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867B1 - 이동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867B1
KR101467867B1 KR1020120137636A KR20120137636A KR101467867B1 KR 101467867 B1 KR101467867 B1 KR 101467867B1 KR 1020120137636 A KR1020120137636 A KR 1020120137636A KR 20120137636 A KR20120137636 A KR 20120137636A KR 101467867 B1 KR101467867 B1 KR 101467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unit
input unit
mobile communication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9853A (ko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20137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867B1/ko
Priority to US14/084,094 priority patent/US20140152596A1/en
Publication of KR20140069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소자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구동 소자부가 탑재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덮도록 배치되는 윈도우부; 및 상기 구동 소자부와 수직 구조를 갖도록 배치되는 버튼 입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단말기 전체의 크기는 유지하면서 디스플레이 영역의 사이즈를 극대화하여, 대화면화 및 풀 스크린화와 제품의 슬림화 및 소형화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1)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영상을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X)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마진(margin) 영역(Y)으로 구별될 수 있다. 단말기의 사이즈는 디스플레이 영역(X)과 마진 영역(Y)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화면화 및 풀 스크린화 추세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X)의 크기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영역(X)의 크기가 커지는 만큼 마진 영역(Y)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단말기의 크기가 전반적으로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진 영역(Y)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마진 영역(Y) 중 특히 사용시 아래에 놓이는 하단부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동 장치가 배치되기 때문에 단말기의 상단부 및 측면부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다양한 필요에 따라 터치 입력부와 버튼 입력부를 하나의 단말기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하단부 영역에 버튼 입력부가 구현되었다.
도 1 및 도 2에서 구간 A는 디스플레이 영역(X)에서 버튼 입력부(30)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구간 A는 단말기 내부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동 장치가 탑재됨으로써 생기는 구간으로 단말기의 기능 및 디자인과 무관하게 5 내지 6 mm 이상의 길이가 최소한 확보되어야 했다.
따라서, 구간 A의 길이는 반드시 확보되어야 하는 구간으로서 단말기 마진 영역(Y) 중 하단부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하단부의 길이 증가로 사용자의 시각적 및 디자인적 제약이 발생하게 되었고, 구간 A로 인하여 버튼 입력부와 디스플레이 영역(X) 사이의 거리가 멀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느끼게 하였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마진 영역의 폭을 최소화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체 길이를 최소화하여 단말기의 대화면화와 소형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 입력부와 버튼 입력부를 동시에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구현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면서도, 이동 통신 단말기 전체의 길이를 최소화하고 동시에 디스플레이 영역과 버튼 입력부 간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버튼 입력을 보다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소자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구동 소자부가 탑재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덮도록 배치되는 윈도우부; 및 상기 구동 소자부와 수직 구조를 갖도록 배치되는 버튼 입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 입력부와 구동 소자부는 상기 윈도우부의 배치 방향으로 서로 위와 아래에 놓이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윈도우부는, 영상이 표시되거나 터치가 입력되는 활성 영역과, 상기 활성 영역을 둘러싸는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비활성 영역에 상기 버튼 입력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내부에 상기 비활성 영역과 대응하여 상기 구동 소자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활성 영역은 투과 영역이고, 상기 비활성 영역은 상기 윈도우부의 어느 한 면에 블랙 프린팅이 형성되는 불투과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내부에 상기 활성 영역과 대응하여 배치되는 터치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 입력부는, 상기 윈도우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밑면에 배치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물리적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상기 입력부와 접촉하여 상기 물리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전달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부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관통홀에 전부 또는 일부가 삽입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의 둘레에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부는 외부면과 내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부의 외부면에 상기 관통홀을 둘러싸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부의 외부면에서 상기 단차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버튼부의 높이와 같거나 클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스위치를 상기 구동 소자부로부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지지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구조물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내부 하우징에 고정되는 브라켓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돔형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돔형 스위치는, 주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원주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치된 제1 전극, 제1 절연부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전극부, 