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056B1 - 단말기의 지지대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056B1
KR101624056B1 KR1020140195990A KR20140195990A KR101624056B1 KR 101624056 B1 KR101624056 B1 KR 101624056B1 KR 1020140195990 A KR1020140195990 A KR 1020140195990A KR 20140195990 A KR20140195990 A KR 20140195990A KR 101624056 B1 KR101624056 B1 KR 101624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pport plate
support
termina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병
Original Assignee
전영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병 filed Critical 전영병
Priority to KR1020140195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기의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단말기의 배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하고, 단말기를 다른 곳에 걸어둘 수 있는 단말기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단말기의 표면에 부착되며 상기 지지 대상물에 부착된 상태에서 회동운동을 하며 그 배치 각도가 가변될 수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단말기를 바닥에 세우거나 특정 물체에 거치하는 경우, 그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상기 몸체부는;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회동 운동을 유발하는 경우, 그 회동 운동을 안내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징위치에서 일시적으로 걸려서 회동으로 인하여 변화된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위치 안내부와, 상기 지지부가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가 특정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사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지지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단말기의 지지대{ A supporter for a terminal }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기의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단말기의 배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하고, 단말기를 다른 곳에 걸어둘 수 있는 단말기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기의 발달에 따라서, 단말기를 통해서 영화나 드라마와 같은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를 위해서 단말기를 지면에 지지할 수 있거나 아니면 벽이나 어딘가에 걸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단말기 지지대가 필요한데, 종래 단말기 지지대는 한국 특허공개 10-2013-0026733과 같이 카드 형태로 마련되어 지면 지지만 할 수 있을 뿐더러 카드 형태로 되어 그 강도가 약해서 쓰러질 수 있는 문제도 있었으며 그 각도를 조절하는 것도 제한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지지대는 벽이나 다른 곳에 걸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다양한 선호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기를 지면에 지지할 수도 있고, 또는 손가락이나 다른 곳에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단말기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를 지면에 놓은 경우, 그 배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단말기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대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그 특정 배치각도에서는 그 위치가 고정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배치 각도에 대한 선택의 폭을 넓히면서 단말기 배치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단말기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단말기의 표면에 부착되며 상기 지지 대상물에 부착된 상태에서 회동운동을 하며 그 배치 각도가 가변될 수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단말기를 바닥에 세우거나 특정 물체에 거치하는 경우, 그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상기 몸체부는;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회동 운동을 유발하는 경우, 그 회동 운동을 안내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징위치에서 일시적으로 걸려서 회동으로 인하여 변화된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위치 안내부와, 상기 지지부가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가 특정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사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지지대를 제공한다.
상기 몸체부는 그 테두리가 소정 폭을 가지며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용홈이 형성되는 연장편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 주변 테두리에는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 안내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홈 또는 돌기와 맞물릴 수 있는 상대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 안내부는; 상기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는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의 주변 테두리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홈 또는 돌기와 맞물릴 수 있는 상대 구조물이 형성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이 위치한 반대편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의 주변 테두리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지지판과 연결되는 제2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 또는 상기 제2지지판에 마련되어 상기 제1지지판 또는 상기 제2지지판을 상기 단말기 표면에 부착시키는 부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은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지지판에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 주변에는 단차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판에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공 주변에는 상면으로 연장되는 연장편이 형성되되, 상기 연장편이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을 통과한 후에 접혀져 상기 단차면에 면접되어 걸림으로써 상기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지판에는 상호 마주보는 두 개의 상기 상대 구조물이 마련되고,상기 하우징의 관통공 주변 테두리에는 상기 홈 또는 돌기가 상호 이격되어,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단말기 표면에 부착된 제1지지판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이 회전하되, 상기 상대 구조물이 상기 홈 또는 돌기와 맞물리는 경우 그 위치가 고정되고, 맞물림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상대 구조물이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 주변 테두리 표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일측이 개방된 고리 형상으로 구현되고, 개방된 부분의 양 단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연장편에 마련되는 수용홈은 상기 지지부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수직 또는 수평 또는 소정 각도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여 상기 지지부의 회동 운동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연장편의 양 측면에 상기 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는 길이를 갖고 제1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수용홈과; 상기 제1수용홈과 교차되어 상기 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는 길이를 갖고 제2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제2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가 제1수용홈 또는 제2수용홈에 위치한 경우, 고리 형상의 상기 지지부가 상대적으로 연장편에 밀착되고 그 회동이 제한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수용홈 또는 제2수용홈을 이탈하여 외부에 위치한 경우, 고리 형상의 상기 지지부가 벌어져서 그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이 위치 안내부에 대해서 상대 운동을 하면서 다양한 배치 각도를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우징과 위치 안내부 간에 상호 맞물리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선택된 배치 각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하우징에 연결된 지지부도 복수의 배치 각도를 가짐으로써 단말기의 배치 각도의 다양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를 통해서 단말기를 지면에만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고리 형태의 지지부를 통해서 손가락이나 다른 돌출부분에 걸 수 있어서 보다 다양한 단말기 지지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단말기 지지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단말기 지지대에서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이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단말기 지지대에서 하우징의 홈(또는 돌기)가 제1지지판의 상대 구조물과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되는 것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단말기 지지대에서, 하우징이 위치 안내부에 대해서 상대 회동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단말기 지지대에서, 하우징에 대해서 지지부가 다양한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단말기 지지대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다양하게 배치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 지지대(1)는 몸체부(100)와, 몸체부(100)의 하우징(110)에 마련되어 연장되는 연장편(120)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부(20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 표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110)이 회전운동을 하는 경우, 그 회동 중심을 형성하여 회동 운동을 안내하고, 하우징이 특정 위치로 회동한 경우, 그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 안내부(130)가 더 포함된다.
