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008B1 - 블루투스 이어폰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008B1
KR101374008B1 KR1020120104922A KR20120104922A KR101374008B1 KR 101374008 B1 KR101374008 B1 KR 101374008B1 KR 1020120104922 A KR1020120104922 A KR 1020120104922A KR 20120104922 A KR20120104922 A KR 20120104922A KR 101374008 B1 KR101374008 B1 KR 101374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main body
hole
bluetooth
bluetooth ea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진의
Original Assignee
송진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진의 filed Critical 송진의
Priority to KR1020120104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3Transducers incorporated in garment, rucksack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블루투스 모듈 및 배터리가 내장되고 양측면 또는 일면의 양측에 내부와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후면에 결합홀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권취되고 구멍을 통해 인출되는 이어폰 줄에 연결되어 구멍의 입구에 걸림되는 이어폰과, 상기 본체의 저면에 돌설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잭홀에 결합되는 이어잭, 및 상기 본체의 결합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액세서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매개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수 이어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블루투스 이어폰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고, 이어폰이 권취부에 의해 인출 및 감김되어 줄 꼬임 문제를 해결하며, 깜찍하고 미려한 디자인과 소형화가 가능하여 액세서리로 활용될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시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충전이 용이하여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루투스 이어폰{Bluetooth Earphone}
본 발명은 블루투스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고 휴대용 단말기에 탈부착되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깜찍하고 미려한 디자인을 연출하여 액세서리로 활용될 수 있는 블루투스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귀, 목 또는 머리에 장착할 수 있게 설계된 소형 스피커로서, MP3나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음악이나 통화음을 들을 수 있게 해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이어폰은 선의 유무에 따라 유선 이어폰과 무선 이어폰으로 구분된다.
유선 이어폰은 연결선이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됨에 따라 연결선이 사용자의 몸에 감기거나 주위 물품에 걸리는 등 연결선 관리가 어렵고, 핸즈프리 구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유선 이어폰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무선 이어폰의 개발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무선 이어폰은 일반적으로 무선전송기인 블루투스가 장착되어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다. 나아가, 무선 이어폰에 마이크까지 장착된다면 휴대폰 사용시 핸즈프리(hands-free; 사용자가 휴대폰을 들지 않고 통화할 수 있는 상태)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어폰은 장착 형태에 따라, 귀에 거는 이어 타입 이어폰과, 목에 거는 넥 타입 이어폰과, 머리에 거는 헤드 타입 이어폰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기존의 목에 거는 넥 타입과 머리에 거는 헤드 타입의 이어폰은 크기가 크고 귀에 거는 이어 타입 이어폰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휴대 및 보관이 어려우며, 디자인이 미려하지 못하여 여성들이 선호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132975 (공고일 2012.04.09)
한국공개특허: 10-2009-0014535 (공고일 2009.02.11)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자인이 깜찍하고 미려하여 액세서리로 활용할 수 있고,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며,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어 블루투스의 장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블루투스 이어폰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 이어폰은 내부에 블루투스 모듈 및 배터리가 내장되고 양측면 또는 일면의 양측에 내부와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후면에 결합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권취되고 구멍을 통해 인출되는 이어폰 줄에 연결되어 구멍의 입구에 걸림되는 이어폰; 상기 본체의 저면에 돌설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잭홀에 결합되는 이어잭; 및 상기 본체의 결합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액세서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매개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매개체는 머리핀, 머리끈, 머리띠, 고리, 밴드, 와이어, 옷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구멍 입구와 상기 구멍 입구에 접촉되는 이어폰의 저면에는 이어폰이 본체에 탈부착 되도록 자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이어잭은 본체의 저면에 구비된 가이드홀에 결합되어 좌우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휴대용 단말기에 걸어 본체를 지지시키는 지지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본체의 외측에는 본체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은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로 구분되고, 상기 제 2 몸체는 제 1 몸체에 대하여 수평, 수직이 되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어폰은 몸체에 통화버튼 및 재생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통화버튼 및 재생버튼에는 액세서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어폰은 선단에 별도의 휴대용 스피커가 결합되되, 상기 스피커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반원의 중앙에 이어폰이 끼움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반원의 테두리부에 자석 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좌,우 한 쌍의 결합시 구형 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배터리 충전 잭이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은 본체의 저면에 돌설된 이어잭을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잭홀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멀티잰더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이어폰을 동시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블루투스 이어폰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고, 이어폰이 권취부에 의해 인출 및 감김되어 줄 꼬임 문제를 해결하며, 깜찍하고 미려한 디자인과 소형화가 가능하여 액세서리로 활용될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시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충전이 용이하여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의 후면에 형성된 결합홀에 결합매개체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에서 이어폰이 인출 및 감김되는 권취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에서 이어폰이 인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이어폰이 본체에 탈부착되도록 이어폰과 본체의 구멍에 자석이 구비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에서 이어폰이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로 구분되고, 제 2 몸체가 제 1 몸체에 대하여 수평, 수직으로 회전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에 휴대용 스피커가 장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에서 이어잭의 좌우이동을 도시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블루투스 이어폰이 사용자의 머리를 묶는 머리끈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 이어폰에서 본체를 감싸는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블루투스 이어폰을 휴대폰에 꽂아 휴대하는 상태 및 충전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블루투스 이어폰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의 후면에 형성된 결합홀에 결합매개체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에서 이어폰이 인출 및 감김되는 권취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에서 이어폰이 인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이어폰이 본체에 탈부착되도록 이어폰과 본체의 구멍에 자석이 구비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에서 이어폰이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로 구분되고, 제 2 몸체가 제 1 몸체에 대하여 수평, 수직으로 회전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에 휴대용 스피커가 장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에서 이어잭의 좌우이동을 도시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루투스 이어폰은 본체(100), 이어폰(200), 이어잭(300), 결합매개체(400)를 포함한다.
