하여 사용제한의 해제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를 위한 제어부(50)는 입력방향판별부(54)와, 동일성판별부(51)와, 대칭성판별부(52)와, 해제결정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방향판별부(54)는 저장부(40)에 저장된 설정시의 입력방향과 해제시 선택된 입력방향을 서로 비교하여 양 입력방향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동일성판별부(51)는 저장된 설정암호와 해제시 입력된 해제암호를 서로 비교하여 양 암호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대칭성판별부(52)는 저장된 설정암호와 해제시 입력된 해제암호를 서로 비교하여 양 암호가 대칭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해제결정부(53)는 상기 입력방향판별부(54)에서 양 입력방향이 동일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즉 설정시와 해제시 모두 입력방향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동일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동일성판별부(51)에서 해제암호와 설정암호가 동일한 것으로 판별되면 사용제한을 해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해제결정부(53)는 상기 입력방향판별부(54)에서 양 입력방향이 상이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즉, 설정시는 정방향인데 해제시는 역방향이거나 또는 설정시는 역방향인데 해제시는 정방향인 경우, 상기 대칭성판별부(52)에서 해제암호와 설정암호가 서로 대칭인 것으로 판별되면 사용제한을 해제시키게 된다.
도 14와 도 15에는 이러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대한 사용제한의 설정해제방법이 예시되어 있는 바, 이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설정해제방법과 상이한 부분을 위주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4에 예시된 것처럼 설정단계(S31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제한의 설정명령이 입력되면(S311), 입력방향선택부(60)는 후면암호입력부(20)에 대한 입력방향의 선택메뉴를 화면부(10)에 디스플레이시킨 후, 사용자로부터 설정암호를 정방향으로 입력할지 역방향으로 입력할지, 그 입력방향에 대한 선택을 받는다.(S312)
즉, 사용자는 사용환경에 따라, 암호 노출의 염려가 있는 상황이면 암호 노출이 방지되도록 정방향 입력을 선택해야 하지만, 암호 노출의 염려가 전혀 없는 상황이면 자신의 편의대로 정방향이나 역방향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사용자로부터 입력방향이 선택되면, 제어부(50)는 설정암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후면암호입력부(20)를 입력대기 상태로 제어하며(S313), 후면암호입력부(20)는 사용자로부터 설정암호를 입력받게 된다.(S314)
이 때, 사용자는 당연히 본인이 선택한 입력방향에 따라, 즉 정방향을 선택한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휴대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설정암호를 입력하고, 역방향을 선택한 경우에는 뒤집어서 역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설정암호를 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선택된 입력방향대로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설정암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입력된 설정암호와 함께 선택된 입력방향(즉, 정방향 또는 역방향) 또한 함께 저장부(40)에 저장시키면서(S315), 휴대단말기에 대한 사용제한기능을 실행시킨다.(S316)
다음, 도 15에 예시된 것처럼 해제단계(S32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제한의 해제명령이 입력되면(S321), 입력방향선택부(60)는 후면암호입력부(20)에 대한 입력방향의 선택메뉴를 화면부(10)에 디스플레이시킨 후, 사용자로부터 해제암호를 입력할 입력방향을 선택받게 된다.(S322)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해제암호에 대한 입력방향이 선택되면, 제어부(50)는 해제암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후면암호입력부(20)를 입력대기 상태로 제어하며(S323), 후면암호입력부(20)는 사용자로부터 해제암호를 입력받게 된다.(S324)
이 때도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본인이 선택한 입력방향에 대응하도록 휴대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해제암호를 입력함은 당연하다.
이렇게 선택된 입력방향대로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해제암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먼저 해제시 선택된 입력방향과 저장된 설정시의 입력방향을 서로 비교하여 양 입력방향이 동일한가 여부를 판별한다.(S325)
그리고 상기 S325단계의 판별결과, 양 입력방향이 동일한 것으로 판별된 때는,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된 설정암호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하고(S326), 양 입력방향이 상이한 것으로 판별된 때는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된 설정암호가 대칭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327)
그리고 상기 S326단계에서 해제암호와 설정암호가 동일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또는 상기 S327단계에서 해제암호와 설정암호가 대칭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사용제한을 해제시키게 된다.(S328)
도 16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구성도가 예시되어 있는 바,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전술한 제3 실시예와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되, 사용제한을 위한 설정암호 또는 해제암호가 후면암호입력부(20) 뿐만 아니라 화면부(10)를 통해서도 입력되는 차이점이 있으며,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이한 부분을 위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입력수단선택부(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수단선택부(70)는 화면부(10) 및 후면암호입력부(20) 중 어느 입력수단을 통해 설정암호 또는 해제암호를 입력할 것인지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입력수단선택부(70)는 설정명령 또는 해제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가 입력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부(10)에 입력수단의 선택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화면부(10) 또는 후면암호입력부(20)에 대한 선택을 받게 된다.
즉, 사용자는 암호노출의 우려가 있는 사용환경이면 후면암호입력부(20)를 입력수단으로 선택하여 설정암호를 입력하겠지만, 암호노출의 우려가 전혀 없는 사용환경에서는 자신의 편의에 따라 화면부(10)와 후면암호입력부(20) 중 어느 하나를 입력수단으로 선택하여 설정암호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입력방향선택부(60)는 후면암호입력부(20)에 대한 입력방향을 선택받는 부분이므로, 전술한 제3 실시예와 달리, 상기 입력수단선택부(7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수단으로 후면암호입력부(20)를 선택한 경우에만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설정시 사용자가 입력수단을 선택하고 입력방향을 선택한 후 선택한 입력수단과 입력방향으로 화면부(10) 또는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설정암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설정암호와 함께 선택된 입력수단(즉, 화면부(10)인지, 후면암호입력부(20)인지) 및 선택된 입력방향(물론, 입력수단으로 후면암호입력부(20)가 선택된 경우)도 함께 저장부(40)에 저장시키면서 사용제한을 실행시키게 된다.
