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213B1 - 스위치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스위치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4213B1 KR101504213B1 KR1020080117734A KR20080117734A KR101504213B1 KR 101504213 B1 KR101504213 B1 KR 101504213B1 KR 1020080117734 A KR1020080117734 A KR 1020080117734A KR 20080117734 A KR20080117734 A KR 20080117734A KR 101504213 B1 KR101504213 B1 KR 1015042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switch
- terminal portion
- portable terminal
- insulat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단자부와,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와 적층되게 배치되고 탄성변형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제2 단자부가 배치되는 중공영역을 한정하고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중공영역을 상기 절연부재의 일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개방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스위치 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스위치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적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디자인적 형태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좀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의 하나로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구현하는 입력장치를 보다 개선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입력장치의 성능 신뢰도가 높은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보다 제조비가 절감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스위치 조립체는 제1 및 제2 단자부와 스위치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단자부는 각각 절연부재의 일면에 형성된다. 스위치는 제1 및 제2 단자부와 적층되게 배치되고, 탄성변형에 의하여 제1 및 제2 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형성된다. 제1 단자부는 제2 단자부가 배치되는 중공영역을 한정하도록 형성된다. 제1 단자부는 적어도 일부에서 중공영역을 절연부재의 일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개방시키도록 형성된다. 제1 단자부는 중공영역을 개방시키는 부분을 복수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2 단자부는 복수의 단자들을 구비하고, 복수의 단자들의 연결경로는 절연부재의 일면을 따라 형성된다. 연결경로는 중공영역을 개방시키는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및 제2 단자부는 각각 복수의 단자들을 구비하고, 제1 및 제2 단자부를 형성하는 각 복수의 단자들의 연결경로는 절연 부재의 일면을 따라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스위치는 돔 형태로 형성된다. 스위치의 가장자리는 제1 단자부에 대응하고, 스위치의 중앙은 제2 단자부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스위치는 제1 단자부와 결합하고, 가압에 의하여 탄성 변형하여 제2 단자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는 절연부재와 결합하고, 가압에 의하여 탄성 변형하여 제1 및 제2 단자부와 각각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구비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며, 조작부는 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조작부 단자들의 연결경로가 동일면을 따라 형성됨으로서 보다 슬림한 전기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가 보다 슬림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경로가 동일면을 따라 형성됨에 따라 심플한 전기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입력장치의 성능 신뢰도가 보다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보다 제조비가 절감되는 휴대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에 대하 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말기가 휴대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따른 구성은 이동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면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모듈(161), 조작부(116,117), 영상 입력부(115,121), 음향 입력부(118),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 센싱유닛(166), 인터페이스(119), 방송수신 모 듈(165), 메모리(164), 전원공급부(120), 제어부(160)을 포함한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무선통신 모듈(161)은 안테나부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6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63)를 포함한다.
조작부(116,117)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60)에 제공한다. 조작부(116,117)는 돔 스위치(dome switch)로 구성된다. 조작부는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영상입력부(115,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
영상입력부(115,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64)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 모듈(16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입력부(118)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16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통신 모듈(161)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6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입력부(118)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14)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16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6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14)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센싱유닛(16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6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19)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119)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19)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64)는 제어부(16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6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 (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수신 모듈(16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6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6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수신 모듈(16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64)에 저장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2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바(bar)' 타입의 단말기 바디(110)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도 2에서 개시된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개의 단말기 바디가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folder)'타입이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드(slide)' 타입 등 다른 타입이나 폼팩터(form factor)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단말기 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111a)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111,111a,112)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 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재질 또는 세라믹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제1 음향출력부(114), 제1 영상입력부(115) 또는 제1 조작부(116)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이 페이퍼(e-paper), TOLED(Transparent OLED) 등을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나 제어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터치감지수단은 윈도우의 내부에 배치되는 투명전극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저항막 방식 또는 정전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영상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프론트 케이스(111) 또는 리어 케이스(11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 조작부(117), 음향 입력부(118), 인터페이스(119)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부(116,117)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거나,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2 조작부(117)는 제1 영상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음향 입력부(118)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19)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119)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12)의 저면에는 제2 영상입력부(141)가 추가 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영상입력부(121)는 제1 영상입력부(115,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입력부(115)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입력부(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입력부(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2)와 거울부(123)가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2)는 제2 영상입력부(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23)는 사용자가 제2 영상입력부(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에는 통화, 블루투스 통신 또는 GPS 통신 등을 위한 안테나부가 구비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12)에는 상기 안테나부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11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0)가 구성된다. 전원공급부(12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 등이 포함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110)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116)는 리어 케이스(112)에 인출 또는 인출된 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단말기 바디(110)의 내부에는 회로기판(130)이 장착된다.
