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543A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5543A
KR20150065543A KR1020130150977A KR20130150977A KR20150065543A KR 20150065543 A KR20150065543 A KR 20150065543A KR 1020130150977 A KR1020130150977 A KR 1020130150977A KR 20130150977 A KR20130150977 A KR 20130150977A KR 20150065543 A KR20150065543 A KR 20150065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operation pattern
screen
release
ta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1161B1 (ko
Inventor
박종석
이기재
조항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0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161B1/ko
Priority to US14/181,326 priority patent/US9111076B2/en
Priority to PCT/KR2014/002625 priority patent/WO2015076463A1/en
Priority to DE202014103257.6U priority patent/DE202014103257U1/de
Priority to EP14170462.7A priority patent/EP2876529B1/en
Priority to DE202014103258.4U priority patent/DE202014103258U1/de
Priority to CN201410432769.0A priority patent/CN104660799B/zh
Priority to EP14004096.5A priority patent/EP2881878B1/en
Priority to US14/560,119 priority patent/US9460575B2/en
Priority to CN201410738540.XA priority patent/CN104691449B/zh
Publication of KR20150065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543A/ko
Priority to US14/795,658 priority patent/US973375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by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8Recognition of hand or arm movements, e.g. recognition of deaf sign langu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5Mobile 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0Wireless
    • H04L2209/805Lightweight hardware, e.g.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sen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4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두드리는 탭(tap)을 감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두드리는 복수 번의 탭들(taps)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복수의 해제명령들 중 어느 하나의 수신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의한 제어명령의 수신이 제한되는 잠금상태를 해제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활성화된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된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은, 상기 감지된 탭들의 탭 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용자의 동작 패턴에 의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두드리는 탭(tap)을 감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을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단말기에 대한 간단한 조작을 통해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비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에 물체를 두드리는 탭(tap)을 인가하여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동작 패턴으로 잠금상태를 해제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두드리는 탭(tap)을 감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두드리는 복수 번의 탭들(taps)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복수의 해제명령들 중 어느 하나의 수신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의한 제어명령의 수신이 제한되는 잠금상태를 해제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활성화된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된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은, 상기 감지된 탭들의 탭 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용자의 동작 패턴에 의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은 서로 다른 크기로 상기 동작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탭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은 제1 해제명령 및 제2 해제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해제명령은 제1 크기에 대응되는 상기 동작 패턴을 이루는 복수의 탭들에 대응하고, 상기 제2 해제명령은 상기 제1 크기와 다른 제2 크기를 갖는 상기 동작 패턴을 이루는 복수의 탭들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 패턴을 형성하는 상기 복수 번의 탭들 중에서 n번째 및 n-1번째 탭들의 탭 지점간 거리는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해제명령은 홈스크린 페이지에 진입하기 위한 해제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 중에서 어느 해제명령이 수신되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은 제1 해제명령 및 제2 해제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해제명령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영역 중에서 기준크기보다 큰 영역에 형성되는 동작 패턴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2 해제명령은 상기 기준크기보다 작은 영역에 형성되는 동작 패턴으로 정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해제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제1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 해제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화면과 다른 제2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제1 화면을 기준비율만큼 축소한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이 표시되는 위치는 동작 패턴이 인가된 영역의 중심위치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해제명령들 중 어느 하나의 수신에 응답하여 마지막 탭이 감지된 위치 주변에 서로 다른 기능에 각각 대응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상기 마지막 탭에 대응하는 터치로부터 시작된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기능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탭들이 상기 동작 패턴을 형성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비활성화 상태 및 상기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패턴을 형성하지 않는 탭이 기 설정된 횟수 이상 감지되면, 상기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암호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암호정보의 입력과 관련된 잠금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패턴을 형성하지 않는 탭이 인가되었음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상기 잠금화면 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탭들이 상기 동작 패턴을 형성하지 않으면,상기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시각적, 촉각적 및 청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가해진 탭이 상기 동작패턴을 형성하지 않음을 알리는 알림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알림정보를 시각적 방식으로 출력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탭들이 상기 동작 패턴을 형성하지 않으면,상 상기 발광부를 기준시간 동안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두드리는 복수 번의 탭들(taps)을 감지하는 단계 및 복수의 해제명령들 중 어느 하나의 수신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의한 제어명령의 수신이 제한되는 잠금상태를 해제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활성화된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된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은, 상기 감지된 탭들의 탭 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용자의 동작 패턴에 의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은 제1 해제명령 및 제2 해제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해제명령은 제1 크기에 대응되는 상기 동작 패턴을 이루는 복수의 탭들에 대응하고, 상기 제2 해제명령은 상기 제1 크기와 다른 제2 크기를 갖는 상기 동작 패턴을 이루는 복수의 탭들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은 제1 해제명령 및 제2 해제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해제명령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영역 중에서 기준크기보다 큰 영역에 형성되는 동작 패턴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2 해제명령은 상기 기준크기보다 작은 영역에 형성되는 동작 패턴으로 정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된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해제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제1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 해제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화면과 다른 제2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본체에 가해지는 복수의 탭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동작 패턴에 근거하여 잠금해제 기능을 실행한다. 이때, 감지된 탭들의 탭 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동작 패턴이 기 설정된 동작 패턴과 매칭되는 경우에만 잠금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물체를 두드리는 간단한 방법으로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로써 새로운 방식의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하나의 동작 패턴으로 정의되는 복수의 해제명령들 중 어느 하나가 수신되면 잠금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다양한 위치 및 다양한 크기의 동작 패턴을 이용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기준크기보다 작은 영역에 동작 패턴이 감지되면, 기 설정된 전체화면뿐만 아니라 상기 전체화면을 일정 비율로 축소한 보조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보조화면에 터치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전체화면과 관련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스크린 사이즈와 관계없이 이동 단말기를 쥔 손으로 사용자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입력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는 주기적으로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된다. 이때, 비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에 제1 탭이 감지되면, 이후에 가해질 제2 탭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 센서를 완전히 활성화하기 때문에, 탭의 패턴을 정확히 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지부에 의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구현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들.
도 4는 도 3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에서 다양한 크기의 동작 패턴으로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감지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서 설명한 구성요소가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 도 9a, 도 9b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단말기의 자세와 관련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해제명령에 따라 서로 다른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마지막 탭이 해제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와 접촉을 유지하는 경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해제명령으로 정의되지 않은 동작 패턴이 인가된 경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3a, 도 13b, 도 13c, 도 13d 및 도 1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동작 패턴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가이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잠금해제를 위한 동작 패턴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동작 패턴에 따라 잠금상태를 해제하거나, 일부 애플리케이션만 이용할 수 있는 게스트 모드를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 궤적으로 형성되는 동작 패턴에 근거하여 잠금해제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피씨(Slate PC), Tablet PC, Ultra Boo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화상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하는 상태를 지칭하고, 음성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지 않으면서 통화를 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112)은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상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 151)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상태에서 표시되는 잠금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도 1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시에 의하면, 단말기 본체(100)(이하, '바디'라 한다)는 전면, 측면 및 후면을 구비한다. 또한 바디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양단을 구비한다.
바디(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케이스는 전면(이하, '프론트 케이스'라 한다, 101)과 후면(이하, '리어 케이스'라 한다, 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100)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발광부(156)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0)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마이크(122)는 바디(100)의 타단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 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발광부(156)는 바디(100) 전면의 상단 영역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구비한다. 발광부(156)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조명을 점등한다. 이때, 다양한 방식이란, 조명의 색상, 점멸의 주기, 밝기 등이 서로 다른 것을 의미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 리어케이스(102)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 바디의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가(121')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 프론트 케이스에 장착된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1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2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252')는 음향 출력부(2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은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됨과 동시에 사용자에 의한 제어명령의 수신이 제한되는 잠금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잠금모드가 실행되면(또는, 잠금상태가 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의 활성화시 암호를 입력하도록 형성되는 잠금화면을 표시한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본체를 두드리는 탭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복수 번의 탭들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탭들의 탭 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분석한다. 분석된 동작 패턴이 잠금해제를 위한 복수의 해제명령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면,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수신에 응답하여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의 수신을 단말기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하며, 기 설정된 화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물체를 두드리는 간단한 제스처로, 이동 단말기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를 켜고, 가상 키패드를 이용하여 암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감지된 탭들의 탭 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용자의 동작 패턴에 근거하여 단말기를 제어하는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구현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에서 다양한 크기의 동작 패턴으로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동작 패턴에 의하여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는 감지부(140), 디스플레이부(151) 및 제어부(18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잠금상태는 사용자에 의한 제어명령의 수신이 제한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특정인에 의하여 설정된 암호가 입력되어야만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잠금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되는 경우, 암호를 입력하도록 형성되는 잠금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잠금화면이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잠금화면 상에 출력된 잠금해제를 위한 화면정보 위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를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영역 중 제1지점에서 상기 제1지점과 다른 제2지점으로 향하는 경로를 그리는 터치일 수 있다. 즉,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는 상기 터치의 이동경로에 의하여 패턴을 그리는 터치일 수 있다. 상기 잠금해제를 위한 터치가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상태를 해제상태로 전환하고, 디스플레이부(151)에 홈스크린 페이지를 출력시킬 수 있다. 즉, 잠금상태가 해제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일부의 실행이 가능한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단말기를 두드리는 복수 번의 탭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해제명령에 근거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제명령은 상기 탭들의 탭 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동작 패턴에 의하여 정의된다.