또한, 제어부(50)는 해제시 사용자가 입력수단을 선택하고 입력방향을 선택한 후 선택한 입력수단과 입력방향으로 화면부(10) 또는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해제암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해제암호 및 해제시의 입력수단 및 입력방향과 저장된 설정암호 및 설정시의 입력수단 및 입력방향을 서로 비교하여 사용제한의 해제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를 위한 제어부(50)는 입력수단판별부(55)와, 입력방향판별부(54)와, 동일성판별부(51)와, 대칭성판별부(52)와, 해제결정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수단판별부(55)는 저장부(40)에 저장된 설정시의 입력수단과 해제시 선택된 입력수단을 서로 비교하여 양 입력수단이 동일한지 여부, 및 화면부(10)와 후면암호입력부(20) 중 어느 입력수단인지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상기 입력방향판별부(54)는 후면암호입력부(20)가 입력수단인 경우 저장부(40)에 저장된 설정시의 입력방향과 해제시 선택된 입력방향을 서로 비교하여 양 입력방향이 동일한지 여부 및 정방향 또는 역방향 중 어느 입력방향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동일성판별부(51)와 대칭성판별부(52)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게 양 암호의 동일여부 및 대칭여부를 각각 판별한다.
상기 해제결정부(53)는 상기 입력수단판별부(55), 입력방향판별부(54), 동일성판별부(51), 대칭성판별부(52)에서의 판별결과에 따라 사용제한을 해제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제결정부(53)에서는, 첫째 입력수단판별부(55)에서 설정시와 해제시의 양 입력수단이 동일하게 화면부(10)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둘째 입력수단판별부(55)에서 설정시와 해제시의 양 입력수단이 동일하게 후면암호입력부(20)인 것으로 판별됨과 함께 입력방향판별부(54)에서 설정시와 해제시 후면암호입력부(20)에 대한 양 입력방향이 서로 동일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셋째 입력수단판별부(55)에서 설정시와 해제시의 양 입력수단이 서로 상이한 것으로 판별됨과 함께 입력방향판별부(54)에서 후면암호입력부(20)에 대한 입력방향이 역방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이렇게 세가지의 경우에는 상기 동일성판별부(51)에서 해제암호와 설정암호가 동일한 것으로 판별되면 사용제한을 해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해제결정부(53)에서는, 첫째 입력수단판별부(55)에서 설정시와 해제시의 양 입력수단이 동일하게 후면암호입력부(20)인 것으로 판별됨과 함께 상기 입력방향판별부(54)에서 설정시와 해제시 후면암호입력부(20)에 대한 양 입력방향이 서로 상이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둘째 입력수단판별부(55)에서 설정시와 해제시의 양 입력수단이 상이한 것으로 판별됨과 함께 입력방향판별부(54)에서 후면암호입력부(20)에 대한 입력방향이 정방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이렇게 두가지의 경우에는 상기 대칭성판별부(52)에서 해제암호와 설정암호가 대칭인 것으로 판별되면 사용제한을 해제시키게 된다.
도 17과 도 18에는 이러한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대한 사용제한의 설정해제방법이 예시되어 있는 바, 이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3 실시예의 설정해제방법과 상이한 부분을 위주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7에 예시된 것처럼 설정단계(S41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제한의 설정명령이 입력되면(S411), 입력수단선택부(70)는 입력수단으로 화면부(10) 또는 후면암호입력부(20)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입력수단의 선택메뉴를 화면부(10)에 디스플레이시킨 후, 사용자로부터 입력수단에 대한 선택을 받는다.(S412)
상기 단계(S412)에서 입력수단으로 화면부(10)가 선택되면 제어부(50)는 화면부(10)를 입력대기 상태로 제어한다.(S413)
또한, 입력수단으로 후면암호입력부(20)가 선택되면 제어부(50)는 입력방향선택부(60)를 실행시켜 사용자로부터 후면암호입력부(20)에 대한 입력방향을 선택받은 후(S414), 후면암호입력부(20)를 입력대기 상태로 제어한다.(S415)
즉, 사용자는 사용환경에 따라, 암호 노출의 염려가 있는 상황이면 암호 노출이 방지되도록 입력수단으로 후면암호입력부(20)를 선택함과 함께 입력방향으로 정방향 입력을 선택하겠지만, 암호 노출의 염려가 전혀 없는 상황이면 자신의 편의대로 화면부(10)를 선택하거나, 또는 후면암호입력부(20)를 선택하면서 입력방향으로 역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입력수단 및 입력방향이 선택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부(10) 또는 후면암호입력부(20)는 사용자로부터 설정암호를 입력받게 된다.(S416)
그리고 선택된 입력수단 및 입력방향에 따라 설정암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입력된 설정암호와 함께 선택된 입력수단(즉, 화면부(10)인지, 후면암호입력부(20)인지) 및 입력방향(즉, 입력수단이 후면암호입력부(20)인 경우 정방향 또는 역방향) 또한 함께 저장부(40)에 저장시키면서(S417), 휴대단말기에 대한 사용제한기능을 실행시킨다.(S418)
다음, 도 18에 예시된 것처럼 해제단계(S42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제한의 해제명령이 입력되면(S421), 입력수단선택부(70)는 입력수단의 선택메뉴를 화면부(10)에 디스플레이시킨 후, 사용자로부터 해제암호의 입력수단에 대한 선택을 받는다.(S422)
상기 단계(S422)에서 입력수단으로 화면부(10)가 선택되면 제어부(50)는 화면부(10)를 입력대기 상태로 제어하고(S423), 입력수단으로 후면암호입력부(20)가 선택되면 제어부(50)는 입력방향선택부(60)를 실행시켜 사용자로부터 후면암호입력부(20)에 대한 입력방향을 선택받은 후(S424), 후면암호입력부(20)를 입력대기 상태로 제어한다.(S425)
그리고 이렇게 입력수단 및 입력방향이 선택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부(10) 또는 후면암호입력부(20)는 사용자로부터 해제암호를 입력받는다.(S426)
이렇게 해제암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해제시 선택된 입력수단과 저장된 설정시의 입력수단이 서로 동일한가 여부를 판별한다.(S427)
그리고 S427단계의 판별결과, 양 입력수단이 동일한 경우, 동일한 양 입력수단이 화면부(10)인지 후면암호입력부(20)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428)
그리고 S428단계의 판별결과, 동일한 양 입력수단이 후면암호입력부(20)인 경우, 해제시 선택된 입력방향과 저장된 설정시의 입력방향이 서로 동일한가 여부를 판별한다.(S429)
