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155A -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155A
KR20180091155A KR1020170015957A KR20170015957A KR20180091155A KR 20180091155 A KR20180091155 A KR 20180091155A KR 1020170015957 A KR1020170015957 A KR 1020170015957A KR 20170015957 A KR20170015957 A KR 20170015957A KR 20180091155 A KR20180091155 A KR 20180091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leg
leg members
present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1425B1 (ko
Inventor
정해윤
Original Assignee
정해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윤 filed Critical 정해윤
Priority to KR1020170015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425B1/ko
Publication of KR20180091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쿠션재가 충진되어 있는 몸체(110); 상기 몸체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플렉시블 와이어(150)를 통해 유연하게 휘어지며, 서로의 단부가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복수의 다리부재(130); 및 상기 몸체의 후단부로부터 연장되며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플렉시블 와이어(150)를 통해 유연하게 휘어지는 꼬리부(142)와, 상기 꼬리부의 단부에 연결되며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부(144)로 이루어진 거치부재(1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MULTIFUNCTIONAL WEARABLE CELLULAR PHONE HOLDER}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이 거치되어 있는 거치대를 사용자의 목이나 팔과 같은 다양한 신체부위에 걸치거나 감싸줌으로써 사용자가 눕거나 앉는 등 다양한 자세에서 편히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들은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폰을 항상 휴대하면서 사용하곤 한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소형화, 박형화되어 가는 추세로 사용자의 활동시간에 항상 소지한다.
스마트폰은 두께가 얇기 때문에 그 자체를 세워두지는 못하여 주로 사용자가 손으로 쥐고 사용하나, 이와 같은 사용 방법은 한쪽 손으로 스마트폰을 파지한 상태에서 나머지 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패널이나 버튼을 터치해야 하므로 양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신체에 부담을 주게 되며, 특히 편안하게 누워 휴식을 취하는 시간에 스마트폰을 사용할 경우에는 한쪽 손을 공중으로 치켜올리는 자세를 취하게 되므로 팔에 피로도 및 통증이 가중된다는 단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515626호, (2015.04.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이 거치되어 있는 거치대를 사용자의 목이나 팔과 같은 다양한 신체부위에 걸치거나 감싸줌으로써 사용자가 눕거나 앉는 등 다양한 자세에서 편히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을 충전시킬 수 있는 배터리모듈이 설치되며, 스마트폰에서 재생되는 소리를 증폭 및 선명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스피커모듈이 구비되어 있는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목의 뒷부분을 감싸도록 만곡하게 휘어지며, 내부에 쿠션재가 충진되어 있는 몸체(110); 상기 몸체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플렉시블 와이어(150)를 통해 유연하게 휘어지며, 서로의 단부가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복수의 다리부재(130); 및 상기 몸체의 후단부로부터 연장되며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플렉시블 와이어(150)를 통해 유연하게 휘어지는 꼬리부(142)와, 상기 꼬리부의 단부에 연결되며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부(144)로 이루어진 거치부재(14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리부재는 상기 몸체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두 개씩 구비되고, 상기 다리부재들의 단부는 체결부재를 통해 탈부착 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제1 체결부재와 제2 체결부재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토글단추 및 스냅단추, 마그넷, 벨크로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전력을 저장 또는 공급하는 배터리모듈(112)이 내장되고, 상기 몸체의 전단부에는 머리부재(120)가 구비되며, 상기 머리부재의 내부에는 스피커모듈(122)이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는 사용자의 목을 견고히 감싸주도록 내부에 쿠션재가 내장되어 있는 몸체를 이용하여 목베개와 같이 사용 가능하며, 몸체로부터 플렉시블하게 연장되며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부재를 통해 스마트폰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누워있거나 