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765B1 - 휴대폰용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765B1
KR102130765B1 KR1020190010965A KR20190010965A KR102130765B1 KR 102130765 B1 KR102130765 B1 KR 102130765B1 KR 1020190010965 A KR1020190010965 A KR 1020190010965A KR 20190010965 A KR20190010965 A KR 20190010965A KR 102130765 B1 KR102130765 B1 KR 102130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body portion
accessory
un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이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훈 filed Critical 이정훈
Priority to KR1020190010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휴대폰용 액세서리는 몸체부, 탈부착부, 수납부, 및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팔찌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몸체부에 휴대폰을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몸체부에 수납 공간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수납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용 액세서리{ACCESSORY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휴대폰을 팔목에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 공간 까지도 제공할 수 있는 휴대폰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일상생활 속에서 휴대폰과 함께 휴대폰 충전기, 이어폰, 에그 등과 같은 휴대폰용 물품들을 휴대할 뿐만 아니라 카드, 지폐, 화장품 등과 같은 생활 물품들까지 휴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휴대폰, 휴대폰용 물품들, 생활 물품들을 제각각으로 휴대해야 하기 때문에 휴대에 따른 불편한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사용에 있어서도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휴대폰, 휴대폰용 물품들, 생활 물품들을 보다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에 있어서도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휴대폰용 액세서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른 휴대폰용 액세서리는 몸체부, 탈부착부, 수납부, 및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팔찌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몸체부에 휴대폰이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몸체부에 수납 공간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수납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반대쪽의 제2 면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사각 기둥의 육면체로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는 제3 면에 배치되면서 상기 휴대폰이 탈부착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휴대폰이 일체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및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3 면과 반대쪽의 제4 면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테두리에는 팔목을 압박할 수 있도록 에어가 충전되는 충전재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테두리에는 팔목을 감쌀 수 있는 천(cloth)이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휴대폰을 충전시킬 수 있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휴대폰과 정보를 교환하도록 연결되는 연결 단자 및 상기 연결 단자와 연결됨에 의해 활성화되는 활성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활성 부재는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이어폰 잭, 볼륨 조절부,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액세서리는 일측에는 휴대폰을 탈부착시킬 수 있고, 타측에는 생활 용품 등을 수납할 수 있고, 내부에는 휴대폰용 충전기를 내장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팔목에 찰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액세서리는 휴대폰, 휴대폰용 물품들, 생활 물품들을 사용자의 팔목 주변에 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휴대폰, 휴대폰용 물품들, 생활 물품들의 보다 용이한 휴대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용이한 사용까지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액세서리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액세서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액세서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를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액세서리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액세서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액세서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액세서리(100)는 몸체부(11), 탈부착부(13), 수납부(15), 개폐부(1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는 사용자가 팔목에 찰 수 있는 팔찌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11)가 팔찌 구조를 가짐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폰용 액세서리(100)를 팔목에 찰 수 있을 것이다. 몸체부(11)는 사각 기둥의 육면체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11)는 제1 면 내지 제6 면을 갖는 직육면체로 구비될 수 있거나 또는 정육면체로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11)는 육면체 중 제1 면 및 제1 면과 반대쪽의 제2 면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31)을 형성함으로써 팔찌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11)는 사용자의 팔에 찰 수 있는 관통 구멍(31)이 형성되는 사각형의 육면체로 구비될 수 있다.