먼저,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는 액세서리로 활용될 수 있도록 여성들이 선호하는 다양한 캐릭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체(100)는 내부에 블루투스 모듈(110) 및 배터리(120)가 내장되고, 양측면 또는 일면의 양측에 내부와 연통되는 구멍(130)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배터리 충전 잭이 접속되는 접속단자(140)가 구비된다. 또한, 후면의 중앙에는 일자형, 십자형, 삼각형, 사다리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홀(150)이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내부에는 권취부(160)가 구비되고, 권취부(160)에는 이어폰 줄(210)이 감김되어 한 쌍의 구멍(130)으로 각각 인출되며, 이어폰 줄(210)에는 이어폰(200)이 각각 연결되어 구멍(130)의 입구에 걸림된다.
여기서, 권취부(160)는 본체(10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이어폰 줄(210)이 감김되는 권취드럼(161)과, 권취드럼(161)의 내부에 고정되는 태엽스프링(162)과, 권취드럼(161)의 감김 및 풀림을 단속하는 스토퍼(163)로 구성된다. 권취부(160)는 본체(100)의 구멍(130) 입구에 걸림된 이어폰(200)을 잡아당기면 이어폰 줄(210)이 풀리면서 권취드럼(161)이 회전되고, 권취드럼(161)의 회전으로 태엽스프링(162)이 감겨지면서 압축된다. 그리고 당기던 이어폰(200)을 놓아 당김력을 해제하면 스토퍼(163)가 권취드럼(161)의 외주연부를 가압하여 권취드럼(161)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아울러 이어폰 줄(210)의 풀림 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풀림된 이어폰(200)을 다시 한번 잡아당기면 이어폰 줄(210)이 소정 풀림되면서 스토퍼(163)로부터 권취드럼(161)의 구속력이 해제되며 권취드럼(161)의 구속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당기던 이어폰(200)을 놓으면 압축된 태엽스프링(162)의 복원력에 의해 권취드럼(161)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풀려져 있던 이어폰 줄(210)을 자동으로 감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이어폰 줄(210)에 연결된 이어폰(200)은 본체의 구멍(130) 입구에 다시 걸림되게 된다. 즉, 이어폰(200)은 권취부(160)의 동작에 의해 인출 및 감김이 이루어진다.
이어폰(200)은 블루투스 모듈(110)과 연결되어 블루투스 모듈(110)에서 전송되는 사운드를 출력하며, 출력된 사운드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이어폰(200)은 본체(100)의 형상에 따라 본체(100) 형상의 팔이 되도록 디자인되거나, 다리가 되도록 디자인되거나, 귀가 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구멍(130) 입구와 구멍(130) 입구에 접촉되는 이어폰(200)의 저면에는 자석(220)을 구비하여 이어폰(200)이 본체(100)의 구멍(130)에 탈부착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200)은 형상에 따라 제 1 몸체(201)와 제 2 몸체(202)로 구분될 수도 있고, 제 2 몸체(202)가 제 1 몸체(201)에 대하여 수평, 수직이 되도록 회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어폰(200)의 몸체에는 통화버튼(203) 및 재생버튼(204)이 구비될 수 있고, 통화버튼(203) 및 재생버튼(204)에는 귀고리, 귀마개 등을 연출할 수 있도록 액세서리(205)가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200)의 선단에는 별도의 휴대용 스피커(220)가 장착될 수 있다. 스피커(2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이어폰(200)에 각각 결합되고, 호른처럼 나팔관이 있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반원의 중앙에 이어폰(200)이 끼움되는 결합공(221)이 형성된다. 또한, 반원형상의 스피커(220)는 반원의 테두리부에 각각 자석(222) 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좌,우 한 쌍의 결합시 구형 볼을 형성한다. 이처럼 이어폰(200)에 휴대용 스피커(220)를 연결하게 되면 이어폰(200)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1.5배 이상 증폭시킬 수 있어 휴대용 블루투스 스피커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의 저면에는 휴대용 단말기(10)의 이어잭홀(11)에 결합되는 이어잭(300)이 돌설된다.
