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6595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6595A
KR20100046595A KR1020080105503A KR20080105503A KR20100046595A KR 20100046595 A KR20100046595 A KR 20100046595A KR 1020080105503 A KR1020080105503 A KR 1020080105503A KR 20080105503 A KR20080105503 A KR 20080105503A KR 20100046595 A KR20100046595 A KR 20100046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unit
sensor
terminal body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5486B1 (ko
Inventor
유선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5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486B1/ko
Priority to US12/571,293 priority patent/US8280363B2/en
Priority to EP09012538.6A priority patent/EP2180675B1/en
Priority to CN2009102075302A priority patent/CN101729670B/zh
Publication of KR20100046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0Mixing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an operation, e.g. adding, o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적어도 일 영역을 조명하며, 복수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갖는 빛을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조명부와; 상기 단말기 바디 주변의 사물이 갖는 색상을 센싱하는 컬러 센서; 및 상기 조명부가 상기 센싱된 색상의 빛을 발광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조명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 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발맞추어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가 갖는 본연의 기능 이외에도 휴대 단말기가 갖는 외형, 유저 인터 페이스 등에 있어 사용자에게 보는 재미를 제공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광센서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에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사용자에게 보는 재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적어도 일 영역을 조명하며, 복수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갖는 빛을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조명부와; 상기 단말기 바디 주변의 사물이 갖는 색상을 센싱하는 컬러 센서; 및 상기 조명부가 상기 센싱된 색상의 빛을 발광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 바디는, 프론터 바디와; 및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되는 열린상태와 상기 프론트 바디에 의하여 가려지는 닫힌 상태를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리어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조명부가 구비되며, 상기 리어 바디의 적어도 일영역은 상기 조명부의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바디에는 터치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는 투광성 재질의 조작부를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바디는 특정 색상을 갖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시각 정보의 출력 색상을 상기 센싱된 색상으로 가변 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광센서를 갖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적어도 일 영역을 조명하며, 복수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갖는 빛을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조명부; 및 상기 광센서의 센싱 결과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조명부가 발광하는 빛의 색상을 가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며,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단말기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단말기 바디 주변의 사물이 갖는 색상을 센싱하는 컬러 센서; 및 상기 시각 정보의 출력 색상을 상기 컬러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색상으로 가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컬러 센서, 조도 센서,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조명, 디스플레이의 출력 색상을 변화시킴으로써, 휴대 단말기에 다양한 시각적 휴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 바디의 일 영역을 투광성으로 형성시켜 휴대 단말기의 미관을 현저히 개선시킴과 아울러 조작부 내에 다양한 조명효과나 시각효과를 부여함으로써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사용자에게 보는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하면, 열린 상태에서 바디들 간의 단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를 구현함으로써 소형화되고 슬 림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닫힌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열린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서로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론트 바디(101)와 리어 바디(102)를 포함한다.
리어 바디(102)의 일부분이 전방으로 노출된 도 2와 같은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바디(102)의 노출되었던 일부분이 도 1과 같이 프론트바디(101)에 의하여 가려진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1)와 리어 바디(102)는 각각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중첩된 상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도 4 또는 도 5과 같이 리어 바디(102)와 프론트바디(101)는 '⊂'자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열린 상태에서 프론트 바디(101)의 전면과 리어 바디(102)의 전면 사이의 단차, 또는 프론트바디(101)의 후면과 리어바디(102)의 후면 사이의 단차가 생기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폼팩터(form factor)를 구성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열린 상태에서 통화 모드, 편집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일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프론트바디(101)와 리어바디(102)에 각각 배치될 수 있는 기능이나 부품은 휴대 단말기(100)가 어떠한 기능이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주로 의도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프론트바디(101)에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제1조작부(131) 및 제1영상입력부(121)가 배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프론트바디(101)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으로 불려질 수 있다)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케이스는 투광성으로 형성됨으로써 내부의 장착될 수 있는 조명 또는 시각적 요소가 보여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제1조작부(131)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제1조작부(131)는 휴대 단말기(100)가 열린상태 또는 닫힌상태와 관계없이 항상 노출된다. 이와 같이 항상 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조작부(131)가 조작되면,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되거나, 휴대 단말기(100)의 임의의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제1조작부(131)는 터치방식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터치를 위한 터치감 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조작부(131)는 사용자의 입력 동작에 응하여 다양한 조명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조명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소자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이 페이퍼(e-paper), TOLED(Transparent O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그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부(151)는 숫자 또는 문자의 입력이나 아이콘화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키패드 형상을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키패드에 대한 터치를 통하여 입력을 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152)는 통화음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외에 음향출력부(152)는 시스템의 각종 알림음 또는 멀티미디어의 재생음 등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역할을 겸하거나, 별도의 스피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영상입력부(121)는 자기촬영(셀프 카메라) 또는 화상통신시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1)의 전면에는 특정 사물이 휴대 단말기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것을 센싱하는 근접센서(142)와, 휴대 단말기 주변의 밝기를 센싱하는 조도 센서(143)가 장착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2)는 사용자의 얼굴이 휴대 단말기로부터 일정 이내로 근접하는 것을 센싱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이 휴대 단말기로부터 일정 이내로 근접하였을 때 휴대 단말기의 터치 인식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1조작부(131)가 사용자의 얼굴에 닿음으로써 정보가 오입력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조도 센서(143)는 단말기 바디(110)의 주변 밝기를 센싱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의 밝기를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론트바디(101) 또는 리어바디(102)의 측면에는 제2조작부(13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조작부(132)는 영상입력부(121,123)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제2조작부(132) 또한,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또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열린 상태에서 리어바디(102)의 노출되는 부분은 투광성 영역(105)과 그렇지 않은 불투광성 영역(106)을 포함할 수 있다. 투광성의 영역(105)에는 조작에 의하 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형성되는 제3조작부(133)가 배치된다.
