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037A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037A
KR20150116037A KR1020140040160A KR20140040160A KR20150116037A KR 20150116037 A KR20150116037 A KR 20150116037A KR 1020140040160 A KR1020140040160 A KR 1020140040160A KR 20140040160 A KR20140040160 A KR 20140040160A KR 20150116037 A KR20150116037 A KR 20150116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touch
touch inputs
mobile terminal
sen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소연
김영준
최진해
구본준
김종훈
김일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0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6037A/ko
Priority to US14/476,464 priority patent/US9521241B2/en
Priority to EP14184068.6A priority patent/EP2919108B1/en
Priority to CN201410717608.6A priority patent/CN104915133B/zh
Publication of KR20150116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04M1/67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the user being required to key in a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6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a tap gesture o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두드리는 탭(tap)을 감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내부에 구비된 조명이 켜진 활성화된 상태 및 상기 조명이 꺼진 비활성화된 상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전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비활성화 상태인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활성화된 상태로 전환하며,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된 복수의 실행화면들 중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실행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두드리는 탭(tap)을 감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을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단말기에 대한 간단한 조작을 통해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비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에 물체를 두드리는 탭(tap)을 인가하여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패턴으로 잠금상태를 해제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패턴에 대응하는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두드리는 탭(tap)을 감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본체, 내부에 구비된 조명이 켜진 활성화된 상태 및 상기 조명이 꺼진 비활성화된 상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전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비활성화 상태인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활성화된 상태로 전환하며,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된 복수의 실행화면들 중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실행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은,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가해진 영역의 위치, 크기,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을 인가한 물체의 종류, 및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 중 마지막 터치입력에 포함된 터치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들이 상기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며 제1 특성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 실행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들이 상기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며 상기 제1 특성과 다른 제2 특성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실행화면과 다른 제2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가해진 영역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실행화면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가해진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1 영역에서 감지되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능이 실행되고, 상기 실행된 기능의 실행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감지되면, 홈 스크린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을 인가한 물체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 중 마지막 터치입력에 포함된 터치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복수의 실행화면들은 다중 사용자에게 각각 설정된 서로 다른 홈 스크린 화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다중 사용자 중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을 수행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홈 스크린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화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 중 마지막 터치입력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해제되지 않고 유지되는 경우, 상기 마지막 터치입력의 터치 지점 주변에 서로 다른 기능에 각각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객체들의 종류는,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객체들은,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하도록 형성되며, 복수 개의 페이지들로 구성된 홈 스크린 화면에서 페이지의 이동에도 동일한 위치에서 고정되어 표시되는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지막 터치 입력으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가상의 영역들로 구획되고,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은 상기 가상의 영역들 중 상기 기 설정된 패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기 설정된 순서에 기반하여 순차적으로 터치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상기 가상의 영역들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감지되는 터치지점에 근거하여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단말기 본체를 내부에 구비된 조명이 켜진 활성화된 상태 및 상기 조명이 꺼진 비활성화된 상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들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비활성화 상태인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활성화된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된 복수의 실행화면들 중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실행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은,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가해진 영역의 위치,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을 인가한 물체의 종류, 및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 중 마지막 터치입력에 포함된 터치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들이 상기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며 제1 특성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 실행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들이 상기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며 상기 제1 특성과 다른 제2 특성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실행화면과 다른 제2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1 영역에서 감지되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기능의 실행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감지되면, 홈 스크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에 가해지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에 근거하여 잠금해제 기능을 실행한다. 이때,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과 매칭되는 경우에만 잠금해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잠금해제시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실행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기 설정된 패턴과 매칭되면서도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디스플레이부에 인가함으로써, 잠금해제시에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즉, 터치입력들이 패턴에 의하여 잠금해제 기능이 실행되고, 상기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기반한 바로가기 기능이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면을 켜는 과정이 생략되기 때문에, 기능 접근성이 빨라지고,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기능이 실행되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잠금해제시 출력되는 실행화면과, 상기 실행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터치입력들의 특성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기 때문에, 사용자 친화적인 유저그래픽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하여 구현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패턴을 설정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바로가기를 실행하기 위한 터치입력들의 특성을 등록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 내지 도 11은 도 7의 제어방법에 의하여 구현되는 동작의 예로서, 비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된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이용한 제어를 나타내는 개념도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마지막 탭이 해제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와 접촉을 유지하는 경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15 및 도 16은 잠금해제와 관련된 여러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들
도 17a 내지 도 17g는 비공개 홈 스크린 화면(또는, 마이 룸)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18a 및 도 18b는 비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된 다양한 패턴에 의하여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들
도 19는 노크 코드 입력시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대신에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다른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부(12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 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의 일종으로, 이러한 카메라 센서는, 카메라(121), 포토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택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세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은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122)는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실시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0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를 포함할 수 있다. MSC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및 BSCs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와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BS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은 각각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는,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BSC 및 적어도 하나의 BS를 합하여 ?誰仄?이라고 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 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a에 도시된 방송 수신 모듈(111)은, BT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이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위성(300)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1)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디스플레이부(251)의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부(25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전자 종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또한, 전자 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電氣泳動, 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1 상태라 한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평면이 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2 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상기 제1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가 아닌,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상하 또는 좌우로 휘어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에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평평한 상태 또는 보다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 도 1a 참조)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1 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상태에서도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140, 도 1a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감지수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 또는 케이스(201)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이동 단말기(2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를 수용하는 케이스(20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를 구현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을 위로 쌓은 스택앤폴딩(stack and fold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확장된 이동 단말기의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부(351)를 구비하는 본체(301) 및 본체(3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302)를 포함한다.
본체(3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케이스(301a) 및 제2케이스(3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3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3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3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3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3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51)의 윈도우(351a)는 제1 케이스(3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3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301)에는 음향 출력부(352), 카메라(321), 마이크(322), 사용자 입력부(3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3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3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3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3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302)는 본체(3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3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302)에는 파스너(fastener; 3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3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3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동작들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체가 바 형태로 이루어진 단말기를 일 예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시계나 안경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됨과 동시에 사용자에 의한 제어명령의 수신이 제한되는 잠금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잠금모드가 실행되면(또는, 잠금상태가 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의 활성화시 암호를 입력하도록 형성되는 잠금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를 두드리는 탭을 감지하는 센싱부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센싱부는 탭에 의하여 형성되는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센싱부에 의하여 복수 번의 터치입력들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터치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분석한다. 분석된 동작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과 매칭되면, 제어부는 단말기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하며, 기 설정된 화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화면정보는 홈 스크린 화면 또는 가장 최근에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일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를 두드리는 간단한 제스처로, 이동 단말기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를 켜기 위하여 버튼 등을 가압하고, 가상 키패드를 이용하여 암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터치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용자의 동작 패턴에 근거하여 단말기를 제어하는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하여 구현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동작 패턴에 의하여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는 센싱부(140), 디스플레이부(151) 및 제어부(18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잠금상태는 사용자에 의한 제어명령의 수신이 제한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특정인에 의하여 설정된 암호가 입력되어야만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잠금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되는 경우, 암호를 입력하도록 형성되는 잠금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잠금화면이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잠금화면 상에 출력된 잠금해제를 위한 화면정보 위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를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영역 중 제1 지점에서 상기 제1 지점과 다른 제2 지점으로 향하는 경로를 그리는 터치일 수 있다. 즉,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는 상기 터치의 이동경로에 의하여 패턴을 그리는 터치일 수 있다. 잠금해제를 위한 터치가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상태를 해제상태로 전환하고, 디스플레이부(151)에 홈 스크린 화면을 출력시킬 수 있다. 즉, 잠금상태가 해제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일부의 실행이 가능한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를 두드리는 복수 번의 터치입력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동작 패턴에 근거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작 패턴은 상기 복수 번의 터치입력들의 터치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패턴으로 정의된다.
결론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복수 번의 터치입력들에 의하여 곧바로 잠금해제되며, 기 설정된 화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잠금화면이 표시된 디스플레이부에 암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단말기를 잠금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구현되는 동작을 이하에서 첨부된 도 4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잠금상태가 해제상태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잠금해제를 위한 암호가 입력되어야 한다. 이러한 암호는 단말기 출고시에 기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 또는 편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에는 상기 암호를 입력받기 위한 암호 입력 창(또는, 핀 코드 입력창)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암호 입력창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키패드가 포함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상 키패드는 숫자 키패드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가상 키패드에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잠금해제를 위한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3142"가 잠금해제를 위한 암호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설정된 암호에 근거하여 잠금상태를 해제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동작 패턴을 설정(또는, 등록)한다. 상기 동작 패턴은 단말기를 복수 번 두드리는 탭들에 의하여 형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탭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터치입력들의 터치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네 번의 탭에 의한 터치지점들이 순차적으로 알파벳 대문자 "N"의 꼭지점을 형성하는 동작 패턴이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동작 패턴을 설정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영역을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하고, 구분된 영역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암호가 "3142"인 경우, 제어부(180)는 입력된 숫자 중에 가장 높은 숫자("4")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151)를 분할한다. 예를 들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4분면으로 나눌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설정된 암호과 관계없이, 디스플레이부(151)가 기 설정된 개수의 영역들로 분할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순서대로 식별번호가 붙여질 수 있다(예를 들어, 총 4개의 영역들로 구분되는 경우, 제1분면부터 제4분면까지 식별번호가 붙여짐).