회로기판(130)에는 디스플레이(113a), 스피커(114a) 및 카메라(115a) 등이 장착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113a)를 보호할 수 있도록 투광성 영역을 갖는 윈도우(113b)가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113a)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브라켓(113c)이 결합된다. 브라켓(113c)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13a)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띠 형상의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114a) 및 카메라(115a)는 디스플레이(113a)의 일측에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의 전면에는 스피커(114a) 및 카메라(115a)에 각각 대응하는 음향토출홀(114b) 및 카메라 윈도우(115b)가 형성된다. 스피커(114a) 및 음향토출홀(114b)이 음향 출력부(114, 도 2 참조)로 분류되고, 카메라(115a) 및 카메라 윈도우(115b)가 영상 입력부(115, 도 2 참조)로 분류될 수 있다.
단말기 케이스(111,111a,112)의 일측 구석에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14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회로기판(130)의 하단 후면 쪽에 배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안테나(140)의 급전부(141)는 회로기판(130)에 접 촉되어 연결될 수 있게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회로기판(130)에는 스위치 조립체(150)가 형성되고, 스위치 조립체(150)에 대응하도록 키패드(116a)가 프론트 케이스(111)에 장착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의 전면에는 키패드(116a)가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키패드 설치홀(116b)이 형성된다. 키패드(116a), 키패드 설치홀(116b) 및 스위치 조립체(150)는 조작부(116)로 분류될 수 있다.
스위치 조립체(150)는 스위치(151)와 상기 스위치(151)의 하부에 위치하여 스위치(151)에 의하여 덮여지는 단자부들(152, 153, 도 6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부들(152, 153)은 연결경로(154)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회로기판(130)의 평면도이고, 도 6는 도 4의 라인(Ⅵ-Ⅵ)을 따라 취한 회로기판(130)의 단면도이다.
회로기판(130)은 외관을 형성하는 절연부재(131)에 회로 패턴이 인쇄됨에 의하여 형성된다.
절연부재(131)의 일면에는 제1 및 제2 단자부(152, 153)가 형성되고, 스위치(151)가 제1 및 제2 단자부(152, 153)와 적층되게 배치된다.
스위치(151)는 탄성변형에 의하여 제1 및 제2 단자부(152, 153)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형성된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스위치(151)는 돔 형태로 형성되어 돔 스위치를 이룬다.
스위치(151)는 제1 단자부(152)와 결합하고, 가압에 의하여 탄성 변형하여 제2 단자부(153)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스위치(151)는, 예를 들어 형상을 기억하 는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151)는 가장자리가 제1 단자부(152)에 대응하고, 중앙이 제2 단자부(153)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사용자가 스위치(151)를 아래로 누르면 돔 형태의 스위치(151)는 제1 단자부(152)와 연결된 채로 중앙부분이 하강하여 볼록한 상태에서 오목한 상태로 탄성변형된다. 이를 통하여 스위치(151)는 돔 형태의 내부에 있는 제2 단자부(153)까지 눌려져 제1 및 제2 단자부(152, 153)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스위치(151)는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본래의 볼록한 상태로 복원되고, 제1 및 제2 단자부(152, 153)의 접점은 떨어지게 된다.
제1 단자부(152)는 제2 단자부(153)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2 단자부(153)는, 예를 들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자부(152)는 중공영역(155)을 한정하도록 형성된다. 중공영역(155)에 제2 단자부(153)가 배치된다.
제1 단자부(152)는 적어도 일부에서 중공영역(155)을 절연부재(131)의 일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개방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일 예로, 제1 단자부(152)는 말발굽 모양으로 형성되고, 중공영역(155)의 테두리가 될 수 있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절연부재(131)의 일면에는 중공영역을 개방시키는 부분(156)이 형성된다. 이하 개방시키는 부분(156)은 개구(156)로 약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단자부(152, 153)는 각각 복수의 단자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단자부(152)를 형성하는 복수의 단자들(152a, 152b, 153c, 153d)의 연결경로(154a)는 절연부재(131)의 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자부(153)를 형성하는 복수의 단자들(153a, 153b, 153c, 153d)의 연결 경로(154b)는 제1 단자부(152)의 연결경로(154a)가 형성되는 면의 동일면을 따라 형성되며, 개구(156)를 관통하여 복수의 단자들(153a, 153b, 153c, 153d)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단자들(152, 153)의 연결경로(154a, 154b)가 동일면을 따라 형성됨으로서 보다 슬림하고, 심플한 전기적 연결이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동일면에 형성되는 단자들(152, 153)의 연결경로(154a, 154b)가 서로 다른 면을 통하여 형성된다면,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절연부재(131)의 두께는 두꺼지고, 연결 경로는 복잡해질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하여 제조비가 절감되는 휴대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회로기판(130)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단자부(252)는 개구(256)를 복수로 형성한다. 개구(256)는, 예를 들어 제1 단자부(252)의 상하측에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및 제2 단자부(252, 253)의 전기적 연결 패턴이 보다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자부(253)를 형성하는 복수의 단자들(253a, 253e, 253f, 253g, 253h)의 연결경로(254b)는 개구(256)를 관통하여 제1 단자부(252)의 연결경로(254a)와 수직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도 6의 회로기판(130)에서 스위치 조립체(150)의 변형례들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1 단자부(352)와 스위치(351)는 접착층(358), 예를 들어 접착성이 있는 테이프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를 통하여 스위치(351)가 제1 및 제2 단자부(352, 353)에 대해 들뜨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들뜬 공간을 통하여 제1 및 제2 단자부(352, 353)의 연결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스위치(451)는 절연부재(431)와 결합하고, 가압에 의하여 탄성 변형하여 제1 및 제2 단자부(452, 453)와 각각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451)는 절연부재(431)와 접착층(458)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접착층(458)의 높이는 제1 및 제2 단자부(452, 453)의 높이보다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들뜬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451)는 제1 및 제2 단자부(452, 453) 모두를 전체적으로 둘러싸서 제1 및 제2 단자부(452, 453)가 스위치(451)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스위치(451)는 제1 및 제2 단자부(452, 453)와 각각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스위치(451)의 중앙부가 하강하여 볼록한 형상이 오목한 형상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스위치(451)는 제1 및 제2 단자부(452, 453)에 모두 연결되며 이에 따라 스위치(451)가 제1 및 제2 단자부(452, 453)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준다.