제3조작부(133)는 복수의 숫자, 문자 또는 기호(135, 이하 "숫자 등"이라 한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숫자 등(135)은 조명에 의하여 식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열린 상태를 보인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론트 바디(101)의 후면에는 제2영상입력부(123) 및 배터리(190)가 장착될 수 있다. 제2영상입력부(123) 및 배터리(190)는 리어 바디(102)를 이루는 커버부(104)에 의하여 닫힌 상태에서는 가려지며, 열린 상태에서는 제2영상입력부(123)가 노출된다.
제2영상입력부(123)는 제1영상입력부(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123)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영상입력부(123)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5)와 거울부(124)가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5)는 제2영상입력부(123)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24)는 사용자가 제2영상입력부(123)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2영상입력부(123)의 일측에는 특정 사물의 색상을 센싱하기 위한 컬러 센서(141)가 장착될 수 있다. 컬러 센서(141)는 특정 파장의 빛을 사물에 주사한 후 사물에 반사된 빛의 파장을 측정함으로써 사물의 색상을 센싱한다.
배터리(190)는 충전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프론트 바디(101)로부터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리어바디(102)를 이루는 커버부(104)는 배터리(190)의 장착을 위하여 열림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90)는 배터리셀과 프론트 바디(101)의 후면 형상을 갖는 팩킹(packing) 부재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투광성으로 이루어진 커버부(104)에 의하여 배터리(190)가 외부에서 보여질 때 미관의 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4 및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단면도들이다. 도 4는 휴대 단말기(100)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도 5는 휴대 단말기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리어 바디(102)는 서로 결합되는 슬라이드부(103) 및 커버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부(103) 및 커버부(104) 중 적어도 하나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따.
슬라이드부(103)는 프론트 바디(101)에 슬라이드되어 프론트바디(101)에 수용되거나 프론트 바디(101)로부터 인출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커버부(104)는 후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된다.
프론트 바디(101)에는 슬라이드부(103)가 수용될 수 있게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홀(107)이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드부(103)는 닫힌 상태일 때 슬라이드 홀(107)에 수용됨으로써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이러한 프론트 바디(101)의 형상과 배치는 프론트바디(101)의 두께와 휴대 단말기(100)의 전체 두께와의 차이가 커지는 것을 최소화시키고, 열린 상태에서 프론트 바디(101)와 리어 바디(102) 사이에 발생하는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1)와 리어 바디(102) 사이에는 프론트 바디(101)가 리어 바디(102)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동안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탄성모듈은 프론트 바디(101)와 슬라이드부(103) 사이에 배치되거나, 프론트 바디(101)와 커버부(10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 바디(102)에는 닫힌 상태에서 프론트바디(101)의 배터리(190)가 수용될 수 있게 수용홀(108)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홀(108)은 열린 상태에서 프론트 바디(101)의 배터리(190)가 프론트바디(101)와 함께 이동됨으로써 비어 있는 상태가 된다. 제3조작부(133)와 커버부(104)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제3조작부(133) 또는 커버부(104)를 통하여 반대쪽의 사물을 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투광성'은 '완전 투광성' 또는 '반투광성'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3조작부의 일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조작부(133)는 투광성의 보호층(133a)과, 투광성 보호층(133a)의 내측에 배치되는 투광성의 터치감지층(133b)을 포함한다. 투광성의 보호층(133a)은 투명한 재질의 PC(Poly Carbonate)와 같은 합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다. 보호층(133a)은 터치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정도의 두 께 및 강도를 보유할 수 있다.
