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488B1 -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488B1
KR101530488B1 KR1020140095815A KR20140095815A KR101530488B1 KR 101530488 B1 KR101530488 B1 KR 101530488B1 KR 1020140095815 A KR1020140095815 A KR 1020140095815A KR 20140095815 A KR20140095815 A KR 20140095815A KR 101530488 B1 KR101530488 B1 KR 101530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setting
input unit
use restriction
back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시은
Original Assignee
정시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시은 filed Critical 정시은
Priority to KR1020140095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488B1/ko
Priority to KR1020140122271A priority patent/KR101589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488B1/ko
Priority to US15/326,352 priority patent/US9805178B2/en
Priority to PCT/KR2015/007677 priority patent/WO2016017996A1/ko
Priority to US15/326,364 priority patent/US10282528B2/en
Priority to US15/797,443 priority patent/US2018004678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반대쪽인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사용제한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암호가 입력되는 후면암호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사용제한의 설정암호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제한의 해제암호와 상기 저장된 설정암호와 비교하여 사용제한의 해제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제한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암호입력이 타인에게 전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의 보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setting-releasing use restriction thereof}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 후면에 구비된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사용제한의 설정 및 해제가 가능하여 주변의 타인에게 암호가 노출되지 않도록 보안성이 강화된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서비스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고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기능 또한 다양해지고 있으며, 예컨데 기본적인 음성통화뿐만 아니라 영상통화, 무선인테넷 접속, 전자결재 기능,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 기능, 음악이나 동영상의 재생이 가능한 MP3와 PMP 기능, 방송수신을 위한 DMB 기능 등의 복합적인 기능 등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에는 타인에게 노출되면 안되는 사용자 개인의 사생활이 담긴 사진파일이나 동영상파일 또는 문서파일, 문자메시지 등이 다양하게 저장되어 있고, 더 나아가 전자결재 등을 위한 ID, 비밀번호, 공인인증서와 같은 중요 개인정보들까지도 저장되어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에서는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다양한 개인정보의 도용방지와 사생활의 보호를 위한 보안성이 매우 중요해졌으며, 이러한 휴대단말기의 보안성 강화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화면잠금을 통한 사용제한 기능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화면잠금을 통한 사용제한 기능이 휴대단말기에 설정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분실하거나 또는 휴대단말기를 두고 잠시 자리를 비웠을 때에도, 설정된 사용제한에 의해 타인이 휴대단말기의 각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볼 수 없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각종 개인정보나 중요문서 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휴대단말기에 대한 종래 대표적인 사용제한 설정 및 해제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숫자입력화면을 통해 복수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암호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암호와 동일한 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사용제한을 해제시켜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인데, 보통 비밀번호는 사용자의 생일, 전화번호 등과 같이 사용자의 특정정보와 연동되는 경우가 많아 타인이 알아내기 쉬운 점이 있음과 함께, 이러한 비밀번호는 은행계좌의 이체비밀번호, 출입문의 해제비밀번호, 인터넷 로그인 비밀번호 등과 일반적으로 일치하는 경우도 많아 비밀번호 유출시 2차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크게 우려되었다.