결론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복수 번의 탭들에 의하여 곧바로 잠금해제되며, 기 설정된 화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잠금화면이 표시된 디스플레이부에 암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단말기를 잠금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구현되는 동작을 이하에서 첨부된 도 3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잠금상태가 해제상태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잠금해제를 위한 암호가 입력되어야 한다. 이러한 암호는 단말기 출고시에 기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 또는 편집될 수 있다. 한편, 도 3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에는 상기 암호를 입력받기 위한 암호 입력 창(또는, 핀 코드 입력창)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어, 제어부(180)는 암호 설정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및/또는 해제상태를 잠금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에 상기 암호 입력 창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암호 입력창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키패드가 포함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상 키패드는 숫자 키패드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가상 키패드에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잠금해제를 위한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3142"가 잠금해제를 위한 암호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설정된 암호에 근거하여 잠금상태를 해제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동작 패턴을 설정(또는, 등록)한다. 상기 동작 패턴은 단말기를 복수 번 두드리는 탭들에 의하여 형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탭들의 탭 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네 번의 탭에 의한 탭 지점들이 순차적으로 알파벳 대문자 "N"의 꼭지점을 형성하는 동작 패턴이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동작 패턴을 설정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영역을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하고, 구분된 영역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암호가 "3142"인 경우, 제어부(180)는 입력된 숫자 중에 가장 높은 숫자("4")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151)를 분할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4분면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4분면은 좌측 상단에서 차례대로 식별번호가 붙여질 수 있다(예를 들어, 제1분면부터 제4분면까지). 그리고, 제어부(180)는 제1 탭 내지 제4 탭이 차례대로 제3분면, 제1분면, 제4분면 및 제2분면에 인가되는 것을 동작 패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방법으로 설정된 동작 패턴을 기 설정된 동작 패턴이라고 호칭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암호가 네 자리로 설정되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영역이 4분면으로 구분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어부(180)는 설정되는 암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상/하 2분면, 상/중/하 3분면으로 구분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하며, 그에 따라 다양한 동작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암호 및 동작 패턴이 설정되면, 제어부(180)는 잠금상태를 실행하고, 디스플레이부(151)를 비활성화하거나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란 디스플레이부(151)를 조명하는 내부에 구비된 조명이 오프(off) 상태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b)에 도시된 것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어떠한 정보 또는 그래픽 이미지(graphic image)가 표시되지 않는다.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란 디스플레이부(151)를 조명하는 내부에 구비된 조명이 온(on) 상태임을 의미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서로 다른 화면정보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잠금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되면, 제어부(180)는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암호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암호정보의 입력과 관련된 잠금화면을 표시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를 두드리는 복수 번의 탭들이 감지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감지된 탭들의 탭 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동작 패턴을 분석한다. 분석된 동작 패턴이 잠금해제를 위하여 기 설정된 동작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잠금해제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잠금해제 기능은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활성화된 상태로 전환하며, 상기 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151)에 기 설정된 화면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탭 내지 제4 탭(①,②,③,④)이 차례대로 제3분면 → 제1분면 → 제4분면 → 제2분면에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감지된 탭들이 해제명령으로 정의된 기 설정된 동작 패턴(예를 들어, 'N')을 형성하므로 상기 해제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도 3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잠금해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즉,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하고, 홈스크린 페이지(homescreen page)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에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포함되며, 상기 객체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아이콘(icon) 또는 위젯(widget)일 수 있다. 한편, 해제상태로 전환될 때, 가장 처음에 출력되는 화면은, 반드시 홈 스크린 페이지가 아니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잠금상태가 실행되기 전, 가장 최근에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었던 화면정보가 기 설정된 화면정보로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동방식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두드리는 사용자의 동작 패턴에 근거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간편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된다.
또한, 종래에는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버튼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하고, 잠금화면에 포함된 가상 키패드를 이용하여 암호를 입력해야하는 단점이 있었으나, 상기의 예시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새로운 형태로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어부(180)는 복수의 탭들이 형성하는 동작 패턴으로 정의되는 복수의 해제명령들 중 어느 하나의 수신에 응답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때, 해제명령이란 디스플레이부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명령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은 서로 다른 크기로 동작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탭들을 포함한다. 즉, 복수의 해제명령들은 동일한 동작 패턴을 형성하지만, 탭 지점들을 연결함으로 생성되는 패턴의 크기가 서로 다른 탭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은 제1 해제명령 및 제2 해제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해제명령은 제1 크기에 대응되는 상기 동작 패턴을 이루는 복수의 탭들에 대응하고, 상기 제2 해제명령은 상기 제1 크기와 다른 제2 크기를 갖는 상기 동작 패턴을 이루는 복수의 탭들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 및 (b)를 참조하면, "3142"라는 암호에 의하여 기 설정된 동작 패턴이 복수의 탭들에 의하여 형성되며, 이에 따라 복수의 해제명령들이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해제명령들은 동일한 수(예를 들어, 4개)의 탭들에 의하여 형성되고, 탭 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따라 형성되는 가상의 패턴(예를 들어, ①→②→③→④)이 동일하지만, 동작 패턴의 크기 및 인가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복수의 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상의 패턴이 동일하다는 것은 동작 패턴의 형태나 모양이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한편, 동작 패턴을 형성하는 상기 복수 번의 탭들 중에서 n번째 및 n-1번째 탭들의 탭 지점간 거리는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도시된 제1 해제명령과 도 4의 (b)에 도시된 제2 해제명령에 있어서, 1번째 탭과 2번째 탭(① 및 ②)의 탭 지점간 거리는 상이하다. 하지만, 제1 및 제2 해제명령들은 모두 잠금해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해제명령에 해당한다. 그리고,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해제명령은 홈스크린 페이지에 진입하기 위한 해제명령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탭의 특성을 원도형으로 단순화하여 표현한다. 원도형 안의 숫자는 탭이 가해진 순서를 나타내며, 원도형이 도시된 위치는 탭이 가해진 위치에 대응한다. 하나의 원도형 안에 서로 다른 숫자가 포함되면, 동일한 위치에 서로 다른 숫자에 대응하는 탭들이 순차적으로 인가된 것을 의미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복수의 영역들과 관련된 정보가 출력될 수 없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영역을 구획하는 가상의 선과, 복수의 영역들 각각을 호칭하기 위한 숫자가 도면에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동방식에 의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잠금해제를 위한 동작 패턴을 상이한 위치 및/또는 상이한 크기로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를 오른손으로 쥔 상태에서 오른손의 엄지로 해제명령을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탭은 엄지 손가락이 닿는 범위에 한하여(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의 우측 하단 영역) 인가될 수 있는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동작 패턴과 동일한 수의 탭들에 의하여 동일한 모양의 동작 패턴이 형성되기만 하면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이고, 비교적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두드리는 복수 번의 탭들을 감지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310).
여기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란 디스플레이부(151)를 조명하는 내부에 구비된 조명이 오프(off) 상태임을 의미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어떠한 정보 또는 그래픽 이미지(graphic image)가 표시되지 않는다.
한편, 감지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여부와 관계없이 본체에 가해지는 탭을 감지한다.
여기에서, 탭(tap) 또는 탭 제스처(tap gesture)는 이동 단말기의 본체(100) 또는 물체를 두드리는 제스처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탭은, 손가락 등의 탭 대상체로 이동 단말기 본체(100) 또는 물체를 가볍게 치는 동작 또는 탭 대상체를 이동 단말기 본체(100) 또는 물체에 가볍게 접촉시키는 동작으로 이해되어 질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탭을 인가하는 탭 대상체는, 이동 단말기 본체(100) 또는 물체에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사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손가락(지문이 있는 부분),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펜(pen), 포인터, 주먹(손가락 관절)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탭 대상체는, 반드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터치입력을 가할 수 있는 사물에 제한되지 않고, 이동 단말기 본체(100) 또는 물체에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사물이기만 하면 그 종류가 무관하다.
한편, 탭이 가해지는 물체는, 단말기 본체 및 상기 본체를 벗어나는 지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의 입력영역은 단말기 본체의 외부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본체를 벗어난 지점에서 상기 탭을 감지할 수 있는 지점은 가상의 입력영역이 된다.
또한, 상기 가상의 입력영역은 단말기가 놓이는 장소나 대상, 또는 탭의 강도에 따라 넓이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가 테이블 등에 놓인 경우, 사용자가 테이블을 두드리면,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이 발생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탭이 감지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두드림의 강도가 커지면, 상기 가상의 입력영역은 보다 커지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단말기 본체를 사용자가 들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가상의 입력영역은 사라질 수 있다.