지지부(200)는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고리 형상이 되는데, 개방된 양단이 회전축(300)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한편, 지지부(200)의 개방된 양단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돌출부(210)가 마련된다.
그리고, 연장부(120)의 양 옆에는 돌출부(210)가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121)이 마련된다.
수용홈(121)은 돌출부(210)가 수용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수용홈(121)은 지지부(200)가 하우징(110)에 대해서 수평, 또는 수직, 또는 다른 각도로 배치될 수 있게 하고, 그 상태에서 지지부(200)가 자유롭게 회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걸림턱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수용홈(121)은 제1방향(예, 하우징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용홈(121a)과, 제1수용홈(121a)과 교차되며 제2방향(예, 하우징과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수용홈(121b)을 포함한다.
지지부(200)의 돌출부(210)와 수용홈(121) 간의 상호 동작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하겠다.
하우징(110)은 넓적한 원형 링 또는 와셔 형태로 마련되고, 그 주변에는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11)이 형성된다.
하우징(110) 내부에는 관통공(112)이 형성되고, 관통공(112)의 주변 테두리(113)는 소정의 폭을 갖도록 넓적하게 형성된다.
관통공 주변 테두리(113)에는 위치 안내부(130)의 일부와 맞물릴 수 있는 홈 (또는 돌기)(114)가 형성되며, 이러한 홈(또는 돌기)는 관통공(112) 주변 테두리를 따라서 상호 이격되며 복수개가 형성된다.
위치 안내부(130)는 하우징(110) 상면과 하면에 각각 장착되는 제1지지판(131)과 제2지지판(132)으로 구성되며, 제1,2지지판(131, 132)은 관통공(112)을 통과하면서 연결된다.
제1지지판(131)은 그 중심에 제1관통공(131a)이 형성되며, 그 표면에는 하우징 표면에 있는 홈(또는 돌기)와 상호 결합되는 상대 구조물(돌기 또는 홈)(131b)이 마련된다.
하우징 표면(113)에 홈이 형성되면 제1지지판(131)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하우징 표면(113)에 돌기가 형성되면 제1지지판(131)에는 홈이 형성된다.
제1지지판(131)의 제1관통공(131a) 주위에는 단차면(131c)이 형성된다.
제2지지판(132)은 하우징(110)의 타면에 배치되고 원판 형태로 마련되며 그 중심에는 제2관통공(132a)이 마련된다. 제2관통공(132a) 주변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편(132b)이 마련된다.
연장편(132b)은 상호 분리되는 상태로 복수개가 마련된다.
이 연장편(132b)이 하우징(111)이 관통공(112) 및 제1지지판(131)의 제1관통공(131a)을 통과한 뒤, 접혀져서 제1지지판(131)의 단차면(131c)에 대해서 눌려진다.
이에 의하여 제1지지판(131)과 제2지지판(132)이 하우징(110)을 사이에 두고 연결된다.
제1지지판(131) 또는 제2지지판(132) 중 어느 하나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부착 부재(140)가 부착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데코레이션을 위한 장식 부재(15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지지판(131)에 부착부재(140)가 부착되면, 이 부착부재(140)는 단말기 표면에 부착되어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 지지대(1)가 단말기 표면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부착부재(140)가 단말기 표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 부재(140)와 부착된 제1지지판(131)은 고정된다.