본 변형예에 의한 스위치 조립체(450)는 스위치(451)와 절연부재(431)가 결합되는 부분에 이물질이 끼이거나 스위치(451)에 소성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스위치(451)와 제1 및 제2 단자부(452, 453)의 전기적 접촉에는 영향이 적다. 이를 통하여 스위치 조립체(450)의 스위칭 동작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위치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회로기판의 평면도.
도 6는 도 4의 라인(Ⅵ-Ⅵ)을 따라 취한 회로기판의 단면도.
도 7은 도 4의 회로기판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a 및 도 8b는 도 6의 회로기판에서 스위치 조립체의 변형례들을 나타내는 단면도들.
Claims (9)
- 절연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단자부;상기 제1 단자부와 동일 평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자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 단자부; 및상기 절연부재 상에 형성된 접착층에 형성되고, 탄성변형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상기 제1 단자부는,상기 제2 단자부가 배치되는 중공영역을 한정하고,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중공영역을 상기 절연부재의 일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개방시키도록 형성되고,상기 접착층의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보다 높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를 둘러싸고, 상기 스위치는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에 동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스위치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 단자부는 복수의 단자들을 구비하고,상기 복수의 단자들의 연결경로는 상기 절연부재의 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연결경로는 상기 중공영역을 개방시키는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는 각각 복수의 단자들을 구비하고,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를 형성하는 각 복수의 단자들의 연결경로는 상기 절연부재의 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중공영역을 개방시키는 부분을 복수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조립체.
- 삭제
- 삭제
- 삭제
-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 모듈;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받도록 상기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스위치 조립체를 구비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7734A KR101504213B1 (ko) | 2008-11-25 | 2008-11-25 | 스위치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7734A KR101504213B1 (ko) | 2008-11-25 | 2008-11-25 | 스위치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9087A KR20100059087A (ko) | 2010-06-04 |
KR101504213B1 true KR101504213B1 (ko) | 2015-03-19 |
Family
ID=42360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7734A KR101504213B1 (ko) | 2008-11-25 | 2008-11-25 | 스위치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421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6700Y1 (ko) | 2005-03-25 | 2005-06-16 | 주식회사 두성테크 | 이엘램프시트 돔스위치 |
KR20060073202A (ko) * | 2004-12-24 | 2006-06-28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이동통신단말기용 디스플레이 장치 |
KR100779066B1 (ko) | 2006-05-24 | 2007-11-27 | (주)지엔씨 | 키 패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이용한 키 패드 |
JP2010218878A (ja) * | 2009-03-17 | 2010-09-30 | Citizen Holdings Co Ltd | 入力装置 |
-
2008
- 2008-11-25 KR KR1020080117734A patent/KR10150421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73202A (ko) * | 2004-12-24 | 2006-06-28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이동통신단말기용 디스플레이 장치 |
KR200386700Y1 (ko) | 2005-03-25 | 2005-06-16 | 주식회사 두성테크 | 이엘램프시트 돔스위치 |
KR100779066B1 (ko) | 2006-05-24 | 2007-11-27 | (주)지엔씨 | 키 패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이용한 키 패드 |
JP2010218878A (ja) * | 2009-03-17 | 2010-09-30 | Citizen Holdings Co Ltd | 入力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9087A (ko) | 2010-06-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60382B2 (en) | Portable slid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587138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437991B1 (ko) | 휴대 단말기 | |
KR20090132014A (ko) | 휴대 단말기 | |
KR20110103761A (ko) | 와치형 이동 단말기 | |
US8903459B2 (en) | Connecting terminal for a battery of a mobile terminal | |
KR101688941B1 (ko) |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 | |
KR101578799B1 (ko) | 케이싱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
KR101441922B1 (ko) | 터치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
KR101504213B1 (ko) | 스위치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
KR101502000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726222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561900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02008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463825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604753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463816B1 (ko) |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
KR101404753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53951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789536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570378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622603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87136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452761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495180B1 (ko) |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