한편, 상기 S427단계의 판별결과, 양 입력수단이 상이한 경우에는, 상이한 양 입력수단 중 후면암호입력부(20)에 대한 설정시 또는 해제시 중 어느 하나의 입력방향이 정방향인지 역방향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430)
그리고 상기한 단계들의 판별을 통해, 상기 S428단계의 판별결과 동일한 양 입력수단이 화면부(10)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와, 상기 S429단계의 판별결과 해제시와 설정시의 양 입력방향이 동일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와, 상기 S430단계의 판별결과 후면암호입력부(20)에 대한 입력방향이 역방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된 설정암호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S431)
또한, 상기 S429단계의 판별결과 해제시와 설정시의 양 입력방향이 상이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와, 상기 S430단계의 판별결과 후면암호입력부(20)에 대한 입력방향이 정방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된 설정암호가 대칭인지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S432)
그리고, 상기 S431단계의 판별결과 해제암호와 설정암호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또는 상기 S432단계의 판별결과 해제암호와 설정암호가 서로 대칭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사용제한을 해제시키게 된다.(S433)
도 19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구성도가 예시되어 있는 바,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은 동일하되, 얼굴인식부(8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50)가 얼굴인식 여부 따라 사용제한의 해제여부를 달리 판단하도록 구성된 차이점이 있으며, 따라서 상이한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얼굴인식부(80)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얼굴인식부(80)는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설정암호 또는 해제암호가 입력될 때 본체 전면을 통해 사용자의 얼굴윤곽을 인식하여 얼굴인식 여부에 대한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얼굴인식부(80)의 기능구현을 위한 구체적인 기술은 등록특허 제10-1000130호, 등록특허 제10-0901125호 등 다양한 선행문헌들에도 개시되어 있음과 함께 통상의 휴대단말기에도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당해 기술분야의 주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얼굴인식부(80)의 인식정보는 후면암호입력부(20)에 대한 입력방향과 관계되는 것으로서, 즉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설정암호 또는 해제암호를 입력할 때 사용자의 얼굴이 인식된다는 것은 정방향으로 입력되는 것이고, 얼굴이 불인식된다는 것은 역방향으로 입력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는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설정암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설정암호와 함께 얼굴인식부(80)에서 생성된 얼굴인식 여부에 대한 인식정보도 함께 저장부(40)에 저장시키면서 사용제한을 실행시키게 된다.
또한, 제어부(50)는 해제시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해제암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해제암호 및 해제암호 입력시 얼굴인식부(80)에서 생성된 인식정보와 저장된 설정암호 및 설정암호 입력시의 인식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사용제한의 해제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를 위한 제어부(50)는 인식정보판별부(56)와, 동일성판별부(51)와, 대칭성판별부(52)와, 해제결정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식정보판별부(56)는 저장부(40)에 저장된 설정시의 인식정보와 해제시 생성된 인식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양 인식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동일성판별부(51)와 대칭성판별부(52)는 저장된 설정암호와 해제시 입력된 해제암호를 비교하여 양 암호의 동일 여부 및 대칭 여부를 각각 판별한다.
상기 해제결정부(53)는 상기 인식정보판별부(56)에서 양 인식정보가 동일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즉 설정시와 해제시의 인식정보가 모두 얼굴을 인식한 정보이거나 불인식한 정보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동일성판별부(51)에서 해제암호와 설정암호가 동일한 것으로 판별되면 사용제한을 해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해제결정부(53)는 상기 인식정보판별부(56)에서 양 인식정보가 상이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즉, 설정시는 얼굴을 인식한 정보인데 해제시는 불인식한 정보이거나 또는 설정시는 불인식 정보인데 해제시는 인식한 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대칭성판별부(52)에서 해제암호와 설정암호가 서로 대칭인 것으로 판별되면 사용제한을 해제시키게 된다.
도 20과 도 21에는 이러한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대한 사용제한의 설정해제방법이 예시되어 있는 바, 이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설정해제방법과 상이한 부분을 위주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20에 예시된 것처럼 설정단계(S51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제한의 설정명령이 입력되면(S511), 제어부(50)는 후면암호입력부(20)를 입력대기 상태로 제어하며(S512), 후면암호입력부(20)는 사용자로부터 설정암호를 입력받는다.(S513)
그리고 이렇게 설정암호가 입력될 때,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얼굴인식부(80)는 사용자의 얼굴인식 여부에 대한 인식정보를 생성하게 된다.(S514)
이 때, 생성되는 상기 인식정보는 사용자가 정방향으로 설정암호를 입력하는 경우 얼굴을 인식한 정보가 되고, 역방향으로 설정암호를 입력하는 경우 얼굴을 불인식한 정보가 된다.