돔 형상을 갖고, 원주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치된 제3 전극, 제2 절연부 및 제4 전극을 포함하는 제2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제3 전극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전극과 제4 전극은 상기 물리적 신호의 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유연성 회로 기판에 형성되어 주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는 하드 타입 키 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크게 하면서도 마진 영역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화면화와 소형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버튼 입력부와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화면을 보면서 동시에 버튼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 입력부와 터치 입력부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체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두께도 최소화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부를 분해하여 정면에서 바라본 나타낸 부분 분해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형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투시 평면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즉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윈도우부(100), 디스플레이 모듈(200) 및 버튼 입력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01), 상기 디스플레이부(201)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소자부(205)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와 구동 소자부(205)가 탑재되는 베이스부(203)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 입력부(300)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름으로써 입력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버튼부(301), 상기 버튼부(301) 하부에 형성되는 입력부(303) 및 상기 입력부(303)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된 스위치(305)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버튼을 누름으로써 입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부(10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 등의 다양한 부품들을 덮도록 배치된다. 윈도우부(100)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투명하게 형성된 활성 영역과 일 면에 블랙 프린팅(103)이 형성된 비활성 영역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비활성 영역의 단말기 내부에 다양한 부품들이 탑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활성 영역’은 윈도우부(100)에서 영상이 표시되거나 터치가 입력될 수 있는 영역으로서 사용자가 영상 신호를 전달받고 터치 입력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활성 영역’은 윈도우부(100) 상에서 디스플레이 영역과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한편, ‘비활성 영역’은 윈도우부(100)에서 ‘활성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서 활성 영역을 둘러싸는 나머지 영역을 의미한다. 즉, ‘비활성 영역’은 윈도우부(100)에서 터치가 입력되거나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이 아닌 나머지 모든 영역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윈도우부(100)를 부착하기 위한 접착 영역, 터치 입력이 아닌 입력을 위한 하드 타입 버튼 영역, 활성 영역의 기계적 공차 확보를 위한 영역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부(100)의 일 단에는 버튼부(301)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H)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버튼부(301), 즉 버튼 입력부(300)는 구동 소자부(205) 위에 배치되어, 버튼 입력부(300)와 구동 소자부(205)가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직(vertical)’한다는 것은 윈도우부(100)의 배치 방향을 기준으로 윈도우부(100)의 배치 방향에서 위와 아래로 놓이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수평(horizontal)’하다라는 것은 윈도우부(100)의 배치 방향을 기준으로 윈도우부(100)의 배치 방향으로 나란하게 놓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수직 구조’를 갖는다는 것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부(100)의 배치 방향을 기준으로 버튼 입력부(300)와 구동 소자부(205)가 서로 위/아래에 놓이는 구조를 갖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수평 구조’갖는다는 것은 윈도우부(100)의 배치 방향으로 부품들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탑재하기 위해 반드시 확보되어야 했던 구간 A(도 1 및 도 2 참조)가 별도로 형성되지 않게 된다. 결국, 구간 A의 단축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체 길이가 줄어들게 되고, 버튼 입력부(300)와 디스플레이 영역(X) 사이의 간격이 좁아짐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게 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조에 대하여 알아보자.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모듈(20, 200), 윈도우부(10, 100) 및 버튼 입력부(30, 3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20, 200)은 디스플레이부(21, 201), 디스플레이 모듈용 구동 소자부(25, 205) 및 디스플레이부(20, 201)와 디스플레이용 구동 소자(25, 205)가 탑재되는 베이스부(23, 203)를 포함한다. 그리고 버튼 입력부(30, 300)는 윈도우부(10, 100)의 일 단에 형성되며, 윈도우부(10, 100)의 일 단에는 블랙 프린팅(13, 103)이 형성되어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의 내부의 부품들을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버튼부(31, 301), 입력부(33, 303) 및 이와 접촉하는 스위치(35, 305)를 포함한다. 