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952B1 -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952B1
KR101237952B1 KR1020110047360A KR20110047360A KR101237952B1 KR 101237952 B1 KR101237952 B1 KR 101237952B1 KR 1020110047360 A KR1020110047360 A KR 1020110047360A KR 20110047360 A KR20110047360 A KR 20110047360A KR 101237952 B1 KR101237952 B1 KR 101237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lot
hinge device
elastic
actu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9234A (ko
Inventor
이강성
Original Assignee
(주) 프렉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프렉코 filed Critical (주) 프렉코
Priority to KR1020110047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952B1/ko
Publication of KR20120129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몸체와, 제2몸체와, 제1몸체와 제2몸체가 동일 평면상에 놓이는 펼쳐진상태와 서로 겹쳐지는 접힌상태 범위 내에서 회동하도록 연결하는 힌지장치를 포함하고, 힌지장치는, 제1몸체의 측면에 고정결합되고, 제1샤프트가 형성되는 제1회동체; 제2몸체의 측면에 고정결합되고, 제1샤프트와 평행한 제2샤프트가 형성되는 제2회동체;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가 관통하고, 제1회동체와 제2회동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앙지지체; 및 펼쳐진상태 또는 접힌상태가 유지되도록, 중앙지지체 외측에서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를 각각 탄력지지하는 제1탄성부 및 제2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Hinge Apparatu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he Hinge Apparatus}
본 발명은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힌지장치를 통해 연결되는 전자장치의 제1몸체와 제2몸체간의 밀착정도를 높이고 반자동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를 비롯하여 휴대용 전자장치에 대한 산업적 수요는 해를 더할수록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요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다양한 형태 및 기능을 갖춘 휴대용 전자장치가 선보이고 있다.
휴대폰과 같은 통상의 휴대용 단말기는 영상이나 그림 등을 표시하는 화상부를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화상부를 통하여 TV를 시청하거나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얻을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휴대용 단말기도 등장하고 있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는, 소비자의 요구 및 기능적인 특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폴더형, 슬라이드형, 바(bar)형 등으로 다양하게 발전되고 있다.
여기서 폴더형 단말기란, 가용면역이 확장되도록 하기 위하여 두 개의 몸체가 서로 힌지작동 되면서 펼쳐지도록 이루어진 형태의 단말기를 말하는데, 구조적인 특징의 우수성에 기인하여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박막형 액정기술의 개발 및 기타 부품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휴대용 단말기가 슬림화되어 가고 있으며, 그 수요가 날로 늘어가고 있다.
다만, 종래의 휴대 단말기들의 외형은 음성통화, 메시지 전송 등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에 보다 적합한 외형을 기반으로 발전되어 왔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을 이용하는 데는 다소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예컨대,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디지털 멀티 미디어 방송, 동영상 파일 등을 시청하기에 불편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10-0909713호는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로서,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궁극적으로는 전체 장치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도모하면서 휴대 단말기의 덮개를 상하 방향으로 기준 오픈 각도 및 360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한국 등록특허 제10-0909713호에 의할 때,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비교적 넓은 범위로서 활용하기를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큰 이점이 있는 것이나, 개선의 여지는 있는 것이며 새로운 형태의 힌지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예컨대, 작은 크기의 전자장치임에도 큰 디스플레이 화면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힌지회동하는 두 개의 몸체 모두에 액정화면을 형성하고, 전자장치를 펼치는 경우, 두 개의 액정화면이 결합되어 하나의 큰 화면을 형성하는 형태의 전자장치가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이에 적합한 형태의 힌지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힌지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전자장치의 액정화면 형성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비교적 소형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점, 반자동작동이 원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하는 점 및 힌지장치의 조립이 용이한 점 등이 모두 고려되는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장치는, 제1몸체와, 제2몸체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동일 평면상에 놓이는 펼쳐진상태와 서로 겹쳐지는 접힌상태 범위 내에서 회동하도록 연결하는 힌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제1몸체의 측면에 고정결합되고, 제1샤프트가 형성되는 제1회동체; 상기 제2몸체의 측면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1샤프트와 평행한 제2샤프트가 형성되는 제2회동체;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가 관통하고, 상기 제1회동체와 제2회동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앙지지체; 및 상기 펼쳐진상태 또는 접힌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중앙지지체 외측에서 상기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를 각각 탄력지지하는 제1탄성부 및 제2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중앙지지체에는, 안쪽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작동슬롯 및 제2작동슬롯과, 바깥쪽에서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가 각각 슬라이딩되며 상기 제1작동슬롯 및 제2작동슬롯과 각각 연통되는 제1왕복슬롯 및 제2왕복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1회동체에는 상기 제1작동슬롯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제1작동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회동체에는 상기 제2작동슬롯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제2작동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부는 상기 제1샤프트를 안쪽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2탄성부는 상기 제2샤프트를 안쪽으로 가압한다.
