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7557A -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7557A
KR20140007557A KR1020120074555A KR20120074555A KR20140007557A KR 20140007557 A KR20140007557 A KR 20140007557A KR 1020120074555 A KR1020120074555 A KR 1020120074555A KR 20120074555 A KR20120074555 A KR 20120074555A KR 20140007557 A KR20140007557 A KR 20140007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display device
portable display
connecting shaf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민
Original Assignee
억스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억스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억스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to KR1020120074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7557A/ko
Publication of KR20140007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는 접착판과,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고리 및 상기 고리가 상기 접착판에 대해 일정 각도만큼 단계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리의 개방부와 상기 접착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휴대와 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Accessary for pot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를 휴대하거나 거치하기 위한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폰, PMP 등과 같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액세서리가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측에 스트랩(strap) 형태의 액세서리가 구비되어 휴대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는 대체로 손으로 파지하여 이용하지만 장시간 동영상을 보거나 경우에 따라 책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거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트랩 형태의 액세서리는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휴대를 편리하게 하지만,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를 상기 바닥면에 거치할 때는 이용하기 어렵다.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를 상기 바닥면에 용이하게 거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거치용 액세서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본 발명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휴대와 거치를 용이하게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는 접착판과,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고리 및 상기 고리가 상기 접착판에 대해 일정 각도만큼 단계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리의 개방부와 상기 접착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고리의 개방부에 배치되는 연결 블록과, 상기 고리와 상기 연결 블록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개방부가 형성된 고리의 양단과 상기 연결 블록을 관통하고,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저면에 서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면들이 형성되는 홈을 갖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도록 상기 연결 블록을 관통하며, 상기 홈에 끼워지는 고정핀 및 상기 접착판과 상기 연결 블록을 체결하는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리의 회전 범위는 상기 홈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고리의 단계적 회전 각도는 상기 홈에서 상기 면들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연결축이 상기 고리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축은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평탄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연결축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도록 상기 연결 블록을 관통하며, 상기 연결축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핀과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축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축과 상기 고정핀을 밀착시키는 탄성 재질의 가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리는 상기 개방부가 구비된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 바닥면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해 평면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리가 상기 바닥면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평면부의 표면이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는 접착판에 대해 고리의 각도를 상기 접착판과 평행하거나 상기 접착판과 수직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고리가 상기 접착판과 수직하는 경우, 상기 액세서리를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에 장착하여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를 용이하게 휴대하거나 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세서리는 구조가 단순하므로, 조립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가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연결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결축을 A-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7은 도 5에 도시된 연결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액세서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액세서리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가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액세서리(100)는 접착판(110), 고리(120) 및 연결 부재(130)를 포함한다.
접착판(110)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10)의 화면이 형성된 전면과 반대되는 후면에 부착된다.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10)의 예로는 휴대폰, PMP, MP3 플레이어, 전자사전 등을 들 수 있다. 일 예로, 접착판(110)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10) 후면에 면접하면서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접착판(110)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10) 후면에 부착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재질의 접착물질(미도시)을 통하여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판(110)은 제1 판(112)과 제2 판(11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판(112)과 제2 판(114)은 서로 결합된다. 예를 들면, 제1 판(112)과 제2 판(114)은 접착 물질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판(112)과 제2 판(114)은 홈과 돌기의 맞물림에 의해 결합되거나 나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판(112)은 제1 나사홀(113)을 갖는다. 제1 나사홀(113)은 제1 판(112)의 중앙을 관통한다. 제1 판(112)과 제2 판(114) 사이에는 제1 나사홀(113)을 통해 연결 블록(131)과 체결되는 나사(134)가 배치된다. 제1 판(112)에서 제2 판(114)과 마주하지 않는 면에는 상기 상품명이나 제조 회사명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판(112)은 플라스틱과 같은 열경화성 수지 계열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판(114)은 제1 판(112)과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제2 판(114)에서 상기 제1 판(112)과 마주하지 않은 면에는 요철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판(114)에 요철 패턴이 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의 후면과의 접촉 면적으로 넓힐 수 있다.