이에, 도 14에 예시된 것처럼, 숫자에 의한 비밀번호 대신 사용자가 패턴입력화면을 통해 이동궤적에 따른 형상패턴을 입력하여 암호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암호와 동일한 형상패턴이 입력되는 경우에만 사용제한을 해제시켜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모든 사용제한 설정 및 해제방법은 모두 휴대단말기의 본체 전면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화면을 통하여 암호가 입력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의 사용해제를 위해 비밀번호나 형상패턴 등의 암호를 입력할 때, 입력되는 화면 및 사용자의 입력행위가 주변에 있는 타인에게 그대로 노출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보안성이 상당히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휴대단말기는 대부분 절전기능에 의해 잠시만 사용하지 않더라도 바로 사용제한 모드가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수시로 사용제한의 해제를 위한 암호를 입력하는데,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전면의 터치스크린 화면에 암호를 입력하게 되므로, 입력할 때마다 주변에 있는 타인이 입력화면 및 입력행위를 몰래 엿볼 수 있어 사용제한의 암호가 주변에 있는 타인에게 유출될 위험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것처럼 보안성이 취약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암호 유출에 대한 우려로 비밀번호나 형상패턴 등 암호를 입력할 때 타인이 엿보는지 등을 신경쓰면서 주의깊게 입력을 하거나 또는 암호를 자주 바꿀 수 밖에 없는 번거로움이 있음과 함께, 자주 암호를 바꾸게 되는 경우, 바뀐 새로운 암호를 기억하지 못해 휴대단말기 사용에 불편함을 겪게 되는 문제점까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암호의 유출 위험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휴대단말기에 지문인식수단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지문인식을 통해 사용제한을 설정하고 해제하는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지문인식을 통한 설정해제방법은 사용자의 지문 자체가 암호가 되는 것이므로 일상생활 중에는 암호유출의 우려가 전혀 없는 뛰어난 보안성을 갖지만, 예컨대, 사용자가 만취했거나, 잠에 깊게 빠져 있는 등 의식이 명확하지 않는 상태 또는 타인에 의해 강압을 받는 상태 등과 같이 특정한 상황에서는 타인이 몰래 또는 강압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만 지문인식수단에 대주면 바로 사용제한이 해제되버리기 때문에 오히려 상기한 비밀번호나 패턴암호를 통한 설정해제방법보다도 더 보안성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8224호 : 암호입력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제한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암호입력이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보안성을 강화시킨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본체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반대쪽인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사용제한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암호가 입력되는 후면암호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사용제한의 설정암호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제한의 해제암호와 상기 저장된 설정암호를 비교하여 사용제한의 해제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가 개시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본체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됨과 함께 본체 후면에 후면암호입력부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을 설정하는 설정단계와, 상기 사용제한이 설정된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을 해제하는 해제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사용제한의 설정암호가 입력되는 설정암호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된 설정암호를 저장하는 설정암호저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단계는,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사용제한의 해제암호가 입력되는 해제암호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된 해제암호와 상기 설정단계에서 저장된 설정암호를 비교하여 사용제한의 해제여부를 판별하는 해제판별단계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제한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암호입력이 휴대단말기의 본체 후면에 구비된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입력수단인 후면암호입력부와 사용자의 암호입력행위가 모두 본체에 가려져 타인에게 전혀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암호의 보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구성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면부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후면부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암호를 입력하는 모습을 각각 예시한 도면들이고,
도 7은 설정암호가 특정형태로 입력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a)는 전면부를 예시하고 (b)는 후면부를 각각 예시한 도면이며,
도 8은 후면부에서 설정암호가 방향패턴으로 입력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9는 후면부에서 설정암호가 순서패턴으로 입력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후면부에서 설정암호가 신호패턴으로 입력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제한의 설정단계의 흐름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제한의 해제단계의 흐름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사용제한의 해제단계시 입력상태를 판단하여 해제여부를 판별하는 흐름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종래 통상적인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태블릿(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는데,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마트폰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구성도가 예시되어 있는 바,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0)와, 후면암호입력부(20)와, 사용자입력부(30)와, 저장부(40)와,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의 특징과 관련되는 것만을 예시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로서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을 위하여 무선통신부, 전원공급부, 촬영수단, 음성입출력수단 등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필요에 따라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당해기술분야의 공지된 기술임과 함께 본 발명의 특징과는 무관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불필요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과 관련되는 구성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는데, 이러한 시각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s),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 다양한 액정표시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고, 또한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성되어 영상출력 수단 뿐만 아니라 터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수단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휴대단말기의 전면부를 일 예시한 도면으로서, 예시된 것처럼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0)는 종래 통상적인 휴대단말기와 동일하게 본체(1)의 전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5와 도 6의 사용예시도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보이도록 휴대단말기의 전면이 위쪽을 향하도록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된 각종 기능메뉴를 터치 입력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활성화시켜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것처럼 종래 통상적인 휴대단말기에서는 본체(1) 전면에 구비된 상기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된 화면을 통해 사용제한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암호입력이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사용제한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암호입력이 이루어지는 본질적인 차이점을 갖는다.