앉아있는 상태에서도 스마트폰을 편히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의 양단부로부터 플렉시블하게 휘어지며 각각의 단부들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다리부재들 중 몸체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다리부재들끼리 결합시켜주게 되면 사용자의 목의 앞부분을 감싸주는 형태가 되므로 사용자의 목으로부터 몸체가 쉽게 이탈되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몸체 전단부의 다리부재들은 전단부의 다리부재들끼리 후단부의 다리부재들은 후단부의 다리부재들끼리 결합시켜주면 사용자의 팔을 감쌀 수 있는 크기의 공간이 마련되므로 팔에 몸체를 견고히 부착시킬 수 있어 거치대의 활용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으며, 몸체가 사용자의 목을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 머리부재에 내장되어 있는 스피커모듈의 위치가 사용자의 귀와 인접하게 위치하므로 스마트폰으로부터 전달되어 재생되는 소리를 보다 선명하고 입체적으로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가 목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가 목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가 팔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가 셀카봉의 형태로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목의 뒷부분을 감싸도록 만곡하게 휘어지며 내부에 쿠션재가 내장되어 있는 몸체(110), 몸체(110)의 전단부에 구비되며 스피커모듈(122)이 내장되어 있는 머리부재(120), 몸체(110)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플렉시블하게 휘어지는 복수의 다리부재(130), 및 몸체(110)의 후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스마트폰(10)이 거치되는 거치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방향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X, Y, Z 좌표를 이용하여, X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Y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Z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하며, 이는 청구범위 및 명세서 전반에 걸쳐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몸체(100)는 종래의 목베개와 같은 형상 및 작용을 한다. 몸체(110)는 사용자의 목 뒷부분을 감싸도록 내측면이 만곡하게 휘어지도록 구비되며, 내부에는 쿠션재가 충진된다. 몸체(100)의 내부에 충진되는 쿠션재는 솜이나 라텍스와 같이 완충작용이 가능한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몸체(110)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일 수도 있다. 즉, 쿠션재는 몸체(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몸체(110)의 부피를 팽창시키며, 소정의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든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몸체(110)의 내부에는 물건(소지품)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수납부(110a)가 마련된다. 수납부(110a)는 몸체(11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개폐부(110b)를 통해 내부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구비된다. 개폐부(110b)는 지퍼나 파스너(fastener) 등과 같이 개방되어진 입구를 개폐하도록 작동하는 구성이라면 무엇이든 사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지퍼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몸체(110)의 내부에는 배터리모듈(112)이 구비된다. 배터리모듈(112)은 몸체(110) 내부의 수납부(110a)에 저장될 수도 있으며, 수납부(110a)와 같이 몸체(110)의 내부에 내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모듈(112)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며, 배터리모듈(112)에 저장되어 있는 전기에너지는 다시 스마트폰(10)과 같은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작동한다. 이를 위해 배터리모듈(112)에는 콘센트와 같은 한전계통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해주는 어댑터가 결합되는 삽입단자(112a) 및 내부의 전기에너지를 스마트폰(10)과 같은 전자기기에 공급하기 위한 USB 단자가 결합되는 공급단자(112b)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모듈(112)에는 후술하는 거치부재(140)의 꼬리부(142)를 통과하는 전력공급선(112c)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전력공급선(112c)의 단부에는 스마트폰(10)이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스마트폰(10)에 연결되는 충전단자(112d)가 구비될 수 있다. 전력공급선(112c)의 일부분과 충전단자(112d)는 거치부재(140)의 꼬리부(142)로부터 돌출되며, 충전단자(112d)는 거치부(144)에 고정되어 있는 스마트폰(10)에 결합되어 배터리모듈(112)의 전기에너지를 스마트폰(10)에 전달·공급하여 스마트폰(10)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작동한다.