한편, 탭을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적어도 두 번 이상의 탭이 제한시간 이내에 가해지는 경우에 한하여,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목적으로 하는 "톡톡(또는, knock-on)"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를 가하는 것이 가능한 터치 대상체에 의하여, 한 번의 탭이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한 번의 탭을 터치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잠금상태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제어명령의 수신이 제한되므로, 사용자 입력이 탭이 아닌 터치입력으로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140, 또는 센싱부)는 제한시간 이내에 연속적으로 가해지는 적어도 두 번 이상(또는 복수 번)의 탭들이 가해진 경우에 한하여, 제어부(180)는 해제명령을 정의하는 동작 패턴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적어도 두 번 이상의 탭들이 제한시간 이내에 연속적으로 센싱되는 것을 "톡톡(또는, knock-on)"이라 호칭한다. 예를 들어, 제1 탭이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제한시간 이내에 제2 탭이 감지되면, "톡톡"이 감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톡톡"이 감지되었다고 함은, 단말기 본체 또는 상기 본체를 벗어나는 지점에 물체가 두드려지는 것이 실질적으로 복수 번 감지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140)가 터치 센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감지부(14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톡톡"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경우, 사용자 입력에 즉시 반응할 수 있어야 하므로, 터치 센서는 활성화 상태(실질적으로 활성화된 것으로 볼 수 있을 정도의 빠른 주기로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가 전환되는 경우를 포함)를 유지하는 액티브 모드(active mode)를 실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경우, 배터리를 절약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 센서는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가 기 설정된 주기로 전환되는 도즈 모드(doze mode)를 실행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경우, 터치 센서는 상기 도즈 모드를 실행하고, 기 설정된 주기마다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는 주기가 짧을수록,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톡톡"을 감지하는 속도가 빨라지지만, 그에 따라 터치 센서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이 커진다. 이와 달리,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는 주기가 길수록, 감지부(140)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은 작아지지만,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는 속도는 느려진다.
따라서, 기 설정된 주기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함에 있어 감지 속도가 사용자에게 인식되지 않을 정도로 빠르면서도, 전력 소모의 효율이 증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주기는 터치 센서가 1초에 30번(30Hz) 정도 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최소 전류 수준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도즈 모드를 실행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제1 탭이 가해지면, 상기 액티브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즉, 터치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탭이 인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후에 인가될 탭을 더욱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액티브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엑티브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터치 센서는 1초에 120번(120Hz) 정도 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제1 탭이 가해진 시점으로부터 기준시간 이내에 제2 탭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터치 센서는 액티브 모드를 도즈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탭이 발생한 것이므로, 단말기에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감지부(140)는 터치 센서뿐만 아니라, 본체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탭을 감지하는 가속도센서, 본체 주변에 발생하는 소리를 이용하여 탭을 감지하는 소리센서, 상기 본체 주변에 위치하는 물체의 유무에 근거하여 탭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및 상기 본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이용하여 탭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와 마찬가지로, 감지부(140)에 포함된 나머지 센서들도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비활성화되거나 기 설정된 주기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이는, 센서들에 의한 전력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즉,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제1 탭이 감지되는 경우, 이후에 인가될 제2 탭을 더욱 정확히 감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부(140)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들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들은 터치 센서, 마이크 센서, 근접 센서, RGB 센서,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하며, 탭의 특성(예를 들어, 탭의 세기/탭의 위치/제1 탭과 제2 탭 간의 시간 간격/탭의 대상체/탭의 강도/탭의 면적 등)을 구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 발생하는 터치를 이용하여 탭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는 탭이 인가되는 위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탭이 터치 되는 면적을 이용하여 탭의 대상체(예를 들어, 손가락, 손톱, 손바닥 등)를 구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마이크 센서는 본체 주변에 발생하는 소리를 이용하여 탭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소리는 고유의 주파수 특성이 있기 때문에, 수신되는 음성정보의 주파수 특성을 이용하여 탭의 대상체(예를 들어, 손가락, 손톱, 손바닥, 펜 등), 탭의 패턴을 구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터치 센서에 의하여 "톡톡"이 감지된 경우라도, 제어부(180)는 근접센서에 의하여 본체의 전면에 인접한 물체를 탐지한 경우, "톡톡"을 리젝(reject)할 수 있다. 이는, 가방 속에 들어간 이동 단말기(100)가 가방의 흔들림에 의하여 오작동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예로, RGB 센서는 탭의 대상체에 대한 색상을 센싱하고, 센싱된 색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RGB 센서에 의하여 손가락과 터치펜을 구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압력 센서는 본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이용하여 탭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탭에 의하여 발생한 압력의 강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특정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결정체의 표면에서 전기가 발생하는 성질을 이용하는 피에조(piezo) 센서(또는, 충격 센서)가 탭을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가 수백 헤르쯔(Hz)에 해당하는 움직임을 감지한다면, 피에조 센서는 수천 헤르쯔(kHz)에 해당하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기의 움직임(또는 충격)을 더욱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피에조 센서를 이용하여 상술한 탭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에조 센서는 물체에 충격을 발생시키는 탭의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물리적인 패턴이 상이하기 때문에, 실험적으로 획득한 물리적 패턴을 이용하여 탭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실험적으로 획득한 물리적 패턴은 공장 출시 단계에서 작성되어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이동 단말기 본체에 대한 탭을 감지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거나,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를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탭을 감지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만을 사용하는 모드는, 제1 모드, 터치 센서만을 사용하는 모드는 제2 모드로 명명될 수 있고,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를 모두 활용(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사용 가능)하는 모드는 제3 모드 또는 하이브리드(hybrid) 모드로 명명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상술한 센서들에서 발생하는 감지신호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톡톡"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로써, 탭이 감지되는 위치 등 탭의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감지된 탭들의 탭 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용자의 동작 패턴에 의하여 정의되는 복수의 해제명령들 중 어느 하나의 수신에 응답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520).
제어부(180)는 본체를 복수 번 두드리는 "톡톡"이 감지되면, 감지된 탭들의 탭 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분석한다. 이때 상기 동작 패턴은 상기 감지된 탭들의 감지된 횟수, 상기 탭들이 가하여진 절대/상대 위치, 상기 탭들의 입력 속도(또는, 장단), 상기 탭들이 가하여진 순서, 한 번의 탭에 포함된 탭 대상체의 수(예를 들어, 한 손가락 탭 또는 두 손가락 탭), 탭이 가하여진 면적, 탭의 세기, 탭에 의한 본체와의 접촉이 유지되는지 여부(tap and hold) 등에 따라 다양하게 인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탭 대상체에 의하여 제1 내지 제4 탭이 인가되는 실시 예들을 후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탭이 가하여진 위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위치 좌표는 디스플레이부의 가로축(x축)과 세로축(y축)을 기준으로 하는 좌표(x,y)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산출된 위치 좌표에 근거하여 탭 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해제를 위한 동작 패턴과 그렇지 않은 동작 패턴을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탭 지점들간의 상대위치에 근거하여 동작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n-1번째 탭이 인가된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에 n번째 탭이 인가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2 탭이 제1 탭과의 관계에서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탭을 무시한다. 이와 달리, 제2 탭이 제1 탭과의 관계에서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3 탭이 상기 제2 탭과의 관계에서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동작 패턴을 구성하는 모든 탭들에 대하여 상기 조건이 만족되면,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동작 패턴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조건은 두 지점들 간의 거리, 방향,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가상의 기준축과 두 지점을 잇는 직선이 형성하는 각도와 관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복수의 해제명령들 중 어느 하나의 수신에 응답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활성화된 상태로 전환하며, 기 설정된 화면정보를 표시한다. 즉, 잠금해제 기능을 실행한다.
제어부(180)는 감지된 탭들에 근거하여 동작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동작 패턴이 해제명령으로 정의된 동작 패턴(또는, 기 설정된 동작 패턴)과 매칭되는지 판단한다. 제어부(180)는 매칭률을 수치화할 수 있으며, 수치화된 매칭률이 기준 값보다 큰 경우, 해제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하나의 동작 패턴에 의하여 복수의 해제명령들이 정의되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 중 어느 하나의 수신에 응답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잠금화면이 아닌 설정된 화면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상기 설정된 화면 정보는, 예를 들어, 홈 스크린 페이지(home screen page)일 수 있다.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에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포함되며, 상기 객체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아이콘(icon) 또는 위젯(widget)일 수 있다. 한편, 해제상태로 전환될 때, 가장 처음에 출력되는 화면은, 반드시 홈 스크린 페이지가 아니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잠금상태가 실행되기 전, 가장 최근에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었던 화면정보가 기 설정된 화면정보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메모리부(160)에는 복수의 해제명령들을 정의하는 동작 패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동작 패턴에 대한 정보는, 동작 패턴을 구성하는 탭들의 개수, 상기 탭들이 인가되어야 하는 순서와, 연속하는 두 탭들의 탭 지점들 간 거리,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동작 패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감지된 탭들이 상기 동작 패턴을 형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화면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정보가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잠금상태가 해제될 때,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화면정보는 해제명령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기 설정된 제1 크기의 동작 패턴이 감지되면, 제1 화면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고, 상기 제1 크기와 다른 제2 크기의 동작 패턴이 감지되면, 상기 제1 화면정보와 다른 제2 화면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은 제1 해제명령 및 제2 해제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해제명령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영역 중에서 기준크기보다 큰 영역에 형성되는 동작 패턴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2 해제명령은 상기 기준크기보다 작은 영역에 형성되는 동작 패턴으로 정의될 수 있다.
계속해서, 기준크기보다 큰 영역에 동작 패턴을 형성하는 탭들이 감지되면(또는, 제1 해제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영역에 표시한다. 이와 달리. 기준크기보다 작은 영역에 동작 패턴을 형성하는 탭들이 감지되면(또는, 제2 해제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화면과 다른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영역에 표시하거나, 상기 제1 화면과 함께 상기 제2 화면을 상기 전체영역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제1 화면을 기준비율만큼 축소한 화면이며, 상기 제2 화면이 표시되는 위치는 동작 패턴이 인가된 영역의 중심위치에 따라 가변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동작 패턴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좌측 하단에서 형성되면, 상기 제2 화면을 상기 좌측 하단에 표시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동작 패턴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우측 하단에서 형성되면, 상기 제2 화면을 상기 우측 하단에 표시한다.