도 4는 휴대단말기의 후면부를 일 예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후면암호입력부(20)는 휴대단말기에 대한 사용제한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암호가 입력되는 기능을 수행하며, 도 4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반대쪽, 즉 휴대단말기 본체(1)의 후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5와 도 6의 사용예시도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본체(1) 의 전면이 위쪽을 향하도록 파지한 상태에서 후면쪽에 구비된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사용제한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암호를 입력하게 된다.
이러한 후면암호입력부(20)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고, 그러한 구현수단에 따라 사용제한을 위한 암호 또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먼저, 후면암호입력부(20)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하여 암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제한을 위한 설정암호는 특정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형태란 사용자가 터치센서로 구현된 후면암호입력부(20)에 손가락을 터치하여 표현할 수 있고 또한 기억할 수 있는 것으로서, 문자, 숫자, 기호, 도형, 그래픽 중 적어도 어느 하나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의 (a)에 예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후면암호입력부(20)를 터치하여 문자 “G”를 표현하게 되면, 이러한 “G”형태가 설정암호가 되는 것이며, 상기 설정암호와 동일하게 “G”형태가 입력될 때 사용제한의 해제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후면암호입력부(20)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드래그하여 방향성을 입력할 수 있는 방향입력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향입력수단으로는 트랙포인트(track point), 조이스틱(joy stic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암호입력부(20)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제한을 위한 설정암호는 상기 방향입력수단이 다양한 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드래그되어 생성되는 방향패턴일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는 이렇게 방향패턴으로 생성된 암호의 일 예가 예시되어 있는 바, 예시된 것처럼 사용자는 후면암호입력부(20)를 →, ←, ↑, ↑ 방향으로 순서대로 드래그하여 방향패턴의 암호를 설정한 것이며, 설정해제시에도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방향패턴과 동일하게 암호를 입력하는 경우에 사용제한의 해제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후면암호입력부(20)는 다수의 터치영역으로 분할된 터치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영역은 터치센서를 상하 또는 좌우로 분할하여 2개로 형성될 수도 있고, 3×3 행렬 형태로 분할하여 9개가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갯수로 분할 형성될 수 있는데, 도 9에는 상하좌우 4개의 터치영역으로 분할된 것이 일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렇게 후면암호입력부(20)가 구현되는 경우, 사용제한을 위한 설정암호는 상기 다수의 터치영역이 선택적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터치되어 생성되는 순서패턴일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는 이렇게 순서패턴으로 생성된 암호의 일 예가 예시되어 있는 바, 예시된 것처럼 사용자는 후면암호입력부(20)의 4개 터치영역 중 좌측상부, 좌측상부, 좌축하부, 우측상부를 순서대로 터치하여 순서패턴의 암호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해제시에도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순서패턴과 동일하게 해당 터치영역을 터치하여 암호를 입력하는 경우에 사용제한의 해제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후면암호입력부(20)는 터치센서 또는 푸쉬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제한을 위한 설정암호는 상기 터치센서 또는 푸쉬버튼이 눌려지는 눌림회수 및 눌림간극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패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패턴은 사용자가 상기 터치센서를 터치하거나 또는 푸쉬버튼을 연속으로 눌러주는 횟수와 일정한 시간간극을 두고 눌러주는 횟수를 구분하여, 마치 모르스부호(morse code)와 유사하게 생성되는 암호이다.
즉, 도 10에는 후면암호입력부(20)를 연속으로 3번 누룬후 시간간극을 두고 다시 2번 누룬 후, 마지막으로 1번 누름으로써 생성되는 신호패턴이 일 예시되어 있는 바, 상기와 같은 신호패턴의 암호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해제시에도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신호패턴과 동일하게 후면암호입력부(20)를 눌러 암호를 입력하는 경우에 사용제한의 해제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면암호입력부(20)는 사용자의 손가락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일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제한의 설정암호는 상기 동작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 손가락의 동작패턴일 수 있다.