이어잭(300)은 휴대용 단말기(10)에 형성된 이어잭홀(11)에 꽂아 본체(100)를 휴대용 단말기(10)에 고정시키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이어잭(300)은 본체(10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본체(100)와 탈부착되는 자석판 또는 가이드판(미도시)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자석판 또는 가이드판(미도시)이 본체에 부착됨으로써 본체와 일체화될 수도 있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저면에 가이드홀(170)을 형성하고 가이드홀(170)에 이어잭(300)을 결합하여 이어잭(300)이 좌우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어잭(300)의 좌우이동은 휴대용 단말기(10)의 기종에 따라 각기 다른 위치에 형성된 이어잭홀(11)의 위치에 맞추어 위치조절을 할 수 있으므로 여러 기종에 구애받지 않고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100)의 저면에는 휴대용 단말기(10)에 걸어 본체(100)를 지지시키는 지지편(180)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편(180)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성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10)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100)의 결합홀(150)에는 본체(100)를 액세서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매개체(400)가 결합된다.
결합매개체(400)는 머리핀, 머리끈, 머리띠, 고리, 밴드, 와이어, 옷핀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결합매개체는 결합홀(15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구(410)에 의해 결합홀(150)에 결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블루투스 이어폰이 사용자의 머리를 묶는 머리끈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매개체(400)가 머리끈인 경우, 본체(100)와 결합매개체(400)인 머리끈이 결합되어 여성사용자의 머리를 묶을 수 있는 액세서리가 되며, 머리를 묶은 상태에서 이어폰(200)의 사용시 본체(100)의 양측에서 이어폰(200)을 당겨 귀에 꽂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머리핀, 머리띠, 고리, 밴드, 와이어, 옷핀 등의 결합매개체(400)를 이용하여 다양한 액세서리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에서 본체를 감싸는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외측에는 본체(100)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500)가 감싸질 수 있다. 커버(500)는 가죽 또는 펠트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벨크로, 자석, 똑딱이 등의 부착부재(510)을 이용하여 커버(500) 양측이 탈부착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 저면의 이어잭(300)이 관통되고 이동될 수 있도록 관통홀(520)이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블루투스 이어폰을 휴대용 단말기에 꽂아 휴대 및 보관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블루투스 이어폰 본체(100) 저면에 돌설된 이어잭(300)을 휴대용 단말기(10)의 이어잭홀(11)에 꽂아 휴대용 단말기(10)와 함께 휴대하고 보관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블루투스 이어폰을 휴대용 단말기(10)에 꽂은 상태에서 멀티잰더(600)를 이용해 휴대용 단말기(10)와 블루투스 이어폰을 동시 충전시킬 수 있으므로 충전의 용이성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고, 이어폰이 권취부에 의해 인출 및 감김되어 줄꼬임 문제를 해결하며, 깜찍하고 미려한 디자인과 소형화가 가능하여 액세서리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시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충전 및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이어폰에 휴대용 스피커를 장착하여 휴대용 블루투스 스피커로 활용될 수도 있어 블루투스의 장점을 극대화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블루투스 모듈
120: 배터리 130: 구멍
140: 접속단자 150: 결합홀
160: 권취부 161: 권취드럼
162: 태엽스프링 163: 스토퍼
170: 가이드홀 180: 지지편
200: 이어폰 201: 제 1 몸체
202: 제 2 몸체 203: 통화버튼
204: 재생버튼 205: 액세서리
210: 이어폰 줄 220: 스피커
221: 결합공 222: 자석
300: 이어잭 400: 결합매개체
410: 결합구 500: 커버
510: 부착부재 520: 관통홀
600: 멀티잰더

Claims (10)

  1. 블루투스 모듈 및 배터리가 내장되고 양측면 또는 일면의 양측에 내부와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후면에 결합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권취되는 이어폰 줄에 연결되어 상기 구멍의 입구에 걸림되는 이어폰;
    상기 본체의 저면에 돌설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잭홀에 결합되는 이어잭; 및
    상기 본체의 결합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액세서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매개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은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로 구분되고, 상기 제 2 몸체는 제 1 몸체에 대하여 수평, 수직이 되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이어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매개체는 머리핀, 머리끈, 머리띠, 고리, 밴드, 와이어, 옷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이어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구멍 입구와 상기 구멍 입구에 접촉되는 이어폰의 저면에는 이어폰이 본체에 탈부착 되도록 자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이어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이어잭은 본체의 저면에 구비된 가이드홀에 결합되어 좌우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이어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휴대용 단말기에 걸어 본체를 지지시키는 지지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이어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측에는 본체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이어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몸체에 통화버튼 및 재생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통화버튼 및 재생버튼에는 액세서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이어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선단에 별도의 휴대용 스피커가 결합되되, 상기 스피커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반원의 중앙에 이어폰이 끼움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반원의 테두리부에 자석 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좌,우 한 쌍의 결합시 구형 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이어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배터리 충전 잭이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은 본체의 저면에 돌설된 이어잭을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잭홀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멀티잰더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이어폰을 동시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이어폰.