입력부(33, 303)와 스위치(35, 305)는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연결부(37) 또는 유연성 회로 기판(307)을 통하여 주 회로부(39, 309)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디스플레이부(201), 베이스부(203) 및 디스플레이용 구동 소자부(20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 방식,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방식,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방식,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방식, 온-셀 타입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OCTA; On-cell Touch AMOLED)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201)는 원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부분으로써, 편광판, 글라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201)는 원하는 크기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X)의 크기보다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1)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203)는 디스플레이 모듈(200)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부품들을 탑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듈로 LCD 모듈이 사용되는 경우 베이스부(203)는 글라스와 그 위에 형성되는 유연성 회로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부(203)의 구성 및 구조는 원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종류 및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모듈이 이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1)는 베이스부(203) 위에 적층되는 구성 중 영상 및 신호가 직접적으로 출력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디스플레이 모듈로 LCD 모듈이 사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1)는 베이스부(203)의 기판 위에 적층되는 글라스와 폴러라이져(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203) 위에 디스플레이부(201)와 구동 소자부(205)가 탑재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203)는 내부 하우징에 고정되어 베이스부(203) 위에 탑재된 부품들을 지지 및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동 소자부(205)는 화면에 문자나 영상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신호 및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제공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IC; Integrated Circuit)로서,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집적 회로가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소자부는 LCD 구동 칩(Liquid crystal display driver IC), LED 구동 칩(Light emitting diode driver IC) 및 OLED 구동 칩(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river IC) 등 다양한 구동 칩 등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집적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소자부(205)는 베이스부(203)의 일단, 도 3의 실시예의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하단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 버튼 입력부(300)와 터치 입력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버튼으로 정보를 입력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입력부(300)는 사용자가 누름 동작에 의한 물리적 신호 수용하는 버튼부(301)와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스위치로 전달하는 입력부(303)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버튼부(301)는 하나의 하드 타입 키 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 및 다양한 수의 키 패드가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입력부(303)는 중앙에 돌출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물리적 신호를 스위치로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303)는 고무,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 입력부(300)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물리적 신호는 스위치(305)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이렇게 변환된 전기적 신호는 스위치와 주 회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07)를 통하여 주 회로부(309)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307)와 스위치(305)는 회로 기판 상에 구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연성 회로 기판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하우징(400)의 내부에 버튼 입력부(300), 즉 입력부(303)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위치(305)가 탑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버튼부(301)를 통하여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한 물리적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부(303)를 통하여 스위치(305)로 전달하여 물리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303)가 스위치(305)를 선택적으로 누르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물리적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입력부(303)가 스위치(305)를 구동시키지 않으나 사용자의 물리적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부(303)가 스위치(305)를 구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대응한다’는 것은 모든 부분이 정확하게 일치하게 배치되는 경우뿐만이 아니라 일 부분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구성의 대부분이 일치하게 배치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303)는 스위치(305)를 선택적으로 누름으로써 스위치(305)를 구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스위치(305)를 구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305)로 돔형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버튼 입력부(300)를 누름과 동시에 ‘클릭’하는 촉감과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형 스위치(305)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돔 형상의 제2 전극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돔형 스위치(305)는 주 회로부, 즉 연결부(30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돔형 스위치(305)는 원주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치된 제1 전극(a´), 제1 절연부(b´) 및 제2 전극(c´)을 포함하는 제1 전극부(305b), 돔 형상을 갖고, 원주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치된 제3 전극(a), 제2 절연부(b) 및 제4 전극(c)을 포함하는 제2 전극부(305a)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a´)과 제3 전극(a)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전극(c´)과 제4 전극(c)은 상기 물리적 신호의 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버튼부(301)를 누름과 동시에 제2 전극(c´)과 제4 전극(c)이 서로 접촉하게 되어 ‘클릭’하는 소리 또는 촉감을 느끼면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주 회로부(309)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윈도우부(100)는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고 원하는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 영역(구간 X), 이를 둘러싸는 비활성 영역(구간 B´)으로 구별될 수 있다.
