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901Y1 -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901Y1
KR200463901Y1 KR2020120004124U KR20120004124U KR200463901Y1 KR 200463901 Y1 KR200463901 Y1 KR 200463901Y1 KR 2020120004124 U KR2020120004124 U KR 2020120004124U KR 20120004124 U KR20120004124 U KR 20120004124U KR 200463901 Y1 KR200463901 Y1 KR 2004639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st
mounting
terminal
portable terminal
flexibl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1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이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훈 filed Critical 이정훈
Priority to KR20201200041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9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9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9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손목에 밀착 지지되며 손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목장착부와; 휴대 단말기가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는 단말기거치부와; 상기 손목장착부와 상기 단말기거치부를 상호 연결하며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손목에 대한 상기 단말기거치부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하는 플렉시블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MOBILE DEVICE WRIST HOLDER}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를 손목에 거치하여 한 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PMP, 게임기, 전자사전 등과 같은 휴대용 통신 기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거나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동하면서도 인터넷 사용, 전화 통화, 영화 감상 등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 중에서 최근에 출시된 스마트폰은 전화 또는 문자 메시지의 수발신 기능뿐만 아니라 문서 작업, 인터넷 사용, 이메일 수발신 등과 같이 그 활용 영역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장소나 시간에 구애됨 없이 사용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휴대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관련하여, 공개특허 제2005-0089360호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 거치 장치들은 대부분 지면에 거치된 상태로 사용되므로, 그 거치 장치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고 한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잡고 나머지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해야 했다.
이에 휴대 단말기 사용을 위해 두 손이 모두 자유롭지 않은 상태가 되는 제약이 있었다. 또한, 그 휴대 단말기 거치 장치들을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는 없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손목에 결합되어 한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으며 휴대 가능한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거치된 휴대 단말기를 보거나 조작하는 각도와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시간 휴대 단말기의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는 사용자의 손목에 밀착 지지되며 손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목장착부와; 휴대 단말기가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는 단말기거치부와; 상기 손목장착부와 상기 단말기거치부를 상호 연결하며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손목에 대한 상기 단말기거치부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하는 플렉시블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목장착부는 상기 플렉시블바와 결합되며 손목이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원형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목장착부는 사용자의 손목에 결속되도록 하는 결속수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거치부와 상기 플렉시블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거치부와 상기 플렉시블바 사이의 결합 각도를 조절하는 상부각도조절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목장착부와 상기 플렉시블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손목장착부와 상기 플렉시블바 사이의 결합 각도를 조절하는 하부각도조절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는 사용자의 손목에 결합되어 사용되므로 사용자가 한 손으로만 휴대 단말기를 고정한 상태로 조작하고, 나머지 손은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손목에 거치되므로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가 단말기거치부에 거치되므로 휴대 단말기의 임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는 손목장착부가 강도를 갖는 경성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밀착되므로 지지 안정성이 높아져 장시간 안정적으로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다른 따른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는 플렉시블바가 손목장착부와 단말기거치부를 연결하므로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보거나 조작하는 각도와 거리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부각도조절 연결부과 하부각도조절 연결부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보다 다양하게 방향과 각도를 조절하면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의 사용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에 결합되는 손목장착부(110)와,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는 단말기거치부(120)와, 손목장착부(110)와 단말기거치부(120)를 연결하는 플렉시블바(130)를 포함한다.
손목장착부(110)는 사용자의 손목에 결합되어 플렉시블바(130)와 단말기거치부(120)를 지지한다. 손목장착부(110)는 플렉시블바(130)가 결합되는 장착부본체(111)와, 장착부본체(111)에 결합되어 장착부본체(111)가 사용자의 손목에 결속되어 결속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결속수단부(113)를 포함한다.
손목장착부(110)는 사용자의 손목에 결합되어 플렉시블바(130)와 단말기거치부(120) 및 단말기거치부(120)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를 손목이 지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손목장착부(110)는 손목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부본체(111)는 손목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도록 개구(112)가 형성된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장착부본체(111)의 양단에는 결속수단부(113)가 결합된다.