비활성화 상태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어떠한 정보도 표시되지 않으므로,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가상의 영역들에 해당한다. 즉, 영역을 구분하는 구분선이나, 각 영역을 호칭하는 식별번호는 가상의 것이므로, 실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복수의 영역들과 관련된 정보가 출력될 수 없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가상의 영역들을 구획하는 가상의 선과, 상기 가상의 영역들 각각을 호칭하기 위한 숫자가 도면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암호가 네 자리로 설정되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영역이 4분면으로 구분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어부(180)는 설정되는 암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상/하 2분면, 상/중/하 3분면으로 구분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다양한 동작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어부(180)는 제1 터치입력 내지 제4 터치입력이 차례대로 제3분면, 제1분면, 제4분면 및 제2분면에 인가되는 것을 동작 패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기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패턴을 "노크 코드"라고 호칭한다.
노크 코드가 설정되면, 제어부(180)는 잠금상태를 실행하고, 디스플레이부(151)를 비활성화하거나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란 디스플레이부(151)를 조명하는 내부에 구비된 조명이 오프(off) 상태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b)에 도시된 것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어떠한 정보 또는 그래픽 이미지(graphic image)가 표시되지 않는다.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란 디스플레이부(151)를 조명하는 내부에 구비된 조명이 온(on) 상태임을 의미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서로 다른 화면정보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잠금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되면, 제어부(180)는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암호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암호정보의 입력과 관련된 잠금화면을 표시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를 두드리는 복수 번의 터치입력들이 감지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터치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동작 패턴을 분석한다. 분석된 동작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잠금해제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잠금해제 기능은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활성화된 상태로 전환하며, 상기 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151)에 기 설정된 화면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즉, 제어부(180)는 비활성화 상태인 디스플레이부(151)에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또는, '노크 코드')에 매칭되면,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비활성화 상태인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된 상태로 전환한다.
여기에서, "감지된 터치입력들"은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감지된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은 가상의 영역들로 구획된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상기 가상의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순차적으로 터치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의미한다.
한편,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상기 가상의 영역들 중 상기 기 설정된 패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기 설정된 순서에 기반하여 순차적으로 터치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포함하는 경우, 기 설정된 패턴과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는,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을 인가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형태가 기 설정된 패턴이 형성하는 형태와 일치하는 경우, 기 설정된 패턴과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노크 코드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4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터치입력 내지 제4 터치입력(①,②,③,④)이 차례대로 제3분면 → 제1분면 → 제4분면 → 제2분면에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예를 들어, 'N')을 형성하므로 상기 해제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도 4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잠금해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하고, 홈 스크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홈 스크린 화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포함되며, 상기 객체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아이콘(icon) 또는 위젯(widget)일 수 있다.
한편, 해제상태로 전환될 때, 가장 처음에 출력되는 화면은, 반드시 홈 스크린 화면이 아니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잠금상태가 실행되기 전, 가장 최근에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었던 화면정보가 기 설정된 화면정보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 상에 형성되는 가상의 영역들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감지되는 터치지점에 근거하여 가변된다. 즉, 기 설정된 패턴과 매칭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은 서로 다른 크기로 노크 코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터치입력들은 기 설정된 패턴과 매칭되면서 제1 크기에 대응되는 노크 코드를 형성하거나, 기 설정된 패턴과 매칭되면서 상기 제1 크기와 다른 제2 크기에 대응되는 노크 코드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동방식에 의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잠금해제를 위한 노크 코드를 상이한 위치 및/또는 상이한 크기로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를 오른손으로 쥔 상태에서 오른손의 엄지로 노크 코드를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터치입력은 엄지 손가락이 닿는 범위에 한하여(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의 우측 하단 영역) 인가될 수 있는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패턴과 동일한 수의 터치입력들에 의하여 동일한 모양의 패턴이 형성되기만 하면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이고, 비교적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버튼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하고, 잠금화면에 포함된 가상 키패드를 이용하여 암호를 입력해야하는 단점이 있었으나, 상기의 예시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새로운 형태로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노크 코드에 의하여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비활성화 상태인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잠금해제시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서로 다른 실행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감지된 터치 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며 제1 특성을 구비하는 경우,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디스플레이부(151)에 제1 실행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들이 상기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며 상기 제1 특성과 다른 제2 특성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상기 제1 실행화면과 다른 제2 실행화면을 표시한다.
즉, 사용자는 하나의 노크 코드를 이용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서로 다른 실행화면이 표시되도록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노크 코드를 인가하는 경우, 홈 스크린 화면이 표시되고, 터치 펜을 이용하여 노크 코드를 인가하는 경우, 메모 기능이 실행되어 해당 실행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노크 코드의 특성은 메모리(160)에 기 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추가, 삭제 및 편집될 수 있다. 즉, 노크 코드의 임의의 특성과 상기 임의의 특성에 대응하는 실행화면은 메모리(160)에 저장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비활성화 상태인 디스플레이부(151)에 노크 코드가 수신되면, 메모리(160)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디스플레이부(151)에 상기 수신된 노크 코드의 특성에 대응하는 실행화면을 표시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노크 코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노크 코드의 임의의 특성과 상기 임의의 특성에 대응하는 실행화면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감지된 터치입력들을 원도형으로 단순화하여 표현한다. 원도형 안의 숫자는 터치입력이 가해진 순서를 나타내며, 원도형이 도시된 위치는 터치입력이 가해진 위치에 대응한다. 하나의 원도형 안에 서로 다른 숫자가 포함되면, 동일한 위치에 서로 다른 숫자에 대응하는 터치입력들이 서로 다른 시간에 인가된 것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패턴을 설정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먼저, 비활성화 상태의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인가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기능인 노크 코드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여기에서 노크 코드는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패턴을 의미한다. 이러한 노크 코드는 단말기의 공장 출고시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하여 추가, 삭제 및 편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도 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안함으로 설정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될 뿐이며, 단말기는 잠금상태로 전환되지 않는다. 이와 달리, 노크 코드가 설정되면,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입력되어야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이외에도,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은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터치에 의한 슬라이드 방식, 얼굴 인식 방식, 터치의 이동경로에 의한 패턴 방식, 숫자로 이루어진 PIN 방식, 숫자 등을 포함하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 등을 포함한다.
한편, 도 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으로 노크 코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도 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노크 코드의 기능을 설명하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한다. 노크 코드를 설명하는 화면은 노크 코드의 최초 설정시에만 출력될 수 있다.
이후, 도 5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노크 코드를 입력받기 위한 유도정보를 출력한다. 유도정보는 노크 코드를 입력받기 위한 가상의 영역들(510)을 포함한다. 가상의 영역들은 4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 예에 따라 상/하 2분면, 상/중/하 3분면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가상의 영역들(510)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순차적으로 터치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감지하고, 터치 된 순서와 터치 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기반하여 노크 코드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제1 터치입력 내지 제4 터치입력이 차례대로 제1분면, 제3분면, 제2분면 및 제4분면에 인가되는 것을 노크 코드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동일한 노크 코드가 재입력되면, 상기 노크 코드를 메모리(160)에 저장한다.
노크 코드가 설정되면, 노크 코드에 의한 잠금기능이 실행된다. 여기에서 잠금기능은, 활성화 상태인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로 전환될 때, 자동으로 잠금상태가 실행되는 기능을 말한다. 잠금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인 디스플레이부(151)에 기 설정된 패턴과 매칭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인가되는 경우, 잠금상태가 해제되며,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다.
한편, 제어부(180)는 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151)에 복수의 실행화면들 중 노크 코드의 특성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잠금해제를 위하여 설정된 노크 코드는 하나이지만, 사용자는 상기 하나의 노크 코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실행화면을 표시하도록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노크 코드의 임의의 특성과 상기 임의의 특성에 대응하는 실행화면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노크 코드에 의하여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때에 실행되는 기능(이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때에 실행되는 기능을 '바로가기 기능'이라고 호칭한다)을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기 설정된 노크 코드의 복수의 특성들 중에서 임의의 특성을 선택하고, 선택된 임의의 특성에 대응하는 바로가기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이로써, 노크 코드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기능이 실행되며, 실행되는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실행화면이 표시된다. 즉,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감지됨에 따라 잠금상태가 해제되며, 복수의 실행화면들 중에서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행화면이 표시되게 된다.
