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664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664A
KR20120020664A KR1020100084412A KR20100084412A KR20120020664A KR 20120020664 A KR20120020664 A KR 20120020664A KR 1020100084412 A KR1020100084412 A KR 1020100084412A KR 20100084412 A KR20100084412 A KR 20100084412A KR 20120020664 A KR20120020664 A KR 20120020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dome
contact portion
portable terminal
circuit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8941B1 (ko
Inventor
정재준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4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941B1/ko
Priority to EP11002144.1A priority patent/EP2423935A3/en
Priority to US13/049,064 priority patent/US20120048706A1/en
Priority to CN201110111165.2A priority patent/CN102387227B/zh
Publication of KR20120020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ergonomic functions, e.g. for miniature keyboards; characterised by operational sensory functions, e.g. sound feedback
    • H01H13/8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ergonomic functions, e.g. for miniature keyboards; characterised by operational sensory functions, e.g. sound feedback characterised by tactile feedback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의 상면에 회로를 구성하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돔접점부를 포함하는 회로패턴부와, 상기 회로패턴부의 상면에 적층되고, 상기 돔접점부가 노출되도록 돔 안착홈들을 구비하는 제2기판을 포함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키패드의 슬림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와 관련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와는 다른 형태의 인쇄회로기판의 적층 구조를 가진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쇄회로기판의 슬림(Slim)화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의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제조 공정의 간소화 및 단소화를 이룰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인쇄층 및 절연층을 포함하는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의 상면에 회로를 구성하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돔접점부를 포함하는 회로패턴부와, 상기 회로패턴부의 상면에 적층되고, 상기 돔접점부가 노출되도록 돔 안착홈들을 구비하는 제2기판 및 상기 돔접점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도전성 돔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기판 및 상기 회로패턴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젝트홀(eject hal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2기판에, 복수의 돌접점부가 동시에 노출되도록 상기 돔 안착홈들의 내벽이 서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홈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회로패턴부의 상기 돔접점부의 주위에, 상기 돔 안착홈들의 깊이가 조절되도록 기준면을 제공하는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기판의 상면에 화이트 인쇄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화이트 인쇄층의 상면에 도광필름(light guide film)이 더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도광필름의 일면에는 접착층이 구비되고, 상기 접착층에 상기 도전성 돔들의 상부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기판 또는 제2기판은 연성회로기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쇄층 및 절연층을 적층하여 제1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기판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돔접점부 및 스토퍼를 포함한 회로를 구성하도록 회로패턴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돔접점부 및 스토퍼의 상면에 이형필름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회로패턴부의 상부에 제2기판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돔접점부의 상부에 형성된 제2기판을 상기 돔접점부가 노출되도록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기판을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돔접점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돔접점부의 상부에 형성된 제2기판의 상면을 절단수단을 이용하여 절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기판을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기판의 하부에 상기 돔접점부에 접촉하도록 이젝트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을 관통하도록 돌출되는 수단을 이용하여 밀어냄으로써, 상기 제2기판을 분리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기판을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이젝트홀들의 개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복수의 돔접점부가 동시에 노출되도록 상기 제2기판의 돔 안착홈들을 그루핑(grouping)하여 홈 연장부를 형성한 뒤, 절단수단을 이용하여 홈 연장부를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절단수단으로서, 레이저를 이용하고, 상기 스토퍼는 구리(copper) 재질로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빛의 반사 또는 굴절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2기판의 상면에 화이트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돔접점부에 도전성 돔을 안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화이트 인쇄층 및 상기 도전성 돔의 상면에 도광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제2기판내에 돔 안착홈을 구비하여, 인쇄회로기판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돔 안착홈들을 묶어 홈 연장부를 형성함으로써, 이젝트홀을 최소화하고, 인쇄회로기판의 강성(Stiffness)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5는 도 1의 라인(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휴대 단말기 키패드 및 회로기판의의 부분 사시도.
도 7은 함몰되지 않은 회로기판의 단면구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오목형 회로기판의 키패드 단면구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한 휴대 단말기의 돔접점부와 홀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와 관련한 휴대 단말기의 회로기판의 평면도.
