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462A -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462A
KR20150124462A KR1020140042477A KR20140042477A KR20150124462A KR 20150124462 A KR20150124462 A KR 20150124462A KR 1020140042477 A KR1020140042477 A KR 1020140042477A KR 20140042477 A KR20140042477 A KR 20140042477A KR 20150124462 A KR20150124462 A KR 20150124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holder
supporting
ba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3817B1 (ko
Inventor
금경원
김범진
Original Assignee
금경원
김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경원, 김범진 filed Critical 금경원
Priority to KR1020140042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817B1/ko
Publication of KR20150124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를 거치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일면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탈부착되는 베이스부; 반구를 넘는 구의 형상으로 되어 양쪽 측면 아래에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며, 평면의 바닥면과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이 결합하되 회동부가 회동할 수 있게 결합한 회동부; 및 상기 각 삽입공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고리의 양쪽이 각각 삽입되어 회동하면서 휴대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부;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반구 이상의 구의 형상으로 된 회동부와 고리형상의 지지부의 결합만으로도 휴대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어, 상기 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거치대{HOLDER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베이스부 상에 반구 이상의 형상으로 된 회동부를 회동할 수 있게 결합하고, 상기 회동부에 회동할 수 있는 고리형상의 지지부를 결합하여, 상기 지지부를 회동하여 세울수록 장력(tension)에 의한 결합력을 높여 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가 간편하면서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많은 데이터를 제공하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휴대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로서,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고 있다. 특히,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되고 있다. 더불어, 휴대단말기는 본래 이동통신 기능 이외의 TV, 영화감상, 사진기 등의 부가 기능을 추가하여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를 통해 데이터를 보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기기의 영상출력부를 사용자가 잘 볼 수 있도록 적절한 각도로 유지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들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벽과 같은 곳에 기대어 세워야 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들고 있으면 어깨와 손목에 무리가 가게 되므로 장시간 그 상태를 유지하기 힘들며, 벽에 기대어 세우는 것은 장소에 제한을 받으므로 매우 불편하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나 피디에이(PDA) 등의 스마트기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의 경우에는 연결고리가 상단 일측에 별도로 구비됨에 따라 단부에 고리 또는 장신구가 구비된 줄을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그 휴대용이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그러나 최근 휴대전화 중 스마트폰과 같은 기종의 경우에는 단부에 고리 또는 장신구가 구비된 줄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고리가 별도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손에서 미끄러져 낙하하는 경우에는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거나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가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기재한 회동가능한 고리형상의 지지부를 갖는 거치대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를 포함한 대부분의 휴대단말기를 지지하기 위한 고리형상의 지지부를 회동 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부가 결합하는 회동부 내에 별도의 부품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별도의 부품으로 인해 조립에 어려움이 있고 조립시간도 많이 걸리며, 이에 따라 생산성이 낮고 생산비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6210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636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베이스부에 결합된 회동할 수 있는 회동부를 반구 이상의 구의 형상으로 구성하면서 상기 회동부의 양쪽 아래에 삽입공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삽입공에 고리형상의 지지부를 각각 삽입함으로써, 상기 고리형상의 지지부가 회동할 때 장력이 발생하면서 회동부와 결합력을 높여 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휴대단말기를 거치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일면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탈부착되는 베이스부; 반구를 넘는 구의 형상으로 되어 양쪽 측면 아래에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며, 평면의 바닥면과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이 결합하되 회동부가 회동할 수 있게 결합한 회동부; 및 상기 각 삽입공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고리의 양쪽이 각각 삽입되어 회동하면서 휴대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부;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회동부에 형성된 삽입공의 중심선은 구 형상의 회동부의 중심부 직경 아래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베이스부와 회동부는 볼트결합에 의해 상기 회동부가 회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베이스부의 배면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접착테이프가 부착되고, 보호필름에 의해 덮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회동부 및 지지부는 강도가 있는 고강도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리스스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의하면, 반구 이상의 구의 형상으로 된 회동부와 고리형상의 지지부의 결합만으로도 휴대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어, 상기 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베이스부와 회동부 및 고리형상 지지부의 단순 결합만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조립부품 수가 최소한으로 되어 조립이 간단하고 간편해지며, 그로 인해 생산성이 대폭적으로 높아지고 생산비가 현저히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종단면도 및 주요부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용상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종단면도 및 주요부 확대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휴대단말기에 부착하는 베이스부(1)와 구의 형상으로 된 회동부(2) 및 고리형상의 지지부(3)를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부(1)는 도면에서 사각의 판 형상으로 하였으나 원판 형상 등 다양한 판 형상으로 할 수도 있고, 중심부에 결합볼트가 삽입되는 결합공(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면에는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탈부착할 수 있는 탈부착수단으로 접착테이프(5)가 부착되어 있다.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상기 베이스부(1)를 부착하기 전에 접착테이프(5)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접착테이프(5) 면에는 보호필름(6)이 덮여져 있다.