이렇게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설정암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입력된 설정암호와 함께 설정시 생성된 상기 인식정보도 함께 저장부(40)에 저장시키면서(S515), 휴대단말기에 대한 사용제한기능을 실행시킨다.(S516)
다음, 도 21에 예시된 것처럼 해제단계(S52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제한의 해제명령이 입력되면(S521), 제어부(50)는 후면암호입력부(20)를 입력대기 상태로 제어하며(S522), 후면암호입력부(20)는 사용자로부터 해제암호를 입력받는다.(S523)
그리고 이렇게 해제암호가 입력될 때,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얼굴인식부(80)는 사용자의 얼굴인식 여부에 대한 인식정보를 생성하게 된다.(S524).
이렇게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해제암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먼저 해제시 생성된 인식정보와 저장된 설정시의 인식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양 인식정보가 동일한가 여부를 판별한다.(S525)
그리고 상기 S525단계의 판별결과, 양 인식정보가 동일한 것으로 판별된 때는,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된 설정암호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하고(S526), 양 인식정보가 상이한 것으로 판별된 때는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된 설정암호가 대칭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527)
그리고 상기 S526단계에서 해제암호와 설정암호가 동일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또는 상기 S527단계에서 해제암호와 설정암호가 대칭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사용제한을 해제시키게 된다.(S528)
도 22에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구성도가 예시되어 있는 바,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전술한 제5 실시예와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되, 사용제한을 위한 설정암호 또는 해제암호가 후면암호입력부(20) 뿐만 아니라 화면부(10)를 통해서도 입력되는 차이점이 있으며,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이한 부분을 위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입력수단선택부(70)를 더 포함하는 바, 상기 입력수단선택부(70)는 전술한 제4 실시예와 동일하게, 화면부(10) 및 후면암호입력부(20) 중 어느 입력수단을 통해 설정암호 또는 해제암호를 입력할 것인지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얼굴인식부(80)는 후면암호입력부(20)에 대한 입력방향의 판단을 위한 부분이므로, 전술한 제5 실시예와 달리, 상기 입력수단선택부(7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수단으로 후면암호입력부(20)를 선택한 경우에만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설정시 사용자가 선택한 입력수단을 통해 설정암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설정암호와 함께 선택된 입력수단 및 얼굴인식부(80)에서 생성된 인식정보(물론, 입력수단으로 후면암호입력부(20)가 선택된 경우)도 함께 저장부(40)에 저장시키면서 사용제한을 실행시키게 된다.
또한, 제어부(50)는 해제시 사용자가 선택한 입력수단을 통해 해제암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해제암호, 해제시의 입력수단 및 해제시 생성된 인식정보와 저장된 설정암호, 설정시의 입력수단 및 인식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사용제한의 해제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를 위한 제어부(50)는 입력수단판별부(55)와, 인식정보판별부(56)와, 동일성판별부(51)와, 대칭성판별부(52)와, 해제결정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수단판별부(55)는 저장부(40)에 저장된 설정시의 입력수단과 해제시 선택된 입력수단을 서로 비교하여 양 입력수단이 동일한지 여부, 및 화면부(10)와 후면암호입력부(20) 중 어느 입력수단인지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상기 인식정보판별부(56)는 후면암호입력부(20)가 입력수단인 경우 저장부(40)에 저장된 설정시의 인식정보와 해제시 생성된 인식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양 인식정보가 동일한지 여부, 및 얼굴을 인식한 정보인지 불인식한 정보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동일성판별부(51)와 대칭성판별부(52)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게 양 암호의 동일여부 및 대칭여부를 각각 판별한다.
상기 해제결정부(53)는 상기 입력수단판별부(55), 인식정보판별부(56), 동일성판별부(51), 대칭성판별부(52)에서의 판별결과에 따라 사용제한을 해제시킨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해제결정부(53)에서는, 첫째 입력수단판별부(55)에서 설정시와 해제시의 양 입력수단이 동일하게 화면부(10)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둘째 입력수단판별부(55)에서 설정시와 해제시의 양 입력수단이 동일하게 후면암호입력부(20)인 것으로 판별됨과 함께 인식정보판별부(56)에서 설정시와 해제시의 양 인식정보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셋째 입력수단판별부(55)에서 설정시와 해제시의 양 입력수단이 상이한 것으로 판별됨과 함께 인식정보판별부(56)에서 인식정보가 사용자의 얼굴을 불인식한 정보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이렇게 세가지의 경우에는 상기 동일성판별부(51)에서 해제암호와 설정암호가 동일한 것으로 판별되면 사용제한을 해제시키게 된다.
또한, 해제결정부(53)에서는, 첫째 입력수단판별부(55)에서 설정시와 해제시의 양 입력수단이 동일하게 후면암호입력부(20)인 것으로 판별됨과 함께 상기 인식정보판별부(56)에서 설정시와 해제시의 양 인식정보가 서로 상이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둘째 입력수단판별부(55)에서 설정시와 해제시의 양 입력수단이 상이한 것으로 판별됨과 함께 인식정보판별부(56)에서 인식정보가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한 정보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이렇게 두가지의 경우에는 상기 대칭성판별부(52)에서 해제암호와 설정암호가 대칭인 것으로 판별되면 사용제한을 해제시키게 된다.