터치감지층(133b)은 투광성의 필름에 ITO(Indum Tin Oxide)와 같이 투광성의 전도성 패턴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감지층(133b)은 정전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사물의 근접을 감지하거나, 보호층(133a)을 누르는 압력(pressure)의 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시키는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감지층(133b)의 내측에는 투광성 보호층(133a) 및 터치감지층(133b)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투광성의 강화 유리층(133c)이 포함된다. 강화 유리층(133c)은 충분히 얇은 두께로 제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 강성(rigidity)에 의하여 투광성 보호층(133a)의 변형에 의한 왜곡을 줄인다.
강화 유리층(133c)에는 도 2와 같이 키(key)를 나타내는 숫자 등(13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숫자 등(135)은 강화 유리층(133c)의 표면에 입체적으로 새기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나아가, 숫자 등(135)는 투광성의 디스플레이 소자, 예를 들어, 액정(Liquid Crystal), Toled(Transparent Organic LED), 이-페이퍼(e-paper) 등의 출력 내용의 하나가 될 수 있다.
강화 유리층(133c)의 일측에는 조명부(136)이 구비될 수 있으며, 조명부(136)는 리어 바디(102)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조명부(136)는 강화 유리층(133c)를 조명함으로써, 사용자가 리어 바디(102)를 통과하는 빛을 식별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숫자 등(135)이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한다.
조명부(136)는 복수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갖는 빛을 선택적으로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조명부(135)는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의 색상을 갖는 빛들을 적절히 혼합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의 빛을 구현할 수 있다. 조명부(135)는 후술하는 제어부(180, 도 23 참조)의 제어에 의하여 다양한 색상의 빛 중 하나의 색상의 빛을 선택적으로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조명부(135)는 RGB LED(RGB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점광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강화 유리층(133c)의 일측의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조명부(136)에서 나온 빛은 강화 유리층(133c)의 내부에서 반사에 의하여 이동하다가 숫자 등(135)에 이르러 난반사된다. 이에 의하여 숫자 등(135)이 다른 부위에 비하여 밝게 빛남으로써 숫자 등(135)이 용이하게 식별된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투광성 입력부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조작부(133)는 투광성의 강화 유리층(133c) 및 강화 유리층(133c)의 내측에 배치되는 터치감지층(133b)을 포함하고 있다. 즉, 도 6과는 달리, 강화 유리층(133c)이 직접 바깥쪽으로 노출되게 설치됨으로써 투광성 입력부(133)의 표면을 보호하고 외력에 대해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한 것이다. 강화 유리층(133c)에 숫자, 문자 또는 기호가 새겨질 수 있으며, 이들은 강화 유리층(133c)의 일측에 배치되는 조명부(136)에 의하여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다.
도 6 및 7에 개시되어 있는 제3조작부(133)의 구성은 도 1 내지 3의 제1조작부(131)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명부(136)는 프론트 바디(101)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조작부(131)를 다양한 색상의 빛으로 조명한다.
도 8 및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의 일예를 보인 도면 들이다.
도 8과 같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의 컬러 센서(141)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 주변에 있는 사물의 색상, 예를 들어 옷(10)의 색상(color 1)이 휴대 단말기(100)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컬러 센서(141)는 특정 파장의 빛을 옷(10)에 주사한 후 반사된 빛의 파장을 측정함으로써 옷(10)의 색상(color 1)을 센싱한다.
컬러 센서(141)는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31,132,133)를 통하여 해당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 단말기에서 색상 입력을 위한 모드가 실행됨에 따라, 컬러 센서(141)가 옷(10)의 색상(color 1)을 센싱하게 된다.
도 9와 같이, 제3조작부(133)는 컬러 센서(141)가 센싱한 색상(color 1)의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컬러 센서(141)가 센싱한 색상 정보를 기초로 조명부(136)가 옷(10)과 동일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도록 조명부(136)를 제어한다. 휴대 단말기가 옷(10)에 놓여 있는 경우, 조명부(136)는 옷의 색상(color 1)과 동일한 빛의 색상을 발광할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투광성 재질의 제3조작부(133)를 통하여 조명부(136)가 발광하는 빛의 색상을 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컬러 센서(141)가 동작될 때마다 조명부(136)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 센서(141)가 여러번 동작되어 서로 다른 색상들이 감지되는 경우, 조명부(136)는 컬러 센서(141)가 동작될 때마다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조작부(131,132,133)를 통하여 특정 명령을 입력 받았을 때에만 조명부(136)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12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특정 색상을 갖는 시각 정보가 출력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180)는 시각 정보의 출력 색상을 컬러 센서(141)에 의해 센싱된 색상으로 가변시키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제어부(180)에 의하여 가변될 수 있는 시각 정보들의 일 예들을 보이고 있다.