상기 제2 판(114)은 상기 폴리 우레탄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의 접착성 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판(114)은 그 내부 물질이 상호 분리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므로, 접착판(110)을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10)의 후면으로부터 분리시키더라도 상기 후면에 상기 접착성 물질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10)가 상기 접착성 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판(110)을 강제 분리할 경우, 상기 접착성 물질이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10)의 후면에 남아 있지 않도록 제1 판(112) 및 제2 판(114)과의 접착력이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10) 후면과 상기 제2 판(114)의 접착력보다 높게 할 필요가 있다.
고리(120)는 일측에 개방부(122)가 형성된 대략 링 형상을 갖는다. 고리(120)는 개방부(122)가 형성된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 평면부(124)를 갖는다. 평면부(124)는 고리(120)가 바닥면(미도시)과 접촉할 때 접촉 면적을 넓힌다. 즉, 고리(120)의 다른 부위가 상기 바닥면과 접촉할 때보다 평면부(124)가 바닥면과 접촉할 때 보다 넓은 접촉 면적을 갖는다.
평면부(124)는 표면이 고무로 이루어지거나 표면이 널링 처리될 수 있다. 평면부(124)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고리(120)가 상기 바닥면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리(120)는 제1 축홀(126)을 갖는다. 제1 축홀(126)은 개방부(122)가 형성된 양단부를 고리(120)와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한다. 이때, 제1 축홀(126)의 단면은 완전한 원형 아니라 일부가 직선 형태를 갖는다.
고리(120)는 사용자에 의해서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강도가 높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부재(130)는 접착판(110)과 고리(120)의 개방부(122)를 연결하여 고리(120)가 접착판(110)에 대해 일정 각도만큼 단계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연결 부재(130)는 연결 블록(131), 연결축(132), 고정핀(133), 나사(134) 및 가압핀(135)을 포함한다.
연결 블록(131)은 고리(120)의 개방부(122)에 배치된다. 연결 블록(131)은 개방부(122)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블록(131)은 고리(120)의 개방부(122)에 끼워질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 블록(131)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블록(131)은 사각판, 오각판 등의 다각판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연결 블록(131)은 제2 축홀(131a), 제1 핀홀(131b), 제2 나사홀(131c) 및 제2 핀홀(131d)을 가질 수 있다.
제2 축홀(131a)은 연결 블록(131)의 측면을 관통한다. 이때, 제2 축홀(131a)은 연결 블록(131)의 중앙을 지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축홀(131a)은 연결축(132)이 삽입되기 위한 것으로, 연결축(132)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다.
제1 핀홀(131b)은 연결 블록(131)의 저면에서부터 상방으로 일정 높이만큼 형성되거나, 연결 블록(131)을 상하 관통할 수 있다. 제1 핀홀(131b)은 제2 축홀(131a)과 서로 수직하며, 제1 핀홀(131b)의 일부분이 제2 축홀(131a)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핀홀(131b)은 고리(120)의 안정적인 회전을 위해 두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나사홀(131c)은 연결 블록(131)의 저면 중앙에서부터 상방으로 형성된다. 제2 나사홀(131c)은 제2 축홀(131a)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핀홀(131d)은 연결 블록(131)의 저면에서부터 상방으로 일정 높이만큼 형성되거나, 연결 블록(131)을 상하 관통할 수 있다. 제2 핀홀(131d)은 제2 축홀(131a)과 서로 수직하며, 제2 핀홀(131d)의 일부분이 제2 축홀(131a)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축홀(131a)을 기준으로 제1 핀홀(131b)과 제2 핀홀(131d)은 서로 반대측에 배치된다.
연결축(132)은 고리(120)와 연결 블록(131)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연결축(132)은 개방부(122)가 형성된 고리(120)의 양단에 형성된 제1 축홀(126)과 연결 블록(131)의 제2 축홀(131a)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축(132)은 경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연결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결축을 A-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연결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연결축(132)은 홈(132a)과 평탄면(132b)을 갖는다.