탈부착부(13)는 몸체부(11)에 휴대폰(200)을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탈부착부(13)는 육면체 중 관통 구멍(31)이 형성되는 제1 면 및 제2 면을 제외한 어느 하나의 면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탈부착부(13)는 육면체 중 제3 내지 제6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탈부착부(13)는 육면체 중 제3 면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탈부착부(13)는 휴대폰(200)에 부착되는 자석에 의해 휴대폰(200)을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휴대폰(200)에 부착되는 자석과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이 몸체부(11)의 제3 면에 구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탈부착부(13)는 가압에 의해 휴대폰(200)의 이면을 압착시킴에 따라 휴대폰(200)을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압착 고무판 등과 같은 부재가 몸체부(11)의 제3 면에 구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탈부착부(13)는 휴대폰(200)의 테두리가 끼워짐에 따라 휴대폰(200)을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몸체부(11)의 제3 면에 요홈 구조가 구비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휴대폰용 액세서리(100)는 탈부착부(13)에 휴대폰(200)이 탈부착되는 구조가 아닌 탈부착부(13)에 휴대폰(200)이 일체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폰용 액세서리(100)는 제3 면에 휴대폰(200)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3 면에 휴대폰(200)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경우에는 후술하는 연결 단자(43)와의 연결을 통하여 휴대폰용 액세서리(100)에 구비되는 활성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휴대폰(200)이 갖는 기능을 함께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수납부(15)는 몸체부(11)에 수납 공간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납 공간은 몸체부(11)의 내부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납 공간에는 주로 이어폰, 에그 등과 같은 휴대폰용 물품들, 그리고 카드, 지폐, 화장품 등과 같은 생활 물품들이 수납될 수 있다.
수납부(15)는 육면체 중 관통 구멍(31)이 형성되는 제1 면 및 제2 면, 그리고 탈부착부(13)가 형성되는 제3 면을 제외한 어느 하나의 면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탈부착부(13)는 육면체 중 제4 내지 제6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납부(15)는 탈부착부(13)가 구비되는 제3 면과 반대쪽의 제4 면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개폐부(17)는 수납부(15)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개폐부(17)는 수납부(15)를 개폐시켜야 하기 때문에 육면체 중 수납부(15)가 구비되는 동일면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개폐부(17)는 제4 면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개폐부(17)는 몸체부(11)의 양쪽면 각각에 연결될 수 있는 회동축(19)을 따라 회동함으로써 수납부(15)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부(17) 및 수납부(15) 각각에 구비되는 잠금부(21, 23)에 의해 수납부(15)에 개폐부(17)를 보다 안정적으로 폐쇄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개폐부(17)는 수납부(15)의 양쪽 끝단을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수납부(15)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납 공간 쪽을 향하는 개폐부(17)의 일면은 카드, 지폐 등과 같은 얇은 형태의 생활 용품들을 끼워 넣을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액세서리(100)는 사각형의 육면체 중 정면과 배면에 해당하는 제1 면 및 제2 면 쪽에 관통 구멍(31)이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평면에 해당하는 제3 면에 탈부착부(13)가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저면에 해당하는 제4 면에 수납부(15) 및 개폐부(17)가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액세서리(100)는 휴대폰(200), 휴대폰용 물품들, 생활 물품들을 사용자의 팔목 주변에 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휴대폰(200), 휴대폰용 물품들, 생활 물품들을 보다 용이하게 휴대 및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의 팔목에 휴대폰용 액세서리(100)가 다소 헐렁하게 끼워질 경우에는 휴대폰용 액세서리(100)가 사용자의 팔목에서 흘러내릴 수 있을 것이고, 그리고 꽉 끼워질 경우에는 사용자의 팔목을 심하게 압박하여 불편함을 느끼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액세서리(100)에 있어서, 관통 구멍(31)을 형성하는 테두리에는 에어가 충전되는 충전재(3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전재(33)를 구비함으로써 휴대폰용 액세서리(100)의 착용시 사용자의 팔목을 부드럽게 압박할 수 있을 것이다.
충전재(33)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47) 및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 배출부(49)는 몸체부(11)의 제5 면 또는 제6 면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5 면 및 제6 면 각각은 육면체 중에서 좌측면 및 우측면에 해당할 수 있다.