윈도우부(100)의 외부면은 사용자가 직접 접촉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특히 활성 영역(구간 X)은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될 수 있다. 윈도우부(100)에 대응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하우징(400) 내부에는 다양한 부품들이 탑재될 수 있으며, 도 3의 실시예의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버튼 입력부(300)가 탑재될 수 있다.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하우징(400)에 윈도우부(100)의 활성 영역에 대응하게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탑재될 수 있으며, 윈도우부(100)의 비활성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버튼 입력부(300)가 탑재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하우징(400) 내부에서 윈도우부(100)의 활성 영역에 대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400) 내부에 탑재되는 부품들을 전부 외부로 노출시킬 필요는 없으므로 내부면의 비활성 영역(구간 B´)은 블랙 프린팅(black printing)(103)을 통하여 내부에 탑재되는 부품들을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부(100)의 활성 영역(구간 X)은 디스플레이 영역과 터치 영역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디스플레이부(201)와 터치 입력부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활성 영역의 위치에 대응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윈도우부(100)의 활성 영역(구간 X)에 대응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디스플레이부(201)가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윈도우부(100)의 활성 영역(구간 X)에 대응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에는 터치 입력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부는 디스플레이 모듈 위 또는 윈도우 글라스 아래에 탑재되는 되는 애드-온 타입(Add-On type),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상부 편광판과 상부 글라스 사이에 배치되는 온-셀 타입(On-cell type) 및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상부 글라스와 하부 글라스 사이의 가운데에 배치되는 인-셀 타입(In-cell type)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윈도우부(100)의 비활성 영역(구간 B´)에 대응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하우징(400) 내부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200)용 구동 소자부(205)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소자부(205) 위에 버튼 입력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구동 소자부(205)와 버튼 입력부(300)는 수직 구조를 갖도록 배치되어 단말기의 전체 길이를 줄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0)과 버튼 입력부(30)는 수평 구조로 탑재되었다. 그에 따라, 활성 영역(구간 X)에 대응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내부에는 디스플레이부(21)가 형성되고, 비활성 영역(구간 A + 구간 B)에 대응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모듈(20)의 구동 소자부(25)와 버튼 입력부(30)는 수평하게 탑재되어 있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20)의 구동 소자부(25)를 탑재하기 위한 구간 A와 버튼 입력부(30)를 탑재하기 위한 구간 B의 합으로 비활성 영역의 폭이 결정되었다. 결국,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마진 영역(Y)의 폭은 비활성 영역의 폭과 단말기 하우징의 폭 C으로 결정되므로, 구동 소자부(25)를 탑재하기 위한 구간 A, 버튼 입력부(30)를 탑재하기 위한 구간 B 및 하우징의 폭 C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즉, 하우징의 폭 C은 단말기의 디자인적인 요소에 따라 다양하게 바뀔 수 있음을 고려할 때, 결국 단말기의 최소 길이는 최소한 구동 소자부(25)를 탑재하기 위한 구간 A와 버튼 입력부(30)를 탑재하기 위한 구간 B에 의해 결정되었다.