한편, 제1지지판(131)과 제2지지판(132)은 연장편(132b)이 접혀지면서 연결되기 때문에, 제2지지판(132)은 제1지지판(131)에 대해서 고정될 수도 있고, 아니면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지지판(132)의 주된 역할은 제1지지판(131)과 함께 하우징(11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제1지지판(131)에 대해서 하우징(110)이 상대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제1지지판(131)과 함께 그 회전운동을 가이드 하는 것이다.
제1지지판(131)과 제2지지판(132)은 하우징(110)의 외곽 테두리에 있는 걸림턱(111)에 둘러싸여져 있기 때문에, 하우징(110)이 회전운동을 할 때, 제1,2지지판(131,132)의 외곽테두리가 걸림턱(111)과 접촉하면서 그 회전 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한편, 제1지지판(131)에 형성되는 상대 구조물(131b)은 두 개로 마련되어 제1관통공(131a)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척점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갯수가 배치 상태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지지판(131)에 있는 상대 구조물(131b)이 하우징 표면(113)에 있는 홈(또는 돌기)(114)에 맞물리면 맞물린 구조 자체가 하우징(110)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 역할을 하여 하우징(110)의 회동 운동을 억제한다.
그 상태에서 하우징(110)에 힘을 주어 더 돌리면, 그 맞물린 상태가 해제되고, 하우징(110)은 제1지지판(131)에 대해서 상대 운동을 할 수 있고, 상대 구조물(131b)은 하우징(110)의 홈(또는 돌기)(131b)들 사이의 평평한 표면(113)과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연장부(120)의 양옆에 마련되는 수용홈(121)에는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1 회전축공(123)이 마련된다.
그리고 지지부(200)의 개방된 양 옆에도 제2회전축공(223)이 마련된다.
따라서, 회전축(300)이 제1,2회전축공(123,223)을 통과하면서 연장부(120)와 지지부(20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한다.
도2는 하우징(110)을 사이에 두고 제1지지판(131)과 제2지지판(132)이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2(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지지판(131,132)이 하우징(110)의 상하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연장편(132b)이 관통공(112)과 제1관통공(131a)을 통과하여 위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연장편(132b)을 가압하면, 연장편(132b)이 접히면서, 제1지지판(131)의 제1관통공(131a) 테두리 단차면(131c)에 면접한다.
따라서, 제1지지판(131)과 제2지지판(132)이 상호 연결되고, 이에 의하여 하우징(110)이 제1,2지지판(131,132)에 대해서 상대 회전 운동을 할 수 있게 되고, 제1,2 지지판(131,132)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홈(또는 돌기)(114)에 제1지지판(131)의 상대 구조물(131b)이 삽입되면 제1지지판(131) 표면과 하우징(110)의 표면이 면접한다.
하우징(110)의 홈(또는 돌기)(114)에 제1지지판(131)의 상대 구조물(131b)이 삽입되어 맞물리면, 이 맞물림 구조 자체가 하우징(110) 회전을 방해하여 추가적인 힘을 더 가하지 않는 이상 하우징(110)의 위치가 고정된다.
그러한 상황을 평면도로 바라본 것이 도4(a)에 나타난다.
여기서 검은 점은 제1지지판(131)의 상대구조물(131b)이고, 점선 원이 하우징의 홈(또는 돌기)(114)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힘을 더 가하여 하우징(110)을 회전시키면, 하우징(110)의 홈(또는 돌기)(114)과 제1지지판(131)의 상대 구조물(131b) 간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제1지지판(131)의 상대구조물(131b)이 하우징(110)의 평평한 표면에 위치한다.
이 경우, 제1지지판(131)의 표면과 하우징(110)의 표면이 이격된다.
위 구성요소들은 철재 재질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약간씩 탄성이 있기 때문에, 탄성변형 가능하므로 하우징(110)과 제1지지판(131) 간의 면접, 이격이 가능하다.
이를 평면도로 바라본 것이 도4(b)에 나타난다.
이 상태에서는 제1지지판(131)의 상대 구조물(131b)이 하우징(110)의 표면에 점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110)이 제1지지판(131)에 대해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을 더 돌리면, 아까 맞물렸던 홈(또는 돌기)(114)에 가장 가까운 이웃한 홈(또는 돌기)(114)에 제1지지판(131)의 상대구조물(131b)이 삽입되어 맞물려서 그 위치가 고정된다.
이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 도4(c)이다.
하우징(110) 표면에 홈(또는 돌기)(114)가 8개가 있으면, 하우징(110)은 45도 간격으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홈(또는 돌기)(114)의 수량에 따라 하우징(110)의 고정될 수 있는 각도가 변할 수 있다.