홈(132a)은 연결축(132)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길이만큼 형성된다. 홈(132a)이 형성된 길이에 따라 고리(120)의 회전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와 같이 홈(132a)이 연결축(132) 둘레의 절반(1/2)만큼 형성되면, 고리(120)는 90도의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홈(132a)이 연결축(132) 둘레의 3/4 만큼 형성되면, 고리(120)는 180도의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홈(132a)의 저면에 형성되는 면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고리(120)가 단계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과 같이 홈(132a)의 저면에 형성되는 면이 서로 90도의 각도를 이루므로, 고리(120)는 90도 만큼씩 단계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5에서 고리(120)의 회전 범위가 90도이므로, 고리(120)는 90도 만큼씩 단계적으로 왕복 회전할 수 있다. 도 6에서 고리(120)의 회전 범위가 180도이므로, 고리(120)는 90도 만큼씩 단계적으로 왕복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홈(132a)의 저면에 형성되는 세 개의 면이 서로 135도(외각은 45도)의 각도를 이루는 경우, 고리(120)는 45도 만큼씩 단계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홈(132a)의 개수는 제1 핀홀(131b)의 개수(고정핀(133)의 개수)와 동일하다.
평탄면(132b)은 연결축(132)의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평탄면(132b)은 연결축(132)의 측면 어느 부위에나 형성될 수 있지만, 홈(132a)과 겹쳐지지 않도록 연결축(132)에서 홈(132a)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축(132)이 고리(120)의 제1 축홀(126)에 삽입될 때 평탄면(132b)은 제1 축홀(126)의 직선 부위와 대응하므로, 연결축(132)은 고리(12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축(132)은 고리(120)와 같이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제2 축홀(131a)의 단면은 완전한 원 형태를 가지므로, 연결축(132)이 연결 블록(131)에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축(132)이 연결 블록(13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고정핀(133)은 연결축(132)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도록 연결 블록(131)을 관통한다. 구체적으로, 고정핀(133)은 연결 블록(131)의 제1 핀홀(131b)에 삽입된다. 제1 핀홀(131b)과 제2 축홀(131a)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고정핀(133)은 연결축(132)의 홈(132a)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고정핀(133)에 의해 연결축(132)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핀(133)과 홈(132a)의 맞물림에 따라 연결축(132)과 고리(120)가 일정 각도 범위에서 일정 각도만큼 단계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나사(134)는 접착판(110)과 연결 블록(131)을 체결한다. 구체적으로, 나사(134)는 접착판(110)의 제1 판(112)의 하방에서 제1 나사홀(113)을 지나 연결 블록(131)의 제2 나사홀(131c)에 체결된다. 따라서, 연결 블록(131)이 접착판(11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나사(134) 대신에 연결 블록(131)의 저면 중앙에 나사가 고정되고, 상기 나사를 접착(110)과 체결함으로써 연결 블록(131)과 접착판(110)을 고정할 수도 있다.
가압핀(135)은 연결축(132)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도록 연결 블록(131)을 관통한다. 구체적으로, 가압핀(135)은 연결 블록(131)의 제2 핀홀(131d)에 삽입된다. 제2 축홀(131a)을 기준으로 제1 핀홀(131b)과 제2 핀홀(131d)은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므로, 연결축(132)을 기준으로 고정핀(133)과 가압핀(135)은 서로 반대측에 배치된다. 가압핀(135)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 재질의 예로는 우레탄,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가압핀(135)이 탄성 재질을 가지므로, 제2 핀홀(131d)과 제2 축홀(131a)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가압핀(135)이 끼워질 수 있다. 가압핀(135)은 제2 축홀(131a)에 삽입된 연결축(132)을 가압하여 고정핀(133)과 밀착시킨다. 따라서, 고정핀(133)과 연결축(132)의 홈(132a)이 보다 밀착되어 맞물릴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축홀(131a)과의 공차로 인해 연결 블록(131)에 대한 연결축(132)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축(132)과 고리(120)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고리(120)가 90도의 회전 범위에서 90도 만큼씩 단계적으로 왕복 회전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액세서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액세서리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액세서리(100)는 고리(120)가 접착판(110)과 평행하거나 접착판(110)과 수직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축(132)의 홈(132a)에 고정핀(133)이 끼워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연결축(132)에 고정된 고리(120)를 회전시키면, 연결축(132)이 고정핀(133)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회전한다. 이때, 홈(132a)이 연결축(132) 둘레의 절반만큼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축(132)은 90도의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된 고정핀(133)은 홈(132a)의 저면에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두 면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므로, 고리(120)는 90도 만큼씩 단계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고리(120)는 접착판(110)과 평행하거나 접착판(110)과 수직할 수 있다.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10)에 부착된 액세서리(100)는 고리(120)가 접착판(110)과 평행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액세서리(100)를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10)의 휴대 또는 거치에 이용하기 위해 고리(120)를 회전시켜 접착판(110)과 수직하도록 한다. 액세서리(100)의 고리(120)에 손가락을 끼움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1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으므로,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10)의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리(120)와 접착판(110)과 수직한 상태에서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10)를 책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놓으면,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10)의 일측면과 고리(120)의 평면부(124)가 상기 바닥면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10)를 상기 바닥면에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에 부착되어 상기 기기의 휴대와 거치를 편리하게 한다. 또한, 상기 액세서리는 구조가 단순하여 조립이 용이하므로, 상기 액세서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액세서리 110 : 접착판