여기서, 상기 제1작동돌기 및 제2작동돌기가 상기 제1작동슬롯 및 제2작동슬롯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펼쳐진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1작동돌기 및 제2작동돌기가 상기 제1작동슬롯 및 제2작동슬롯의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접힌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가 상기 제1왕복슬롯 및 제2왕복슬롯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내측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펼쳐진상태 또는 접힌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상기 중앙지지체 외측면에는, 상기 제1왕복슬롯 및 제2왕복슬롯 주변에서 좌우측면 쪽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을 이루는 제1중앙경사부와 제2중앙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부는, 상기 제1샤프트에 끼워지고 상기 제1중앙경사부와 대응되게 경사면을 이루는 제1탄성캠과, 상기 제1탄성캠을 상기 제1중앙경사부로 가압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2탄성부는, 상기 제2샤프트에 끼워지고 상기 제2중앙경사부와 대응되게 경사면을 이루는 제2탄성캠과, 상기 제2탄성캠을 상기 제2중앙경사부로 가압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탄성부는, 상기 제1스프링이 상기 제1샤프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오링과, 상기 제1샤프트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1오링을 지지하는 제1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부는, 상기 제2스프링이 상기 제2샤프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오링과, 상기 제2샤프트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2오링을 지지하는 제1와셔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상기 제1작동슬롯과 제2작동슬롯은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곡선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회동체에는, 상기 제1샤프트와 제1작동돌기를 연결하는 제1이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회동체에는, 상기 제2샤프트와 제2작동돌기를 연결하는 제2이음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중앙지지체 외측에서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제1탄성부 및 제2탄성부가 수용되며, 외측 표면을 형성하는 케이스;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 내측면에는,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가 가이드되어 안내되는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 힌지장치가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측면에 결합하고 중앙지지체를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면서 제1탄성부 및 제2탄성부에 의해 탄력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힌지작동시 반자동작동이 가능하고, 비교적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1몸체 및 제2몸체에 형성되는 화상부의 크기를 확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탄성부 및 제2탄성부가 중앙지지체 외측에서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에 연결되어 안쪽으로 가압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힌지장치의 반자동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특히 제1탄성캠과 제2탄성캠을 이용하여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가 중앙쪽으로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원활하고 안정된 반자동작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1작동슬롯과 제1왕복슬롯, 제2작동슬롯과 제2왕복슬롯 각각이 서로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제1작동돌기 및 제2작동돌기의 안정된 슬라이드이동 보장하면서도 제1샤프트와 제1작동돌기, 제2샤프트와 제2작동돌기간의 간격을 줄일 수 있으며, 소형이면서 안정적인 힌지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이음부와 제2이음부가 형성됨으로써, 제1샤프트와 제1작동돌기, 제2샤프트와 제2작동돌기에 비교적 강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파손,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분한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도 1에 도시된 힌지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장치의 접힌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힌지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힌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b은 도 2에 도시된 힌지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힌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케이스의 내측면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a에 도시된 힌지장치의 일부구성을 밑에서 바라본 작동상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1a에 도시된 힌지장치의 일부구성을 옆에서 바라본 작동상태도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300)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장치(1)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에 도시된 힌지장치(300)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장치(1)의 접힌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힌지장치(300)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장치(1)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힌지장치(3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b은 도 2에 도시된 힌지장치(300)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는 형태의 전자장치(1) 및 이에 사용되도록 이루어진 힌지장치(300)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전자장치는 휴대가 가능한 것으로서 노트북컴퓨터, 전자사전, PDA 등은 물론 휴대폰과 같은 통상의 휴대용 단말기(端末機, terminal)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는 휴대용 전자장치(1)의 몸체를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서로 회동 작동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몸체(100)에는 LCD (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져 시각적인 영상 등을 표시하는 화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200)에는 정보를 입력하는 키패드(key pad) 등이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100)에는 제1화상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200)에도 제2화상부(210)가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화상부(110)는 상기 제1몸체(100) 하단까지 형성되며, 상기 제2화상부(210)는 상기 제2몸체(200)의 상단까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는, 상기 