도 3을 살펴보면, 머리부재(120)는 몸체(110)의 전단부에 위치한다. 머리부재(120)의 내부에는 스피커모듈(122)이 마련된다. 스피커모듈(122)은 외부 전자기기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음향장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거치부재(140)에 거치되는 스마트폰(10)과 연동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스피커모듈(122)은 스마트폰(10)에서 재생되는 소리를 증폭시키도록 작동한다. 스피커모듈(122)은 스마트폰(10)과 근거리 통신하여 구동되며, 스마트폰(10)과 스피커모듈(122)의 근거리 통신방식은 NFC 또는 블루투스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스피커모듈(122)은 몸체(110) 내부의 배터리모듈(112)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덧붙여, 스피커모듈(122)은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리모컨(124)과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다. 스피커모듈(122)과 리모컨(124)은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방식이 사용된다. 리모컨(124)에는 스피커모듈(122)의 음량 및 재생순서 등을 설정할 수 있는 버튼들이 마련되어 있어 리모컨(124)을 통해 스피커모듈(122)로부터 재생되는 소리의 음량 및 재생순서 등을 컨트롤하게 된다. 또한, 리모컨(124)은 거치부재(140)에 거치되어 있는 스마트폰(10)과도 블루투스 방식으로 무선 연결될 수 있으며, 리모컨(124)을 이용하여 스마트폰(10)의 카메라 촬영을 실행할 수 있도록 작동하게 된다. 즉, 스마트폰(10)이 사용자와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사용자는 리모컨(124)을 휴대함으로써 스마트폰(10)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리모컨(124)은 몸체(110)와 머리부재(120)가 연결되어 있는 부위를 감싸고 있는 거치줄(125)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거치줄(125)을 통해 스피커모듈(122) 및 스마트폰(10)과 연동되는 리모컨(124)이 스마트폰 거치대(100)에 항시 휴대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 및 활용성이 증가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다리부재(130)는 몸체(110)의 양단부로부터 여러 개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다리부재(130)는 몸체(11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두 개씩 총 네 개가 마련된다. 이러한 다리부재(130)들은 서로 같은 구성을 갖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다리부재(130) 및 다리부재(130)들의 단부에 구비되어 다리부재(130)들의 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켜주는 체결부재(133)의 구성과 작용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몸체(110)의 전단부 좌측 다리부재(130)를 제1 다리부재(130a)로, 몸체(110)의 전단부 우측 다리부재(130)를 제2 다리부재(130b)로, 몸체(110)의 후단부 좌측 다리부재(130)를 제3 다리부재(130c)로, 몸체(110)의 후단부 우측 다리부재(130)를 제4 다리부재(130d)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1 내지 제4 다리부재(130a,130b,130c,130d)의 특별한 지칭 없이 다리부재(130)로 설명되는 경우에는 제1 내지 제4 다리부재(130a,130b,130c,130d)가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리부재(130)는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플렉시블 와이어(150)를 통하여 유연하게 휘어지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플렉시블 와이어(150)는 인위적으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부재로서, 주름진 자라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플렉시블 와이어(150)는 휨 변형력이 제공될 뿐만 아니라 변형 후에 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부재라면 모두 포함된다. 덧붙여, 다리부재(130)의 내부에는 몸체(110)와 같이 쿠션재가 충진될 수 있다.
