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5109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5109A
KR20090065109A KR1020070132553A KR20070132553A KR20090065109A KR 20090065109 A KR20090065109 A KR 20090065109A KR 1020070132553 A KR1020070132553 A KR 1020070132553A KR 20070132553 A KR20070132553 A KR 20070132553A KR 20090065109 A KR20090065109 A KR 20090065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portable terminal
ca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2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7264B1 (ko
Inventor
조중현
주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2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264B1/ko
Priority to US12/337,153 priority patent/US8467833B2/en
Publication of KR20090065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어느 일 단부를 감쌀 수 있게 형성되고 이동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바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제한된 장착 공간에서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최대화시킴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의 새로운 개폐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이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 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디자인 형태로서 폴더 형태, 슬라이드 형태, 바 형태 또는 로테이션 형태의 디자인이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다.
상기 여러가지 형태의 디자인 중 슬라이드 형태의 휴대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바디가 다른 하나의 바디에 얹혀져 서로 슬라이딩 되는 개폐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위한 제한된 장착공간에서의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최대화함과 동시에 새로운 개폐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어느 일 단부를 감쌀 수 있게 형성되고 이동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바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2바디의 이동에 의해 개폐되는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바디의 전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바디의 전면과 후면, 및 하면을 감싸며 상기 제1바디의 좌우 측면을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제2바디에는 조작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는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바디의 전면에 상기 제2영역을 덮을 수 있도록 장착되는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제1바디의 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제1바디에는 상기 제1바디를 관통하는 관통 슬 롯이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관통 슬롯에 삽입되어 이동되며, 상기 관통 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케이스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측판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영역이 닫히면 상기 제1영역에 제1출력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영역이 열리면 상기 제1 및 제2영역에 제2출력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제1바디에 제1바디의 어느 일 단부를 감쌀 수 있게 형성되고 이동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바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제한된 장착 공간에서의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최대화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의 새로운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서로 다른 크기의 출력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개선된 멀티미디어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에서 바 형태와 슬라이드 형태의 디자인을 각각 가지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10)와, 제1바디(1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120)를 포함한다.
제1바디(110)에는 디스플레이(113)가 구비되며, 제2바디(120)는 제1바디(110)의 어느 일 단부를 감쌀 수 있게 형성되고,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디스플레이(113)의 일부 영역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113)의 일부 영역이 제2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디스플레이(113)의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제1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되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113), 제1음향출력부(114), 및 제1영상입력부(115)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하고, 디스플 레이(1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13)는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되는 제1영역(113a)과 제2바디(120)의 이동에 의해 개폐되는 제2영역(11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영상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 또는 리어 케이스(11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1조작부(116)와 인터페이스(117)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인터페이스(117)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17)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117)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또한, 제1바디(110)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8)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18)는 제1바디(11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바디(120)는 제1바디(110)의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제2바디(120)는 제1바디(110)의 전면, 후면, 및 하면을 감싸며, 제1바디(110)의 좌우 측면을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120)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제1바디(110)의 하측 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제1바디(110)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바디(120)는 그 폭이 제1바디(110)의 폭보다 좁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2바디(120)에는 제2조작부(123)와 음향 입력부(124)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조작부(116,123)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16)는 제1영상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될 수 있고, 제2조작부(123)는 시 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거나,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음향입력부(124)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의 후면에는 제2영상입력부(119)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상입력부(119)는 제1영상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15)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119)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영상입력부(119)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31)와 거울부(132)가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31)는 제2영상입력부(119)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32)는 사용자가 제2영상입력부(119)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한편, 제1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에는 제2음향출력부(133)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부(133)는 제1음향출력부(114, 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에서의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제1바디(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덮는 배터리 커버(134)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는 충전 등을 위하여 제1바디(1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의 분해 사시도로서, 구체적으로 제2바디(120)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바디(120)는 제1바디(1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를 포함하며, 프론트 및 리어 케이스(121,122)는 하단부가 절곡된 형태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21)는 디스플레이(113)의 제2영역(113b,도 2 참조)을 덮을 수 있도록 제1바디(110)에 장착되며, 제1바디(110)의 후면에서 배치되는 리어 케이스(122)에 결합된다.
프론트 케이스(121)와 제1바디(110)의 사이에는 이들을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제1슬라이드모듈(140)이 장착되며, 제1슬라이드모듈(140)은 제1고정플레이트(141)와 제1무빙플레이트(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플레이트(141)는 제1바디(110)의 전면에 고정되며, 제1무빙플레이트(142)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그루브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무빙플레이트(142)는 프론트 케이스(121)에 고정되며, 그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이 제1고정플레이트(141)의 가이드 그루브에 삽입되어 제1바디(11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 될 수 있게 결합된다.