그러나,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활성 영역(구간 B´)에 구동 소자부(205)가 버튼 입력부(300)와 함께 수직 구조로 탑재되므로, 구동 소자부(205)를 탑재하기 위한 별도의 구간 A에 대응하는 영역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비활성 영역은 구간 B´만을 포함하므로, 마진 영역(Y´)의 길이도 버튼 입력부(300) 탑재 구간 B´와 하우징의 폭 C에 의해서만 결정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진 영역(Y´)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디스플레이 영역(X)과 버튼 입력부(30) 사이에 구간 A가 존재하여, 버튼이 화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 입력부(300)가 탑재되는 구간 B´와 디스플레이 영역(X)은 직접적으로 접하여 있으므로 사용자가 영상을 보면서 동시에 버튼을 누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면도로서, 윈도우부(100)에 관통홀(H)이 형성되고, 버튼부(301)는 상기 관통홀(H)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3의 실시예의 경우 관통홀(H)의 외부면에 버튼부(301)가 고정되어 일부는 외부면 위로 돌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관통홀(H)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모듈(210), 윈도우부(100) 및 버튼 입력부(31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디스플레이부(211), 디스플레이용 구동 소자부(215) 및 디스플레이부(211)와 디스플레이용 구동 소자(215)가 탑재되는 베이스부(213)를 포함한다. 그리고 버튼 입력부(310)는 윈도우부(100)의 일 단에 형성되며, 윈도우부(100)의 일 단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탑재되는 부품들을 가리기 위하여 일 면에 블랙 프린팅(103)이 형성될 수 있다. 버튼 입력부(310)는 버튼부(311), 입력부(313) 및 이와 접촉하는 스위치(315)를 포함한다. 입력부(313)와 스위치(315)는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연결부(317)를 통하여 주 회로부(31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부(100)에 관통홀(H)이 형성된다. 도 5의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버튼부(311)가 상기 관통홀(H)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튼부(311)는 윈도우부(100)의 내부면 상에 고정되어, 상기 버튼부(311)의 일부는 관통홀(H) 내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윈도우부(100)의 내부면 아래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부(311)의 하부에 윈도우부(100)의 내부면 상에 버튼부(311)를 고정시키기 위한 플랜지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관통홀(H)의 둘레보다 큰 직경을 갖는 플랜지부(312)가 버튼부(311)에 형성되어, 관통홀(H) 둘레에 플랜지부가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의 실시예의 경우, 버튼부(301, 311)가 윈도우부(100)에서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 관통홀(H)의 둘레에 플랜지(312)를 통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관통홀(H)의 내부에 버튼부(301, 311)의 일 부분이 존재하고, 나머지 부분은 윈도우부(100)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돌출된 부분이 단말기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외부’와 ‘내부’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또는 내부를 지칭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윈도우부(100)의 외부면은 단말기의 외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접촉할 수 있는 면을 의미하고 윈도우부(100)의 내부면은 단말기의 내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접촉할 수 없는 면을 의미한다.
도 6a 및 도 6b는 단말기의 두께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홀(H)에 단차부(S)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모듈(220), 윈도우부(100) 및 버튼 입력부(32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220)은 디스플레이부(221), 디스플레이용 구동 소자부(225) 및 디스플레이부(221)와 디스플레이용 구동 소자(225)가 탑재되는 베이스부(223)를 포함한다. 그리고 버튼 입력부(320)는 윈도우부(100)의 일 단에 형성되며, 버튼부(321), 입력부(323) 및 이와 접촉하는 스위치(325)를 포함한다. 입력부(323)와 스위치(325)는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연결부(327)을 통하여 주 회로부(32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경우 관통홀(H)에서 윈도우부(100)의 외부면 방향으로 단차부(S)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S)에 버튼부(321)가 탑재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단차부(S)에 버튼부(321)의 단부를 접착제 또는 접착 시트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버튼부(321)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차부(S)의 높이(E), 즉 윈도우(100)의 외부면에서 단차부(S)까지의 거리는 버튼부(321)의 높이(D)와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단차부(S)에 버튼부(321)가 탑재되더라도 윈도우부(100)의 외부면을 넘어서 버튼부(321)가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윈도우부(100)의 외부면에 대하여 버튼부(321)의 누름면은 동일선 상에 위치하거나, 그 아래로 들어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버튼부(321)가 윈도우부(100)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을 넘어서 돌출되어 제품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게 할 수 있다. 결국, 단말기의 전체 길이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두께도 최소화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체 사이즈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325)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 구조물(3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325)의 하부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용 구동 소자부(225)와 스위치(325)가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제품에 손상을 가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스위치(325)와 구동 소자부(225)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지지 구조물(3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 구조물(316)은 디스플레이 모듈(220)이 고정 지지 되는 하우징(400), 구체적으로 내부 하우징(401) 상에 고정되는 브라켓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지지 구조물(316)은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구조물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우징(400), 즉 내부 하우징(401)에 안정적으로 스위치(325)를 고정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220)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버튼 입력부(320)를 탑재할 수 있다.