펼쳐진상태에서 상기 제1화상부(110)의 하단과 상기 제2화상부(210)의 상단이 밀착할 수 있도록, 서로 밀착된 형태로 결합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에서,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는 서로 대칭된 형태로 형성되고, 양자 모두에 화상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화상부(110) 및 제2화상부(210)는 펼쳐진상태에서 서로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에서는, 상기 펼쳐진상태에서 제1화상부(110)와 제2화상부(210)가 결합된, 하나의 큰 화상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보다 큰 화면을 통하여 시각적인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화상부(110)와 제2화상부(210)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정보를 표시하는 수단으로 사용됨은 물론,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방향의 설명은, 상기 펼쳐진상태, 즉 상기 제1화상부(110) 및 제2화상부(210)가 위쪽을 향하고 상기 중앙지지체(330)가 정면을 향하도록 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힌지장치(300)는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가 서로 회동가능한 형태로 결합시키는 장치이며,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장치(300)는 크게, 상기 제1몸체(100)에 결합되는 제1회동체(310)와, 상기 제1회동체(310)와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몸체(200)에 결합되는 제2회동체(320)와, 상기 제1회동체(310) 및 제2회동체(320)를 연결하는 중앙지지체(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장치(300)는 상기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와 동일한 높이(연결되는 부분에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가 결합되는 부분의 외측 단부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힌지장치(300)가 상기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에서 돌출되지 않은 형태로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장치(30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귀퉁이에 홈(도면번호 미표시)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장치(300)는 1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의 한쪽에만 형성될 수 있으나,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의 양쪽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2개의 힌지장치(300)는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힌지장치(300)는 연결판(39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회동체(310)는 상기 제1몸체(100)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2회동체(320)는 상기 제2몸체(20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동체(310)와 제2회동체(320)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특별히 언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 제2회동체(320)에 대한 설명은 상기 제1회동체(310)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힌지장치(300)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중앙지지체(330)는 상기 힌지장치(300)의 중심을 이루며, 상기 제1회동체(310) 및 제2회동체(320)가 서로 회동하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지지체(330)는 대칭된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 부분에 제1작동슬롯(331)과 제2작동슬롯((332)이 형성되고, 좌우 양측에 제1왕복슬롯(333)과 제2왕복슬롯(3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작동슬롯(331)과 제1왕복슬롯(333), 상기 제2작동슬롯((332)과 제2왕복슬롯(334) 각각은 서로 연통된다.
상기 제1작동슬롯(331)은, 후술할 제1작동돌기(311)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며, 외측으로 볼록하게 곡선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작동슬롯(33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기 제1작동돌기(311)가 형성되는 상기 제1회동체(310)는, 회전시 바깥쪽방향으로 일정부분 이동한 후 다시 안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가 상기 펼쳐진상태에서는 서로 밀착하면서도, 상기 접힌상태로 변환되는 과정에서의 회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2작동슬롯((332)은 상기 제1작동슬롯(331)과 대칭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작동돌기(321)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된다.
상기 제1왕복슬롯(333)은 상기 중앙지지체(330)의 바깥쪽에서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중앙지지체(330)의 중간 정도의 높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1왕복슬롯(333)은, 후술할 제1샤프트(31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며, 직선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왕복슬롯(333)은 상기 제1작동슬롯(331)과 연통되며, 상기 제1왕복슬롯(333)은 내측단부가 상기 제1작동슬롯(331)의 중앙 부분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샤프트(312)는 회동시 상기 제1작동슬롯(331) 영역으로 일정부분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왕복슬롯(333)의 바깥방향 쪽으로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중앙지지체(330)의 좌우방향 길이를 줄여다.
상기 제2왕복슬롯(334)은 상기 제1왕복슬롯(333)과 대칭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샤프트(32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된다.
상기 중앙지지체(330) 외측면에는, 상기 제1왕복슬롯(333) 및 제2왕복슬롯(334) 주변에서 좌우측면 쪽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을 이루는 제1중앙경사부(336)와 제2중앙경사부(337)가 형성된다.
상기 제1중앙경사부(336)는 상기 제1왕복슬롯(333)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샤프트(312)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중앙경사부(336)는 측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가 높아지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중앙경사부(336)는 상기 제1탄성부(340)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상기 제1샤프트(312)가 상기 제1왕복슬롯(333)의 내측단부에 머물도록하며, 상기 제1회동체(310)를 반자동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2중앙경사부(337)는 상기 제1중앙경사부(336)와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지지체(330) 외측 중앙에는 케이스고정돌부(335)가 형성되는데, 상기 중앙지지체(330) 외측에서 상기 케이스(360)가 위치한 후, 스크류(365)가 상기 케이스(360)를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케이스고정돌부(335)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중앙지지체(330)와 케이스(360)가 결합된다.