이는 전체화면을 축소한 보조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입력 편의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한 손으로 단말기를 쥔 상태에서 상기 한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디스플레이부(151)에 탭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엄지 손가락으로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데, 신체 구조의 제약상 탭이나 터치를 인가할 수 있는 영역이 제한된다. 탭이나 터치를 인가할 수 있는 영역은, 왼손으로 단말기를 쥔다면, 디스플레이부(151)의 좌측 하단이 되고, 오른손으로 단말기를 쥔다면, 디스플레이부(151)의 우측 하단이 된다. 스크린 사이즈가 클수록 이동 단말기를 쥔 손으로는 터치스크린의 모든 영역을 커버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한 손으로는 이동 단말기를 쥐고, 다른 손으로는 터치스크린을 터치하여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수행해야 한다. 즉, 이동 단말기의 스크린 사이즈가 큰 경우, 사용자는 반드시 양손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를 사용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기준크기보다 작은 영역에 동작 패턴을 형성하는 탭들이 감지되면, 전체화면을 축소한 보조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2 화면이 표시되는 위치는 동작 패턴이 인가된 영역의 중심위치에 따라 가변된다.
한편,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동작 패턴이 인가되고, 상기 동작 패턴을 구성하는 탭들 중 마지막 탭이 본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마지막 탭이 감지된 위치 주변에 서로 다른 기능에 각각 대응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래픽 객체들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상기 마지막 탭에 대응하는 터치로부터 시작된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기능을 처리한다. 즉, 상기 드래그 입력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제명령을 정의하는 동작 패턴이 인가되고, 상기 동작 패턴을 구성하는 탭들 중 마지막 탭이 본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 영역을 활성화하며, 상기 적어도 일 영역에 상기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마지막 탭에 대응하는 터치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그래픽 객체로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사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를 두드리는 복수 번의 탭들이 감지되었으나, 상기 감지된 탭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패턴이 잠금해제를 위한 동작 패턴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잠금해제와 관련이 없는 탭들(또는, 잘못된 동작 패턴)이 감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잠금상태를 해제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부(151)를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한다. 즉, 제어부(180)는 감지된 탭을 무시(ignore)한다. 다만, 사용자에게 탭이 잘못 인가되었음을 안내하기 위하여, 발광부를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 없음(또는, 탭의 패턴이 잘못 입력되었음)을 안내한다. 예를 들어, 발광부는 적색 조명을 복수 번 깜빡임으로써, 탭의 패턴이 잘못 입력되었음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잘못된 동작 패턴이 연속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즉, 잠금해제와 관련이 없는 탭들이 기준 시간이내에 기준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잠금상태를 유지하되,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하고, 암호를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잠금 화면을 표시한다. 잘못된 동작 패턴이 반복적으로 입력되는 것은 사용자가 암호를 잘못 알고 있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제어부(180)는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잠금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는 탭이 아니라, 잠금화면의 가상 키패드를 이용하여 암호를 입력하고, 잠금상태를 해제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저전력 모드(또는, 도즈 모드)를 실행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저전력 모드의 실행중에 디스플레이부(151)를 두드리는 탭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감지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동작 패턴을 감지하는 구성요소는 제어부(180) 및 감지부(140)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되면 저전력 모드를 실행한다. 저전력 모드에서 제어부(180)는 단말기 작동을 위하여 꼭 필요한 연산만을 수행하지만, 감지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두드리는 탭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부(140)는 별도의 레지스트리(registry)와 연산처리장치를 구비하고,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된 탭들이 기 설정된 동작 패턴을 형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해제를 위한 암호가 설정될 때, 제어부(180)는 상기 암호에 의해 설정되는 동작 패턴에 관한 정보를 상기 레지스트리에 저장한다.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140)의 연산처리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감지된 탭들이 기 설정된 동작 패턴을 형성하는지를 판단한다. 기 설정된 동작 패턴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감지부(140)는 제어부(180)를 깨우는 웨이크업(wake-up signal)을 전송하며, 제어부(180)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잠금해제 기능을 실행한다. 이러한 경우, 동작 패턴이 감지되었는지 여부가 상대적으로 저전력을 이용하는 감지부(140)에 의하여 판단되기 때문에, 제어부(180)의 연산에 의해 소모되는 전류가 절감된다.
이와 달리,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140)는 동작 패턴을 형성하는 기준 횟수의 탭들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40)는 기준 횟수의 탭들이 감지되면, 상기 탭들의 좌표가 포함된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4번의 탭들이 감지되었을 때, 감지부(140)는 상기 4번의 탭들 각각에 대한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송할 수 있다. 웨이크업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탭들이 기 설정된 동작 패턴을 형성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감지된 동작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가 제어부(180)에 의하여 판단된다. 이러한 경우, 상대적으로 저렴한 감지부(140)가 이용되기 때문에, 단말기 제작의 비용이 절감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감지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제1 탭을 감지함과 동시에 웨이크업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감지부(140)는 탭이 감지될 때마다 감지된 탭의 좌표를 제어부(180)에 전송하고, 제어부(180)는 실시간으로 감지된 탭들이 기 설정된 동작 패턴을 형성하는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동작 패턴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주체가 상이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어부(180)가 판단하는 것을 실시 예로 설명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감지된 탭들의 탭 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동작 패턴을 분석함에 있어서, 기준시간 이내에 인가되 탭들만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제1 탭이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기준시간(예를 들어, 1초)이 지난 후에 제2 탭이 감지되면, 상기 제1 탭을 무시한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탭을 상기 동작 패턴에 포함된 최초 탭으로 이용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동작 패턴을 형성하는 탭의 수보다 많은 수의 탭이 연속적으로 인가되면, 인가된 탭들을 무시한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동작 패턴은 4번의 탭에 의하여 형성되는데, 연속해서 10번의 탭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10번의 탭들에 상기 기 설정된 동작 패턴을 형성하는 4번의 탭들이 포함되는 경우라도, 제어부(180)는 상기 10번의 탭들을 무시한다. 이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탭에 의하여 단말기가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동작 패턴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서 설명한 구성요소가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감지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두드리는 복수의 탭들을 감지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복수의 탭들이 인가된 영역(710)을 추출하고, 추출된 영역을 기 설정된 크기의 비트맵(720)으로 스케일링(scailing)할 수 있다. 상기 비트맵(720)은 탭이 인가된 위치와 그렇지 않은 위치를 1 또는 0으로 변환시킨 이미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트맵(720)에서 감지된 탭들의 탭 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위치들은 1로 표현되고, 그렇지 않은 위치들은 0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로써, 탭 지점들을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동작 패턴의 모양(예를 들어, 'N')이 형상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스케일링 된 비트맵(720)과 기 설정된 동작 패턴에 대응되는 기준 비트맵을 비교하고, 비교결과(또는, 매칭률)에 근거하여 감지된 탭들이 상기 기 설정된 동작 패턴을 형성하는지를 판단한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n-1번째 탭과 n번째 탭에 의하여 형성되는 방향 벡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방향 벡터들에 근거하여 감지된 탭들이 기 설정된 동작 패턴을 형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탭이 인가된 경우 각각의 좌표값(P1, P2, P3, P4)이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제1 탭의 탭 지점으로부터 제2 탭의 탭 지점으로 향하는 방향 벡터를 기 설정된 벡터 값(vector value)과 비교하여 산출할 수 있다(이 경우, '0'에 대응함). 제어부(180)는 최초 감지된 탭에서부터 마지막으로 감지된 탭에 이르는 방향 벡터들을 산출하고, 산출된 방향 벡터들(730)을 기 설정된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 값과 비교하여 감지된 탭들이 기 설정된 동작 패턴을 형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단말기의 자세와 관련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복수 번의 탭들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탭들이 가해진 때에 상기 본체의 자세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본체의 자세에 근거하여 잠금해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탭들이 형성하는 사용자의 동작 패턴에 대해서 상기 감지된 본체의 자세에 따라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해제상태는 상기 잠금상태가 해제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해제상태에 있는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제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단말기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상기 잠금상태가 해제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복수 번의 탭들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부는 상기 본체의 자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를 통하여 본체의 자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자세를 감지하는 센서는 중력 센서, 지자기 센서, 관성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본체의 자세는 본체의 회전 각도, 본체의 회전 방향, 본체의 회전 속도, 본체의 회전 가속도 등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본체가 취할 수 있는 다양한 자세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의 자세는 상기 본체의 제1 방향(예를 들어, 상기 본체의 세로 방향)이 상기 가상의 기준축(A-A')과 이루는 상대적인 자세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의 제1 방향과 상기 가상의 기준축(A-A')의 상대적인 자세는 상기 본체가 상기 가상의 기준축(A-A')과 이루는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자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의 제1방향과 상기 기준축이 이루는 상대적인 자세는 상기 본체의 제1방향과 상기 가상의 기준축(A-A')이 나란한 자세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의 제1방향이 상기 가상의 기준축(A-A')과 나란한 자세는 상기 본체가 상기 가상의 기준축과 이루는 각도가 0도 또는 180도인 자세일 수 있다.