이러한 바로가기 기능은 "노크 코드로 앱 바로 실행하기"로 불릴 수도 있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바로가기를 실행하기 위한 터치입력들의 특성을 등록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사용자는 바로가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노크 코드의 특성(또는, 터치입력들의 특성)과, 상기 특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노크 코드의 특성은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가해진 영역의 위치, 크기, 상기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인가한 물체의 종류, 및 상기 복수의 터치입력들 중 마지막 터치입력에 포함된 터치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다.
먼저, 도 6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바로가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노크 코드의 특성을 선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노크 코드의 영역별, 터치 도구별, 손가락 숫자별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특성을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두 개에 대응하는 노크 코드의 특성이 선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선택된 특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수의 기능들을 포함하는 목록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목록에 표시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바로가기 기능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두 개에 의하여 입력되는 노크 코드의 특성에 대하여, 전화 기능이 실행되도록 바로가기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가락 두 개에 의하여 노크 코드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잠금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전화 기능을 실행하고,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형성되는 가상 키패드가 포함된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어부(180)는 노크 코드가 입력될 영역을 지정하고, 지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바로가기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터치입력들이 가해질 영역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한 노크 코드의 특성을 특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바로가기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영역 중에서 바로가기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영역을 특정한다. 예를 들어, 도 6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영역을 2개 또는 4개의 영역들로 분할하고,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영역들 중에서 바로가기 기능을 설정할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바로가기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영역을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터치 궤적에 의하여 도형이 형성되는 경우, 터치 궤적에 의하여 둘러싸인 영역(또는, 도형의 내부)이 바로가기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영역으로 특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바로가기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영역 설정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의 그리드 셀들을 설정하고, 디스플레이부(151)는 설정된 그리드 셀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부(151)는 초기 설정으로 같은 크기를 갖는 4(가로) × 5(세로) = 20개의 그리드 셀들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화면에 표시되는 그리드 셀들의 크기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영역 설정 모드가 실행되어 그리드 셀들이 설정된다 하더라도, 그리드 셀들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그리드 셀들은 제어부(180)에 의해 내부적으로만 설정되고, 화면에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그리드 셀들을 표시함에 있어, 그리드 셀들을 구분하는 복수의 라인들을 표시하고, 복수의 노드들을 라인들이 교차하는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라인들 및 노드들은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 입력, 예를 들어, 드래그에 근거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역 설정 모드에서 그리드 셀들의 레이아웃이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그리드 셀들 중 바로가기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셀들을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그리드 셀에 대응하는 영역은 바로가기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영역으로 특정된다.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특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기능을 바로가기 기능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6b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수의 기능들을 포함하는 목록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목록에 표시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잠금해제와 동시에 곧바로 실행될 기능(또는, 바로가기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도 6b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영역에 대한 바로가기 기능이 설정된다. 즉,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디스플레이부의 상단 영역에 인가되는 경우에는, 카메라 기능이 실행되며, 카메라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표시되는 실행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에 감지된 터치입력이 어떠한 물체에 의하여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이 가해진 강도, 터치 입력이 가해진 면적, 전하의 변화량 등에 근거하여 터치입력을 인가한 물체(또는, 터치 도구)의 종류를 판별한다.
이를 이용하여, 제어부(180)는 노크 코드를 인가한 물체의 종류(또는, 터치 도구별)에 따른 바로가기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터치 펜 및 장갑 등과 같은 터치 도구별 특성을 선택하고, 선택된 특성에 대응하는 바로가기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노크 코드의 임의의 특성과, 상기 임의의 특성에 대응하는 기능은 상술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예들이 조합되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로가기 기능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크 코드가 설정될 때에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노크 코드가 설정시, 제어부(180)는 최적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방식으로 바로가기 기능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터치 펜으로 노크 코드가 인가될 때에 메모 기능이 실행되도록 바로가기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방식에 의하면, 노크 코드의 임의의 특성에 적합한 바로가기 기능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어 간편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된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자동으로 설정된 바로가기 기능을 편집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비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된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이용한 제어방법에 대하여 도 7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감지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710).
여기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란 디스플레이부(151)를 조명하는 내부에 구비된 조명이 오프(off) 상태임을 의미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어떠한 정보 또는 그래픽 이미지(graphic image)가 표시되지 않는다.
한편, 감지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여부와 관계없이 본체에 가해지는 탭을 감지한다.
여기에서, 탭(tap) 또는 탭 제스처(tap gesture)는 이동 단말기의 본체(100) 또는 물체를 두드리는 제스처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탭은, 손가락 등의 탭 대상체로 이동 단말기 본체(100) 또는 물체를 가볍게 치는 동작 또는 탭 대상체를 이동 단말기 본체(100) 또는 물체에 가볍게 접촉시키는 동작으로 이해되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40)가 터치 센서인 경우, 상기 터치 센서는 탭에 의하여 생성되는 터치입력을 감지함으로써 탭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탭을 인가하는 탭 대상체는, 이동 단말기 본체(100) 또는 물체에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사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손가락(지문이 있는 부분),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펜(pen), 포인터, 주먹(손가락 관절)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탭 대상체는, 반드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터치입력을 가할 수 있는 사물에 제한되지 않고, 이동 단말기 본체(100) 또는 물체에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사물이기만 하면 그 종류가 무관하다.
한편, 탭이 가해지는 물체는, 단말기 본체 및 상기 본체를 벗어나는 지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의 입력영역은 단말기 본체의 외부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본체를 벗어난 지점에서 상기 탭을 감지할 수 있는 지점은 가상의 입력영역이 된다.
또한, 상기 가상의 입력영역은 단말기가 놓이는 장소나 대상, 또는 탭의 강도에 따라 넓이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가 테이블 등에 놓인 경우, 사용자가 테이블을 두드리면,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이 발생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탭이 감지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두드림의 강도가 커지면, 상기 가상의 입력영역은 보다 커지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단말기 본체를 사용자가 들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가상의 입력영역은 사라질 수 있다.
한편, 탭을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적어도 두 번 이상의 탭이 제한시간 이내에 가해지는 경우에 한하여,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목적으로 하는 "톡톡( knockknock)"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를 가하는 것이 가능한 터치 대상체에 의하여, 한 번의 탭이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한 번의 탭을 터치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잠금상태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제어명령의 수신이 제한되므로, 사용자 입력이 탭이 아닌 터치입력으로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제한시간 이내에 연속적으로 가해지는 적어도 두 번 이상(또는 복수 번)의 탭들이 가해진 경우에 한하여, 잠금해제를 위한 터치입력들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적어도 두 번 이상의 탭들이 제한시간 이내에 연속적으로 센싱되는 것을 "톡톡(knockknock)"이라 호칭한다. 예를 들어, 제1 탭이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제한시간 이내에 제2 탭이 감지되면, "톡톡"이 감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톡톡"이 감지되었다고 함은, 단말기 본체 또는 상기 본체를 벗어나는 지점에 물체가 두드려지는 것이 실질적으로 복수 번 감지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140)가 터치 센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감지부(14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톡톡"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경우, 사용자 입력에 즉시 반응할 수 있어야 하므로, 터치 센서는 활성화 상태(실질적으로 활성화된 것으로 볼 수 있을 정도의 빠른 주기로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가 전환되는 경우를 포함)를 유지하는 액티브 모드(active mode)를 실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경우, 배터리를 절약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 센서는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가 기 설정된 주기로 전환되는 도즈 모드(doze mode)를 실행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경우, 터치 센서는 상기 도즈 모드를 실행하고, 기 설정된 주기마다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는 주기가 짧을수록,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톡톡"을 감지하는 속도가 빨라지지만, 그에 따라 터치 센서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이 커진다. 이와 달리,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는 주기가 길수록, 감지부(140)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은 작아지지만,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는 속도는 느려진다.