도 10은 디스플레이부(151)에 대기 화면이 출력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대기 화면에는 시각 및 날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151a)이 표시된다. 대기 화면은 특정 색상을 가지도록 구현된다.
도 8의 설명과 같이 컬러 센서(141)가 옷(10)의 색상(color 1)을 센싱하면, 제어부(180)는 이를 근거로 대기 화면의 색상이 옷(10)의 색상(color 1)과 동일한 색상으로 변화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대기 화면은 컬러 센서(141)가 동작할 때마다 주변 색상과 동일한 색상을 갖도록 동작될 수 있다.
도 11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특정한 작동 모드를 실행시키기 위한 아이콘(151b)들이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아이콘(151b)들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거나 조작부(131,132,133)를 이용하여 선택하면, 해당 작동 모드가 실행되게 된다. 이러한 아이콘(151b)들 또한 도 10의 대기화면과 마찬기지로 컬러 센서(141)에 의하여 센싱된 색상과 동일한 색상(color 1)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은 아이콘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에 선택 가능하게 출력된 메 뉴 또는 리스트의 색상에도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2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메시지 전송을 위해 문자, 숫자 등을 입력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출력창(151c)이 표시되고, 출력창(151c)에는 제3조작부(133)를 통해 입력된 문자, 숫자, 기호 등(151d, 이하 문자 등)이 출력된다. 문자 등(151)은 미리 설정된 색상(예를 들어, 검은색)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컬러 센서(141)가 동작함에 따라 옷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에는 무선 신호의 송수신 감도를 나타내는 그래픽(151e), 배터리(190)의 충전 잔량을 나타내는 그래픽(151f), 시각 정보를 나타내는 수치(151g), 현재 작동 중인 작동 모드(예를 들어 진동 모드)를 나타내는 그래픽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그래픽 또는 수치들(151e~151g) 또한 컬러 센서(141)에 의해 센싱된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컬러 센서(141)에 의해 센싱된 색상(color)은 메모리(160, 도 23 참조)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60)에 저장딘 색상(color 1)은 사용자에 의하여 로딩될 수 있으며, 이상에서 설명된 시각 정보들(151a~151g)에 로딩된 색상(color 1)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3은 제2영상입력부(123, 이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특정 사물, 예를 들어 옷(10)을 촬영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카메라 모듈(123)을 통해 촬영된 촬영 정보(151h)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된다. 컬러 센서(141)는 카메라 모듈(123)의 동작시 피사체(10)의 색상(color 1)을 센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카메라 모듈(123)을 통해 촬영된 촬영 정보(151h)와, 컬러 센서(141)에 의해 센싱된 피사체(10)의 색상 정보를 조합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미지 조합부는 피사체이 촬영 정보 중 피사체의 외형과 관련된 정보만을 추출한 후, 여기에 피사체(10)의 색상을 조합한 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피사체(10)의 촬영 정보는(151h)는 컬러 센서(141)에 의해 센싱된 색상(color 1)을 갖는다.
이미지 조합부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123)에 의해 촬영된 촬영 정보(151h)는 실제 피사체(10)의 색상과 동일하게 보정될 수 있다. 이미지 조합부는 이미지 조합부는 제어부(180)에 포함되어 구성되거나,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 내지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도면들이다.
도 14는 컬러 센서(141)를 이용하여 복수의 사물들(10,20,30,40)이 갖는 색상을 센싱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컬러 센서는 주변에 있는 사물들(10~40)의 색상들(color 1,2,3,4)을 차례로 센싱한다. 센싱된 색상들(color 1~4)은 메모리(160)에 각각 저장될 수 있다.
도 15와 같이, 제3조작부(133)는 센싱된 색상들(color 1~4)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색상의 빛으로 조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100)에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색상들(color 1~4)를 혼합하여 혼합색을 구현하는 색상 혼합부가 구비된다. 색상 혼합부는 앞서 설명된 이미지 조합부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80)에 포함되어 구성되거나,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색상 혼합부는 복수의 색상들(color 1~4)을 혼합하여 혼합된 색상 정보를 제어부(18)에 인가하며, 제어부(180)는 조명부(136)가 해당 색상의 빛을 출력하도록 조명부(136)에 해당 신호를 인가한다.