또한, 도 8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의 제1 방향이 상기 기준축이 이루는 상대적인 자세는 상기 본체의 제1 방향과 상기 가상의 기준축(A-A')이 직교하는 자세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의 제1 방향이 상기 가상의 기준축(A-A')과 직교하는 자세는 상기 본체가 상기 가상의 기준축(A-A')과 이루는 각도가 90도 또는 270도인 자세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에 도시된 4가지 본체의 자세를 기준으로 실시 예들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각도의 자세에서도 활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자세를 가상의 기준축(A-A')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와의 상대적인 자세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수신하는 카메라부(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 영상과 상기 본체의 상대적인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 영상에서 눈동자를 인식하고, 본체의 자세와의 상대적인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판단된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상의 기준축을 기준으로 본체의 자세를 감지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사용자와의 상대적인 위치를 기준으로 본체의 자세를 감지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본체의 자세를 감안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두드리는 복수 번의 탭들이 기 설정된 동작 패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80)는 탭들이 동일한 위치에 차례대로 감지되는 경우라도, 본체의 자세가 제1 자세 또는 제2 자세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로 다른 동작이란, 잠금해제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이거나 감지된 탭들을 무시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이 인가된 순서 및 탭 지점들이 동일한 경우라도, 본체의 자세가 제1 자세 또는 제2 자세인지 여부에 따라 잠금해제 기능이 실행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기 설정된 동작 패턴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설정되며, 상기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탭 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동작 패턴이 상기 기 설정된 동작 패턴과 일치하면 본체의 자세와 상관없이 잠금해제 기능이 실행된다. 예를 들어, 도 9a 및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자세가 상이하여도, 단말기에 가해지는 동작 패턴이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동작 패턴과 일치하면 잠금해제 기능이 실행된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해제명령에 따라 서로 다른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동작 패턴은 기준크기보다 큰 영역에 입력되거나, 상기 기준크기보다 작은 영역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준 크기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 크기와 같거나 상기 기준 크기보다 큰 영역(1010)에 동작 패턴이 인가되면, 제어부(180)는 디스레이부(151)의 전체영역에 기 설정된 화면정보를 전체화면으로 표시한다.
이와 달리, 도 10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 크기보다 작은 영역(1020)에 동작 패턴이 인가되면, 상기 기 설정된 화면정보를 일정 비율로 축소한 보조화면(1034)을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영역에 표시한다. 한편, 상기 기준 크기보다 작은 영역(1020)을 구획하는 선은 가상의 선에 해당한다.
상기 보조화면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전체화면(1032)과 함께 표시되거나, 상기 전체화면(1032)에 오버레이(overlay) 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보조화면(1034)이 전체화면(1032)에 오버레이(overlay) 되는 경우, 상기 보조화면(1034)은 반투명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동작 패턴이 인가된 영역의 중심위치에 따라 상기 보조화면이 표시되는 위치를 결정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중심위치 주변에 상기 보조화면을 표시한다.
한편, 보조화면의 크기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동작 패턴이 인가된 영역의 크기에 대응한다. 즉, 상기 보조화면의 크기는 상기 동작 패턴이 인가된 영역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동작 패턴이 인가된 영역은 운지 가능한 거리 내에 형성되므로, 사용자에게 입력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보조화면 역시 상기 운지 가능한 거리에 표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보조화면은 기 설정된 크기로 표시되고, 상기 보조화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그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한편, 보조화면이 전체화면과 함께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보조화면을 통해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보조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선택된 좌표에 대응하는 전체화면의 좌표를 도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조화면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더라도, 전체화면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가한 것과 동일한 효과가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조화면의 좌표와 전체화면의 좌표 사이의 대응 관계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0c는 보조화면의 좌표와 전체화면의 좌표의 대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에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화면(도면 좌측)을 보조화면(1034)이라 하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화면(도면 우측)을 전체화면(1032)이라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조화면(1034) 및 전체화면(1032)이 각각 16개로 구획되었다고 가정하고, 각각의 구획을 보조화면(1034)의 제1 구획 내지 제16 구획, 전체화면(1032)의 제1 구획 내지 제16 구획이라 가정한다. 포인터를 통해 보조화면(1034)의 제5 구획이 터치되면, 제어부는 이에 대응하는 전체화면(1032)의 제5 구획이 터치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포인터가 보조화면(1034)에 접촉된 상태에서, 보조화면(1034)의 제5 구획, 제6 구획을 및 제10 구획 순으로 이동한 경우, 제어부는 전체화면(1032)의 제5 구획, 제6 구획 및 제10 구획을 거쳐 포인터가 이동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만, 도 10c는 보조화면(1034)의 좌표와 전체화면(1032)의 좌표가 대응 관계에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화면(1034) 및 전체화면(1032)을 n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보조화면(1034)의 각 영역을 전체화면(1032)의 각 영역에 매칭할 수도 있지만, 선택된 지점의 좌표를 통해 보조화면(1034)과 전체화면(1032)을 대응(point to point)시키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보조화면(1034)과 전체화면(1032)을 연관시킬 수 있다.
이때, 보조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선택된 좌표에 대응하는 전체화면의 좌표가, 보조화면에 의해 가려진 지점인 경우, 제어부는 불투명 표시되던 보조화면이 반투명 또는 투명 상태로 바뀌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보조화면이 반투명 상태로 표시되던 상태에서, 보조화면에 의해 가려진 지점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는 보조화면의 투명도를 높이거나 보조화면이 투명 상태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c의 예시도에서, 보조화면(1034)이 전체화면(1032)의 제9 구획에 오버레이 표시된다고 가정한다. 이때, 포인터가 보조화면(1034)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6 구획, 제5 구획을 및 제9 구획 순으로 이동한 경우, 제어부는 전체화면(1032)의 제6 구획, 제5 구획 및 제9 구획을 거쳐 포인터가 이동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포인터가 보조화면(1034)의 제9 구획으로 이동한 순간, 보조화면(1034)이 반투명 또는 투명 상태로 바뀌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전체화면(1032) 중 보조화면(1034)에 가려진 부분에도 사용자 입력이 가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보조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도중 이동 단말기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알림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알림 메시지의 전부 또는 일부가 보조화면에 가려진 경우, 제어부(180)는 불투명 표시되던 보조화면이 반투명 또는 투명 상태로 바뀌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보조화면이 반투명 상태로 표시되던 상태에서, 보조화면에 가리어지는 알림 메시지가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보조화면의 투명도를 높이거나 보조화면이 투명 상태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화면(1032)에 보조화면(1034)이 오버레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메시지가 도착하였습니다."와 같은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알림 메시지의 전부 또는 일부가 보조화면(1034)에 의해 가리어진 경우, 제어부는 보조화면(1034)이 반투명(또는 투명) 상태로 바뀌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보조화면(1034)을 반투명 또는 투명 상태로 바꾸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알림 메시지의 내용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알람 메시지와 관련된 아이콘(1036)이 보조화면(1034)에 의하여 가려지는 경우, 제어부(180)는 보조화면(1034)의 투명도를 조절하고, 상기 아이콘이 다른 아이콘들과 구별되도록 하이라이트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알림 메시지의 내용뿐만 아니라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아이콘을 이용하여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보조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보조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마지막 탭이 해제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와 접촉을 유지하는 경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감지된 탭들의 탭 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동작 패턴이 기 설정된 동작 패턴과 매칭되면, 제어부(180)는 잠금해제 기능을 실행한다. 한편, 상기 동작 패턴에 포함된 탭들 중에서 마지막 단말기와 접촉된 상태에서 해제되지 않고 접촉을 유지하는 경우(이를, '홀드(hold)'라고 호칭함), 제어부(180)는 상기 마지막 탭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패턴에 포함된 탭들(①,②,③,④) 중에서 마지막 탭(예를 들어, ④)이 홀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활성화한다. 상기 활성화되는 영역은 상기 마지막 탭이 감지된 위치에 따라 가변되며, 상기 마지막 탭이 감지된 위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활성화된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마지막 탭이 감지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한다.
한편, 상기 그래픽 객체들은 상기 제2 팬턴에 포함된 복수의 탭들 중 마지막 탭이 감지된 위치 주변에 표시되며, 서로 다른 기능에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로 다른 기능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들을 포함하는 메뉴를 의미한다. 즉, 상기 서로 다른 기능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되거나 구동되는 것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행 가능한 기능은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실행 가능한 기능은, 이동 단말기(100)의 설정정보를 변경하는 기능이나, 미확인 이벤트 등을 표시하기 위한 알림창(Notification panel)을 출력하는 기능 등 이동 단말기(100)의 시스템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기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패턴에 응답하여, 스크린 캡쳐 기능(screen capture), 전화 기능(call), 달력 출력 기능(calender), 카메라 기능(camera)에 각각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말기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상기 그래픽 객체들은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수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스크린 캡쳐 기능(screen capture)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가 메시지 확인 기능(message)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로 변경될 수 있다.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로는 메시지 수신 이벤트, 콜 수신 이벤트, 알람 발생 이벤트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이벤트에 따라 다양한 그래픽 객체들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계속해서, 제어부(180)는,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마지막 탭에 대응되는 위치에서부터 시작되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지막 탭(예를 들어, ④)에 대응되는 터치로부터 시작된 드래그 입력이, 전화기능(call)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가 위치한 방향으로 향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기능, 즉 전화 기능(call)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기능을 실행한다. 그리고,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기능(call) 기능이 선택된 경우, 이에 따른 실행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래픽 객체들이 표시되는 위치 및 상기 그래픽 객체들의 종류는 마지막 탭의 홀드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지막 탭의 홀드 위치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중앙인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마지막 탭의 홀드 위치 주면에 4개의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지막 탭의 홀드 위치가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 영역 중 일 지점인 경우, 상기 마지막 탭의 홀드 위치 주면에 2개의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할 수 있다. 가장자리 영역에서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공간이 좁기 때문이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복수의 탭들이 감지되었으나, 상기 탭들이 형성하는 동작 패턴이 기 설정된 동작 패턴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와 관련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해제명령으로 정의되지 않은 동작 패턴이 인가된 경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비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151)에 복수 번의 탭들이 감지되었으나, 상기 탭들의 탭 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동작 패턴이 기 설정된 동작 패턴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이하에서, 이러한 상황을 '동작 패턴 불일치'라고 호칭한다). 즉, 잘못된 동작 패턴이 감지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감지부(140)에 의하여 감지된 탭들에 의한 동작 패턴이 기 설정된 동작 패턴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또는, 잘못된 동작 패턴이 감지된 경우),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시각적, 촉각적 및 청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가해진 탭이 상기 기 설정된 동작패턴을 형성하지 않음을 알리는 알림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발광부(156)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가해진 탭이 상기 기 설정된 동작패턴을 형성하지 않음을 안내한다.
