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457Y1 -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457Y1
KR200485457Y1 KR2020160003660U KR20160003660U KR200485457Y1 KR 200485457 Y1 KR200485457 Y1 KR 200485457Y1 KR 2020160003660 U KR2020160003660 U KR 2020160003660U KR 20160003660 U KR20160003660 U KR 20160003660U KR 200485457 Y1 KR200485457 Y1 KR 2004854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ing
display device
hole
porta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041U (ko
Inventor
민금순
Original Assignee
민금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금순 filed Critical 민금순
Priority to KR2020160003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457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0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0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4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4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 액세서리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는 접착판과, 상기 접착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접착판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홀을 갖는 연결 블록과, 상기 관통홀 내에서 이동 및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블록의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는 축 및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에 의해 정의되는 양단이 상기 축의 양단과 맞물리며 상기 축에 대해 회전하는 고리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 액세서리는 고리를 다양한 각도로 조절하여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Accessary for potable display device}
본 고안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를 휴대하거나 거치하기 위한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폰, PMP 등과 같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액세서리가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측에 스트랩(strap) 형태의 액세서리가 구비되어 휴대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는 대체로 손으로 파지하여 이용하지만 장시간 동영상을 보거나 경우에 따라 책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거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트랩 형태의 액세서리는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휴대를 편리하게 하지만,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를 상기 바닥면에 거치할 때는 이용하기 어렵다.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를 상기 바닥면에 용이하게 거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거치용 액세서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본 고안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휴대와 거치를 용이하게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는 접착판과, 상기 접착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접착판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홀을 갖는 연결 블록과, 상기 관통홀 내에서 이동 및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블록의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는 축 및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에 의해 정의되는 양단이 상기 축의 양단과 맞물리며 상기 축에 대해 회전하는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축의 일단 또는 양단에 적어도 하나의 홈 또는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고리의 일단 또는 양단에 상기 축의 홈 또는 돌기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또는 홈이 구비되며, 상기 고리의 돌기 또는 홈이 상기 축의 홈 또는 돌기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축에 대해 상기 고리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리의 양단이 상기 축의 양단과 맞물리는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고리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리는 고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리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리의 탄성을 높이기 위해 내부에 고탄성을 갖는 금속 재질의 탄성 구조물이 삽입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리의 양단이 상기 축의 양단과 맞물리는 힘을 크게 하기 위해 상기 축의 길이는 상기 고리의 개방부의 폭보다 길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리가 상기 축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고리가 상기 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리의 양단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축의 길이는 상기 관통홀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축을 상기 관통홀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축은 상기 관통홀에 억지끼움 되거나, 상기 축의 측면에 상기 연결 블록과 맞물리는 평탄면 또는 요철을 갖거나, 상기 축의 키홈과 상기 연결 블록의 키홈에 키를 삽입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접착판과 상기 연결 블록은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축이 상기 관통홀에 고정되도록 상기 나사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축을 가압하거나 상기 축과 체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리는 상기 개방부가 구비된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 바닥면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해 평면부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리가 상기 바닥면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방부가 구비된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의 표면이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액세서리는 축의 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된 하나의 홈 또는 돌기와 고리의 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 또는 홈과 맞물리면서 접착판에 대해 고리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고리의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세서리를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에 장착하여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를 다양한 각도로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세서리는 구조가 단순하므로, 조립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액세서리를 A-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액세서리를 B-B'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연결 블록에 축이 고정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연결 블록에 축이 고정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고리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축의 홈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고리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액세서리를 A-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액세서리를 B-B'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액세서리(100)는 접착판(110), 연결 블록(120), 축(130) 및 고리(140)를 포함한다.
접착판(110)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미도시)의 화면이 형성된 전면과 반대되는 후면에 부착된다.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예로는 휴대폰, PMP, MP3 플레이어, 전자사전 등을 들 수 있다. 일 예로, 접착판(110)은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후면에 면접하면서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접착판(110)은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재질의 접착물질(미도시)을 통하여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판(110)은 제1 판(112)과 제2 판(11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판(112)과 제2 판(114)은 서로 결합된다. 예를 들면, 제1 판(112)과 제2 판(114)은 접착 물질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판(112)과 제2 판(114)은 홈과 돌기의 맞물림에 의해 결합되거나 나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판(112)은 제1 나사홀(113)을 갖는다. 제1 나사홀(113)은 제1 판(112)의 중앙을 관통한다. 제1 판(112)과 제2 판(114) 사이에는 제1 나사홀(113)을 통해 연결 블록(131)과 체결되는 나사(126)가 배치된다. 제1 판(112)에서 제2 판(114)과 마주하지 않는 면에는 상기 상품명이나 제조 회사명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판(112)은 플라스틱과 같은 열경화성 수지 계열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판(114)은 제1 판(112)과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제2 판(114)에서 상기 제1 판(112)과 마주하지 않은 면에는 요철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판(114)에 요철 패턴이 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의 후면과의 접촉 면적으로 넓힐 수 있다.