따라서, 기 설정된 주기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함에 있어 감지 속도가 사용자에게 인식되지 않을 정도로 빠르면서도, 전력 소모의 효율이 증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주기는 터치 센서가 1초에 30번(30Hz) 정도 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최소 전류 수준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도즈 모드를 실행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제1 탭이 가해지면, 상기 액티브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즉, 터치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탭이 인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후에 인가될 탭을 더욱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액티브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엑티브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터치 센서는 1초에 120번(120Hz) 정도 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제1 탭이 가해진 시점으로부터 기준시간 이내에 제2 탭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터치 센서는 액티브 모드를 도즈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탭이 발생한 것이므로, 단말기에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감지부(140)는 터치 센서뿐만 아니라, 본체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탭을 감지하는 가속도센서, 본체 주변에 발생하는 소리를 이용하여 탭을 감지하는 소리센서, 상기 본체 주변에 위치하는 물체의 유무에 근거하여 탭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및 상기 본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이용하여 탭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와 마찬가지로, 감지부(140)에 포함된 나머지 센서들도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비활성화되거나 기 설정된 주기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이는, 센서들에 의한 전력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즉,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제1 탭이 감지되는 경우, 이후에 인가될 제2 탭을 더욱 정확히 감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부(140)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들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들은 터치 센서, 마이크 센서, 근접 센서, RGB 센서,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하며, 탭의 특성(예를 들어, 탭의 세기/탭의 위치/제1 탭과 제2 탭 간의 시간 간격/탭의 대상체/탭의 강도/탭의 면적 등)을 구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 발생하는 터치를 이용하여 탭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는 탭이 인가되는 위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탭이 터치 되는 면적을 이용하여 탭의 대상체(예를 들어, 손가락, 손톱, 손바닥 등)를 구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마이크 센서는 본체 주변에 발생하는 소리를 이용하여 탭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소리는 고유의 주파수 특성이 있기 때문에, 수신되는 음성정보의 주파수 특성을 이용하여 탭의 대상체(예를 들어, 손가락, 손톱, 손바닥, 펜 등), 탭의 패턴을 구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터치 센서에 의하여 "톡톡"이 감지된 경우라도, 제어부(180)는 근접센서에 의하여 본체의 전면에 인접한 물체를 탐지한 경우, "톡톡"을 리젝(reject)할 수 있다. 이는, 가방 속에 들어간 이동 단말기(100)가 가방의 흔들림에 의하여 오작동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예로, RGB 센서는 탭의 대상체에 대한 색상을 센싱하고, 센싱된 색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RGB 센서에 의하여 손가락과 터치펜을 구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압력 센서는 본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이용하여 탭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탭에 의하여 발생한 압력의 강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특정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결정체의 표면에서 전기가 발생하는 성질을 이용하는 피에조(piezo) 센서(또는, 충격 센서)가 탭을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가 수백 헤르쯔(Hz)에 해당하는 움직임을 감지한다면, 피에조 센서는 수천 헤르쯔(kHz)에 해당하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기의 움직임(또는 충격)을 더욱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피에조 센서를 이용하여 상술한 탭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에조 센서는 물체에 충격을 발생시키는 탭의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물리적인 패턴이 상이하기 때문에, 실험적으로 획득한 물리적 패턴을 이용하여 탭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실험적으로 획득한 물리적 패턴은 공장 출시 단계에서 작성되어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이동 단말기 본체에 대한 탭을 감지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거나,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를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탭을 감지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만을 사용하는 모드는 제1 모드, 터치 센서만을 사용하는 모드는 제2 모드로 명명될 수 있고,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를 모두 활용(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사용 가능)하는 모드는 제3 모드 또는 하이브리드(hybrid) 모드로 명명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상술한 센서들에서 발생하는 감지신호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톡톡"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로써, 탭이 감지되는 위치 등 탭의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730).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를 복수 번 두드리는 "톡톡"이 감지되면,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터치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분석한다. 상기 동작 패턴은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감지된 횟수, 상기 터치입력들이 가하여진 절대/상대 위치, 상기 터치입력들의 입력 속도(또는, 장단), 상기 터치입력들이 가하여진 순서, 한 번의 터치입력에 포함된 터치의 개수(예를 들어, 한 손가락 터치입력 또는 두 손가락 터치입력), 터치입력이 가하여진 면적, 터치입력의 세기, 터치입력에 의한 본체와의 접촉이 유지되는지 여부(tap and hold) 등에 따라 다양하게 인가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가상의 영역들로 구획되는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가상의 영역들 중 기 설정된 패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기 설정된 순서에 기반하여 순차적으로 터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가상의 영역들이 제1, 제2, 제3 및 제4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영역은 서로 다른 번호에 각각 대응되며, 상기 서로 다른 번호는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영역들이 배치된 위치에 근거하여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순서대로 매겨질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영역 중 상기 기 설정된 패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기 설정된 순서에 기반하여 순차적으로 터치하는 경우,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터치입력이 가하여진 위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위치 좌표는 디스플레이부의 가로축(x축)과 세로축(y축)을 기준으로 하는 좌표(x,y)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산출된 위치 좌표에 근거하여 터치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해제를 위한 동작 패턴과 그렇지 않은 동작 패턴을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지점들간의 상대위치에 근거하여 동작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n-1번째 터치입력이 인가된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에 n번째 터치입력이 인가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2 터치입력이 제1 터치입력과의 관계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입력을 무시한다. 이와 달리, 제2 터치입력이 제1 터치입력과의 관계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3 터치입력이 상기 제2 터치입력과의 관계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동작 패턴을 구성하는 모든 터치입력들에 대하여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패턴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두 터치지점들 간의 거리, 방향, 본체의 세로축을 기준으로 하는 가상의 기준축과 두 지점을 잇는 직선이 형성하는 각도와 관련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는 경우,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비활성화 상태인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된 상태로 전환한다(S750). 즉, 잠금해제 기능을 실행한다.
제어부(180)는 감지된 터치입력들에 근거하여 동작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동작 패턴이 해제명령으로 정의된 동작 패턴(또는, 기 설정된 패턴)과 매칭되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80)는 매칭률을 수치화할 수 있으며, 수치화된 매칭률이 기준 값보다 큰 경우, 기 설정된 패턴과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으로,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이 기 설정된 특성들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770). 보다 구체적으로,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을 바로가기 기능으로 설정된 특성들과 비교함으로써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감지된 터치입력들은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에서 적어도 일 영역에 해당하는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크기로 감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은 손가락, 장갑을 낀 손가락, 터치펜 등과 같은 다양한 물체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다. 즉, 감지된 터치입력들은 기 설정된 패턴과 매칭되면서도 다양한 특성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은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가해진 영역의 위치, 크기,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을 인가한 물체의 종류, 및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 중 마지막 터치입력에 포함된 터치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가변된다.
예를 들어, 감지된 터치 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며 제1 특성을 구비하는 경우, 제어부는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제1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들이 상기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며 상기 제1 특성과 다른 제2 특성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제1 실행화면과 다른 제2 실행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나, 기 설정된 특성이 없거나 기 설정된 특성들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잠금해제시 디스플레이부에 홈 스크린 화면이나 가장 최근에 실행된 실행화면을 표시한다(S790). 홈 스크린 화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포함되며, 상기 객체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아이콘(icon) 또는 위젯(widget)일 수 있다.
이와 달리,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고, 기 설정된 특성들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실행화면을 표시한다(S792). 메모리부(160)에는 기 설정된 특성과, 상기 기 설정된 특성에 대응하는 실행화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기 때문에, 제어부는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대응하는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실행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도록,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어기능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되거나 구동되는 것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기능 중 하나는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기능이 실행된다'고 함은,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또는 구동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은, 이벤트를 생성하는 기능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생성되는 이벤트는, 메시지 발신 이벤트, 콜 발신 이벤트 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벤트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은,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구동을 위하여 필요한 기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적인 구동을 위하여 필요한 기능은, 와이파이를 온/오프하는 기능일 수 있고, 통신망을 설정하는 기능, 이동 단말기(100)의 설정정보를 변경하는 기능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비활성화 상태의 디스플레이부(151)에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인가함으로써, 잠금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실행하고자 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상기 기 설정된 패턴에 대응되는 터치를 입력받기 위한 가이드 정보가 출력되지 않는다.
기 설정된 특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는 경우, 제어부는 기 설정된 복수의 실행화면들 중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가해진 영역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실행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기 설정된 제1 영역에 기 설정된 패턴과 매칭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잠금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영역이라는 위치적 특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실행에 따른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영역에 기 설정된 패턴과 매칭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홈 스크린 화면이나 가장 최근에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을 서로 다른 실행화면에 각각 대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영역을 상단 영역과 하단 영역으로 구분하는 경우, 상기 상단 영역에는 제1 실행화면을 설정하고, 상기 하단 영역에는 제2 실행화면을 설정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단 영역에 기 설정된 패턴과 매칭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입력되는 경우, 단말기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제1 실행화면이 표시된다.
상술한 복수의 영역들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과 하단 영역으로 구분되거나, 제1 내지 제4 분면으로 구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각 영역에 대응하는 실행화면도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기 설정된 특성은 감지된 터치입력들 중 마지막 터치입력에 포함된 터치의 개수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 한 개에 의하여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마지막 터치입력에 포함된 터치의 개수는 하나이고, 손가락 두 개에 의하여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마지막 터치입력에 포함된 터치의 개수는 둘이다. 제어부는 마지막 터치입력에 포함된 터치의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특성은 감지된 터치입력들을 인가한 물체의 종류와 관련될 수 있다. 제어부는 터치 되는 면적이나 터치시 발생하는 소리 등을 이용하여 터치입력을 인가한 물체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손가락에 의하여 인가된 것인지, 터치 펜이나 장갑을 낀 손에 의하여 인가된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물체의 종류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잠금해제시 기 설정된 복수의 실행화면들 중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실행화면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다중 사용자(multi user)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다중 사용자 기능은 하나의 단말기에 서로 다른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계정마다 다른 설정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계정마다 홈 스크린 화면 설정, 소리 설정, 실행가능한 앱 설정, 폴더 설정 등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다중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홈 스크린 화면들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감지된 터치 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는 경우,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다중 사용자 중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을 수행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홈 스크린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제1 특성을 구비하는 경우,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1 홈 스크린 화면을 표시하고, 제2 특성을 구비하는 경우, 제2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2 홈 스크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는 상태에서,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을 구성하는 터치입력들 중 마지막 터치입력은 해제되지 않고,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마지막 터치입력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해제되지 않고 유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마지막 터치입력이 감지된 위치 주변에 서로 다른 기능에 각각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상기 마지막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터치로부터 시작된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기능을 처리한다.