몸체(110)에 구비되어 있는 다리부재(130)들은 체결부재(133)를 통해 서로의 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몸체(110)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다리부재(130)의 단부와 몸체(110)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다리부재(130)의 단부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몸체(110) 전단부의 다리부재(130)들 끼리 혹은 몸체(110) 후단부의 다리부재(130)들 끼리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다리부재(130a)의 단부는 제2 다리부재(130b)의 단부 또는 제3 다리부재(130c)의 단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다리부재(130b)의 단부는 제1 다리부재(130a)의 단부 또는 제4 다리부재(130d)의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3 다리부재(130c)는 제1 다리부재(130a)의 단부 또는 제4 다리부재(130d)의 단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4 다리부재(130d)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다리부재(130b)및 제3 다리부재(130c)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리부재(130)들의 분리·결합은 다리부재(130)들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체결부재(133)에 의해 이루어진다. 체결부재(133)는 서로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체결부재(131)와 제2 체결부재(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각각의 다리부재(130)들이 단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재(133)는 제1 체결부재(131) 또는 제2 체결부재(132)중 하나이며, 이와 같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체결부재(131)와 제2 체결부재(132)를 통해 다리부재(130)들의 단부가 서로 탈부착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내지 제4 다리부재(130a,130b,130c,130d)의 탈부착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제1 다리부재(130a)에 제1 체결부재(131)가 부착되면, 제2 다리부재(130b) 및 제3 다리부재(130c)에는 제2 체결부재(132)가 부착되고, 제4 다리부재(130c)에는 제1 체결부재(131)가 부착된다. 즉, 서로 대각방향에 위치하는 다리부재(130)들의 단부에 동일한 형태의 제1 체결부재(131) 또는 제2 체결부재(13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체결부재(131) 및 제2 체결부재(132)로 이루어진 체결부재(133)는, 각각 끼움고리와 끼움단추로 구성되어 있는 토글단추의 형태이거나, 암단추와 숫단추로 구성되어 있는 스냅단추의 형태일 수 있으며, 각각 서로 다른 N극과 S극을 갖는 마그넷의 형태이거나, 갈고리와 걸림고리로 이루어진 벨크로의 형태일 수도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거치부재(140)는 몸체(110)의 후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사용자의 스마트폰(10)이 거치되는 부재이다. 거치부재(140)는 몸체(110)로부터 연장되며 플렉시블 하게 휘어지는 꼬리부(142)와, 꼬리부(140)의 단부에 부착되며 스마트폰(10)이 거치되는 거치부(144)를 구비한다.
꼬리부(142)는 내부에 플렉시블 와이어(150)가 내장되어 있으며, 몸체(110)와 같은 쿠션재가 충진되어 있다. 꼬리부(142)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꼬리부(142)는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플렉시블 와이어(150)를 통해 유연하게 휘어지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플렉시블 와이어(150)는 인위적으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부재로서, 주름진 자바라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플렉시블 와이어(150)는 휨 변형력이 제공될 뿐만 아니라 변형 후에 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부재라면 모두 포함된다. 덧붙여, 꼬리부(142)의 내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모듈(112)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전력공급선(112c)이 설치될 수 있다.
거치부(144)는 꼬리부(142)의 단부에 연결되며, 스마트폰(10)이 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거치부(144)의 구성은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본 발명의 특징이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거치부(144)는 스마트폰(10)이 거치되도록 작동하는 부재라면 모두 포함된다.
지금부터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다리부재(130)의 작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스마트폰(10)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몸체(110)를 이용하여 목의 뒷부분을 감싸준 후, 체결부재(133)를 이용하여 몸체(110)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다리부재(130)들을 서로 결합시켜준다. 구체적으로, 제1 다리부재(130a)는 제3 다리부재(130c)와 결합되고, 제2 다리부재(130b)는 제4 다리부재(130d)와 결합된다. 이와 같이 몸체(110)와 다리부재(130)로 목을 감싸주게 되면, 몸체(110)는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쿠션재에 의해 일정한 부피를 갖게 됨으로써 목베개의 기능을 하게 되며, 다리부재(130)들은 목의 앞부분을 감싸 서로 고정되므로 목으로부터 몸체(110)가 쉽게 분리되지 않게 견고히 잡아 주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몸체(110)와 다리부재(13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목을 감싸준 상태에서 거치부(144)에 스마트폰(10)을 거치시킨 후, 내부에 플렉시블 와이어(150)가 내장되어 있는 꼬리부(142)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10)을 편히 사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10)의 위치를 설정해준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목에 스마트폰 거치대(100)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몸체(110)를 목베개처럼 사용하여 편히 누울 수 있으며, 사용자가 누워 있는 상태에서 플렉시블하게 휘어짐과 동시에 내부의 휨 변형력을 유지하는 꼬리부(142)를 통해 거치부(144)에 고정되어 있는 스마트폰(10)의 위치가 일정하게 고정되므로 누운 상태에서도 편히 스마트폰(10)을 시청하거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100)를 사용자의 목에 거치한 후, 누워있는 자세뿐만 아니라 앉거나 서있는 상태로도 사용 가능하다.