예를 들어, 도 12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잘못된 동작 패턴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비활성 상태로 유지하고, 발광부(156)를 적색 조명으로 복수 번 깜빡일 수 있다. 한편, 발광부(156)는 단말기 본체(100) 전면의 상단 영역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구비한다. 발광부(156)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조명을 점등한다. 이때, 다양한 방식이란, 조명의 색상, 점멸의 주기, 밝기 등이 서로 다른 것을 의미한다.
한편, 잘못된 동작 패턴이 기준 횟수만큼 반복되는 경우, 도 12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하고, 암호를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잠금 화면을 표시한다. 실패 케이스가 반복되는 것은 사용자가 기 설정된 패턴들을 잘못 알고 있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제어부(180)는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잠금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이때, 잠금화면에는 "탭이 잘못 인가되었습니다" 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가해진 탭이 상기 기 설정된 동작패턴을 형성하지 않음을 알리는 알림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보다 쉽게 해제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과, 잠금해제를 위한 동작 패턴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도 13a, 도 13b, 도 13c, 도 13d 및 도 13e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동작 패턴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가이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잠금해제를 위한 동작 패턴은 복수의 탭들에 의하여 형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탭들을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인가해야하기 때문에, 잘못된 동작 패턴을 인가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80)는 탭들이 정확하게 인가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가이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두드리는 적어도 한 번의 탭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잠금상태에서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상기 가이드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한 번의 탭은 기준시간이내에 소정의 영역내에서 기 설정된 횟수만큼 감지되는 탭들로 대체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한 번의 탭에 응답하여 기준시간 동안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가이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가이드 화면을 잠깐 표시했다가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이는, 단말기가 켜져 있음을 안내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톡톡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동작 패턴을 입력받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영역을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한다. 복수의 영역들을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분된 영역들을 이용하여 가이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두드리는 탭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가이드 화면(1310)을 표시할 수 있다. 설정된 암호가 "3142"이면, 디스플레이부는 4분면으로 구분되며, 상기 4분면을 안내하는 가이드 화면(1310)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3분면, 제1분면, 제4분면 및 제2분면에 차례대로 탭을 인가함으로써 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한편,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한 번의 탭이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 영역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한 번의 탭이 인가된 지점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가이드 화면(1320)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 영역을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하고, 구분된 영역들에 관한 정보를 가이드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는, 기준크기보다 작은 영역에 동작 패턴을 입력받기 위함이다.
이때, 가이드 화면의 크기는 상기 적어도 한 번의 탭의 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기의 탭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세기에 대응되는 제1 크기의 가이드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제1 세기와 다른 제2 세기의 탭이 인가되면, 상기 제2 세기에 대응되는 제2 크기의 가이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영역 중 제1지점에서 상기 제1지점과 다른 제2지점으로 향하는 경로를 그리는 터치가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 궤적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영역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중 어느 하나에 가이드 화면(1330)을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와, 터치궤적, 그리고 터치 궤적의 최초 터치 지점과 터치 해제 지점을 이용하여 가이드 화면을 표시할 영역을 선택한다. 즉, 상기 가이드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 및 위치는 터치 궤적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서로 교차하는 제1 터치 및 제2 터치가 기준시간 이내에 감지되면, 상기 제1 및 제2 터치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영역(1340)을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분할된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인가되는 탭에 근거하여 인가된 탭들이 형성하는 동작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터치에 의하여 분할된 영역들의 크기 및 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터치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중앙에서 교차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영역을 4개의 영역들로 구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터치가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교차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및 제2 터치가 교차된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 영역(1350)을 4개의 영역들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궤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거나, 상기 제1 및 제2 터치가 모두 입력되었을 때,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하고 상기 구분된 영역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구분된 영역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잠금해제를 위한 동작 패턴을 등록할 수 있다.
동작 패턴을 등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패턴을 입력받기 위한 복수의 영역들(1410)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영역이 4분면으로 구분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계속해서, 제어부(180)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복수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인가된 탭을 이용하여 잠금해제를 위한 동작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탭이 인가되면, 인가된 영역에 대응하는 식별번호가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1420)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탭(예를 들어, ①)이 제3분면에 인가되면, 상기 일부 영역(1420)에 상기 3분면에 대응하는 숫자 3이 표시될 수 있다.
계속해서, 제1 내지 제4 탭이 제3분면, 제1분면, 제4분면 및 제2분면에 순차적으로 인가되면, 제어부(180)는 잠금해제를 위한 암호(예를 들어, '3142') 및 동작 패턴을 새로이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동작 패턴을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영역들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영역들에 대한 핀치인(제1 및 제2 터치가 인가되고,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중 적어도 하나가 최초 인가된 지점에서부터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 또는 핀치아웃(제1 및 제2 터치가 인가되고,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중 적어도 하나가 최초 인가된 지점에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핀치인 또는 핀치아웃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영역을 재분할하고, 재분할된 영역들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영역들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상태에서 핀치인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제1 및 제2 터치가 상호 가까워지는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더 많이 분할할 수 있다(이를 '분할기능' 이라고 호칭함). 즉, 상기 제1 및 제2 터치가 상호 더 가까워질수록 디스플레이부(151)가 더 많은 영역들로 분할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영역들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상태에서 핀치아웃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제1 및 제2 터치가 상호 멀어지는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더 적게 분할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터치가 상호 더 멀어질수록 디스플레이부(151)가 더 적은 영역들로 분할될 수 있다(이를 '병합기능' 이라고 호칭함).