상기 마지막 터치입력이 감지된 위치 주변에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들의 종류는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가해진 영역의 위치, 크기,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을 인가한 물체의 종류, 및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 중 마지막 터치입력에 포함된 터치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상기 그래픽 객체들의 종류가 가변된다.
예를 들어, 감지된 터치 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며,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 중 마지막 터치입력에 포함된 터치의 개수가 하나이며, 상기 마지막 터치입력이 해제되지 않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마지막 터치입력 주변에 복수 개의 페이지들로 구성된 홈 스크린 화면에서 페이지의 이동에도 동일한 위치에서 고정되어 표시되는 아이콘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아이콘들은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형성된다.
다른 예를 들어, 감지된 터치 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며,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 중 마지막 터치입력에 포함된 터치의 개수가 둘이며, 상기 마지막 터치입력이 해제되지 않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그래픽 객체들은, 특정 연락처로 발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되는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연락처는 사용자에 의하여 즐겨찾기로 설정된 연락처이거나, 최근 통화 목록에 포함된 연락처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를 두드리는 복수 번의 터치입력들이 감지되었으나,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패턴이 잠금해제를 위한 기 설정된 패턴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잠금해제와 관련이 없는 터치입력들(또는, 잘못된 동작 패턴)이 감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잠금상태를 해제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부(151)를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한다. 즉, 제어부(180)는 감지된 터치입력들을 무시(ignore)한다. 다만, 사용자에게 탭이 잘못 인가되었음을 안내하기 위하여, 발광부를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 없음(또는, 탭의 패턴이 잘못 입력되었음)을 안내한다. 예를 들어, 발광부는 적색 조명을 복수 번 깜빡임으로써, 탭의 패턴이 잘못 입력되었음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잘못된 동작 패턴이 연속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즉, 잠금해제와 관련이 없는 탭들이 기준 시간이내에 기준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잠금상태를 유지하되,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하고, 암호를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잠금 화면을 표시한다. 잘못된 동작 패턴이 반복적으로 입력되는 것은 사용자가 암호를 잘못 알고 있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제어부(180)는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잠금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는 탭이 아니라, 잠금화면의 가상 키패드를 이용하여 암호를 입력하고, 잠금상태를 해제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구현되는 실시 예들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제어방법에 의하여 구현되는 동작의 예로서, 비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된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이용한 제어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이러한 제어의 일 예로서, 도 8a,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면, 잠금해제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정보는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인가된 영역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가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a,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면, 센싱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두드리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감지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인가된 영역(810, 820, 830)을 추출할 수 있다. 터치입력들이 인가된 영역을 구분하는 구분선은 가상의 것이므로, 실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복수의 영역들과 관련된 정보가 출력될 수 없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가상의 영역들을 구획하는 가상의 선과, 상기 가상의 영역들 각각을 호칭하기 위한 숫자가 도면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가상의 영역들로 구획되는데, 상기 가상의 영역들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감지되는 터치지점에 근거하여 가변된다. 이러한 예로서, 본 도면은 가상의 영역들이 가상의 제1, 제2, 제3 및 제4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의 영역들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제1, 제2, 제3 및 제4 터치입력들이 감지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진 예를 나타낸다.
계속해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영역은 서로 다른 번호에 각각 대응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서로 다른 번호는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영역들이 배치된 위치에 근거하여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순서대로 매겨질 수 있다.
제어부는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상기 가상의 제1, 제2, 제3 및 제4 영역들 중 기 설정된 패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기 설정된 순서에 기반하여 순차적으로 터치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포함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터치입력 내지 제4 터치입력(①,②,③,④)이 차례대로 제1분면 → 제3분면 → 제2분면 → 제4분면에 감지되는 경우,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잠금상태를 해제함에 있어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실행화면을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근거하여 선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1)는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실행화면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되고,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가해진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실행화면을 표시한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부(151)는 상단 영역(842)과 하단 영역(84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상단 영역(842)은 발신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발신 기능의 실행에 따른 실행화면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단 영역(844)은 메신저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메신저 기능의 실행화면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발신 기능의 실행에 따른 실행화면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잠금해제시 표시될 복수의 실행화면들로 기 설정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가해진 영역(810, 또는 노크 코드가 감지된 영역)이 상단 영역(842) 안에 포함되면, 디스플레이부(151)에 발신 기능의 실행에 따른 실행화면이 표시된다. 이와 달리,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가해진 영역(820)이 하단 영역(844) 안에 포함되면, 메신저 기능의 실행화면이 표시된다.
한편,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이 기 설정된 특성들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또는, 상단 영역 및 하단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복수의 터치 입력들이 인가된 경우)에는, 홈 스크린 화면이 실행화면으로 표시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의 서로 다른 영역에 기 설정된 패턴과 매칭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인가하는 것만으로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이고, 비교적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 중 마지막 터치입력에 포함된 터치의 개수에 따라 다른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의 개수가 하나인 경우, 이에 매칭된 제1 실행화면을 표시하고, 터치의 개수가 둘인 경우, 이에 매칭된 제2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의 개수가 하나인 경우,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스크린 화면이 표시되지만, 터치의 개수가 둘인 경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기능의 실행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인가한 물체의 종류에 따라 다른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펜에 의하여 기 설정된 패턴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메모 기능(또는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메모 기능의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을 착용한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기 설정된 패턴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음성인식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명령어에 대응하여, 해당 음성 명령어와 관련된 기능을 활성화, 실행 또는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장갑을 낀 상태에서 터치입력을 정확히 가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음성인식기능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음성인식기능이 활성화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정보를, 시각적, 촉각적 및 청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시각적 알림정보가 출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일부만 활성화시켜, 상기 알림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다중 사용자(mult-user)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다중 사용자 기능은 하나의 단말기에 서로 다른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계정마다 다른 설정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다중 사용자 기능에 의하면 계정마다 홈 스크린 화면 설정, 소리 설정, 실행가능한 앱 설정, 폴더 설정 등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다중 사용자로 등록된 사용자들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홈 스크린 화면들이 설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홈 스크린 화면의 배경, 아이콘의 배치 등이 사용자별로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사용자들은 하나의 단말기를 자신에게 적합한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감지된 터치 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는 경우,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다중 사용자 중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입력들이 가해진 위치, 크기, 마지막 터치입력에 포함된 터치의 개수, 터치입력들을 인가한 물체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홈 스크린 화면을 표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제1 특성을 구비하는 경우,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1 홈 스크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제2 특성을 구비하는 경우, 제2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2 홈 스크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하나의 패턴이 기 설정된 상태에서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실행화면이 표시되는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나, 복수의 패턴들이 기 설정될 수 있다. 즉, 단말기에는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패턴이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기 설정된 복수의 패턴들은 서로 다른 실행화면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 개의 기 설정된 패턴들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마지막 탭이 해제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와 접촉을 유지하는 경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손가락 하나에 의하여 노크 코드가 인가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고, 도 13a 및 도 13b는 손가락 둘에 의하여 노크 코드가 인가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고, 도 14는 이어폰이 장착된 상태에서 노크 코드가 인가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a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홈 스크린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홈 스크린 화면은 대기화면(idle screen)이라고도 표현될 수 있으며, 상기 홈 스크린 화면은 이동 단말기(100)가 대기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홈 스크린 화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홈 스크린 화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객체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아이콘(icon) 또는 위젯(widget)일 수 있다.
한편, 홈 스크린 화면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수에 따라 복수 개의 페이지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페이지들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될 수 있다.