도 11 내지 도 1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도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상면 사시도로서, 도 1은 휴대 단말기가 닫힌 상태이고, 도 2는 휴대 단말기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는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특히, 폭방향(가로방향)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열림상태를 구현하는 예가 제시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길이방향(세로방향)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열림상태를 구현하는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0)가 일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바디(120)의 적어도 일 부분이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바디(110) 및 제2 바디(120)의 베이스(130)에 대한 '이동'으로서 슬라이딩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스윙(swing) 또는 스위블(swivel)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의 상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는 기능이나 부품은 휴대 단말기(100)가 어떠한 기능을 강조하는가 또는 어떤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추구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예가 도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2와 같이 상부 바디(110)의 상면에 디스플레이부(113)를 설치하고, 하부 바디(120)의 상면에 입력이나 제어명령을 위한 제2 조작부(123)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 제1 영상 입력부(115), 제1 조작부(116), 그리고 음향 입력부(117)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TOLED(Transparant OLED) 모듈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통화 연결을 위해, 디스플레이부(113)에는 터치 입력 가능한 숫자 키들이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시에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13)와 연동하는 햅틱 모듈(haptic module)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은 디스플레이부(113)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 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음향 입력부(117)는 마이크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입력부(117)는 디스플레이부(113)를 기준으로 음향 출력부(114)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 바디(120)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23, 도 2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120)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32)는 제2 바디(1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면, 이에 의해, 닫힌 상태(도 1의 상태)에서 제1 바디(110)에 의해 오버랩되는 제2 바디(120)의 전면에 배치된 제2 조작부(123)가 제1 바디(110)에 대하여 노출된다.
노출된 제2 조작부(123)의 키들은 디스플레이부(113)에서 출력되는 내용과 관련한 입력을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조작부(123)가 언어키(한글 자음 및 모음/영어 알파벳 등) 및 숫자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언어키는 쿼티(QWERTY) 배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언어키가 쿼티 배열을 이루도록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영문으로 문자, 메모, 이메일 등을 쉽게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제2 조작부(123)가 터치 스크린이라면, 터치 스크린의 노출된 부분에는 키들로서 기능키의 아이콘이 터치 입력 가능한 상태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3)에 동영상이 출력되는 경우라면, 기능키들은 일시정지, 재생, 뒤로, 앞으로, 재생 목록 등과 같은 기능의 구현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제2 바디(120)의 전면에 제2 조작부(123)가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바디(12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13)와 연동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100)이 배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2 바디(120)의 주면과 평행한(마주하는) 측면에는 제3 조작부(124), 인터페이스(126)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16,123,124)는 사용자 입력부(user input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1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3 조작부(124)는 제1 영상 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제2 바디(120)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7)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에는 또한 제2 영상 입력부(1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제1 영상 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 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 입력부(1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9)와 거울부(130)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129)는 제2 영상 입력부(1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30)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부(1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 음향 출력부(1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31)는 제1 음향 출력부(1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영상 입력부(128) 등이 리어 케이스(1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 입력부(128) 등과 같이 리어 케이스(1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28 내지 13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10), 주로는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1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영상 입력부(1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 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 입력부(1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바디(110)의 슬라이딩 시에 제2 바디(120)는 슬라이딩 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는 슬라이드 모듈(360, 도 3 참조)에 의해 연결된다. 슬라이드 모듈(360)은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 사이에서 제1 바디(110)를 제2 바디(120)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도록 형성된다.
제1 바디(110)가 보다 많이 슬라이딩되면, 제2 바디(120)의 전면의 노출되는 면적이 보다 넓어지게 된다. 노출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단말기의 하드웨어적 기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작부(123, 도 2 참조)의 언어키 및 숫자키가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으로 설명하나, 그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통신 모듈(191), 사용자 입력부(116,123,124), 영상 입력부(115,128), 음향 입력부(117),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131), 센싱유닛(196), 인터페이스(126), 방송 수신 모듈(195), 메모리(194), 전원공급부(127),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19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통신 모듈(19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9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93)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116,123,1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영상 입력부(115,1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15,1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9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19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117)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91)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9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117)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14,13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9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9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센싱 유닛(196) 휴대 단말기(100)의 닫힘 또는 열림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9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7)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126)는 휴대 단말기(100)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94)는 제어부(19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9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9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수신 모듈(19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31),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9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9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9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9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27)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도 5는 도 1의 라인(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휴대 단말기 키패드의 부분 사시도이다.