상기 제2 판(114)은 상기 폴리 우레탄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의 접착성 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판(114)은 그 내부 물질이 상호 분리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므로, 접착판(110)을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후면으로부터 분리시키더라도 상기 후면에 상기 접착성 물질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가 상기 접착성 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판(110)을 강제 분리할 경우, 상기 접착성 물질이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후면에 남아 있지 않도록 제1 판(112) 및 제2 판(114)과의 접착력이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 후면과 상기 제2 판(114)의 접착력보다 높게 할 필요가 있다.
연결 블록(120)은 접착판(110) 상에 배치된다. 연결 블록(12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연결 블록(120)은 사각판, 오각판 등의 다각판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연결 블록(120)은 관통홀(122) 및 제2 나사홀(124)을 가질 수 있다.
관통홀(122)은 연결 블록(120)의 측면을 관통한다. 즉, 관통홀(122)은 접착판(110)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관통홀(122)은 연결 블록(120)의 중앙을 지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홀(122)은 축(130)이 삽입되기 위한 것으로, 축(130)의 지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지름을 갖거나 축(130)의 지름보다 약간 큰 지름을 갖는다.
제2 나사홀(124)은 연결 블록(120)의 저면 중앙에서부터 상방으로 형성된다. 제2 나사홀(124)은 관통홀(122)과 연결될 수 있다.
나사(126)는 접착판(110)과 연결 블록(120)을 체결한다. 구체적으로, 나사(126)는 접착판(110)의 제1 판(112)의 하방에서 제1 나사홀(113)을 지나 연결 블록(120)의 제2 나사홀(124)에 체결된다. 따라서, 연결 블록(120)이 접착판(11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나사(126) 대신에 연결 블록(120)의 저면 중앙에 나사가 고정되고, 상기 나사를 접착판(110)과 체결함으로써 연결 블록(120)과 접착판(110)을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접착판(110)과 연결 블록(120)은 리벳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다.
축(130)은 연결 블록(120)의 관통홀(122)에 삽입된다. 이때, 축(130)은 관통홀(122) 내에서 관통홀(12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연결 블록(120)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연결 블록(120)에서 제2 나사홀(124)이 관통홀(122)과 연결되는 경우, 나사(126)는 연결 블록(120)의 제2 나사홀(124)과 체결되면서 축(130)과도 체결되거나 축(130)을 가압할 수 있다. 나사(126)가 축(130)과 체결되거나 축(130)을 가압함으로써 관통홀(122)에 삽입된 축(130)이 이동하거나 회전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축(130)은 관통홀(122)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나사(126)가 축(130)과 체결되거나 축(130)을 가압하지 않더라도 축(130)이 이동하거나 회전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축(130)의 측면과 연결 블록(120)에서 관통홀(122)이 형성된 내측면에 각각 키홈을 형성하고, 상기 키홈에 키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축(130)이 이동하거나 회전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연결 블록에 축이 고정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축(130)은 평탄면(134)을 갖는다. 평탄면(134)은 축(130)의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경우, 관통홀(122)도 축(130)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평탄면(134)이 연결 블록(120)에 걸리므로, 관통홀(122)에 삽입된 축(130)은 연결 블록(12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연결 블록에 축이 고정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축(130)은 돌출부(136)를 갖는다. 돌출부(136)는 축(130)의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경우, 관통홀(122)도 축(130)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돌출부(136)가 연결 블록(120)에 걸리므로, 관통홀(122)에 삽입된 축(130)은 연결 블록(120)에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축(130)의 길이는 관통홀(122)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그러므로, 축(130)이 관통홀(122)의 중앙에 고정되면, 관통홀(122)의 양단 부위가 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고리(140)는 일측에 개방부(142)가 형성된 대략 링 형상을 갖는다. 개방부(142)의 폭은 축(130)의 길이와 같거나 축(130)이 길이보다 좁을 수 있다. 개방부(142)에 의해 정의되는 양단(144)은 축(130)의 양단과 맞물린다. 따라서, 고리(140)는 축(12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리(140)가 접착판(110)에 대해 다양한 각도를 가질 수 있으며, 고리(140)가 접착판(110)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축(130)이 삽입된 관통홀(122)의 양단 부위가 빈 상태이므로, 고리(140)의 양단(144)이 관통홀(122)의 양단 부위에 삽입되어 축(120)의 양단과 맞물릴 수 있다. 그러므로, 고리(140)가 축(130)에 대해 회전할 때 고리(140)의 양단이 관통홀(122)의 양단 부위에 의해 가이드되므로, 고리(140)의 양단과 축(130)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리(140)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고리(140)는 고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금속 재질의 예로는 스프링강, 스테인레스 강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예로, 고리(140)는 고탄성을 갖는 플라스틱일 수도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고리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을 추가로 참조하면, 고리(140)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고탄성을 갖는 금속 재질의 탄성 구조물(140a)이 삽입된다. 따라서, 고리(140)의 탄성을 높일 수 있다.