홈 스크린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페이지에 대한 식별정보가 표시되는 식별정보 영역(1210),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정보가 표시되는 상태정보 영역(1220),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표시되는 프리셋 영역(12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 영역(1210)에는 현재 출력된 페이지가 복수 개의 페이지들 중 몇 번째 페이지에 해당하는지를 알리는 식별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정보 영역(1220)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안테나 정보, 통신모드 정보, 배터리 정보, 발생한 이벤트에 정보, 설정된 기능에 대한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셋 영역(1230)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180)에 의해 미리 설정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들 및 위젯이 고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리셋 영역(1230)에 표시된 아이콘들은 복수 개의 페이지들을 구비하는 홈 스크린 화면에서 페이지의 전환에도 동일한 위치에서 고정되어 표시된다. 프리셋 영역(1230)에 표시된 아이콘들은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아이콘들이거나,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가장 많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 상에는 사용자 선택 또는 제어부(180) 설정에 의해 바탕화면(또는 배경화면)이 출력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이러한 바탕화면과 홈 스크린 화면이 중첩되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바탕화면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위젯이 출력되는 경우에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위젯 상에 출력되는 바탕화면은 홈 스크린 화면의 바탕화면과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잠금상태가 실행되면, 도 12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다. 비활성화 상태의 디스플레이부(151)에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감지되는 경우,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대응하는 실행화면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12a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지막 터치입력에 포함된 터치의 개수가 하나인 경우, 홈 스크린 화면이 표시된다.
한편,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에 포함된 터치입력들 중에서 마지막 터치입력이 단말기와 접촉된 상태에서 해제되지 않고 접촉을 유지하는 경우(이를, '홀드(hold)'라고 호칭함), 제어부(180)는 상기 마지막 터치입력의 터치지점 주변에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2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된 터치입력들(①,②,③,④) 중에서 마지막 터치입력(예를 들어, ④)이 홀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활성화한다. 상기 활성화되는 영역은 상기 마지막 터치입력이 감지된 위치에 따라 가변되며, 상기 마지막 터치입력이 감지된 위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활성화된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마지막 터치입력이 감지된 위치를 중심으로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한다.
상기 그래픽 객체들은 마지막 터치입력이 감지된 위치 주변에 표시되며, 서로 다른 기능에 각각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서로 다른 기능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을 의미한다. 즉, 상기 서로 다른 기능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되거나 구동되는 것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행 가능한 기능은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설정정보를 변경하는 기능이나, 미확인 이벤트 등을 표시하기 위한 알림창(Notification panel)을 출력하는 기능 등 이동 단말기(100)의 시스템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기능일 수 있다.
특히, 도 12b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지막 터치입력에 포함된 터치의 개수가 하나이고, 상기 마지막 터치입력이 홀드되는 겨우, 제어부(180)는 마지막 터치입력의 홀드에 응답하여, 홈 스크린 화면의 프리셋 영역(1230)에 포함된 아이콘들을 상기 마지막 터치입력의 터치지점 주변에 표시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어부(180)는,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마지막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위치에서부터 시작되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도 12b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지막 터치입력(예를 들어, ④)에서 시작된 드래그 입력이, 카메라 기능을 실행하도록 형성되는 그래픽 객체로 향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기능, 즉 카메라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기능을 실행한다. 그리고, 선택된 기능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도 12b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기능이 선택된 경우, 이에 따른 실행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마지막 터치입력 주변에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들의 종류는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입력에 포함된 터치의 개수가 하나인 경우, 홈 스크린 화면의 프리셋 영역(1230)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표시된다.
이와 달리,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입력에 포함된 터치의 개수가 둘인 경우, 해당 특성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들이 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잠금해제시 단말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들 중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마지막 터치입력이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기준시간이내에 해제되는 경우,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여 실행화면을 표시한다. 이와 달리, 마지막 터치입력이 홀드되는 경우, 선택된 기능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들을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한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메인 기능으로 선택한다. 마지막 터치입력이 홀드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메인 기능에 속하는 서브 기능들을 탐색한다. 그리고 탐색된 서브 기능들을 실행하도록 형성되는 서로 다른 그래픽 객체들을 마지막 터치입력이 인가된 지점 주변에 표시한다. 즉, 제어부는, 상기 마지막 터치입력이 홀드되면 서브 기능들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하고, 홀드되지 않으면 메인 기능을 실행하며, 상기 메인 기능의 실행에 따른 실행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손가락 두 개로 인가되는 노크 코드에 대하여 전화 기능(또는, 전화를 걸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바로가기 기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노크 코드가 손가락 두 개로 인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전화 기능을 메인 기능으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메인 기능은, 도 13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형성되는 가상 키패드를 포함하는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기능이다. 마지막 터치입력이 홀드되지 않고 해제되는 경우, 메인 기능의 실행에 따른 실행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다.
한편, 마지막 터치입력이 홀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전화 기능의 하부 메뉴 구조를 이루고 있는 기능들을 서브 기능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즐겨찾기로 설정된 연락처나, 최근 통화 목록에 포함된 연락처로 발신을 수행하는 기능들을 서브 기능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도 13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즐겨찾기로 설정된 연락처에 발신을 수행하도록 형성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마지막 터치입력 주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그래픽 객체들은 연락처로 저장된 사진이나, 이름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마지막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위치에서부터 시작되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도 13b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근거하여 특정 연락처로 발신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밖에도, 브라우저 실행기능이 메인기능으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브라우저 실행 기능에 대한 서브 기능들은, 북마크로 등록된 페이지를 표시하는 기능이 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를 활성화하는 기능이 메인기능으로 선택되는 경우, 사진을 촬영하는 기능 및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이 서브 기능들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기능 및 서브 기능은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되거나, 단말기에 의하여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크 코드의 제1 특성에 따라 바로 실행되는 메인 기능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라도,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특성에 대응하는 터치입력들 중 마지막 터치입력이 홀드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기능에 포함되는 하위 기능들을 자동으로 탐색하고, 탐색된 서브 기능들을 실행하도록 형성되는 그래픽 객체를 마지막 터치입력 주변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하나의 노크 코드가 등록되더라도, 마지막 터치입력이 홀드되는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실행화면이 표시되기 때문에, 간편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지막 터치입력이 홀드되는 때에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들은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폰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이어폰을 이용할 수 있는 기능들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들이 표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악 재생 기능,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이 마지막 터치입력의 터치지점 주변에 표시될 수 있다. 이 밖에도 단말기의 다양한 상태에 따라 다양한 그래픽 객체들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잠금해제와 관련된 여러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양손으로 서로 다른 터치입력들을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손 중 어느 한 손으로 디스플레이부의 상단 영역에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인가하고, 다른 한 손으로 디스플레이부의 하단 영역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인가할 수 있다. 상단 영역 및 하단 영역에 인가된 터치입력들이 모두 기 설정된 패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는 잠금상태를 해제하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1 및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 서로 다른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에 실행된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들이 상기 제1 및 제2 영역(1510, 1520)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는 소정면적 이상의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면적 이상의 터치입력이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감지된 상태에서, 나머지 영역에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감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는 잠금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만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면적 이상의 터치입력이 인가된 일 영역(1610)은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영역(1620)은 활성화되어 상기 복수의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대응하는 실행화면을 표시한다.
도 17a 및 도 17b는 비공개 홈 스크린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기 사용자의 고유 노크 코드를 통해 사용자의 사생활의 보장을 간편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도록 형성되는 노크 코드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는 비공개 홈 스크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비공개 홈 스크린 화면을 "마이 룸(my rooom)"으로 호칭한다.
도 17a는 노크 코드의 입력을 통해 진입한 마이 룸(my room)에 대응하는 화면이다. 상기 마이 룸(my room)은 사용자만이 접근 가능한 컨텐츠(21), 애플리케이션(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21) 및 애플리케이션(22)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비밀 폴더에 보관된 아이템들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식별자(23)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식별자(23)는 인디케이터 영역(Indicator area, 60)에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자는 고유의 텍스트(예를 들어, "My Room" or "Owner Mode") 형식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서명 입력을 통해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된 상태임을 알리는 방법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비밀 폴더로의 진입을 피드백하는 수단으로서, 시각적인 효과, 청각적인 효과, 진동 발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 서명의 입력을 통해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하는 경우, 비밀 폴더 화면상의 인디케이터 영역(60)을 비밀 폴더에 진입하기 전과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60)의 색상(color)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서명을 입력하기 위한 영역을 활성화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되, 소정의 배경 화면(42)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핀치 아웃(pinch out)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제거하고 상기 배경 화면(42)의 표시만을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배경 화면(42) 상에 노크 코드를 입력받기 위한 영역(I, '노크 패드'로 호칭)을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7c는 노크 코드를 이용하여 마이룸(my room)을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c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인디케이터 영역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700).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51)상의 일 영역으로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최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드래그 입력은,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에서 시작되어,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일 수 있다. 상기 드래그 입력은, 사용자의 한 손가락에 의한 드래그 입력, 두 손가락에 의한 드래그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노크 코드를 입력받기 위한 노크 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S1710).