상기 제1회동체(310)는 상기 제1몸체(100)에 고정되며, 상기 중앙지지체(330)를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다만, 상기 제1회동체(310)가 회동함에 있어서, 고정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은 아니고, 슬라이딩 되면서 회전하게 되는데, 제1작동돌기(311) 및 제1샤프트(312)가 슬라이딩 회전시 상대적인 회전축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회동체(310)에는, 상기 제1작동돌기(311) 및 제1샤프트(312)의 형성방향과 수직한 방향, 즉 상기 제1몸체(100)의 형성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제1체결플레이트(313)가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플레이트(313)는 비교적 넓은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100)에 결합된다. 상기 제2회동체(320)에도 상기 제1체결플레이트(313)과 대응되는 제2체결플레이트(323)이 형성되어 상기 제2몸체(200)에 결합된다.
상기 제1체결플레이트(313)는 상기 제1화상부(110)에서 먼쪽에 치우쳐 형성되며, 다만 상기 제1화상부(110) 쪽으로 돌출되어 나사볼트 등이 체결되는 돌출부(도면번호 미표시)가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제1회동체(310)의 외형적인 형태 자체를 비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제1회동체(310)와 제2회동체(320)를 용이하게 구별하고, 조립시 결합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작동돌기(311)는 상기 제1회동체(310)의 위쪽에서 안쪽으로 치우쳐 형성되고 원형돌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작동슬롯(331)을 관통하여 걸려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제1작동돌기(311)는 상기 제1작동슬롯(331) 밖으로 돌출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1샤프트(312)는 상기 제1회동체(310)의 바깥쪽으로 치우쳐 형성되며, 상기 제1왕복슬롯(333)을 관통하여 걸려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제1샤프트(312)는 상기 제1작동돌기(311) 처럼 짧게 형성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왕복슬롯(333)을 관통하여 상기 제1탄성캠 및 제1스프링과 체결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회동체(310)에는 상기 제1몸체(100) 방향으로 형성된 제1체결플레이트(313)가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플레이트(313)는 상기 제1회동체(3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플레이트(3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100) 내부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120)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1회동체(310)가 상기 제1몸체(100)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체결플레이트(313)의 상기 제1몸체(100)의 제1결합홈(120)에 삽입은, 상기 제1몸체(100)의 배면을 형성하는 판이 조립 되기전에 이루어지고, 이후 상기 제1몸체(100)의 배면을 형성하는 판이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플레이트(313)에는 관통공(하나 이상, 도면번호 미표시)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홈(120)에 삽입된 후, 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몸체(100)에 고정되는 형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체결플레이트(323) 또한 상기 제2몸체(200) 내부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22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제조의 편의상, 상기 힌지장치(300)를 우선 조립하여 형성한 후 상기 제1몸체(100)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체결플레이트(313)의 형성은 이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체결플레이트(313)를 통하여 상기 제1몸체(100)와 제1회동체(310)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양자 간의 견고한 결합이 보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몸체(100)의 회동시에도 힌지장치(300)의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2회동체(320)에는, 제2작동돌기(321), 제2샤프트(322) 및 제2체결플레이트(323)가 형성되며, 상기 제1회동체(310)와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회동체(320)는 상기 중앙지지체(330)를 기준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회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회동체(310)의 회동과 무관하게 회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펼쳐진상태 및 접힌상태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 펼쳐진상태는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가 동일평면상에 형성되어 양자가 이루는 각도가 180°가 된다. 상기 접힌상태는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가 서로 겹쳐져 양자가 이루는 각도가 0°된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300)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장치(1)는, 상기 펼쳐진상태와 접힌상태의 중간상태, 즉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가 이루는 각이 90°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간상태는, 도 7c에 도시된 형태를 말하며, 상기 펼쳐진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100) 또는 제2몸체(200)의 어느 하나만이 90°로 회동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펼쳐진상태에서 상기 제1작동돌기(311) 및 제2작동돌기(321)는 상기 제1작동슬롯(331) 및 제2작동슬롯((332)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샤프트(312) 및 제2샤프트(322)는 상기 제1왕복슬롯(333) 및 제2왕복슬롯(334)의 내측단부에 위치한다. 즉, 상기 제1탄성부(340) 및 제2탄성부(350)에 의하여 탄력지지되는 상기 제1회동체(310) 및 제2회동체(320)에 고정결합되는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가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면서, 상기 펼쳐진상태가 탄력적으로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상기 펼쳐진상태를 극복할 수 있을 정도의 강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펼쳐진상태는 안정되게 유지됨)
또한, 상기 접힌상태에서 상기 제1작동돌기(311) 및 제2작동돌기(321)는 상기 제1작동슬롯(331) 및 제2작동슬롯((332)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샤프트(312) 및 제2샤프트(322)는 상기 제1왕복슬롯(333) 및 제2왕복슬롯(334)의 내측단부에 위치한다. 즉, 상기 제1탄성부(340) 및 제2탄성부(350)에 의하여 탄력지지되는 상기 제1회동체(310) 및 제2회동체(320)에 고정결합되는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가 서로 접히면서, 상기 접힌상태가 탄력적으로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상기 접힌상태를 극복할 수 있을 정도의 강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접힌상태는 안정되게 유지됨)
상기 제1회동체(310)에는 상기 제1샤프트(312)와 제1작동돌기(311)를 연결하는 제1이음부(314)가 형성되고, 상기 제2회동체(320)에는 상기 제2샤프트(322)와 제2작동돌기(321)를 연결하는 제2이음부(324)가 형성된다.