덧붙여, 스마트폰(10)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할 경우에는, 몸체(110)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모듈(112)의 공급단자(112b)와 스마트폰(10)을 연결한 뒤, 배터리모듈(112)을 이용하여 스마트폰(1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배터리모듈(112)로부터 연장되어 꼬리부(142)로 돌출되어 있는 충전단자(112d)를 스마트폰(10)에 직접 연결하여 스마트폰을 충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사용자의 목뿐만 아니라, 다양한 신체부위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팔에 몸체(110)를 고정한 후 스마트폰(1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의 팔에 몸체(110)를 고정시킬 경우에는 몸체(110) 전단부의 제1 다리부재(130a)와 제2 다리부재(130b)를 이용하여 팔을 감싸준 후 서로의 단부를 고정시켜주고, 몸체(110) 후단부의 제3 다리부재(130c)와 제4 다리부재(130d)를 이용하여 팔을 감싸준 후 서로의 단부를 고정시켜줌으로써 사용자의 팔에 몸체(110)를 고정시켜 준다. 그리고 난 후, 거치부재(140)에 스마트폰(10)을 거치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10)을 시청하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꼬리부(142)를 이용하여 스마트폰(10)의 위치를 조절한 후 스마트폰(10)을 사용하도록 한다.
덧붙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셀카봉의 형태로도 사용 가능하다. 스마트폰 거치대(100)를 셀카봉으로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단부의 다리부재(130a,130b)들이 전방을 향하여 일직선이 되도록 바르게 펴준 상태로, 거치부(144)에 스마트폰(10)을 거치시킨 후, 꼬리부(142)를 일직선으로 바르게 펴주어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길이가 최대로 연장되도록 만들어준다. 그리고 전단부의 다리부재(130)들을 손으로 파지한 후, 스마트폰(10)을 이용하여 셀카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과 블루투스 방식으로 무선 연결되어 있는 리모컨(124)을 사용하여 보다 간편하게 셀카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다리부재(130)들을 이용하여 몸체(110)를 바닥면에 세워둘 수 있다. 이때, 다리부재(130)의 형태는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플렉시블 와이어(150)를 통해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부(144)에 스마트폰(10)을 거치시킨 후, 꼬리부(142)를 절곡시켜 시청하기 편한 위치에 스마트폰(10)을 위치시켜준 후, 스마트폰(1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전체적으로 고양이나 개와 같은 동물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다. 몸체(110)는 동물의 몸통부분에 해당하고, 다리부재(130)는 동물의 다리부분에 해당하며, 머리부재(120)는 동물의 머리부분에 해당한다. 또한, 거치부재(140)의 꼬리부(142)는 동물의 꼬리에 해당하는 형상을 갖게 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스마트폰 거치대 112:배터리모듈
120:머리부재 122:스피커모듈
130:다리부재 133:체결부재
140:거치부재 142:꼬리부
144:거치부 150:플레시블 와이어

Claims (5)

  1. 내부에 쿠션재가 충진되어 있는 몸체(110);
    상기 몸체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플렉시블 와이어(150)를 통해 유연하게 휘어지며, 서로의 단부가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복수의 다리부재(130); 및
    상기 몸체의 후단부로부터 연장되며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플렉시블 와이어(150)를 통해 유연하게 휘어지는 꼬리부(142)와, 상기 꼬리부의 단부에 연결되며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부(144)로 이루어진 거치부재(140);를 포함하는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는 상기 몸체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두 개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들의 단부는 체결부재를 통해 탈부착 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두 개의 부재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토글단추 및 스냅단추, 마그넷, 벨크로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전력을 저장 또는 공급하는 배터리모듈(112)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단부에는 머리부재(120)가 구비되며, 상기 머리부재의 내부에는 스피커모듈(122)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170015957A 2017-02-06 2017-02-06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 KR101971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957A KR101971425B1 (ko) 2017-02-06 2017-02-06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957A KR101971425B1 (ko) 2017-02-06 2017-02-06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155A true KR20180091155A (ko) 2018-08-16