도 6b는 도 6a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윈도우부(100)는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 영역(구간 X)과 비활성 영역(B´ 구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 영역(구간 X)에는 터치가 입력될 수 있고,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활성 영역(B´ 구간)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소자부가 탑재되며, 구동 소자부 위에 지지 구조물(316)이 탑재될 수 있다. 지지 구조물(316) 위에 스위치(325)가 형성된 연결부(327)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327)는 유연성 회로 기판 일 수 있으며, 유연성 회로 기판은 절곡 연결부(328)를 통하여 단말기의 배면에 형성되는 주 회로부(329)로 연결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325)는 둥근 형상의 돔형 스위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스위치(325) 위에 입력부(323)(도 6b에서 입력부(323)의 돌출 구조물, 즉 스위치(325)와 접촉하는 부분만으로 도시하였다)가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323)는 스위치(325)와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입력부(323)는 버튼부(321)의 밑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b의 실시예의 경우 버튼부(321)는 3개의 입력부를 감싸는 하나의 버튼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입력부마다 서로 분리되어 있는 별도의 버튼부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3개의 입력부를 각각 감싸도록 형성된 3개의 버튼부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 영역(구간 X)과 버튼부(321)의 간격이 매우 좁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전체 테두리를 형성하는 마진 영역(Y´)의 길이는 비활성 영역에 해당하는 구간 B´와 하우징의 폭 C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체 길이, 특히 단말기 하단부의 길이를 최적화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단말기의 활성 영역(구간 X)의 크기를 최대화하면서도, 비활성 영역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전체 마진 영역(Y´)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100: 윈도우부
200, 210, 220: 디스플레이 모듈
201, 211, 221: 디스플레이부
203, 213, 223: 베이스부
205, 215, 225: 디스플레이용 구동 소자부
300, 310, 320: 버튼 입력부
301, 311, 321: 버튼부
303, 313, 323: 입력부
305, 315, 325: 스위치
X: 디스플레이 영역
Y, Y´: 마진 영역

Claims (17)

  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소자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구동 소자부가 탑재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덮도록 배치되는 윈도우부; 및
    상기 구동 소자부와 수직 구조를 갖도록 배치되는 버튼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부는 내부면과 외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 입력부는 상기 윈도우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에 전부 또는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부의 외부면에서 상기 관통홀을 둘러싸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가 탑재되며, 상기 윈도우부의 내부면에 프린팅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입력부와 구동 소자부는 상기 윈도우부의 배치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서로 위와 아래에 놓이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는,
    영상이 표시되거나 터치가 입력되는 활성 영역과, 상기 활성 영역을 둘러싸는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비활성 영역에 상기 버튼 입력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내부에 상기 비활성 영역과 대응하여 상기 구동 소자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영역은 투과 영역이고, 상기 비활성 영역은 상기 윈도우부의 어느 한 면에 블랙 프린팅이 형성되는 불투과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내부에 상기 활성 영역과 대응하여 배치되는 터치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입력부는,
    상기 버튼부의 밑면에 배치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물리적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상기 입력부와 접촉하여 상기 물리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전달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의 외부면에서 상기 단차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버튼부의 높이와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스위치를 상기 구동 소자부로부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지지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내부 하우징에 고정되는 브라켓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돔형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돔형 스위치는,
    주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원주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치된 제1 전극, 제1 절연부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전극부,
    돔 형상을 갖고, 원주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치된 제3 전극, 제2 절연부 및 제4 전극을 포함하는 제2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제3 전극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전극과 제4 전극은 상기 물리적 신호의 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유연성 회로 기판에 형성되어 주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하드 타입 키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120137636A 2012-11-30 2012-11-30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467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636A KR101467867B1 (ko) 2012-11-30 2012-11-30 이동 통신 단말기