즉, 동작감지센서 앞쪽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특정 동작으로 움직이면 동작감지센서에 의해 이러한 손가락의 동작패턴이 감지되어 설정암호로 입력될 수 있는 것이며, 설정해제시에도 사용자가 설정된 동작패턴과 동일하게 손가락을 동작시키는 경우에 사용제한의 해제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동작감지센서는 본체 후면에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인 경우, 상기 카메라와 일체를 이루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감지센서로는 투과형 광전센서, 직접반사형 광전센서, 미러반사형 광전센서, 고주파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 당해기술분야에서 주지된 다양한 타입의 센서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후면암호입력부(20)는 다양한 수단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패턴의 설정암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데, 상기한 어떠한 수단으로 구현되더라도 휴대단말기의 본체(1) 후면에 구비되므로, 도 5와 도 6에 예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정상적으로 잡은 상태(즉,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0)가 위쪽방향을 향하도록 잡은 상태)에서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암호를 입력할 때, 예컨대 터치행위나 드래그행위 등과 같은 사용자의 암호입력행위와 후면암호입력부(20)가 모두 휴대단말기의 본체(1)에 의해 가려지면서 자연스럽게 은폐가 되므로 입력하는 암호정보가 주변에 있는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이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입력부(30)는 사용자가 조작을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고, 휴대단말기의 본체(1) 전면이나 측면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입력부(30)는 시작, 종료, 스크롤, 음향의 크기조절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제어부(50)로 전달하며, 특히 사용제한의 설정명령과 해제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5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0)는 플래시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카드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타입의 메모리(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어느 한 타입의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40)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하거나 동작중에 발생하는 각종정보를 저장하는 부분으로서, 즉 후술할 제어부(50)에서 수행되는 각종 신호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으며, 특히,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제한의 설정암호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5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사용제한의 설정 및 해제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사용자입력부(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제한의 설정명령이 입력되면 후면암호입력부(20)를 입력대기 상태로 제어하고,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사용제한의 설정암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설정암호를 상기 저장부(40)에 저장시킴과 함께 사용제한기능을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사용제한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제한의 해제명령이 입력되면 후면암호입력부(20)를 입력대기 상태로 제어하고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는 해제암호에 따라 사용제한의 해제여부를 결정한다.
즉, 제어부(50)는 상기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사용제한의 해제를 위한 암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부(40)에 저장된 상기 설정암호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제한기능을 해제시켜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제한기능을 유지시켜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후면암호입력부(20)가 다양한 수단으로 구현되고 그에 따라 사용제한을 위한 암호 또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는데, 그 중 특히, 후면암호입력부(20)가 터치센서로 구현되면서 설정암호가 문자, 숫자, 기호, 도형, 그래픽 등의 특정 형태인 경우에는, 암호 입력시 휴대단말기의 방향상태에 따라 사용제한 해제의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추가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타인과 함께 있는 공간에서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을 해제할 때는 암호입력행위가 노출되지 않게 후면암호입력부(20)가 하측을 향하도록 휴대단말기를 잡고 후면암호입력부(20)에 입력을 해야하지만, 사용제한의 해제를 혼자있는 공간에서 하는 경우에는 타인에게 노출될 염려가 전혀 없으므로 후면암호입력부(20)가 상측을 향하도록 휴대단말기를 뒤집은 상태에서 후면암호입력부(20)에 암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후면암호입력부가 하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암호가 입력되는 것을 정상입력상태라고 정의하고, 휴대단말기가 뒤집혀서 후면암호입력부(20)가 상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입력되는 것을 역입력상태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역입력상태에서 해제를 위해 후면암호입력부(20)에 암호를 입력할 때, 특히 설정암호가 특정 형태인 경우에는, 이렇게 역입력상태에서 설정암호와 동일한 형태의 암호를 사용자가 입력하더라도 암호의 형태가 마치 거울에 비친 형태로 반전되어 입력되기 때문에 제어부(50)에서는 서로 형태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제한을 해제시키지 않는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즉, 도 7의 (a)에 예시된 것처럼 정상입력상태에서 문자형태 “G”를 입력하여 설정암호가 저장되었을 때, 저장된 설정함호는 이를 후면쪽으로 바라보면 도 7의 (b)와 같이 반전형태가 되므로, 사용자가 역입력상태에서 후면암호입력부(20)에 동일하게 “G”를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50)는 저장된 설정암호와 입력된 해제암호의 형태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제한 해제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휴대단말기는 방향센싱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50)는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이, 입력상태판별부(51)와, 암호변환부(5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향센싱부(60)는 상기 후면암호입력부(20)가 향하는 방향, 즉 후면암호입력부(20)가 하측을 향하는지 상측을 향하는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입력상태판별부(51)는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해제암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방향센싱부(60)의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후면암호입력부(20)가 하측을 향하는 정상입력상태인지 상측을 향하는 역입력상태인지를 판별한다.