즉, 제어부(180)는 동작 패턴을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영역들에 대한 핀치 아웃에 응답하여 상기 분할기능을 실행하고, 핀치 인에 응답하여 상기 병합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핀치 아웃에 의하여 병합기능이 실행되고, 핀치 인에 의하여 분할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분할된 영역들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잠금해제를 위한 동작 패턴을 더욱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 친화적인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동작 패턴에 따라 잠금상태를 해제하거나, 일부 애플리케이션만 이용할 수 있는 게스트 모드를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기준 시간이내에 적어도 두 번 두드리는 "톡톡"이 감지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톡톡"에 응답하여 게스트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게스트 모드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게스트 모드는 기 설정된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만 실행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제3 자에 의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사생활이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잠금 상태에서 "톡톡"이 감지되면 게스트 모드가 실행되고, 기 설정된 동작 패턴이 감지되면 잠금해제 기능이 실행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감지된 탭들의 탭 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동작 패턴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영역 중 제1지점에서 상기 제1지점과 다른 제2지점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터치 궤적에 의하여 형성되는 동작 패턴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된 터치 궤적이 기 설정된 동작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잠금해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터치 궤적의 크기와 상기 터치 궤적이 감지된 위치가 달라져도 동일한 동작 패턴에 해당하면, 잠금해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동작 패턴에 해당하는 터치 궤적이 인가된 상태에서 터치가 해제되지 않고 홀드되면, 제어부(180)는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터치가 홀드된 위치에 기 설정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복수의 탭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동작 패턴에 근거하여 잠금해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물체를 두드리는 간단한 방법으로 잠금상태를 해제상태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이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두드리는 복수 번의 탭들(taps)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복수의 해제명령들 중 어느 하나의 수신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의한 제어명령의 수신이 제한되는 잠금상태를 해제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활성화된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된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은, 상기 감지된 탭들의 탭 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용자의 동작 패턴에 의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은 서로 다른 크기로 상기 동작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탭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은 제1 해제명령 및 제2 해제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해제명령은 제1 크기에 대응되는 상기 동작 패턴을 이루는 복수의 탭들에 대응하고, 상기 제2 해제명령은 상기 제1 크기와 다른 제2 크기를 갖는 상기 동작 패턴을 이루는 복수의 탭들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패턴을 형성하는 상기 복수 번의 탭들 중에서 n번째 및 n-1번째 탭들의 탭 지점간 거리는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해제명령은 홈스크린 페이지에 진입하기 위한 해제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 중에서 어느 해제명령이 수신되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은 제1 해제명령 및 제2 해제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해제명령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영역 중에서 기준크기보다 큰 영역에 형성되는 동작 패턴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2 해제명령은 상기 기준크기보다 작은 영역에 형성되는 동작 패턴으로 정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해제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제1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 해제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화면과 다른 제2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제1 화면을 기준비율만큼 축소한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이 표시되는 위치는 동작 패턴이 인가된 영역의 중심위치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해제명령들 중 어느 하나의 수신에 응답하여 마지막 탭이 감지된 위치 주변에 서로 다른 기능에 각각 대응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상기 마지막 탭에 대응하는 터치로부터 시작된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기능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탭들이 상기 동작 패턴을 형성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비활성화 상태 및 상기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패턴을 형성하지 않는 탭이 기 설정된 횟수 이상 감지되면, 상기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암호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암호정보의 입력과 관련된 잠금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패턴을 형성하지 않는 탭이 인가되었음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상기 잠금화면 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탭들이 상기 동작 패턴을 형성하지 않으면,상기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시각적, 촉각적 및 청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가해진 탭이 상기 동작패턴을 형성하지 않음을 알리는 알림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정보를 시각적 방식으로 출력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탭들이 상기 동작 패턴을 형성하지 않으면,상 상기 발광부를 기준시간 동안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두드리는 복수 번의 탭들(taps)을 감지하는 단계; 및
    복수의 해제명령들 중 어느 하나의 수신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의한 제어명령의 수신이 제한되는 잠금상태를 해제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활성화된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된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은, 상기 감지된 탭들의 탭 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용자의 동작 패턴에 의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은 제1 해제명령 및 제2 해제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해제명령은 제1 크기에 대응되는 상기 동작 패턴을 이루는 복수의 탭들에 대응하고, 상기 제2 해제명령은 상기 제1 크기와 다른 제2 크기를 갖는 상기 동작 패턴을 이루는 복수의 탭들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해제명령들은 제1 해제명령 및 제2 해제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해제명령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영역 중에서 기준크기보다 큰 영역에 형성되는 동작 패턴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2 해제명령은 상기 기준크기보다 작은 영역에 형성되는 동작 패턴으로 정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된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해제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제1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 해제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화면과 다른 제2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30150977A 2013-11-20 2013-12-05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091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977A KR102091161B1 (ko) 2013-12-05 2013-12-05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4/181,326 US9111076B2 (en) 2013-11-20 2014-02-14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4/002625 WO2015076463A1 (en) 2013-11-20 2014-03-27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4170462.7A EP2876529B1 (en) 2013-11-20 2014-05-29 Unlocking mobile device with various patterns on black screen
DE202014103257.6U DE202014103257U1 (de) 2013-11-20 2014-05-29 Mobiles Endgerät
DE202014103258.4U DE202014103258U1 (de) 2013-11-20 2014-05-29 Mobiles Endgerät
CN201410432769.0A CN104660799B (zh) 2013-11-20 2014-08-28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EP14004096.5A EP2881878B1 (en) 2013-12-05 2014-12-04 Vehicle control by means of gestural input on external or internal surface
US14/560,119 US9460575B2 (en) 2013-12-05 2014-12-04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201410738540.XA CN104691449B (zh) 2013-12-05 2014-12-05 车辆控制设备及其方法
US14/795,658 US9733752B2 (en) 2013-11-20 2015-07-09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977A KR102091161B1 (ko) 2013-12-05 2013-12-05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660A Division KR101404234B1 (ko) 2014-03-21 2014-03-21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543A true KR20150065543A (ko) 2015-06-15
KR102091161B1 KR102091161B1 (ko) 2020-03-19

Family

ID=52006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977A KR102091161B1 (ko) 2013-11-20 2013-12-05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60575B2 (ko)
EP (1) EP2881878B1 (ko)
KR (1) KR102091161B1 (ko)
CN (1) CN104691449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52705A (zh) * 2015-06-29 2016-06-0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驾驶室状态调控方法和系统
WO2017003018A1 (ko) * 2015-06-30 201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14342A1 (ko) * 2015-07-21 2017-01-26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70011675A (ko) * 2015-07-24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WO2017039094A1 (en) * 2015-09-04 2017-03-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2448A1 (de) * 2011-09-03 2013-03-0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reitstellen einer Nutzerschnittstelle, insbesondere in einem Fahrzeug
FR3010571B1 (fr) * 2013-09-09 2016-12-30 Valeo Securite Habitacle Authentification d'un utilisateur muni d'un appareil mobile aupres d'un vehicule
US10741041B2 (en) * 2014-01-06 2020-08-11 Binatone Electronics International Limited Dual mode baby monitoring
KR102304979B1 (ko) * 2014-06-19 2021-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페어링 방법
EP3167445B1 (en) 2014-07-10 2021-05-26 Intelligent Platform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labeling of electronic equipment
USD761818S1 (en) * 2014-08-11 2016-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9678S1 (en) * 2014-08-11 2016-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1819S1 (en) * 2014-08-28 2016-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1820S1 (en) * 2014-08-28 2016-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2665S1 (en) * 2014-08-28 2016-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4362866B (zh) * 2014-11-10 2019-03-19 纽福克斯光电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逆变器装置
US9580046B2 (en) * 2014-12-11 2017-02-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try assist system for a motor vehicle
DE102014018460A1 (de) * 2014-12-11 2016-06-16 Audi Ag Verfahren zur Steuerung des Betriebs wenigstens einer Funktionskomponente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US9953148B2 (en) * 2014-12-23 2018-04-24 Ebay Inc. System and method for unlocking devices associated with a carrying bag
US9836896B2 (en) * 2015-02-04 2017-12-05 Proprius Technologies S.A.R.L Keyless access control with neuro and neuro-mechanical fingerprints
USD765697S1 (en) * 2015-02-11 2016-09-06 Nike,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8676S1 (en) * 2015-02-11 2016-10-11 Nike,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3274S1 (en) * 2015-02-11 2016-08-09 Nike, Inc. Display screen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8677S1 (en) * 2015-02-11 2016-10-11 Nike,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5696S1 (en) * 2015-02-11 2016-09-06 Nike,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2016194755A (ja) * 2015-03-31 2016-11-1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D772269S1 (en) 2015-06-05 2016-11-22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1678094B1 (ko) * 2015-07-03 2016-1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E102015213807B4 (de) * 2015-07-22 2017-02-1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ktivieren einer Fahrzeugaktion mittels mobiler Vorrichtung
DE102015219099A1 (de) * 2015-10-02 2017-04-0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Sicherheitssystem, und Fahrzeug umfassend das Sicherheitssystem zum Steuern einer Sicherheitsstufe eines Fahrzeugs
DE102015219365B4 (de) * 2015-10-07 2019-06-1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Erstellen einer Kommunikationsverbindung zwischen Mobilgerät und Fahrzeug
US10137777B2 (en) 2015-11-03 2018-11-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system control based on physiological traits
CN105346483B (zh) * 2015-11-04 2018-07-17 常州加美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驾驶车辆的人机交互系统
DE102015222152A1 (de) * 2015-11-11 2017-05-11 Robert Bosch Gmbh Elektrohandwerkzeugmaschine
US10769434B2 (en) * 2015-12-22 2020-09-08 Gentex Corporation Mirror assembly incorporating a scanning apparatus
CN205230013U (zh) * 2015-12-24 2016-05-11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
KR101607221B1 (ko) * 2015-12-28 2016-03-29 오재두 자동차의 내외부 의사 소통 시스템
EP3399513A4 (en) * 2015-12-28 2019-08-28 KDDI Corporation AIRCRAFT CONTROL DEVICE, AUTHORIZED FLIGHT AIR SPACE SETTING SYSTEM, AIRCRAFT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10204265B2 (en) * 2016-01-11 2019-02-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US20190066422A1 (en) * 2016-02-26 2019-02-2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Module unit comprising an interface for a communication device
US9924027B2 (en) * 2016-03-08 2018-03-20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Division Of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Wearables distraction reduction while driving