US14/084,094 US20140152596A1 (en) 2012-11-30 2013-11-19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636A KR101467867B1 (ko) 2012-11-30 2012-11-30 이동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853A KR20140069853A (ko) 2014-06-10
KR101467867B1 true KR101467867B1 (ko) 2014-12-03

Family

ID=50824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636A KR101467867B1 (ko) 2012-11-30 2012-11-30 이동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152596A1 (ko)
KR (1) KR1014678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8966B2 (en) 2017-09-18 2023-01-17 Samsung Display Co., Ltd. Support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03089B2 (ja) * 2014-08-28 2018-10-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基板接続構造および電子機器
KR102297494B1 (ko) * 2015-01-28 2021-09-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EP3523788A4 (en) * 2016-10-04 2020-06-03 DMYK Inventions Inc. REAR VISION PERSONAL SECURITY MIRROR
KR20210059849A (ko) * 2019-11-15 2021-05-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5833A (ja) * 2004-11-09 2006-05-25 Sanyo Electric Co Ltd 携帯端末装置
KR20060095292A (ko) * 2005-02-28 2006-08-31 주식회사 팬택 멀티 돔스위치로 사용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90046618A (ko) * 2007-11-06 2009-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8760A (en) * 1992-08-18 1995-05-23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nic devices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US7889139B2 (en) * 2007-06-21 2011-02-15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cable grounding
US8417298B2 (en) * 2008-04-01 2013-04-09 Apple Inc. Mounting structur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8537543B2 (en) * 2008-04-11 2013-09-17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using structures
US7933123B2 (en) * 2008-04-11 2011-04-26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wo-piece housing
US7902474B2 (en) * 2008-05-01 2011-03-08 Apple Inc. Button assembly with inverted dome switch
US7697281B2 (en) * 2008-09-05 2010-04-13 Apple Inc. Handheld computing device
US8432678B2 (en) * 2010-01-06 2013-04-30 Apple Inc. Component assembly
US8570736B2 (en) * 2011-01-31 2013-10-29 Apple Inc. Component assembly
US8830662B2 (en) * 2011-03-01 2014-09-09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moisture resistant openings
US8816977B2 (en) * 2011-03-21 2014-08-26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US9894781B2 (en) * 2012-06-06 2018-02-13 Apple Inc. Notched display layers
US10031367B2 (en) * 2012-09-27 2018-07-24 Apple Inc. Display with inverted thin-film-transistor layer
US9153391B2 (en) * 2012-11-16 2015-10-06 Apple Inc. Aluminum oxide control mechanis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5833A (ja) * 2004-11-09 2006-05-25 Sanyo Electric Co Ltd 携帯端末装置
KR20060095292A (ko) * 2005-02-28 2006-08-31 주식회사 팬택 멀티 돔스위치로 사용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90046618A (ko) * 2007-11-06 2009-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8966B2 (en) 2017-09-18 2023-01-17 Samsung Display Co., Ltd. Support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52596A1 (en) 2014-06-05
KR20140069853A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9536B2 (en) Display module having haptic function
WO2014141893A1 (ja) 電子機器
RU2381588C2 (ru) Кноп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с функцией индикации и переносное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его
KR10146786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US9807919B2 (en) Electronic devices having electrostatic discharge paths
KR20110088565A (ko) 압전 햅틱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KR20170071635A (ko) 표시장치
JP2013134635A (ja) 操作スイッチ装置
US20050110762A1 (en) Keyboard with changeable key display
US9817478B2 (en) Vibra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8577072B2 (en) Electronic device
US20060146027A1 (en) Keypad and button mechanism having enhanced tactility
JP2010239323A (ja) 携帯端末装置
US20110141017A1 (en) Waterproof mouse
US20140036458A1 (en) Electronic apparatus
JP2012173955A (ja) 電子機器
JP2014029372A (ja) 電子機器
JPWO2012111348A1 (ja) 電子機器
KR101084865B1 (ko) 터치스크린장치
KR20140110607A (ko) 키버튼 어셈블리 및 그 운용 방법
CN107831954B (zh) 阵列基板、显示面板和电子设备
US20090051657A1 (en) Display button device
JP5606954B2 (ja) 電子機器
JP5496373B2 (ja) 電子機器
KR101534855B1 (ko) 버튼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