리어 케이스(122)와 제1바디(110)의 사이에는 제2슬라이드모듈(143)이 장착되며, 제2슬라이드모듈(143)은 제1슬라이드모듈(140)과 마찬가지로 제2고정플레이트(144)와 제2무빙플레이트(1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고정플레이트(144)는 제1바디(144)의 후면에 고정되고, 제2무빙플레이트(145)는 리어 케이스(122)에 고정된다. 제2무빙플레이트(145)가 제2고정플레이트(144)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1슬라이드모듈(140)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바디(110,120)의 슬라이딩 결합을 위하여 2개의 슬라이드 모듈, 즉 제1 및 제2슬라이드모듈(140,143)이 구비되었으나, 제1 및 제2슬라이드모듈(140,143) 중 어느 하나만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제1 및 제2바디(110,120)를 보다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슬라이드모듈(140,143)을 함께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슬라이드모듈(140,1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탄성력 제공유닛이 장착될 수 있으며, 탄성력 제공유닛은 제2바디(120)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로 상대 이동할 때 제2바디(120)가 반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제2바디(12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에서 제2바디(120)를 일정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일정 거리부터 제2바디(120)는 탄성력 제공유닛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열린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탄성력 제공유닛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 진 자가 충분히 구현할 수 있으므로, 그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1바디(110)의 하측에는 제1바디(110)를 관통하는 관통 슬롯(146)들이 형성되고, 제2바디(120)의 프론트 케이스(121) 좌우 측면에는 관통 슬롯(146)들에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측판(147)들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21)의 측판(147)은 관통 슬롯(146)을 통과하여 리어 케이스(122)에 결합될 수 있다. 측판(147)은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부로서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에 있는 경우 제2바디(120) 좌우 측면의 외관을 구성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 휴대 단말기(100)의 정면도들이고,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 휴대 단말기(100)의 정면도들이다.
제1바디(100)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13)는 닫힌 상태에서는 제1영역(113a, 도 2 참조)에 제1출력화면을 표시하고(도 5a 및 5b 참조), 열린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영역(113a,113b, 도 2 참조)에 제2출력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6a 및 6b 참조)
도 5a 및 5b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바 형태의 휴대 단말기와 동일하게 작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닫힌 상태에 있는 휴대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음성 통화를 하거나 문자 메세지를 송수신하는 등의 휴 대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13)는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제1영역(113a)에 제1출력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도 5a와 같이 제1영역(113a)에는 날짜와 시간을 나타내는 대기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도 5b와 같이 사용자가 제2조작부(123)를 조작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13)의 제2영역(113b)에는 해당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113)의 제1 및 제2영역(113a,113b)에 제2출력화면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방송의 수신 등의 멀티 미디어 기능이 동작 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의 기능들이 동작되는 경우 제2영역(113b)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대화면의 디스플레이(113)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a와 같이, 제2바디(120)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디스플레이(113)의 제1 및 제2영역(113a,113b)에는 사진 및 동영상 촬영, 화상통화, 방송 수신 등의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메뉴나 아이콘 등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제2바디(120)를 열린 상태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113)에 상기 메뉴나 아이콘이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상기 메뉴나 아이콘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113)에는 그에 해당하는 시각 정보가 출력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13)가 터치 스크린 형 태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13)에 표시된 메뉴나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제1 및 제2조작부(116,123)를 조작하여 상기 메뉴나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도 6b는 그 일 예로서 사용자가 DMB 기능에 해당하는 메뉴나 아이콘을 선택하여 방송으로 수신된 화면이 디스플레이(113)에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통신 모듈(151), 조작부(116,123), 영상입력부(115,119), 음향입력부(124), 디스플레이(113), 음향출력부(114,133), 센싱유닛(156), 인터페이스(117), 방송수신모듈(155), 메모리(154), 전원공급부(157), 제어부(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15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무선 통신 모듈(15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5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53)을 포함한다.
영상입력부(115,119)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113)로 출력된다.