US10977352B2 (en) * 2016-04-05 2021-04-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accessing target application, and terminal
KR102509067B1 (ko) * 2016-04-08 2023-03-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사용자 인증장치, 그것의 입력 센싱 모듈 및 사용자 인증방법
US10845987B2 (en) * 2016-05-03 2020-11-24 Intelligent Platforms, Llc System and method of using touch interaction based on location of touch on a touch screen
US11079915B2 (en) 2016-05-03 2021-08-03 Intelligent Platforms, Llc System and method of using multiple touch inputs for controller interaction in industrial control systems
US20170362878A1 (en) * 2016-06-17 2017-12-2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Touch control of vehicle windows
DE102016008981A1 (de) * 2016-07-23 2018-01-25 Daimler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instellung einer Lichtverteilung eines Scheinwerfers
CN106249892A (zh) * 2016-07-29 2016-12-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平衡车管理方法及装置
WO2018023566A1 (zh) * 2016-08-04 2018-02-08 薄冰 一种根据虹膜识别设置音效的方法以及车载娱乐系统
WO2018023585A1 (zh) * 2016-08-04 2018-02-08 薄冰 根据市场反馈调控播放音乐技术的方法以及播放系统
WO2018023569A1 (zh) * 2016-08-04 2018-02-08 薄冰 一种根据人脸识别设置音效的方法以及车载娱乐系统
WO2018023586A1 (zh) * 2016-08-04 2018-02-08 薄冰 自动播放音乐技术的停用方法以及播放系统
WO2018027411A1 (zh) * 2016-08-06 2018-02-15 吕秋萍 限速时的信息推送方法以及限速系统
CN106274796A (zh) * 2016-08-08 2017-01-04 清华大学 一种汽车无钥匙控制系统
US10479226B2 (en) * 2016-09-13 2019-11-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anagement of mobile device control of vehicle systems using policies
DE102016218071B4 (de) * 2016-09-21 2019-05-2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uthentifikation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6558503B2 (ja) * 2016-09-29 2019-08-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スイッチ位置の調整方法及び車両用操作装置
DE102016219135B4 (de) 2016-10-04 2020-04-0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sicheren Entriegeln und/oder Verriegeln eines Fahrzeugs
KR101901799B1 (ko) 2016-10-05 2018-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80037828A (ko) * 2016-10-05 2018-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행 환경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18125121A1 (en) * 2016-12-29 2018-07-05 Intel Corporation Security system
US10202103B2 (en) * 2016-12-29 2019-02-12 Intel Corporation Multi-modal context based vehicle theft prevention
KR20180087921A (ko) * 2017-01-25 2018-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EP3585658A4 (en) * 2017-02-24 2020-01-22 Gentex Corporation TWO-FACTOR BIOMETRIC AUTHENTICATION FOR AUTO
FR3064090B1 (fr) * 2017-03-17 2021-09-17 Valeo Comfort & Driving Assistance Module de commande pour habitacle de vehicule
US10614279B2 (en) * 2017-06-02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fingerprint sensing array provided in touchscreen, and driver integrated circuit for driving the touchscreen including the fingerprint sensing array
KR102379504B1 (ko) * 2017-08-29 2022-03-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충돌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1930462B1 (ko) * 2017-09-25 2018-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US10176368B1 (en) * 2017-10-25 2019-01-08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rear door control system
US10174542B1 (en) 2017-10-25 2019-01-08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rear door control system
US10717412B2 (en) * 2017-11-13 2020-07-21 Nio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using secondary access methods
US11136000B2 (en) * 2017-11-17 2021-10-05 Magna Closures Inc. Touch and gesture pad for swipe/tap entry verification system
JP6988523B2 (ja) * 2018-01-30 2022-01-05 富士通株式会社 生体認証装置、生体認証プログラム、及び生体認証方法
US20190244002A1 (en) * 2018-02-06 2019-08-08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KR102488706B1 (ko) * 2018-02-14 2023-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10271512B (zh) * 2018-03-13 2021-05-14 比亚迪半导体股份有限公司 车门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和车门以及车辆
JP2019156207A (ja) * 2018-03-14 2019-09-1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操作入力装置
JP2019156206A (ja) * 2018-03-14 2019-09-1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操作入力装置
CN108860006B (zh) * 2018-06-15 2022-05-31 上海航盛实业有限公司 一种汽车中控系统
CN109109814A (zh) * 2018-07-25 2019-01-01 特治(深圳)智能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基于nfc识别的车辆开启方法、装置以及计算机存储介质
KR102631933B1 (ko) * 2018-08-10 2024-0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7103146B2 (ja) * 2018-10-12 2022-07-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および車両制御システム
US10599260B1 (en) * 2018-10-22 2020-03-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s for exterior vehicle display
JP7057944B2 (ja) * 2018-11-15 2022-04-2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CN109750932B (zh) * 2018-12-21 2020-11-06 上海蔚来汽车有限公司 车窗控制方法与控制系统、车辆、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7145112B2 (ja) * 2019-03-25 2022-09-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0207386A1 (en) * 2019-04-08 2020-10-15 Trakitall Limited An adjunctive security system for a vehicle
US10850711B2 (en) * 2019-05-03 2020-12-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s for exterior vehicle display and panel exciters
DE102019211120A1 (de) * 2019-06-27 2020-12-31 Vitesco Technologies Germany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perrvorrichtung
DE102019213652A1 (de) * 2019-09-09 2021-03-11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Kraftfahrzeugs
KR20210029921A (ko) * 2019-09-09 2021-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DE102020202918A1 (de) 2020-03-06 2021-09-09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und System zur Ansteuerung wenigstens einer Funktion in einem Fahrzeug
US11163372B2 (en) * 2020-04-01 2021-11-02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Transport gait and gesture interpretation
DE102020113152A1 (de) * 2020-05-14 2021-11-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Zugriffssteuerung auf eine Fahrzeugfunktion
US11341496B2 (en) * 2020-06-03 2022-05-24 Fiserv, Inc. Hardware device for entering a PIN via tapping on a touch screen display
DE102020126547A1 (de) * 2020-10-09 2022-04-1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UWB-Betätigungssystem für ein bewegliches Teil eines Fahrzeuges
US11768527B2 (en) * 2021-04-23 2023-09-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center component replacement
CN113715756B (zh) * 2021-08-09 2024-04-12 阿尔特汽车技术股份有限公司 车辆设备管理方法、系统及相应的车辆
KR20230103751A (ko) * 2021-12-31 2023-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 장치
US11802426B1 (en) * 2022-04-20 2023-10-31 Woven By Toyota, U.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 identification panel to measure hand static and/or dynamic characteristic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4482A1 (en) * 2008-05-17 2009-11-19 Chin David H Touch-based authentication of a mobile device through user generated pattern creation
US20100099394A1 (en) * 2008-10-17 2010-04-2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of unlocking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110316797A1 (en) * 2008-10-06 2011-12-29 User Interface In Sweden Ab Method for application launch and system function
KR20130036679A (ko) * 2011-10-04 2013-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30076482A (ko) * 2011-12-28 2013-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15932C1 (de) * 1996-04-22 1997-09-18 Huelsbeck & Fuerst Schließeinrichtung für Fahrzeuge mit einem codierten elektronischen Schlüssel und elektronischen Schloß sowie Vorrichtung zur Codierung des Schlüssels
DE19747654A1 (de) 1997-10-29 1999-05-20 Telefunken Microelectron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icherungssystems
AU5341398A (en) * 1997-12-26 1999-07-19 Enix Corporation Lock and switch using pressure-type fingerprint sensor
US7239227B1 (en) 1999-12-30 2007-07-03 Upek, Inc. Command interface using fingerprint sensor input system
US6927668B1 (en) * 2000-11-21 2005-08-09 Richard Odle Print access security system
CN1533940A (zh) 2003-03-28 2004-10-06 范建普 脸谱和指纹识别汽车内置防盗锁自动控制系统
JP2005098016A (ja) 2003-09-26 2005-04-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アハンドル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JP2005248445A (ja) * 2004-03-01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協調認証装置
MX2007007689A (es) 2004-12-23 2007-09-07 Touchsensor Tech Llc Sistema de control de asientos.
US7248151B2 (en) 2005-01-05 2007-07-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Virtual keypad for vehicle entry control
GB2447484B (en) * 2007-03-15 2012-01-18 Jaguar Cars Security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2008296607A (ja) * 2007-05-29 2008-12-11 Panasonic Corp 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動車
JP4973944B2 (ja) * 2007-11-21 2012-07-1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制御システム
US20100109838A1 (en) 2008-09-08 2010-05-06 Sherard Fisher Fingerprint unlocking system
US8618913B1 (en) * 2009-10-19 2013-12-31 Emc Corporati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enabled mobile device
EP2463798A1 (en) 2010-11-19 2012-06-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Pressure password for a touchscreen device
US8635560B2 (en) 2011-01-21 2014-01-21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sensitive display
CN102681670A (zh) 2012-04-09 2012-09-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移动终端虚拟键盘的设置方法
KR102158214B1 (ko) * 2014-05-19 2020-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204553B1 (ko) * 2014-05-23 2021-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4482A1 (en) * 2008-05-17 2009-11-19 Chin David H Touch-based authentication of a mobile device through user generated pattern creation
US20110316797A1 (en) * 2008-10-06 2011-12-29 User Interface In Sweden Ab Method for application launch and system function
US20100099394A1 (en) * 2008-10-17 2010-04-2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of unlocking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130036679A (ko) * 2011-10-04 2013-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30076482A (ko) * 2011-12-28 2013-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52705A (zh) * 2015-06-29 2016-06-0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驾驶室状态调控方法和系统
WO2017003018A1 (ko) * 2015-06-30 201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14342A1 (ko) * 2015-07-21 2017-01-26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70011675A (ko) * 2015-07-24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WO2017018551A1 (ko) * 2015-07-24 2017-02-02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10534453B2 (en) 2015-07-24 2020-01-1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WO2017039094A1 (en) * 2015-09-04 2017-03-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191655B2 (en) 2015-09-04 2019-01-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61836A1 (en) 2015-06-11
EP2881878A3 (en) 2015-07-01
CN104691449B (zh) 2017-04-12
CN104691449A (zh) 2015-06-10
EP2881878A2 (en) 2015-06-10
KR102091161B1 (ko) 2020-03-19
EP2881878B1 (en) 2016-09-07
US9460575B2 (en) 201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16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40423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4660799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EP287653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9809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62964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EP2874051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1603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3010283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5754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6744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3007998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5177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00094754A (ko) 문자 입력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20009851A (ko) 이동 단말기에서 보호 모드 실행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72049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00123336A (ko)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626818B1 (ko) 이동단말기의 터치영역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54455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1925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7767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6208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70864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5817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4014412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