장착부본체(111)는 사용자가 손목장착부(110)를 착용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손목장착부(110)가 착용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손바닥 측에서 손등 방향으로 손목에 결합된다. 장착부본체(111)는 전체 손목의 1/2 이상을 커버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지지 안정성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장착부본체(111)는 플렉시블바(130)와 단말기거치부(120)의 무게에도 휨 변형이 발생되지 않고 손목에 대한 밀착 상태가 유지되도록 일정 강도를 갖는 경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목에 착용되므로 가벼운 무게를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장착부본체(111)는 합성수지나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결속수단부(113)는 장착부본체(111)의 양단에 결합된다. 결속수단부(113)는 개구(112)를 통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장착부본체(111)를 가압하여 손목장착부(110)가 사용자의 손목에 결속되도록 한다. 결속수단부(113)의 단부에는 장착부본체(111)에 결합되는 플렉시블바(130)와 단말기거치부(120)의 무게에도 밀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부재(115a, 115b)가 구비된다. 고정부재(115a,115b)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핀(115a)과 결합공(115b)의 형태로 구비되거나, 단추와 단추 구멍의 형태로 구비되거나, 암수의 똑딱 단추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15a, 115b)는 암수 벨크로 부재나 클립 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복수개의 결합공(115b) 중에서 본인의 손목 크기에 맞는 결합공(115b)에 결합핀(115a)을 삽입하여 손목장착부(110)가 결속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의 손목과 접촉되는 장착부본체(111)의 내측면에는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쿠션부재(미도시)가 부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 손목장착부(110)는 장착부본체(111)와 결속수단부(113)의 결합으로 구성되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목장착부(110a)는 단순히 개구(112)가 형성된 원형 고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손목장착부(110a)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직경이 변형되며 그 내부에 손목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손목장착부(110a)가 손목에 밀착되어 플렉시블바(130)와 단말기거치부(12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손목장착부(110)는 다른 실시예로서 단순히 폐쇄되는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손목장착부(110)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서 원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거치부(120)는 휴대 단말기를 착탈 가능하게 거치한다. 단말기거치부(120)는 플렉시블바(130)의 타단부(133)에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보거나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단말기거치부(120)는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부본체(121)와, 거치부본체(121)의 양측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이동지지부(123)와, 한 쌍의 이동지지부(123) 사이의 폭을 가변시키는 폭조절버튼(125)과, 휴대 단말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판(12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거치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의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거나, 특정 크기의 휴대 단말기만 전용적으로 거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플렉시블바(130)는 손목장착부(110)와 단말기거치부(120)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보거나 조작하는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한다. 플렉시블바(130)는 어느 정도 이상의 강한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각도나 휴대 단말기와 손까지의 거리 등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렉시블바(130)는 손목에 결합된 상태에서 단말기거치부(120)와 휴대 단말기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져야 한다.
플렉시블바(130)는 금속 재질의 주름관으로 형성되거나 합성수지 재질의 주름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강도 보강 및 임의 변형 저항성 증대를 위해 주름관 내부에 금속 바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플렉시블바(130)의 일단부는 장착부본체(111)의 가운데 영역에 결합되어 무게 중심이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플렉시블바(130)의 타단부(133)는 거치부본체(121)의 배면의 가운데 영역부터 하부 영역까지 면 접촉되게 결합되어 거치부본체(121)와 휴대 단말기의 하중이 분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플렉시블바(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인 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바(130a)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플렉시블바(130a)와 손목장착부(110a) 사이에는 하부각도조절 연결부(140)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100)는 플렉시블바(130)에 의해서만 휴대 단말기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므로 그 조절 정도가 제한적일 수 있다.
이에 하부각도조절 연결부(140)는 손목장착부(110a)와 플렉시블바(130a) 사이에 개재되어 지지 안정성을 높이고 각도 조절폭을 넓힐 수 있다. 하부각조조절 연결부(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장착부(110a)에 결합되는 결합암(141)과, 결합암(141)에 고정되는 암결합베이스(143)와, 암결합베이스(143)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플렉시블바(130a)와 고정되는 회전결합부(1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회전결합부(145)를 암결합베이스(143)에 대해 회전시켜 회전 각도를 조절하고, 플렉시블바(130a)를 이용해 상하좌우의 미세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나아가, 단말기거치부(120)와 플렉시블바(130) 사이에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각도조절 연결부(150)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부각도조절 연결부(150)는 단말기거치부(120)와 플렉시블바(130) 사이에 결합되어 단말기거치부(1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부각도조절 연결부(150)는 플렉시블바(130)와 결합되는 연결부본체(151)와, 연결부본체(151)에 고정되는 지지부재(152)와, 지지부재(15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153)와, 거치부본체(121)의 배면에 결합되는 결합판(155)과, 회전부재(153)와 결합판(155)을 연결하는 연결축(15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거치부본체(121)의 배면에는 결합판(155)의 결합돌기(155a,155b)와 형합되는 결합공(122)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상부각도조절 연결부(150)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100)의 사용 과정을 도 1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경성 재질로 형성된 장착부본체(111)를 가압하여 탄성적으로 벌려 손목을 내부에 삽입한다. 이때, 장착부본체(111)가 손목에 접촉되도록 배치하고, 결속수단부(113)의 결합핀(115a)을 결합공(115b)에 삽입하여 장착부본체(111)가 손목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거치부(120)에 휴대 단말기(A)를 거치시킨다. 사용자는 거치부본체(121)에 휴대 단말기(A)를 배치하고, 폭조절버튼(125)을 가압하여 이동지지부(123)가 휴대 단말기(A)의 양 측면을 접촉 지지하도록 한다.