에어 공급부(47) 및 에어 배출부(49)는 몸체부(11)의 내부를 경유하는 연결 라인에 의해 충전재(33)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공급부(47) 및 에어 배출부(49)를 적당하게 조정함으로써 휴대폰용 액세서리(100)의 착용시 사용자의 팔목을 부드럽게 압박하여 보다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액세서리(100)에 있어서, 관통 구멍(31)을 형성하는 테두리에는 천(35)(cloth)이 구비될 수 있다. 관통 구멍(31)을 형성하는 테두리에 구비되는 천(35)은 방수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수천을 포함하는 천(35)을 구비함으로써 휴대폰용 액세서리(100)의 착용시 사용자의 팔목을 부드럽게 감쌀 수 있기 때문에 충전재(33)와 마찬가지로 보다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액세서리(100)에 있어서, 충전재(33)만 구비되거나 또는 천(35)만 구비될 수도 있지만, 충전재(33) 및 천(35)이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충전재(33) 및 천(35)이 함께 구비될 경우에는 관통 구멍(31)을 형성하는 테두리에 충전재(33)가 구비될 수 있고, 충전재(33)를 둘러싸도록 천(35)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휴대폰용 액세서리(100)의 착용시 충전재(33)에 의해 사용자의 팔목을 부드럽게 압박함과 아울러 천(35)에 의해 사용자의 팔목을 부드럽게 감쌈으로써 보다 더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액세서리(100)는 탈부착부(13)에 휴대폰(200)을 부착시킬 때 휴대폰(200)을 충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몸체부(11)에는 휴대폰(200)을 충전시킬 수 있는 배터리 및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는 몸체부(11)에 내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충전 단자는 무선으로 충전되는 구조를 갖거나 또는 유선으로 충전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충전 단자가 유선으로 충전되는 구조를 가질 경우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탈부착부(13)에 부착되는 휴대폰(200)의 충전은 무선 충전에 의해 달성되거나 또는 유선 충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유선 충전의 경우에는 배터리와 연결되는 케이블 및 휴대폰(200)과 연결될 수 있도록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되는 커넥터를 사용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폰용 액세서리(100)는 탈부착부(13)에 휴대폰(200)을 부착시킬 때 휴대폰(200)과의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몸체부(11)에는 휴대폰(200)과 정보를 교환하도록 연결되는 연결 단자(43) 및 연결 단자(43)에 연결됨에 의해 활성화되는 활성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 단자(43)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무선으로 연결되는 구조일 경우에는 블루투스 기능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고, 유선으로 연결되는 구조일 경우에는 케이블 및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활성 부재는 육면체 중 제5 및 제5 면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활성 부재는 제1 내지 제4 면에도 배치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활성 부재의 예로서는 디스플레이부(도시되지 않음), 스피커(45), 이어폰 잭(41), 볼륨 조절부(37), 카메라 등을 들 수 있다. 카메라는 렌즈(도시되지 않음), 셔터(39) 등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폰용 액세서리(100)에 휴대폰(200)이 일체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경우에는 언급한 활성 부재들을 적절하게 사용함에 의해 휴대폰(200)에 구비되는 카메라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음성 출력 기능 등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액세서리(100)는 휴대폰(200), 휴대폰용 물품들, 생활 물품들을 보다 용이하게 휴대 및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구비함으로써 사용에 따른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액세서리(100)는 테두리 부분 모두를 방수 기능을 갖도록 구비할 수 있고, 테두리 부분 모두를 라운딩 구조를 갖도록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액세서리(100)는 플라스틱 재질을 갖도록 구비할 수 있고, 특히 라인 엑스라는 용액으로 표면을 코팅 처리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액세서리는 휴대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적극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 : 몸체부 13 : 탈부착부
15 : 수납부 17 : 개폐부
19 : 회동축 21, 23 : 잠금부
31 : 관통 구멍 33 : 충전재
35 : 천 37 : 볼륨 조절부
39 : 셔터 41 : 이어폰 잭
43 : 연결 단자 45 : 스피커
47 : 에어 공급부 49 : 에어 배출부
100 : 휴대폰용 액세서리
200 : 휴대폰

Claims (6)

  1. 팔찌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휴대폰이 배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탈부착부;
    상기 몸체부에 수납 공간을 갖도록 구비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반대쪽의 제2 면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사각 기둥의 육면체로 구비되고, 상기 탈부착부는 제3 면에 배치되면서 상기 휴대폰이 탈부착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휴대폰이 일체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수납부 및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3 면과 반대쪽의 제4 면에 배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테두리에는 팔목을 압박할 수 있도록 에어가 충전되는 충전재가 구비되고,
    상기 충전재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 및 상기 충전재로부터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 배출부가 상기 몸체부의 제5 면 또는 제6 면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에어 공급부 및 상기 에어 배출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경유하는 연결 라인에 의해 상기 충전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액세서리.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테두리에는 팔목을 감쌀 수 있는 천(cloth)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액세서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휴대폰을 충전시킬 수 있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액세서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휴대폰과 정보를 교환하도록 연결되는 연결 단자 및 상기 연결 단자와 연결됨에 의해 활성화되는 활성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활성 부재는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이어폰 잭, 볼륨 조절부 및 카메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액세서리.