영상입력부(115,119)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5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신부(153)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입력부(124)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5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5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입력부(124)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디스플레이(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또한, 디스플레이(113)는 휴대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에 있음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화면, 즉 제1출력화면과 제2출력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도 5a 내지 6b 참조)
조작부(116,12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50)에 제공한다. 조작부(116,123)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113)에 표시되는 화면이 제1 또는 제2출력화면으로 상호 전환되도록 하는 핫 키로써 동작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14,133)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5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5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14,133)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센싱 유닛(156)은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157)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17)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센싱 유닛(156)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113)의 제2영역(113b)의 개폐 상태를 감지한다. 즉 휴대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150)에 인가하며,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113)가 제1 또는 제2출력화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인터페이스(117)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 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17)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54)는 제어부(1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5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5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 수신 모듈(15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33), 디스플레이(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5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5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5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5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57)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 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닫힌 상태에 있는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
도 6a 및 도 6b는 열린 상태에 있는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
도 7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Claims (9)

  1.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의 어느 일 단부를 감쌀 수 있게 형성되고, 이동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바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2바디의 이동에 의해 개폐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바디의 전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바디의 전면과 후면, 및 하면을 감싸며, 상기 제1바디의 좌우 측면을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에는 조작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는 조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바디의 전면에 상기 제2영역을 덮을 수 있도록 장착되는 프론트 케이스; 및
    상기 제1바디의 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제1바디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를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제1슬라이드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와 상기 리어 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제1바디와 상기 리어 케이스를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제2슬라이드모듈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및 제2바디를 반자동으로 슬라이딩시키는 탄성력 제공유닛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에는 상기 제1바디를 관통하는 관통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관통 슬롯에 삽입되어 이동되며, 상기 관통 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케이스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측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영역이 닫히면 상기 제1영역에 제1출력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영역이 열리면 상기 제1 및 제2영역에 제2출력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132553A 2007-12-17 2007-12-17 휴대 단말기 KR101427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553A KR101427264B1 (ko) 2007-12-17 2007-12-17 휴대 단말기
US12/337,153 US8467833B2 (en) 2007-12-17 2008-12-17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553A KR101427264B1 (ko) 2007-12-17 2007-12-17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109A true KR20090065109A (ko) 2009-06-22
KR101427264B1 KR101427264B1 (ko) 2014-08-06

Family

ID=40753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2553A KR101427264B1 (ko) 2007-12-17 2007-12-17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67833B2 (ko)
KR (1) KR101427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62209B (en) * 2008-10-08 2012-04-11 Htc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849570B2 (en) * 2009-03-19 2014-09-30 Microsoft Corporation Projected way-finding
US20100241999A1 (en) * 2009-03-19 2010-09-23 Microsoft Corporation Canvas Manipulation Using 3D Spatial Gestures
US8121640B2 (en) * 2009-03-19 2012-02-21 Microsoft Corporation Dual module portable devices
US20100241987A1 (en) * 2009-03-19 2010-09-23 Microsoft Corporation Tear-Drop Way-Finding User Interfaces
KR101735610B1 (ko) * 2010-05-06 2017-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US8711099B2 (en) * 2010-05-10 2014-04-29 Blackberry Limited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liding display
US8412279B2 (en) * 2010-05-10 2013-04-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US8514179B2 (en) 2010-12-23 2013-08-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age compensating display
US8723890B2 (en) 2010-12-23 2014-05-13 Blackberry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sliding display and position configurable camera
US8532721B2 (en) 2010-12-23 2013-09-10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liding display providing event notification
US8811032B2 (en) 2011-08-05 2014-08-19 Blackberry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EP2555080B1 (en) * 2011-08-05 2013-07-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onic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WO2014014238A1 (en) 2012-07-17 2014-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
US9325816B2 (en) * 2013-08-01 2016-04-26 Htc Corporation Displaying method and portable device
JP1629381S (ko) * 2018-02-05 2019-04-15
JP1646029S (ko) * 2019-04-10 2021-11-08
JP1654802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801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46026S (ko) * 2019-04-10 2021-11-08
JP1654795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799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3668A (ja) * 1996-09-19 1998-04-10 Nec Corp 携帯無線機
US7570922B2 (en) * 2002-08-08 2009-08-04 Rf Check,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radio frequency safety and regulatory compliance at wireless transmission sites
US7388578B2 (en) * 2004-07-01 2008-06-17 Nokia Corporation Touch display PDA phone with slide keypad
KR100678162B1 (ko) * 2004-11-15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겸용 폴딩형 휴대 통신 장치
EP1887761A3 (en) * 2006-08-08 2012-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lidable and rotatable housing covering a qwerty keypad
KR101162215B1 (ko) * 2006-08-22 2012-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US8229525B2 (en) * 2006-09-26 2012-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315961B1 (ko) * 2007-01-18 201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딩커버 구비 이동단말기
US8077854B2 (en) * 2007-03-22 2011-12-13 Htc Corporation Protection cove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356167B1 (ko) * 2007-11-02 2014-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JP2009278411A (ja) * 2008-05-15 2009-11-26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装置
KR101474447B1 (ko) * 2008-07-07 2014-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1587087B1 (ko) * 2008-10-14 201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8326383B1 (en) * 2011-05-24 2012-12-04 Superior Communications Adhesiv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56264A1 (en) 2009-06-18
KR101427264B1 (ko) 2014-08-06
US8467833B2 (en) 201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264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054847A (ko) 휴대 단말기
KR20090118765A (ko) 휴대 단말기
KR20090118766A (ko) 휴대 단말기
KR20090102243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00018389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20031830A (ko) 휴대 단말기
KR20090127633A (ko) 휴대 단말기
KR20100003625A (ko) 기능확장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090102242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022385A (ko) 휴대 단말기
KR20110031793A (ko) 이동 단말기
KR20100030166A (ko) 휴대 단말기
KR20100030970A (ko) 케이싱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0983728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4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사용되는 배터리
KR101545571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102240A (ko) 터치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37972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49B1 (ko) 휴대 단말기
KR20100088983A (ko) 휴대 단말기
KR101570378B1 (ko) 휴대 단말기
KR101587136B1 (ko) 휴대 단말기
KR101587134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092169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