제어부(180)는 상기 노크 패드상이 상기 노크 코드를 입력받고, 입력된 노크 코드를 인식한다(S1720). 노크 코드를 인식하는 방법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도 17c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노크 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는 폴더에 진입하고, 마이 룸(my room)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7d 내지 도 17g는 도 17c에서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서명을 입력하기 위한 영역을 활성화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d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1)은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영역(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멀티 터치에 의해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60)을 아래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해 슬라이드되는 상태 창(status window)(61)에 노크 코드를 입력받기 위한 영역(62)을 포함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한 손가락으로 인디케이터 영역(60)을 드래그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단말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창을 제공하지만, 두 손가락으로 인디케이터(60) 영역을 드래그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비밀 폴더에 진입하기 위한 노크 코드 입력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7e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인디케이터 영역(60)을 하향 드래그하는 입력(T1)을 수신하고, 상태 창(status window, 61)을 슬라이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상태 창(61)이 디스플레이부(151)의 하단 영역으로부터 특정 거리(L1)에 이르는 경우, 진동(vibration)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진동(vibration)은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햅틱 모듈(153, 도 1a 참조)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vibration)은, 상기 상태 창(61)을 다시 상향시킴으로써, 노크 패드(I)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7e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진동이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상향되는 길이(L2)만큼의 노크 패드(I)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노크 패드(I)와 상태 창(61)은 구분되며, 상기 노크 패드(I) 영역을 통해 마이 룸(my room)에 진입할 수 있다.
한편, 도 17e에서는 인디케이터 영역(60)에서 시작된 하향 드래그 입력이 다시 상향 드래그 입력으로 선회하는 지점을 진동(vibration)으로 알려주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선회 지점의 알림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향 드래그 입력이 상기 선회 지점에 이르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 면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7e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인디케이터 영역(60)을 미리 지정된 지점까지 하향시킨 후, 다시 선회하여 상향시킴으로써, 비밀 폴더와 관련된 알림 정보에 접근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60)을 상기 미리 지정된 지점까지 하향시키지 않고서 노크 패드(I)를 활성화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7f를 통해 설명한다.
도 17f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손가락에 의해 인디케이터 영역(60)에 대한 하향 드래그 입력을 유지하다가, 제2 손가락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하향된 상태 창(6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제1 손가락(F1)으로 인디케이터 영역(60)을 아래로 드래그 하는 제1 입력(T1)을 수신한 후, 상기 제1 입력(T1)이 유지된 채 사용자의 제2 손가락(F2)으로 상기 드래그된 지점 근방 혹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하단 영역으로부터 특정 거리(L1) 이내의 임의의 지점을 터치하는 제2 입력(T2)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력(T1)에 의해 슬라이드되어 나타나는 상태 창(status window,61)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상태 정보(status information)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입력(T1)만을 수신하고, 제2 입력(T2)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T1)이 해제되는 경우(드래그 입력의 해제), 상기 상태 창(61)은 원래 상태로 복귀(상향되어 사라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입력(T2)으로 인해, 상기 상태 창(61)을 상기 제2 입력(T2) 지점에 고정시킨 후, 상기 상태 창(61)를 다시 위로 드래그 하는 제3 입력(T3)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3 입력(T3)은 상기 제2 입력(T2) 지점에서 소정의 길이(예를 들어, L3)만큼 위로 드래그하는 입력일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상기 소정의 길이(L3) 만큼에 해당하는 서명 패드(I)가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노크 패드(I) 위로는 상기 상태 창(61)이 표시되어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활성화된 노크 패드(I)에 사용자 서명을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 영역에 마이 룸(my room)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노크 패드(I)에 비밀 폴더와 관련된 알림 정보(91,92)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크 패드(I) 위에 표시된 상태 창(61)은 이동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상태 정보(85,86)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은, 후면 입력 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면 입력 모듈은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후면 입력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음향 출력 모듈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입력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하향된 상태 창(61)의 위치를 상기 후면 입력 모듈(미도시)에 대한 입력을 통해 고정시킬 수도 있다. 즉, 도 33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입력(T1)만을 수신하고, 제2 입력(T2)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전술한 후면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후면 입력이 수신된 시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상태 창(6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60)에 대한 하향 드래그 입력에 따라 하향되는 상태 창(61)을 고정시키는 입력 패턴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17g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단에 인가되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단에 센싱되는 터치에 응답하여 터치 입력에 의해 슬라이드되는 상태 창(status window, 61)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터치가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의 이동에 근거하여 상기 상태 창(61)의 표시 영역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단 일 지점에서 아래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단에서부터 터치가 종료된 위치까지 상기 상태 창(61)의 표시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상태 창(61)이 상단에서부터 내려오는 것처럼 애니메이션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 창(61)에는 이동 단말기의 기본적인 구동을 위하여 필요한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를 온/오프하는 기능일 수 있고, 블루투스를 활성화/비활성화하는 기능일 수 있고, 통신망을 설정하는 기능, 이동 단말기의 설정정보를 변경하는 기능 등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상태 창(61)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태 창(61)이 최초로 표시되기 시작한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단에 터치가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단에 센싱되는 터치에 응답하여 노크 패드(62)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터치가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의 이동에 근거하여 상기 노크 패드(62)의 표시 영역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창들(windows)이 겹겹이 포개지는 듯한 효과를 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노크 패드(62)가 표시된 상태에서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7a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된 터치입력들에 근거하여 마이 룸(my room)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7을 이용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사용자 고유의 노크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비밀 폴더에 보다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부(180)는 상기 노크 패드(I)에 노크 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비밀 폴더에 숨겨진 애플리케이션의 알림 정보를 상기 노크 패드(I)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하지 않고서도, 인디케이터 영역을 활용하여 비밀 폴더에 보관된 아이템들에 대한 다양한 알림 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비밀 폴더에 보관된 아이템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노크 코드 입력을 통해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한 후, 업데이트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함으로써, 업데이트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의 인디케이터 영역을 통해 노크 코드를 입력받는 경우, 전술한 복수의 단계를 생략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을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비밀 폴더와 관련된 알림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비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된 다양한 패턴에 의하여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18a를 참조하면, 제1 터치입력 내지 제4 터치입력(①,②,③,④)이 차례대로 제1분면 → 제3분면 → 제2분면 → 제4분면에 감지되는 경우, 홈 스크린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하나의 노크 코드가 기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비활성화 상태인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상의 영역들 중 기 설정된 패턴에 따른 하나의 영역을 기 설정된 순서의 역순으로 터치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 설정된 노크 코드의 터치 순서와 거꾸로 된 순서로 터치입력들이 인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도 17에서 상술한 마이 룸(my room)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거꾸로 된 순서는 제1 터치입력 내지 제4 터치입력(①,②,③,④)이 차례대로 제4분면 → 제3분면 → 제2분면 → 제1분면에 감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기 설정된 순서로 터치입력들이 인가되면, 잠금해제시 홈 스크린 화면이 표시되고, 기 설정된 순서의 역순으로 터치입력들이 인가되면, 잠금해제시 마이 룸(my room)이 표시된다.
지금까지, 하나의 노크 코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허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패턴에 의하여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비활성화 상태인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패턴들은 각각 서로 다른 실행화면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행화면을 표시하도록 제1 노크 코드가 설정되고, 제2 실행화면을 표시하도록 제2 노크 코드가 설정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패턴들에 의하여 다양한 실시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9는 노크 코드 입력시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대신에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또는 오프된 상태)에서도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인가되는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패턴과 매칭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 중에서 처음 인가된 터치입력과 마지막으로 인가된 터치입력 사이의 시간 차를 이용하여 터치입력들이 인가된 속도를 산출한다.