도5는 하우징(110)에 대해서 지지부(200)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5(a) 및 도5(d)와 같이 하우징(110)과 지지부(200)가 수평인 경우, 지지부(200)의 돌출부(210)가 상하 방향으로 서 있게 되고, 상하 방향(제1방향)으로 형성된 제1수용홈(121a)에 맞물린다.
이러한 맞물림 구조는 지지부(200)의 회동을 제한하기 때문에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5(a) 및 도5(d)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지지부(200)를 회동시키는 경우, 도5(b) 및 도5(e)와 같이 돌출부(210)가 제1수용홈(121a)으로부터 이탈한다.
이때, 돌출부(210)는 제1수용홈(121a)의 바깥에 있는 연장부(120) 측면 표면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서 지지부(200)의 개방된 양단의 폭이 벌어진다.
돌출부(210)는 수용홈(121) 어디에도 맞물리지 않기 때문에 지지부(200)는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다.
도5(b) 및 도5(e)에서 지지부(200)를 더 회전 시키는 경우, 돌출부(210)가 제2수용홈(121b)에 삽입되어 맞물린다.
제2수용홈(121b)은 연장부(120)에 대해서 수평 방향(제2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돌출부(210)도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수용홈(121b)에 수용되어 맞물린다.
이 상태에서는 지지부(200)가 하우징(110)에 대해서 수직 상태를 취한다.
도5(b) 및 도5(e)상태에 비해서 지지부(200)의 개방된 양단의 폭이 줄어들고, 맞물림 구조에 의하여 지지부(200)가 회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수용홈(121)의 방향은 수평, 수직 상태에만 한정되지 않고 제작자의 목적에 따라 달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가 하우징(110)에 대한 지지부(200)의 배치 각도를 선택하여 조작하면, 그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도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지지대(1)를 단말기(T) 후면에 부착하고, 지지부(200)를 하우징(110)에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지지부(200)를 튀어나온 곳에 걸거나 손가락에 걸어서 단말기(T)를 고정시키고 볼 수 있다.
도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200)를 잡아 당기면, 지지부(200)가 하우징(110)에 대해서 직교 상태로 배치되고, 수용홈(도1참조, 121)과 돌출부(도12참조, 210)간의 맞물림에 의하여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200)가 땅에 닿으면 단말기(T)를 지지할 수 있고, 단말기(T)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땅에 닿은 상태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단말기(T)가 지면에 대해서 갖는 경사각을 제1경사각(θ1)이라고 정의한다.
도6(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200)를 잡고 하우징(110)을 회전시키면, 하우징(110) 자체가 회전하고, 하우징(110)의 홈(또는 돌기)(도1참조, 114)와 제1지지판(도1참조, 131)의 상대 구조물(도1참조, 131b)이 맞물리면, 하우징(110)의 회전 후 위치가 고정된다.
도6(b)에 비해서 지지부(200)가 지면에 닿는 배치 상태가 달라지고, 이에 의하여 단말기(T)의 배치 경사각이 변하여 제2경사각(θ2)이 된다.
한편, 도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200)와 하우징(110)을 도6(c) 상태보다 위쪽으로 회전시키면, 단말기(T)가 지면에 대해 눕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그 배치각도도 제3경사각(θ3)으로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게 지지부(200)의 하우징(110)에 대한 배치각도를 조절하고 그 위치가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단말기(T)를 지면에 배치하기 위해서 하우징(110)을 회전시켜 가면서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몸체부 110: 하우징
120: 연장부 121: 수용홈
130: 위치 안내부 131: 제1지지판
132: 제2지지판 200: 지지부

Claims (7)

  1. 단말기의 표면에 부착되며 지지 대상물에 부착된 상태에서 회동운동을 하며 그 배치 각도가 가변될 수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단말기를 바닥에 세우거나 특정 물체에 거치하는 경우, 그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회동 운동을 유발하는 경우, 그 회동 운동을 안내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징위치에서 일시적으로 걸려서 회동으로 인하여 변화된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위치 안내부와,
    상기 지지부가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가 특정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사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그 테두리가 소정 폭을 가지며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용홈이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 주변 테두리에는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 안내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홈 또는 돌기와 맞물릴 수 있는 상대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 안내부는;
    상기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는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의 주변 테두리의 일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홈 또는 돌기와 맞물릴 수 있는 상대 구조물이 형성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이 위치한 반대편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의 주변 테두리의 타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지지판과 연결되는 제2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 또는 상기 제2지지판에 마련되어 상기 제1지지판 또는 상기 제2지지판을 상기 단말기 표면에 부착시키는 부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은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을 통하여 연결되되,
    제1지지판에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 주변에는 단차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판에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공 주변에는 상면으로 연장되는 연장편이 형성되되,
    상기 연장편이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을 통과한 후에 접혀져 상기 단차면에 면접되어 걸림으로써 상기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지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판에는 상호 마주보는 두 개의 상기 상대 구조물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 주변 테두리에는 상기 홈 또는 돌기가 상호 이격되어,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단말기 표면에 부착된 제1지지판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이 회전하되,