상기 키패드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의 하나로서 도전성의 금속 돔의 탄성을 이용한다. 금속 돔은 회로기판(240)에 형성되는 어느 한 접점과 다른 접점을 연결시킴으로써 입력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도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는 제1바디(110) 또는 제2바디(120)내에 회로기판(240)이 삽입되고, 키탑(210)이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키탑(210)은 엑츄에이터(220)에 의해 회로기판(240)의 접점부와 접촉하는 도전성 돔(230)과 연결되어 있어, 키탑(210)이 압력을 받아 눌러지면, 엑츄에이터(220)에 의해 도전성 돔(230)이 접점부와 접촉하고, 전기적 신호가 회로기판(240) 내로 전달된다.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제조와 조립을 단순화시키기 위하여 회로기판(240)은 연성회로기판 타입으로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부분의 두께를 더욱 감소시키고자, 도전성 돔(230)이 회로기판(240) 내의 홈으로 좀 더 안착되도록 하는 회로기판(240)의 적층 형태를 후술하기로 한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단말기의 회로기판의 적층 형태를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도 7은 함몰되지 않은 회로기판의 단면구조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오목형 회로기판의 단면구조이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함몰되지 않은 회로기판은 키패드로서 키탑(210)과 엑츄에이터(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시트(351) 및 제2시트(352)에 의해 회로기판(341,343)에 부착된 도전성 돔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며, 회로기판(341,343)은 접점부(342)와 결합하여 도전성 돔이 안착되도록 되어 있다.
도 8에서는 제1기판(241)과 제2기판(243) 사이에 도전성 돔(230)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회로패턴부(242)가 있으며, 화이트 인쇄층(252)이 제1기판(241)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이트 인쇄층(252) 및 도전성 돔(230)의 상면에 도광필름(251)이 부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오목형 회로기판은 함몰되지 않은 회로기판(240)에 비하여 일정 깊이 이상의 슬림(Slim)화를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오목형 회로기판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240)은 복수의 인쇄층 및 절연층이 적층되는 제1기판(241)과 돔 접점부(242a, 242b)가 노출되도록 돔 안착홈(244)을 구비하는 제2기판(243)을 포함한다. 제1기판(241)의 상면에는 도전성 돔(230)의 가장자리 부분이 접촉되기 위한 제1접점부(242a)와, 도전성 돔(230)의 가운데 부분이 접촉되는 제2접점부(242b)를 포함하는 회로패턴부(242)가 형성된다. 또한, 제1기판(241)에는 제2접점부(242b)를 제공하기 위한 도전성 플레이트가 부착될 수 있다. 도전성 플레이트는 회로기판(24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을 갖는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전성 돔(230)이 눌려지면, 돔의 가운데 부분이 돔 안착홈(244)의 내부까지 변형되고, 돔의 가운데 부분이 도전성 플레이트에 접촉하여 휴대 단말기의 입력 작용이 발생한다. 또한, 제2접점부(242b)는 클릭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돔 안착홈(244)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돔 접점부(242a, 242b)와 이젝트홀(271)을 도시하였다.
오목형 회로기판은 제1기판(241) 및 회로패턴부(242)를 관통하는 이젝트홀(Eject hall, 27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조공정의 간소화 및 단순화를 위하여, 제2기판(243)을 가공한 후 제1기판(241)의 하부로부터, 이젝트홀(271)을 관통하도록 돌출하는 수단(푸쉬바, 272)을 이용하여 가공된 제2기판(243)의 일부를 밀어냄으로써 제2기판(243)에 돔 안착홈(244)들이 형성된다.
회로기판(240)에 이젝트홀(271)들이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회로기판(240)의 강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이젝트홀(271)들의 개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젝트홀(271)들은 가공되는 제2기판(243)을 제1기판(24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데, 필요한 것이므로, 돔 안착홈(244)들의 내벽을 서로 연결하여 복수의 돔 안착홈(244)들을 하나로 그루핑(Grouping)하여,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홈 연장부(245)를 형성한다. 홈 연장부(245)를 둠으로써, 최소한의 이젝트홀(271)만을 사용하여 복수의 돔 안착홈(244)들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의 간소화와 회로기판(240)의 강성 저하 방지를 달성할 수 있다.
제2기판(243)의 상면에는 화이트 인쇄층(25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의 제2시트에 대응하는 구성인데, 제2시트는 접착층과 인쇄된 시트를 포함하는 데 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2기판(243)의 상면에 바로 인쇄를 하는 방식을 취하여 회로기판(240)의 두께를 좀 더 줄일 수 있다.