도 23과 도 24에는 이러한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대한 사용제한의 설정해제방법이 예시되어 있는 바, 이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5 실시예의 설정해제방법과 상이한 부분을 위주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23에 예시된 것처럼 설정단계(S61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제한의 설정명령이 입력되면(S611), 입력수단선택부(70)는 입력수단으로 화면부(10) 또는 후면암호입력부(20)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입력수단의 선택메뉴를 화면부(10)에 디스플레이시킨 후, 사용자로부터 입력수단에 대한 선택을 받는다.(S612)
상기 단계(S612)에서의 입력수단 선택에 따라, 제어부(50)는 화면부(10)와 후면암호입력부(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입력대기 상태로 제어하며(S613),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부(10) 또는 후면암호입력부(20)는 사용자로부터 설정암호를 입력받게 된다.(S614)
그리고 이렇게 설정암호가 입력될 때, 상기 S612단계에서 입력수단으로 후면암호입력부(20)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얼굴인식부(80)가 사용자의 얼굴인식 여부에 대한 인식정보를 생성하게 된다.(S615)
이렇게 설정암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입력된 설정암호와 함께 선택된 입력수단(즉, 화면부(10)인지, 후면암호입력부(20)인지) 및 얼굴인식부(80)에서 생성된 인식정보(입력수단이 후면암호입력부(20)인 경우) 또한 함께 저장부(40)에 저장시키면서(S616), 휴대단말기에 대한 사용제한기능을 실행시킨다.(S617)
다음, 도 24에 예시된 것처럼 해제단계(S62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제한의 해제명령이 입력되면(S621), 입력수단선택부(70)는 입력수단의 선택메뉴를 화면부(10)에 디스플레이시킨 후, 사용자로부터 해제암호의 입력수단에 대한 선택을 받는다.(S622)
상기 단계(S622)에서의 입력수단 선택에 따라, 제어부(50)는 화면부(10)와 후면암호입력부(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입력대기 상태로 제어하며(S623),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부(10) 또는 후면암호입력부(20)는 사용자로부터 해제암호를 입력받게 된다.(S624)
그리고 이렇게 해제암호가 입력될 때, 상기 S622단계에서 입력수단으로 후면암호입력부(20)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얼굴인식부(80)가 사용자의 얼굴인식 여부에 대한 인식정보를 생성하게 된다.(S625)
이렇게 해제암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해제시 선택된 입력수단과 저장된 설정시의 입력수단이 서로 동일한가 여부를 판별한다.(S626)
그리고 상기 S626단계의 판별결과, 양 입력수단이 동일한 경우, 동일한 양 입력수단이 화면부(10)인지 후면암호입력부(20)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627)
그리고 상기 S627단계의 판별결과 동일한 양 입력수단이 후면암호입력부(20)인 경우, 해제시 생성된 인식정보와 저장된 설정시의 인식정보가 서로 동일한가 여부를 판별한다.(S628)
한편, 상기 S626단계의 판별결과, 양 입력수단이 상이한 경우에는, 설정암호 입력시 또는 해제암호 입력시 중 어느 한 경우에 생성된 인식정보가 얼굴을 인식한 정보인지 또는 불인식한 정보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629)
그리고 상기한 단계들의 판별을 통해, 상기 S627단계의 판별결과 동일한 양 입력수단이 화면부(10)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와, 상기 S628단계의 판별결과 해제시와 설정시의 양 인식정보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와, 상기 S629단계의 판별결과 인식정보가 얼굴을 불인식한 정보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된 설정암호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S630)
또한, 상기 S628단계의 판별결과 해제시와 설정시의 양 인식정보가 서로 상이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와, 상기 S629단계의 판별결과 인식정보가 얼굴을 인식한 정보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된 설정암호가 대칭인지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S631)
그리고, 상기 S630단계의 판별결과 해제암호와 설정암호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또는 상기 S631단계의 판별결과 해제암호와 설정암호가 서로 대칭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사용제한을 해제시키게 된다.(S632)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제한의 설정 또는 해제를 위한 암호입력이 휴대단말기의 본체 후면에 구비된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입력수단인 후면암호입력부 자체가 본체에 가려져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고 더 나아가 손가락의 터치행위 등과 같은 사용자의 암호입력행위까지도 본체에 의해 은폐되어 노출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암호의 보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암호노출의 가능성이 상이한 다양한 사용환경에 따라 암호의 입력수단 및 입력방향 등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누운자세, 옆으로 누운자세 등과 같이 다양하게 휴대단말기를 파지하여 방향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화면부 20: 후면암호입력부
30: 사용자입력부 40: 저장부
50: 제어부 60: 입력방향선택부
70: 입력수단선택부 80: 얼굴인식부

Claims (14)

  1. 본체 전면에 화면부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사용제한의 설정 또는 해제를 위한 암호입력이 가능한 후면암호입력부;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설정암호가 입력되면 저장부에 저장시키면서 사용제한을 실행시키고, 해제암호가 입력되면 저장된 설정암호와 비교하여 양 암호가 동일하거나 대칭인 경우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된 설정암호의 동일 여부를 판별하는 동일성판별부와,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된 설정암호의 대칭 여부를 판별하는 대칭성판별부와, 상기 동일성판별부에서 동일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사용제한을 해제시키고, 상이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대칭성판별부에서 대칭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는 해제결정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2. 본체 전면에 화면부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사용제한의 설정 또는 해제를 위한 암호입력이 가능한 후면암호입력부;
    상기 화면부 및 후면암호입력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설정암호가 입력되면 저장부에 저장시키면서 사용제한을 실행시키고, 해제암호가 입력되면 저장된 설정암호와 비교하여 양 암호가 동일하거나 대칭인 경우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된 설정암호의 동일 여부를 판별하는 동일성판별부와,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된 설정암호의 대칭 여부를 판별하는 대칭성판별부와, 상기 동일성판별부에서 동일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사용제한을 해제시키고, 상이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대칭성판별부에서 대칭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는 해제결정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3. 삭제
  4. 본체 전면에 화면부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사용제한의 설정 또는 해제를 위한 암호입력이 가능한 후면암호입력부;
    상기 화면부가 사용자와 대면하는 정방향 상태에서 암호를 입력할지 상기 후면암호입력부가 사용자와 대면하는 역방향상태에서 암호를 입력할지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입력방향선택부;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설정암호가 입력되면 저장부에 설정암호와 입력방향을 저장시키면서 사용제한을 실행시키고, 해제암호가 입력되면 저장된 설정암호와 입력방향을 비교하여, 양 입력방향이 동일하면 양 암호가 동일한 경우 사용제한을 해제시키고, 양 입력방향이 상이하면 양 암호가 대칭인 경우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5. 본체 전면에 화면부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사용제한의 설정 또는 해제를 위한 암호입력이 가능한 후면암호입력부;