KR1020120104922A 2012-09-21 2012-09-21 블루투스 이어폰 KR101374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922A KR101374008B1 (ko) 2012-09-21 2012-09-21 블루투스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922A KR101374008B1 (ko) 2012-09-21 2012-09-21 블루투스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4008B1 true KR101374008B1 (ko) 2014-03-12

Family

ID=50648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922A KR101374008B1 (ko) 2012-09-21 2012-09-21 블루투스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0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4605A (zh) * 2016-03-29 2016-06-22 深圳市安朗科技有限公司 一种可通话设备和一种耳麦固定结构
KR101653499B1 (ko) * 2015-07-22 2016-09-01 정환철 무선 이어폰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20170122498A (ko) * 2016-04-27 2017-11-06 유지민 블루투스 이어폰 내장형 휴대전화 케이스
KR102110330B1 (ko) * 2019-01-18 2020-05-14 부전전자 주식회사 스마트폰용 유에스비 타입 블루투스 아답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1484A (ja) * 2000-09-25 2002-04-05 Nobumasa Asakawa イヤホンコードの巻き取り装置
KR20110062877A (ko) * 2009-12-04 2011-06-10 한성수 펜 이어폰
KR101051486B1 (ko) * 2010-10-18 2011-07-22 배진영 보관이 편리하고 위생적인 자동 줄 감기 기능이 구비된 이어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1484A (ja) * 2000-09-25 2002-04-05 Nobumasa Asakawa イヤホンコードの巻き取り装置
KR20110062877A (ko) * 2009-12-04 2011-06-10 한성수 펜 이어폰
KR101051486B1 (ko) * 2010-10-18 2011-07-22 배진영 보관이 편리하고 위생적인 자동 줄 감기 기능이 구비된 이어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499B1 (ko) * 2015-07-22 2016-09-01 정환철 무선 이어폰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CN105704605A (zh) * 2016-03-29 2016-06-22 深圳市安朗科技有限公司 一种可通话设备和一种耳麦固定结构
KR20170122498A (ko) * 2016-04-27 2017-11-06 유지민 블루투스 이어폰 내장형 휴대전화 케이스
KR102110330B1 (ko) * 2019-01-18 2020-05-14 부전전자 주식회사 스마트폰용 유에스비 타입 블루투스 아답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88960A (ja) 吊下げ装置
KR102020145B1 (ko) 무선 이어폰용 케이스
KR101374008B1 (ko) 블루투스 이어폰
US9414146B2 (en) Cord management and clip system for wireless audio receiver
US20060121962A1 (en) Carrying case for a mobile telephone with cord organization means
US20180220725A1 (en) Wearable electronics accessory
KR101373899B1 (ko) 블루투스 이어폰
KR101109018B1 (ko) 사용성이 향상된 핸즈프리 장치
US20040091128A1 (en) Fixable-wire earphone
KR101367110B1 (ko) 이어폰 줄 엉킴 방지용 감개
WO2017008463A1 (zh) 普适型耳机收纳保护装置
KR100901361B1 (ko) 모노-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셋 및 이어폰
KR200415723Y1 (ko) 귀걸림부를 갖는 핸즈프리 셋
KR200438262Y1 (ko) 엠피쓰리 장치
KR200468689Y1 (ko) 스마트폰 케이스
CN203943126U (zh) 帽子随身听装置
CN203691595U (zh) 多功能耳机
JP3113465U (ja) ポケットタイプ機器の収納ケース
KR20110122974A (ko) 기능성 케릭터 구조를 갖는 이어폰 수납장치
JP7464982B2 (ja) 保持具
KR20190089107A (ko) 이어폰 와이어 정리용 노리개 겸용 참장식
KR101283552B1 (ko) 오디오 출력 및 무선 오디오 통신 기기
CN204795166U (zh) 一种侧面可缠绕耳机线的手机壳
CN219248022U (zh) 一种便于佩戴收纳的耳机
KR200475373Y1 (ko) 탈부착 인형을 구비한 다기능 스마트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