제어부(180)는 산출된 속도에 근거하여 잠금상태 해제시,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터치입력들이 기준 속도보다 빠르게 인가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하지 않고, 음향 출력부(152, 도 1 참조)를 이용하여 상황정보(context information)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상기 기준 속도보다 빠른 터치입력들이 감지됨에 대응하여, 상황정보(예를 들어, 이벤트 수신정보, 현재 시간정보, 날씨정보, 이동 단말기의 상태정보(배터리, 통신상태, 위치 등))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기준 속도와 동일하거나, 상기 기준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터치입력들이 인가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하고, 상기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대응하는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단말기 본체;
    내부에 구비된 조명이 켜진 활성화된 상태 및 상기 조명이 꺼진 비활성화된 상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전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비활성화 상태인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활성화된 상태로 전환하며,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된 복수의 실행화면들 중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실행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은,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가해진 영역의 위치, 크기,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을 인가한 물체의 종류, 및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 중 마지막 터치입력에 포함된 터치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들이 상기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며 제1 특성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 실행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들이 상기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며 상기 제1 특성과 다른 제2 특성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실행화면과 다른 제2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가해진 영역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실행화면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가해진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1 영역에서 감지되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능이 실행되고, 상기 실행된 기능의 실행화면이 표시되며,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감지되면, 홈 스크린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을 인가한 물체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 중 마지막 터치입력에 포함된 터치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복수의 실행화면들은 다중 사용자에게 각각 설정된 서로 다른 홈 스크린 화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다중 사용자 중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을 수행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홈 스크린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화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 중 마지막 터치입력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해제되지 않고 유지되는 경우, 상기 마지막 터치입력의 터치 지점 주변에 서로 다른 기능에 각각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객체들의 종류는,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객체들은,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하도록 형성되며, 복수 개의 페이지들로 구성된 홈 스크린 화면에서 페이지의 이동에도 동일한 위치에서 고정되어 표시되는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지막 터치 입력으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가상의 영역들로 구획되고,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은 상기 가상의 영역들 중 상기 기 설정된 패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기 설정된 순서에 기반하여 순차적으로 터치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상기 가상의 영역들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감지되는 터치지점에 근거하여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단말기 본체를 내부에 구비된 조명이 켜진 활성화된 상태 및 상기 조명이 꺼진 비활성화된 상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들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비활성화 상태인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활성화된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된 복수의 실행화면들 중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실행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의 특성은,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가해진 영역의 위치,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을 인가한 물체의 종류, 및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 중 마지막 터치입력에 포함된 터치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들이 상기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며 제1 특성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 실행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들이 상기 기 설정된 패턴에 매칭되며 상기 제1 특성과 다른 제2 특성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실행화면과 다른 제2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1 영역에서 감지되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고, 실행된 기능의 실행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들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감지되면, 홈 스크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40040160A 2014-03-13 2014-04-03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116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160A KR20150116037A (ko) 2014-04-03 2014-04-03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4/476,464 US9521241B2 (en) 2014-03-13 2014-09-03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4184068.6A EP2919108B1 (en) 2014-03-13 2014-09-09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410717608.6A CN104915133B (zh) 2014-03-13 2014-12-01 移动终端和控制移动终端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160A KR20150116037A (ko) 2014-04-03 2014-04-03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037A true KR20150116037A (ko) 2015-10-15

Family

ID=51542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160A KR20150116037A (ko) 2014-03-13 2014-04-03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21241B2 (ko)
EP (1) EP2919108B1 (ko)
KR (1) KR20150116037A (ko)
CN (1) CN1049151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8115A (ko) * 2014-02-19 2015-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76365B1 (ko) * 2014-07-14 2020-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6662973B (zh) * 2014-08-22 2020-05-05 Nec显示器解决方案株式会社 图像显示系统、图像控制设备、显示设备和显示控制方法
KR102287099B1 (ko) * 2014-09-22 2021-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접힘 또는 펼침 동작에 의해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KR20160065704A (ko) * 2014-12-01 201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표시 장치 및 방법
CN104580691B (zh) * 2014-12-02 2018-06-1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短信删除方法及终端
JP6497549B2 (ja) * 2015-03-05 2019-04-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タッチ操作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14914B2 (ja) * 2015-06-04 2018-04-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操作画面制御方法
US9922187B2 (en) * 2015-06-08 2018-03-20 American Express Travel Related Services Company, Inc.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touch enabled device
US10409971B2 (en) * 2015-06-11 2019-09-10 Oslabs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secretive storage of applications in portable computing device
US10481645B2 (en) * 2015-09-11 2019-11-19 Lucan Patent Holdco, LLC Secondary gesture input mechanism for touchscreen devices
WO2017051312A1 (en) * 2015-09-21 2017-03-30 Discovery Limited A method of enabling a lock button of a mobile device with an ios operating system to be used by a user to effect an action
US20170091431A1 (en) * 2015-09-26 2017-03-30 Qualcomm Incorporated Secu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ntry on a small touchscreen display
CN105426739A (zh) * 2015-12-10 2016-03-23 温州雏鹰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屏幕解锁方法以及装置
KR102480462B1 (ko) * 2016-02-05 2022-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7139571A1 (en) * 2016-02-11 2017-08-17 Marcio Marc Abreu Enabling and disabling a display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10321399B1 (en) * 2016-04-13 2019-06-11 Cambridge Software, Inc. Activating a function in response to sensor readings
CN105828239A (zh) * 2016-04-27 2016-08-03 黑龙江真美广播通讯器材有限公司 一种球形广播机
US9936389B2 (en) * 2016-08-26 2018-04-03 Rovi Guid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eventing a user input device from controlling user equipment
JP7043166B2 (ja) * 2016-09-21 2022-03-29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
KR20180036169A (ko) * 2016-09-30 2018-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CN106911844A (zh) * 2017-02-21 2017-06-30 北京海杭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安卓客户端基于语音识别的截屏方法
CN107249073A (zh) * 2017-05-17 2017-10-13 福建星网锐捷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安卓设备的事件快速处理方法及安卓设备
AU2017418882A1 (en) * 2017-06-13 2019-12-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EP3617861A4 (en) * 2017-06-30 2020-05-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A GRAPHIC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CN107391021B (zh) * 2017-07-28 2019-09-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黑屏手势的识别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07483721B (zh) * 2017-07-28 2019-10-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黑屏手势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KR20200002610A (ko) * 2018-06-29 2020-01-0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US11269952B1 (en) 2019-07-08 2022-03-08 Meta Platforms, Inc. Text to music selection system
US11210339B1 (en) 2019-08-29 2021-12-28 Facebook, Inc. Transient contextual music streaming
US10911504B1 (en) 2019-08-29 2021-02-02 Facebook, Inc. Social media music streaming
USD924912S1 (en) * 2019-09-09 2021-07-13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775581B1 (en) 2019-09-18 2023-10-03 Meta Platfor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eature-based music selection
US11416544B2 (en) 2019-09-25 2022-08-16 Meta Platfor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ly fetching music content
USD941324S1 (en) * 2019-09-25 2022-01-18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usic fetching
USD941325S1 (en) 2019-09-25 2022-01-18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usic fetching
CN112532792B (zh) * 2020-12-16 2021-10-22 北京中都星徽物流有限公司 一种通过在屏幕手绘图形解锁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21655A (fi) 2002-06-19 2003-12-20 Nokia Corp Menetelmä lukituksen avaamiseksi ja kannettava elektroninen laite
US20050097506A1 (en) * 2003-10-31 2005-05-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irtual desktops and project-time tracking
US7657849B2 (en) * 2005-12-23 2010-02-02 Apple Inc.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KR100842733B1 (ko) * 2007-02-05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사용자인터페이스 방법
US8351989B2 (en) 2007-02-23 2013-01-0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displaying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08138030A1 (en) 2007-05-11 2008-11-20 Rpo Pty Limited User-defined enablement protocol
US8174503B2 (en) 2008-05-17 2012-05-08 David H. Cain Touch-based authentication of a mobile device through user generated pattern creation
US20110300831A1 (en) * 2008-05-17 2011-12-08 Chin David H Authentication of a mobile device by a patterned security gesture applied to dotted input area
CA2739760C (en) 2008-10-06 2016-12-06 Tat The Astonishing Tribe Ab Method for application launch and system function invocation
KR101565768B1 (ko) * 2008-12-23 2015-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잠금 모드 해제 방법 및 장치
KR101564222B1 (ko) * 2009-05-26 2015-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잠금 모드 해제 방법 및 장치
KR101650102B1 (ko) * 2009-09-22 2016-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단말
CN101661373B (zh) * 2009-09-29 2013-02-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通过接触面型进行识别解锁的方法及装置
KR101830651B1 (ko) * 2011-01-04 2018-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US9514297B2 (en) * 2011-03-28 2016-12-06 Ht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gesture lock obfuscation
KR101802759B1 (ko) * 2011-05-30 2017-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JP5799628B2 (ja) 2011-07-15 2015-10-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03160B1 (ko) 2011-10-06 2013-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WO2013076725A1 (en) * 2011-11-21 2013-05-30 N-Trig Ltd. Customizing operation of a touch screen
KR101452565B1 (ko) * 2012-01-19 2014-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의 점진적 잠금 해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US8504842B1 (en) 2012-03-23 2013-08-06 Google Inc. Alternative unlocking patterns
JP5349642B2 (ja) * 2012-04-27 2013-11-20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064628B (zh) * 2013-01-15 2016-01-13 深圳市朵唯志远科技有限公司 一种解锁并启动应用程序的方法及移动智能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64169A1 (en) 2015-09-17
CN104915133B (zh) 2019-05-31
US9521241B2 (en) 2016-12-13
CN104915133A (zh) 2015-09-16
EP2919108B1 (en) 2019-08-14
EP2919108A1 (en)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1241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471270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10174993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975500B1 (en) Mobile terminal, adapted for executing various functions with only one input while a display is in an off state
EP2987244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2016014156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15050A (ko) 반지형 이동 단말기
KR2016000011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35948A (ko) 이동 단말기와 그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KR2016012010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8603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700211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2629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534475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70083268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4313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11441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65038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816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통신 시스템
KR2017000445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3856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250031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10229459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7367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3639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보안 잠금 해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