상기 회동부(2)는 반구 이상의 구의 형상으로 되어 바닥은 평면으로 되어 있으며, 양쪽 측면의 아래에는 삽입공(7a)(7b)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바닥의 평면 중심부에는 안쪽으로 볼트공(4)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1)의 결합공(8)에 맞추어 머리가 넓은 볼트(10)가 체결됨으로써 회동부(2)와 베이스부(1)의 타면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회동부(2)의 바닥면이 볼트(10)에 의해 베이스부(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동부(2)는 베이스부(1) 상의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7a)(7b)의 형성 위치에 있어 회동부(2)의 양쪽 측면의 중심부, 즉 구의 중심부 직경에 형성하지 않고 중심부에서 약간 아래에 형성하는데, 정확히는 상기 삽입공(7a)(7b)의 중심선이 구의 형상으로 된 회동부(2)의 중심부 직경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회동부(2)가 자유롭게 회전할 때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베이스부(1)와 볼트(10)로 결합할 때 접착제를 넣은 상태에서 볼트결합한 후 일정 시간 지나 접착제 굳혀 결합강도를 높인 다음 회동부(2)를 회동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와 회동부를 볼트(10)로 결합할 때 도시하지 않았지만 볼트(10)의 회전에 의한 베이스부(1)의 마모방지와 원만한 회전력을 위해 부드러운 재질의 와셔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3)는 일부가 분리된 고리형상으로 되어 분리된 고리의 한쪽은 회동부(2) 한쪽 측면의 삽입공(7a)에 삽입하고, 분리된 고리의 다른 쪽은 회동부(2) 다른 쪽 측면의 삽입공(7b)에 삽입하되, 고리의 직경을 상기 삽입공(7a)(7b)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하여 지지부(3)가 삽입공(7a)(7b)에 빡빡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즉 상기 지지부(3)의 고리를 회동부(2)의 삽입공(7a)(7b)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넣되 최소한 상기 지지부(3)의 고리가 회동할 수 있을 정도로 삽입하여 끼워 넣는다. 이와 같은 고리형상의 지지부(3)는 회동부(2)에 연결되어 수직면에서 180도의 간격 범위로 상기 회동부(2)를 넘나들며 회동하면서 세워지거나 눕혀진다.
상기 회동부(2)와 지지부(3)는 상기 지지부(3)의 결합력 향상을 위해 도금이나 코팅이 필요 없는 고강도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강도 재료의 예로는 고강도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리스스틸을 들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용상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베이스부(1)에 부착된 접착테이프(5)를 통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9)의 배면에 부착한 후, 상기 회동부(2)를 회동하거나 고리형상의 지지부(3)를 회동하면서 알맞은 위치에 정지시킨 후 상기 휴대단말기(9)를 상기 지지부(3)에 의해 지지하여 비스듬히 세워 놓은 상태로 만든다.