    상기 화면부 및 후면암호입력부 중 어느 입력수단을 통해 암호를 입력할지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입력수단선택부;
    입력수단으로 후면암호입력부가 선택되면, 화면부가 사용자와 대면하는 정방향 상태에서 암호를 입력할지 후면암호입력부가 사용자와 대면하는 역방향상태에서 암호를 입력할지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입력방향선택부;
    상기 화면부 및 후면암호입력 중 선택된 입력수단을 통해 설정암호가 입력되면 저장부에 설정암호와 선택된 입력수단 및 입력방향을 저장시키면서 사용제한을 실행시키고, 해제암호가 입력되면 저장된 설정암호와 입력수단 및 입력방향을 비교하여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양 입력수단이 동일하게 화면부인 경우 양 암호가 동일하면 사용제한을 해제시키고, 양 입력수단이 동일하게 후면암호입력부인 경우에는 양 입력방향과 양 암호가 모두 동일하면 사용제한을 해제시킴과 함께 양 입력방향이 상이하면 양 암호가 대칭일 때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며, 양 입력수단이 상이한 경우에는 입력방향이 역방향이면 양 암호가 동일할 때 사용제한을 해제시킴과 함께 입력방향이 정방향이면 양 암호가 대칭일 때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6. 본체 전면에 화면부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사용제한의 설정 또는 해제를 위한 암호입력이 가능한 후면암호입력부;
    암호입력시 본체 전면을 통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인식부;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설정암호가 입력되면 저장부에 설정암호와 얼굴인식 여부에 대한 인식정보를 저장시키면서 사용제한을 실행시키고, 해제암호가 입력되면 저장된 설정암호와 인식정보를 비교하여, 양 인식정보가 동일하면 양 암호가 동일한 경우 사용제한을 해제시키고, 양 인식정보가 상이하면 양 암호가 대칭인 경우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7. 본체 전면에 화면부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사용제한의 설정 또는 해제를 위한 암호입력이 가능한 후면암호입력부;
    상기 화면부 및 후면암호입력부 중 어느 입력수단을 통해 암호를 입력할지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입력수단선택부;
    입력수단으로 후면암호입력부가 선택되면, 암호입력시 본체 전면을 통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인식부;
    상기 화면부 및 후면암호입력 중 선택된 입력수단을 통해 설정암호가 입력되면 저장부에 설정암호와 입력수단 및 얼굴인식 여부에 대한 인식정보를 저장시키면서 사용제한을 실행시키고, 해제암호가 입력되면 저장된 설정암호와 입력수단 및 인식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양 입력수단이 동일하게 화면부이면 양 암호가 동일할 때 사용제한을 해제시키고, 양 입력수단이 동일하게 후면암호입력부이면 양 인식정보가 동일하고 양 암호가 동일할 때 사용제한을 해제시킴과 함께 양 인식정보가 상이하고 양 암호가 대칭일 때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며, 양 입력수단이 상이하면 인식정보가 얼굴을 불인식한 정보이고 양 암호가 동일할 때 사용제한을 해제시킴과 함께 인식정보가 얼굴을 인식한 정보이고 양 암호가 대칭일 때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8. 본체 전면과 후면에 화면부와 후면암호입력부가 각각 구비된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을 설정하는 설정단계;와, 상기 사용제한이 설정된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을 해제하는 해제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사용제한의 설정암호가 입력되는 설정암호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된 설정암호를 저장하면서 사용제한을 실행시키는 설정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단계는,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사용제한의 해제암호가 입력되는 해제암호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된 해제암호와 상기 저장된 설정암호를 비교하여,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된 설정암호의 동일 여부를 판별하여 동일한 경우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는 1차판별단계와, 상기 1차판별단계에서 상이한 경우, 대칭 여부를 판별하여 대칭인 경우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는 2차판별단계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9. 본체 전면과 후면에 화면부와 후면암호입력부가 각각 구비된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을 설정하는 설정단계;와, 상기 사용제한이 설정된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을 해제하는 해제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화면부 및 후면암호입력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사용제한의 설정암호가 입력되는 설정암호단계와, 상기 입력된 설정암호를 저장하면서 사용제한을 실행시키는 설정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단계는,
    상기 화면부 및 후면암호입력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사용제한의 해제암호가 입력되는 해제암호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된 해제암호와 상기 저장된 설정암호를 비교하여,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된 설정암호의 동일 여부를 판별하여 동일한 경우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는 1차판별단계와, 상기 1차판별단계에서 상이한 경우, 대칭 여부를 판별하여 대칭인 경우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는 2차판별단계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10. 삭제
  11. 본체 전면과 후면에 화면부와 후면암호입력부가 각각 구비된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을 설정하는 설정단계;와, 상기 사용제한이 설정된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을 해제하는 해제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설정단계는,
    설정암호를 상기 화면부가 사용자와 대면하는 정방향 상태에 입력할지 상기 후면암호입력부가 사용자와 대면하는 역방향상태에서 입력할지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입력방향선택단계와,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설정암호가 입력되는 설정암호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된 설정암호와 선택된 입력방향을 저장하면서 사용제한을 실행시키는 설정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단계는,
    해제암호를 상기 화면부가 사용자와 대면하는 정방향 상태에 입력할지 상기 후면암호입력부가 사용자와 대면하는 역방향상태에서 입력할지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입력방향선택단계와,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해제암호가 입력되는 해제암호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된 해제암호 및 입력방향과 설정시 저장된 설정암호 및 입력방향을 비교하여, 양 입력방향이 동일하면 양 암호가 동일한 경우 사용제한을 해제시키고, 양 입력방향이 상이하면 양 암호가 대칭인 경우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는 해제판별단계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12. 본체 전면과 후면에 화면부와 후면암호입력부가 각각 구비된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을 설정하는 설정단계;와, 상기 사용제한이 설정된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을 해제하는 해제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화면부 및 후면암호입력부 중 어느 입력수단을 통해 설정암호를 입력할지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입력수단선택단계와, 입력수단으로 후면암호입력부가 선택되면, 설정암호를 상기 화면부가 사용자와 대면하는 정방향 상태에 입력할지 상기 후면암호입력부가 사용자와 대면하는 역방향상태에서 입력할지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입력방향선택단계와, 상기 화면부 및 후면암호입력부 중 선택된 입력수단을 통해 설정암호가 입력되는 설정암호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된 설정암호와 선택된 입력수단 및 입력방향을 저장하면서 사용제한을 실행시키는 설정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단계는,