상기 제1이음부(314)는 상기 제1샤프트(312)와 제1작동돌기(311)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제1샤프트(312)와 제1작동돌기(311)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고 대체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작동슬롯(331)과 제1왕복슬롯(333)이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이음부(324)는 상기 제1이음부(314)와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샤프트(312)와 제2샤프트(322)는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 제1탄성부(340)와 제2탄성부(350)가 결합되어 탄성력이 작용하는 것으로서 하중이 비교적 강하게 작용할 수 있는데, 상기 제1이음부(314)와 제2이음부(324)는 이를 완화시키며 상기 제1샤프트(312)와 제2샤프트(322)를 견고하게 유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작동슬롯(331)과 제1왕복슬롯(333), 상기 제2작동슬롯(332)과 제2왕복슬롯(334) 각각이 서로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작동돌기(311) 및 제2작동돌기(321)의 안정된 슬라이드이동 보장하면서도 상기 제1샤프트(312)와 제1작동돌기(311), 상기 제2샤프트(322)와 제2작동돌기(321)간의 간격을 줄일 수 있으며, 소형이면서 안정적인 힌지장치(300)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이음부(314)와 제2이음부(324)가 형성됨으로써, 제1샤프트(312)와 제1작동돌기(311), 제2샤프트(322)와 제2작동돌기(321)에 비교적 강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파손,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분한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탄성부(340) 및 제2탄성부(350)는 상기 제1회동체(310) 및 제2회동체(320)를 탄력지지하며, 상기 힌지장치(300)의 반자동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펼쳐진상태와 접힌상태의 안정적인 유지가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1탄성부(340)는 상기 제1샤프트(312)에 결합되고, 상기 제1샤프트(312)가 상기 제1왕복슬롯(333)의 내측(상기 중앙지지체(330)의 안쪽)에 머물도록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제1탄성부는, 제1탄성캠, 제1스프링, 제1오링 및 제1와셔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탄성캠(341)은 상기 제1샤프트(312)에 끼워지고 상기 제1중앙경사부(336) 와 대응되게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탄성캠(341)은 상기 제1샤프트(312)에 대체로 꼭 맞게 끼워지는 것이나 억지끼움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샤프트(312)를 기준으로 부드럽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끼워진다. 상기 제1탄성캠(341)이 상기 제1중앙경사부(366)에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샤프트(312)가 상기 제1왕복슬롯(333)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제1탄성캠(341)은 상기 제1중앙경사부(366)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스프링(342)은 코일스프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샤프트(312)에 끼워져 상기 제1탄성캠(341)을 상기 제1중앙경사부(366) 쪽으로 가압한다. 상기 제1스프링(342)은 압축되는 경우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샤프트(312)에 조립될 때, 다소 압축된 형태로 조립된다.
상기 제1오링(343)은 상기 제1스프링(342) 외측에 끼워져 상기 제1스프링(342)이 상기 제1샤프트(31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와셔(344)는 상기 제1샤프트(312)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1오링(343)을 지지하며, 상기 제1탄성부(340)가 상기 제1샤프트(312) 상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1탄성부(340)는 상기 제1샤프트(312)가 상기 제1왕복슬롯(333)의 안쪽(상기 중앙지지체(330)의 중앙쪽)에 머물도록 가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작동돌기(311)는 상기 제1작동슬롯(331)의 상단 또는 하단에 머물게 되며, 결국 상기 제1몸체(100)의 반자동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반자동작동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300)에서 상기 제1탄성부(340)는, 반자동작동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간단한 구조이며 조립이 용이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몸체(100)의 측면 공간을 활용하고 상기 제1화상부(110)의 크기를 확보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스프링(342)는 상기 제1샤프트(312)에 결합됨에 있어서, 탄성변형된 형태로 결합되게 된다. 즉, 상기 제1샤프트(312)가 상기 제1왕복슬롯(333)의 안쪽단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탄성부(340)에 의한 탄성력이 상기 제1회동체(310)에 강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스프링(342)는 탄성력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상기 제1샤프트(312)에 결합된다.