제어부(180)는 색상 혼합부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색상을 혼합하거나, 일정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센싱된 색상들을 혼합하도록 색상 혼합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0 내지 13에 설명된 시각 정보들에도 이러한 혼합 색상이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도 16은 디스플레이부(151)에 단말기에 구비된 작동 모드의 실행을 위한 아이콘(151b)들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아이콘(151b)들에는 메모리에 저장된 색상(color 1~4)들이 각각 적용될 수 있다. 아이콘들(151b)들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색상이 적용되거나, 일정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센싱된 색상들이 각각 적용될 수 있다.
도 16에 설명된 개념들은 선택 가능한 복수의 아이템(예를 들면, 메뉴, 리스트)와, 복수로 배열된 문자, 숫자, 기호 등에 적용 가능하다. 즉, 복수의 아이템들이나 문자 등에 컬러 센서(141)를 통해 각각 다양한 색상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7a 및 17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도면들이다. 도 17a 및 17b는 도 1 및 2의 조도 센서(143)를 이용하여 조명부(136)가 출력하는 빛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것을 보이고 있다.
조도 센서(143)는 휴대 단말기(100) 주변의 조도를 센싱한다. 제어부(180)는 조도 센서(143)에 의해 센싱된 빛의 밝기에 따라 조명부(136)가 발광하는 빛의 색상이 가변되도록 조명부(136)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17a와 같이 휴대 단말기가 위치한 곳의 조도가 기준치 이상(예를 들어, 낮인 경우)이면 제3조작부(133)가 제1색상(color 1)으로 조명되고, 도 17b와 같이 기준치 이하(예를 들어, 밤인 경우)이면 제3조작부(133)가 제2색상(color 2)으로 조명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조도 센서(143)의 센싱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된 시각 정보의 색상을 가변시키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7a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한 곳의 조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대기 화면이 제3색상(color 3)으로 출력되고, 도 17b와 같이 기준치 이하이면 대기 화면이 제4색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 그 밖의 가변 가능한 색상을 갖는 시각 정보들에 관한 설명은 앞선 실시예들에 관한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그 밖에, 휴대 단말기(100) 주변의 조도가 복수의 범위로 변화됨에 따라 제3조작부(133)가 다양한 색상으로 조명되거나, 디스플레이부(151)의 시각 정보들이 다양한 색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조명부(136)는 조도가 1000 Lux 이상이면 빨간색, 500 이상 999 Lux 이하이면 파랑색, 499Lux 이하이면 흰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사용자에게 보는 재미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조도의 변화를 인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18a 및 18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도면들이다. 도 18a 및 18b는 도 1 및 2의 근접 센서(142)를 이용하여 조명부(136)가 출력하는 빛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것을 보이고 있다.
근접 센서(142)는 특정 사물(예를 들면, 사용자의 얼굴)이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것을 센싱한다. 제어부(180)는 근접 센서(143)에 의해 센싱 결과에 따라 조명부(136)가 발광하는 빛의 색상이 가변되도록 조명부(136)를 제어한다.
도 18a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이 근접 센서(142)가 센싱 가능한 거리(d) 밖에 있는 경우, 제3조작부(133)는 제1색상(color 1)의 빛으로 조명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8b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이 근접 센서(142)에 의하여 센싱되면, 제3조작부(133)는 제2색상(color 2)으로 조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얼굴이 휴대 단말기로 근접함에 따라 제3조작부(133)는 다양한 색상으로 조명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얼굴과 휴대 단말기(100)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는 것에 대응하여 조명부(136)는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다른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500)는 '바(bar)' 형태의 단말기 바디(201) 를 구비하고 있다. 단말기 바디(2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입력부(252), 영상 입력부(221), 근접 센서(242), 조도 센서(243) 등이 배치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단말기 바디(201)의 하단에는 전후 방향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는 조작부(233)가 구비된다. 조작부(233)는 앞서 설명된 형태의 단말기가 구비하는 '제3조작부(133)'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조작부(233)는 내부에 배치되는 다른 불투광성의 부품의 장착 공간의 축소를 감안하여 가급적이면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몇 가지의 핵심 기능이나 방향을 지시하는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233)는 조명부에 의하여 복수의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상을 가지는 빛으로 선택적으로 조명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단말기 바디(201)에는 컬러 센서가 구비되어 특정 사물의 색상을 센싱하며, 제어부(180)는 조명부가 컬러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색상의 빛으로 발광하도록 조명부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형태의 휴대 단말기(200) 또한 도 8 내지 18b에서 설명된 개념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도 20은 본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의 일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0은 디스플레이부(151)에 메시지 전송을 위한 화면이 출력된 것을 보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표시된 소프트 키(251a) 와, 소프트 키(251a)가 터치됨에 따라 터치된 내용을 표시하는 출력창(251b)가 출력된다.