이렇게 휴대단말기(9)를 지지부(3)로 받쳐 비스듬히 세워 놓기 위해 상기 지지부(3)를 회동하게 되는데, 상기 지지부(3)가 베이스부(1)에 눕혀진 상태에서 회동하여 회동부(2) 상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회동부(2)의 삽입공(7a)(7b)에 삽입되는 지지부(3)의 고리 양쪽이 장력(tension)을 받아 상기 지지부(3)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구 이상의 구의 형상으로 된 회동부(2)에 형성한 삽입공(7a)(7b)의 아래쪽 직경(d)보다 중심 직경으로 갈수록 위쪽의 직경(D)이 더 커지기 때문에, 삽입공(7a)(7b)의 아래쪽 직경(d)과 접하고 있는 눕혀있던 지지부(3)를 세우기 위해 회동시키면, 세워지는 방향 쪽으로 회동하여 갈 때마다 상기 지지부(3)의 양쪽 고리가 삽입공(7a)(7b)의 점점 더 커지는 위쪽의 직경을 만나기 때문에 이를 양쪽으로 밀어내는 장력이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지지부(3)가 회동하면서 세워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회동부(2)의 삽입공(7a)(7b)과 더 빡빡하게 결합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9)를 비스듬히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힘을 발휘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부(1)의 접착테이프(5)는 필요에 따라 탈착할 수 있는 테이프이므로 휴대단말기(9)에 자유롭게 탈부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베이스부 2 : 회동부
3 : 지지부 4 : 볼트공
5 : 접착테이프 6 : 보호필름
7a,7b : 삽입공 8 : 결합공
9 : 휴대단말기 10 : 볼트

Claims (5)

  1. 휴대단말기를 거치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일면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탈부착되는 베이스부;
    반구를 넘는 구의 형상으로 되어 양쪽 측면 아래에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며, 평면의 바닥면과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이 결합하되 회동부가 회동할 수 있게 결합한 회동부; 및
    상기 각 삽입공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고리의 양쪽이 각각 삽입되어 회동하면서 휴대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에 형성된 삽입공의 중심선은 구 형상의 회동부의 중심부 직경 아래에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회동부는 볼트결합에 의해 상기 회동부가 회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배면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접착테이프가 부착되고, 보호필름에 의해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 및 지지부는 강도가 있는 고강도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리스스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20140042477A 2014-04-09 2014-04-09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663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477A KR101663817B1 (ko) 2014-04-09 2014-04-09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477A KR101663817B1 (ko) 2014-04-09 2014-04-09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462A true KR20150124462A (ko) 2015-11-06
KR101663817B1 KR101663817B1 (ko) 2016-10-10

Family

ID=54600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477A KR101663817B1 (ko) 2014-04-09 2014-04-09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8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480B1 (ko) 2017-09-21 2019-03-12 임영찬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570B1 (ko) * 2011-01-21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KR101062557B1 (ko) * 2011-05-27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316363B1 (ko) 2012-04-03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316210B1 (ko) 2012-07-09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140007557A (ko) * 2012-07-09 2014-01-20 억스 피티이 엘티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570B1 (ko) * 2011-01-21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KR101062557B1 (ko) * 2011-05-27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316363B1 (ko) 2012-04-03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316210B1 (ko) 2012-07-09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140007557A (ko) * 2012-07-09 2014-01-20 억스 피티이 엘티디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817B1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363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JP6425105B2 (ja) 携帯用電子・電気機器のアクセサリー
US8773845B2 (en) Docking station for media player
KR101316210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TWI553256B (zh) 支撐裝置
KR100713495B1 (ko) 휴대용 거치대
US20140049851A1 (en)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ccessories to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KR200466549Y1 (ko) 단말기용 핑거 홀더
US9628913B2 (en) Support stand and wireless speaker system for tablet computing device
KR20100082758A (ko) 휴대 단말기용 외장케이스
KR20160063599A (ko)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KR200483647Y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TWM491367U (zh) 用來可旋轉地承載攜帶式電子裝置的保護裝置
TWI547787B (zh) 擴充座
KR101663817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20130284879A1 (en) Assembly, a support and a method for carrying a peripheral device
JP3114439U (ja) 電子カメラ付き携帯電子機器用雲台
US20160150067A1 (en) Systems and apparatuses for positioning and displaying a mobile device
KR20180006044A (ko)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KR101744788B1 (ko) 휴대전자기기용 힌지장치
CN204886937U (zh) 移动终端
KR200463901Y1 (ko)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
KR20170059367A (ko) 모바일 받침용 다기능 거치대
KR101537576B1 (ko)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
KR101692961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