휴대 단말기(A)의 위치가 고정되면, 사용자는 플렉시블바(130)를 가압하여 휴대 단말기(A)의 각도와 거리를 조절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100)가 착용된 손만으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 110 : 손목장착부
111 : 장착부본체 112 : 개구
113 : 결속수단부 113a : 고정부재
115 : 보호부재 120 : 단말기거치부
121 : 거치부본체 123 : 이동지지부
130 : 플렉시블바 133 : 타단부
140 : 하부각도조절 연결부 141 : 결합암
143 : 암결합베이스 145 : 회전결합부
150 : 상부각도조절 연결부 151 : 연결부본체
152 : 지지부재 153 : 회전부재
154 : 연결축 155 : 결합판
155a : 결합돌기

Claims (5)

  1. 사용자의 손목에 밀착 지지되며 손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목장착부와;
    휴대 단말기가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는 단말기거치부와;
    상기 손목장착부와 상기 단말기거치부를 상호 연결하며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손목에 대한 상기 단말기거치부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하는 플렉시블바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거치부와 상기 플렉시블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거치부와 상기 플렉시블바 사이의 결합 각도를 조절하는 상부각도조절 연결부와;
    상기 손목장착부와 상기 플렉시블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손목장착부와 상기 플렉시블바 사이의 결합 각도를 조절하는 하부각도조절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장착부는 상기 플렉시블바와 결합되며 손목이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원형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장착부는 사용자의 손목에 결속되도록 하는 결속수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
  4. 삭제
  5. 삭제
KR2020120004124U 2012-05-17 2012-05-17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 KR2004639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124U KR200463901Y1 (ko) 2012-05-17 2012-05-17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124U KR200463901Y1 (ko) 2012-05-17 2012-05-17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901Y1 true KR200463901Y1 (ko) 2012-11-30

Family

ID=47566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124U KR200463901Y1 (ko) 2012-05-17 2012-05-17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9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814B1 (ko) * 2016-06-17 2017-01-25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물품을 식별하는 통합리딩장치
KR20180091155A (ko) * 2017-02-06 2018-08-16 정해윤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934Y1 (ko) 2000-11-09 2001-04-16 이건식 차량용 핸즈프리 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934Y1 (ko) 2000-11-09 2001-04-16 이건식 차량용 핸즈프리 키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814B1 (ko) * 2016-06-17 2017-01-25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물품을 식별하는 통합리딩장치
US10192077B2 (en) 2016-06-17 2019-01-29 Hanmi It Co., Ltd. Combined reading apparatus for identifying product
KR20180091155A (ko) * 2017-02-06 2018-08-16 정해윤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
KR101971425B1 (ko) * 2017-02-06 2019-04-23 정해윤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6914B1 (ko)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TWI553256B (zh) 支撐裝置
EP2570883A2 (en) Support structure
KR101316210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20130155586A1 (en) Support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9699283B2 (en) Electronic portable device shell having an integral stand and stand brace
US8789800B2 (en) Supporting apparatus
WO2021185069A1 (zh) 电子设备
KR200463901Y1 (ko)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
US20090072786A1 (en) Cradle for differently size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390427B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핸드그립
US20160198836A1 (en) Portable hands-free bracket
KR20130007175U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101280783B1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101346572B1 (ko) 휴대 기기용 케이스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KR101956083B1 (ko) 휴대폰 거치대
CN207968602U (zh) 一种全自动旋转夹紧式无线充电手机支架
KR100702709B1 (ko)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
CN204031245U (zh) 随身手机支架钥匙扣
CN107658929B (zh) 一种活动式手机充电座
JP6178815B2 (ja) 携帯情報端末の充電装置および充電システム
KR10065470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
KR200488233Y1 (ko) 비행기용 휴대폰 거치대
KR200474707Y1 (ko) 전자기기용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