    상기 상대 구조물이 상기 홈 또는 돌기와 맞물리는 경우 그 위치가 고정되고, 맞물림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상대 구조물이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 주변 테두리 표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지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측이 개방된 고리 형상으로 구현되고,
    개방된 부분의 양 단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연장편에 마련되는 수용홈은 상기 지지부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수직 또는 수평 또는 소정 각도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여 상기 지지부의 회동 운동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지지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연장편의 양 측면에 상기 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는 길이를 갖고 제1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수용홈과;
    상기 제1수용홈과 교차되어 상기 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는 길이를 갖고 제2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제2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가 제1수용홈 또는 제2수용홈에 위치한 경우, 고리 형상의 상기 지지부가 상대적으로 연장편에 밀착되고 그 회동이 제한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수용홈 또는 제2수용홈을 이탈하여 외부에 위치한 경우, 고리 형상의 상기 지지부가 벌어져서 그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지대.
KR1020140195990A 2014-12-31 2014-12-31 단말기의 지지대 KR101624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990A KR101624056B1 (ko) 2014-12-31 2014-12-31 단말기의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990A KR101624056B1 (ko) 2014-12-31 2014-12-31 단말기의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056B1 true KR101624056B1 (ko) 2016-05-24

Family

ID=5611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990A KR101624056B1 (ko) 2014-12-31 2014-12-31 단말기의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05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041U (ko) * 2016-06-24 2018-01-04 민금순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
KR101837311B1 (ko) * 2016-12-09 2018-04-19 김진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856445B1 (ko) * 2016-06-24 2018-05-10 (주)포도팟 휴대용 전자기기의 지지장치
KR101931304B1 (ko) * 2017-08-02 2018-12-20 주식회사 싸이클론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KR20200101669A (ko) * 2019-02-20 2020-08-28 장승호 표준 USB A 단자용 Jack일체형 모바일 단말기 D-Ring형 거치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041U (ko) * 2016-06-24 2018-01-04 민금순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
KR200485457Y1 (ko) 2016-06-24 2018-01-11 민금순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
KR101856445B1 (ko) * 2016-06-24 2018-05-10 (주)포도팟 휴대용 전자기기의 지지장치
KR101837311B1 (ko) * 2016-12-09 2018-04-19 김진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931304B1 (ko) * 2017-08-02 2018-12-20 주식회사 싸이클론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KR20200101669A (ko) * 2019-02-20 2020-08-28 장승호 표준 USB A 단자용 Jack일체형 모바일 단말기 D-Ring형 거치대
KR102305214B1 (ko) * 2019-02-20 2021-09-24 장승호 표준 USB A 단자용 Jack일체형 모바일 단말기 D-Ring형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056B1 (ko) 단말기의 지지대
US8520371B2 (en) Digital photo frame
KR20190061237A (ko)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US8254104B2 (en) Til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30181903A1 (en) Protection cover support sea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KR101237952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US8925878B2 (en) Suppor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US8208244B2 (en) Til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960354B1 (ko)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KR100865967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1738615B1 (ko)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US20100205773A1 (en) Swing hinge apparatus of cellular phone
KR100731900B1 (ko) 회전힌지장치
CA2537076A1 (en) Dual-action latching device
KR20040104359A (ko) 내구성의 토션 스프링이 설치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슬라이드 장치
KR102137363B1 (ko) 스킨링
KR20060095310A (ko) 반자동 스윙모듈 및 이 스윙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061760B1 (ko) 휴대단말기용 스윙타입 힌지모듈
KR200488704Y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8446336B2 (en) Multi-directional pivoting antenna
KR100970471B1 (ko) 스윙 힌지모듈
US8407858B2 (en) Swing hinge module
US9157830B2 (en) Drop test apparatus
KR100818117B1 (ko) 통신단말기용 스윙 힌지
CN220066347U (zh) 接收器及无线麦克风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