상기 암호변환부(52)는 상기 입력상태판별부(51)에서 역입력상태로 판별한 경우에 입력된 해제암호의 형태를 거울에 비친 형태로 반전시킨다.
이렇게 암호변환부(52)를 통해 입력된 해제암호의 형태가 반전되면 저장된 설정암호와 동일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동일한 형태의 암호를 입력하기만 하면, 제어부(50)는 역입력상태에서 해제암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정상적으로 사용제한기능을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였는 바, 도11 내지 도 13에 예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의 휴대단말기에 대한 사용제한의 설정해제방법을 이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은 크게 사용제한을 설정하는 설정단계(S100)와, 설정된 사용제한을 해제하는 해제단계(S200)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도 11에 예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사용제한의 설정단계(S100)를 살펴본다.
제어부(5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제한의 설정명령이 입력되면(S110), 설정암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후면암호입력부(20)를 입력대기 상태로 제어한다.(S120)
이 때, 제어부(50)는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암호를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할 지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메뉴를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하여, 이후 설정암호의 입력과정에서 입력되는 설정암호를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할 지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S130)를 더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후면암호입력부(20)는 사용자로부터 설정암호를 입력받는다.(S140)
이 때, 입력되는 설정암호는 후면암호입력부(20)의 구현수단에 따라 특정 형태, 방향패턴, 순서패턴, 신호패턴, 동작패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데, 이러한 후면암호입력부(20)의 구현수단과 설정암호의 종류는 전술한 휴대단말기의 구성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는 바, 이를 참조하기로 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렇게 설정암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예컨대 ‘한번 더 입력하세요’와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할 수 있으며, 후면암호입력부(20)는 사용자로부터 설정암호를 재입력받을 수 있다.(S150)
이 때, 상기에서 설정암호를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하는 것으로 선택된 경우, 예컨대 사용자가 후면암호입력부(20)를 통해 문자형태인 “G”입력한 경우,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입력된 설정암호가 제대로 인식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0)에‘G가 맞습니까?’와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이렇게 입력된 설정암호의 확인을 위해 설정암호를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하는 과정은 주변에 타인이 있는 공간에서는 암호의 유출유려가 있으므로 혼자있는 공간에서 사용제한을 설정할 경우에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동일한 설정암호가 한번더 입력되면, 제어부(50)는 입력된 설정암호와 재차 입력된 설정암호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160)
상기 판단결과, 첫번 째 입력된 설정암호와 재 입력된 설정암호가 동일하지 않으면, 암호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오류메시지를 표시하여 상기 S140 또는 S150단계로 회귀하고, 양 설정함호가 동일한 경우에는 해당 설정암호를 저장부(40)에 저장시킨다.(S170)
상기한 과정을 통해 사용제한의 설정단계(S100)가 완료된다.
상기한 설정단계(S100)를 통해 사용제한이 설정되면, 휴대단말기는 외부조작 또는 외부입력이 없는 상태의 시간경과 등에 따라 사용제한기능이 실행되고, 사용자가 사용제한기능이 실행되는 휴대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제한기능이 해제되어야 하는 바, 다음으로, 도 12에 예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사용제한의 해제단계(S200)를 살펴본다.