소프트 키(251a)와 출력창(251b)는 터치에 의해 해당 영역이 선택될 수 있다.도 1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컬러 센서(141)는 복수의 개체가 갖는 색상(color 1,2)을 차례로 센싱할 수 있고, 제어부(180)는 이를 근거로 소프트 키(251a)에 제1색상(color 1)을 적용하고, 출력창(251b)에 제2색상(color 2)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소프트키(251a)가 위치한 영역과, 출력창(251b)이 위치한 영역을 터치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으며, 메모리(160)에 저장된 색상들을 소프트키(251a)와 출력창(251b)에 각각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 뿐만 아니라, 터치에 의해 선택 가능한 영역은 컬러 센서(141)에 의해 센싱된 색상으로 구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21은 이러한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보여 준다.
도 21은 본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1은 디스플레이부(251)에 편집 가능한 사진, 그림 등의 이미지(251c)가 출력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미지(251c)의 일 영역은 드래깅(dragging)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으며, 드래깅에 의하여 선택된 영역은 컬러 센서(141)에 의해 센싱된 색상으로 구현 가능하다.
이미지(251c)는 드래깅에 의해 복수의 영역이 선택될 수 있으며, 이들에 컬러 센서가 센싱한 복수의 색상을 각각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22a 및 22b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도면들이다. 도 22a 및 22b는 휴대 단말기에서 음악 감상 모드가 실행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휴대 단말기의 내부에는 단말기 바디(201)의 상대 운동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조작부(233)는 센싱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으로 조명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251)는 서로 다른 색상의 시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손에 쥐고 상대 운동(예를 들면, 상하로 흔드는 운동)을 시키면, 가속도 센서가 이를 감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조명부(136)의 발광 색상을 가변시키거나, 디스플레이부(251)에 출력된 시각 정보의 색상을 가변시키도록 조명부(136), 디스플레이부(251)를 제어한다.
도 22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1)에는 재생중인 음악의 곡목(251d), 음악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키(251f)가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조작부(231)는 제1색상(color 1)의 빛로 조명될 수 있으며, 재생중인 음악의 곡목(251d)은 제2색상(color 2)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201)를 가속도 운동 시키면, 도 22b와 같이 재생되는 음악이 임의로 바뀔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1)에는 바뀐 음악의 곡목(251g)이 출력된다. 이 때, 조작부(231)는 제3색상(color 3)의 빛으로 조명될 수 있으며, 바뀐 음악의 곡목(251g)은 제4색상(color 4)로 구현된다.
이상에서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 가능한 센서들로서 컬러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등의 광센서들과, 가속도 센서 등을 일 예로 들었으나, 그 밖에 온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슬라이드 타입, 바 타입을 갖는 단말기들 뿐 아니라, 폴더 타입, 스위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들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 단말기(100)와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 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컬러 센서(141), 근접 센서(142), 조도 센서(143)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 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2)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2)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근접 센서(142)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142)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 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닫힌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열린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열린 상태를 보인 후면 사시도.
도 4 및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단면도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3조작부의 일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투광성 입력부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
도 8 및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의 제1실시예를 보인 도면들.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면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의 제3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4 내지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의 제4실시예를 보인 도면들.
도 17a 및 17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의 제5실시예를 보인 도면들.