KR1020190010965A 2019-01-29 2019-01-29 휴대폰용 액세서리 KR102130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965A KR102130765B1 (ko) 2019-01-29 2019-01-29 휴대폰용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965A KR102130765B1 (ko) 2019-01-29 2019-01-29 휴대폰용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765B1 true KR102130765B1 (ko) 2020-07-07

Family

ID=71602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965A KR102130765B1 (ko) 2019-01-29 2019-01-29 휴대폰용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7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512A (ko) * 2010-01-13 2011-07-20 서정은 휴대용 밴드조립체
KR101407539B1 (ko) * 2014-04-07 2014-06-17 주식회사 엔엑스티 전자기기의 전원공급장치
KR20180091155A (ko) * 2017-02-06 2018-08-16 정해윤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512A (ko) * 2010-01-13 2011-07-20 서정은 휴대용 밴드조립체
KR101407539B1 (ko) * 2014-04-07 2014-06-17 주식회사 엔엑스티 전자기기의 전원공급장치
KR20180091155A (ko) * 2017-02-06 2018-08-16 정해윤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43937A1 (en) Charger for electronic devices having a rechargeable battery
US20140091766A1 (en) Power bracelet
AU2013100194A4 (en) A Power Supply
KR20160043199A (ko) 블루투스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US20130234644A1 (en) Rechargeable battery set integrated into pants belt
KR101892546B1 (ko)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US10231043B2 (en) Protective cover for portable wireless speaker and protective cover system
KR100879543B1 (ko) 휴대용 전자기기 모듈
CN104378709A (zh) 具有蓝牙耳机收纳和充电功能的可穿戴电子设备
KR20060097686A (ko) 휴대용 무선 헤드셋
CN110493680A (zh) 双耳无线耳机
JP2020511100A (ja) モバイル端末保護アセンブリ、モバイル端末保護フレームおよび電池ケース
WO2021012372A1 (zh) 一种具有蓝牙耳机充电及收纳功能的手表
KR101971425B1 (ko) 다기능 웨어러블 스마트폰 거치대
KR102130765B1 (ko) 휴대폰용 액세서리
US20150097517A1 (en) Battery strap for electronic device
KR101794164B1 (ko) 휴대단말기용 보조 배터리
CN204206416U (zh) 具有蓝牙耳机收纳和充电功能的可穿戴电子设备
KR200487609Y1 (ko) Usb충전단자를 내장한 가방
CN211211707U (zh) 一种带tws耳机的智能手环
CN209419690U (zh) 一种方便携带耳机且能够对耳机充电的手机保护壳
KR20110109668A (ko)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WO2021068414A1 (zh) 一种新型蓝牙耳机充电盒翻转结构
KR200483250Y1 (ko) 목걸이형 무선 이어폰 장치
CN207218994U (zh) 一种无线蓝牙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