사용제한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제한의 해제명령이 입력되면(S210), 제어부(50)는 해제암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후면암호입력부(20)를 입력대기 상태로 제어한다.(S220)
그리고 후면암호입력부(20)는 사용자로부터 해제암호를 입력받는다.(S230)
이렇게 해제암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부(40)에 저장된 설정암호를 비교하여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된 설정암호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한다.(S240)
제어부(50)는 상기 판별결과,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된 설정암호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제한기능의 실행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며, 디스플레이부(10)에 암호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오류메시지를 표시하면서 사용자에게 해제암호의 재입력을 요청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상기 판별결과, 입력된 해제암호와 저장된 설정암호가 동일한 경우에는 실행되는 사용제한기능을 즉시 해제시킨다.(S250)
상기한 과정을 통해 해제단계(S200)가 완료된다.
한편, 제어부(50)가 사용제한의 해제여부를 판별하는 상기 S240단계에서, 특히 후면암호입력부(20)가 터치센서로 구현되고 설정암호가 특정 형태인 경우에는, 입력된 해제암호와 설정암호를 비교하여 해제여부를 판별하기 전에 도 13에 예시된 것과 같은 단계들을 진행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50)는 방향센싱부(60)로부터 후면암호입력부(20)가 향하는 방향에 대한 감지신호를 수신한다.(S241)
이후, 제어부(50)는 방향센싱부(60)의 감지신호에 따라 입력된 해제암호가 후면암호입력부(20)가 하측을 향하는 정상입력상태에서 입력된 것인지, 상측을 향하는 역입력상태인에서 입력된 것인지를 판별한다.(S242)
그리고 제어부(50)는 정상입력상태에서 입력된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입력된 해제암호를 그대로 저장된 설정암호와 비교하여 사용제한의 해제여부를 판별한다.(S240)
반면, 제어부(50)는 역입력상태에서 입력된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먼저 입력된 해제암호의 형태를 거울에 비친 형태로 반전시킨다.(S243)
그리고 반전된 형태의 해제암호를 저장된 설정암호와 비교하여 사용제한의 해제여부를 판별한다.(S240)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제한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암호입력이 휴대단말기의 본체 후면에 구비된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입력수단인 후면암호입력부 자체가 본체에 가려져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고 더 나아가 손가락의 터치행위 등과 같은 사용자의 암호입력행위까지도 본체에 의해 은폐되어 노출되는 것이 방지됨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본체 전면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암호를 입력함으로써 입력화면과 암호입력행위가 그대로 타인에게 노출될 수 밖에 없는 종래 통상적인 휴대단말기 및 사용제한의 설정해제방법에 비하여 암호의 보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디스플레이부 20: 후면암호입력부
30: 사용자입력부 40: 저장부
50: 제어부 51: 입력상태판별부
52: 암호변환부 60: 방향센싱부

Claims (15)

  1. 본체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반대쪽인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사용제한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암호가 입력되는 후면암호입력부;
    상기 입력된 사용제한의 설정암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제한의 해제암호와 상기 저장된 설정암호를 비교하여 사용제한의 해제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는 터치센서이며,
    상기 설정암호는 문자, 숫자, 기호, 도형, 그래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암호입력부가 향하는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센싱부의 감지에 따라 후면암호입력부가 하측을 향하는 정상입력상태인지 상측을 향하는 역입력상태인지를 판별하는 입력상태판별부와, 상기 역입력상태로 판별된 경우,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해제암호의 형태를 거울에 비친 형태로 반전시키는 암호변환부를 포함하여,
    상기 반전된 해제암호를 저장된 설정암호와 비교하여 사용제한의 해제여부를 판별하는 휴대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는 방향입력수단이며,
    상기 설정암호는 상기 방향입력수단이 다양한 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드래그되어 생성되는 방향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는 다수의 터치영역으로 분할된 터치센서이며,
    상기 설정암호는 상기 다수의 터치영역이 선택적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터치되어 생성되는 순서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는 터치센서 또는 푸쉬버튼이며,
    상기 설정암호는 상기 터치센서 또는 푸쉬버튼이 눌려지는 눌림회수 및 눌림간극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는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이며,
    상기 설정암호는 상기 동작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 손가락의 동작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8. 본체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됨과 함께 본체 후면에 후면암호입력부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을 설정하는 설정단계;와, 상기 사용제한이 설정된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을 해제하는 해제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사용제한의 설정암호가 입력되는 설정암호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된 설정암호를 저장하는 설정암호저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단계는,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를 통해 사용제한의 해제암호가 입력되는 해제암호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된 해제암호와 상기 설정단계에서 저장된 설정암호를 비교하여 사용제한의 해제여부를 판별하는 해제판별단계;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설정암호입력단계 이전에, 상기 입력되는 설정암호에 대한 디스플레이부의 표시여부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는 터치센서이며,
    상기 설정암호는 문자, 숫자, 기호, 도형, 그래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판별단계는,
    상기 후면암호입력부가 향하는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에 따라 후면암호입력부가 하측을 향하는 정상입력상태인지 상측을 향하는 역입력상태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역입력상태로 판별된 경우, 입력된 해제암호의 형태를 거울에 비친 형태로 반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는 방향입력수단이며,