이처럼, 상기 제1스프링(342)이 미리 탄성변형된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펼쳐진상태와 접힌상태에서도 충분히 강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펼쳐진상태와 접힌상태에서도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가 흔들림이 없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350)는 상기 제1탄성부(340)와 대칭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회동체(320)가 상기 중앙지지체(330)를 기준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회동시 반자동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케이스(36)의 내부가 나타나도록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300)는, 상기 중앙지지체(330) 외측에서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제1탄성부(340) 및 제2탄성부(350)가 수용되며, 외측 표면을 형성하는 케이스(360)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360)는 상기 중앙지지체(330)에 조립시, 상기 제1탄성부(340) 및 제2탄성부(350)의 조립이 이루어진 후 결합되게 되는데, 이러한 조립의 편의를 위하여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스크류(365)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케이스고정돌부(335)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케이스(360)와 중앙지지체(330)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케이스(360)는, 그 두께가 상기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에 연결되는 부분과 같게 이루어지며, 외형상 조화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6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샤프트(312) 및 제2샤프트(322)의 단부가 가이드되어 안내되는 제1가이드홈(361)과 제2가이드홈(362)이 형성되고, 이러한 상기 제1가이드홈(361)과 제2가이드홈(362)은, 회동시 상기 제1샤프트(312) 및 제2샤프트(322)가 흔들림이 없이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300)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장치(1)에서, 상기 펼쳐진상태에서 접힌상태로의 변형과정을, 도 6a 내지 도 6c 및,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에서는, 상기 제1회동체(310) 및 제1몸체(100)와 제2회동체(320) 및 제2몸체(200)가 모두 회동하는 형태가 도시되며, 도 7a 내지 도 7c에서는 상기 제1회동체(310) 및 제1몸체(100) 만이 회동되는 것이 도시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6 내지 도 7에서 상기 케이스(360)는 도시되지 않았으며, 특히 도 7에서는 상기 제1탄성부(340)과 제2탄성부(350)가 배제된 형태로 도시되었다.
도 6a은 상기 펼쳐진상태에서의 전자장치(1)를 도시한다.
도 7a는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가 90°를 이룬상태(중간상태)이며, 여기서 상기 제1회동체(310)와 제2회동체(320)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펼쳐진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는 동일평면상에 형성되며, 전자장치(1)는 전체적으로 넓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작동돌기(311)와 제2작동돌기(321)는 상기 제1작동슬롯(331)과 제2작동슬롯((332)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샤프트(312)와 제2샤프트(322)는 상기 제1왕복슬롯(333)과 제2왕복슬롯(334)의 내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1회동체(310)와 제2회동체(320)는 각각, 상기 제1탄성부(340) 및 제2탄성부(350)에 의해 탄력지지되고 있는 상태이며, 상기 제1탄성부(340) 및 제2탄성부(350)의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는 정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이러한 상태는 유지된다.
즉, 상기 제1탄성캠(341)은 상기 제1스프링(342)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제1중앙경사부(336)의 하측에 머물게 되며, 상기 제1탄성캠(341)이 상기 제1중앙경사부(336)의 경사면을 타고 올라갈 정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상기 제1회동체(310)가 회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도 6b는 상기 펼쳐진상태에서 접힌상태로 변경되는 중간과정(이는 상기 중간상태와는 다른 것임)을 도시한다. 즉, 상기 제1회동체(310)과 제2회동체(320)가 모두 회동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7b는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가 45°를 이룬상태(상기 제1몸체(100)만이 회동하는 상태)이며, 여기서 상기 제1회동체(310)와 제2회동체(320)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외력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제1회동체(310)가 상기 중앙지지체(330)를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제1작동돌기(311)는 상기 제1작동슬롯(331)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샤프트(312)는 상기 제1왕복슬롯(333)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1작동슬롯(331)과 제2작동슬롯((332)은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는 회동하면서 서로 간의 간격이 약간 벌어지게 되며, 상기 제1화상부(110)의 단부와 제2화상부(210)의 단부가 서로 밀착되는 형태로 형성되더라도 회동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이때 상기 제1스프링(342)은 탄성력이 가장 크게 증가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상기 제1작동돌기(311)가 상기 제1작동슬롯(331)의 중간지점을 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탄성부(3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중간상태로 복귀하게 되며, 중간지점을 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힌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즉, 상기 제1탄성캠(341)은 상기 제1스프링(342)에 의해 가압되는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제1중앙경사부(336)의 경사면을 따라 올라간다. 다만, 상기 제1스프링(342)에 최대의 탄성력이 작용(상기 제1작동돌기(311)가 상기 제1작동슬롯(331)의 중간지점에 위치하는 경우)하더라도 상기 제1탄성캠(341)은 상기 제1중앙경사부(336)의 경사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도 6c와 도 7c는 상기 접힌상태에서의 전자장치(1)를 도시한다.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는 포개어져 밀착된다. 이때, 상기 제1작동돌기(311)와 제2작동돌기(321)는 상기 제1작동슬롯(331)과 제2작동슬롯((332)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샤프트(312)와 제2샤프트(322)는 상기 제1왕복슬롯(333)과 제2왕복슬롯(334)의 내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1회동체(310)와 제2회동체(320)는 각각, 상기 제1탄성부(340) 및 제2탄성부(350)에 의해 탄력지지되고 있는 상태이며, 상기 제1탄성부(340) 및 제2탄성부(350)의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는 정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역시 이러한 상태는 유지된다.