KR101971425B1 KR101971425B1 (ko) 2019-04-23

Family

ID=6344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957A KR101971425B1 (ko) 2017-02-06 2017-02-06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4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5180A (zh) * 2019-06-29 2019-10-25 合肥锟特奇科技有限公司 一种设备固定装置
KR102130765B1 (ko) * 2019-01-29 2020-07-07 이정훈 휴대폰용 액세서리
KR102285851B1 (ko) * 2020-07-17 2021-08-04 김수정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WO2022015038A1 (ko) * 2020-07-17 2022-01-20 김수정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392U (ko) * 2010-07-07 2012-01-13 조진형 네비게이션 보호 기능이 구비된 캐릭터 인형
KR200463901Y1 (ko) * 2012-05-17 2012-11-30 이정훈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
KR20130077372A (ko) * 2011-12-29 2013-07-09 원혜숙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
KR101515626B1 (ko) 2013-12-17 2015-04-27 광주광역시 광산구 휴대폰 거치기능을 갖는 목베개
KR101574469B1 (ko) * 2014-12-04 2015-12-03 이재일 휴대용 스마트폰 거치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392U (ko) * 2010-07-07 2012-01-13 조진형 네비게이션 보호 기능이 구비된 캐릭터 인형
KR20130077372A (ko) * 2011-12-29 2013-07-09 원혜숙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
KR200463901Y1 (ko) * 2012-05-17 2012-11-30 이정훈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
KR101515626B1 (ko) 2013-12-17 2015-04-27 광주광역시 광산구 휴대폰 거치기능을 갖는 목베개
KR101574469B1 (ko) * 2014-12-04 2015-12-03 이재일 휴대용 스마트폰 거치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765B1 (ko) * 2019-01-29 2020-07-07 이정훈 휴대폰용 액세서리
CN110375180A (zh) * 2019-06-29 2019-10-25 合肥锟特奇科技有限公司 一种设备固定装置
KR102285851B1 (ko) * 2020-07-17 2021-08-04 김수정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WO2022015038A1 (ko) * 2020-07-17 2022-01-20 김수정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425B1 (ko)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425B1 (ko)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
US10469640B2 (en) Mobile accessory system
US20210368253A1 (en) Neck-strap type earphone
JP4231525B2 (ja) 骨伝導スピーカを用いた通話装置
US20130094660A1 (en) Hands-free mobile audio device for wirelessly connecting an electronic device with headphones for transmitting audio signals therethrough
US10132444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CN108886377A (zh) 包括模块化背带的便携式可穿戴无线电装置
KR20140132850A (ko) 배터리팩이 탑재된 백팩
WO2019027312A1 (en) APPARATUS FOR TAPPING WIRELESS HELMETS DETACHABLY
KR101373899B1 (ko) 블루투스 이어폰
US9282179B2 (en) Accessory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0962720B1 (ko) 근거리 무선통신용 헤드셋
KR101374008B1 (ko) 블루투스 이어폰
KR200342564Y1 (ko) 버클폰
KR20170072769A (ko)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WO2020153489A1 (ja) ウェアラブル装置
KR101109018B1 (ko) 사용성이 향상된 핸즈프리 장치
KR200483250Y1 (ko) 목걸이형 무선 이어폰 장치
CN220343828U (zh) 电力垫及条形带
US9723397B2 (en) Wireless audio accessory for attachment to an article of clothing
CN109198834A (zh) 一种便携式的多功能麦克风收纳箱
TWI784461B (zh) 一種用於手機的可穿戴式設備
CN219799901U (zh) 一种头戴设备
KR102130765B1 (ko) 휴대폰용 액세서리
CN109640206B (zh) 一种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