    상기 설정암호는 상기 방향입력수단이 다양한 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드래그되어 생성되는 방향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는 다수의 터치영역으로 분할된 터치센서이며,
    상기 설정암호는 상기 다수의 터치영역이 선택적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터치되어 생성되는 순서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는 터치센서 또는 푸쉬버튼이며,
    상기 설정암호는 상기 터치센서 또는 푸쉬버튼이 눌려지는 눌림회수 및 눌림간극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패턴인 것일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암호입력부는 사용자의 손가락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이며,
    상기 설정암호는 상기 동작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 손가락의 동작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KR1020140095815A 2014-07-28 2014-07-28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KR101530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815A KR101530488B1 (ko) 2014-07-28 2014-07-28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KR1020140122271A KR101589429B1 (ko) 2014-07-28 2014-09-15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US15/326,352 US9805178B2 (en) 2014-07-28 2015-07-23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of setting and releasing use restriction therefor
PCT/KR2015/007677 WO2016017996A1 (ko) 2014-07-28 2015-07-23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US15/326,364 US10282528B2 (en) 2014-07-28 2017-01-13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of setting and releasing use restriction therefor
US15/797,443 US20180046786A1 (en) 2014-07-28 2017-10-30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of setting and releasing use restriction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815A KR101530488B1 (ko) 2014-07-28 2014-07-28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488B1 true KR101530488B1 (ko) 2015-06-22

Family

ID=53519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815A KR101530488B1 (ko) 2014-07-28 2014-07-28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4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2154A (ko) * 2009-02-12 2010-08-20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10100986A (ko) * 2010-03-05 2011-09-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잠금 해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기
KR20140066676A (ko) * 2014-04-18 2014-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2154A (ko) * 2009-02-12 2010-08-20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10100986A (ko) * 2010-03-05 2011-09-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잠금 해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기
KR20140066676A (ko) * 2014-04-18 2014-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37274A1 (en) Implement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EP3232299B1 (en) Physical key component, terminal, and touch response method and device
US8539382B2 (en) Preventing unintentional activation and/or input in an electronic device
EP2876529B1 (en) Unlocking mobile device with various patterns on black screen
US10545660B2 (en) Multi touch combination for viewing sensitive information
KR10165903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425443B1 (ko) 파우치 및 이에 수납되는 휴대 전자기기
US928027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649652B2 (en) Method of displaying interface of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US20140078086A1 (en) Augmented touch control for hand-held devices
KR10140423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0282528B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of setting and releasing use restriction therefor
KR2015006554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2017536633A (ja) 文字記号の保護された入力を行うため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および方法
JP2018148286A (ja) 電子機器及び制御方法
KR20140119608A (ko) 개인 페이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101576557B1 (ko)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및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와 그 지문해킹 방지방법
US9280656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ity channel interface
EP3480685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pad and fingerprint sensor and method of detecting touch
KR2016004342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 잠금 해제 방법
KR101530488B1 (ko)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해제방법
KR20130037396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574243B1 (ko) 심볼을 이용한 보안 상태 해제 방법
JP6616379B2 (ja) 電子機器
WO2014148095A1 (ja) 端末装置及び操作ロック解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