도 18a 및 18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의 제6실시예를 보인 도면들.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다른 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20은 도 19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의 제1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21은 도 19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22a 및 22b는 도 19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의 제3실시예를 보인 도면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Claims (24)

  1.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적어도 일 영역을 조명하며, 복수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갖는 빛을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조명부;
    상기 단말기 바디 주변의 사물이 갖는 색상을 센싱하는 컬러 센서; 및
    상기 조명부가 상기 센싱된 색상의 빛을 발광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는,
    프론터 바디; 및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되는 열린상태와 상기 프론트 바디에 의하여 가려지는 닫힌 상태를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리어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조명부가 구비되며, 상기 리어 바디의 적어도 일영역은 상기 조명부의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바디는,
    상기 프론트 바디에 인출 가능하게 슬라이드 결합되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프론트 바디의 후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프론트 바디에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 및 커버부 중 적어도 하나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의 전면에는 배치되며, 터치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는 투광성 재질의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숫자, 문자, 기호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투광성 재질의 강화 유리층; 및
    상기 강화 유리층의 일면에 배치되며, 터치를 감지하는 투광성의 터치 감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강화 유리층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센싱된 색상의 빛으로 상기 강화 유리층을 조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특정 사물이 상기 단말기 바디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것을 센싱 하는 근접센서, 상기 단말기 바디 주변의 밝기를 센싱하는 조도 센서, 및 상기 단말기 바디의 상대 운동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센서, 조도센서,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조명부가 발광하는 빛의 색상을 가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는 특정 색상을 갖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시각 정보의 출력 색상을 상기 센싱된 색상으로 가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는 특정 작동 모드를 실행시키기 위한 아이콘 또는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는 문자, 숫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정보는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 감도, 배터리 잔량, 시각 정보 및 동작 중인 작동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수치 또는 그래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는 선택 가능한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색상정보들을 상기 아이템들 각각에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것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시각 정보의 일 영역이 터치 또는 드래깅에 의하여 선택 가능하도록 터치 스크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영역이 상기 센싱된 색상으로 가변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컬러센서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시 피사체의 색상을 센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촬영정보와 상기 컬러 센서에서 센싱된 색상정보가 조합된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센서가 복수로 센싱한 서로 다른 색상 정보들을 각각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색상 정보들이 갖는 색상을 혼합하여 혼합색을 구현하는 색상 혼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광센서를 갖는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적어도 일 영역을 조명하며, 복수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갖는 빛을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조명부; 및
    상기 광센서의 센싱 결과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조명부가 발광하는 빛의 색상을 가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에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명부에 의해 조명되도록 투광성 영역을 구비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숫자, 문자, 기호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투광성 재질의 강화 유리층; 및
    상기 강화 유리층의 일면에 배치되며, 터치를 감지하는 투광성의 터치 감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강화 유리층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강화 유리층을 조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상기 단말기 바디 주변의 사물이 갖는 색상을 센싱하는 컬러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가 상기 컬러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색상의 빛을 발광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특정 사물이 상기 단말기 바디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 하는 것을 센싱하는 근접센서, 또는 상기 단말기 바디 주변의 밝기를 센싱하는 조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는 특정 색상을 갖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시각 정보의 출력 색상을 상기 센싱된 색상으로 가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4.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며,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단말기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단말기 바디 주변의 사물이 갖는 색상을 센싱하는 컬러 센서; 및
    상기 시각 정보의 출력 색상을 상기 컬러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색상으로 가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105503A 2008-10-27 2008-10-27 휴대 단말기 KR101535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503A KR101535486B1 (ko) 2008-10-27 2008-10-27 휴대 단말기
US12/571,293 US8280363B2 (en) 2008-10-27 2009-09-30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visual appearance thereof
EP09012538.6A EP2180675B1 (en) 2008-10-27 2009-10-02 Mobile terminal
CN2009102075302A CN101729670B (zh) 2008-10-27 2009-10-26 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503A KR101535486B1 (ko) 2008-10-27 2008-10-27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595A true KR20100046595A (ko) 2010-05-07
KR101535486B1 KR101535486B1 (ko) 2015-07-09

Family

ID=41580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503A KR101535486B1 (ko) 2008-10-27 2008-10-27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80363B2 (ko)
EP (1) EP2180675B1 (ko)
KR (1) KR101535486B1 (ko)