또한, 제2기판(243) 및 도전성 돔(230)의 상면에는 키의 입력시 입력에 따라 빛을 발하도록 상기 빛의 전반사 또는 굴절이 이루어지게 하는 도광필름(Light guide film, 251)이 부착된다. 도광필름(251)의 일면에는 접착층이 구비되어 도전성 돔(230)들의 상부가 부착된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오목형 회로기판의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하나 또는 복수의 인쇄층 및 절연층을 적층하여 제1기판(241)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기판(241)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돔 접점부(242a, 242b) 및 스토퍼(261)를 포함한 회로를 구성하도록 회로패턴부(242)를 형성하고, 상기 돔 접점부(242a, 242b) 및 스토퍼(261)의 상면에 후술하는 제2기판(243)이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이형필름을 부착한다. 이후, 상기 회로패턴부(242)의 상부에 제2기판(243)을 적층하고, 상기 돔 접점부(242a, 242b)의 상부에 형성된 제2기판(243)을 상기 돔 접점부(242a, 242b)가 노출되도록 가공한다.
돔 접점부(242a, 242b)는 노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야 하므로, 제2기판(243)을 절단수단을 이용하여 절단한 후 분리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절단수단으로서는 레이저를 이용하고, 레이저 스토퍼로서 구리를 사용하여 회로패턴부(242)에 스토퍼(261)를 형성한 후, 제2기판(243)상의 임의의 부분을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절단된 제2기판(243)의 일부를 분리하는 과정이 문제될 수 있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기판(241)의 하부에 이젝트홀(271)을 형성하고, 홀을 관통하는 수단(푸쉬바, 272)을 이용하여 이젝트홀(271)을 통해 제2기판(243)을 상부를 향하여 밀어냄으로써 절단된 제2기판(243)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240)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젝트홀(271)의 개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2기판(243)울 가공하는 단계에서, 돔 안착홈(244)들을 그루핑하여 복수의 홈들을 묶어서 홈 연장부(245)를 형성하도록 한다.
돔 접점부(242a, 242b)의 가공 이후에는 제2기판(243)의 상면에 화이트 인쇄층(252)을 형성한 후, 돔 안착홈(244)에 도전성 돔(230)을 안착시킨다. 마지막으로, 화이트 인쇄층(252) 및 도전성 돔(230)의 상면에 도광필름(251)층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6)

  1. 인쇄층 및 절연층을 포함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의 상면에 회로를 구성하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돔접점부를 포함하는 회로패턴부;
    상기 회로패턴부의 상면에 적층되고, 상기 돔접점부가 노출되도록 돔 안착홈들을 구비하는 제2기판; 및
    상기 돔접점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도전성 돔들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 및 상기 회로패턴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젝트홀(Eject hal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제2기판에,
    복수의 돌접점부가 동시에 노출되도록 상기 돔 안착홈들의 내벽이 서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홈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패턴부의 상기 돔접점부의 주위에,
    상기 돔 안착홈들의 깊이가 조절되도록 기준면을 제공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의 상면에 화이트 인쇄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 인쇄층의 상면에 도광필름(light guide film)이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필름의 일면에는 접착층이 구비되고, 상기 접착층에 상기 도전성 돔들의 상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 또는 제2기판은 연성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쇄층 및 절연층을 적층하여 제1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기판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돔접점부 및 스토퍼를 포함한 회로를 구성하도록 회로패턴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돔접점부 및 스토퍼의 상면에 이형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회로패턴부의 상부에 제2기판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돔접점부의 상부에 형성된 제2기판을 상기 돔접점부가 노출되도록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을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돔접점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돔접점부의 상부에 형성된 제2기판의 상면을 절단수단을 이용하여 절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을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기판의 하부에 상기 돔접점부에 접촉하도록 이젝트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을 관통하도록 돌출되는 수단을 이용하여 밀어냄으로써, 상기 제2기판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을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이젝트홀들의 개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복수의 돔접점부가 동시에 노출되도록 상기 제2기판의 돔 안착홈들을 그루핑(grouping)하여 홈 연장부를 형성한 뒤, 절단수단을 이용하여 홈 연장부를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으로서, 레이저를 이용하고, 상기 스토퍼는 구리(copper)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빛의 반사 또는 굴절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2기판의 상면에 화이트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돔 안착홈에 도전성 돔을 안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 인쇄층 및 상기 도전성 돔의 상면에 도광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