고리(140)가 상기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고리(140)를 다양한 모양으로 사출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고리(140)의 모양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고리(140)가 상기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고리(140)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리(140)의 촉감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리(140)가 탄성을 가지므로, 고리(140)의 양단(144) 사이가 용이하게 벌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고리(140)의 양단을 관통홀(122)의 양단 부위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고리(140)의 탄성력으로 인해 고리(140)의 양단(144)과 축(120)의 양단이 보다 강한 힘으로 맞물릴 수 있다. 그러므로, 고리(140)가 축(120)과 이루는 각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개방부(142)의 폭이 축(130)이 길이보다 좁은 경우, 고리(140)의 양단(144) 사이가 정상 상태보다 벌어진 상태에서 고리(140)의 양단(144)이 축(120)의 양단과 맞물린다. 양단(144) 사이가 벌어지는 경우, 고리(140)의 탄성 복원력이 크게 작용하므로, 고리(140)의 양단(144)과 축(120)의 양단이 더욱 강한 힘으로 맞물릴 수 있다. 그러므로, 고리(140)가 접착판(110)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고리(140)는 개방부(142)가 형성된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이 바닥면(미도시)과 접촉한다. 고리(140)에서 상기 타측의 표면이 고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표면이 널링 처리될 수 있다. 고리(140)가 바닥면(미도시)과 접촉할 때 상기 타측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고리(140)가 상기 바닥면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리(140)가 축(130)에 대해 회전하므로, 축(130)의 양단이 마모될 수 있다. 그러므로, 축(130)의 양단이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축(130)은 고리(140)와 동일한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내마모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축의 홈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다.
도 8을 추가로 참조하면, 축(130)의 양단에 적어도 하나의 홈 또는 돌기가 구비되고, 고리(140)의 양단(144)에 축(130)의 홈 또는 돌기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또는 홈이 구비된다. 예를 들면, 축(130)의 양단에 홈(132)이 구비되는 경우 고리(140)의 양단(144)에는 돌기(146)가 구비되고, 축(130)의 양단에 돌기(미도시)가 구비되는 경우, 고리(140)의 양단(144)에는 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축(130)의 양단이 아닌 일단에 적어도 하나의 홈 또는 돌기가 구비되고, 고리(140)의 일단(144)에 축(130)의 홈 또는 돌기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또는 홈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축(130)의 양단에 홈(132)이 구비되고 고리(140)의 양단(144)에는 돌기(146)가 구비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130)의 양단에 각각 하나의 홈(132)이 직선 형태로 구비되거나, 직선 형태를 갖는 두 개의 홈(132)들이 서로 직교하도록 구비되거나, 직선 형태를 갖는 네 개의 홈(132)들이 서로 4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축(130)의 양단에 각각 직선 형태를 갖는 다섯 개 이상의 홈(132)들이 서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홈(132)들은 직선 형태 이외에 곡선 등과 같은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고리(140)의 양단(144)에 각각 하나의 돌기(146)가 직선 형태로 구비되거나, 직선 형태를 갖는 두 개의 돌기(146)들이 서로 직교하도록 구비되거나, 직선 형태를 갖는 네 개의 돌기(146)들이 서로 4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되거나, 직선 형태를 갖는 다섯 개 이상의 돌기(146)들이 서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축(130)의 양단에 구비된 홈(132)과 고리(140)의 양단(144)에 구비된 돌기(146)는 서로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축(130)의 양단에 구비된 홈(132)의 개수 및 모양이 고리(140)의 양단(144)에 구비된 돌기(146)의 개수 및 모양과 동일할 수 있다.