    상기 화면부 및 후면암호입력부 중 어느 입력수단을 통해 해제암호를 입력할지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입력수단선택단계와, 입력수단으로 후면암호입력부가 선택되면, 해제암호를 상기 화면부가 사용자와 대면하는 정방향 상태에 입력할지 상기 후면암호입력부가 사용자와 대면하는 역방향상태에서 입력할지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입력방향선택단계와, 상기 화면부 및 후면암호입력부 중 선택된 입력수단을 통해 해제암호가 입력되는 해제암호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된 해제암호와 선택된 입력수단 및 입력방향과 설정시 저장된 설정암호와 입력수단 및 입력방향을 비교하여, 양 입력수단이 동일하게 화면부인 경우 양 암호가 동일하면 사용제한을 해제시키고, 양 입력수단이 동일하게 후면암호입력부인 경우에는 양 입력방향과 양 암호가 모두 동일하면 사용제한을 해제시킴과 함께 양 입력방향이 상이하면 양 암호가 대칭일 때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며, 양 입력수단이 상이한 경우에는 입력방향이 역방향이면 양 암호가 동일할 때 사용제한을 해제시킴과 함께 입력방향이 정방향이면 양 암호가 대칭일 때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는 해제판별단계;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13. 본체 전면과 후면에 화면부와 후면암호입력부가 각각 구비된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을 설정하는 설정단계;와, 상기 사용제한이 설정된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을 해제하는 해제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사용제한의 설정암호가 입력되는 설정암호입력단계와, 상기 설정암호 입력시 사용자의 얼굴인식 여부에 대한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인식정보생성단계와, 상기 입력된 설정암호와 생성된 인식정보를 저장하면서 사용제한을 실행시키는 설정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단계는,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사용제한의 해제암호가 입력되는 해제암호입력단계와, 상기 해제암호 입력시 사용자의 얼굴인식 여부에 대한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인식정보생성단계와, 상기 입력된 해제암호 및 생성된 인식정보와 설정시 저장된 설정암호 및 인식정보를 비교하여, 양 인식정보가 동일하면 양 암호가 동일한 경우 사용제한을 해제시키고, 양 인식정보가 상이하면 양 암호가 대칭인 경우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는 해제판별단계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14. 본체 전면과 후면에 화면부와 후면암호입력부가 각각 구비된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을 설정하는 설정단계;와, 상기 사용제한이 설정된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을 해제하는 해제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화면부 및 후면암호입력부 중 어느 입력수단을 통해 설정암호를 입력할지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입력수단선택단계와, 상기 화면부 및 후면암호입력부 중 선택된 입력수단을 통해 설정암호가 입력되는 설정암호입력단계와, 입력수단으로 후면암호입력부가 선택된 경우, 설정암호 입력시 사용자의 얼굴인식 여부에 대한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인식정보생성단계와, 상기 입력된 설정암호와 선택된 입력수단 및 생성된 인식정보를 저장하면서 사용제한을 실행시키는 설정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단계는,
    상기 화면부 및 후면암호입력부 중 어느 입력수단을 통해 해제암호를 입력할지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입력수단선택단계와, 상기 화면부 및 후면암호입력부 중 선택된 입력수단을 통해 해제암호가 입력되는 해제암호입력단계와, 입력수단으로 후면암호입력부가 선택된 경우, 해제암호 입력시 사용자의 얼굴인식 여부에 대한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인식정보생성단계와, 상기 입력된 해제암호와 선택된 입력수단 및 생성된 인식정보와 설정시 저장된 설정암호와 입력수단 및 인식정보을 비교하여, 양 입력수단이 동일하게 화면부이면 양 암호가 동일할 때 사용제한을 해제시키고, 양 입력수단이 동일하게 후면암호입력부이면 양 인식정보가 동일하고 양 암호가 동일할 때 사용제한을 해제시킴과 함께 양 인식정보가 상이하고 양 암호가 대칭일 때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며, 양 입력수단이 상이하면 인식정보가 얼굴을 불인식한 정보이고 양 암호가 동일할 때 사용제한을 해제시킴과 함께 인식정보가 얼굴을 인식한 정보이고 양 암호가 대칭일 때 사용제한을 해제시키는 해제판별단계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KR1020140122271A 2014-07-28 2014-09-15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KR101589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271A KR101589429B1 (ko) 2014-07-28 2014-09-15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US15/326,352 US9805178B2 (en) 2014-07-28 2015-07-23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of setting and releasing use restriction therefor
PCT/KR2015/007677 WO2016017996A1 (ko) 2014-07-28 2015-07-23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US15/326,364 US10282528B2 (en) 2014-07-28 2017-01-13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of setting and releasing use restriction therefor
US15/797,443 US20180046786A1 (en) 2014-07-28 2017-10-30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of setting and releasing use restriction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815A KR101530488B1 (ko) 2014-07-28 2014-07-28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KR1020140122271A KR101589429B1 (ko) 2014-07-28 2014-09-15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429B1 true KR101589429B1 (ko) 2016-01-28

Family

ID=5521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271A KR101589429B1 (ko) 2014-07-28 2014-09-15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9805178B2 (ko)
KR (1) KR101589429B1 (ko)
WO (1) WO20160179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8769B1 (en) * 2016-08-10 2019-04-02 Symante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users on touchscreen devices
CN107295165A (zh) * 2017-06-09 2017-10-24 深圳市欧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模糊匹配的防盗用解锁方法
KR101946634B1 (ko) * 2017-07-04 2019-05-08 김덕우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KR102388027B1 (ko) * 2018-12-26 2022-04-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모듈의 시험 방법 및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341218B2 (en) * 2019-01-25 2022-05-24 V440 Spólka Akcyjna Messaging application and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providing messaging interface for messaging applic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224B1 (ko) 2005-12-29 2007-03-02 주식회사 팬택 암호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0829111B1 (ko) * 2006-11-27 2008-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38777A (ko) * 2010-10-14 2012-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397089B1 (ko) * 2014-02-06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6168A (ja) * 2001-06-25 2003-01-10 Ntt Docomo Inc 移動端末認証方法及び移動端末