120 : 고리 130 : 연결 부재
10 :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

Claims (7)

  1.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는 접착판;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고리; 및
    상기 고리가 상기 접착판에 대해 일정 각도만큼 단계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리의 개방부와 상기 접착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 액세서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고리의 개방부에 배치되는 연결 블록;
    상기 고리와 상기 연결 블록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개방부가 형성된 고리의 양단과 상기 연결 블록을 관통하고,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저면에 서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면들이 형성되는 홈을 갖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도록 상기 연결 블록을 관통하며, 상기 홈에 끼워지는 고정핀; 및
    상기 접착판과 상기 연결 블록을 체결하는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 액세서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의 회전 범위는 상기 홈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고리의 단계적 회전 각도는 상기 홈에서 상기 면들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 액세서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이 상기 고리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축은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평탄면을 갖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 액세서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연결축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도록 상기 연결 블록을 관통하며, 상기 연결축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핀과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축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축과 상기 고정핀을 밀착시키는 탄성 재질의 가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 액세서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상기 개방부가 구비된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 바닥면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해 평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 액세서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가 상기 바닥면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상기 평면부의 표면이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 액세서리.
KR1020120074555A 2012-07-09 2012-07-09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 KR20140007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555A KR20140007557A (ko) 2012-07-09 2012-07-09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555A KR20140007557A (ko) 2012-07-09 2012-07-09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557A true KR20140007557A (ko) 2014-01-20

Family

ID=50141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555A KR20140007557A (ko) 2012-07-09 2012-07-09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75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462A (ko) * 2014-04-09 2015-11-06 금경원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160050533A (ko) * 2014-10-30 2016-05-11 김민철 휴대용 단말기 악세서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462A (ko) * 2014-04-09 2015-11-06 금경원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160050533A (ko) * 2014-10-30 2016-05-11 김민철 휴대용 단말기 악세서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256B1 (ko)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JP6028122B2 (ja) モバイル機器のアクセサリ及びそれを有するモバイル機器の車両装着装置
KR200476134Y1 (ko) 차량용 모바일 기기의 장착 장치
US8934221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mechanism
US20170344067A1 (en) Pivot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8899537B2 (en) Suppor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US10067532B2 (en) Electronic device
JP5681892B2 (ja) 電子機器
US20100064475A1 (en) Hing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4793700B (zh) 显示装置
JP2013097381A (ja) 外付けレンズの装着構造及び携帯式電子装置
US7924554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ovable display
US8720752B2 (en) Carry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TWM513548U (zh) 保護殼
US9088086B2 (en) Data device with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US10281952B2 (en) Cover
US20190301665A1 (en) Lock ra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9519316B2 (en) Flash drive with attached cover
US8508923B2 (en) Electronic device
KR20140007557A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
US8116096B2 (en) Surface contact card retention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9990007B2 (en) Stand device and stand-equippe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US20120140425A1 (en) Electronic device
TWM453876U (zh) 具有保護套的電子設備
US8072740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