KR1020100084412A 2010-08-30 2010-08-30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 KR101688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412A KR101688941B1 (ko) 2010-08-30 2010-08-30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
EP11002144.1A EP2423935A3 (en) 2010-08-30 2011-03-15 Portable terminal
US13/049,064 US20120048706A1 (en) 2010-08-30 2011-03-16 Portable terminal
CN201110111165.2A CN102387227B (zh) 2010-08-30 2011-04-29 便携式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412A KR101688941B1 (ko) 2010-08-30 2010-08-30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664A true KR20120020664A (ko) 2012-03-08
KR101688941B1 KR101688941B1 (ko) 2016-12-22

Family

ID=45326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412A KR101688941B1 (ko) 2010-08-30 2010-08-30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048706A1 (ko)
EP (1) EP2423935A3 (ko)
KR (1) KR101688941B1 (ko)
CN (1) CN1023872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5519A1 (ja) * 2012-02-23 2013-08-29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表示装置、電子機器、および携帯端末
US9443672B2 (en) 2012-07-09 2016-09-13 Apple Inc. Patterned conductive traces in molded elastomere substrate
JP5933035B2 (ja) * 2012-12-26 2016-06-08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0564672B1 (en) * 2018-08-10 2020-02-18 Google Llc Electronic sub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9979A1 (en) * 2001-10-31 2003-05-01 Shuji Teruyama Switch
JP2009164114A (ja) * 2007-12-11 2009-07-23 Panasonic Corp 導光機能付き可動接点体とそれを用いて構成した照光パネル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3529U (ja) * 1982-02-16 1983-08-2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キ−ボ−ドスイツチ
US4463234A (en) * 1983-11-02 1984-07-31 Centralab Inc. Tactile feel membrane switch assembly
GB8423358D0 (en) * 1984-09-15 1984-11-07 Motorola Israel Ltd Flat membrane key and keyboard
US5149923A (en) * 1991-03-15 1992-09-22 Lucas Duralith Corporation Backlit tactile keyboard with improved tactile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JPH0629677A (ja) * 1992-07-10 1994-02-04 Fujitsu Ltd スイッチ基板ユニット
US5561278A (en) * 1994-09-16 1996-10-01 Rutten; Phillip Membrane switch
DE19935528A1 (de) * 1999-07-28 2001-02-08 Giesecke & Devrient Gmbh Tastschalter für Chipkarten
US6617536B2 (en) * 2000-11-29 2003-09-09 Yazaki Corporation Dome switch
US20120222947A1 (en) * 2011-03-01 2012-09-06 Hsin-Chung Chang Keypad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9979A1 (en) * 2001-10-31 2003-05-01 Shuji Teruyama Switch
JP2009164114A (ja) * 2007-12-11 2009-07-23 Panasonic Corp 導光機能付き可動接点体とそれを用いて構成した照光パネル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8941B1 (ko) 2016-12-22
EP2423935A3 (en) 2013-05-08
US20120048706A1 (en) 2012-03-01
EP2423935A2 (en) 2012-02-29
CN102387227B (zh) 2014-05-28
CN102387227A (zh)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392B1 (ko) 휴대 단말기
KR101437991B1 (ko) 휴대 단말기
KR20100003625A (ko) 기능확장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88941B1 (ko)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
KR101578799B1 (ko) 케이싱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090027514A (ko) 안테나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설정방법
KR10186977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키 패드 제조방법
KR101441922B1 (ko) 터치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61900B1 (ko) 휴대 단말기
KR101610206B1 (ko) 이동 단말기
KR101726222B1 (ko) 이동 단말기
KR101502000B1 (ko) 휴대 단말기
KR101504213B1 (ko) 스위치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70378B1 (ko) 휴대 단말기
KR101595362B1 (ko) 휴대 단말기
KR101604714B1 (ko) 휴대 단말기
KR101553951B1 (ko) 휴대 단말기
KR20100131831A (ko) 휴대 단말기
KR101513618B1 (ko) 휴대 단말기
KR101622603B1 (ko) 휴대 단말기
KR101427274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092169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120038841A (ko) 이동 단말기
KR20110062571A (ko) 이동 단말기
KR20100039741A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