KR100622245B1 (ko) * 2004-06-04 2006-09-08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지문 인증 장치 및 방법
JP4397827B2 (ja) * 2005-01-20 2010-01-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マネー機能を有する携帯端末装置の認証システム
JP4622763B2 (ja) * 2005-09-14 2011-02-0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装置及び認証方法
KR100835959B1 (ko) * 2007-02-28 2008-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장치 식별번호 불법변경 방지 방법
KR101485392B1 (ko) * 2008-06-19 2015-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CN101626417A (zh) * 2008-07-08 2010-01-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身份认证的方法
KR101545582B1 (ko) * 2008-10-29 201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983902B1 (ko) 2009-02-12 2010-09-27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13928B1 (ko) * 2009-09-09 201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710545B1 (ko) * 2009-11-05 201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20110100986A (ko) * 2010-03-05 2011-09-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잠금 해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기
KR20120076676A (ko) * 2010-12-13 2012-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보안 인증 장치 및 방법
IT1403435B1 (it) * 2010-12-27 2013-10-17 Conti Procedimento di autenticazione d utente per l'accesso a un terminale utente mobile e corrispondente terminale utente mobile.
US9032511B2 (en) * 2011-03-11 2015-05-12 Ntt Docomo, Inc. Mobile information terminal and gripping-feature authentication method
KR101953382B1 (ko) * 2011-09-21 2019-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표시제어장치 및 방법
KR101157072B1 (ko) * 2011-11-16 2012-06-2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패스워드 아이콘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패스워드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101340015B1 (ko) * 2011-12-16 2013-12-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손가락 움직임에 따른 포인터 제어명령어 인식 방법
KR101397084B1 (ko) 2012-07-02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380718B1 (ko) * 2012-09-19 2014-04-0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센싱 정보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KR102006490B1 (ko) * 2012-11-15 2019-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9461992B2 (en) * 2013-01-09 2016-10-04 Chris Outwater Smartphone based identification, access control, testing, and evaluation
US9563756B2 (en) * 2013-02-07 2017-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wo phase password input mechanism
KR101398141B1 (ko) 2013-02-08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EP2866165B1 (en) * 2013-10-28 2018-12-05 LG Electronics Inc. -1-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155091B1 (ko) * 2014-01-22 2020-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02647B1 (ko) * 2014-02-21 2020-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KR101970785B1 (ko) * 2014-04-18 2019-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224B1 (ko) 2005-12-29 2007-03-02 주식회사 팬택 암호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0829111B1 (ko) * 2006-11-27 2008-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38777A (ko) * 2010-10-14 2012-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397089B1 (ko) * 2014-02-06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05178B2 (en) 2017-10-31
WO2016017996A1 (ko) 2016-02-04
US20170213017A1 (en) 2017-07-27
US20170228530A1 (en) 2017-08-10
US20180046786A1 (en) 2018-02-15
US10282528B2 (en)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429B1 (ko)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US9286482B1 (en) Privacy control based on user recognition
KR101971697B1 (ko)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복합 생체인식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US10687211B2 (en) Mobile device,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thereof, wearable device,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P291112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terminal apparatus and terminal apparatus and medium
US9741188B2 (en) Mobile device case
CN101667234A (zh) 锁定状态转换方法、电子装置及计算机程序产品
CN103729134A (zh) 在便携终端中解锁屏幕并执行操作的装置和方法
CN108334769A (zh) 指纹解锁方法及装置
KR101519301B1 (ko) 일회용 패스워드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증방법
CN104408344A (zh) 系统切换方法、系统切换装置和终端
CN108595935A (zh) 指纹解锁方法及装置
JP2014514646A (ja) 端末認証方法及び端末
TW201727467A (zh) 用於行動裝置之使用者介面
CN106951757A (zh) 一种操作应用程序的方法和装置
US9721454B2 (en) Method for protecting terminal devices and the terminal device thereof
US9846980B2 (en) Lock releas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JP6796662B2 (ja) 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発呼方法
KR101944447B1 (ko) 아이콘을 이용한 화면 잠금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
CN106599678B (zh) 屏幕解锁方法及设备
KR101530488B1 (ko)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JP7184870B2 (ja) 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3246736A (ja) 認証装置
JP5709565B2 (ja) 携帯端末装置
KR101656643B1 (ko) 보안성이 강화된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