CN (1) CN10172967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831B1 (ko) * 2011-06-02 2013-06-2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 협업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150058391A (ko) * 2012-10-02 2015-05-2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장치 센서/상태 기반 그래픽 효과를 가진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콤포지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87806A1 (en) * 2010-05-18 2011-11-24 Preetha Prasanna Vasudevan Motion-based tune composition on a mobile device
US20120135783A1 (en) * 2010-11-29 2012-05-31 Google Inc. Mobile device image feedback
US8599158B2 (en) * 2011-06-29 2013-12-03 Nokia Corporation Multi-surface touch sensitive apparatus and method
CN102394957B (zh) * 2011-11-09 2017-05-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终端以及设置电子终端外壳颜色的方法
CN102662524A (zh) * 2012-04-24 2012-09-12 深圳市拓盛电子科技有限公司 电子装置
KR20140093513A (ko) * 2013-01-18 2014-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4053265A (zh) * 2013-03-11 2014-09-17 龙旗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设置配件灯光效果的方法
US9509822B2 (en) 2014-02-17 2016-11-29 Seungman KIM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vely applying security in mobile device
CN105333958A (zh) * 2014-06-11 2016-02-17 北京长城金点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KR101879334B1 (ko) * 2014-08-28 2018-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 센서 및 이의 제어 방법
US9430988B1 (en) * 2015-04-06 2016-08-30 Bluestream Development, Llc Mobile device with low-emission mode
KR102607564B1 (ko) * 2016-09-13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프트 키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D802575S1 (en) * 2017-02-06 2017-11-14 River Light V, L.P. Phone case
CN107105074B (zh) * 2017-03-10 2021-03-09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滑盖状态检测方法和移动终端
JP6854717B2 (ja) * 2017-07-07 2021-04-07 日置電機株式会社 照度表示制御装置および照度表示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102495326B1 (ko) 2018-01-31 2023-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8833695B (zh) 2018-06-06 2020-07-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电子装置、计算机存储介质及设备
CN110086933A (zh) * 2019-04-25 2019-08-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壳体颜色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736455B1 (en) * 2020-07-01 2023-08-22 Amazon Technologies, Inc. Techniques for performing video-based verification
TWI801858B (zh) * 2020-09-29 2023-05-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具有輔助照明功能的電子裝置及其操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6752A (ja) * 1995-12-28 1997-07-15 Sony Corp 携帯電話機
US6498600B1 (en) * 1999-08-18 2002-12-24 Ericsson Inc.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keypads that illuminate in response to proximity of a user and methods of operating such electronic devices
US20050037815A1 (en) 2003-08-14 2005-02-17 Mohammad Besharat Ambient light controlled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on
JP4218830B2 (ja) 2003-11-18 2009-02-04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型情報装置
US7310534B2 (en) * 2003-12-16 2007-12-1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Location status indicator for mobile phones
US7388590B2 (en) 2004-02-27 2008-06-17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color scheme to communic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 computing device
US20060166702A1 (en) 2005-01-24 2006-07-27 Dietz Paul H Cellular telephone with ear proximity display and lighting control
JP4520897B2 (ja) * 2005-04-22 2010-08-11 株式会社エクシング 携帯電気機器
US20060281497A1 (en) * 2005-05-26 2006-12-14 Inventec Appliances Corp. Color variation display method of mobile phone
CN101341436A (zh) 2005-12-22 2009-01-07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变色眼镜
US20090042605A1 (en) * 2007-08-10 2009-02-12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htod therefor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831B1 (ko) * 2011-06-02 2013-06-2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 협업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150058391A (ko) * 2012-10-02 2015-05-2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장치 센서/상태 기반 그래픽 효과를 가진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콤포지션
US9430991B2 (en) 2012-10-02 2016-08-30 Futurewei Technologies, Inc. User interface display composition with device sensor/state based graphical effects
US10140951B2 (en) 2012-10-02 2018-11-27 Futurewei Technologies, Inc. User interface display composition with device sensor/state based graphical effects
US10796662B2 (en) 2012-10-02 2020-10-06 Futurewei Technologies, Inc. User interface display composition with device sensor/state based graphical effe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29670B (zh) 2013-11-20
KR101535486B1 (ko) 2015-07-09
EP2180675B1 (en) 2014-01-15
CN101729670A (zh) 2010-06-09
US8280363B2 (en) 2012-10-02
US20100105442A1 (en) 2010-04-29
EP2180675A1 (en) 201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486B1 (ko) 휴대 단말기
US8471810B2 (en) Mobile terminal
KR10163332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63104B1 (ko) 이동 단말기
US8346309B2 (en) Mobile terminal
KR102043150B1 (ko) 이동 단말기
KR101970526B1 (ko) 이동 단말기
KR20100085397A (ko) 전자 종이를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에 적용된 제어방법
US8132941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transparent cover member
EP3067737A1 (en)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EP2290933A2 (en) Mobile terminal with solar cell and a plurality of luminous elements
KR101649626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043806A (ko)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32209B1 (ko) 발광다이오드 백라이트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57653B1 (ko) 이동 단말기
KR2012002396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
KR101586307B1 (ko) 터치패드와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561906B1 (ko) 이동 단말기
KR10162264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78726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016808A (ko) 이동 단말기
KR20130091185A (ko) 이동 단말기
KR20140001701A (ko) 이동 단말기
KR10168894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입력수단 제어방법
KR101658546B1 (ko) 발광다이오드 백라이트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