즉, 상기 제1탄성캠(341)은 상기 제1스프링(342)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제1중앙경사부(336)의 하측에 머물게 되며, 상기 제1탄성캠(341)이 상기 제1중앙경사부(336)의 경사면을 타고 올라갈 정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상기 제1회동체(310)가 회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이처럼, 상기 제1탄성부(340)와 제2탄성부(350)는, 상기 펼쳐진상태와 접힌상태에 동일한 지점에 위치하면서 왕복하여 이동하게 되는 상기 제1샤프트(312)와 제2샤프트(322)에 연결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탄성부(340)와 제2탄성부(350)의 탄성변형되면서 이동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으면서도 강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상태는, 상기 제1회동체(310)와 제1몸체(100)는 도 7c의 형태대로 유지되면서 상기 제2회동체(320)와 제2몸체(200)는 도 6a에 도시된 형태로 변형된 상태로도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1 : 휴대용 전자장치
100 : 제1몸체 110 : 제1화상부
120 : 제1결합홈
200 : 제2몸체 210 : 제2화상부
220 : 제2결합홈
300 : 힌지장치
310 : 제1회동체
311 : 제1작동돌기 312 : 제1샤프트
313 : 제1체결플레이트 314 : 제1이음부
320 : 제2회동체
321 : 제2작동돌기 322 : 제2샤프트
323 : 제2체결플레이트 324 : 제2이음부
330 : 중앙지지체 331 : 제1작동슬롯
332 : 제2작동슬롯 333 : 제1왕복슬롯
334 : 제2왕복슬롯
335 : 케이스고정돌부
336 : 제1중앙경사부 337 : 제2중앙경사부
340 : 제1탄성부 341 : 제1탄성캠
342 : 제1스프링 343 : 제1오링
344 : 제1와셔
350 : 제2탄성부 351 : 제2탄성캠
352 : 제2스프링 353 : 제2오링
354 : 제2와셔
360 : 케이스 361 : 제1가이드홈
362 : 제2가이드홈
390 : 연결판

Claims (11)

  1. 삭제
  2. 제1몸체와, 제2몸체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동일 평면상에 놓이는 펼쳐진상태와 서로 겹쳐지는 접힌상태 범위 내에서 회동하도록 연결하는 힌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제1몸체의 측면에 고정결합되고, 제1샤프트가 형성되는 제1회동체;
    상기 제2몸체의 측면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1샤프트와 평행한 제2샤프트가 형성되는 제2회동체;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가 관통하고, 상기 제1회동체와 제2회동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앙지지체; 및
    상기 펼쳐진상태 또는 접힌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중앙지지체 외측에서 상기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를 각각 탄력지지하는 제1탄성부 및 제2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지지체에는, 안쪽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작동슬롯 및 제2작동슬롯과, 바깥쪽에서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가 각각 슬라이딩되며 상기 제1작동슬롯 및 제2작동슬롯과 각각 연통되는 제1왕복슬롯 및 제2왕복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1회동체에는 상기 제1작동슬롯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제1작동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회동체에는 상기 제2작동슬롯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제2작동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부는 상기 제1샤프트를 안쪽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2탄성부는 상기 제2샤프트를 안쪽으로 가압하며,
    상기 중앙지지체 외측면에는, 상기 제1왕복슬롯 및 제2왕복슬롯 주변에서 좌우측면 쪽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을 이루는 제1중앙경사부와 제2중앙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부는, 제1샤프트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샤프트에 끼워지고 상기 제1중앙경사부와 대응되게 경사면을 이루어 제1회동체가 제1작동슬롯에 삽입되어 슬라이딩시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1탄성캠과, 상기 제1탄성캠을 상기 제1중앙경사부로 가압하는 코일형태의 제1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2탄성부는, 제2샤프트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샤프트에 끼워지고 상기 제2중앙경사부와 대응되게 경사면을 이루어 제2회동체가 제2작동슬롯에 삽입되어 슬라이딩시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2탄성캠과, 상기 제2탄성캠을 상기 제2중앙경사부로 가압하는 코일형태의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힌지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돌기 및 제2작동돌기가 상기 제1작동슬롯 및 제2작동슬롯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펼쳐진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1작동돌기 및 제2작동돌기가 상기 제1작동슬롯 및 제2작동슬롯의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접힌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가 상기 제1왕복슬롯 및 제2왕복슬롯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내측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펼쳐진상태 또는 접힌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는, 상기 제1스프링이 상기 제1샤프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오링과, 상기 제1샤프트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1오링을 지지하는 제1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부는, 상기 제2스프링이 상기 제2샤프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오링과, 상기 제2샤프트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2오링을 지지하는 제1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슬롯과 제2작동슬롯은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곡선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작동슬롯을 따라 상기 제1작동돌기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회동체가 회전시 바깥쪽방향으로 일정부분 이동 후 다시 안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상기 펼쳐진상태에서는 서로 밀착하면서도, 상기 접힌상태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체에는, 상기 제1샤프트와 제1작동돌기를 연결하는 제1이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회동체에는, 상기 제2샤프트와 제2작동돌기를 연결하는 제2이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중앙지지체 외측에서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제1탄성부 및 제2탄성부가 수용되며, 외측 표면을 형성하는 케이스;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측면에는,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가 가이드되어 안내되는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장치.