축(130)의 양단에 구비된 홈(132)이 하나인 경우, 고리(140)의 양단(144)에 구비된 돌기(146)는 상기의 다양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고리(140)의 양단(144)에 구비된 돌기(146)가 하나인 경우, 축(130)의 양단에 구비된 홈(132)은 상기의 다양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고리(140)의 돌기(144)가 축(130)의 홈(132)에 삽입되어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축(130)에 대해 고리(140)가 일정한 각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축(130)의 홈(132)이나 고리(140)의 돌기(144)들이 다수개 구비되는 경우, 축(130)에 대해 고리(140)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고리(140)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고리(140)의 탄성력으로 인해 고리(140)의 돌기(144)와 축(130)의 홈(132)이 맞물린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고리(140)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고리(140)가 축(130)에 대해 회전할 때 고리(140)의 돌기(144)와 축(130)의 홈(132)의 맞물림이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고리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9를 추가로 참조하면, 고리(140)는 개방부(142)가 형성된 일측과 반대되는 상기 타측에 평면부(148)를 갖는다. 평면부(148)는 고리(140)가 상기 바닥면과 접촉할 때 접촉 면적을 넓힌다. 즉, 고리(140)의 다른 부위가 상기 바닥면과 접촉할 때보다 평면부(148)가 바닥면과 접촉할 때 보다 넓은 접촉 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고리(140)가 상기 바닥면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평면부(148)는 표면이 고무로 이루어지거나 표면이 널링 처리될 수 있다. 평면부(148)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고리(140)가 상기 바닥면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세서리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에 부착되어 고리가 다양한 각도로 조절되므로 상기 기기의 휴대와 거치를 편리하게 한다. 또한, 상기 액세서리는 구조가 단순하여 조립이 용이하므로, 상기 액세서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액세서리 110 : 접착판
120 : 연결 블록 130 : 축
140 : 고리

Claims (12)

  1.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는 접착판;
    상기 접착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접착판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홀을 갖는 연결 블록;
    상기 관통홀 내에서 이동 및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블록의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는 축; 및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에 의해 정의되는 양단이 상기 축의 양단과 맞물리며 상기 축에 대해 회전하는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축의 일단 또는 양단에 적어도 하나의 홈 또는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고리의 일단 또는 양단에 상기 축의 홈 또는 돌기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또는 홈이 구비되며,
    상기 고리가 상기 축에 대해 회전하면서 상기 고리의 돌기 또는 홈이 상기 축의 홈 또는 돌기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축에 대해 상기 고리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 액세서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의 양단이 상기 축의 양단과 맞물리는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고리가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 액세서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고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 액세서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리의 탄성을 높이기 위해 내부에 고탄성을 갖는 금속 재질의 탄성 구조물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 액세서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의 양단이 상기 축의 양단과 맞물리는 힘을 크게 하기 위해 상기 축의 길이는 상기 고리의 개방부의 폭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 액세서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가 상기 축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고리가 상기 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리의 양단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축의 길이는 상기 관통홀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 액세서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을 상기 관통홀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축은 상기 관통홀에 억지끼움 되거나, 상기 축의 측면에 상기 연결 블록과 맞물리는 평탄면 또는 요철을 갖거나, 상기 축의 키홈과 상기 연결 블록의 키홈에 키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 액세서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판과 상기 연결 블록은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 액세서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축이 상기 관통홀에 고정되도록 상기 나사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축을 가압하거나 상기 축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 액세서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상기 개방부가 구비된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 바닥면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해 평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 액세서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가 상기 바닥면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방부가 구비된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의 표면이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 액세서리.
KR2020160003660U 2016-06-24 2016-06-24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 KR2004854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660U KR200485457Y1 (ko) 2016-06-24 2016-06-24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660U KR200485457Y1 (ko) 2016-06-24 2016-06-24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041U KR20180000041U (ko) 2018-01-04
KR200485457Y1 true KR200485457Y1 (ko) 2018-01-11

Family

ID=61275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660U KR200485457Y1 (ko) 2016-06-24 2016-06-24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45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570B1 (ko) 2011-01-21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KR101062557B1 (ko) 2011-05-27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624056B1 (ko) 2014-12-31 2016-05-24 전영병 단말기의 지지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009B1 (ko) * 2011-09-28 2014-02-03 조성목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KR101481256B1 (ko) * 2013-04-12 2015-01-15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570B1 (ko) 2011-01-21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KR101062557B1 (ko) 2011-05-27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624056B1 (ko) 2014-12-31 2016-05-24 전영병 단말기의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041U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256B1 (ko)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KR101986914B1 (ko)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JP6028122B2 (ja) モバイル機器のアクセサリ及びそれを有するモバイル機器の車両装着装置
KR200476134Y1 (ko) 차량용 모바일 기기의 장착 장치
US8074322B2 (en) Hing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EP1982079B1 (en) Spring loaded clamping mechanism
US8291549B2 (en) Hinge mechanism
US7612998B2 (en) Portable computer with handle attached thereto
US8163417B2 (en) Electronic device with battery securing mechanism
US8899537B2 (en) Suppor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US20110265287A1 (en) Hinge assembly
US8720752B2 (en) Carry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245355B2 (en) Hinge assembly
US20140160658A1 (en) Supporting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7850132B2 (en) Support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US8422213B2 (en) Slider electronic device
CN113598494A (zh) 快拆机构和可穿戴设备
US20110095662A1 (e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KR200485457Y1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
US20140159558A1 (en) Housing with lathcing mechanism
US20130082019A1 (en) Slide assembly
EP2947782A1 (en) Holder for mobile terminal
US20150143667A1 (en) Supporting frame assembly having inclination adjustment mechanism
KR20140007557A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
KR20180032805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