  11. 제 2 항, 3항 및 6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에 사용되는 힌지장치.


KR1020110047360A 2011-05-19 2011-05-19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101237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360A KR101237952B1 (ko) 2011-05-19 2011-05-19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360A KR101237952B1 (ko) 2011-05-19 2011-05-19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234A KR20120129234A (ko) 2012-11-28
KR101237952B1 true KR101237952B1 (ko) 2013-02-28

Family

ID=47513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360A KR101237952B1 (ko) 2011-05-19 2011-05-19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9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0447B2 (en) 2015-11-06 2017-08-01 Prexco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11259428B2 (en) 2019-06-03 2022-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hinge structure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7327B2 (ja) * 2013-03-27 2017-09-20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2085236B1 (ko) 2018-05-28 2020-03-05 (주) 프렉코 절첩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85235B1 (ko) 2018-05-28 2020-03-05 (주) 프렉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TWI709843B (zh) * 2019-09-19 2020-11-11 富世達股份有限公司 軟性顯示屏幕之折收轉軸結構
KR20220084076A (ko) * 2020-12-03 2022-06-21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폴더블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KR102642761B1 (ko) 2023-11-27 2024-02-29 김환배 식재료의 수분짜는 기능을 갖는 주방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3342A (ko) * 2008-02-29 2009-09-02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폴더형 휴대 단말기
KR100949839B1 (ko) 2009-07-23 2010-03-29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KR20100125636A (ko) * 2009-05-21 2010-12-01 주식회사 다이아벨 힌지 모듈
KR20110002729A (ko) * 2009-07-02 2011-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3342A (ko) * 2008-02-29 2009-09-02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폴더형 휴대 단말기
KR20100125636A (ko) * 2009-05-21 2010-12-01 주식회사 다이아벨 힌지 모듈
KR20110002729A (ko) * 2009-07-02 2011-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0949839B1 (ko) 2009-07-23 2010-03-29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0447B2 (en) 2015-11-06 2017-08-01 Prexco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11259428B2 (en) 2019-06-03 2022-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hinge structur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234A (ko)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952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US9720447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085236B1 (ko) 절첩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85235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JP5073563B2 (ja) 筐体相互の連結ユニット及び携帯端末
EP1758343A2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80094059A (ko) 스마트 팔찌
US20100137041A1 (en) Sliding rotating apparatus
KR100640452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EP1755318B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1287147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101023495B1 (ko) 폴딩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KR200416846Y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스윙 모듈
KR101262656B1 (ko) 백 플립 휴대단말기
JP4899190B2 (ja) 携帯電子機器
KR100998879B1 (ko) 힌지 모듈
KR102085234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04408B1 (ko) 휴대 단말기용 자동 힌지장치
CN101132432B (zh) 具有双连接构件的移动电话及其铰链装置
KR101296334B1 (ko) 틸트형슬라이드 전자장치
KR101120159B1 (ko) 폴딩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KR20120056580A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170047711A (ko) 슬라이드 링크형 힌지장치
KR101040753B1 (ko) 휴대 단말기용 스위블 힌지 장치
KR100650542B1 (ko) 슬라이딩 회전하는 화면을 구비하는 휴대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6